KR20010053575A - 비드 코어를 갖지 않은 레디얼 타이어용 비드 - Google Patents

비드 코어를 갖지 않은 레디얼 타이어용 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575A
KR20010053575A KR1020017000817A KR20017000817A KR20010053575A KR 20010053575 A KR20010053575 A KR 20010053575A KR 1020017000817 A KR1020017000817 A KR 1020017000817A KR 20017000817 A KR20017000817 A KR 20017000817A KR 20010053575 A KR20010053575 A KR 20010053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bead
layers
tir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3431B1 (ko
Inventor
미쉘 아오우앙토
루크 베스트젱
포레스트 파테르송
Original Assignee
미첼 롤리에르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폴 겔리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첼 롤리에르,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폴 겔리,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미첼 롤리에르
Publication of KR2001005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009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 B60C15/0018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not folded around the bead core, e.g. floating or down 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10T152/10828Chafer or sealing st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10T152/10837Bead characterized by the radial extent of apex, flipper or chafer into tire side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10T152/10846Bead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or physical properties of elastom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타이어는 2개의 비드 B를 갖는 카카스 보강재(1)를 구비하고,상기 카카스 보강재(1)는 한 비드 B에서 다른 비드로 연장하고, 각각의 비드는 고정용 비드 와이어를 가지지 않으며, 또 축방향으로 서로 밀접하는 4개의 보강층(21, 31, 32, 22)을 형성하도록 자체적으로 둥글게 말린 적어도 2개의 플라이(2, 3)를 구비하는 아마추어 R에 의해 보강되고, 2개의 축방향 최내측 층(21, 31)은 한 층(21)에서 다음 층(31)에 대해 서로 평행한 소자로 구성되고, 축방향에서 보강재의 중심에 있는 2개의 층(31, 32)이 한 층(31)에서 다음 층(32)으로 횡단한 소자로서 구성되고, 따라서 상기 소자들이 원주 방향에서 각도 α는 0°< α ≤ 10°가 되도록 만들고, 또한 보강층(21, 22, 31, 32)은 다른 높이들 H21, H22, H31, H32로서 비드에 배열된 방사상 외측단부를 가지며, 따라서 보강 소자의 적어도 2개 층을 구비하며 타이어의 2 평행부(parallels) 사이에 위치하는 비드 B의 보강 아마추어 R의 어떤 환형 스트립은 한 층에서 다음 층으로 횡단한 보강 소자의 적어도 2 층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비드 코어를 갖지 않은 레디얼 타이어용 비드{Radial tyre bead without bead core}
유럽 특허출원 EP-A-672 547호는 비드 와이어를 갖지 않는 타이어 커버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 타이어 커버는 인장 강도가 동일한 치수의 공지된 타이어에서 비드 와이어에서 필요로 한 것 보다 더 적은 환형 소자와, 상기 환형 소자에 접촉하거나 그 부근에서 2개의 보강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드 보강 아마추어(bead reinforcement armature)를 구비하고, 상기 층들의 조립체는 동일한 치수의 공지된 타이어에서 비드 와이어에서 필요로 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인장 파열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비드 보강 아마추어의 기계강도는 환형 소자와 아마추어를 구성하는 비드 보강 조립체의 기계 강도에 실제적으로 기여하며, 따라서 상기 조립체는 종래 타이어의 비드 와이어를 대신할 수 있다.
상기 유럽 출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상기 환형 소자와 접촉하며 그 소자 위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각각의 방사상 하부단부를 가진 2개의 인접한 보강 플라이를 한편에서 구성하는 비드 보강 아마추어를 보여주고 있다. 보조 보강 플라이는 환형 소자와 2개의 제1 플라이를 둘러싸고, 그래서 기초층들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층에 대해 양측면에 도포된 2개의 기초층을 형성하며, 따라서 접촉해 있는 4개의 층들이 실제로 서로 평행하다.
또한, 비드 보강 아마추어는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플라이와 같이 그 자신이 둥글게 말려서(turn up) 2 층을 형성하게 되는 플라이를 갖는 2개의 보강층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제1 층은 하나의 플라이를 접어서 얻을 수 있고, 이것이 4개의 층을 갖는 비드 보강 아마추어를 제공하며, 상기 층들은 각각 2개의 플라이를 둥글게 말아서 형성된다.
또한, 보강층들 사이에 카카스 플라이가 배치되어 환형 소자 주위에 직접 감겨 있는 경우와, 2개의 보강 플라이가 카카스 플라이와 환형 소자 주위에 감겨 있는 경우를 제안하였다.
하나의 보강층의 보강 소자들은 인접하거나 또는 축방향으로 가장 밀접한 보강층들의 보강 소자와 교차하는데, 다시 말하면 서로 인접하거나 축방향으로 가장 밀접한 2 층의 각각의 소자가 서로에 대해 평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은, 한 층에서 다음 층으로 횡단하는 코드 또는 케이블의 보강층들이 단일 플라이 자체를 둥글게 말아서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원주 방향과 0° 와 10° 사이의 각을 만드는 하나 또는 2개의 중첩된 플라이를 접거나 둥글게 마는 일은 어려운 작업이다. 전술한 방법으로 보강된 비드들을 포함하는 타이어의 생산은 추가의 제조상 문제에 직면하는데, 왜냐하면 여러 가지 비드 소자들이 설치되어 형성되며 경화되는 단계들 중에 너무 심하게 오정렬될 정도로 여러 가지 비드 소자들의 정확한 위치가 불만족스럽게 되며, 이것이 생산된 타이어의 시리즈에서 불규칙한 질 및 성질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보강 소자들이 각각의 플라이 안에서 서로 평행하며 또한 한 플라이에서 다음 플라이로 횡단하며, 원주방향에서 예각을 이루는 보강 소자들의 적어도 2개의 플라이로서 구성되는 크라운 보강재에 의해 방사상으로 덮혀 있는 카카스 보강재로 덮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오선 부분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의 비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드의 제2 변경예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3 변경예의 개략도.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성질의 규칙성을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보다 신뢰성 있게 제조할 수 있는 상술한 방식의 타이어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는, 2개의 비드에 2개의 측벽에 의해 연결된 타이어 트레드에 의하여 방사상으로 스스로 덮힌 크라운 보강재에 의해 덮여 있는 카카스 보강재를 구비하고, 각각의 비드는 고정용 비드 와이어를 가지지 않으며, 상기 카카스 보강재가 한 비드에서 다른 비드로 연장하고, 각각의 비드는 축방향으로 서로 밀접하는 4개의 보강층을 형성하도록 자체적으로 둥글게 말린 적어도 2개의 플라이를 구비하는 아마추어에 의해 보강되고, 상기 층들 각각은 각 층내에서 서로 평행한 보강 소자를 구비하고, 원주 방향에서 각도 α는 0°< α ≤ 10°가 되도록 만들고, 2개의 축방향 최내측 층은 한 층에서 다음 층에 대해 서로 평행한 소자로 구성되고, 축방향에서 아마추어 중심에 있는 2개의 층이 한 층에서 다음 층으로 횡단한 소자로서 구성되고, 따라서 보강층의 조립체는 원주방향에서 측정할 때 동일한 치수의 공지된 타이어에서 비드 와이어에 필요로 하는 강도와 거의 동일한 인장 파열강도를 가지며, 또한 보강층은 다른 높이들로서 비드에 배열된 방사상 외측단부를 가지며, 따라서 보강 소자의 적어도 2개 층을 구비하며 타이어의 2 평행부(parallels) 사이에 위치하는 비드 보강 아마추어의 어떤 환형 스트립은 한 층에서 다음 층으로 횡단한 보강 소자의 적어도 2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는 타이어를 제조할 때 종방향 인장 파열강도가 동일한 치수의 공지된 타이어에서 비드 와이어에 필요로 한 것보다 실제로 적으며, 환형 소자의 축선이 타이어의 회전축선이 되는 환형 소자를 생략할 수 있게 한다. 다른 한편, 상기 소자의 존재는 유익하게도 다른 하나의 기능을 달성하는데, 즉 타이어가 장착하게 될 림 시트(rim seat)의 폭에 대응하며 또한 림에서의 어떤 회전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림 견고함(tightness)에 대응하는 축방향 폭을 제공하도록 비드이 방사상 하부를 충전하는 것이다.
카카스 보강재의 둥글게 말린 부분(이하 '턴업부'라고 함)과 이에 대응하는 카카스 보강재의 주요부가 2개의 축방향 최내측 보강 아마추어 층과 상기 보강재의 2개의 축방향 최외측 층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될지라도, 카카스 보강재가 비드 보강 아마추어의 방사상 하부, 즉 2개의 보강 플라이를 둥글게 말아서 형성된 부분 주위에 감기는 것이 유익하다. 또한 카카스 보강재의 턴업부는 2개의 축방향 최외측 층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한편 이에 대응하는 카카스 보강재의 주요부는 2개의 축방향 최외측 층들 사이에 삽입된다.
게다가, 적어도 축방향 외부에서 비드를 덮는 섹션에 대해서는, 타이어가 장착될 때 적어도 림 훅의 영역에서 림과 접촉하게 되는 보호 섹션 또는 보호층의 부분은 고무 혼합물로 제조되는데, 이 고무 혼합물은 경화상태에서 1 보다 작은 동적 탄성손실계수 G"를 가지며, 상기 G"는 MPa(메가파스칼)로 나타내고, 상기 계수는 10% 전단률과, 온도 50℃와, 주파수 10 Hz에서 측정된 것이고, 상기 섹션은 최대로 2 mm 두께를 가진다.
여기서 '비드 보강 아마추어의 턴업 플라이의 보강 소자'라는 말은 코드 뿐만아니라 케이블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코드는 단일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 스트랜드로서 구성되며, 반면에 케이블은 중앙 코어를 가져도 되고 가지지 않아도 된다.
보강 소자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어 금속 특히 강이지만, 셀룰로스, 폴리에스터 또는 지방족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재료 특히 아라미드 코드와 같은 천연 또는 합성 직물이 양호하다, 또한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탄소 등의 광물질이 될 수도 있고, 각 케이블은 언급한 여러 가지 재료(이들은 혼합 케이블로서 알려져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은 도면을 참고로 하는 아래의 설명에서 명백히 나타날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투어링 타이어(touring tyre)는 본 발명에 의하여, 각각의 플라이 안에서 서로 평행하며 또한 한 플라이에서 다음 플라이로 횡단하며, 원주방향에서 0°와 30°범위의 각도를 이루는 금속 또는 직물의 보강 소자들의 적어도 2개의 크라운 플라이로서 공지된 방법으로 구성되는 크라운 보강재(도시 안됨)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재는 비드 B에 측벽(5)에 의해 연결된 트레드로써 덮혀 있다. 레디얼 카카스 보강재(1)(도 1) 즉, 도시한 실시예에서 직물(폴리에스터) 케이블의 단일 플라이로 구성되며 한 비드 B에서 다른 비드로 연장하는 상기 카카스 보강재는 그 에지가 각 비드 B내에서 자체적으로 둥글게 말려서 적도면의 각 측면에서 턴업부(10)를 형성한다. 상기 카카스 보강재(1)는 비드 와이어 주위에 감기지 않으며, 비드 와이어는 제공되지 않고, 비드 B를 위해 보강 아마추어 R의 방사상 하부 주위에 감기게 된다.
상기 보강 아마추어 R은 직물 보강 소자 정확하게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케이블의 2개의 플라이(2, 3)로서 구성된다. 제1 플라이(2)는 자체적으로 턴업되어 2개의 층 즉, 축방향 내부층(21) 및 축방향 외부층(22)을 형성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2 플라이(3)가 자체적으로 턴업되어 2개의 층(31, 32)을 형성하며, 상기 층(31)은 제1 플라이(2)의 내부층(21)에 축방향에서 인접하고, 상기 층(32)은 외부층(22)에 축방향에서 인접한다. 각각의 보강 플라이(2, 3)에서, 방향족 폴리아미드 케이블은 서로 평행하며, 원주방향에서 예각 α를 형성하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각도는 타이어의 회전축선이 되는 축선을 갖는 원에 대해 탄젠트 방향과 코드의 방향 사이의 코드이 어떤 지점에서 정해지며 그 지점을 통과하는 각이다. 각각의 층(21, 22, 31, 32)에 대해, 각도 α는 측정 지점의 방사상 지점의 함수로서 변하지만, 항상 0°보다 크고 최대로 10°와 동일하다.
플라이(2, 3)는 비드 보강 아마추어 또는 카카스 보강 블랭크의 형성 드럼에 배치되어서, 상기 두 플라이가 턴업되었을 때 축방향 내부층(21, 22)은 각 층내에서 서로 평행할 뿐만아니라 한 층(21)에서부터 축방향에서 인접하거나 가장 밀접한 다음 층(31)에까지 서로 평행한 케이블로 형성된다. 동일한 플라이(2) 또는 (3)의 2개의 층(21, 22) 또는 (31, 32)의 케이블들이 동일한 플라이에서 한 층(21, 31)에서부터 다른 층(22, 32)에까지 서로에 대해 횡단하는 동안에, 2개의 플라이(2) 및 (3) 각각의 2개의 축방향 외부층(22) 및 (32)의 케이블들은 한 층(22)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인접하거나 가장 밀접한 층(32)에까지 서로 평행하다.
카카스 플라이(1) 및 조립체 R 사이에는 분리부(decouping section)로서 알려진 2개의 얇은 고무섹션(7, 8)이 배치되며, 상기 섹션 중에서 섹션(7)은 카카스 보강재(1)의 주요부에서 층(21)을 분리하며, 한편 이 경우에 필수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고무층으로 감소되어 있는 상기 섹션(8)은 카카스 플라이(1)의 턴업부(10)에서 보강층(22, 31 및 32)을 분리한다. 고무섹션(7, 8)의 시컨트 계수 MA10 의 값(들)은 카카스 보강재의 보강 소자의 캘린더링 고무의 MA10 계수와, 이보다 상당히 높은 값으로서 보강층(21, 22, 31, 32)의 소자들의 캘린더링 고무의 MA10 계수의 값(들)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MA10 계수는 상대 신장률 10%에 대해 인장 응력을 측정함으로서 주어진 고무 혼합물에 대해 구한 계수이다. 상기 응력은 1979년 12월자 AFNOR-NF-T40-101 표준에 따라 온도 및 습도의 정상적인 조건하에서 1988년 9월자 AFNOR-NF-T46-002 표준에 따라 결정된다.
보강층(21, 22, 31, 32)의 방사상 상부단부는 다른 높이 H21, H22, H31, H32에 배치되고, 상기 높이들은 회전축선에 실제로 수직인 비드의 벽과 비드 시트의 모선(generatrix) 사이의 접합부 지점을 통과하는 타이어의 회전축선에 평행한 선에 대해 측정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들은 적어도 2개의 보강층(21, 32)이 있는 환형 보강 스트립에서 특히 단 2개의 보강층이 있는 스트립에서 상기 2개의 층이 한 층에서 다음 층으로 횡단하는 보강 소자로서 구성되도록 하고, 조립체 R의 강도가 2개의 횡단 층이 존재할 때의 경우에 상당히 크게 되도록 한다. 여러 가지 보강층의 단부들의 배치는 동일한 치수의 타이어에서 보통의 비드 와이어의 배치에 필요한 원주상 인강 강도 및 인장 파열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한편 동시에 2개의 보강 플라이는 보강 아마추어 블랭크의 설치중에 한 플라이에서 다음 플라이에 대해 그들의 소자가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비드를 구성하는 제품의 위치설정 좌표를 더욱 양호하게 고려한다는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조립하기가 용이하다. 카카스 플라이(1)의 턴업부(10)의 높이 Hc의 값에 대해서는, 도시한 실시예에서 이 값은 상술한 모든 값보다 더 크며, 따라서 턴업부(10)가 층(21, 22, 31, 32)의 단부 모두를 축방향에서 덮으며, 그래서 카카스 플라이의 주요부에 축방향에서 인접한 에지를 가진다.
비드의 구조는 한편으로는 내부 라이닝의 층(6)과 다른 한편으로는 비드를 보호하는 고무 섹션(4)에 의해 완성된다. 경화 조건에서 보호층(4)은 1 보다 작은 동적 탄성 손실계수 G"를 가지며, 여기서 G"는 MPa(메가파스칼)로 나타내고, 도시한 경우에 계수 G"는 0.08 MPa이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적어도 1과 같은 계수의 종래 비드 와이어를 갖는 종래 비드의 대응하는 섹션의 계수에 비해 작다. 상기 섹션(4)의 두께에 대해서는, 이것은 림 훅의 레벨에서 1.5mm이다. 비드를 통해 연장하는 보강 아마추어 R의 강도 때문에 가능하게 만들어지는 비드이 외부 영역에서의 낮은 탄성 손실계수 G" 및 작은 두께를 갖는 섹션(4)을 사용함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타이어를 림에 유지하는 효과를 변경시키지 않고 구름 저항을 크게 감소시킨다.
도 2는 참고자료로서 언급한 상기 유럽 출원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환형 소자를 사용하는 변경예를 도시한다. 보강 플라이(2, 3)가 상기 환형 소자(20) 주위에 감겨서 한편으로는 2개의 축방향 내부층(21, 31)을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축방향 외부층(22, 32)을 형성한다. 다른 관점에서 비드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비드에 관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카카스 플라이(1)가 보강 아마추어 R 주위에 감기며, 따라서 환현 소자(20) 주위에도 감긴다.
원주방향에서 측정한 환형 소자(20)의 인장 파열강도는 유리하게도 300 daN 보다 적으며, 다시 말해서 동일한 치수의 공지된 타이어에서 비드 와이어에 필요한 것보다 상당히 작고, 원주 방향에서 측정한 보강 플라이의 아마추어 R의 인장 파열강도는 적어도 동일한 치수의 공지된 타이어 즉,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에서 투어링 타이어에 필요로 하는 것과 동일하며, 유리하게도 1000 daN 보다 크고, 따라서 환형 소자(20)의 기계강도가 조립체 R의 기계강도에 반드시 기여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인장 파열강도는 타이어의 설치, 턴업, 형성 및 경화의 보통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환형 소자(20)는 예를 들어 타이어의 회전축선이 되는 축선을 갖는 원형 코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드는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 직물 또는 금속이 될 수 있고, 가능한 가볍게 제조되며, 즉 경량과 체적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는 중공의 금속 코드가 바람직한 해결책이다. 환형 소자(20)는 또한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아미드로 제조된 직물 재료이거나 유리와 같은 광물질인 케이블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환형 소자는 높은 탄성 시컨트 인장계수와 매우 높은 경도를 갖는 고무 혼합물의 섹션으로 대체되어도 좋으며, 예를 들어 10% 상대 신장율에서 15 MPa 보다 큰 MA10 계수를 갖는 혼합물이 아주 적절하다. 상기 섹션은 비드를 더욱 효과적으로 채우도록 설계된 코드, 케이블 또는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환형 소자에 단지 첨가되는 것이 좋다.
도 3에 도시된 타이어 비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다르며, 위에서 설명한 3가지 특성이 다르다. 즉.
- 보강층에 대한 환형 소자(20)의 위치,
- 보강층(21, 22, 31, 32)의 방사상 상부단부의 각각의 방사상 위치,
- 보강층에 대한 카카스 플라이의 축방향 위치.
제2 보강 플라이(3)는 환형 소자(20) 주위에 감기지 않지만 단순히 자체적으로 턴업되어 층(31, 32)을 형성하고, 한편 제1 플라이(2)는 상기 환형 소자 주위에 감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강층 단부의 높이들 값의 순서는 증가하는 순서대로 H22, H31, H32, 및 H21이었고, 도 3의 실시예에서 순서는 H32, H21, H22및 H31이다. 그외에, 환형 소자(20) 주위에 감긴 카카스 플라이(1)는 턴업되어 있는 2개의 플라이(2, 3) 사이에 삽입되고, 플라이의 주요부는 층들(21, 31) 사이에 삽입되고, 카카스 플라이의 턴업부(10)는 층들(22, 32) 사이에 삽입된다. 그러한 배치에서, 아마추어 R의 인장 강도 성질을 보존하면서 동시에 타이어 구성물의 위치 정확도를 개선하며 또한 제조된 타이어의 질의 규칙성을 달성하며, 2개의 아마추어 즉 카카스 보강재와 비드 보강재에 의해 형성된 컴플렉스의 중립 섬유 가까이에 카카스 보강재를 배치할 수 있고, 그래서 접촉 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카카스 보강재가 전이되어 비드 영역으로 압축되는 것을 제한한다.
카카스 보강재(1)의 각 에지도 역시 축방향 내부 보강층과 축방향 외부 보강층(도시 안됨)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2가지 구조가 나타날 수 있는데 즉, 상기 카카스 보강재의 에지가 턴업되어 폴드를 형성하며 다음에 주요부와 폴드가 상기 층들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경우와, 또는 에지가 접히지 않고 따라서 턴업부를 가지지 않는 경우이다.

Claims (6)

  1. 2개의 비드 B에 2개의 측벽(5)에 의해 연결된 트레드에 의하여 방사상으로 스스로 덮힌 크라운 보강재에 의해 덮여 있는 카카스 보강재를 구비하고, 각각의 비드는 고정용 비드 와이어를 가지지 않으며, 상기 카카스 보강재(1)가 한 비드에서 다른 비드로 연장하는 구조의 타이어에 있어서,
    각각의 비드는 축방향으로 서로 밀접하는 4개의 보강층(21, 31, 32, 22)을 형성하도록 자체적으로 둥글게 말린 적어도 2개의 플라이(2, 3)를 구비하는 아마추어 R에 의해 보강되고, 상기 층들 각각은 각 층내에서 서로 평행한 보강 소자를 구비하고, 원주 방향에서 각도 α는 0°< α ≤ 10°가 되도록 만들고, 2개의 축방향 최내측 층(21, 31)은 한 층(21)에서 다음 층(31)에 대해 서로 평행한 소자로 구성되고, 축방향에서 아마추어 중심에 있는 2개의 층(31, 32)이 한 층(31)에서 다음 층(32)으로 횡단한 소자로서 구성되고, 따라서 보강층의 조립체 R는 원주방향에서 측정할 때 동일한 치수의 공지된 타이어에서 비드 와이어에 필요로 하는 강도와 거의 동일한 인장 파열강도를 가지며, 또한 보강층(21, 22, 31, 32)은 다른 높이들 H21, H22, H31, H32로서 비드에 배열된 방사상 외측단부를 가지며, 따라서 보강 소자의 적어도 2개 층을 구비하며 타이어의 2 평행부(parallels) 사이에 위치하는 비드 B의 보강 아마추어 R의 어떤 환형 스트립은 한 층에서 다음 층으로 횡단한 보강 소자의 적어도 2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B는 원주방향에서의 인장 파열강도가 동일한 방향에서 측정된 보강 아마추어 R의 인장 파열강도 보다 상당히 작고, 상기 환형 소자(20)의 축선이 타이어의 회전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카카스 보강재(1)의 각 에지가 턴업부(10)를 가지든가 가지지 않든가 관계없이 2개의 축방햐 내부층과 2개의 축방향 외부층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카카스 보강재(1)가 비드 B의 보강 아마추어 R의 방사상 하부 단부 주위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카카스 보강재(1)의 턴업부(10)가 2개의 축방향 외부층 사이에 삽입되고, 한편 이에 대응하는 카카스 보강재의 주요부가 2개의 축방향 내부층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어를 장착할 때 적어도 림 훅의 영역에서 장착 림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비드의 부분을 외부에서 적어도 축방향으로 덮는 섹션(4)은 고무 혼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고무 혼합물은 경화 조건에서 1 보다 작은 동적 탄성 손실계수 G"를 가지며, 여기서 G"는 MPa(메가파스칼)로서 나타내고, 상기 계수는 10% 전단률과, 온도 50℃ 및 주파수 10Hz에서 측정되고, 상기 섹션의 두께는 최대한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KR1020017000817A 1998-07-23 1999-06-28 비드 코어를 갖지 않은 레디얼 타이어용 비드 KR100683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9452 1998-07-23
FR9809452A FR2781426A1 (fr) 1998-07-23 1998-07-23 Bourrelet de pneumatique radial sans tring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575A true KR20010053575A (ko) 2001-06-25
KR100683431B1 KR100683431B1 (ko) 2007-02-20

Family

ID=952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817A KR100683431B1 (ko) 1998-07-23 1999-06-28 비드 코어를 갖지 않은 레디얼 타이어용 비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505663B2 (ko)
EP (1) EP1098780B1 (ko)
JP (1) JP4436975B2 (ko)
KR (1) KR100683431B1 (ko)
CN (1) CN1151930C (ko)
AU (1) AU750968B2 (ko)
BR (1) BR9912381A (ko)
CA (1) CA2338175A1 (ko)
DE (1) DE69916845T2 (ko)
FR (1) FR2781426A1 (ko)
RU (1) RU2234426C2 (ko)
WO (1) WO2000005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4907B1 (fr) * 2000-02-10 2002-09-20 Michelin Soc Tech Bourrelet de pneumatique avec nappes textiles
BRPI0406773B1 (pt) * 2003-01-17 2013-12-24 Michelin Rech Tech Conjunto montado para avião, roda para avião, pneumático para avião e utilização de um pneumático
US7503360B2 (en) * 2005-12-15 2009-03-1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adial farm tire for high clearance sprayers
US8662129B2 (en) 2008-12-22 2014-03-04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Sidewall shear decoupling layer
EP2376295B1 (en) * 2008-12-22 2013-10-23 Compagnie Géné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Sidewall shear decoupling layer
FR2977828B1 (fr) * 2011-07-13 2013-08-16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pliable, procede de pliage et utilisation
US10040323B2 (en) 2013-03-15 2018-08-07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Pneumatic tire with bead reinforcing elements at least partially formed from carbon fibers
FR3038545A1 (fr) * 2015-07-10 2017-01-13 Michelin & Cie Pneumatique comportant des melanges elastomeriques a bas taux de souf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5227C (ko) 1957-03-14 Michelin & Cie
FR2717425A1 (fr) * 1994-03-16 1995-09-22 Michelin & Cie Enveloppe de pneumatique dépourvue de tringle.
FR2752200B1 (fr) 1996-08-09 1998-09-11 Michelin & Cie Enveloppe de pneumatique depourvue de tring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16845D1 (de) 2004-06-03
AU4616199A (en) 2000-02-14
FR2781426A1 (fr) 2000-01-28
US20010025680A1 (en) 2001-10-04
CN1319051A (zh) 2001-10-24
AU750968B2 (en) 2002-08-01
CN1151930C (zh) 2004-06-02
WO2000005084A1 (fr) 2000-02-03
KR100683431B1 (ko) 2007-02-20
US6505663B2 (en) 2003-01-14
DE69916845T2 (de) 2005-04-21
JP4436975B2 (ja) 2010-03-24
RU2234426C2 (ru) 2004-08-20
BR9912381A (pt) 2001-05-02
JP2002521252A (ja) 2002-07-16
CA2338175A1 (fr) 2000-02-03
EP1098780A1 (fr) 2001-05-16
EP1098780B1 (fr)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8144A (en) Pneumatic radial tire with hybrid band cord
AU605964B2 (en) Pneumatic tire
JP4225582B2 (ja) 複合プライ構造を有するタイヤ
US8146637B2 (en) Tire for heavy vehicles
US6659147B1 (en) Tire crown reinforcement
RU2225297C2 (ru) Усиленный борт радиальной шины
US20060169383A1 (en) Tire for heavy vehicles
KR20010043849A (ko) 래디얼 타이어의 보강 타이어 비드
US20120097307A1 (en) Tire for Heavy Vehicles Comprising a Layer of Peripheral Reinforcement Elements
US7281557B2 (en) Extended mobility tire with undulating sidewalls
JP4169226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6601626B2 (en) Crown reinforcement for a radial tire
KR100697969B1 (ko) 원주 방향 보강재 요소를 구비한 타이어 비드
JP5097944B2 (ja) 重車両用のタイヤ
JP2004533956A (ja) ラジアルタイヤの側壁部補強
JP2016540679A (ja) 航空機用タイヤのためのクラウン補強材
CA1045532A (en) Radial tire for motor vehicles
KR100461212B1 (ko) 공기입레이디얼타이어
US7281558B2 (en) Run-flat tire with variable rigidity sidewalls
JP5179356B2 (ja) 重車両用のタイヤ
JP5097995B2 (ja) 重車両用のタイヤ
US6460589B1 (en) Tire with lengths or assemblies of lengths of circumferential bead reinforcement elements
KR100683431B1 (ko) 비드 코어를 갖지 않은 레디얼 타이어용 비드
US6923234B2 (en) Tire with a reinforced bead
US20040200557A1 (en) Tire with double half-carcasses and adapted crown z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