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839A - System for teaching robot for work transf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teaching robot for work transf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839A
KR20010052839A KR1020007014169A KR20007014169A KR20010052839A KR 20010052839 A KR20010052839 A KR 20010052839A KR 1020007014169 A KR1020007014169 A KR 1020007014169A KR 20007014169 A KR20007014169 A KR 20007014169A KR 20010052839 A KR20010052839 A KR 20010052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ching
robot
workpiece
connection
workpiece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1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사다가즈히데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2001005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839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2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i.e. in which the programme is recorded from a cycle of operations, e.g. the cycle of operations being manually controlled, after which this record is played back on the sam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물 반송 로봇에 대한 티칭 처리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전성도 확보한다. 로봇 컨트롤러(4)에 의해 반송 제어되는 공작물 반송 로봇(R)은 클린 룸(1) 내의 작업 영역에서 공작물 반송 동작을 행한다. 클린 룸(1)의 외측에는 로봇 컨트롤러(4)에 유선(有線) 접속되는 접속 플러그(6a∼6d)가 설치된다. 공작물 반송 로봇(R)에 티칭하는 경우, 공작물 반송 로봇(R)에 가장 가까운 접속 플러그(6a∼6d) 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는 더미 플러그(7a∼7d)를 분리하고, 티칭 펜던트(TP)를 접속하는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를 접속 플러그에 접속한다. 접속 인식부(5a)는 이 티칭 펜던트(TP)가 접속되고 다른 접속 플러그에 더미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다고 인식한 경우, 공작물 반송 로봇(R)을 정지하고 반송 제어 상태로부터 티칭 처리 상태로 이행한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operability of the teaching process for the workpiece transport robot and ensures safety.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conveyed and controlled by the robot controller 4 performs a workpiece conveyance operation | movement in the working area in the clean room 1. Outside the clean room 1, connection plugs 6a to 6d are connected to the robot controller 4 in a wired manner. When teaching to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the dummy plugs 7a-7d connected to one of the connection plugs 6a-6d closes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are removed, and the teaching pendant TP is removed.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ng plug 8 to be connecte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ug. When it recognizes that this teaching pendant TP is connected and the dummy plug is connected to another connection plug, the connection recognition part 5a stops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and transfers from a conveyance control state to a teaching process state.

Description

공작물 반송 로봇의 티칭 시스템 {SYSTEM FOR TEACHING ROBOT FOR WORK TRANSFER}Teaching system of workpiece transfer robot {SYSTEM FOR TEACHING ROBOT FOR WORK TRANSFER}

종래부터 반도체 장치 제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공작물 반송 로봇은 티칭된 내용에 따라 로봇 컨트롤러가 반도체 웨이퍼 등의 공작물 반송을 제어한다.BACKGROUND ART In a conventional work conveying robot used in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system, a robot controller controls a work conveyance such as a semiconductor wafer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물 반송 로봇(25)은 클린 룸(24) 내에 설치되며 케이블(23)을 통하여 로봇 컨트롤러(20)에 의해 제어된다. 공작물 반송 로봇(25)은 예를 들면 프로그 레그(frog-leg)형 로봇이 채용되어 암의 회전에 따라 엔드 이펙터(end effector)로서의 핸드(26;hand)를 움직이고, 핸드 위에 반도체 웨이퍼 등의 공작물을 탑재하여 반송한다. 그리고, 이 공작물 반송 로봇(25)의 반송 동작은 미리 키보드 등의 티칭 수단 및 티칭 처리부(21)를 이용하여 티칭되고, 이 티칭된 내용에 따라 소정의 반송 동작을 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workpiece transport robot 25 is installed in the clean room 24 and controlled by the robot controller 20 through the cable 23.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25 adopts a frog-leg type robot, for example, moves a hand 26 as an end effecto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rm, and the workpiece such as a semiconductor wafer on the hand. It carries and carries it. And the conveyance operation | movement of this workpiece conveyance robot 25 is previously taught using the teaching means, such as a keyboard, and the teaching process part 21, and it performs a predetermined conveyance operation according to this teaching content.

그러나, 근래 취급할 반도체 웨이퍼 등의 공작물이 커지고 이에 따라 각종 반도체 프로세스를 행할 반도체 처리 장치도 커져 공작물 반송 로봇(25)의 가동 영역도 확대되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workpieces, such as a semiconductor wafer to be handled, have become large, and accordingly,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which performs various semiconductor processes has also become large, and the movable area of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25 is also expanded.

따라서, 공작물 반송 로봇에 소정의 반송 동작을 티칭하는 경우, 키보드 등의 티칭 수단은 로봇 컨트롤러(20)에 직결되어 있으며, 또 공작물 반송 로봇이 로봇 컨트롤러(20)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 이 로봇 컨트롤러(20)의 위치로부터는 이 공작물 반송 로봇을 볼 수 없어 공작물 반송 로봇에 대하여 확실하게 티칭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teaching a predetermined conveyance operation to a workpiece conveyance robot, the teaching means, such as a keyboar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bot controller 20, and when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is separated from the robot controller 20, this robot controller ( From the position of 20),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cannot be seen, so that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cannot be taught reliably.

여기에서, 티칭 펜던트(teaching pendant)를 이용하여 공작물 반송 로봇에 티칭하는 경우, 이 티칭 펜던트와 로봇 컨트롤러 사이를 케이블로 접속하여 행할 수 있다.Here, when teaching to a workpiece conveyance robot using a teaching pendant, it can carry out by connecting between this teaching pendant and a robot controller with a cable.

그러나, 전술한 공작물 반송 로봇(25)의 가동 영역은 예를 들면 사방 10m이고, 이 10m 사이에 여러 쌍의 케이블을 연장시켜 설치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워 조작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키게 된다.However, the movable area of the above-mentioned workpiece conveyance robot 25 is 10m in all directions, for example, and it is very cumbersome to extend and install a pair of cables between these 10m, and remarkably degrade operability.

또한, 반도체 웨이퍼 등을 취급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공작물 반송 로봇은 클린 룸(24) 내에 배치되므로, 이 케이블을 질질 끌어당겨 공작물 반송 로봇 근처까지 이동시키는 것은 클린 룸 내에 먼지를 발생시켜 이 클린 룸의 청정도를 저하시키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is disposed in the clean room 24 as described above in terms of handling semiconductor wafers and the like, the pulling of this cable and moving it near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generates dust in the clean room, which causes the clean. It will reduce the cleanliness of the room.

또, 공작물 반송 로봇(25)의 가동 영역(27)은 클린 룸(24) 내이므로 클린 룸(24)의 청정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클린 룸(24)의 크기는 가능한 가동 영역(27)의 크기와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사람이 클린 룸(24) 내에 들어가 티칭 수단에 의해 공작물 반송 로봇(25)에 티칭할 때, 공작물 반송 로봇(25)이 티칭 상태에 있지 않고 반송 동작 상태인 경우, 사람이 피할 영역이나 틈이 없어 매우 위험하다.In addition, since the movable area 27 of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25 is in the clean room 24, the size of the clean room 24 is as large as possible in order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clean room 24 properly. It is designed to be approximately equal in size. Therefore, when a person enters the clean room 24 and teaches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25 by the teaching means, when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25 is not in the teaching state and is in the transfer operation state, an area or gap that a person will avoid This is very dangerous.

따라서, 공작물 반송 로봇(25)에 대한 티칭 상태와 반송 동작 상태를 확실하고 적정하게 구분하여 안전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다.Therefore, it is also necessary to ensure the safety by dividing the teaching state and the conveying operat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25 reliably and appropriately.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예를 들면 반도체 웨이퍼, 액정 유리 기판 등) 제조 시스템에 조립하여, 반도체 웨이퍼, 유리 기판 등의 공작물(work)을 소정의 반도체 처리 장치까지 반송하는 동시에 그 출입을 행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에 대하여 효과적이며 안전하게 티칭할 수 있는 공작물 반송 로봇의 티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o a semiconductor device (e.g., semiconductor wafer, liquid crystal glass substrate, etc.) manufacturing system, and conveys the workpiece (work), such as semiconductor wafer, glass substrate to a predetermined semiconductor processing device, and at the same time transport the workpiece It relates to a teaching system of a workpiece transport robot that can teach effectively and safely to a robo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system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로봇 컨트롤러에 의한 반송 제어 상태와 티칭 처리 상태의 전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차트.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switching between a transfer control state and a teaching process state by the robot controller shown in FIG. 1; FIG.

도 3은 접속 플러그와 더미 플러그 또는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의 접속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3 shows an example of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connection plug, a dummy plug or a teaching pendant connection plug.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제조 시스템의 티칭 시스템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the teaching system of th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system which i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로봇 컨트롤러에 의한 반송 제어 상태와 티칭 처리 상태의 전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차트.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switching between a transfer control state and a teaching process state by the robot controller shown in FIG. 4;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제조 시스템의 티칭 시스템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the teaching system of th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system as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제조 시스템의 티칭 시스템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the teaching system of th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system as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로봇 컨트롤러에 의한 반송 제어 상태와 티칭 처리 상태의 전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차트.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switching between a transfer control state and a teaching process state by the robot controller shown in FIG. 7; FIG.

도 9는 종래의 티칭 시스템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9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a conventional teaching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공작물 반송 로봇에 대한 티칭 처리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는 공작물 반송 로봇의 티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aching system for a workpiece transfer robot that can solve such problems and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teaching process for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and ensure safety.

제1 발명은 작업 영역에서 소정의 공작물을 반송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과, 티칭된 내용을 기초로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이 행하는 소정의 공작물 반송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에 의한 소정의 공작물 반송 동작을 티칭하는 티칭 수단과, 상기 작업 영역 주위에 설치된 접속점을 통하여 상기 티칭 수단을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piece conveyance robot for convey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in a work are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conveyance performed by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based on the teachings, and a workpiece conveyance separated from the control means. Teaching means for teach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conveyance operation by a robot, and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said teaching means to said control means via a connection point provided around said working area.

제1 발명에서는, 티칭 수단을 접속하는 접속점을 공작물 반송 로봇의 근처까지 배치할 수 있으므로 티칭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작용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티칭 수단과 제어 수단을 접속하기 위한 긴 케이블을 끌어당길 필요가 없어지므로 예를 들면 공작물 반송 로봇이 클린 룸 내에서 반송 동작을 행하는 경우, 케이블의 질질 끄는 것에 의해 케이블에 부착된 티끌이나 먼지 등이 산란되어 클린 룸 내의 청정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In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nection point for connecting the teaching means can be arranged near the workpiece transport robot, so that the teaching operation becomes easy, and it is necessary to pull a long cable for connecting the teaching means and the control means. Since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performs a conveyance operation in a clean room, for example, it has the effect of scattering dust or dust adhering to a cable by dragging off a cable, and reducing the cleanliness in a clean room.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서 상기 접속점이 상기 작업 영역 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nection point is provided outside the work area.

제2 발명에서는 티칭 수단에 의한 티칭을 행할 때마다 접속점에 티칭 수단을 접속하는 조작이 강요되고 이에 따라서 티칭할 때의 안전성이 확보된다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an operation for connecting the teaching means to the connection point is forced every time the teaching by the teaching means is performed, and accordingly, it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e safety when teaching.

제3 발명은 제1 또는 제2 발명에서 상기 접속점이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are provided in the first or second invention.

제3 발명에서는 접속점이 복수 설치되므로 티칭 수단과 접속점 사이의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티칭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In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are provided, the wiring between the teaching means and the connection point can be shortened and the teaching operation becomes easy.

제4 발명은 제1 발명에서 상기 접속 수단의 접속점에 상기 티칭 수단이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인식 수단이 상기 티칭 수단이 접속되었다고 인식한 경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의 반송 제어로부터 상기 티칭 수단에 의한 티칭 처리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invention further comprises recognizing means for recognizing whether the teach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ng means in the first invention, and wherein the control means recognizes that the teaching means is connected, Switching from the conveyance control of the said workpiece conveyance robot to the teaching process by the said teaching means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4 발명에서는 접속 상태에 따라 반송 제어 상태와 티칭 처리 상태를 적정하게 전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티칭할 때의 안전성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In the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 transfer control state and the teaching process state are appropriately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connection state, an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afety at the time of teaching can be securely ensured.

제5 발명은 제3 발명에서 상기 접속 수단의 접속점이 사용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더미 플러그(dummy plug)와, 상기 접속 수단의 접속점에 더미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더미 플러그 인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더미 플러그 인식 수단이 모든 접속점에서 더미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다고 인식된 경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의 반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fth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ummy plug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on means is not used in the third invention, and a dummy plug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dummy plug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on means. And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conveyance of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when the dummy plug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that the dummy plug is connected at all connection points.

제5 발명에서는 모든 더미 플러그가 접속되어 처음으로 공작물 반송 로봇의 반송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티칭 처리 상태와 반송 제어 처리를 확실하게 분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ll dummy plugs are connected to control the conveyance of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for the first time, the teaching processing state and the conveyance control process can be reliably separated to ensure safety.

제6 발명은 제5 발명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더미 플러그 인식 수단이 1 이상의 접속점에 더미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한 경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의 반송 동작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x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fth invention, the control means prohibits the conveying operation of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when the dummy plug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that the dummy plug is not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nection point.

제6 발명에서는 제5 발명과는 반대로 1 이상의 접속점에 더미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반송 동작을 행하지 않게 하고 있으므로, 제5 발명과 마찬가지로 티칭 처리 상태와 반송 제어 처리를 확실하게 분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sixth invention, contrary to the fifth invention, when the dummy plug is not connected to one or more connection points, the convey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Therefore, as in the fifth invention, the teaching processing state and the conveyance control process are reliably separated to ensure safety. It can be secured.

제7 발명은 작업 영역에서 소정의 공작물을 반송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과, 티칭된 내용을 기초로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이 행하는 소정의 공작물 반송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에 의한 소정의 공작물 반송 동작을 티칭하는 복수의 티칭 수단과, 상기 작업 영역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점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티칭 수단을 각각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티칭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티칭 수단에 의한 티칭 처리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venth invention provides a workpiece conveyance robot for convey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in a work are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conveyance performed by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based on the teachings, and a workpiece conveyance separated from the control means. And a plurality of teaching means for teach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conveyance operation by a robot, and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eaching means to the control means, respectively,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provided around the work area, and the control means. I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teaching means to switch to the teaching process by the selected teaching means.

제7 발명에서는 더미 플러그의 분리 대신, 제어 수단에 의해 티칭 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티칭 처리 상태로의 이행 조작이 매우 향상된다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In the seventh aspect of the invention, since the teaching means can be selected by the control means instead of the removal of the dummy plu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ransition operation to the teaching process state is greatly improved.

제8 발명은 작업 영역에서 소정의 공작물을 반송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과, 티칭된 내용을 기초로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이 행하는 소정의 공작물 반송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에 의한 소정의 공작물 반송 동작을 티칭하는 동시에 상기 티칭 수단의 선택을 지시하는 선택 버튼을 가지는 복수의 티칭 수단과, 상기 작업 영역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점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티칭 수단을 각각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티칭 수단의 선택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의 반송 제어로부터 상기 선택 버튼을 가지는 티칭 수단에 의한 티칭 처리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eighth invention provides a workpiece conveyance robot for convey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in a work are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conveyance performed by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based on the teachings, and a workpiece conveyance separated from the control means.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teaching means through a plurality of teaching means having a selection button for teach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conveyance operation by a robot and instructing selection of the teaching means,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provided around the work area, respectively. A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means, wherein the control means switches from the transfer control of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to the teaching process by the teaching means having the selection button when the selection button of the teaching means is selected. .

제8 발명에서는, 더미 플러그의 분리 대신 선택 버튼만을 누르는 조작만으로 티칭 처리 상태로 이행할 수 있으므로, 티칭 처리 상태로 이행할 때의 조작성이 매우 향상된다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can be shifted to the teaching processing state only by pressing only the selection button instead of the removal of the dummy plug. Thus, the operability at the transition to the teaching processing state is greatly improved.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제조 시스템(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반도체 장치 제조 시스템(10)은 클린 룸(1)과 이 클린 룸(1)에 게이트(9a∼9d)를 통하여 접속되는 4개의 처리 가공 장치(2a∼2d)를 가진다. 처리 가공 장치(2a∼2d) 각각은 반도체 웨이퍼 등의 공작물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 가공, 예를 들면 열 처리 등의 처리 가공을 행하는 것으로, 각 처리 가공 장치(2a∼2d)에 의한 처리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공작물에 대하여 일련의 처리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system 10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th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system 10 has a clean room 1 and four processing apparatuses 2a to 2d connected to the clean room 1 through gates 9a to 9d. Each of the processing apparatuses 2a to 2d performs a predetermined processing, for example, heat treatment, on a workpiece such as a semiconductor wafer, and performs processing by each processing apparatus 2a to 2d. As a result, a series of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workpiece.

이 공작물은 처리 가공 장치(2a∼2d)와 마찬가지로 클린 룸(1)에 접속되는 카세트(3) 내에 처리 가공 대상으로서 정연하게 배치되며, 클린 룸(1) 내에서 가동되는 공작물 반송 로봇(R)에 의해 인출된다. 공작물 반송 로봇(R)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로그 레그형 로봇에 의해 실현된다. 프로그 레그형 로봇은 그 이름대로 개구리 다리와 같이 암이 신축되고, 암의 선단에 장착된 엔드 이펙터로서의 핸드(H) 상에 탑재되는 공작물을 반송한다. 암의 신축은 암의 축을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되고, 각 암의 축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핸드(H)를 축 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 이 프로그 레그형 로봇은 클린 룸(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궤도(Ln) 상을 이동함으로써 각 처리 가공 장치(2a∼2d) 및 카세트(3)의 앞면으로 대략 이동할 수 있다.This workpiece is arranged in the cassette 3 connected to the clean room 1 as the processing object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cessing apparatuses 2a to 2d, and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R which operates in the clean room 1 is operated. Is withdrawn.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R is realized by, for example, a program leg robot as shown in FIG. 1. As the name suggests, a frog leg-type robot carries a workpiece, such as a frog leg, whose arm is stretched and mounted on the hand H as an end effector mounted at the tip of the arm. Stretching of the arm is achieved by rotating the axes of the arm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hand H can be rotated around the axis by rotating the axes of each arm in the same direction. Moreover, this program leg type robot can move substantially to the front surface of each processing apparatus 2a-2d and the cassette 3 by moving on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track | orbit Ln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ean room 1. .

공작물 반송 로봇(R)을 제어함으로써 공작물에 대한 소정의 처리 가공을 행하는 경우, 먼저 공작물 반송 로봇(R)은 카세트(3) 내의 미처리 공작물을 인출한다. 이 인출은 카세트를 상하로 또는 핸드(H)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공작물 반송 로봇(R)이 핸드(H) 상에 탑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후, 핸드(H) 상의 공작물은 최초의 처리 가공 장치, 예를 들면 처리 가공 장치(2a)의 앞면으로 반송되고, 게이트(9a)를 통하여 처리 가공 장치(2a) 내로 보내진다. 그리고, 처리 가공 장치(2a)에 의해 처리 가공된 공작물은 다시 공작물 반송 로봇(R)에 의해 인출되고, 다음의 처리 가공 장치, 예를 들면 처리 가공 장치(2b)의 앞면으로 반송되고, 게이트(9b)를 통하여 처리 가공 장치(2b) 내에 보내져 소정의 처리 가공이 실시된다. 이하 동일하게 하여 처리 가공 장치마다의 가공 처리가 순차로 실시되고 일련의 가공 처리가 종료된다. 예를 들면, 최종 처리 가공이 처리 가공 장치(2c)로 행해진 경우, 공작물 반송 로봇(R)은 게이트(9c)를 통하여 처리 가공된 공작물을 인출하여 카세트(3)의 앞면으로 반송하여 다시 카세트(3) 내에 처리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격납한다. 공작물 반송 로봇(R)은 복수의 공작물에 대하여 동시 병행적으로 각 처리 가공 장치(2a∼2d)에 대하여 처리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효과적인 반송 처리를 실행한다.In the case of performing a predetermined processing on the work by controlling the work conveying robot R, the work conveying robot R first takes out the unprocessed work in the cassette 3. This withdrawal is performed by moving the cassette up and down, or by moving the hand H up and down, and mounting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R on the hand H. Thereafter, the workpiece on the hand H is convey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for example, the processing apparatus 2a, and is sent into the processing apparatus 2a through the gate 9a. And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2a is again taken out by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is convey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next processing apparatus, for example, the processing apparatus 2b, and the gate ( It is sent to the processing apparatus 2b via 9b), and predetermined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below, processing for each processing apparatus is sequentially performed, and a series of processing is completed. For example, when the final processing is perform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2c,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pulls out the processed workpiece through the gate 9c, transfers i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sette 3, and then returns the cassette ( 3) The workpiece | work which the processing process completed is stored in it.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performs an effective conveyance process so that a process may be perform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rocessing apparatuses 2a to 2d at the same time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workpieces.

이 공작물 반송 로봇(R)의 반송은 클린 룸(1) 외부에 배치된 로봇 컨트롤러(4)에 의해 제어된다.The conveyance of this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is controlled by the robot controller 4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clean room 1.

한편, 클린 룸(1)의 길이 방향의 측벽(側壁)에는 4개의 접속 플러그(6a∼6d)가 설치된다. 이 접속 플러그(6a∼6d)는 각각 로봇 컨트롤러(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플러그(6a∼6d) 전부에 더미 플러그(7a∼7d)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로봇 컨트롤러(4)는 티칭 상태가 아니라고 인식하여 반송을 제어한다. 또, 로봇 컨트롤러(4)는 접속 플러그(6a∼6d) 중 어느 하나에 티칭 펜던트(TP)를 접속하는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가 접속되고 다른 접속 플러그(6a∼6d) 전부에 더미 플러그(7a∼7d)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티칭 상태라고 인식한다. 이 인식 판단은 로봇 컨트롤러(4)의 접속 인식부(5a)에 의해 이루어진다. 로봇 컨트롤러(4)는 이 접속 인식부(5a)의 인식에 의해 반송 제어 상태와 티칭 처리 상태의 전환을 행한다.On the other hand, four connection plugs 6a-6d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side wall of the clean room 1. These connection plugs 6a-6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bot controller 4, respectively. When the dummy plugs 7a to 7d are connected to all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the robot controller 4 recognizes that it is not a teaching state and controls the conveyance. The robot controller 4 is connected to a teaching pendant connecting plug 8 for connecting the teaching pendant TP to any one of the connecting plugs 6a to 6d, and a dummy plug (all to the other connecting plugs 6a to 6d). When 7a-7d) are connected, it recognizes that it is a teaching state. This recognition determination is made by the connection recognition part 5a of the robot controller 4. The robot controller 4 switches between a conveyance control state and a teaching process state by the recognition of this connection recognition part 5a.

클린 룸(1)은 4개의 개폐 도어(1a∼1d)를 가지며 이 개폐 도어(1a∼1d)를 통과하여 티칭 펜던트(TP)는 클린 룸(1) 내에 딸려 들어간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처리 가공 장치(2b) 근처에서 공작물 반송 로봇(R)에 대하여 티칭하는 경우, 가장 근처에 위치하는 접속 플러그(6b)로부터 더미 플러그(7b)를 분리하고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를 접속 플러그(6b)에 접속하고, 개폐 도어(1b)를 통과하여 티칭 펜던트(TP)를 클린 룸(1) 내에 가지고 들어가 공작물 반송 로봇(R) 근방에서 티칭한다. 티칭 처리부(5b)는 이 티칭 펜던트(TP)로부터 지시된 내용을 격납하는 등의 티칭 처리를 한다.The clean room 1 has four opening / closing doors 1a to 1d and passes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a to 1d to teach the teaching pendant TP into the clean room 1. For example, when teaching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near the processing apparatus 2b in FIG. 1, the dummy plug 7b is isolate |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lug 6b located closest, and a teaching pendant connection plug ( 8)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 6b, the teaching pendant TP is brought into the clean room 1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door 1b, and is taught in the vicinity of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FIG. The teaching processing unit 5b performs a teaching process such as storing contents instructed by the teaching pendant TP.

다음에, 도 2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접속 인식부(5a)의 인식 결과를 기초로 로봇 컨트롤러(4)가 행하는 반송 제어 상태와 티칭 처리 상태의 전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 the switching process of the conveyance control state and the teaching process state which the robot controller 4 performs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connection recognition part 5a is demonstrated.

도 2에서, 먼저 로봇 컨트롤러(4)는 공작물 반송 로봇(R)을 정지 상태로 한다(스텝 100). 그 후, 접속 인식부(5a)의 인식 결과로부터 더미 플러그(7a∼7d) 전부가 접속 플러그(6a∼6d)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2).In FIG. 2, first, the robot controller 4 puts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into a stop state (step 100). Then, it is judged whether all the dummy plugs 7a-7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6a-6d from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connection recognition part 5a (step 102).

더미 플러그(7a∼7d) 전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로봇 컨트롤러(4)는 다시 티칭 펜던트(TP)가 하나의 접속 플러그에 접속되고 다른 접속 플러그 전부에 더미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지 여부를 접속 인식부(5a)의 인식 결과를 기초로 판단한다(스텝 104). 이 스텝 104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102로 이행하여 더미 플러그(7a∼7d) 전부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스텝 104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티칭 처리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106). 이에 따라서, 티칭 펜던트(TP)에 의한 티칭이 가능하게 된다.When all of the dummy plugs 7a to 7d are not connected, the robot controller 4 again connects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TP is connected to one connection plug and whether the dummy plug is not connected to all of the other connection plugs. It judges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recognition part 5a (step 104). If the condition of step 104 is not satisfi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2 to determine whether all of the dummy plugs 7a to 7d are connec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dition of Step 104 is satisfied, the process shifts to the teaching processing state (Step 106). Accordingly, teaching by the teaching pendant TP is possible.

그 후, 로봇 컨트롤러(4)는 티칭 펜던트(TP)의 티칭 종료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08), 티칭 종료 버튼이 눌러진 경우,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하고(스텝 110),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12). 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처음으로 스텝 100으로 이행하여 공작물 반송 로봇(R)은 정지 상태가 되며 전술한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한편, 스텝 108에서 티칭 종료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 티칭 펜던트(TP)가 하나의 접속 플러그에 접속되고 다른 접속 플러그 전부에 더미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20), 이 조건을 만족하는 판단 결과인 경우에는 스텝 108로 이행하고,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판단 결과인 경우에는 스텝 100으로 이행하여 전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티칭 종료 버튼을 누르는 것을 정지 상태로의 이행 조건으로 한 것은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이다. 또, 소정 시간의 경과를 정지 상태로의 이행 조건으로 한 것은 티칭을 행한 사람이 아직 클린 룸(1) 내에 있는 경우가 있어 사람이 클린 룸(1)으로부터 나올 때까지 적어도 소정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고려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2중, 3중 체크에 의해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클린 룸(1)의 공간과 공작물 반송 로봇(R)의 작업 영역의 간극이 적기 때문에, 공작물 반송 로봇(R)의 반송 제어에 의해 클린 룸(1) 내의 사람에게 위해를 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개폐 도어(1a∼1d)의 개폐를 인식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이 개폐 도어가 닫히는 것을 정지 상태로의 이행 조건으로 하여 더욱 추가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robot controller 4 determines whether the teaching end button of the teaching pendant TP is pressed (step 108), and when the teaching end button is pressed, starts the counting of the timer (step 110), and determines the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time has elapsed (step 112).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0 for the first time, and the workpiece transport robot R is stopped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is repeated. On the other hand, if the teaching end button is not pressed in step 10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TP is connected to one connection plug and the dummy plug is connected to all of the other connection plugs (step 120).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s satisfactory,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8.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does not satisfy this condi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0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is repeated. Thus, it is for ensuring safety that pushing the teaching end button is set to the transition condition to a stop state. In addition, setting the elapsed time of the predetermined time to the stop condition is that the person who has taught may still be in the clean room 1, and it takes at least a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person leaves the clean room 1. Because it becomes. Such double and triple checks ensure safety. In particular, since the clearance between the space of the clean room 1 and the work area of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is small,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harm to a person in the clean room 1 by the conveyance control of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FIG. Because. Further,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a to 1d may be provided, and the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may be further added as the transition condition to the stop state.

한편, 스텝 102에서 더미 플러그(7a∼7d) 전부가 접속 플러그(6a∼6d)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다시 로봇 컨트롤러(4) 상의 반송 제어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30). 반송 제어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는 스텝 102로 이행하여 전술한 처리를 반복하고, 반송 제어 버튼이 눌러져 있는 경우는 반송 제어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132). 즉, 로봇 컨트롤러(4)는 티칭된 내용에 따라 공작물 반송 로봇(R)에 공작물을 반송하게 한다. 그 후, 더미 플러그(7a∼7d) 전부가 접속 플러그(6a∼6d)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34), 더미 플러그(7a∼7d) 전부가 접속 플러그(6a∼6d)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만 스텝 100으로 이행하여 공작물 반송 로봇(R)을 정지 상태로 이행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102 that all of the dummy plugs 7a to 7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ransfer control button on the robot controller 4 is pressed again (step 130). . If the conveyance control button is not press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2,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is repeated, and if the conveyance control button is press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conveyance control state (step 132). That is, the robot controller 4 causes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to convey the workpiece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After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all of the dummy plugs 7a to 7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step 134), and all of the dummy plugs 7a to 7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Only when it is judged that it is not done, it transfers to step 100 and makes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transition to a stop state.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접속 플러그(6a∼6d)와 더미 플러그(7a∼7d)의 접속 기구 및 접속 플러그(6a∼6d)와 티칭 펜던트(TP)의 접속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3, the connection mechanism of the connection plug 6a-6d and the dummy plugs 7a-7d, and the connection mechanism of the connection plug 6a-6d and the teaching pendant TP are demonstrated.

도 3 (A)는 접속 플러그(6a)와 더미 플러그(7a)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A)에 도시한 더미 플러그(7a)는 단자(T2)와 단자(Tn)를 단락(短絡) 접속하는 배선을 가진다. 이 더미 플러그(7a)가 접속되면, 접속 인식부(5a)는 단자(T2)와 단자(Tn)의 접속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서 접속 플러그(6a)에는 더미 플러그(7a)가 접속되어 있다고 인식한다.FIG. 3A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nection plug 6a and the dummy plug 7a. The dummy plug 7a shown in FIG. 3A has a wiring for short-circuit connecting the terminal T2 and the terminal Tn. When the dummy plug 7a is connected, the connection recognizing unit 5a recogniz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T2 and the terminal Tn, and thereby recognizes that the dummy plug 7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 6a. .

도 3 (B)는 접속 플러그(6A)와 티칭 펜던트(TP)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B)에 도시한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는 단자(T1)와 단자(Tn)를 적어도 단락 접속하는 배선을 가진다. 이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가 접속되면, 접속 인식부(5a)는 단자(T1)와 단자(Tn)의 접속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서 접속 플러그(6a)에는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 즉 티칭 펜던트(TP)가 접속되어 있다고 인식한다. 이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는 티칭 펜던트(TP)로부터 지시되는 정보를 로봇 컨트롤러(4) 측에 송신하거나 또는 로봇 컨트롤러(4) 측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선도 접속된다.Fig. 3B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nection plug 6A and the teaching pendant TP.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on plug 8 shown in FIG. 3B has a wiring for connecting at leas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terminal T1 and the terminal Tn. When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ng plug 8 is connected, the connection recognizing unit 5a recogniz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T1 and the terminal Tn and accordingly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ng plug 8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ug 6a. Recognize that the teaching pendant TP is connected.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on plug 8 is connected to a diagram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teaching pendant TP to the robot controller 4 side or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robot controller 4 side.

이와 같은 접속 인식을 하기 위한 기구에 대해서는 다양한 형태가 고려된다. 예를 들면 더미 플러그(7a∼7d) 측 또는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 측에 단락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단순히 소정 위치에 핀을 설치하고, 이 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속 플러그(6a∼6d) 측으로 오목부를 형성하며, 이 오목부에 핀을 삽입함에 따른 접속을 인식함으로써도 접속 인식을 할 수 있다. 또는, 접속 인식부(5a)가 접속 인식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접속 플러그(6a∼6d) 측에 접속 검출부를 설치하고 이 검출 결과를 로봇 컨트롤러(4)에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적, 기계적인 접촉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광학적으로 접촉 상태를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Various forms are considered about the mechanism for making such connection recognition. For example, a pin is simpl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providing short-circuit wiring at the dummy plugs 7a to 7d or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on plug 8, and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are positio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ins. A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and connection recognition can also be performed by recognizing a connection by inserting a pin into the concave portion.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recognizing section 5a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detecting section on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instead of the connection recognizing, and the detection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robot controller 4.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contact state optically instead of detecting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tact state.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의하면, 공작물 반송 로봇(R) 근처에서 티칭을 행할 수 있으므로 티칭할 때의 조작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공작물 반송 로봇(R)에 가장 가까운 접속점으로부터 케이블을 끌어당기면 되어 클린 룸(1) 내에 긴 케이블을 질질 끌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피복에 부착된 먼지나 티끌 등을 클린 룸(1) 내에 산란시키지 않아 청정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린 룸(1) 내에서 티칭을 할 때, 반드시 접속 플러그(6a∼6d) 중 어느 하나에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를 접속하는 수동 조작을 강요하여 공작물 반송 로봇(R)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티칭할 때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모든 더미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만 공작물 반송 로봇의 반송 제어를 허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irst embodiment, since the teaching can be performed near the workpiece transport robot R, the operability at the time of teaching can be greatly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cable is pulled from the connection point closest to the workpiece transport robot R, the long cable is not dragged in the clean room 1, so that dust, dust, etc. attached to the sheath of the cable is not scattered in the clean room 1. Therefore, the cleanliness can be properly maintained. When teaching in the clean room 1, the manual operation of connecting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on plug 8 to one of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must be forced to stop the workpiece transport robot R. Since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when teaching. In addition, since the transfer control of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is allowed only when all the dummy plugs are connected, safety can be further improved.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클린 룸(1) 외측에 접속 플러그를 설치하고, 이 접속 플러그 중 어느 하나에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를 접속하도록 하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클린 룸(1) 내부에 접속 플러그를 설치하도록 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nection plug is provided outside the clean room 1, and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on plug 8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plug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nection plug is connected inside the clean room 1; Install the plug.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린 룸(1)의 내부 측에 더미 플러그(7a∼7d) 또는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를 접속하는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예와 같이 접속 플러그(6a∼6d)에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를 접속하는 수동 조작을 강요하지 않고 클린 룸(1) 내에서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를 접속 플러그(6a∼6d)에 접속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안전성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없는 기간이 생긴다. 이로 인하여, 각 개폐 도어(1a∼1d)에 개폐를 인식하는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이 검출 수단과 로봇 컨트롤러(4)를 접속하여 로봇 컨트롤러(4)가 각 개폐 도어(1a∼1d)의 개폐를 인식하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mechanism which connects the dummy plug 7a-7d or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on plug 8 to the inside of the clean room 1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ng plug 8 is connected to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ng plug 8 in the clean room 1 without forcing a manual operation of connecting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ng plug 8 to the connecting plugs 6a to 6d as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it is connected to (6a-6d), the period in which safety cannot be reliably ensured arises. For this reason, the detection means which recognizes opening and closing is provided in each opening / closing door 1a-1d, and this detection means and the robot controller 4 are connected, and the robot controller 4 opens and closes each opening / closing door 1a-1d. Be aware.

이 제2 실시예의 반송 제어 상태와 티칭 처리 상태의 전환 처리에 대하여 도 5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witching process between the conveyance control state and the teaching process state of this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5.

도 5에서, 먼저 로봇 컨트롤러(4)는 공작물 반송 로봇(R)을 정지 상태로 한다(스텝 100). 그 후, 접속 인식부(5a)의 인식 결과로부터 더미 플러그(7a∼7d) 전부가 접속 플러그(6a∼6d)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2).In FIG. 5, first, the robot controller 4 puts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into a stopped state (step 100). Then, it is judged whether all the dummy plugs 7a-7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6a-6d from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connection recognition part 5a (step 102).

더미 플러그(7a∼7d) 전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2의 스텝 104로부터 120까지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하여 티칭 처리 상태로 이행하고, 다시 정지 상태로 이행한다.When all of the dummy plugs 7a to 7d are not connected, the same processing as in the processing from step 104 to 120 in Fig. 2 is performed, the process shifts to the teaching processing state, and the state shifts to the stop state again.

한편, 스텝 102에서 더미 플러그(7a∼7d) 전부가 접속 플러그(6a∼6d)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다시 로봇 컨트롤러(4) 상의 반송 제어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30). 반송 제어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는 스텝 102로 이행하여 전술한 처리를 반복하고, 반송 제어 버튼이 눌려져 있는 경우는 반송 제어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132). 즉, 로봇 컨트롤러(4)는 티칭된 내용에 따라 공작물 반송 로봇(R)에 공작물을 반송하게 한다. 그 후, 개폐 도어(1a∼1d)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개폐 도어가 열렸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33), 열린 경우에는 즉시 스텝 100으로 이행하여 정지 상태로 이행한다. 개폐 도어가 열려 있지 않은 경우는 다시 더미 플러그(7a∼7d) 전부가 접속 플러그(6a∼6d)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34). 이 스텝 134에서, 더미 플러그(7a∼7d) 전부가 접속 플러그(6a∼6d)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만 스텝 100으로 이행하여 공작물 반송 로봇(R)을 정지 상태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102 that all of the dummy plugs 7a to 7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ransfer control button on the robot controller 4 is pressed again (step 130). . If the conveyance control button is not press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2,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is repeated, and if the conveyance control button is press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conveyance control state (step 132). That is, the robot controller 4 causes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to convey the workpiece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t least one open / close door is opened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detection means of the open / close doors 1a to 1d (step 133). do. When the opening / closing door is not open, it is again determined whether all of the dummy plugs 7a to 7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step 134). In step 134, only when it is judged that all of the dummy plugs 7a to 7d are no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the routine advances to step 100 to set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R to a stopped state.

이에 따라서, 제1 실시예와 같이 티칭 펜던트(TP)는 클린 룸(1) 외부로부터 케이블을 도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클린 룸(1)의 청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teaching pendant TP does not need to introduce a cable from the outside of the clean room 1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leanliness of the clean room 1 can be further improved.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모두 티칭 펜던트(TP)와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가 케이블로 접속되지만, 제3 실시예에서는 티칭 펜던트(TP)와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를 무선 접속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teaching pendant TP and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ng plug 8 are connected by cable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teaching pendant TP and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ng plug 8 are wirelessly connected. .

즉, 도 6에서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 및 티칭 펜던트(TP)는 서로 송수신하기 위해서 각각 송수신부(TR1, TR2)를 가지고 있다.That is, in FIG. 6,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on plug 8 and the teaching pendant TP hav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s TR1 and TR2 to transmit and receive each other.

이에 따라서, 클린 룸(1) 내에서 케이블이 뻗어나가게 하지 않고 티칭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송수신부(TR1)를 가지는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를 수동으로 접속 플러그(6a∼6d)에 접속하는 조작을 필요로 하므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teach without causing the cable to extend in the clean room 1, so that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significantly.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manually connecting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on plug hav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TR1 to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is required, safety can be ensur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송수신부(TR1)의 전원은 접속 플러그(6a∼6d)를 통하여 로봇 컨트롤러로부터 공급된다. 또, 송수신부(TR2)의 전원은 휴대용 전지를 내장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of the transceiver TR1 is supplied from the robot controller via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The power supply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R2 can be realized by incorporating a portable battery.

또, 클린 룸(1) 내의 공작물 반송 로봇(R)에 대한 전자기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 주파수대가 중복되지 않게 하거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order to preven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with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R in the clean room 1, it is preferable not to overlap a use frequency band, or to adopt th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티칭 펜던트(TP) 및 이것을 접속하는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를 이 반도체 장치 제조 시스템에 1개 설치하도록 하지만, 이 티칭 펜던트(TP)를 접속 플러그(6a∼6d) 전부에 할당하고 그 개수만큼의 티칭 펜던트(TP)를 각각 접속 플러그(6a∼6d)에 접속한 상태로 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teaching pendant TP and one teaching pendant connecting plug 8 for connecting the same are provided in this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system, but the teaching pendant TP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ugs 6a to 6d. ) And all the teaching pendants TP corresponding to the number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6a to 6d, respectively.

즉, 도 7에서 더미 플러그는 사용하지 않고 이 더미 플러그 대신 모든 접속 플러그(6a∼6d)에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를 접속하여 각 접속 플러그마다 티칭 펜던트(TP)를 설치하도록 한다.That is, in Fig. 7, the dummy pendant is not used and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ng plug 8 is connected to all the connecting plugs 6a to 6d instead of the dummy plug so that the teaching pendant TP is provided for each connecting plug.

이 경우, 제1 또는 제3 실시예와 같은 티칭 펜던트(TP)를 접속하는 수동 조작이 없어지지만, 이 조작 대신 티칭 펜던트(TP) 상의 선택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강요한다. 그리고, 이 선택 버튼을 누르는 수동 조작은 로봇 컨트롤러(4)에 통지되고, 이 통지에 의해 로봇 컨트롤러(4)는 티칭 펜던트 접속 플러그(8)의 접속과 동일하게 접속 인식을 행한다.In this case, the manual operation of connecting the teaching pendant TP as in the first or third embodiment is eliminated, but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selection button on the teaching pendant TP is forced instead of this operation. The manual operation of pressing this selection button is notified to the robot controller 4, and by this notification, the robot controller 4 performs connection recogni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nection of the teaching pendant connection plug 8.

도 8은 도 7의 로봇 컨트롤러(4)에 의한 반송 제어 상태와 티칭 처리 상태의 전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에서, 먼저 로봇 컨트롤러(4)는 선택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200), 이 선택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반송 제어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 버튼이 눌러진 경우, 즉시 공작물 반송 로봇(R)을 정지 상태로 한다(스텝 202). 또한, 공작물 반송 로봇(R)을 티칭 처리 상태로 이행시킨다(스텝 204). 이에 따라서, 티칭 펜던트(TP)에 의한 티칭이 가능하게 된다.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switching between the transfer control state and the teaching process state by the robot controller 4 of FIG. 7. In Fig. 8, the robot controller 4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step 200), and maintains the transport control state until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When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he workpiece transport robot R is immediately stopped (step 202). In addition,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R is shifted to the teaching processing state (step 204). Accordingly, teaching by the teaching pendant TP is possible.

그 후, 로봇 컨트롤러(4)는 티칭 펜던트(TP)의 티칭 종료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206), 티칭 종료 버튼이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는 이 판단 처리를 반복하여 티칭 처리 상태를 계속한다. 한편, 티칭 종료 버튼이 눌러진 경우,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하고(스텝 208),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10). 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처음으로 티칭 처리 상태로부터 반송 제어 상태로 이행하고(스텝 212), 스텝 100으로 이행하여 전술한 처리를 반복한다.Thereafter, the robot controller 4 determines whether the teaching end button of the teaching pendant TP is pressed (step 206). If the teaching end button is not pressed, the robot controller 4 repeats this determination process and continues the teaching processing state. do.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aching end button is pressed, the timer count is started (step 208),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tep 210). In the step after this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process shifts from the teaching processing state to the transport control state for the first time (step 212),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0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이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더미 플러그를 당겨서 빼는 등의 기계적 조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장이 적어지고 선택 버튼을 누르는 조작만으로 티칭 처리 상태로 이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os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an be achieved, and since there is no need to perform mechanical operations such as pulling out the dummy plug, the trouble is reduced and the process can be transferred to the teaching processing state by only pressing the selection button. The oper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그리고, 제4 실시예에서는 티칭 펜던트(TP)의 선택 버튼의 누름을 정지 상태를 통한 티칭 처리 상태로의 이행 조건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로봇 컨트롤러(4) 상에 복수의 티칭 펜던트(TP)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버튼을 설치하고 이 선택 버튼의 누름을 정지 상태를 통한 티칭 처리 상태로의 이행 조건으로 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pressing of the selection button of the teaching pendant TP is set as a transition condition to the teaching processing state through the stop st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teaching pendants are provided on the robot controller 4.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ny one of (TP) and to press the selection button as a transition condition to the teaching processing state through the stop state.

Claims (8)

작업 영역에서 소정의 공작물을 반송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과,A workpiece conveyance robot for convey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in the work area; 티칭된 내용을 기초로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이 행하는 소정의 공작물 반송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conveyance performed by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based on the taught contents;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에 의한 소정의 공작물 반송 동작을 티칭하는 티칭 수단과,Teaching means separated from the control means for teach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conveyance operation by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상기 작업 영역 주위에 설치된 접속점을 통하여 상기 티칭 수단을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teaching means to the control means through a connection point provided around the work area;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의 티칭 시스템.Teaching system of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속점은 상기 작업 영역 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의 티칭 시스템.And the connection point is provided outside the working are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접속점은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의 티칭 시스템.Teaching system of a workpiece transfer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속 수단의 접속점에 상기 티칭 수단이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Further comprising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whether the teaching means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on means,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인식 수단이 상기 티칭 수단이 접속되었다고 인식한 경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의 반송 제어로부터 상기 티칭 수단에 의한 티칭 처리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의 티칭 시스템.And the control means switches from the transfer control of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to the teaching process by the teaching means when the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that the teaching means is connect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접속 수단의 접속점이 사용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더미 플러그(dummy plug)와,A dummy plug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ng means is not used; 상기 접속 수단의 접속점에 더미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더미 플러그 인식 수단Dummy plug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dummy plug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on means 을 추가로 구비하고,Additionally provided,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더미 플러그 인식 수단이 모든 접속점에서 더미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다고 인식된 경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의 반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의 티칭 시스템.And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conveyance of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when the dummy plug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that the dummy plug is connected at all connection point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더미 플러그 인식 수단이 1 이상의 접속점에 더미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한 경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의 반송 동작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의 티칭 시스템.And the control means prohibits the transfer operation of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when the dummy plug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that the dummy plug is not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nection point. 작업 영역에서 소정의 공작물을 반송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과,A workpiece conveyance robot for convey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in the work area; 티칭된 내용을 기초로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이 행하는 소정의 공작물 반송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conveyance performed by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based on the taught contents;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에 의한 소정의 공작물 반송 동작을 티칭하는 복수의 티칭 수단과,A plurality of teaching means separated from the control means for teach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conveyance operation by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상기 작업 영역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점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티칭 수단을 각각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eaching means to the control means, respectively,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provided around the work area; 을 구비하고,And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티칭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티칭 수단에 의한 티칭 처리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의 티칭 시스템.And said control means selects one of said plurality of teaching means and switches to teaching processing by said selected teaching means. 작업 영역에서 소정의 공작물을 반송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과,A workpiece conveyance robot for convey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in the work area; 티칭된 내용을 기초로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이 행하는 소정의 공작물 반송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conveyance performed by the workpiece conveyance robot based on the taught contents;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에 의한 소정의 공작물 반송 동작을 티칭하는 동시에 상기 티칭 수단의 선택을 지시하는 선택 버튼을 가지는 복수의 티칭 수단과,A plurality of teaching means separated from said control means and having a selection button for teach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conveyance operation by said workpiece conveyance robot and for instructing selection of said teaching means; 상기 작업 영역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점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티칭 수단을 각각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eaching means to the control means, respectively,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provided around the work area; 을 구비하고,And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티칭 수단의 선택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공작물 반송 로봇의 반송 제어로부터 상기 선택 버튼을 가지는 티칭 수단에 의한 티칭 처리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반송 로봇의 티칭 시스템.And the control means switches from the transfer control of the workpiece transfer robot to the teaching process by the teaching means having the selection button when the selection button of the teaching means is selected.
KR1020007014169A 1998-07-08 1999-07-07 System for teaching robot for work transfer KR2001005283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93044A JP2000024971A (en) 1998-07-08 1998-07-08 Teaching system of work carrying robot
JP98-193044 1998-07-08
PCT/JP1999/003663 WO2000002714A1 (en) 1998-07-08 1999-07-07 System for teaching robot for work transf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839A true KR20010052839A (en) 2001-06-25

Family

ID=1630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169A KR20010052839A (en) 1998-07-08 1999-07-07 System for teaching robot for work transf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024971A (en)
KR (1) KR20010052839A (en)
TW (1) TW425500B (en)
WO (1) WO200000271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5952B2 (en) * 2003-10-20 2008-05-14 株式会社安川電機 Robot system
JP5131186B2 (en) * 2006-02-14 2013-01-30 株式会社安川電機 Robot system
US8887367B2 (en) * 2011-07-12 2014-11-18 The Boeing Company Cell including clean and dirty sections for fabricating composite parts
JP6853675B2 (en) * 2017-01-20 2021-03-3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Robot system and robot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8607A (en) * 1984-03-22 1985-10-08 Amada Co Ltd Robot operation device
JP2669925B2 (en) * 1990-05-17 1997-10-2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Numerical control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panels
JP2884912B2 (en) * 1992-05-19 1999-04-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Robot controller
JP2796048B2 (en) * 1993-11-11 1998-09-10 三菱電機株式会社 Robot control device and its teaching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25500B (en) 2001-03-11
WO2000002714A1 (en) 2000-01-20
JP2000024971A (en)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7937B2 (en) Method of operating remote operated circuit breaker panel
WO2002078913A1 (en) An industrial robot
EP0857548A1 (en) Safety device for robot
KR20010052839A (en) System for teaching robot for work transfer
EP0400967B1 (en) Connector for electric part
EP1514650A1 (en) Robot system and controller
JP2011093062A (en) Hand guid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101166B2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CN107708942A (en) Electrical equipment erecting device and method
EP3909726A1 (en) Control device, workpiece working apparatus, workpiece work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14939866B (en) Robot monitoring device and robot system
CN111844016B (en) Control method of robot system and robot system
TWI819401B (en) Control device for industrial robot
JPH05119801A (en) Controller provided with handy operating box
US20220305644A1 (en) Teaching system
CN211182651U (en) Mechanical and electrical interlocking device
JP2611773B2 (en) Transfer equipment
JPH0613278A (en) Operation control equipment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KR19980020173A (en) Object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of automatic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device
KR100561306B1 (en) 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smif pod door
US2008005796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116648331A (en) robot
JPH0657584U (en) Robot gripping mechanism operation confirmation circuit
JP3109127U (en) Auxiliary operation device
JPH04157748A (en) Panel device for operation and monitoring at semiconductor trea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