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829A - 천공된 발광성 일방 투명 필름 - Google Patents

천공된 발광성 일방 투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829A
KR20010052829A KR1020007014155A KR20007014155A KR20010052829A KR 20010052829 A KR20010052829 A KR 20010052829A KR 1020007014155 A KR1020007014155 A KR 1020007014155A KR 20007014155 A KR20007014155 A KR 20007014155A KR 20010052829 A KR20010052829 A KR 20010052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image
perforated
lay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머피데이비드제이
아시토폴엘
불샐리제이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20010052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82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44F1/10Changing, amusing, or secret pi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7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 투명성을 제공하도록 제조될 수 있는 천공된 발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광 필름은 전기 발광성이거나 광발광성일 수 있으며, 투명한 표면(예, 창문)의 제1면 또는 제2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 필름은 그 필름의 한 면에만 나타나는 상 그래픽에 추가의 관측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필름은, 상을 보유하는 면이 창문에 대해 직접 부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Description

천공된 발광성 일방 투명 필름{LUMINESCENT PERFORATED ONE WAY VISION FILM}
광고 산업 뿐 아니라 많은 다른 산업 분야에서는 다양한 각종 표면 상에 그래픽 상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원하고 있다. 최근 상당한 관심을 끄는 한 유형의 표면은 창이나, 다른 투명 또는 불투명 표면이다. 그러한 표면에 상 그래픽을 도포하는 경우, 창의 한면에서 보면 상을 볼 수 있는 한편, 창의 나머지 면에서 보면 창과 상이 실질적으로 투명하게 존재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을 버스 또는 택시 등의 차량의 창문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승객은 그 창문을 통해 선명하게 밖을 볼 수 있는 한편, 차량 밖의 행인들은 상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상 그래픽 산업 분야에서는 필름을 통한 "일방 투명(one way vision)"으로 규명하고 있으며, 단방향 관측이 가능한 필름을 본 명세서에서는 "일방 투명 필름"이라 칭한다. 일방 투명 필름은 통상 한 표면 상에 상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필름과, 그 이면에 도포된 진한색(통상 검정색) 필름 또는 잉크를 가진 다층 구조체이다. 감압성 접착제와 제거 가능한 배킹 또는 캐리어 물질로 구성된 적층체를 상기 필름 중 하나의 노출된 표면에 도포하면, 인쇄된 그래픽을 조작하여 창문에 도포할 수 있다. 물론, 창문에 도포하기 전에, 백킹 물질을 제거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노출시켜야 한다.
상기 필름을 통한 투명성은 상기 필름을 관통하는 많은 천공을 제공하여 달성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천공의 크기 및 간격은, 상형성 면에서 관측했을 때 관측자가 상에 집중하게 되는 한편, 진한색 면에서 관측하면 관측자가 필름을 투지하도록 정한다.
필름의 일방 투명 효과는, 주위 빛이 밝은 영역에서 보다 어두운 영역을 관측했을 때 창문이 어둡거나 또는 불투명하게 보이고, 주위 빛이 어두운 영역에서 보다 밝은 영역을 관측했을 때 창문이 투명하게 보이는 창문의 공지된 특성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다. 이 효과에 의하면, 완전 제어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어두운 영역, 예를 들어 차량 및 빌딩 내에서 관측자가 단방향 필름을 투시할 수 있는 한편, 주위 빛이 밝은 실외에 있는 사람들은 일방 투명 필름에 인쇄되어 있는 그래픽을 보게 된다.
일방 투명 필름은, 창문이 2 영역, 예를 들어 실내와 실외 사이, 또는 상업 시설(예, 책상에 앉아있는 사무원이 로비를 볼 수 있는 은행)의 2개 방 사이의 차단체로 작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창문의 어느 한쪽 면에 도포할 수 있다. 사람이 이미지 그래픽을 관측할 때 보는 면과 동일한 면에 도포하는 것은 "제1면" 도포인 한편, 사람이 상 그래픽을 관측할 때 보는 면에 대향하는 창문면에 도포하는 것은 "제2면" 도포이다.
일방 투명 필름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은 통상 창문에 원하는 도포 지점의 제공을 도모하기 위해, 제1면 구조체와 제2면 구조체를 모두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면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제2면에 상 그래픽 구조물을 도포하고자 할 것이다. 다른 경우, 버스의 창문을 비롯한 외부를 장식하는 경우와 같이 제2면에 상 그래픽 구조물을 도포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운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최근 일방 투명 효과 및 그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필름의 용도를 기재하는 여러 특허가 허여되었다, 이들 특허들로는 미국 특허 제4,673,609호(힐), 미국 특허 제5,525,177호(로스), 미국 특허 제5,609,938호(쉴즈), 미국 특허 제5,550,346호(안드리아쉬 등) 및 제5,679,435호(안드리아쉬)가 있다. 이들 특허 중 '435호 특허는, 점원 광이 야간에 상형성 면 상을 비췄을때 우수한 반사 상을 형성하기 위한 역반사 물질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창문 등의 투명한 표면 상에 부착시키는 경우, 한면을 통해 보면 상을 볼 수 있고, 다른 면을 통해 보면 창을 통해 경관을 볼 수 있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필름을 가지는 일방 투명 필름의 제1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필름을 가지는 일방 투명 필름의 제2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방 투명 필름의 제2면의 또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제시한 제2 실시 형태의 제2 단면도이다.
발명의 실시 형태
도 1은 일방 투명 필름의 제1면(20)이 부착되어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기재(10)를 도시한 것이다. 화살표 A 방향으로 필름(20)을 관측하는 사람은 상을 보게 되는 한편, 화살표 B 방향으로 필름(20)을 관측하는 사람은 그 상을 보지 못하게 된다.
필름(20)은 하나의 주표면 상에 감압성 접착제를 가지는 발광 필름(22)과, 상기 발광 필름(22)의 대향하는 주표면 상에 존재하는 상 그래픽(26)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투명한 보호층(28)이 상 그래픽(26)을 덮을 수도 있으며, 이것이 바람직하다.
필름(22), 접착제(24) 및 상 그래픽(26)을 관통하는 천공(30)은 사람이 화살표 A와 B 방향으로 모두 관측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일방 투명 필름을 버스 등의 창문 외부에 부착시키는 경우, 상 그래픽(26)의 외관, 또는 필름(22), 접착제(24)와 상 그래픽(26)의 합성체의 구조적 보전성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층(28)에는 천공을 형성시키지 않는다.
필름(22)은 통상 캘리퍼가 약 0.02 mm 내지 약 0.50 mm이며, 약 0.08 mm 내지 약 0.33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발광 필름(22)으로 사용하기에는, 상을 수용할 수 있는 광발광 주표면을 가지는 필름 또는 테이프면 어떤 것이라도 적당하다. 그러한 필름 또는 테이프의 예로는 3엠(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 제품인 3M Scotchcal(상표명) 발광 필름 시리즈 5700가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리즈 5900 필름은 내약품성 및 내오성이 우수한 접착제 지지된 필름으로, 담황색빛의 녹색이면서 환경 친화적인 광발광 주표면을 갖는다. 일방 투명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형성 면에 대향하는 면을 관측하는 사람이 착란없이 천공(30)을 투시할 수 있도록 발광 필름(22)의 대향하는 주표면이 검정색이거나 또는 매우 진한 색상이어야 한다. 시판 필름이 검정색 또는 매우 진한 색 표면을 갖지 않은 경우, 그 표면에 접착제를 부착시키기 전에 표면이 검정색 또는 매우 진한 색이 되도록 필름의 제조 과정을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필름(22)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상을 수용할 수 있는 전기 발광성 주표면을 가지는 필름 또는 테이프면 어떤 것도 적당하다. 그러한 필름 또는 테이프의 예로는 듀렐 코포레이션(미국 아리조나주 챈들러 소재) 제품인 듀렐 일렉트로루미네슨트 램프 시스템스가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램프는 효율적이고 내구성을 가진 양질의 냉각성 광원을 제공한다. 이들은 혹독한 환경을 견디며, 특정 휘도 및 색상에 맞게 제조할 수 있다. 이들은 상그래픽 산업에 적합한 전력 공급원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접착제(24)로는 상 그래픽 산업에 적합하고 기재(10) 및 발광 필름(22)에 순응하는 감압성 접착제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24)는 캘리퍼 범위가 약 0.02 mm 내지 약 0.04 mm일 수 있고, 약 0.025 mm 내지 약 0.03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성 접착제의 예로는 기재(10)와 필름 모두에 접착하는 임의의 통상 감압성 접착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감압성 접착제는 통상 사타스의 문헌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2nd Ed. (Van Nostrand Reinhold 1989)]에 기재되어 있다. 감압성 접착제는 여러 공급원에서 시판되고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3엠(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에서 시판하는 아크릴레이트 감압성 접착제이며, 이것은 미국 특허 제5,141,790호, 제4,605,592호, 제5,045,386호 및 제5,229,207호와, 유럽 특허 공보 제EP 0 570 515 B1(스틸만 등)에 기재되어 있다.
사용 전에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릴리이즈 라이너는 공지되어 있으며, 여러 공급원에서 시판되고 있다. 릴리이즈 라이너의 예로는 미국 특허 제3,957,724호, 제4,567,073호, 제4,313,988호, 제3,997,702호, 제4,614,667호, 제5,202,190호 및 제5,290,615호에 정의된 것과 같은 실리콘 코팅된 크라프트지, 실리콘 코팅된 폴리에틸렌 코팅지, 실리콘 코팅된 또는 비코팅된 중합체 물질(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뿐 아니라, 중합체 박리제(예, 실리콘 우레아, 우레탄 및 장쇄 알킬 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된 전술한 베이스 물질과, 렉삼 릴리이즈(미국 일리노이주 오크브룩 소재)에서 시판하는 Polyslik(상표명) 라이너 및 P.H. 글래트펠터 컴패니(미국 펜실베니아주 스프링 그로브 소재)에서 시판하는 EXHERE(상표명) 라이너가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 그래픽(26)은 발광 필름(22)에 부착된 필름 또는 필름(22) 상에 인쇄된 착색제일 수 있다. 하부에 존재하는 발광 필름(22)이 나타날 수 있도록, 상 그래픽이 필름(22)의 전면을 덮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필름(22) 표면적의 약 10% 내지 약 90%,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50%만이 상 그래픽 필름(26)에 의해 덮이면 된다. 상 그래픽을 제조하는 데 유용한 필름의 예로는 거버 사이언티픽 프로덕츠(미국 코네티컷주 맨체스터 소재)에서 시판하는 것과 같은 전자 커팅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3엠 그래픽 마킹 필름 시리즈 220 및 230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으로 구체화하는 경우, 상 그래픽(26)은 캘리퍼가 약 0.04 mm 내지 약 0.08 mm일 수 있고, 약 0.05 mm 내지 약 0.07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 그래픽(26)은, 스크린 인쇄 기술 또는 디지탈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발광 필름(22)으로 전달되는 착색제 또는 착색제들의 조합물(염료 또는 안료, 또는 이들 모두)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 인쇄 또는 디지탈 인쇄 기술은 필름(22) 전체를 덮을 필요는 없다. 상 그래픽(26)의 반색조 패턴은 필름(22)의 발광 효과가 나타날 수 있기에 충분한 정도로 하도 필름(22)을 드러낸다.
스크린 인쇄는 적당한 상을 제한된 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다.
디지탈 인쇄 기술의 예로는 전자 그래픽(정전 및 전자 사진) 인쇄 기술, 잉크젯 인쇄 기술, 열전사 인쇄 기술 등이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 그래픽의 재현 회수 및 크기에 따라, 정전 인쇄 기술 또는 잉크젯 인쇄 기술을 바람직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들 기술은 모두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천공(30)은 상 그래픽(26)을 발광 필름(22) 상에 배치하기 전 또는 후에 일방 투명 필름(20)에 형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광 필름(22), 접착제(24) 및 릴리이즈 라이너(도 1에 도시하지 않음)의 조합체를 천공할 수 있으며, 미국 특허 제4,673,609호(힐), 미국 특허 제5,525,177호(로스), 미국 특허 제5,609,938호(쉴즈) 또는 PCT/US98/05405(머피 등) 및 PCT/US97/16746(쿠이켄달 등)에 기재된 기술에 따라 상 그래픽을 도포하는 인쇄업자에게 상기 반완성 제품을 판매할 수 있다.
발광 필름(22)과 접착제(24)(라이너는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의 반완성 조합체의 천공은 서던 프레스티지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스테이츠빌 소재) 등의 판매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일방 투명 산업 분야에서는 천공이 다이 절단 기술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추정하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미국 특허 제5,550,346호(안드리아쉬 등)의 교시 내용을 이용하여 레이저 절단된 천공의 반완성된 조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발광 필름(22) 및 접착제(24)의 표면적 중 천공되는 비율은 약 40% 내지 약 60%일 수 있으며, 약 45% 내지 약 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된 표면적의 비율은 일방 투명 필름(20)의 상형성 면에 대향하는 면에서 관측하는 정도 및 상형성 면이 천공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기를 원하는 정도의 중요성에 따라 좌우된다.
천공된 필름(22)과 접착제(24)의 반완성된 조합체로서 제공하는 경우, 스크린 인쇄 또는 디지탈 인쇄 분야의 당업자들은 천공(30)이 막히거나 또는 천공(30) 내 착색제가 조금이라도 보여 도 1의 화살표 B 방향으로 관측하는 사람을 교란시키지 않도록 발광 필름(22)에 상 그래픽(26)을 배치할 수 있다. 당업자가 실시하는 데 유용한 공보로는 천공형 물질의 정전 인쇄와 관련된 미국 특허 제5,525,177호(로스) 및 천공된 물질의 도색과 관련된 PCT 공보 WO 95/23034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당업자들은 완성된 조합체로서 일방 투명 필름(20)을 천공하기 전에, 발광 필름(22) 상에 상 그래픽(26)을 배치할 수 있다. 적당한 천공 장치의 유용성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방법의 제한 인자이다.
일방 투명 필름(20)의 보호는 보호층(28)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보호층은 그 내구성, 투명성과, 상 그래픽(26) 및 발광 필름(22)에 대한 접착력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보호층의 예로는 액상 도포된 "투명체" 또는 오버라미네이트 필름이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용 투명체의 예로는 3엠에서 시판하는 모델 8900 시리즈 Scotchcal(상표명) 보호용 오버라미네이트 물질이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용 오버라미네이트의 예로는 미국 특허 제5,681,660호(불 등) 및 PCT US96/07079(불 등)에 개시된 물질과, 3엠에서 Scotchprint(상표명)8628 및 3645 오버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시판하는 물질이 있다. 보호층(28)은 캘리퍼가 약 0.01 mm 내지 약 0.16 mm이고, 약 0.01 mm 내지 약 0.0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화살표 A 방향에서 관측한 상 그래픽(26)을 개질시키기 위해서는 필름(22)의 발광 효과를 제공하는 바람직하나, 화살표 B 방향으로 관측하는 사람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필름(22)의 발광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필름(22) 이면에 또다른 필름, 페인트 등의 차폐 물질이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일한 발광 효과(외관 상 반대)가 발생하게 된다. 다른 발광 효과는, 필름(22)을 다른 발광 효과를 가진 제2 필름과 부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화살표 B 방향으로 관측하는 사람이 그 방향의 어두움으로 인해 어떤 것도 볼 수 없는 경우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화살표 A 방향으로의 발광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방 투명 필름의 하나의 통상의 상업적 용도는 승객이 주간에 창밖을 볼 수 있는 버스에서의 용도이다. 제2 필름이 전기 발광성인 경우, 그 발광 효과는, 자동차가 야간에 이동하고 버스 밖에 볼거리가 전혀 없는 경우 승객의 교육, 오락 또는 편안함을 위해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면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일방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층 순서의 변경은 기재(10) 상의 일방 투명 필름(20)과 기재(40) 상의 일방 투명 필름(50) 간의 주요 차이이다. 필름(50)은 접착제(54)와 상 그래픽(56) 모두로부터 화살표 C 방향에서 관측한 면 상에 발광 필름(52)을 포함한다. 접착제(54)는 기재에 필름(50)을 접착시키며, 상 그래픽(56)을 봉합하여 상 그래픽(56)을 위한 어떠한 보호층의 필요성도 제거시킨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발광 필름(52)의 대향면 상에 비천공된 보호 필름(48)을 제공할 수도 있다. 천공(60)은, 천공(30)이 필름(20)에 존재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필름(50)에 존재한다. 필름(20) 내 부재(22,24,26,28,30)의 다른 모든 특징은 각각 필름(50) 내 부재(52,54,56,58,60)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제2면 실시 형태는 부재(52,54,56)와 임의로 부재(58) 대신, 접착제(54)를 도포하기 전에 발광 필름(52) 상에 상 그래픽(56)을 보다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2부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방 투명 필름의 대안적 실시 형태의 단면도는 결상 단계 및 적층 단계 이전을 도시한 것이다. 필름(50)은 결상 가능한 발광 부재(72)와 부착 부재(74)를 포함한다. 결상 가능한 부재(72)는 결상 가능한 발광성의 불투명 필름층(76)과 불투명 흡광층(82)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구조물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불투명이란 가시광선이 투과할 수 없는 것, 즉 투명한 것도 아니고 반투명한 것도 아닌 것을 의미한다. 불투명 필름은 진한색 또는 연한색일 수 있으며, 처리를 통해 상기 필름에 표면 특성을 창출하면 상 층에 임의의 원하는 외관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상 가능한 발광 필름층(76)은 이 층(76) 상에 형성된 상 층에 반투명 "홀로그래픽" 패턴을 전사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패턴화된 층(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홀로그래픽" 패턴은 장식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또는 제품 확인 또는 보안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결상 가능한 발광성 필름층(76)에 선택되는 중합체 필름은 의도한 용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비닐 필름 및 폴리올레핀 필름이 바람직하다, 폴리(염화비닐)(PVC)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은 그 노출된 표면이 임의의 보호용 종이 라이너(도 1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피복될 수 있다. 결상 가능한 발광성 필름층(76)의 두께는 의도한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층(76)의 두께는 통상 약 0.1 밀 내지 약 0.5 밀(0.0003 cm 내지 0.0013 cm)이다. 결상 가능한 발광 필름층(76)은 제1 주표면(78)과 제2 주표면(80)을 갖는다. 결상 가능한 발광 필름층(76)의 제1 주표면(78)은 2개 이상의 색상,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색상을 가진 상을 상부에 인쇄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당업게에 공지된 바와 같이, 표면(78)은 각 잉크, 염료 또는 토너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성시킬 수 있거나 또는 추가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78)은 그 상부에 인쇄된 상이 관찰자에게 보다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통상 연한색, 바람직하게는 백색을 갖는다. 상기 표면(78)은 의도한 용도에 따라 빛나는 마무리감 또는 매트한 마무리감을 갖도록 변성시킬 수 있다.
결상 가능한 발광 필름층(76)의 제2 주표면(80)에는 불투명한 흡광성 필름층(82)이 인접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흡광이란 가시 광선을 반사하지 않는 물질을 말하는 것이다. 통상, 흡광성 필름층(82)은 진한 색상으로, 검정색이 바람직하다. 흡광층(82)에 선택된 중합체 필름은 의도한 용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비닐 필름 및 폴리올레핀 필름이 바람직하다. 폴리(염화비닐)(PVC)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은 그 노출된 표면이 제거 가능한 보호용 종이 라이너(도 1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피복될 수 있다. 흡광성 필름층(82)의 두께는 의도한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층(82)의 두께는 약 1.0 밀 내지 약 5.0 밀(0.0025 cm 내지 0.013 cm)이다. 흡광성 필름층의 표면 역시 임의의 원하는 마무리감을 제공하도록 변성시킬 수 있으며, 대부분의 제2면 창 용도에는 매트한 마무리감이 바람직하다. 흡광성 필름층(82)을 사용하면 최종 사용자는 특정 용도에 맞게 흡광층(82)의 마무리감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러한 조절은 종래의 인쇄된 검정색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능하지 않다. 흡광층(82)은 대개 본 발명의 그래픽 물품을 제2면 창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관측자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전술한 사항은 중요하다.
결상 가능한 발광성 필름층(76)과 흡광 필름층(82)은 임의의 통상적 기술에 의해 서로 접착시킬 수 있으며, 대개 공동 압출된 중합체 필름이다.
단방향 특성을 가진 본 발명의 그래픽 물품을 제공하기 위해, 결상 가능한 불투명한 발광 필름층(76)과 흡광층(78)을 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천공이라는 용어는, 다수의 구멍을 갖도록 물질을 펀칭하는 것을 칭하는 것이다. 각 구멍의 직경은 원하는 관측 거리에 부합시키는 데 필요한 밀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면 창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구멍의 크기 및 간격은 창문 밖에 있는 관측자가 결상 가능한 발광층 상에 인쇄된 상을 관측할 수 있도록 정하는 한편, 창문 내의 관측자는 그래픽 물품을 통해 실질적으로 차단받는 일 없이 볼 수 있도록 정해야 한다. 상기 구멍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일 수 있으며,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반복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멍은 원형이고, 직경이 0.02 밀 내지 약 0.08 밀(0.0005 mm 내지 0.002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부분의 제2면 창 용도에는 직경이 0.060 밀(0.001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범위 내에서, 결상 가능한 발광 필름층(76)과 흡광층(82)의 약 10∼70%는 연속 공간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구멍은 다이 커팅, 펀칭 또는 레이저를 사용하는 등의 임의의 통상적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임의의 천공된 결상 가능한 제2 필름층(84)은, 특정 용도에 있어 제2상의 인쇄가 요구되는 경우 흡광성 필름층(82)에 부착시킬 수 있다. 결상 가능한 제2 필름층(84)은 결상 가능한 필름층(76)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으나, 결상 가능한 제2 필름층(84)은 대개 백색 또는 연한색의 중합체 필름이다.
또한, 흡광성 필름층(82)에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임의의 보호 필름층(도 1에 도시하지 않음)을 부착시켜, 먼지, 오염물 및 세정 용매가 완성된 그래픽 물품 내로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물품의 제2 부재는 부착 부재(74)이다. 부착 부재(74)는 실질적으로 투명하고 비천공된 스크림층(9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질적으로 투명한이란, 부착 부재(74)를 결상 가능한 발광 부재(72)에 적층시켜 완성된 그래픽 물품을 형성시키는 경우, 스크림층(90)의 존재가 상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결상 가능한 발광성 필름층(76)의 제1 주표면(78) 상에 도포된 상을 스크림층(78)을 통해 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스크림층(90)은 연속적인 중합체 필름이면 어떤 것도 될 수 있다. 대부분의 제2면 창 용도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예를 들어 3엠 컴패니(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에서 상표명 Scotchpak으로 시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림층(90)의 제1 주표면(90)에는 감압성 접착제층(96)을 도포한다. 감압성 접착제층(96)은 완성된 그래픽 물품을 실질적으로 투명한 기재에 부착시키는 데 사용하며, 부착 부재(74)가 결상 가능한 발광 부재(72)에 적층되는 경우 결상 가능한 발광성 필름층(76)의 상이 불명료하지 않도록 실질적으로 투명한 것이라면 어떠한 공지된 감압성 접착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감압성 접착제층(96)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접착제는 선택된 기재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제거 가능한"이란, 본 발명의 그래픽 물품은 기재 상에 실질적인 접착제 잔류물을 남기는 일이 없이 기재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및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는 접착제층(96)을 형성하는 데 양호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감압성 접착제층(96)은 선택적 릴리이즈 라이너(98)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유용한 라이너로는 실리콘 코팅지 또는 중합체 필름이 있다.
스크림층(90)의 제2 주표면(94)은 그 상부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열활성화된("핫멜트") 접착제 층(100)이 도포된다. 층(100)에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열활성화된 접착제층이면 어떤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에틸렌 비닐 알콜(EVA) 및 에틸렌 아크릴산(EAA) 접착제는 제2면 창 용도에 양호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열활성화된 접착제층(100)은 선택적 릴리이즈 라이너(102)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유용한 라이너로는 실리콘 코팅지 또는 중합체 필름이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최종 사용자는 먼저 결상 가능한 발광 부재(72)에 상을 형성시켜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상 가능한 발광 필름층(76)의 제1 주표면(76) 상에 불연속상 층(110)이 형성된다. 결상 가능한 발광성 필름층(76)에는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기 때문에, 상 층(11)은 구멍에는 형성되지 않고, 그 구멍을 둘러싼 영역에만 형성된다. 본 발명의 그래픽 물품을 가까이 관측하는 경우, 그 구멍은 뚜렷하며, 상은 불연속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그래픽 물품으로부터 일반 관측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인간의 눈은 불연속 상을 연속 상으로 이행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며, 따라서 구멍이 보이지 않게 된다.
상 층(110)은 하나 이상의 컬러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어떤 것도 정보용 또는 장식용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해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구체적 용도에 사용되는 컬러층의 특이적 개수는 그래픽 물품의 원하는 시각적 충격, 인쇄 비용 등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그러나, 유의적인 광고 충격을 가진 상 층을 제공하는 데에는 수 개의 컬러층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다색 상 층은 통상 디지탈 방식으로 형성되며, 대형 포맷 프린터를 1회 통과하는 방식으로 도포되어 사진과 유사한 실체를 가진 상을 제공한다. 상 층(84)을 구성하는 컬러층은,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 전자그래픽(정전 및 전자 사진) 인쇄, 오프셋 인쇄, 열 인쇄 젯 인쇄 또는 열 매스 전사를 비롯하여, 중합체 필름 상에 상을 형성시키는 임의의 공지된 인쇄법 또는 도색법을 통해 도포할 수 있다. 비닐 기재층에 바람직한 인쇄법은 3엠(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폴 소재)에서 상표명 "Scotchprint" 및 "Scotchprint 2000"으로 시판하는 정전 인쇄법이다. 상 층(110)을 형성하기 위한 상형성 단계 후, 선택적 투명 보호층(112)을 흡광층(72)에 적층시켜, 오염물 및 세정 용매가 결상 가능한 발광 부재 내 천공 내로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제시된 것 대신,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면 상의 필름(52)에 도포된 발광 잉크 또는 토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2면 실시 형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름(52) 상에 접착제(54)를 도포하기 전에 상(56)을 배치하여 본 발명의 제2면 실시 형태를 제조할 수도 있다.
디지탈 방식의 상 형성: 정전식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디지탈 방식의 상 형성을 위한 정전 전사 시에는, 전기 디지탈 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컴퓨터를 사용하고, 전사 매질 상에서 전기 디지탈 상을 다색조의 상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정전 프린터를 사용하며, 상기 다색조의 상을 내구성 기재로 전사시키기 위해 라미네이터를 사용한다.
정전 인쇄계의 예로는 3엠 제품인 Scotchprint(상표명) 일렉트로닉 그래픽스 시스템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시스템에서는 퍼스날 컴퓨터 및 전기적으로 저장되고 조작되는 상을 사용한다. 정전 프린터의 예로는 일회 통과프린터[니뽄 스틸 코포레이션(일본 도쿄 소재) 제품인 모델 9510 및 9512, 그리고 3엠 제품인 Scotchprint(상표명) 2000 정전 프린터], 및 다회 통과 프린터[제록스 코포레이션(미국 뉴욕주 로체스터 소재) 제품인 모델 8900 시리즈 프린터) 및 래스터 그래픽스(미국 캘리포니아주 산 호세 소재) 제품인 모델 5400 시리즈]가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정전 토너의 예로는 모델 8700 시리즈 토너(3엠 제품)가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사 매질의 예로는 3엠 제품인 모델 8600 매질(예, 8601, 8603 및 8605)이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탈 정전 상의 전사를 위한 라미네이터의 예로는 GBC 프로텍(미국 위스콘신주 디포레스트 소재)에서 시판하는 Orca III 라미네이터가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탈 방식의 상 형성: 잉크젯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열 잉크젯 하드웨어는 여러 다국적 기업에서 시판된다. 그 예로는 휴렛 패커드 코포레이션(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 알토 소재), 인캐드 코포레이션(미국 캘리포니아주 샌 디에고 소재), 제록스 코포레이션(미국 뉴욕주 로체스터 소재), 레이져매스터 코포레이션(미국 미네소타주 에덴 프래리 소재), 및 미마키 엔지니어링 컴패니, 리미티드(일본 도쿄 소재)가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린터 제조업자가 소비자를 위해 그들의 제품을 꾸준히 개선시키면서, 여러 다양한 프린터가 급속히 변하고 있다. 프린터는 요구되는 완성된 그래픽의 크기에 따라 데스크탑 사이즈 및 와이드 포맷 사이즈로 모두 제조된다.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업용 열 잉크젯 프린터의 예로는 인캐드 제품의 NovaJet Pro 프린터와 휴렛 패커드 제품의 650C 및 750C 프린터가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스크탑 열 잉크젯 프린터의 예로는 휴렛 패커드 제품의 DestJet 프린터가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피에조 잉크젯 프린터의 제조업체의 예로는 래스터 그래픽스 인코포레이티드, 거버 사이언티픽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제록스 코포레이션 및 세이코 엡손 코포레이션이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3엠은, 인터넷, ClipArt 또는 디지탈 카메라 제공원에서 제공된 디지탈 상을 신호로 전환시켜, 열 잉크젯 프린터가 그러한 상을 인쇄하도록 하는 데 유용한 그래픽 메이커 잉크 젯 소프트웨어를 판매한다.
잉크젯 잉크 역시 여러 다국적 기업, 특히 시리즈 8551, 8552, 8553 및 8554 착색된 잉크 젯 잉크를 시판하는 3엠에서 시판하고 있다. 4개의 주요 색상, 시안, 마젠타, 황색 및 흑색을 사용하면 256가지 색상 또는 그 이상을 디지탈 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점에 비추어 볼때, 투명 또는 반투명 기재의 제1면 또는 제2면에 도포되는 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다른 채광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일방 투명 필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는 발광 표면을 가지는 일방 투명 필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는 광발광성 일방 투명 필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는 전기 발광성 일방 투명 필름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 자체가 관측자가 그 상을 볼 수 있기에 충분한 광을 제공하는 경우, 관측자에게 상이 표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소정 기간 동안 상 그래픽은 자체 발광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점은, 상 그래픽 상의 주요 채광이 외부 광원에서 자체 발광으로 바뀌는 경우 유사한 상 또는 다른 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a) 2개의 대향하는 주표면을 가진 발광 필름, (b) 하나의 대향하는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감압성 접착제, 및 (c) 나머지 대향하는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상 그래픽을 포함하는 천공형 창문 필름 합성체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상 그래픽은 감압성 접착제와, 상 그래픽(즉, 제1면 도포부)을 관측하는 사람 사이에 존재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필름 합성체가 임의의 노출된 감압성 접착제를 보호하는 릴리이즈 라이너와 임의의 노출된 상 그래픽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a) 하나의 주표면을 가진 발광 필름, (b) 상기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상 그래픽, 및 (c) 상 그래픽의 적어도 일부, 상기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이들 양자와 접하는 감압성 접착제을 포함하는 천공형 창문 필름 합성체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감압성 접착제는 상 그래픽과, 제2면 도포시 상 그래픽(즉, 제2면 도포부)을 관측하는 관측자 사이에 위치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필름 합성체가 임의의 노출된 감압성 접착제를 보호하는 릴리이즈 라이너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 그래픽이 발광 필름과 감압성 접착제 사이에 위치하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보호층이 필요치 않다.
본 발명의 목적 상, "발광"이란 광발광과 전기 발광을 모두 의미하는 것이다.
"광발광"이란 물질이 광자를 흡수하고 가시 광선을 방출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광발광 필름은 공지되어 있으며, 경고 및 주의를 주며 안전 정보를 전달하는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표지를 제공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사용된다. 이들 필름은 광발광 테이프의 제조 시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는 일이 많다. 또한, 이들 필름은 "어둠 속의 백열(Glow-in-the-Dark)" 또는 "발광" 필름으로 특징화되는 일도 종종 있다.
"전기 발광"이란 물질이 전기를 가시 광선으로 전환시키는 능력을 의미한다. 전기 발광성 필름은 공지되어 있으며, 약간의 주위 빛에서도 사람이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자동차 또는 손목 시계 등에서 정보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사용된다.
또다른 특징 및 이점은 하기 도면과 함께 이하 기재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천공된 발광 필름은 어두운 일방 투명 환경에 있는 상형성 필름을 접하게 되는 사람들에게 오락, 교육, 장식, 경고 또는 홍보를 위한 여러 기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형성된 필름의 용도로는 공장 내 경고 표지의 복합 그래픽 상, 놀이 공원 내 신기한 게시물, 및 투명 또는 반투명 벽, 천정 또는 바닥 위의 예술적 또는 구조적 장식물이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발광 필름의 발광은, 자연 일광, 인공 백열등, 인공 수은등, 인공 형광등 또는 "흑광"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전기 발광 필름은 자체 전력원을 보유하고 있다.
정부에서 규제하는 경고 표지와 관련한 당업자들은 기계가 배치되는 영역의 조도 또는 암도에 따라 다른 경고 사항를 가진 각 기계에 특이적인 상을 가질 수 있다.
군사용 확인과 관련한 당업자들은 군함의 갑판 아래에서 작업하는 군인들을 위한 상세한 탈출 지시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탈 지도와 관련한 당업자들은 어두운 환경에서 운전하거나 또는 탐험하는 사람을 위해 "어둠 속의 백열" 여행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실내 장식 당업자들은, 조명 환경에서 하나의 상이 보이고, 어두운 환경 하에서 다른 발광 상이 보이는 창문 및 방 칸막이에 아동용 오락 상을 제공할 수 있다. 어두운 환경에서 충분한 발광 상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 그 상은 아동이 잠들때 보면서 진정할 수 있는 상을 제공할 수 있다.
신기한 오락과 관련한 당업자들은 발광된 불길한 상과 더욱 기괴한 발광 상을 위한 광 스트로브를 교대 배치하여 틴에이저 청중을 위한 광발광 상을 강조할 수 있다.
제품 광고 당업자들은 발광 상을 주기적으로 또는 우연적으로 어둡게 하여 제품의 특징을 강조하는 데 본 발명의 상 그래픽을 사용할 수 있다. 상 그래픽은 표지의 네온등 조명에 대해 수동적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청구 범위는 다음과 같다.

Claims (10)

  1. 발광 표면을 가지는 천공된 필름을 포함하는 일방 투명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발광성인 일방 투명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광발광성인 일방 투명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필름의 하나의 주표면에 부착된 천공된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일방 투명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천공된 상 그래픽을 수용하는 데 적합한 주표면에 대향하는 주표면에 부착되는 것인 일방 투명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천공된 상 그래픽과, 이 상 그래픽에 부착된 비천공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일방 투명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의 하나의 주표면에 부착된 천공된 상 그래픽과, 이 상 그래픽에 부착된 천공된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일방 투명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대향하는 주표면에 부착된 비천공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일방 투명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표면 영역을 포함하고, 이 표면 영역 중의 천공은 표면적의 약 45% 내지 55%인 것인 일방 투명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 그래픽은 디지탈 상형성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시킨 것인 필름.
KR1020007014155A 1998-06-15 1999-02-17 천공된 발광성 일방 투명 필름 KR200100528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70298A 1998-06-15 1998-06-15
US09/098,702 1998-06-15
PCT/US1999/003422 WO1999065679A1 (en) 1998-06-15 1999-02-17 Luminescent perforated one way vision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829A true KR20010052829A (ko) 2001-06-25

Family

ID=2227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155A KR20010052829A (ko) 1998-06-15 1999-02-17 천공된 발광성 일방 투명 필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93412B1 (ko)
JP (1) JP2002518208A (ko)
KR (1) KR20010052829A (ko)
CN (1) CN1141214C (ko)
AU (1) AU752743B2 (ko)
BR (1) BR9911259A (ko)
CA (1) CA2333292A1 (ko)
DE (1) DE69919871T2 (ko)
WO (1) WO19990656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287B1 (ko) * 2002-04-30 2005-04-27 이정우 일방향 투시되는 장식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3561A (ja) 2002-11-12 2004-06-10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表示フィルム
EP1439094B1 (fr) * 2003-01-20 2011-04-13 Compagnie Plastic Omnium Pièce externe de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film décoratif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ette pièce
JP4562356B2 (ja) * 2003-07-11 2010-10-13 株式会社フオトクラフト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シート
GB0514642D0 (en) 2005-07-18 2005-08-24 Contra Vision Ltd Electroluminescent one-way vision panel
TWI381953B (zh) * 2008-09-26 2013-01-11 Fih Hong Kong Ltd 裝飾薄膜及使用該裝飾薄膜之外殼
CN102774161A (zh) * 2011-05-11 2012-11-14 上海纳尔数码喷印材料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用单向透视打印材料
CN102896848B (zh) * 2011-07-29 2015-08-19 上海大巨龙蓬盖新材料有限公司 一种单面喷绘内外显示画面的单向透视贴的制造方法
US20170110038A1 (en) 2015-10-14 2017-04-20 James A. Guertin Luminey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0472B1 (en) * 1984-07-28 1989-12-06 Contra Vision Limited Panel
US5415911A (en) * 1992-01-16 1995-05-16 Stimsonite Corporation Photoluminescent retroreflective sheeting
US5609938A (en) * 1993-06-23 1997-03-11 Creative Minds Foundation, Inc.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holes for opposite side viewing
US5679435A (en) * 1994-06-21 1997-10-21 Andriash; Michael D. Vision control panels with perforations and method of making
US5525177A (en) * 1994-09-01 1996-06-11 Clear Focus Imaging, Inc. Image transfer method for one way vision display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287B1 (ko) * 2002-04-30 2005-04-27 이정우 일방향 투시되는 장식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93412A1 (en) 2001-04-25
DE69919871D1 (de) 2004-10-07
DE69919871T2 (de) 2005-09-08
AU3298599A (en) 2000-01-05
JP2002518208A (ja) 2002-06-25
CN1305413A (zh) 2001-07-25
WO1999065679A1 (en) 1999-12-23
BR9911259A (pt) 2001-03-13
CA2333292A1 (en) 1999-12-23
EP1093412B1 (en) 2004-09-01
AU752743B2 (en) 2002-09-26
CN1141214C (zh)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479B1 (ko) 일방향 그래픽 물품 및 이의 제법
US6872435B2 (en) Multi-component unidirectional graphic article
US6656566B1 (en) Retroreflective luminescent articles
JPH08254605A (ja) パネル
JP2004163561A (ja) 表示フィルム
JPS6193503A (ja) パネルの製造方法
EP2441591A1 (en) Methods of manufacturing substrates
KR20010052829A (ko) 천공된 발광성 일방 투명 필름
EP1787276B1 (en) Substrates with multiple images and methods of use
JP2004226478A (ja) 透視性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7416776B2 (en) Substrates with multiple images
EP1786630A2 (en) Substrates with multiple images
JP2001524221A (ja) デジタル画像を有するフォトルミネセンスフィルムと、同フィルムを作製および使用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