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212A -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와 그 코드의 인코딩/디코딩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와 그 코드의 인코딩/디코딩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212A
KR20010051212A KR1020000062597A KR20000062597A KR20010051212A KR 20010051212 A KR20010051212 A KR 20010051212A KR 1020000062597 A KR1020000062597 A KR 1020000062597A KR 20000062597 A KR20000062597 A KR 20000062597A KR 20010051212 A KR20010051212 A KR 20010051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ode
data
information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1504B1 (ko
Inventor
한탁돈
정철호
이남규
신은동
Original Assignee
한탁돈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탁돈,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filed Critical 한탁돈
Priority to DE60140867T priority Critical patent/DE60140867D1/de
Priority to CN01810879.2A priority patent/CN1200385C/zh
Priority to PCT/KR2001/000742 priority patent/WO2001086582A1/en
Priority to ES01932333T priority patent/ES2341607T3/es
Priority to AT01932333T priority patent/ATE453166T1/de
Priority to EP01932333A priority patent/EP1287483B1/en
Priority to CA002408454A priority patent/CA2408454C/en
Priority to AU5886801A priority patent/AU5886801A/xx
Priority to TW090110959A priority patent/TW541502B/zh
Priority to RU2002129878/09A priority patent/RU2251734C2/ru
Publication of KR2001005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셀 단위로 이미지가 형성된 기계로 인식가능한 코드 및 정보로부터 코드이미지를 생성하는 인코딩방법과 코드이미지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디코딩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기계로 판독가능하도록 형성된 코드에 있어서,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는 적어도 두 영역을 포함하며, 각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하되, 상기 정보의 내용에 따라 색채(color) 또는 농담(shade)이 다르게 인코딩되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셀로 형성된 데이터영역; 및 상기 데이터영역에 형성된 데이터셀의 색채 또는 농담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셀로 형성된 참조영역을 포함하여, 종래에 비하여 더욱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참조영역을 포함하고 있어 출력장치나 입력장치의 동작 조건의 차이 혹은 제품 기종의 차이로 인한 오인식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와 그 코드의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Machine readable code for representing inform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the same}
본 발명은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셀 단위로 이미지가 형성된 기계로 인식가능한 코드 및 정보로부터 코드이미지를 생성하는 인코딩방법과 코드이미지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디코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상품에는 상품의 종류 및 가격 등의 상품정보를 나타내기 위하여 다양한 굵기의 선으로 구성된 바코드(bar code)가 인쇄되어 있다. 이러한 바코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굵은 선과 가는선, 그리고 이중선 등으로 구성되어 상품정보가 인코딩된 숫자 데이터를 나타낸다.
한편, 일반적인 비즈니스(business) 등의 목적으로 명함에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Home page address) 혹은, 이메일 주소(E-mail address) 등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을 인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그 회사의 홍보 내용이 담겨 있고, 그 회사에 관심이 있는 인터넷 사용자는 그 인터넷 홈페이지에 담겨져 있는 회사의 홍보 내용을 읽은 후, 문의 사항이 있을 때에 이메일 주소로 연락을 시도하게 된다. 또한, 명함 외에도 잡지 혹은, 신문 등의 광고란에 특정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나 기타 URL 등을 인쇄하는 경우도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출판 서적에도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를 인쇄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만약 어떤 사용자가 명함에 인쇄된 URL에 접속하려면, 그 명함에 인쇄된 URL (예를 들어, http://comsciyonsei.ac.kr/~nklee)을 키보드로 타이핑(typing)해야만 한다. 또는, 명함에 이메일 주소(예를 들어, nklee@yonsei.ac.kr)가 인쇄되어 있다면, 그 이메일 주소로 편지를 보내려는 사용자는 그 이메일 주소를 모두 타이핑 해야 한다.
그러나,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혹은 이메일 주소는 한 두자의 글자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십 수자 내지 수십 자의 글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그 주소를 입력하는 데에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코드(bar code)를 이용하는 것은 간단한 수준의 소량의 데이터만 표현할 수 있다. 즉, 바코드는 인코딩될 수 있는 글자에 한계가 있고, 자유로운 표현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공고번호 USP 5,869,828(발명의 명칭 : Color and shape system for encoding and decoding data)이 제안되었다. USP 5,869,828은 컬러를 가진 도형을 이용하여 문자 데이터를 인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간단한 구성을 가진 컬러 도형을 상품의 겉 표면에 인쇄하여 상품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프린트마다 인쇄특성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하나의 컬러 도형을 서로 다른 프린터로 인쇄하면 프린터의 특성상 컬러가 서로 다르게 프린트된다. 즉, 어떤 데이터가 컬러 도형으로 인코딩되고 그 컬러 도형이 서로 다른 회사의 프린터로 인쇄되면 각 프린터의 특성에 따라 컬러 도형의 색조에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USP 5,869,828에 의하면, 이러한 인쇄 환경의 차이로 인하여 동일한 컬러 도형이라 하더라도 프린트된 컬러 도형을 디코딩할 때 원래의 정보를 제대로 복원하지 못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바코드의 인코딩 기법과 달리 더욱 다양한 글자를 표현할 수 있으면서 코드 해독의 정확성을 보증할 수 있는 인코딩 방법 및 시스템과 그러한 방법으로 인코딩된 것을 해석할 수 있는 디코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목적정보(target information)를 기계로 판독가능하도록, 이미지로 형성된 코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각종 문자 등을 코드이미지로 변환하는 코드변환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적정보가 이미지화되어 표현된 컬러 매트릭스 코드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라 코드이미지의 각 셀에 표시할 수 있는 패턴의 일 실시예를, 그리고 도 5c는 본 발명에 따라 코드이미지의 하나의 셀 영역을 여러 부분으로 구분하여 색채를 표시할 수 있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d는 본 발명에 따라 회색조 코드(greyscale code)를 이용하여 코드이미지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a, 6b, 6c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이미지가 명함에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7b는 목적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제공된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c는 코드이미지가 비뚤어지거나 기울어지게 읽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기계로 판독가능하도록 형성된 코드에 있어서,
적어도 두 영역을 포함하며, 각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하되, 상기 정보의 내용에 따라 색채(color) 또는 농담(shade)이 다르게 인코딩되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셀로 형성된 데이터영역; 및 상기 데이터영역에 형성된 데이터셀의 색채 또는 농담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셀로 형성된 참조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하는 코드이미지 인코딩방법은,
숫자, 기호를 포함한 인식가능한 각 문자에 대응하여 색채(color) 또는 농담(shade)을 다르게 매핑시킨 코드변환표를 설정하는 단계; 인코딩하고자하는 목적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목적데이터를 상기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인코딩하여 데이터영역에 표시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영역에 표시될 색채 또는 농담의 해석 기준을 제공하는 기존 색채 또는 기준농담이 표시된 참조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영역 및 상기 참조영역으로 된 이미지로부터 물리적인 또는 전자적인 코드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하는 코드이미지 인코딩장치는,
숫자, 기호를 포함한 인식가능한 각 문자에 대응하여 색채(color) 또는 농담(shade)을 다르게 매핑시킨 코드변환표를 저장하는 저장부; 인코딩하고자하는 목적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인코딩하여 데이터영역에 표시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이터영역 생성부; 상기 데이터영역에 표시될 색채 또는 농담의 해석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이 표시된 참조영역을 설정하는 참조영역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영역 및 상기 참조영역으로 된 이미지로부터 물리적인 또는 전자적인 코드이미지를 생성하는 코드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하는 코드이미지 디코딩방법은,
색채나 농담에 따라 목적데이터가 인코딩되어 이미지로 표시된 데이터영역 및 상기 데이터영역에 표시된 색채나 농담의 해석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이 표시된 참조영역을 구비하는 코드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코드이미지로부터 데이터영역 및 참조영역을 구분하여 식별하는 단계; 상기 참조영역에 표시된 상기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을 근거로 상기 데이터영역에 표시된 각 셀의 색채 또는 농담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영역의 각 셀에 대해 판별된 색채 또는 농담에 따라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디코딩하여 숫자, 기호를 포함하는 인식가능한 문자로 된 목적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하는 코드이미지 디코딩장치는,
숫자, 기호를 포함한 인식가능한 각 문자에 대응하여 색채(color) 또는 농담(shade)을 다르게 매핑시킨 코드변환표를 저장하는 저장부; 목적데이터가 표시된 데이터영역 및 상기 데이터영역의의 해석 기준을 제공하는 참조영역을 구비하는, 상기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인코딩된 코드이미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코드이미지로부터 데이터영역 및 참조영역을 구분하여 식별하고, 상기 참조영역에 표시된 상기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을 근거로 상기 데이터영역에 표시된 각 셀의 색채 또는 농담을 판별하는 정보식별부; 상기 데이터영역의 각 셀에 대해 판별된 색채 또는 농담에 따라 상기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디코딩하여 숫자, 기호를 포함하는 인식가능한 문자로 된 목적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목적정보(target information)를 기계로 판독가능하도록, 이미지로 형성된 코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코드는 적어도 두 영역을 포함하며, 각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한다. 코드에는 정보의 내용에 따라 색채(color) 또는 농담(shade)이 다르게 인코딩되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셀로 형성된 데이터영역(21) 및 데이터영역(21)에 형성된 데이터셀의 색채 또는 농담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셀로 형성된 참조영역(22)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영역(21)에 표시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명령이나 서비스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셀로 형성된 제어영역(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드에 포함된 각 영역 사이에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경계영역(25, 26)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영역에 포함된 각 셀 사이에도 셀을 구분하기 위한 경계영역을 별도로 더 구비할 수 있다. 경계영역(25, 26)은 목적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특정 색상이나 패턴 등으로 된 선이나 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영역, 참조영역, 제어영역의 각 셀에 표시될 수 있는 색채나 농담의 범위를 구분 설정하여 이들 영역을 구별시킬 수 있으며, 또는 각 영역의 셀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특수 패턴을 다르게 삽입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영역(21)은 문자 등이 이미지로 인코딩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셀로 구성되며, 데이터셀 사이마다 인접한 데이터셀을 구분하기 위한 경계선 또는 경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경계선 또는 경계영역은 검정색 또는 흰색으로 이루어져 스캐너 혹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가 데이터영역을 읽을 때에 각 데이터셀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참조영역 및 제어영역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임).
데이터셀은 그 각각이 하나의 문자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다수 개의 데이터셀 세트(set)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문자 "A"를 적색으로 된 셀 하나로 표시하거나 적색과 녹색으로 된 두 셀로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영역(21)에 담기는 목적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름,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네트워크의 호스트 주소,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도메인 이름 및 IP 어드레스, URL, 프로토콜, 또는 문서명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
참조영역(22)은 데이터영역(21) 및/또는 제어영역(23)에 있는 셀에 표현된 컬러를 인식하는 기준 컬러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영역(21) 및 참조영역(22)에 표시되는 셀의 컬러는 RGB(Red Blue Green) 컬러 모델 또는, HSV(Hue Saturation Value) 컬러 모델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방식을 기반으로 표시된다.
프린트의 기종이나 인쇄용지의 재질에 따라 하나의 컬러라 하더라도 서로 다르게 인쇄될 수 있으며, 또한 스캐너나 카메라의 특성에 따라 동일한 색상이 다소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참조영역(22)에 있는 참조셀은 데이터영역에 표시된 색상을 판별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즉, 출력장치에 따라 컬러가 다르게 출력되거나, 스캐너 등과 같은 입력장치에 따라 컬러가 다르게 입력되었다고 할 지라도, 참조영역(22)의 컬러와 데이터영역(21)의 컬러의 색조 차이(color difference)는 고정적이기 때문에 데이터영역(21)에 표현된 셀의 색상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영역(21)의 셀에 표시되는 색상은 참조영역(22)의 기준 컬러와 대비된 상대적인 색조 차이를 가지므로, RGB 모델 또는 HSV 모델을 기준으로 참조영역(22)의 기준컬러와 비교하여 데이터영역(21)의 있는 셀의 컬러를 구함으로써, 이미지 입력장치나 출력장치가 달라지더라도 데이터셀의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데이터영역(21)의 목적정보를 이용하여 응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명함에 인터넷의 홈페이지 주소(즉, URL)가 코드이미지로 표시되어 있다면, 그 코드이미지를 컴퓨터로 디코딩 한 다음 그 컴퓨터 또는 그 컴퓨터에 연결된 서버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실행시켜 그 홈페이지로 접속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의 전자우편 주소가 코드이미지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라면, 그 코드이미지를 컴퓨터로 디코딩한 다음 그 컴퓨터의 메일링 소프트웨어(mailing software)를 실행시켜 그 전자우편 주소로 메일을 보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자동 서비스 기능은 별도의 프로그램에 의하거나 디코딩 프로그램에서 목적정보의 종류에 따라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코드이미지 내에 별도의 이러한 명령어가 이미지로 표현된 제어영역(23)을 포함시켜, 그 제어영역(23)에서 디코딩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디코딩 프로그램에서 자동적으로 서비스하도록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영역(23)은 데이터영역(2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인코딩/디코딩되지만, 컴퓨터 시스템 혹은 데이터영역의 목적정보를 제어하는 명령 또는 메타-데이터(meta-data) 등이 인코딩되어 있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제어영역(23)에 표시된 정보는 데이터영역(21)에 형성된 셀의 디코딩 순서에 대한 매핑방식, 또는 데이터영역(21)에 형성된 데이터셀의 색상의 판단기준이 되는 참조영역(22)의 참조셀의 위치 등 여러 가지 메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체의 일부분에 코드이미지를 표시할 때, 코드이미지의 영역과 그렇지 않은 배경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또는 경계영역)을 설정하여 코드이미지를 배경과 구분지울 수 있다.
도 3은 각종 문자(알파벳이나 특수문자 등)나 숫자 또는 모양 등을 코드이미지로 변환하는 코드변환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두 개의 컬러셀이 하나의 문자로 매핑하는 예이다. 도 3과 같은 코드변환표를 이용하여 목적정보를 코드이미로 인코딩하거나 코드이미지를 디코딩하여 목적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3의 코드변환표를 이용한 인코딩 방법으로는, 각종 문자 등을 코드로 변환한 다음 각 코드에 할당된 컬러(색채)로 코드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본 예에서는 8가지의 색을 이용하여 코드이미지를 생성하며, 하나의 문자나 숫자를 나타내기 위하여 연속된 두 셀을 사용한 예를 나타낸다. 각 색에 대해서는 "000"에서 "111"까지의 코드가 할당되며, 각 문자는 두가지 색으로 인코딩된다. 예컨대, 숫자 "3"은 코드 "000 011"로 할당되고, 코드 "000"에 할당된 색(흑색)과 코드 "011"에 할당된 색(시얀색)으로 인코딩되어, 흑색셀과 시얀색으로 연속된 두 셀로 이미지화된다. 도 3에는 도면 작성상의 한계로 흑백 그레이 레벨로 표시되어 있는데, 실제 적용상에 있어서 흑백 그레이 레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컬러 색상의 조합으로 구현하는 것이 보다 코드 인식에 유리할 것이며, 그 색상의 수는 컬러를 인쇄하는 기기(예: 프린터)나 컬러를 인식하는 기기(예: 스캐너)의 성능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코드변환표에 따라 목적정보에 포함된 각종 문자나 숫자를 코드화한 다음 그 코드에 대응되는 컬러를 사각형 셀들의 조합으로 된 사각 매트릭스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도 3의 코드변환표에서와 같이 8 종류의 컬러를 이용하여 두 셀로써 하나의 문자를 표현하는 경우, 모두 64 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영어 알파벳은 소문자와 대문자 합쳐 52 개이고, 아라비아 숫자는 10 개, 공백문자는 1 개 (모두 63개) 이므로, 영어를 표현하는데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보다 다양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하여 특수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영 토글용 특수코드를 제64번째 코드로 설정하면 코드이미지에서 그 특수코드에 해당하는 셀이 나타나면 그 다음에 연속되는 셀은 영어에서 한글 또는 그 반대로 토글시켜 해석되도록 한다. 또는, 언어의 종류별로 특수코드를 별도로 설정하여, 예컨대 영어를 표현하는 경우에는 영어특수코드 다음에 데이터가 표현되고, 한글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글특수코드를 표시하도록 한다.
코드변환표는 각종 문자 및 숫자, 기호 등을 소정의 컬러로 각각 매핑시키는 관계를 정해놓은 표이다. 이것의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예 뿐만 아니라 바코드나 PDF-417과 같은 코드들이 있으며, 1차원 또는 2차원의 흑백 또는 컬러 셀(또는 선)들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이미지도 이에 해당한다. 코드이미지는 신용카드에 시각적인 형태로 인쇄되거나 전자적인 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파일 데이터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그 코드이미지를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디코딩하면 문자와 숫자 등으로 표현된 원래의 "목적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적정보가 물리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이미지화되어 표현된 컬러 매트릭스 코드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숫자, 기호 등 인식 가능한 문자를 소정의 컬러(또는 농담)로 각각 매핑하는 코드변환표(도 3 참조)에 의하여 변환하여 목적정보로부터 코드이미지를 생성하며, 소정의 형상, 색깔,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컬러 매트릭스 코드이미지에 포함되는 셀의 개수는 목적정보의 정보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그 구조는 NxM 크기의 매트릭스 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필요나 코드이미지가 표현되는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임의의 모양으로도 표현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코드이미지를 여러 부분으로 분리하여 복수의 분리된 위치에 나누어 표시할 수도 있다.
스캐너와 디지털 카메라는 고급 기종일수록 해상도(resolution)가 높아 셀에 표시된 컬러의 인식율이 높지만, CCD는 촬상영역이 좁고 스캐너에 비해 해상도가 낮아 컬러 인식율이 동일한 조건에서 스캐너보다 낮다. 그래서, CCD에서 사용하기 위한 코드이미지는 셀의 크기를 되도록 크게 하고 셀의 컬러 종류를 되도록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셀의 크기를 크게 하고 셀의 컬러 종류를 적게 하면, 제한된 영역 내에서 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것이 어렵다.
그런데, 만약 셀 내에 다양한 형상의 무늬를 함께 포함시킨다면 동일한 공간에서 보다 다양한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셀이 하나의 문자를 나타낸다고 할 때 8 종류(3 비트)의 컬러와 더불어 4 가지(2 비트)의 서로 다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면, 전부 32 종류(5 비트)의 다른 문자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라 코드이미지의 각 셀에 표시할 수 있는 패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정보를 코드이미지로 변환함에 있어서 컬러 이외에 벡터 라인(vector line)을 이용하여 컬러셀에 패턴을 추가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5a에는 셀 내에 표시될 수 있는 4 방향 벡터라인과 8 방향 벡터라인을 도시한 일례이다. 만약, 4 방향 벡터 라인을 이용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 가지(4 비트)의 다른 패턴을 각 셀의 컬러에 덧붙일 수 있다. 따라서, 8 가지(3 비트)의 컬러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셀로 128 종류(7 비트)의 다른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로서,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셀을 가로나 세로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구분하여 다른 컬러를 배치시켜 더욱 다양하고 정밀한 컬러 코드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목적정보를 코드이미지화할 수 있는 인코딩 알고리즘을 제공한다면, 보다 풍부한 문자(예를 들어, 한글이나 영어 뿐만 아니라 한자나 일본어 등)의 표현에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5d는 본 발명에 따라 회색조 코드(greyscale code)를 이용하여 코드이미지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컬러 프린터와 스캐너를 이용하여 컬러로서 인코딩하고 디코딩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용도 및 상황에 따라 회색조 코드(greyscale code), 즉 흑백의 농담를 이용하여 코드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회색조 코드는 컬러를 이루는 R(Red), G(Green), B(Blue)의 혼합 비율 대신에 흑백의 밝기에 따라 코드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참조영역은 흑색, 백색 그리고 회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농담으로 이루어지고, 데이터영역에 있는 셀은 참조영역의 기준농담과 비교한 회색조 차이(grey difference)에 의해 코딩된 값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회색조 코드이미지는 신문과 같이 주로 흑백으로 인쇄된 매체에 적용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이미지가 명함에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도 6b는 도 5a, 5b에서 설명된 벡터라인이 포함된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일 례를 도시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추가의 벡터라인 패턴은 셀에 표현되지 않은 컬러의 라인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패턴과 셀의 바탕 컬러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도 6c는 광고지에 코드이미지가 표현된 예로서, 광고주의 홈페이지 주소나 전자메일 주소, 또는 그 광고와 관련된 상세정보를 접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억세스할 수 있는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b, 6c의 코드이미지의 좌측 한 칼럼은 참조영역을 나타내며, 데이터영역과의 사이에 공백을 두어 두 영역을 구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등의 정보를 코드이미지로 인코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인코딩용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정보가 코드이미지로 변환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목적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문자 또는 숫자들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소정의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변환되어 소정의 형상, 색깔,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코드이미지로 변환된다.
먼저, 코드이미지로 인코딩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인코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인코딩 방식은 직접 인코딩방식과 간접(또는 인덱스) 인코딩방식, 그리고 혼합 인코딩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직접 인코딩방식은 목적정보 자체를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직접 인코딩하여 코드이미지를 생성하는 방식을 말한다. 간접 인코딩방식은 목적정보를 참조하기 위한 인덱스정보(예컨대, 데이터베이스의 주소나 레코드번호)를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인코딩하여 이미지의 형태로 바꾸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 둘의 방식을 혼합한 혼합 인코딩방식이 있다.
직접 인코딩방식은 목적정보 자체를 코드이미지로 인코딩하는 것으로, 별도의 시스템 또는 별도의 기억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목적정보의 데이터 량이 많아지면 코드이미지의 물리적인 크기도 커지게 된다.
간접 인코딩방식은 목적정보 자체를 인코딩하지 않고 그 목적정보가 저장된 기억장소의 위치정보를 인코딩한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목적정보가 저장된 저장장소의 포인터(pointer)나 메모리 어드레스(memory address), 또는 목적정보의 위치를 알려 주는 URL이나 IP주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간접 인코딩방식은 목적정보가 존재하는 별도의 시스템이나 기억장소를 필요로 한다.
혼합 인코딩방식은 전체 목적정보 중 필수적인 일부 데이터는 직접 인코딩방식으로 인코딩하고, 그 밖의 데이터는 간접 인코딩방식으로 인코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이름과 전화번호는 각 글자마다 인코딩하고, 우편주소나 전자우편주소와 같이 데이터량이 많은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하고, 서버에 저장된 그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인코딩하여 코드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혼합 인코딩방식은 이름과 같이 고정적인 데이터에 대해서는 직접 인코딩방식을 적용하고, 홈페이지 정보와 같이 가변적인 데이터에 대해서는 간접 인코딩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를 참조하여 인코딩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숫자, 기호를 포함한 인식가능한 각 문자에 대응하여 색채(color) 또는 농담(shade; 또는 그레이 레벨)이 다르게 매핑된 코드변환표를 설정한다(71). 코드변환표의 예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벡터라인을 이용한 패턴(도 5b 참조)이나 셀을 내부영역을 분할하는 방식(도 5c 참조)을 매핑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코드이미지로 변환할 목적정보를 입력한다(72). 도 7b는 목적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제공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예는 명함에 표시될 인적사항에 대한 것을 코드이미지로 인코딩하기 위한 것으로, 이름, 소속, 전화번호, 팩스번호 등을 입력받으면 이를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코드이미지를 생성한다. 또한, 서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나 파일에 저장해 두는 것이 보통이다.
다음으로, 목적정보를 직접 인코딩하는 직접인코딩방식을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목적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인코딩하는 간접인코딩방식을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한다(73). 만일 직접인코딩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이면 목적정보 자체를 인코딩 대상의 목적데이터로 설정하고(74b), 간접인코딩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이면 목적정보에 대한 위치정보를 인코딩 대상의 목적데이터로 설정한다(74a). 예를 들어, 도 7b의 예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인적사항(목적정보) 자체를 인코딩하면 직접인코딩방식이 되고, 그 인적사항이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주소나 그 주소와 관련된 인덱스를 인코딩하면 간접인코딩방식이 된다. 또한, 이름에 대해서는 직접 인코딩방식을 적용하고 나머지 인적사항은 간접 인코딩방식을 적용하는, 혼합 인코딩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전화번호나 전자우편주소 등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는 정보이기 때문에 이를 직접 인코딩하지 않고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간접 인코딩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자신의 인적사항이 변경되면 이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수정하고, 사용자의 코드이미지가 표시된 명함을 받은 자는 이전에 받은 명함으로도 항상 최신의 정보를 접할 수 있다.
목적데이터를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인코딩한다(75a). 그러면, 목적데이터에 포함된 문자나 숫자 등에 대응하는 색채나 농담에 의하여 데이터셀에 표시될 이미지가 결정되고, 목적데이터의 문자등이 배열된 순서(또는 정해진 방식)에 따라 이미지화된 데이터셀들을 배열하여 데이터영역을 완성한다.
한편, 목적데이터는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인코딩되기 전에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암호화의 방법으로는 목적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문자의 순서를 바꾸거나 다른 문자로 대치하거나 혹은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보의 양과 종류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데이터(만일 목적데이터를 암호화하였다면 암호화된 목적데이터)를 인코딩한 다음에 암호화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암호화 방법으로는 데이터셀의 순서를 바꾸거나 데이터셀에 표시된 모양, 문자, 패턴, 색깔 등을 바꾸거나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영역의 데이터셀들에 표시된 색채 또는 농담의 해석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을 정하고, 이들이 표시될 참조셀의 형상이나 위치 또는 배열을 정하여, 참조영역을 설정한다(75b). 또한, 데이터영역에 포함된 목적정보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이나 서비스에 관한 사항을 설정한 제어정보를 인코딩한 제어영역을 더 설정할 수 있다(75c). 이러한 제어영역은 인코딩된 목적정보의 내용 혹은 종류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고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데이터영역, 참조영역 및 제어영역이 설정되면, 코드이미지가 표시되는 모양, 각 영역의 상대적인 위치 및 크기, 단위 셀의 크기를 포함하여, 코드이미지의 레이아웃을 설정한다(75d).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사각 매트릭스형의 코드이미지인 경우, 참조영역은 코드이미지의 가장 왼쪽에 위치시키고 하단부에 제어영역을 위치시키고 그 이외의 부분은 데이터영역으로 할 수 있다.
단계 75d에서 정해진 레이아웃에 따라 데이터영역, 참조영역 및 제어영역으로 이루언진 코드이미지를 생성한다(76). 코드이미지는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코드 변환체계에 따라 그래픽 에디터나 수작업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코드이미지는 소정 매체에 표시되거나 이미지 파일로 저장된다.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컴퓨터(77)는 목적정보를 입력받아 상술한 바와 같은 인코딩방법에 의하여 코드이미지를 생성하고, 프린터(78)로 코드이미지를 프린팅하여 이를 명함과 같은 매체(79a)에 물리적으로 표시하거나 이미지 파일의 형태의 코드이미지 파일(79b)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코드이미지가 표시될 매체는 명함, 상품의 겉면 또는 잡지의 광고면 등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모든 매체을 포함한다. 또한, 코드이미지가 모니터와 같은 표시장치(display device)로 출력될 수 있고, 컴퓨터 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으며, 통신 선로 상에 전기적인 신호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드이미지로부터 문자등으로 된 원래의 목적정보를 추출하는 디코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코딩용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코드이미지가 목적정보로 변환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소정의 형상, 색깔,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코드이미지의 각 셀들을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소정의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문자 또는 숫자 등으로 변환하여 목적정보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코드이미지를 디코딩하려면, 최소한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드이미지(91)를 읽기 위한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CCD 카메라 등과 같은 화상입력장치(92)를 구비하거나 컴퓨터(93)에서 직접 이용할 수 있는 코드이미지 파일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코드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개인용 컴퓨터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된 서버 컴퓨터)이 갖추어져야 한다.
먼저, 스캐너 혹은 CCD 등의 화상입력장치에 의해 데이터영역과 참조영역으로 형성된 코드이미지를 입력한다(81). 사용자는 화상입력장치(92)를 통하여 매체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사용자 컴퓨터로 입력한다. 사용자 컴퓨터는 화상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코드이미지를 입력받을 수도 있고, 이미 만들어져 있는 이미지 파일을 디스크나 버퍼 등의 저장장치를 통해 메모리에 로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c에서와 같이 코드이미지가 인쇄된 광고지의 경우, 광고지를 읽는 사용자는 코드이미지를 스캔하여 코드이미지에 해당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6c와 같이 매체의 일부분에 코드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을 때, 코드이미지의 영역과 그렇지 않은 배경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을 검출하여 코드이미지를 배경과 구분할 수 있다.
스캐너의 동작상태 혹은 코드이미지가 매체에 인쇄된 위치에 따라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이미지가 비뚤어지거나 기울어지게 읽혀질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 코드이미지가 잘못 디코딩될 수 있으므로, 코드이미지의 회전된 상태를 검출하여 코드이미지의 위치 혹은 방향을 바르게 보정한다(82).
각 영역 사이에 설정된 경계영역의 정보를 이용하거나 특정 정보가 담긴 셀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코드이미지로부터 데이터영역 및 참조영역을 구분하여 식별한다(83). 만일 코드이미지에 제어영역도 인코딩되어 있으면 제어영역도 구분하여 식별한다.
컴퓨터에 의하여 코드이미지가 인식되면 그로부터 원래의 정보를 추출하는 디코딩과정이 수행된다. 디코딩이란 코드이미지로부터 코드변환표에서 정의된 바에 따라 원래의 정보들을 찾아내는 것이다. 디코딩 방식은 정보가 인코딩된 방식에 따라 직접 디코딩 방식과 간접 디코딩 방식이 있다. 직접 디코딩 방식에서는 코드이미지를 디코딩하면 이름이나 주소와 같은 실제의 목적정보가 바로 추출된다. 간접 디코딩방식에서는 디코딩된 결과물이 이름이나 주소와 같은 실제 목적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억세스하기 위한 키값인 인덱스정보를 가지고 있다.
디코딩 과정에서는 코드이미지에 포함된 모양, 컬러, 패턴, 문자를 찾아내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외에도 왜곡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여기서, RGB(Red, Green, Blue) 모델, HSV(Hue angle, Saturation, Value) 모델, CMY(Cyan, Magenta, Yellow) 모델, HLS(Hue angle, Lightness, Saturation) 모델 중 한가지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컬러 판별이 가능하다. 또한 경계선 검출 및 세선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모양 및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디코딩을 위해서는, 먼저, 참조영역에 표시된 색채를 근거로 데이터영역 및 제어영역의 각 셀들의 코드값을 추출한다(84). 즉, 참조영역에 있는 참조셀의 색채(또는 농담)를 검출하여, 데이터영역의 정보를 해석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색채(또는 농담)으로 삼는다. 데이터영역 및 제어영역에 있는 셀들의 색채를 검출한 다음 기준색채와의 색차를 검출하여 데이터영역과 제어영역에 있는 각 셀들을 코드값으로 변환한다.
단계 84에서 구한 셀들의 코드값을 코드변환표(도 3 참조)에 의하여 숫자, 기호를 포함하는 인식가능한 문자로 된 목적데이터로 변환한다(85). 올바르게 읽혀진 코드이미지에 형성된 각 셀의 코드값은 인코딩될 때 실행되었던 알고리즘의 역순으로 디코딩되어 본래의 정보로 변환된다. 이 때, 인코딩시 목적정보가 코드값으로 변환되기 전 단계에서 암호화 과정이 수행되었다면, 디코딩시 먼저 코드값에 설정된 암호를 해독한 다음 암호가 해독된 코드값을 정보로 변환하여야 한다. 그리고, 인코딩시 목적정보가 코드값으로 변환된 후에 암호화 과정이 수행되었다면, 디코딩시 먼저 코드값을 정보로 변환한 다음 정보에 설정된 암호를 해독하여야 한다.
단계 85에서 구한 목적데이터는 인코딩방식에 따라 그 내용이 결정된다(86). 만약 코드이미지가 간접 인코딩방식에 의해 인코딩된 것이라면, 즉 목적데이터가 인덱스정보이면, 디코딩에 의하여 얻은 목적데이터는 목적정보가 저장된 기억장소의 어드레스 혹은 포인터에 해당하므로, 목적데이터에 의하여 정해진 기억장치(데이터베이스)의 위치에 저장된 목적정보를 추출한다(87a). 목적데이터가 인덱스정보가 아니면, 디코딩에 의하여 얻은 목적데이터가 곧 원하는 목적정보가 된다(87b).
상술한 바와 같은 디코딩과정을 수행하는 디코딩용 프로그램을 사용자 컴퓨터에 미리 설치해 두는 것은 선택적이며, 만일 사용자 컴퓨터에 디코딩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라면 사용자 컴퓨터는 서버 컴퓨터로 코드이미지를 전송하고, 디코딩 과정은 서버 컴퓨터에서 수행된다.
만일 코드이미지에 목적정보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이나 서비스에 관한 사항을 설정한 제어영역이 있으면(88), 제어영역에서 설정된 정보에 따라 명령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90a),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에서 지정된 기본 서비스를 제공한다(89b)
본 발명은 하나의 매체에 하나의 코드이미지가 구현된 경우(도 6a, 6b 참조) 뿐만 아니라 하나의 매체에 복수 개의 코드이미지가 구현된 경우(도 6c 참조)에도 응용될 수 있다. 또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코드이미지로 표현된 경우라 하더라도 데이터영역과 참조영역으로 된 구역이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즉, 데이터영역을 해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참조영역이 복수 개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복수의 데이터영역 및 복수의 참조영역을 구분하여 읽은 다음 그 중에서 상호 짝지워진 데이터영역과 참조영역을 한 세트씩으로 구분한다. 세트로 구분된 데이터영역은 같은 세트에 있는 참조영역에 따라 디코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네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드에 의하면 종래의 바코드에 비하여 더욱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참조영역을 포함하고 있어 출력장치나 입력장치의 동작 조건의 차이 혹은 제품 기종의 차이로 인한 오인식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2)

  1.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기계로 판독가능하도록 형성된 코드에 있어서,
    적어도 두 영역을 포함하며, 각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하되,
    상기 정보의 내용에 따라 색채(color) 또는 농담(shade)이 다르게 인코딩되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셀로 형성된 데이터영역; 및
    상기 데이터영역에 형성된 데이터셀의 색채 또는 농담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셀로 형성된 참조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문자 또는 숫자를 셀에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로 변환함에 있어서, 색채 또는 농담 뿐만 아니라 벡터라인을 포함한 패턴을 이용하거나, 셀을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구분하여 색채 또는 농담을 다르게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영역에 표시된 정보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는 명령이나 서비스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셀로 형성된 제어영역 또는 상기 코드에 포함된 각 영역 사이 또는 상기 각 영역에 포함된 각 셀 사이에 영역 또는 셀을 구분하기 위한 경계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에는 각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영역식별코드 또는 언어의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언어표시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셀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영역 또는 셀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이름,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네트워크 주소, 도메인 이름, IP 주소, URL, 프로토콜, 문서명 중에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
  7. 숫자, 기호를 포함한 인식가능한 각 문자에 대응하여 색채(color) 또는 농담(shade)을 다르게 매핑시킨 코드변환표를 설정하는 단계;
    인코딩하고자하는 목적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목적데이터를 상기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인코딩하여 데이터영역에 표시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영역에 표시될 색채 또는 농담의 해석 기준을 제공하는 기존 색채 또는 기준농담이 표시된 참조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영역 및 상기 참조영역으로 된 이미지로부터 물리적인 또는 전자적인 코드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 인코딩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데이터는 실제로 목적하는 정보인 목적정보 또는 실제로 목적하는 정보가 위치한 기억장소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 인코딩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데이터를 암호화한 다음 인코딩하거나, 상기 목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변환시킨 다음 암호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 인코딩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이미지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영역에 포함된 목적데이터에 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이나 서비스에 관한 사항을 설정한 제어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 인코딩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이미지의 표시 모양 및 상기 데이터영역 및 상기 참조셀영역이 표시될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하고, 단위 셀의 크기, 벡터라인의 포함 여부를 포함하여, 상기 코드이미지의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 인코딩방법.
  12. 제7항에 기재된 인코딩방법에 의하여 목적데이터가 인코딩되어 생성된 코드이미지가 표시된 정보표시매체.
  13. 숫자, 기호를 포함한 인식가능한 각 문자에 대응하여 색채(color) 또는 농담(shade)을 다르게 매핑시킨 코드변환표를 저장하는 저장부;
    인코딩하고자하는 목적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인코딩하여 데이터영역에 표시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이터영역 생성부;
    상기 데이터영역에 표시될 색채 또는 농담의 해석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이 표시된 참조영역을 설정하는 참조영역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영역 및 상기 참조영역으로 된 이미지로부터 물리적인 또는 전자적인 코드이미지를 생성하는 코드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 인코딩장치.
  14. 색채나 농담에 따라 목적데이터가 인코딩되어 이미지로 표시된 데이터영역 및 상기 데이터영역에 표시된 색채나 농담의 해석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이 표시된 참조영역을 구비하는 코드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코드이미지로부터 데이터영역 및 참조영역을 구분하여 식별하는 단계;
    상기 참조영역에 표시된 상기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을 근거로 상기 데이터영역에 표시된 각 셀의 색채 또는 농담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영역의 각 셀에 대해 판별된 색채 또는 농담에 따라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디코딩하여 숫자, 기호를 포함하는 인식가능한 문자로 된 목적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 디코딩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이미지를 입력받은 다음 상기 코드이미지의 입력상태에 따른 위치 및 방향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 디코딩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목적데이터가 실제로 목적하는 정보가 위치한 기억장소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목적데이터에 의하여 정해진 기억장소의 위치에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 디코딩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이미지에 상기 목적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이나 서비스에 관한 사항을 설정한 제어정보가 더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명령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 디코딩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단계는
    상기 데이터영역과 상기 참조셀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 디코딩방법.
  19. 숫자, 기호를 포함한 인식가능한 각 문자에 대응하여 색채(color) 또는 농담(shade)을 다르게 매핑시킨 코드변환표를 저장하는 저장부;
    목적데이터가 표시된 데이터영역 및 상기 데이터영역의 해석 기준을 제공하는 참조영역을 구비하는, 상기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인코딩된 코드이미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코드이미지로부터 데이터영역 및 참조영역을 구분하여 식별하고, 상기 참조영역에 표시된 상기 기준색채 또는 기준농담을 근거로 상기 데이터영역에 표시된 각 셀의 색채 또는 농담을 판별하는 정보식별부;
    상기 데이터영역의 각 셀에 대해 판별된 색채 또는 농담에 따라 상기 코드변환표에 의하여 디코딩하여 숫자, 기호를 포함하는 인식가능한 문자로 된 목적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장치.
  20. 제7항 또는 제14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1.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기계로 판독가능하도록 형성된 코드(machine readable code for representing information)에 있어서,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형성된 이미지영역; 및
    상기 이미지영역을 물리적으로 구분한 적어도 둘의 셀을 구비하며,
    상기 셀에는 숫자, 기호를 포함한 인식가능한 문자를 색채 또는 농담이 다르게 인코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영역의 셀에는 색채 또는 농담 뿐만 아니라 벡터라인을 포함하는 무늬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셀을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구분하여 색채 또는 농담을 다르게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
KR1020000062597A 1999-11-13 2000-10-24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와 그 코드의 인코딩/디코딩 방법및 장치 KR10034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1810879.2A CN1200385C (zh) 2000-05-09 2001-05-08 编码和解码机器可读码的方法和设备
PCT/KR2001/000742 WO2001086582A1 (en) 2000-05-09 2001-05-08 Machine readable code and method and device of encoding and decoding the same
ES01932333T ES2341607T3 (es) 2000-05-09 2001-05-08 Metodo y dispositivo de codificacion y descodificacion.
AT01932333T ATE453166T1 (de) 2000-05-09 2001-05-08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codierung und decodierung
DE60140867T DE60140867D1 (de) 2000-05-09 2001-05-08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codierung und decodierung
EP01932333A EP1287483B1 (en) 2000-05-09 2001-05-08 Method and device of encoding and decoding
CA002408454A CA2408454C (en) 2000-05-09 2001-05-08 Machine readable code and method and device of encoding and decoding the same
AU5886801A AU5886801A (en) 2000-05-09 2001-05-08 Machine readable code and method and device of encoding and decoding the same
TW090110959A TW541502B (en) 2000-05-09 2001-05-08 Machine readable code and method and device of encoding and decoding the same
RU2002129878/09A RU2251734C2 (ru) 2000-05-09 2001-05-08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ко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дирования и декодировани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477 1999-11-13
KR19990050477 1999-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212A true KR20010051212A (ko) 2001-06-25
KR100341504B1 KR100341504B1 (ko) 2002-06-21

Family

ID=1962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597A KR100341504B1 (ko) 1999-11-13 2000-10-24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와 그 코드의 인코딩/디코딩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195536A (ko)
KR (1) KR10034150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55B1 (ko) * 2002-07-19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컬러코드의 인코딩 방법
KR100608204B1 (ko) * 2004-06-17 2006-08-02 (주)엠비원 로고가 삽입된 패턴코드 및 그의 인코딩 및 그의 디코딩방법
KR100701292B1 (ko) * 2004-08-17 2007-03-29 (주)아이미디어아이앤씨 이미지 코드 및 그 인식방법과 장치
KR100702292B1 (ko) * 2005-05-03 2007-03-30 (주)아이미디어아이앤씨 이미지 코드 및 그의 인식방법과 인식장치
KR100729824B1 (ko) * 2005-11-03 2007-06-18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이미지 코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미지 코드 디코딩장치 및 그 방법
KR100914515B1 (ko) * 2006-06-23 2009-09-02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색상 기반 이미지 코드의 색상 판별 방법
KR101227887B1 (ko) * 2012-12-10 2013-01-30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인쇄물 상에 표시된 코드 판독 방법
KR101332343B1 (ko) * 2011-05-30 2013-11-2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패턴 이미지 중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6520B2 (ja) 2003-01-30 2007-10-24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二次元情報コードおよびその生成方法
KR100758445B1 (ko) 2003-03-10 2007-09-14 유겐가이샤 아듀. 넥 컬러 도트 코드 시스템
US7751585B2 (en) * 2004-06-28 2010-07-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high density geometric symbol set
JP4996461B2 (ja) * 2004-06-28 2012-08-08 アノト アクティエボラーク データのコーディングおよび復号化
US20060274952A1 (en) * 2004-07-22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colored two-dimensional barcode, image display apparatus thereof,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display method, decoding metho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CA2586274C (en) * 2004-11-05 2012-07-17 Colorzip Media, Inc. Mixed cod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he sam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the same
CN101198968B (zh) 2005-06-17 2010-05-19 阿诺托股份公司 用于组合位置和信息码的方法和系统
KR100746641B1 (ko) * 2005-11-11 2007-08-06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동영상 이미지 코드와 동영상 이미지 코드 생성/디코딩장치 및 그 방법
JP4892729B2 (ja) * 2005-12-14 2012-03-07 国立大学法人豊橋技術科学大学 テクスチャ画像への情報埋め込み方法および情報読み込み方法ならびにテクスチャ画像への情報埋め込み装置および情報読み込み装置
JP4029411B1 (ja) * 2006-06-30 2008-01-09 ビーコア株式会社 光学式シンボル及びそれが付された物品並びに光学式シンボルを物品に付す方法及び光学式シンボルのデコード方法。
JP4910011B2 (ja) * 2009-03-24 2012-04-04 ビーコア株式会社 光学式シンボル及びそれを付した物品
WO2011040032A1 (ja) * 2009-09-30 2011-04-07 株式会社シフト 二次元コード,二次元コードリーダおよびプログラム
JP4724801B1 (ja) 2010-07-30 2011-07-13 株式会社シフト 二次元コードリーダおよびプログラム
JP4724802B1 (ja) 2010-07-30 2011-07-13 株式会社シフト 二次元コードリーダおよびプログラム
JP5319637B2 (ja) * 2010-09-30 2013-10-16 株式会社シフト 二次元コード、エンコード装置、エンコードプログラムおよび二次元コードリーダ
KR101680581B1 (ko) 2012-04-16 2016-11-2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관리 시스템
JP6136357B2 (ja) 2013-02-25 2017-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分光測定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カラー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US10235596B2 (en) 2013-11-06 2019-03-19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using image code, outputting image code on display device, and decoding image code
KR101578287B1 (ko) * 2014-04-03 2015-12-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시스템, 영상 코드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영상 코드를 복호하는 방법
KR101491342B1 (ko) * 2013-11-06 2015-02-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데이터를 나타내는 영상 코드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KR101496049B1 (ko) * 2013-11-21 2015-02-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JP7311831B2 (ja) * 2014-12-09 2023-07-20 秋吉 神村 情報表示ラベル
KR101645136B1 (ko) * 2015-07-28 2016-08-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화면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색상 코드를 출력하는 방법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KR102066391B1 (ko) * 2017-11-16 2020-01-15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입체기반 다차원 심볼로지 시스템의 정보 삽입 장치 및 방법
CN112711781A (zh) * 2021-01-14 2021-04-27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基于显示屏的信息加密和解密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533615B1 (ko) * 2021-12-29 2023-05-16 전범식 스마트폰 카메라 원거리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3진법 rgb 바코드 및 그를 생성하는 컬러 바코드 생성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55B1 (ko) * 2002-07-19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컬러코드의 인코딩 방법
KR100608204B1 (ko) * 2004-06-17 2006-08-02 (주)엠비원 로고가 삽입된 패턴코드 및 그의 인코딩 및 그의 디코딩방법
KR100701292B1 (ko) * 2004-08-17 2007-03-29 (주)아이미디어아이앤씨 이미지 코드 및 그 인식방법과 장치
KR100702292B1 (ko) * 2005-05-03 2007-03-30 (주)아이미디어아이앤씨 이미지 코드 및 그의 인식방법과 인식장치
KR100729824B1 (ko) * 2005-11-03 2007-06-18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이미지 코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미지 코드 디코딩장치 및 그 방법
KR100914515B1 (ko) * 2006-06-23 2009-09-02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색상 기반 이미지 코드의 색상 판별 방법
KR101332343B1 (ko) * 2011-05-30 2013-11-2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패턴 이미지 중계 방법
KR101227887B1 (ko) * 2012-12-10 2013-01-30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인쇄물 상에 표시된 코드 판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1504B1 (ko) 2002-06-21
JP2001195536A (ja) 200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504B1 (ko)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와 그 코드의 인코딩/디코딩 방법및 장치
US7020327B2 (en) Machine readable code image and method of encoding and decoding the same
CA2408454C (en) Machine readable code and method and device of encoding and decoding the same
EP1158456B1 (en) Barcode system
US7965422B2 (en) Super resolution encoded microprinting through postscript
KR102503880B1 (ko) 머신 판독 가능 보안 마크 및 이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US20080180753A1 (en) System for managing flexible copying with information leakage prevented and/or detected
JP2007501976A (ja) 紙または他のキャリヤ上の背景のデータチャネル
KR101536274B1 (ko) 화상형성장치, 그 화상처리방법, 및 화상형성시스템
KR100353872B1 (ko) 기계로 인식가능한 코드 및 그 인코딩/디코딩 방법
KR100447762B1 (ko) 서적 등에 부가된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Juan et al. Graphic qr code with the second hidden qr code by codeword rearrangement
JP2007293612A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および、電子機器
Safonov et al. Embedding digital hidden data into hardcopy
KR100409270B1 (ko) 물리적으로 표현된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서비스 방법및 그 장치
JP4144511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7249774A (ja) 文字色判別装置、文字色判別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U2001258868B2 (en) Machine readable code and method and device of encoding and decoding the same
JP4158681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KR100553890B1 (ko) 양식문서 인쇄방법
JP2008097422A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0390928B1 (ko) 물리적으로 표현된 우편이미지를 이용한 우편주소 서비스방법 및 그 장치
AU2001258868A1 (en) Machine readable code and method and device of encoding and decoding the same
JP2007004249A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方法、コードイメージエンコーディング方法、コードイメージデコーディング方法、および、機械で認識できるコード
JP2004336218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G171 Publication of correction by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