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951A - 송수신기 - Google Patents

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951A
KR20010050951A KR1020000059698A KR20000059698A KR20010050951A KR 20010050951 A KR20010050951 A KR 20010050951A KR 1020000059698 A KR1020000059698 A KR 1020000059698A KR 20000059698 A KR20000059698 A KR 20000059698A KR 20010050951 A KR20010050951 A KR 20010050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ransmission line
circuit
conducto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0687B1 (ko
Inventor
간노스스무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50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5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전환을 위한 부품점수를 적게 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함과 더불어, 수신회로 및 송신회로를 구성하는 프린트기판의 공간을 적게 하여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안테나(1)와, 송신회로(4)와, 수신회로(5)와, 송신회로(4)를 안테나(1)에 접속하는 제 1 전송선로(2)와, 수신회로(5)를 안테나(1)에 접속하는 제 2 전송선로(3)를 구비하고, 제 1 전송선로(2)의 길이를 송신 주파수 파장의 대략 1/4로 하고, 제 2 전송선로(3)의 길이를 수신 주파수 파장의 대략 1/4로 하였다.

Description

송수신기{TRANSMITTER-RECEIVER}
본 발명은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가 동일하며, 안테나를 공유하는 데이터전송용 등의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송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송신회로(31)와 수신회로(32)가 안테나 전환회로(33)를 개재하여 안테나(34)에 접속된다. 안테나 전환회로(33)는 송신회로(31) 및 수신회로(32)와 더불어 프린트기판(도시 생략)상에 구성된다.
안테나 전환회로(33)는 기본적으로는 송수신 주파수에 대하여 l/4파장 길이인 전송선로(33a)와 2개의 스위치 다이오드(33b, 33c)를 가지고 있다. 전송선로 (3a)는 프린트기판상에 부착된 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전송선로(33a)의 한쪽 끝과 제 1 스위치 다이오드(33b)의 캐소드가 서로 접속되고, 그 접속점이 안테나 (34)에 접속된다. 또 전송선로(33a)의 다른쪽 끝에 제 2 스위치 다이오드(33c)의 애노드가 접속되고, 그 캐소드는 접지된다. 그리고 송신회로(31)의 출력단이 제 1스위치 다이오드(33b)의 애노드에 접속되고, 수신회로(32)의 입력단이 전송선로 (33a)의 다른쪽 끝에 접속된다.
그리고 송신시에는 제 1 스위치 다이오드(33b)의 애노드에 초크인덕터(33d)를 개재하여 송신 또는 수신의 전환전압을 인가한다. 그렇게 하면, 제 1 스위치 다이오드(33b)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33c)가 도통한다. 이 상태에서 송신회로 (31)로부터 출력된 송신신호가 제 1 스위치 다이오드(33b)를 통과하여 안테나(34)에 출력된다. 이 때 제 2 스위치 다이오드(33c)도 도통하고 있기 때문에 전송선로 (33a)측에 입력된 송신신호는 제 2 스위치 다이오드(33c)에 의해 전반사되어 수신회로(32)에는 입력되지 않는다.
한편 수신시에는 제 1 스위치 다이오드(33b)의 애노드에 전환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그렇게 하면, 제 1 스위치 다이오드(33b)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 (33c)는 비도통이 된다. 따라서 안테나(34)로 수신된 신호는 송신회로(31)에 입력되는 일 없이 전송선로(33a)를 경유하여 수신회로(32)에 입력된다.
종래의 송수신기에서는, 안테나 전환회로(33)가 2개의 스위치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또 전환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초크인덕터를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프린트기판에는 이들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어 프린트기판이 커지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었다.
또 사용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그 만큼 고비용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송수신기는 안테나 전환을 위한 부품수를 적게 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함과 더불어, 수신회로 및 송신회로를 구성하는 프린트기판의 공간을 적게 하여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송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송수신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송수신기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송수신기에 사용하는 안테나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송수신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송수신기에 사용하는 안테나 블록의 등가회로도,
도 7은 종래의 송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제 1 전송선로
3 : 제 2 전송선로 4 : 송신회로
5 : 수신회로 6 : 제 1 스위치 다이오드
7 : 제 2 스위치 다이오드 10 : 안테나 블록
11 : 유전체 블록 11a : 상면
11b, 11c : 측면 11d : 하면
12 : 제 1 띠형상 도체 12a : 제 1 단자
12b : 제 4 단자 12c : 종단 콘덴서
13 : 제 2 띠형상 도체 13a : 제 2 단자
14 : 제 3 띠형상 도체 14a : 제 3 단자
20 : 프린트기판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송수신기는 안테나와, 송신회로와, 수신회로와, 상기 송신회로를 상기 안테나에 접속하는 제 1 전송선로와, 상기 수신회로를 상기 안테나에 접속하는 제 2 전송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송선로의 길이를 송신 주파수 파장의 대략 1/4로 하고, 상기 제 2 전송선로의 길이를 수신 주파수 파장의 대략 1/4로 하였다.
또 본 발명의 송수신기는 상기 제 1 전송선로와 상기 송신회로의 접속점을 그라운드에 션트하는 제 1 스위치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다이오드를 송신시에 오프, 수신시에 온으로 하였다.
또 본 발명의 송수신기는 상기 제 2 전송선로와 상기 수신회로의 접속점을 그라운드에 션트하는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수신시에 오프, 송신시에 온으로 하였다.
또 본 발명의 송수신기는 직육면체의 유전체 블록을 가지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제 1 띠형상 도체와, 상기 제 1 띠형상 도체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2 및 제 3 띠형상 도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띠형상 도체를 상기 안테나로 하고, 상기 제 2 띠형상 도체를 상기 제 1 전송선로로 하며, 상기 제 3 띠형상 도체를 상기 제 2 전송선로로 하였다.
또 본 발명의 송수신기는 상기 제 1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2 단자와 상기 제 3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3 단자를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형성하고, 상기 송신회로와 상기 수신회로를 구성하는 프린트기판을 가지며,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상기 유전체블록을 탑재하여 상기 제 1 단자를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설치한 접지도체에 접속하고, 상기 제 2 단자를 상기 송신회로에 접속하고, 상기 제 3 단자를 상기 수신회로에 접속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송수신기의 블록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안테나(1)에는 제 1 전송선로(2)와 제 2 전송선로(3)가 접속되고, 송신회로(4)는 제 1 전송선로(2)를 직렬로 거쳐서 안테나(1)에 접속되고, 수신회로(5)는 제 2 전송선로(3)를 직렬로 거쳐서 안테나에 접속된다.
송신회로(4) 및 수신회로(5)는 프린트기판(도 5의 20 참조)상에 구성된다. 또 제 1 전송회로(2) 및 제 2 전송선로(3)는 예를 들어 프린트기판상에 부착된 도체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전송선로(2)의 길이는 송신 주파수 파장의 대략 l/4로 설정되고, 제 2 전송선로(3)의 길이는 수신 주파수 파장의 대략 1/4로 설정된다. 따라서 수신 주파수와 송신 주파수가 동일하면 그들의 길이는 같아진다.
안테나(1)는 통상 1/2 파장 또는 1/4 파장 길이의 선로로 구성되고, 임피던스는 그 길이에 따라 다르며, 예를 들어 1/2 파장이면 대략 73 Ω, l/4 파장이면 절반인 36 Ω이 된다. 또 일반적으로 회로시스템[수신회로(4), 송신회로(5) 등]의 입력 또는 출력임피던스는 50 Ω으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Zi=(Z0×R)1/2가 되기 때문에 제 1 전송선로(4)와 제 2 전송선로(5)의 특성 임피던스를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안테나(1)의 임피던스와 송신회로(4)의 출력임피던스를 정합시킬 수 있고, 마찬가지로 안테나(1)의 임피던스와 수신회로(5)의 입력임피던스를 정합시킬 수 있다 [단, 상기 식에서 Zin은 안테나(1)와 전송선로(2, 3)의 접속점에서 송신회로(4)또는 수신회로(5)측을 본 임피던스, Z0는 전송선로(2, 3)의 특성임피던스, R은 송신회로 (4)의 출력임피던스 또는 수신회로(5)의 입력임피던스이다].
그리고 수신시에는 안테나(1)에서 수신한 수신신호는 제 2 전송선로(3)를 거쳐서 수신회로(5)에 입력되나, 수신신호는 제 1 전송선로(2)로도 분기되어 그것이 송신회로(4)의 출력단에 입력된다. 그 결과 수신회로(5)의 입력단에서는 수신신호가 약간(대략 3 dB)저하하나, 실용상은 문제가 없다. 또 송신회로(4)에 있어서는 수신신호는 그 출력단에 입력되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가 없으나, 수신시에는 송신회로(4)에 대한 전원전압의 공급이 정지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혀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수신회로(5)에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레벨저하가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송선로(2)와 송신회로(4)의 접속점을 제 1 스위치 다이오드(6)에 의해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수신시에 이 스위치 다이오드(6)를 온시키고, 송신시에 오프시키도록 하면, 송신회로(4)에 입력되는 수신신호는 전반사되기 때문에 수신회로(5)의 입력단에서의 레벨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송신시에는 송신회로(4)로부터 출력된 송신신호가 제 1 전송선로(2)를 개재하여 안테나(1)에 입력된다. 이 때 송신신호의 일부가 제 2 전송선로(3)측으로 분기되고 그것이 수신회로(5)에 입력되나, 송신시에는 수신회로(5)에 공급하는 전원전압이 공급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회로(5)에 있어서 문제를 생기게 하는 일은 없다. 또 제 2 전송선로(3)로 분기함으로써 안테나(1)로부터 방사하는 송신파워가 약간(대략 3 dB)저하하나, 대개 문제가 되는 일은 없고 송신회로(4)의 출력파워를 높임으로써 출력저하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전송선로(3)와 수신회로(5)의 접속점과 그라운드와의 사이에 제 2 스위치 다이오드(7)를 접속하여 송신시에 이 스위치 다이오드(6)를 온시키고, 수신시에 오프시키도록 하면 수신회로(5)의 입력단에서 송신신호가 전반사하여 출력파워의 저하가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송수신기에 사용하는 안테나(1)와 제 1 전송선로(2)와 제 2 전송선로(3)를 유전체 블록상에 형성하여 하나의 블록부품으로서 구성한 안테나블록(10)의 사시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직육면체형상 또는 평판형상의 유전체 블록(11)은 유전손실이 적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유전체 블록(11)의 상면(11a), 대향하는 측면(11b, 11c), 하면(11d)에는 은페이스트를 인쇄함으로써 띠형상의 제 1 도체(제 1 띠형상 도체)(12)와 띠형상의 제 2 도체(제 2 띠형상 도체)(13)와 띠형상의 제 3 도체(제 3 띠형상 도체)(14)가 형성된다. 제 1 띠형상 도체(12)의 길이는 송수신주파수의 대략 1/2 파장의 길이로 설정되어 안테나(1)를 구성한다.
또 제 2 띠형상 도체(13)와 제 3 띠형상 도체(14)는 제 1 띠형상 도체(12)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고, 그들의 길이는 송수신 주파수의 대략 1/4 파장의 길이로 설정되며, 제 2 띠형상 도체(13)가 제 1 전송선로(2)를 구성하고, 제 3 띠형상 도체(14)가 제 2 전송선로(3)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 1 띠형상 도체(12)의 한쪽의 끝부에 접속된 제 1 단자(12a)와, 제 2 띠형상 도체(13)의 끝부에 접속된 제 2 단자(13a)와, 제 3 띠형상 도체(14)의 끝부에 접속된 제 3 단자(14a)가 측면(11b)에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안테나 블록(1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회로(4) 및 수신회로(5)가 구성되는 프린트기판(20)상에 얹어 놓여진다.
그리고 송신회로(4)를 제 2 단자(13a)에 접속함으로써 제 1 전송선로(2)와 접속되며, 수신회로(5)를 제 3 단자(14a)에 접속함으로써 제 2 전송선로(3)와 접속된다.
또 제 1 단자(12a)는 프린트기판(10)상에 형성된 접지도체(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따라서 프린트기판(20)상에는 송신회로(4)와 수신회로(5)의 이외에는 안테나 블록(10)만을 탑재하는 것만으로 좋다.
또 안테나(1), 제 1 전송선로(2), 제 2 전송선로(3)가 유전체 블록(11)의 표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유전체블록(11)이 작더라도 필요로 하는 길이를 얻을 수 있어 소형화가 도모되고, 조립작업도 간단하게 된다.
또한 제 1 띠형상 도체(12)의 다른쪽의 끝부에 접속된 제 4 단자(12b)를 유전체 블록(11)의 측면(11)에 설치하여 두고, 제 4 단자(12b)를 종단콘덴서(12c)에 의해 접지도체에 접속하면(도 6 참조), 제 1 띠형상 도체(12)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송수신기는 안테나와, 송신회로와, 수신회로와, 송신회로를 안테나에 접속하는 제 1 전송선로와, 수신회로를 안테나에 접속하는 제 2 전송선로를 구비하고, 제 1 전송선로의 길이를 송신 주파수 파장의 대략 1/4로 하고, 제 2 전송선로의 길이를 수신 주파수 파장의 대략 1/4로 하였기 때문에 안테나와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의 사이에 안테나 전환회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송신과 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부품수를 줄여 비용절감을 할 수 있다. 또 제 1 전송선로와 제 2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적당하게 설정함으로써, 안테나와 송신회로, 안테나와 수신회로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송수신기는, 제 1 전송선로와 송신회로의 접속점을 그라운드에 션트하는 제 1 스위치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제 1 스위치 다이오드를 송신시에 오프, 수신시에 온으로 하였기 때문에, 수신회로에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레벨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송수신기는 제 2 전송선로와 수신회로의 접속점을 그라운드에 션트하는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수신시에 오프, 송신시에 온으로 하였기 때문에 안테나로부터 송출하는 송신신호의 레벨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송수신기는 직육면체의 유전체 블록을 가지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제 1 띠형상 도체와, 제 1 띠형상 도체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2 및 제 3 띠형상 도체를 형성하고, 제 1 띠형상 도체를 안테나로 하고, 제 2 띠형상 도체를 제 1 전송선로로 하며, 제 3 띠형상 도체를 제 2 전송선로로 하였기 때문에, 안테나와 제 1 전송선로와 제 2 전송선로를 안테나 블록으로 하여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어 소형화가 용이하고 비용도 절감된다.
또 본 발명의 송수신기는, 제 1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1 단자와 제 2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2 단자와 제 3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3 단자를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형성하고, 송신회로와 수신회로를 구성하는 프린트기판을 가지고 프린트기판상에 유전체 블록을 탑재하여, 제 1 단자를 프린트기판상에 설치한 접지도체에 접속하고, 제 2 단자를 송신회로에 접속하며 제 3 단자를 수신회로에 접속하였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간소하게 되고, 또 송수신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안테나와, 송신회로와, 수신회로와, 상기 송신회로를 상기 안테나에 접속하는 제 1 전송선로와, 상기 수신회로를 상기 안테나에 접속하는 제 2 전송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송선로의 길이를 송신주파수 파장의 대략 1/4로 하고, 상기 제 2 전송선로의 길이를 수신 주파수 파장의 대략 1/4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송선로와 상기 송신회로의 접속점을 그라운드에 션트하는 제 1 스위치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다이오드를 송신시에 오프, 수신시에 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송선로와 상기 수신회로의 접속점을 그라운드에 션트하는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수신시에 오프, 송신시에 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유전체 블록을 가지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제 1 띠형상 도체와, 상기 제 1 띠형상 도체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2 및 제 3 띠형상 도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띠형상 도체를 상기 안테나로 하고, 상기 제 2 띠형상 도체를 상기 제 1 전송선로로 하며, 상기 제 3 띠형상 도체를 상기 제 2 전송선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5. 제 2항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유전체 블록을 가지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제 1 띠형상 도체와, 상기 제 1 띠형상 도체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2 및 제 3 띠형상 도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띠형상 도체를 상기 안테나로 하고, 상기 제 2 띠형상 도체를 상기 제 1 전송선로로 하며, 상기 제 3 띠형상 도체를 상기 제 2 전송선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6. 제 3항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유전체 블록을 가지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제 1 띠형상 도체와, 상기 제 1 띠형상 도체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2 및 제 3 띠형상 도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띠형상 도체를 상기 안테나로 하고, 상기 제 2 띠형상 도체를 상기 제 1 전송선로로 하며, 상기 제 3 띠형상 도체를 상기 제 2 전송선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2 단자와 상기 제 3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3 단자를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형성하고, 상기 송신회로와 상기 수신회로를 구성하는 프린트기판을 가지며,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상기 유전체 블록을 탑재하고, 상기제 1 단자를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설치한 접지도체에 접속하며, 상기 제 2 단자를 상기 송신회로에 접속하고, 상기 제 3 단자를 상기 수신회로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2 단자와 상기 제 3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3 단자를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형성하고, 상기 송신회로와 상기 수신회로를 구성하는 프린트기판을 가지고,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상기 유전체 블록을 탑재하여, 상기제 1 단자를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설치한 접지도체에 접속하고, 상기 제 2 단자를 상기 송신회로에 접속하고 상기 제 3 단자를 상기 수신회로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2 단자와 상기 제 3 띠형상 도체의 끝부에 접속된 제 3 단자를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형성하고, 상기 송신회로와 상기 수신회로를 구성하는 프린트기판을 가지고,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상기 유전체 블록을 탑재하여, 상기제 1 단자를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설치한 접지도체에 접속하고, 상기 제 2 단자를 상기 송신회로에 접속하며, 상기 제 3 단자를 상기 수신회로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KR10-2000-0059698A 1999-10-12 2000-10-11 송수신기 KR100370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89661 1999-10-12
JP28966199A JP3652562B2 (ja) 1999-10-12 1999-10-12 送受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951A true KR20010050951A (ko) 2001-06-25
KR100370687B1 KR100370687B1 (ko) 2003-02-05

Family

ID=1774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698A KR100370687B1 (ko) 1999-10-12 2000-10-11 송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29095B1 (ko)
EP (1) EP1096595B1 (ko)
JP (1) JP3652562B2 (ko)
KR (1) KR100370687B1 (ko)
DE (1) DE6003709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9171B2 (en) 2011-07-19 2014-12-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F antenna switch circuit, high frequency antenna component,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2221A (ja) * 2001-01-30 2002-08-16 Alps Electric Co Ltd 送受信ユニット
JP2008072475A (ja) * 2006-09-14 2008-03-27 Alps Electric Co Ltd アンテナスイッチ回路
JP5344736B2 (ja) 2008-02-20 2013-11-20 太陽誘電株式会社 基材、通信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KR102590784B1 (ko) * 2018-07-05 2023-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송선로의 길이를 이용한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4534A (ja) * 1984-02-20 1985-09-07 Toyo Commun Equip Co Ltd アンテナ・スイツチ回路
JPH0295001A (ja) * 1988-09-30 1990-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波半導体スイッチ
CA2049597A1 (en) * 1990-09-28 1992-03-29 Clifton Quan Dielectric flare notch radiator with separate transmit and receive ports
JP3291846B2 (ja) 1992-07-08 2002-06-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スイッチ共用器
FI102121B1 (fi) * 1995-04-07 1998-10-15 Lk Products Oy Radiotietoliikenteen lähetin/vastaanotin
JPH10107534A (ja) * 1996-09-26 1998-04-24 Mitsubishi Materials Corp アンテナ
JP3216588B2 (ja) * 1996-11-21 2001-10-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
US5909641A (en) * 1997-02-24 1999-06-01 At&T Wireless Services Inc. Transmit/receive switch
JP3466079B2 (ja) 1997-03-12 2003-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共用器
JP3344333B2 (ja) * 1998-10-22 2002-11-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ィルタ内蔵誘電体アンテナ、デュプレクサ内蔵誘電体アンテナおよび無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9171B2 (en) 2011-07-19 2014-12-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F antenna switch circuit, high frequency antenna component,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7093T2 (de) 2008-09-11
JP2001111451A (ja) 2001-04-20
JP3652562B2 (ja) 2005-05-25
EP1096595A2 (en) 2001-05-02
US6529095B1 (en) 2003-03-04
KR100370687B1 (ko) 2003-02-05
EP1096595A3 (en) 2002-06-12
EP1096595B1 (en) 2007-11-14
DE60037093D1 (de)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9922B2 (en) High directivity multi-band coupled-line coupler for RF power amplifier
CN1135694C (zh) 滤波器件
EP0928038A1 (en) Two-frequency switch, device using two-frequency antenna in common,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for two-frequency bands using the device
EP0623967A1 (en) Antenna apparatus
US5896563A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witch comprising a circulator and an automatic changeover switch which includes an impedance circuit
EP1532745B1 (en) High frequency module
JP4531399B2 (ja) 送信及び/又は受信モジュール
JP4134282B2 (ja) アンテナ装置
KR19980071051A (ko) 송수신 전환 스위칭 장치
US6756859B2 (en) R.F. antenna switch for use with internal and external antennas
KR100512794B1 (ko) 필터 부품 및 통신기 장치
US20040225786A1 (en) Switching and connecting arrangement for coupling external and internal antennas for example with an expansion card
US4361905A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selected antennas to a radio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JP3163918B2 (ja) 高周波スイッチ
KR100370687B1 (ko) 송수신기
US6549086B2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with a balanced port and communication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EP0738023A2 (en) Antenna device
EP1492245B1 (en) Transmitting-receiving switch
US6070059A (en) High-frequency switch
US20030001690A1 (en)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36751C (zh) 不可逆电路装置、复合电子部件和配用它们的通信设备
KR19990015772A (ko) 매칭회로를 내장한 안테나 회로 및 그 회로 구현방법
JPH07249927A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
US884782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11398807B2 (en)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cable connect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