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560A -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560A
KR20010049560A KR1020000033156A KR20000033156A KR20010049560A KR 20010049560 A KR20010049560 A KR 20010049560A KR 1020000033156 A KR1020000033156 A KR 1020000033156A KR 20000033156 A KR20000033156 A KR 20000033156A KR 20010049560 A KR20010049560 A KR 20010049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pyrazole
group
carboxylic acid
formula
acid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924B1 (ko
Inventor
요시다케이
마쯔오신고
키타시마토시오
토미야칸지
코다카켄지
Original Assignee
사토 아키오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아키오,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아키오
Publication of KR20010049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1/38Nitr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하기 식(1)로 표시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는, 하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히드라진화합물 또는 그의 수화물, 염화수소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혹은 황산염을, 하기 반응식(C):
(식중, R1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이고, R2는 수소원자,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 또는 무치환 혹은 치환된 페닐기이고, R3은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이고, M은 알칼리금속임)에 따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는 농약 및 의약, 특히 살균제의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5-AMINOPYRAZOLE-4-CARBOXYLATE DERIVATIV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약 및 농약의 중요한 중간체인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에틸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또, 공지의 수법에 따른 디아조화 및 후속의 아미노기의 제거에 의해 농약용의 유용한 중간체인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에틸로 변환시킬 수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06866호).
피라졸골격을 지닌 각종 화합물은, 의약 및 농약, 특히 살균제로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피라졸골격을 지닌 화합물의 효율적인 제조방법의 개발이 강하게 요망되어 왔다. 특히,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는 이 분야의 중요한 제조중간체이다.
종래, 5-아미노피라졸유도체에 대한 각종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고특허공보 평6-503069호에는, 하기 식(5):
[식중, L은 C1 내지 C4(즉,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이고, R5는 수소원자 또는 무치환 또는 할로겐치환된 C1 내지 C4의 알킬기이고, R6은 시아노기, -CO-R7기 또는 -CS-R7기(여기서, R7은 수산기, C1 내지 C4의 알콕시기, 아미노기, C1 내지 C4의 알킬아미노기 또는 디(C1 내지 C4)의 알킬아미노기임)임]로 표시되는 시아노알케닐화합물을, 염기의 존재하, 하기 식(6):
[식중, R8은, C1 내지 C8의 알킬기 또는 C1 내지 C8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지니고 있어도 되고, 또한, 1 내지 3개의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C1 내지 C4의 알킬기,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할로겐화된 C1 내지 C4의 알콕시기, C1 내지 C4의 알킬티오기 또는 -NR9R10기(여기서, R9및 R10은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C4의 알킬기임)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페닐기이고, 상기 페닐기는 추가적으로 총 4 또는 5개의 할로겐원자를 지녀도 됨]으로 표시되는 히드라진화합물과 축합시켜서 각종 5-아미노피라졸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J. Heterocycl. Chem. 12 1199-1205(1975)에는, 하기 반응식(A):
(식중, R11은 페닐기, p-치환페닐기 또는 p-치환벤질기이고, R12는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하이드록시에틸기임)에 따라 4-시아노-5-아미노피라졸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
이들 방법에 있어서는, 히드라진유도체와의 축합에 사용되는 시아노알켄유도체는 β-알콕시아크릴로니트릴유도체이다.
상기 식(5)에 있어서의 L부분(제거기)상의 알콕시기이외의 치환기의 예가, Zh. Khim. 17, No. 2, 268-272(1981)에 기재되어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하기 반응식(B):
에 따라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제조하고 있다.
즉, 3-하이드록시-2-엔-카르복시실레이트의 알칼리금속염을 5염화인으로 염소화하고 나서, 얻어진 2-클로로시아노알켄유도체를 히드라진유도체와 반응시킴으로써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를 제조하고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아미노피라졸유도체의 이성질체가 생성되는 경향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의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제조방법에서는, 제거기로서 알콕시기 또는 염소원자를 사용하므로, 원료인 시아노알켄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업적으로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 이성질체를 형성하는 경향이 낮은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신규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신규의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입수용이한 카르복시산에스테르화합물과 시아노아세트산에스테르화합물로부터 공지의 수법에 의해 간단히 제조할 수 있는 2-시아노-3-하이드록시-2-엔-카르복실레이트의 알칼리금속염과 히드라진화합물을 직접 반응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목적물인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하기 식(1):
(식중, R1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이고, R2는 수소원자,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 또는 무치환 혹은 치환된 페닐기이고, R3은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임)로 표시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기 식(2):
(식중, R1및 R3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표시하고, M은 알칼리금속이고, 구불구불한 선은 상기 식(2)의 화합물이 E-이성질체 또는 Z-이성질체의 어느 한 쪽으로 제한되지 않은 것을 표시하는 단일결합임)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식(3):
(식중, R2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표시함)으로 표시되는 히드라진화합물 또는 그의 수화물, 염화수소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혹은 황산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하기 식(4):
(식중, R2a는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이고, R3a는 수소원자 또는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복소고리화합물의 제조에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알칼리금속염을 이용하는 점에서 상당히 독특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기 식(1)로 표시되는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은, 하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히드라진유도체 또는 그의 수화물 또는 염을 , 필요에 따라 용매의 존재하에, 하기 반응식(C):
에 따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에놀호변이성질체의 형태로 알칼리금속염으로서 표시된다. 2종의 이성질체, 즉, E-이성질체와 Z-이성질체는 상기 알칼리금속염에 존재한다. 동시에, 호변이성질체는, 케토-에놀평형에 의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케토호변이성질체의 알칼리금속염의 존재도 하기 반응식(D):
(식중, M은 알칼리금속원자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3종의 이성질체의 어느 것이라도 반응에 사용할 수 있고, 또, 이들 이성질체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2)에 있어서, M은 알칼리금속원자,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원자이다.
상기 식(1)에서 R1로 표시된 기는, 무치환 또는 할로겐치환된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이다. 대표적인 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클로로메틸기, 디클로로메틸기, 트리클로로메틸기, 펜타클로로에틸기, 헵타클로로프로필기, 브로모메틸기, 디브로모메틸기, 트리브로모메틸기, 플루오로메틸기, 디플로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및 펜타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의 존재는,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높은 안정성의 점에서, 상기 기는, 바람직하게는 불소치환된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다.
R2로 표시되는 기의 예로서는,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등의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 및 무치환 혹은 치환된 페닐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기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등의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이다.
R3으로 표시되는 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등의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이다.
사용되는 히드라진유도체의 염은, 바람직하게는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또는 옥살산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황산염이다.
반응은 필요에 따라 불활성 용매 또는 희석제중에서 행할 수 있다. 대표적인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류;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메탄, 2-메톡시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이소프로필, 아세트산 부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탄산 디메틸, 탄산 디에틸, 탄산 디페닐 등의 탄산에스테르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4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1-메틸-2-피롤리딘 등의 극성 용매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용매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식(2)로 간단히 표시되는 화합물은, 식(3)으로 표시되는 히드라진화합물, 또는 그의 수화물, 염화수소산염, 브롬화수소산염 또는 황산염과 산의 부재하에 반응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반응은 산의 존재하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산의 예로서는, 염화수소산, 황산, 인산, 붕산 등의 무기산류;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핀온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펜타플루오로프로피온산 등의 유기산류; 메탄술폰산 등의 유기술폰산류; 5산화인, 이산화황가스 등의 산성산화물류; 황산수소나트륨, 황산수소칼륨 등의 황산수소염류; 염화아연 등의 루이스산류; 제올라이트 등의 고체산류; 및 이온교환수지류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산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펜타플루오로프로피온산 등의 플루오르화카르복시산이다.
또, 반응계에 탈수기능을 지닌 무수황산마그네슘, 무수황산나트륨, 몰리큘라시브, 제올라이트 등의 물질(탈수제)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첨가가능한 기타 물질로서는,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아이오다이드,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로라이드 등의 4급암모늄염류; 및 12-크라운-4, 15-크라운-5 및 18-크라운-6 등의 크라운-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응에 적용되는 출발물질은 화학량론적인 양으로 사용된다. 이들 물질중 하나를 과잉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은, 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의 온도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매의 비점에서 대기압하 또는 용매의 고유증기압하에 행한다.
반응시간은 5분 내지 72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8시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출발물질인 식(2)의 화합물은, 입수용이한 카르복시산에스테르화합물과 시아노아세트산에스테르화합물로부터 공지의 수법에 의해 용이하게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시판되는 식(3)의 히드라진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는, 수산화나트륨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 가수분해에 의해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유도체로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 즉, 피라졸기의 3위치에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지닌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유도체는 신규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화합물이 일본국 공표공보 평6-503069호에 있어서 일반식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해서는 특별히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 이유는, 식(5)에서 R5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고, L이 알콕시기인 화합물, 즉, 식(1)의 원료를 제조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상, 상기 원료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개시를 발견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각종 실시예 및 참조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에틸 2-시아노-3-하이드록시-4,4,4-트리플루오로-2-부테노에이트 나트륨염의 합성
나트륨금속 24.0g(1.04몰)을 에탄올 400㎖에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에, 실온에서 교반하에 시아노아세트산 에틸 113.1g(1.00몰)을 적하하였다. 1시간 교반후, 이 반응혼합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에틸 150.0g(1.05몰)을 적하하고, 동일온도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종료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그대로 농축하엿다. 석물된 고형물은 목적물이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에틸 2-시아노-3-하이드록시-4,4,4-트리플루오로-2-부테노에이트 나트륨염은 221.86g으로, 수율은 96%였다. NMR분석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H-NMR(아세톤-d6, δppm): 1.21(3H, t, J=6.9Hz), 4.09(2H, q, J=6.9Hz)
실시예 1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에틸의 합성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에틸 2-시아노-3-하이드록시-4,4,4-트리플루오로-2-부테노에이트 나트륨염 2.31g(10밀리몰) 과 메틸히드라진술페이트 2.88g(20밀리몰)을 탄산디메틸 20㎖에 현탁시킨 후, 얻어진 현탁액을 80℃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석출된 고형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부터 재결정하였다. 목적으로 하는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에틸 0.95g을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수율은 40%였다. 이 화합물중에 이성질체의 오염이 없는 것이 가스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확인되었다. NMR분석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H-NMR(CDCl3, δppm): 1.34(3H, t, J=7.3Hz), 3.67(3H, s),
4.30(2H, q, J=7.3Hz), 5.24(2H, br)
융점: 120 - 121℃
실시예 2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에틸의 합성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에틸 2-시아노-3-하이드록시-4,4,4-트리플루오로-2-부테노에이트 나트륨염 2.31g(10밀리몰), 메틸히드라진술페이트 2.88g(20밀리몰) 및 몰리큘라시브 3A 3.0g을 탄산디메틸 20㎖에 현탁시킨 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14g을 첨가한 후, 해당 혼합물을 80℃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반응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분리된 고형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부터 재결정하였다. 목적으로 하는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에틸 2.02g을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수율은 85%였다. 이 화합물중에 이성질체의 오염이 없는 것이 가스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확인되었다. NMR분석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H-NMR(CDCl3, δppm): 1.34(3H, t, J=7.3Hz), 3.67(3H, s),
4.30(2H, q, J=7.3Hz), 5.24(2H, br)
융점: 120 - 121℃
실시예 3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메틸의 합성
참고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메틸 2-시아노-3-하이드록시-4,4,4-트리플루오로-2-부테노에이트 나트륨염을 제조하고, 실시예 2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반응시켜, 목적물인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메틸을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수율은 82%였다. NMR분석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H-NMR(CDCl3, δppm): 3.66(3H, s), 3.82(3H, s), 5.92(2H, br)
융점: 164 - 165℃
실시예 4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이소프로필의 합성
참고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소프로필 2-시아노-3-하이드록시-4,4,4-트리플루오로-2-부테노에이트 나트륨염을 제조하고, 실시예 2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반응시켜, 목적물인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이소프로필을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수율은 75%였다. NMR분석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H-NMR(CDCl3, δppm): 1.31(6H, d, J=7.2), 3.66(3H, s), 5.09-5.21(2H, m)
융점: 108 - 110℃
실시예 5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의 합성
물 10㎖에,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에틸 2.37g(10밀리몰) 및 수산화 나트륨 0.44g(11밀리몰)을 첨가하고, 60℃에서 10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반응혼합물을 톨루엔으로 세정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에, 진한 염산을 첨가해서 pH를 1로 조정하였다. 석출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으로 하는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1.78g을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수율은 85%였다. NMR분석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H-NMR(DMSO-d6, δppm): 3.61(3H, s), 6.55(2H, br), 12.40(1H, br)
융점: 216 - 218℃
비교예 1
2-시아노-3-하이드록시-4,4,5,5,5-펜타플루오로-2-펜텐산 에틸의 합성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에, 시아노아세트산 에틸 3.39g(30밀리몰) 및 트리에틸아민 6.06g(60밀리몰)을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펜타플루오로프로피오닐클로라이드 5.47g(30밀리몰)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그러나, 목적물의 생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에틸의 합성
에탄올 9㎖에, 3-클로로-2-시아노-4,4,4-트리플루오로-2-부텐산 에틸 3.0g(13.2밀리몰)을 교반하에 첨가하고, 72℃까지 데웠다. 이와 별도로, 에탄올 6㎖에 메틸히드라진 0.61g(13.2밀리몰) 및 트리에틸아민 1.34g(13.2밀리몰)을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에 25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2.5시간후, 반응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목적물인 5-아미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 에틸이 47%의 수율로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 때, 이성질체, 즉, 4-시아노-5-하이드록시-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 및 4-시아노-3-하이드록시-1-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도 각각 반응수율 42% 및 5%로 발견되었다(하기 반응식(E) 참조). 이들 이성질체의 간단한 방법에 의한 분리는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식(1)로 표시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신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입수용이하고 취급이 용이한 원료를 사용하고, 종래 공업적인 제조방법의 문제점인 이성질체의 생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성질체가 존재하더라도, 본 발명의 방법은 간단한 분리절차를 특징으로 하므로, 제조공정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4)로 표시되는 신규의 5-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는, 의약 및 농약, 특히 살균제의 중요한 중간체이다.

Claims (9)

  1. 하기 식(1):
    (식중, R1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이고, R2는 수소원자,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 또는 무치환 혹은 치환된 페닐기이고, R3은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임)로 표시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기 식(2):
    (식중, R1및 R3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표시하고, M은 알칼리금속이고, 구불구불한 선은 상기 식(2)의 화합물이 E-이성질체 또는 Z-이성질체의 어느 한 쪽으로 제한되지 않은 것을 표시하는 단일결합임)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식(3):
    (식중, R2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표시함)으로 표시되는 히드라진화합물 또는 그의 수화물, 염화수소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혹은 황산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산의 존재하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탈수제의 존재하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불소치환된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2는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R2는 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은 나트륨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의 제조방법.
  9. 하기 식(4):
    (식중, R2a는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이고, R3a는 수소원자 또는 직사슬 혹은 분기형상의 C1 내지 C4의 알킬기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
KR1020000033156A 1999-06-18 2000-06-16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352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203199 1999-06-18
JP1999-172031 1999-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560A true KR20010049560A (ko) 2001-06-15
KR100352924B1 KR100352924B1 (ko) 2002-09-16

Family

ID=1593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156A KR100352924B1 (ko) 1999-06-18 2000-06-16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235911B1 (ko)
EP (1) EP1067121B1 (ko)
KR (1) KR100352924B1 (ko)
CN (1) CN1154639C (ko)
AT (1) ATE396975T1 (ko)
BR (1) BR0002637A (ko)
DE (1) DE60039006D1 (ko)
DK (1) DK1067121T3 (ko)
ES (1) ES2306642T3 (ko)
HU (1) HUP0002028A3 (ko)
IL (1) IL136360A (ko)
PT (1) PT1067121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49622A (en) 2006-03-22 2013-09-13 Hoffmann La Roche Pyrazoles as 11-beta-hsd-1
US8809344B2 (en) 2008-10-29 2014-08-19 Apath, Llc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 of hepatitis C viral infec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3069A (en) * 1979-11-16 1981-06-17 Morishita Seiyaku Kk Pyrazolecarboxylic acid derivative
US5547974A (en) * 1985-12-20 1996-08-20 Rhone-Poulenc Agriculture Ltd. Derivatives of N-phenylpyrazoles
DE19507915A1 (de) * 1995-03-07 1996-09-12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yrazolen
JPH10182615A (ja) * 1996-05-29 1998-07-07 Japan Energy Corp 新規ピラゾール誘導体及びその医薬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06642T3 (es) 2008-11-16
KR100352924B1 (ko) 2002-09-16
ATE396975T1 (de) 2008-06-15
HU0002028D0 (en) 2000-08-28
BR0002637A (pt) 2001-01-02
EP1067121A2 (en) 2001-01-10
IL136360A0 (en) 2001-06-14
EP1067121B1 (en) 2008-05-28
IL136360A (en) 2004-08-31
HUP0002028A2 (hu) 2001-05-28
DK1067121T3 (da) 2008-09-15
CN1280127A (zh) 2001-01-17
US6235911B1 (en) 2001-05-22
EP1067121A3 (en) 2003-12-10
CN1154639C (zh) 2004-06-23
HUP0002028A3 (en) 2004-03-29
DE60039006D1 (de) 2008-07-10
PT1067121E (pt)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8387B2 (en) Method for producing 2-dihaloacyl-3-amino-acrylic acid esters and 3-dihalomethyl pyrazole-4-carboxylic acid esters
JP7426481B2 (ja) 3-n-シクロプロピルメチル-2-フルオロベンズアミド系化合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と使用
KR101701335B1 (ko) 아릴 치환된 피라졸의 제조방법
EP1805145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yrazoles
US7323574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henyl pyrazole compounds
KR100352924B1 (ko)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US482084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substituted 1-aryl-5-amino-pyrazoles
US4892958A (en) Preparation of 5-amino-1-phenyl-4-nitropyrazoles
CA2488828C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1,2,4-triazolylmethyl-oxiranes
JP4190701B2 (ja) 5−アミノピラゾール−4−カルボン酸エステル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67045B1 (ko) 3-아미노-1-(2,6-이치환 페닐)피라졸의 제조 방법
TWI564292B (zh) For the preparation of N-substituted pyrazole compounds
US6812347B2 (e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pesticidal compounds and novel intermediates thereof
US7256304B2 (en) Process for producing 3-unsubstituted 5-amino-4-nitrosopyrazole compound, and 2-hydroxyimino-3-oxopropionitrile, 3-hydrazono-2-hydroxyiminopropionitrile compound,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se
US489595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substituted 3-methyl-1-aryl-5-amino-pyrazoles
KR20030085788A (ko) 피리딘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제초제 중간체로서의용도
EP1879869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recursors of 5-alkylthioalkylamino-1-phenyl-pyrazoles
RU226951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естицидных соединений
US20210253533A1 (en) Disubstituted 5(3)-pyrazole carboxylat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from enolates and fluoroalkylaminoreagents (far) reagents
JP2003146974A (ja) 4,5−ジ置換−1,2,3−トリアゾール及びその製造法
JPH0662578B2 (ja) 1−置換5−アミノピラゾールの製法
JPH01168674A (ja) 1.3−ジアルキルピラゾール−4−カルボン酸誘導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