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378A -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378A
KR20010049378A KR1020000026998A KR20000026998A KR20010049378A KR 20010049378 A KR20010049378 A KR 20010049378A KR 1020000026998 A KR1020000026998 A KR 1020000026998A KR 20000026998 A KR20000026998 A KR 20000026998A KR 20010049378 A KR20010049378 A KR 20010049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movable
thread
studs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구치히데기
야마다쓰요시
Original Assignee
다나까 에이오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까 에이오,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다나까 에이오
Publication of KR20010049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37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04B15/60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with thread-clamping or -sev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복수개의 실안내를 작동위치 또는 불작동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본국 특공 평3-72740호에 제공된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에 있어서, 가동부재(170, 180, 190, 200)에 1개의 추가 스터드(174, 184, 194, 204)를 설치하고, 이 추가 스터드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선정장치(90)의 가동핑거에 의해, 가동부재가 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추가 스터드가 가동핑거의 적어도 1개와 동일한 수준으로 되고, 또는 동일 수준으로 되지 않게 함으로써 각 실안내(13, 14, 15, 16)를 작동위치 및 불작동위치에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YARN CHANGING APPARATUS FOR KNITTING MACHINES}
본 발명은 편기에 있어서의 급사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히는 본원 출원인의 일본국 특공 평3-72740호에 제공된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의 개량 발명이다.
상기 일본국 특공 평3-72740호에 의하면, 도 10에 나타나 있듯이, 가동부재는 부호 160(이하, 종래기술의 설명에 관하여 사용하는 부호는 그 공보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부호이다.)에서 대표시키고 있는, 4개의 가동부재(130, 140, 150, 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가동부재의 편기의 내측에 마주하는 부분에는 안내 스터드(131, 141, 151, 161) 및 제어 스터드(132, 142, 152, 162)가 설치됨과 동시에, 선정 스터드(133, 143, 153, 163)가 부착되어 있고, 더구나 추가 스터드(134, 135, 136; 144, 145, 146; 154, 155, 156; 164, 165, 16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편기의 외측에 마주하는 부분에는 단일의 반송 스터드(137, 147, 157, 16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를 가지는 선정 스터드 및 추가 스터드의 선정은 전자석상의 선정자를 선택적으로 아래로 끌어붙이도록 행해진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가동부재가 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한 경우, 각 추가 스터드가 3개의 선정자와 동일 수준으로 되지 않는다. 선정자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즉 전자석에 의해 선정된 경우에는, 각 추가 스터드는 이들의 선정자와 동일 수준이 되도록 되어 있다.
다시말하면, 실안내가 작동위치로부터 불작동위치로 이동할 때, 나머지 불작동위치에 있는 실안내중 어느 한 개의 실안내가 필히 작동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작동위치에 이동되고 있는 실안내의 장소에 다른 실안내를 추가하여 작동위치에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또한 모두의 실안내를 불작동위치에 이동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실안내장치를 작동위치 또는 불작동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부재의 선정 스터드에 대하여 추가 스터드의 배치를 변환함으로써, 자유롭게 실안내장치를 작동위치 및 불작동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는 불작동위치와 작동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실안내를 가지고, 상기 실안내를 프로그램 제어하는 선정장치를 가지고, 상기 실안내의 일단이 이 지점을 원추형접합된 2아암 레버의 1개의 암에 접속되고, 또한 2아암 레버의 다른 암이 가동부재에 접속하여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의 하단부는 U자형상의 홈의 환상 안내부내로 지름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가동하고, 상기 가동부재의 편기의 내측에 마주하는 부분에는 제어 스터드와 선정 스터드 및 추가 스터드가 설치되어 있고, 편기의 외측에 마주하는 부분에는 반송 스터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U자형상 홈에 상기 가동부재의 제어 스터드를 위로 누루기 위한 경사부를 가지는 요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가동부재의 반송 스터드를 아래로 누루기 위한 경사부를 가지는 반송캠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U자형상 홈에 상기 가동부재를 편기의 내측에 누루기 위한 전진캠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정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1개 이상의 핑거를 가지고, 이 가동핑거가 상기 가동부재의 선정 스터드에서 선택적으로 작용하고, 상기 실안내장치에 대응하에 개별적으로 실을 유지하고, 또한 절단하는 실유지/절단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에 1개의 추가 스터드를 설치하고, 이 추가 스터드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선정장치의 가동핑거에 의해 가동부재가 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추가 스터드가 가동핑거의 적어도 1개와 동일 수준으로 되고, 또는 동일 수준으로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 실안내를 작동위치 및 불작동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선정장치가 바이몰르프(bimorph)형 세라믹 액츄에이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환편기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환편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실안내와 링크부재의 걸거나 붙임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5는 실유지/절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환편기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선정장치의 가동핑거의 각각의 맞물림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노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가동부재의 측면도.
도 8은 선정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도 6의 IX-IX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가동부재의 측면도.
이하, 첨부의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환편기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그 종단면도이고,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회전 실린더를 나타낸다. 실린더(1)의 외주에는 축선방향으로 연장한 침구내를 미끄러짐 이동이 자유로운 실린더침(2)이 수용되어 있다.
편성시에는 실린더침(2)과 협동하는 다이얼침(3)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다이얼(4)에 있어서 반경방향에 있어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다.
상기 회전 실린더(1)는 배드(도시하지 않음)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있는 구동이 큰 기어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다이얼(4)은 유닛트 다이얼 허브(5)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의 실린더(1) 및 다이얼(4)은 통상 기계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될 때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실리더침(2)은 실린더 캠 홀더(6)에 고정되어 있는 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또한 다이얼침(3)은 다이얼 캠 홀더(7)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다이얼 캠 볼트(8)에 고정되어 있는 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각 통상의 방법으로 작동 또는 제어된다.
이하, 각 구성부분의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개량부분을 제외하면, 상기 일본국 특공 평3-72740호의 각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개량부분 이외에는 실 절환장치, 실유지/절단장치에 관하여 개략적인 설명을 하는데 그치고, 그 나머지는 상기 문헌명을 명기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서는 2개의 실 절환장치(12, 12A)가 나타나 있고, 각각 4가닥의 별개의 실을 안내하는 4개의 실안내(13), 실안내(14), 실안내(15), 실안내(16)와 각 실안내의 거의 중간부에는 안쪽으로 연장하고 있는 핑거(17)(17a, 17b, 17c, 17d)와, 실안내용의 그 핑거(17)의 유단(遊端)에는 실안내용의 가는실(18) (18a, 18b, 18c, 18d)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실안내(13, 14, 15, 16)는 하부위치, 즉 불작동위치와 상부위치, 즉 작동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하고 실은 실안내의 가는실(18)로부터 얀 캐리어(yarn carrier)(9)를 지름방향으로 침에 공급된다.
도 1에 있어서, 실 절환장치(12)의 실안내(13)와 실 절환장치(12A)의 실안내(16)만이 작동위치에 있고, 그들의 가는실(18)은 다이얼침(3)의 수준 보다도 높은 곳에 있다. 이 나머지의 실안내는 불작동위치에 있고, 이들의 가는실(18)은 다이얼침(3)의 수준 보다도 낮은 곳에 있다.
실을 유지 및 절단하는 것은 실안내(13, 14, 15, 16)에 설치된 실유지/절단장치(19)로써, 그 실유지/절단장치(19)는 가동칼날(20)과, 얀캐쳐(21)사이에 고정칼날(21)이 병설된 구조이다. 가동칼날(20)과 얀캐쳐(21)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회동가능하다.
후술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얀캐쳐(21)가 개구될 수 있고, 얀캐쳐(21)와 고정칼날(22) 사이에 있어서 실이 유지되고, 그 후 가동칼날(20)과 고정칼날(22)의 협동에 의해 실은 절단된다.
가동칼날(20)과 얀캐쳐(21)에는 각각의 2개의 암(25a, 25b, 27a, 2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추이동가능하도록 밸크랭크를 구성하고 있다. 1개의 암(25a, 25b)은 실안내(13, 14, 15)에 설치되어 있는 클로(claw)와 맞닿을 수 있고, 또한 한 개의 암(27a, 27b)은 가동칼날(20), 얀캐쳐(21) 및 고정칼날(22)의 바로 아래로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28)의 수직 가장자리부와 핀(29) 사이에서 가동한다. 슬라이더(28)는 슬라이더 가이드(32)의 홈(33)내를 슬라이딩가능한 것으로 그 슬라이딩 범위는 핀(31)과 이 핀에 맞물려 있는 슬라이더의 긴 구멍(30)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가동칼날(20), 얀캐쳐(21), 고정칼날(22) 및 슬라이더(28)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더 가이드(32)에 형성되어 있는 동일 홈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32)는 스트라이 패링(37)에 설치되어 있고 이 스트라이 패링(37)은 다이얼 캠 허브(7)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4개∼6개의 링홀더(38)에 설치되어 있다.
다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 실안내에는 상기 클로(26)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또한, 스프링(40)에 의해 실안내(13, 14, 15, 16)의 돌출부(41)에 눌러 접해 있다. 실안내가 불작동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이들의 클로(26)는 가동칼날(20)의 암(25a) 및 얀캐쳐(21)의 암(25b)에 맞닿아 있다. 이 때, 클로(26)는 스프링(40)에 대항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가동칼날(20)과 얀캐쳐(21)를 개구시키지 않는다.
이와는 반대로, 실안내가 작동위치로부터 불작동위치로 이동할 때라도, 클로(26)는 가동칼날(20)의 암(25a) 및 얀캐쳐(21)의 암(25b)에 맞닿아 있다. 그러나, 이 때에는 클로(26)의 회전은 실안내의 돌출부(41)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클로는 암(25a) 및 (25b)을 아래로 눌러져, 가동칼날(20)과 얀캐쳐(21)를 개구시킨다.
실안내(13, 14, 15, 16)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32)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홈부착 조각(42)을 길이방향으로 접동할 수 있다. 또한, 실안내의 상단부에는 링부재(13a, 14a, 15a, 16a)의 일단과 걸거나 벗김가능하도록 고착되어 있다.
실안내를 하는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통하는 가는실(18)을 가진 실안내(13, 14, 15, 16)의 이동은 핀(45) 및 이 핀(45)에 맞물리고 있는 실안내의 긴 구멍(44)에 의해 결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홈부착 조각(42)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실안내의 하측에는 채널형부재(46)가 설치되어 있고, 그 부재(46)의 양측에는 슬라이딩 부재(47, 48)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47, 48)는 플레이트(50, 51)의 양면에 형성된 안내홈(52, 53)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 슬라이딩 부재(47, 48)의 하단부에 있어서, 채널부재(46)와 슬리이딩 부재(47, 48)에 핀(54)이 끼워 통해진다. 이 핀(54)과 측판(34, 35)에 끼워져 통해지는 핀(55) 사이에는 스프링(56)이 설치되어 있다.
실을 어떤 실안내, 예를 들면 13으로 통과할 때에는 실안내를 작동위치로 하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안내(13)와 그 링부재(13a)의 연결을 벗기고, 그 후 채널부재(46)를 아래쪽으로 끌어내려 각 실안내의 안쪽 끝 가장자리부와 접촉하는 핀(57)으부터 실안내의 하단부를 벗기고, 그리고, 이점쇄선으로 나타냈듯이, 실안내(13)를 앞쪽으로 쓰러뜨리는 것이다. 그리하기 위해, 링부재의 단부는 원형의 일부가 노치된 반원형상부로 되어 있다. 앞쪽으로 쓰러진 실안내(13)의 가는실(18a)에는 하등의 장해도 없게 되기 때문에 실을 극히 용이하게 통할 수 있다. 실을 통해 끝난 실안내(13)는 상기 역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간단히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번은 도 5를 참조하면, 실린더(1)에는 슬라이더(18)에 대응하는 카터캠(6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카터캠에는 슬라이더(28)가 이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듯이, 바깥쪽으로 나오는 경우에, 실린더(1)의 회전에 따라서 이 실린더(28)를 바깥쪽으로 눌러 보내는 경사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카터캠(61)은 실리더(1)에 설치되어 있다.
실안내가 작동위치로부터 불작동위치로 이동할 때, 실안내(16)의 가는실(18)을 통하고 있는 실이 하강함에 따라 클로(26)가 가동칼날(20)의 암(25a) 및 얀캐쳐(21)의 암(25b)에 맞닿아서 아래로 눌러지고 가동칼날(20) 및 얀캐처(21)를 개구시킨다. 그리하면, 실은 개구된 가동칼날(20)과 얀캐쳐(21)에 도입된다. 다음에, 실린더(1)의 회전에 따라서 카터캠(61)이 슬라이더(28)를 바깥쪽으로 누르면, 슬라이더(28)의 수직 가장자리부가 얀캐쳐(21)의 암(27b)을 바깥쪽으로 눌러 보낸다. 얀캐쳐(21)는 축심핀(2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실을 잡는데로 개구한다. 이 상태에서는 실은 얀캐쳐(21)와 고정칼날(22) 사이에서 눌러 접해져서 유지된다. 계속해서, 가동칼날(20)이 약간 지연되어 개구하고 고정칼날(22)과 협동하도록 실은 절단된다.
상기 카터캠(61)의 위쪽에는 트랩퍼(trapper)(65)가 실린더(1)에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67)에 포착된 실은 실린더(1)의 회전에 따른 얀캐리어(9)의 실안내의 전면을 통과하여 슬릿(11)에 도입되어 침에 확실이 급사한다.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실안내(16)가 작동위치로부터 불작동위치로 이동될 때, 다른 불작동위치에 있는 실안내(13, 14, 15)중 어느 하나의 실안내가 작동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5에는 상기 실안내(13)가 이동한 상태를 보여준다.
그 상기 불작동위치의 실안내(16)의 가는 실(18d)에 통과되고 있는 실은, 상기에서 처럼, 유지/절단장치(19)에 의해 절단 또는 유지된다.
각 실안내(13, 14, 15, 16)와 연결하고 있는 링부재(13a, 14a, 15a, 16a)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얼 캠 홀더(8)의 위쪽으로 설치된 하우징(69)의 홈부착 조각(70, 71)내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링부재(13a, 14a, 15a, 16a)와 실안내가 걸거나 벗김가능한 것은 전술했지만, 그리하기 위해, 링부재의 단부는 원형의 일부가 노치된 반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하우징(69)은 다이얼 캠 허브(7)에 고정된 유지구(73)에 담지되고, 또한 축(74)을 중심으로 하우징(69)을 유지구(73)의 위쪽으로 상하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유지구(73)에는 유닛 다이얼 허브(5)내에 관통한 원주체(75)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이얼 캠 홀더(8)의 바깥쪽에는 얀캐리어(9)의 홀더(16)에 착탈가능한 하우징(69)의 하단부가 유지되고 있다.
실안내를 어떤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링부재(13a, 14a, 15a, 16a)의 이동은 핀(80)과 이 핀에 맞물리고 있는 링부재의 긴구멍(79)에 의해 결정된다. 링부재(13a, 14a, 15a, 16a)의 타단축은 축(74)에 의해 중추된 제2아암 레버(81)의 한쪽의 암(82)에 부착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암(83)은 가동부재(200)의 상단부용의 시이트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74)에는 홈부착블록(8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블록(84)은 2아암 레버(81)의 일부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특징부인 가동부재는 상기 부호 200으로 대표되지만, 4개의 실안내(13, 14, 15, 16)에 대응하여 4개의 가동부재(170, 180, 190, 2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6, 도 7 및 도 2 참조) 이들의 가동부재는 다이얼 캠 허브(7)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유지구(73)의 원통체(75)내에 매달려 있다. 이들의 가동부재의 하단은 실안내의 위치에 배경을 주지않고 지름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실안내가 있는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에 수직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가동부재(170, 180, 190, 200)의 하단부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가동부재만을 추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가동부재의 편기의 내면에 마주하는 부분에는 안내 스터드(171, 181, 191, 201) 및 제어 스터드(172, 182, 192, 202)가 설치됨과 동시에, 선정 스터드(173, 183, 193, 20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1개의 추가 스터드(174, 184, 194, 204)가 설치되어 있다. 편기의 외측에 마주하는 부분에는 단일의 반송 스터드(175, 185, 195, 20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스터드의 특정의 배치 및 작용에 관하여 선정장치에 관련시켜 이하에서 설명한다.
선정장치(9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닛 다이얼 허브(5)의 기저부와 연결되어 있는 플레이트(91)상의 블록(92)위에 얹어져 있다. 도 9에서 상세히 나타나 있듯이, 수직블록(92)의 대향면에는 외측림(rim)(9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수직블록(92)상의 요홈(92a)에는 공지의 바이모루프형 세라믹 액츄레이터를 이용한 전압식 선침장치(94)가 고정되어 있다.
전압식 선침장치(94)에는 4개의 핀(94a, 94b, 94c, 94d)이 설치되어 있다. 수직블록(92)의 중간부분 보다 약간 하부에는 외측림(93)에 대치되어 내측림(96)이 고정되어 있다. 이 내측림(96)과 상기 외측림(93) 및 절단 수직블록(92)의 전면에 환상의 U자형상 홈(97)을 형성한다.
실안내에 부착된 가동부재(170, 180, 190, 200)의 하단부는 이 U자형상 홈(97)내를 지름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블록(92)의 상부분(92b)에는 단면 コ자형 블록(98)이 배치 고정되어 있다. 이 단면 コ자형 블록(98)의 홈부에는 상기 가동부재의 안내 스터드(171, 181, 191, 201)의 이동을 제어하는 규제블록(99)이 얹혀 고착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U자형상 홈(97)을 구성하는 외측림(93)의 꼭대기부는 가동부재의 반송 스터드(175, 185, 195, 205)의 아래 가장자리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부재가 하부위치에 있는 경우 및 가동부재의 하단부가 편기의 바깥쪽 근방에 배치된 경우에는 각각의 실안내가 불작동위치로 되도록 한다. 한편, 가동부재가 높은 위치를 하여 그 하단부가 편기의 중심부 근방에 있게 된 경우에는 환상홈(97)을 구성하는 내측림(96) 꼭대기부는 그 시점에서 제어 스터드(171, 182, 192, 202)의 하부와 접촉하여 각각의 실안내가 작동위치로 되도록 한다.
U자형상의 홈을 구성하는 내측림(96)에는 선저(船低)형의 요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요부(100)는 제어 스터드(171, 182, 192, 202)의 아래 끝 가장자리가 완전히 맞닿도록 깊게 천설되어 있다. 선저형의 위쪽 경사부(101)는 가동부재(170, 180, 190, 200)를 높은 위치에 올리는 제어 갬으로 되어 있다. 더구나, 선저형의 경사 개시부분에 대향하여 외측 림(93)에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난 전진캠(102)이 고정되어 있으며, 가동부재의 하단부에 작용하여 이 하단부를 편기의 중심으로 향하여 지름방향으로 누루고, 이에 의해 각각의 하부제어 스터드를 상기 요부(100)에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U자형상 홈(97)의 외측림(93)의 상단부에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반송캠(103)이 고정되어 있다. 이 반송캠(103)에는 경사부(104)가 형성되고 이 경사부(104)와 상기 요부(100)의 경사부(101)와 이루는 경사각은 약 90도이다. 이 경사부(104)는 높은 위치, 즉 작동위치의 가동부재의 반송 스터드(175, 185, 195, 205)에 작용하여 가동부재를 낮은 위치로 귀환한다.
가동부재(170, 180, 190, 200)의 선정, 그 결과, 가동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실안내 선정은 4개의 가동핑거(94a, 94b, 94c, 94d)에 의해 발생한다. 각각의 가동핑거(94)의 전단부에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부(10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기재되어 있듯이, 가동부재의 선정 스터드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가동핑거가 가동부재와 맞물리는 경우, 수직한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크기는 상기 압전식 선침장치(94)의 전단부로부터 돌출해 있는 가동핑거의 창부(도시하지 않음)의 공간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가동핑거를 선정하여 제어하는 것은 상기 세라믹 액츄에이터이다. 이 세라믹 액츄에이터는 정전압(+), 부전압(-)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가동핑거는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즉, 가동핑거를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은 고정 프로그램장치 담지된 정보 프로그램을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판독할 필요가 있다.
제어 스터드(172, 182, 192, 202)의 모두는 동일 수준으로 위치를 정하지만, 선정 스터드(173, 183, 193, 203)는 어떤 가동부재와 기타의 가동부재에서 다른 수준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안내가 불작동위치에 있는 경우, 이들 스터드가 4개의 가동핑거(94a, 94b, 94c, 94d)의 각각의 수준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4개의 스터드 사이에는 충분한 수직공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스터드가 대응의 세라믹 액츄에이터의 작용하에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가동핑거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6을 기초로 실 절환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유닛 다이얼 허브(5)에 의하여 담지되는 선정장치(90)는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한다. 임시로 4개의 실안내의 모두가 불작동위치에 있을 때에는 각 가동부재의 하단부는 환상의 U자형상 홈(97)에 맞물려 있다. 전진 캠(102)이 4개의 가동부재를 편기의 중심으로 향하여 눌러지면, 각각의 제어 스터드(172, 182, 192, 202)는 내측림(96)의 요부(100)의 수평부분에 맞물려지도록 되어 있다. 정보프로그램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된 세라믹 액츄에이터의 이동에 의해, 예를 들면, 특정의 가동핑거(94c)가 아래쪽으로 위치되어 있다.
유닛 다이얼 허브(5)의 회전시에, 가동핑거(94c)는 대응의 선정 스터드(193)의 아래를 통하여 가동부재(190)는 동일의 위치에 남는다. 다음에, 제어 스터드(192)는 경사부(101)와 맞물리고, 환상 U자형상 홈(97)을 구성하는 내측림(96)위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가동부재(190)의 위쪽으로 이동하면, 이 가동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실안내(15)도 이동하고, 실안내는 작동위치에 위치하고 실은 편기의 침에 급사되도록 된다. 한편, 나머지 3개의 선정 스터드(173, 183, 203)는 가동핑거(94a, 94b, 94d)에 의해 눌러 귀환하고 가동부재(170, 180, 200)는 최초의 위치에 귀환하기 위해, 실안내(13, 14, 16)는 불작동위치에 남는다.
가동부재(170, 180, 190, 200)에 각각 설치된 1개의 추가 스터드(174, 184, 194, 204)의 사용법 및 배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각 가동부재의 1개의 추가 스터드는 하부제어 스터드, 선정 스터드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동부재가 위쪽 경사부(101)에 의해, 보다 높은 위치에 이동하는 경우, 이들의 추가 스터드가 아래쪽으로 위치된 가동핑거의 1개와 동일 수준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의 가동핑거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즉, 세라믹 액츄에이터에 의해 선정되는 경우에는 추가 스터드는 이들의 가동핑거와 동일 수준으로 되지 않는다.
새로운 가동핑거(94d)의 선정을 행한 경우, 세라믹 액츄에이터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아래쪽으로 이동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전의 조작으로 선정된 가동부재(190)는 유닛 다이얼 허브(5)의 회전중 높은 위치에 유지되지만, 나머지 3개의 가동부재(170, 180, 200)는 전진캠(102)의 작용하에서 편기의 중심으로 향하여 다시 눌러진다. 가동핑거의 통과시에 가동부재(170, 180)의 선정 스터드(173, 183)만이 가동핑거(94a, 94b)에 의해 눌러 귀환되지만, 가동부재(200)는 핑거(90d)에 의해서는 작용을 받아들이지 않고, 위쪽 경사부(101)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으며, 대응의 실안내(16)가 작동위치로 이동하고, 새로운 실이 침에 급사되도록 된다. 한편, 세라믹 액츄에이터에 전압의 인가에 의해, 예를 들면, 가동핑거(94c)가 아래쪽으로 이동된 경우, 이전 상승한 가동부재(190)의 추가 스터드(194)는 눌러 귀환하고 이 추가 스터드는 편기의 바깥쪽으로 향하게 된다. 그 경우, 반송 스터드(195)는 반송캠(103)과 맞물리고, 가동부재(190)는 저위치로 반송되고, 실안내(15)는 불작동위치로 귀환한다.
상술한 실 절환장치는 상기의 편의상 1개의 가동핑거의 작동후, 순차 기타의 핑거로의 1개에 작용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복수의 가동핑거를 램덤으로 작용시키므로써 복수의 실안내를 선택적으로 작동위치 및 불작동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추과 스터드 및 선정 스터드가 설치되어 있는 가동부재와, 선정 스터드 및 추가 스터드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선정장치를 조립함으로써, 적어도 1개 이상의 실안내를 작동위치 및 불작동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Claims (2)

  1. 불작동위치와 작동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실안내(13, 14, 15, 16)를 가지고,
    상기 실안내를 프로그램 제어하는 선정수단(90)을 가지고,
    상기 실안내의 일단이 지점을 중추 접합된 2아암 레버(81)의 1개의 암(82)에 접속되고, 더구나 이 2아암 레버(83)이 가동부재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의 하단부는 U자형상 홈(97)의 환상안내부내에 지름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가동하고,
    상기 가동부재의 편기의 내측에 마주한 부분에는 제어 스터드(172, 182, 192, 202)와 선정 스터드(173, 183, 193, 203) 및 추가 스터드가 설치되어 있고, 편기의 외측에 마주한 부분에는 반송 스터드(175, 185, 195, 20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U자형상 홈(97)에 상기 가동부재의 제어 스터드(172, 182, 192, 202)를 위로 누르기 위한 경사부(101)를 가지는 요부(100)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가동부재의 반송 스터드(175, 185, 195, 205)를 아래로 누루기 위한 경사부(104)를 가지는 반송캠(10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U자형상 홈(97)에 상기 가동부재를 편기의 내측에 누루기 위한 전진 캠(10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정장치(9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1개 이상의 가동핑거(94a, 94b, 94c, 94d)를 가지고, 이 가동핑거가 상기 가동부재의 선정 스터드(173, 183, 193, 203)에 선택적으로 작용하고,
    상기 실안내(13, 14, 15, 16)에 대응하여 각각에 실을 유지하고, 또한 절단하는 실유지/절단장치(19)가 설치되어 있는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170, 180, 190, 200)에 1개의 추가 스터드(174, 184, 194, 204)를 설치하고, 이 추가 스터드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선정장치(90)의 가동핑거에 의해, 가동부재가 보다 높은 위치에 이동한 경우에, 추가 스터드가 가동핑거의 적어도 1개와 동일 수준으로 되고, 또한 동일 수준으로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 실안내(13, 14, 15, 16)를 작동위치 및 불작동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수단(90)이 바이모르프형 세라믹 액츄에이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0026998A 1999-05-25 2000-05-19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 KR200100493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45047A JP2000328403A (ja) 1999-05-25 1999-05-25 編機用給糸切換装置
JP99-145047 1999-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378A true KR20010049378A (ko) 2001-06-15

Family

ID=1537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998A KR20010049378A (ko) 1999-05-25 2000-05-19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328403A (ko)
KR (1) KR20010049378A (ko)
TW (1) TW45981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245B1 (ko) * 2003-07-30 2011-09-1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사의 지지절단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046B1 (ko) * 2002-07-03 2005-10-10 파이 룽 머시너리 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환편기의 색상변경장치
JP2005042260A (ja) * 2003-07-24 2005-02-17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丸編機における給糸切換装置及び方法
CN101935914B (zh) * 2009-06-30 2013-07-17 洪荣豪 换色器的隔离片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245B1 (ko) * 2003-07-30 2011-09-1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사의 지지절단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59810U (en) 2001-10-11
JP2000328403A (ja) 2000-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72740B2 (ko)
US5070709A (en) Striping syste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US7073355B2 (en) Knitting machine with at least one striping attachment
US3971233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pattern producing devices
KR0122596B1 (ko) 환편기에서의 급사절환 장치
JP2005042260A (ja) 丸編機における給糸切換装置及び方法
JP2008297643A (ja) 丸編機における給糸切替装置
JP2007270365A (ja) 編機における給糸装置
KR20010049378A (ko) 편기용 급사 절환장치
JPS6025535B2 (ja) 編み機用給糸切換装置
JP3667485B2 (ja) 丸編機における給糸切換方法
EP2161359A1 (en) Stripe pattern knitting device in feed changer, and method therefor
GB1583594A (en) Knitting machines
US3091200A (en) Pattern cam arrangement for sewing machines
JPH11200206A (ja) 編み機および編み機用の制御ジャック
JP2008297662A (ja) 丸編機における給糸切替装置
KR101838893B1 (ko) 환편기용 스트라이퍼
JPH0121988Y2 (ko)
US3568473A (en) Patterning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KR200278640Y1 (ko) 자카드 환편기의 전자식 자동 스트라이핑장치
US1215411A (en) Knitting-machine.
US1086570A (en) Knitting-machine.
GB2099464A (en) Yarn gripping and cutting device for use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in particular of the cylinder and dial type
JP4126416B2 (ja) 編み機用の制御ジャック
GB1583607A (en) Knit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