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8535A -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호 간의 자동 전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호 간의 자동 전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8535A
KR20010048535A KR1019990053249A KR19990053249A KR20010048535A KR 20010048535 A KR20010048535 A KR 20010048535A KR 1019990053249 A KR1019990053249 A KR 1019990053249A KR 19990053249 A KR19990053249 A KR 19990053249A KR 20010048535 A KR20010048535 A KR 20010048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all
signal
data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9872B1 (ko
Inventor
이현숙
최성수
이창문
황영원
김상범
천대녕
Original Assignee
최성수
하이퍼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수, 하이퍼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성수
Priority to KR101999005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872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SB) 오디오 폰(Audio Phone)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반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폰의 단말 기능 및 기존의 일반전화 기능을 USB 오디오 폰 상의 훅크 플래쉬(Hook Flash)를 이용하여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USB 오디오 폰은, 일반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폰의 단말 기능 및 기존의 일반전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여야 하므로, 이의 선택기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 또는 국선 접속 단자들 간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처리하는 전화라인 처리부와 ;
상기 전화라인 처리부를 통하여 선택 처리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
기능(function)키 혹은 전화기 본체의 키 패드 및 훅크(Hook) 정보를 받아들여 이 신호를 사용자 입력정보로 전달하는 스위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 또는 상기 스위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송신된 스위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PC로 전송하는 USB 제어부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USB 오디오 폰을 사용하여 인터넷 통화를 하고 있는 중인가를 판별하는 제 1 과정과 ;
상기 제 1 과정에서 인터넷 통화중인 경우,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되었는가를 판별하는 제 2 과정과 ;
상기 제 2 과정에서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인터넷 통화를 하는 제 3 과정과 ;
상기 제 2 과정에서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된 경우, 새로운 국선 호가 착신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Hook Flash"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화를 잠시 보류시킨 후, 새로운 국선 호에 대한 응답을 하여 국선 통화중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게 되는 제 4 과정과 ;
상기 제 1 과정에서 인터넷 통화중이 아닌 경우, 국선 통화를 하고 있는 중인가를 판별하는 제 5 과정과 ;
상기 제 5 과정에서 국선 통화중인 경우,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별하는 제 6 과정과 ;
상기 제 6 과정에서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국선 통화를 하는 제 7 과정 ; 및,
상기 제 6 과정에서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된 경우, 새로운 인터넷 호를 수신하기 위해 "Hook Flash"를 이용하여 국선 통화를 보류시킨 후, 인터넷 호를 수락하여 인터넷 통화중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게 되는 제 8 과정으로 순차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폰의 단말 기능 및 기존의 일반전화 기능을 USB 오디오 폰 상의 "Hook Flash"를 이용하여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터넷 호와 국선 호를 간편하게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A METHOD AND AUTOMATIC TRANSLATION APPARATUS BETWEEN PUBLIC TELEPHONE CALL AND INTERNET PHONE CALL BY USING HOOK FLASH OR FEATURE BUTTON}
본 발명은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 라 칭함) 오디오 폰(Audio Phone)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반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폰의 단말 기능 및 기존의 일반전화 기능을 USB 오디오 폰 상의 훅크 플래쉬(Hook Flash)를 이용하여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 오디오 폰은 IP 텔레포니 터미널로써 인터넷 폰 단말 기능,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하 PSTN 이라 칭함)과 연동하여 일반 전화기능, 그리고 기존의 사운드 블래스터의 기능을 완전하게 호환,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USB 오디오 폰이 제공하는 기능 중 IP 텔레포니 터미널로써 인터넷 폰 단말 기능을 살펴보면,
1. 전화기 송수화기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 기능
2. 일반 전화기를 이용 단축 다이얼 인터넷 호 걸기
3. 음성 에코(Echo)를 제거한 핸즈프리 및 음 소거(Mute) 기능
4. 재다이얼 인터넷 호 걸기 기능
5. 보이스 메일 송신 기능
6. 간편한 인터넷 호, 국선 호 선택 기능
7. 인터넷 호 보류 및 대기 기능
8. 여러 가지 인터넷 링소리 선택 기능 등이 있다.
상기 USB 오디오 폰이 제공하는 기능 중 PSTN과 연동하여 일반 전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일반 전화기의 부가 서비스는,
1. 자동 응답 기능
2. 국선 통화내용 녹음
3. 국선 호 수신/송신
4. PC가 꺼진 상태에서도 국선 호 수신/송신
5. 국선 호 보류 및 대기 - 다양한 보류 음 선택 기능 등이 있다.
상기 USB 오디오 폰이 제공하는 기능 중 기존의 사운드 블래스터의 기능을 완전하게 호환, 제공하기 위한 USB 디지털 오디오 사운드는,
1. 사운드 블래스터 기능과의 완벽한 호환성 - 사운드 블래스터 지원 게임 100% 지원
2. MS Windows 멀티미디어 사운드와의 100% 호환 가능
3. CD 수준의 고 품질 스테레오 사운드 제공
4. 모든 종류의 사운드 파일 재생 기능
5. CD 수준의 녹음 재생 및 편집 - 점퍼 케이블 없이 오디오 CD 녹음 및 재생 가능
6. 국선 통화내용 녹음관리 및 재생
7. 외장 스피커 제어기능-볼륨 높임/낮춤, Mute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USB 오디오 폰이 제공하는 기능 중 추가되는 부가 서비스를 살펴보면,
1. 호 전달 : * 수신된 인터넷 호를 제삼자 국선 호로 전달
* 수신된 국선 호를 제 삼자 인터넷 호로 전달
2. 통화중 가입자로의 국선 호 완성 기능(Completion Calls to Busy Subscriber) 등이 있다.
상기 USB 오디오 폰이 제공하는 기능 중 관리 기능으로는,
1. 전화번호부 관리 기능 - 무제한적인 Directory Entry
2. 그룹별 전화번호 관리 기능
3. 자동응답시 저장된 부재중 메시지 저장 - 하드 디스크를 이용하여 거의 무제한임.
4. 30개의 호 히스토리(history) 저장 - 호 히스토리와 전화번호부와의 연계 이용
5. 원 클릭(One Click) 재다이얼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는 일반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폰의 단말 기능 및 기존의 일반전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여야 하므로 이의 선택기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일반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폰의 단말 기능 및 기존의 일반전화 기능을 USB 오디오 폰 상의 훅크 플래쉬(Hook Flash)를 이용하여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는,
전화 또는 국선 접속 단자들 간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처리하는 전화라인 처리부와 ;
상기 전화라인 처리부를 통하여 선택 처리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
기능(function)키 혹은 전화기 본체의 키 패드 및 훅크(Hook) 정보를 받아들여 이 신호를 사용자 입력정보로 전달하는 스위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 또는 상기 스위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송신된 스위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PC로 전송하는 USB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방법은,
사용자가 USB 오디오 폰을 사용하여 인터넷 통화를 하고 있는 중인가를 판별하는 제 1 과정과 ;
상기 제 1 과정에서 인터넷 통화중인 경우,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되었는가를 판별하는 제 2 과정과 ;
상기 제 2 과정에서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인터넷 통화를 하는 제 3 과정과 ;
상기 제 2 과정에서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된 경우, 새로운 국선 호가 착신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훅크 플래쉬(Hook Flash)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화를 잠시 보류시킨 후, 새로운 국선 호에 대한 응답을 하여 국선 통화중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게 되는 제 4 과정과 ;
상기 제 1 과정에서 인터넷 통화중이 아닌 경우, 국선 통화를 하고 있는 중인가를 판별하는 제 5 과정과 ;
상기 제 5 과정에서 국선 통화중인 경우,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별하는 제 6 과정과 ;
상기 제 6 과정에서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국선 통화를 하는 제 7 과정 ; 및,
상기 제 6 과정에서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된 경우, 새로운 인터넷 호를 수신하기 위해 훅크 플래쉬(Hook Flash)를 이용하여 국선 통화를 보류시킨 후, 인터넷 호를 수락하여 인터넷 통화중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게 되는 제 8 과정으로 순차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 과정 또는 제 8 과정에서 "Hook Flash"를 검출하는 방법은,
"Hook Off" 상태가 "거짓"이고, "Hook Off" 유지 카운트가 "0"으로 초기화 된 상태에서, "Hook Off"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단계와 ;
상기 제 1 단계에서 검출된 "Hook Off" 신호가 "로우"인가를 판별하는 제 2 단계와 ;
상기 제 2 단계에서 "Hook Off" 신호가 "로우"인 경우, "Hook Off" 유지 카운트를 증가시킨 후 "Hook Off" 유지 카운트를 "Hook Off" 한계 기간 값과 비교하는 제 3 단계와 ;
상기 제 3 단계에서 "Hook Off" 유지 카운트가 "Hook Off" 한계 기간 값보다 큰 경우, 즉 "Hook Off" 한계 기간동안 "Hook Off" 신호가 유지된 경우, "Hook Off"를 "참"으로 유지하는 제 4 단계와 ;
상기 제 2 단계에서 "Hook Off" 신호가 "로우"가 아닌 경우, "Hook Off" 상태가 "참"인가를 판별하는 제 5 단계와 ;
상기 제 5 단계에서 "Hook Off"가 "참"인 경우, 이때의 폴링 카운트를 "0"으로 기록하고 "Hook Off" 상태를 "거짓"으로 유지하는 제 6 단계와 ;
상기 제 5 단계에서 "Hook Off" 상태가 "참"이 아닌 경우, LCS 신호를 폴링하여 LCS 신호가 "Hook on" 상태인가를 판별하는 제 7 단계와 ;
상기 제 7 단계에서 LCS 신호가 "Hook on" 상태면 폴링 카운트를 증가시킨 후, 폴링 카운트를 "Hook Flash" 한계 기간 값과 비교하는 제 8 단계 ; 및,
상기 제 8 단계에서 폴링 카운트가 "Hook Flash" 한계 기간 값보다 큰 경우, 즉 "Hook Flash" 한계 기간(600ms)동안 "Hook on" 신호가 유지된 후 LCS 신호가 "Hook Off"로 검출되는 경우, 이때의 신호를 "Hook Flash"로 감지하여 "Hook Flash" 신호를 UCB로 송출하는 제 9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USB 오디오 폰 상의 Hook Flash를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오디오 폰 상의 Hook Flash를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방법의 동작 순서도,
도 3 은 도 2 의 Hook Flash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화 라인 처리부 20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30 : 스위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40 : USB 인터페이스부
50 : USB 제어부 11 : 전화 접속 단자
12 : 국선 접속 단자 13 : 음성정보 전송 단자
14 : 음성정보 수신 단자 15 : 반향 제거기
21 : 아날로그 정보 입력 단자 22 : 아날로그 정보 전송 단자
23 : 스테레오 데이터 출력 단자 24 : 스테레오 데이터 입력 단자
25 : 데이터 버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 또는 국선 접속 단자들 간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처리하는 전화라인 처리부(Phone Interface Block 이하 PIFB 라 칭함)(10)와 ; 상기 전화라인 처리부(10)를 통하여 선택 처리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alog/Digital Processing Block 이하 ADPB 라 칭함)(20)와 ; 기능(function)키 혹은 전화기 본체의 키 패드 및 훅크(Hook) 정보를 받아들여 이 신호를 사용자 입력정보로 전달하는 스위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Switch Data Interface Block 이하 SDIB 라 칭함)(30) ;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를 통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 또는 상기 스위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30)로부터 송신된 스위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PC로 전송하는 USB 제어부(USB Control Block 이하 UCB 라 칭함)(50)로 구성한다.
상기 전화라인 처리부(10)는, 외부 입출력 단자로 일반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접속하여 사용자의 송화 및 수화를 수신하고 전송할 수 있는 전화 접속 단자(11)와 ; 국선 라인과의 tip/ring 선을 연동하는 국선 접속 단자(12)와 ; 상기 전화 접속 단자(11) 또는 상기 국선 접속 단자(12)들 간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처리하여 반향 제거기(15)로 송/수신하는 음성정보 전송 단자(13) 및 음성정보 수신 단자(1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는, 외부 입출력 단자로 상기 전화라인 처리부(10)로부터 상기 반향 제거기(15)를 통과한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정보 입력 단자(21)와 ;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로부터 상기 반향 제거기(15)로 신호를 전송하는 아날로그 정보 전송 단자(22)와 ; 인터넷 혹은 PSTN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스테레오 스피커로 송출하는 스테레오 데이터 출력 단자(23)와 ; 사용자의 마이크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스테레오 데이터 입력 단자(24) ; 및, 사용자의 마이크 입력 신호 혹은 인터넷으로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버스(2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위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30)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기능(function)키 혹은 전화기 본체의 키 패드 및 훅크(Hook) 정보를 받아들여 이 신호를 데이터 버스(25)를 통해서 USB 제어부(5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USB 제어부(50)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가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버스(25)를 통해 송신한 경우 USB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이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PC로부터 디지털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 데이터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로 데이터 버스(25)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스위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30)로부터 송신된 스위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PC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USB 오디오 폰을 사용하여 인터넷 통화를 하고 있는 중에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되면, 새로운 호가 착신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Notification)를 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인터넷 통화를 잠시 보류시키고 새로운 국선 호에 대한 응답을 하기 위해 "Hook Flash"를 하게 되고, USB 오디오 폰은 "Hook Flash"를 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이러한 "Hook Flash"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인터넷 통화중 시 대기하고 있는 국선 전화를 "Hook Flash"를 이용하여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즉,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된 경우, 새로운 국선 호가 착신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Hook Flash"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화를 잠시 보류시킨 후, 새로운 국선 호에 대한 응답을 하여 국선 통화중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USB 오디오 폰을 이용하여 국선 통화중에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되는 경우, USB 오디오 폰 내부 스피커에서 Ring 신호가 발생한다.
이때, 사용자는 새로운 인터넷 호를 수신하기 위해 국선 통화를 보류시킨 후, "Hook Flash"를 이용하여 인터넷 호와의 통화를 시도할 수 있게 되고, USB 오디온 폰은 "Hook Flash"를 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구동 시켜 이러한 "Hook Flash"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Hook Flash"를 감지한 후 국선 통화중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된 경우, 새로운 인터넷 호를 수신하기 위해 "Hook Flash"를 이용하여 국선 통화를 보류시킨 후, 인터넷 호를 수락하여 인터넷 통화중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동작을 순서도로 도시하면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USB 오디오 폰을 사용하여 인터넷 통화를 하고 있는 중인가를 판별하는 제 1 과정(S10)과 ; 상기 제 1 과정(S10)에서 인터넷 통화중인 경우,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되었는가를 판별하는 제 2 과정(S20)과 ; 상기 제 2 과정(S20)에서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인터넷 통화를 하는 제 3 과정(S30)과 ; 상기 제 2 과정(S20)에서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된 경우, 새로운 국선 호가 착신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Hook Flash"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화를 잠시 보류시킨 후, 새로운 국선 호에 대한 응답을 하여 국선 통화중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게 되는 제 4 과정(S40)과 ; 상기 제 1 과정(S10)에서 인터넷 통화중이 아닌 경우, 국선 통화를 하고 있는 중인가를 판별하는 제 5 과정(S50)과 ; 상기 제 5 과정(S50)에서 국선 통화중인 경우,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별하는 제 6 과정(S60)과 ; 상기 제 6 과정(S60)에서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국선 통화를 하는 제 7 과정(S70) ; 및, 상기 제 6 과정(S60)에서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된 경우, 새로운 인터넷 호를 수신하기 위해 "Hook Flash"를 이용하여 국선 통화를 보류시킨 후, 인터넷 호를 수락하여 인터넷 통화중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게 되는 제 8 과정(S80)으로 순차 동작한다.
상기 제 4 과정(S40) 또는 제 8 과정(S80)에서 "Hook Flash"를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USB 오디오 폰은, PIFB(10)에서 루프 전류 신호(Loop Current Signal 이하 LCS 라 칭함)를 검출하여, 이 신호가 하이(High)인 경우는 훅크-온(Hook On)으로 인식하고, 이 신호가 로우(low)인 경우는 훅크-오프(Hook Off)로 인식하는 기본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Hook Flash"를 검출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ook Off" 한계(Threshold) 기간동안 "Hook Off" 신호가 유지된 경우, "Hook Off"를 참(True)으로 유지한다.
"Hook Off"가 참(True)인 경우에 "Hook On"인 신호가 검출되면, 이때의 폴링 카운트(count)를 "0"으로 기록한다.
1[msec] 간격으로 LCS 신호를 폴링하여 "Hook on" 상태면 폴링 카운트를 "1" 씩 증가시킨다.
Hook Flash Threshold 기간(600ms)동안 "Hook on" 신호가 유지된 후 LCS 신호가 "Hook Off"로 검출되는 경우, 이때의 신호를 "Hook Flash"로 감지하여 "Hook Flash" 신호를 UCB(50)로 송출한다.
상기와 같은 "Hook Flash"를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순서도로 도시하면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Hook Off" 상태가 "거짓"이고, "Hook Off" 유지 카운트가 "0"으로 초기화 된 상태에서, "Hook Off"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단계(S1)와 ; 상기 제 1 단계(S1)에서 검출된 "Hook Off" 신호가 "로우"인가를 판별하는 제 2 단계(S2)와 ; 상기 제 2 단계(S2)에서 "Hook Off" 신호가 "로우"인 경우, "Hook Off" 유지 카운트를 증가시킨 후 "Hook Off" 유지 카운트를 "Hook Off" 한계 기간 값과 비교하는 제 3 단계(S3)와 ; 상기 제 3 단계(S3)에서 "Hook Off" 유지 카운트가 "Hook Off" 한계 기간 값보다 큰 경우, 즉 "Hook Off" 한계 기간동안 "Hook Off" 신호가 유지된 경우, "Hook Off"를 "참"으로 유지하는 제 4 단계(S4)와 ; 상기 제 2 단계(S2)에서 "Hook Off" 신호가 "로우"가 아닌 경우, "Hook Off" 상태가 "참"인가를 판별하는 제 5 단계(S5)와 ; 상기 제 5 단계(S5)에서 "Hook Off"가 "참"인 경우, 이때의 폴링 카운트를 "0"으로 기록하고 "Hook Off" 상태를 "거짓"으로 유지하는 제 6 단계(S6)와 ; 상기 제 5 단계(S5)에서 "Hook Off" 상태가 "참"이 아닌 경우, LCS 신호를 폴링하여 LCS 신호가 "Hook on" 상태인가를 판별하는 제 7 단계(S7)와 ; 상기 제 7 단계(S7)에서 LCS 신호가 "Hook on" 상태면 폴링 카운트를 증가시킨 후, 폴링 카운트를 "Hook Flash" 한계 기간 값과 비교하는 제 8 단계(S8) ; 및, 상기 제 8 단계(S8)에서 폴링 카운트가 "Hook Flash" 한계 기간 값보다 큰 경우, 즉 "Hook Flash" 한계 기간(600ms)동안 "Hook on" 신호가 유지된 후 LCS 신호가 "Hook Off"로 검출되는 경우, 이때의 신호를 "Hook Flash"로 감지하여 "Hook Flash" 신호를 UCB(50)로 송출하는 제 9 단계(S9)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는, 일반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폰의 단말 기능 및 기존의 일반전화 기능을 USB 오디오 폰 상의 "Hook Flash"를 이용하여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터넷 호와 국선 호를 간편하게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전화 또는 국선 접속 단자들 간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처리하는 전화라인 처리부(10)와 ;
    상기 전화라인 처리부(10)를 통하여 선택 처리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와 ;
    기능(function)키 혹은 전화기 본체의 키 패드 및 훅크(Hook) 정보를 받아들여 이 신호를 사용자 입력정보로 전달하는 스위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30) ;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를 통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 또는 상기 스위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30)로부터 송신된 스위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PC로 전송하는 USB 제어부(5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라인 처리부(10)는,
    외부 입출력 단자로, 일반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접속하여 사용자의 송화 및 수화를 수신하고 전송할 수 있는 전화 접속 단자(11)와 ;
    국선 라인과의 tip/ring 선을 연동하는 국선 접속 단자(12)와 ;
    상기 전화 접속 단자(11) 또는 상기 국선 접속 단자(12)들 간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처리하여 반향 제거기(15)로 송/수신하는 음성정보 전송 단자(13) 및 음성정보 수신 단자(1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는,
    상기 전화라인 처리부(10)로부터 반향 제거기(15)를 통과한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정보 입력단자(21)와 ;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로부터 상기 반향 제거기(15)로 신호를 전송하는 아날로그 정보 전송 단자(22)와 ;
    인터넷 혹은 PSTN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스테레오 스피커로 송출하는 스테레오 데이터 출력단자(23)와 ;
    사용자의 마이크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스테레오 데이터 입력단자(24)와 ;
    사용자의 마이크 입력 신호 혹은 인터넷으로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버스(2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
  4. 사용자가 USB 오디오 폰을 사용하여 인터넷 통화를 하고 있는 중인가를 판별하는 제 1 과정(S10)과 ;
    상기 제 1 과정(S10)에서 인터넷 통화중인 경우,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되었는가를 판별하는 제 2 과정(S20)과 ;
    상기 제 2 과정(S20)에서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인터넷 통화를 하는 제 3 과정(S30)과 ;
    상기 제 2 과정(S20)에서 국선으로부터의 Ring이 검출된 경우, 새로운 국선 호가 착신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Hook Flash"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화를 잠시 보류시킨 후, 새로운 국선 호에 대한 응답을 하여 국선 통화중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게 되는 제 4 과정(S40)과 ;
    상기 제 1 과정(S10)에서 인터넷 통화중이 아닌 경우, 국선 통화를 하고 있는 중인가를 판별하는 제 5 과정(S50)과 ;
    상기 제 5 과정(S50)에서 국선 통화중인 경우,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별하는 제 6 과정(S60)과 ;
    상기 제 6 과정(S60)에서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국선 통화를 하는 제 7 과정(S70) ; 및,
    상기 제 6 과정(S60)에서 LAN으로부터 새로 인터넷 호가 수신된 경우, 새로운 인터넷 호를 수신하기 위해 "Hook Flash"를 이용하여 국선 통화를 보류시킨 후, 인터넷 호를 수락하여 인터넷 통화중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게 되는 제 8 과정(S80)으로 순차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S40) 또는 제 8 과정(S80)에서 "Hook Flash"를 검출하는 방법은,
    "Hook Off" 상태가 "거짓"이고, "Hook Off" 유지 카운트가 "0"으로 초기화 된 상태에서, "Hook Off"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단계(S1)와 ;
    상기 제 1 단계(S1)에서 검출된 "Hook Off" 신호가 "로우"인가를 판별하는 제 2 단계(S2)와 ;
    상기 제 2 단계(S2)에서 "Hook Off" 신호가 "로우"인 경우, "Hook Off" 유지 카운트를 증가시킨 후 "Hook Off" 유지 카운트를 "Hook Off" 한계 기간 값과 비교하는 제 3 단계(S3)와 ;
    상기 제 3 단계(S3)에서 "Hook Off" 유지 카운트가 "Hook Off" 한계 기간 값보다 큰 경우, 즉 "Hook Off" 한계 기간동안 "Hook Off" 신호가 유지된 경우, "Hook Off"를 "참"으로 유지하는 제 4 단계(S4)와 ;
    상기 제 2 단계(S2)에서 "Hook Off" 신호가 "로우"가 아닌 경우, "Hook Off" 상태가 "참"인가를 판별하는 제 5 단계(S5)와 ;
    상기 제 5 단계(S5)에서 "Hook Off"가 "참"인 경우, 이때의 폴링 카운트를 "0"으로 기록하고 "Hook Off" 상태를 "거짓"으로 유지하는 제 6 단계(S6)와 ;
    상기 제 5 단계(S5)에서 "Hook Off" 상태가 "참"이 아닌 경우, LCS 신호를 폴링하여 LCS 신호가 "Hook on" 상태인가를 판별하는 제 7 단계(S7)와 ;
    상기 제 7 단계(S7)에서 LCS 신호가 "Hook on" 상태면 폴링 카운트를 증가시킨 후, 폴링 카운트를 "Hook Flash" 한계 기간 값과 비교하는 제 8 단계(S8) ; 및,
    상기 제 8 단계(S8)에서 폴링 카운트가 "Hook Flash" 한계 기간 값보다 큰 경우, 즉 "Hook Flash" 한계 기간(600ms)동안 "Hook on" 신호가 유지된 후 LCS 신호가 "Hook Off"로 검출되는 경우, 이때의 신호를 "Hook Flash"로 감지하여 "Hook Flash" 신호를 UCB로 송출하는 제 9 단계(S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크 플래쉬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 호와 인터넷 호 간의 자동 전환 방법.
KR1019990053249A 1999-11-27 1999-11-27 후크 플래시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호와 인터넷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339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249A KR100339872B1 (ko) 1999-11-27 1999-11-27 후크 플래시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호와 인터넷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249A KR100339872B1 (ko) 1999-11-27 1999-11-27 후크 플래시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호와 인터넷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535A true KR20010048535A (ko) 2001-06-15
KR100339872B1 KR100339872B1 (ko) 2002-06-10

Family

ID=1962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249A KR100339872B1 (ko) 1999-11-27 1999-11-27 후크 플래시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호와 인터넷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550A (ko) * 2001-05-09 2002-11-16 주식회사 실리코니어 국선/인터넷 겸용전화기의 통화 대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608A (ko) 2004-04-14 2004-06-23 주식회사 글루칸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772B1 (ko) * 1997-02-28 1999-09-15 장세권 네트워크용 전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550A (ko) * 2001-05-09 2002-11-16 주식회사 실리코니어 국선/인터넷 겸용전화기의 통화 대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9872B1 (ko) 200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1522A (en) Telephone line sharing for a personal computer system
US5687222A (en) ITU/TDD modem
US5822406A (en) Switching circuit for automatically routing audio and data signals between a modem, telephone, and I/O devices
US20030112938A1 (en) Telephone answering machine and method employing caller identification data
CN102149054A (zh) 彩铃业务的实现方法、装置及系统
JP2006333057A (ja) ボイスチェンジャ付電話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US6754313B1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computer telephone sets
KR100339872B1 (ko) 후크 플래시 또는 특수 버튼을 이용한 국선호와 인터넷호 간의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463761B1 (ko) 호출 응답 판정 방법 및 장치
US7277530B2 (en) IP telephone apparatus and IP telephone system
KR19980069507A (ko) 네트워크용 전화기
JP2006191675A (ja) ボタン電話装置の転送通知方法
JPH10341293A (ja) データベース端末装置および発信者情報検出装置
JP3737273B2 (ja) ボタン電話装置及びその着信受付方法
JP3443357B2 (ja) 電話機
KR100353228B1 (ko) 통화 보조 시스템
JP3175880B2 (ja) メール送信可能な電話端末装置
KR100405591B1 (ko)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진 인터넷폰 교환장치
KR100620949B1 (ko) 음성 통화 녹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90069725A (ko) 종합통신망 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착신 링 발생 방법
KR20020039491A (ko) 다기능 전화기
KR100455783B1 (ko)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
JP2002009898A (ja) 電話機及び留守番電子メールの送信方法
EP1892933A1 (en) Home gateway containing Voip, PSTN and POTS interfaces
JP2006033725A (ja) 電話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