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7922A -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 - Google Patents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7922A
KR20010047922A KR1019990052340A KR19990052340A KR20010047922A KR 20010047922 A KR20010047922 A KR 20010047922A KR 1019990052340 A KR1019990052340 A KR 1019990052340A KR 19990052340 A KR19990052340 A KR 19990052340A KR 20010047922 A KR20010047922 A KR 20010047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message
real
tim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ublication of KR2001004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9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양방향으로 송수신하는 화상통신기기에 있어서, 상대방에게 자신의 주변환경을 선별하여 전송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촬영하는 카메라(12)와, 수신된 동영상메세지를 화상으로 나타내는 LCD(16)와, 송신하고자 하는 음성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24)과, 수신된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재생시키는 스피커(14)와, 키패드(22)를 포함하는 화상통신기기에 있어서, 입력된 안내화상데이터를 저장해 두는 데이터저장수단(503)과, 안내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대기모드에서 실시간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실시간화상전송모드로 절환시키며 실시간화상전송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역절환시키는 절환스위치(130) 및, 절환스위치(130)의 작동에 의해 안내화상데이터와 실시간 화상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상데이터와 실시간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통신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Image and audio communications apparatus sending selected image message}
본 발명은 동영상과 음성으로 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신의 주변환경 즉 사생활 등을 상대방에게 알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통신정보의 발전이 국가의 권력을 대변한다할 만큼 통신정보에 관한 국가간의 경쟁은 치열하여짐과 동시에 그에 따라 많은 발전을 하였다. 유선전화에서 무선전화로 발전하였으며, 현재에는 화상을 통해 상대방을 보면서 통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폴더형 무선 화상전화기(IMT-20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무선 화상전화기(1)는 덮개부(10)와 본체부(20)로 구분되며, 덮개부(10)와 본체부(20)는 힌지(18)결합되어 있어 덮개부(10)가 하향으로 선회하게 되면 덮개부(10)의 저면과 본체부(20)의 평면은 접하게 되며, 덮개부(10)가 상향으로 선회하게 되면 덮개부(10)의 저면에 설치된 카메라(12), 스피커(14), TFT-LCD(16)가 나타나고, 그리고, 본체부(20)의 평면에 설치된 키패드(22)와, 마이크로폰(24)이 나타난다.
이런 덮개부(10)의 저면 상단에는 카메라(12)가 설치되는데, 사용자는 자신의 동영상메세지를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자신을 피사체로 하여 카메라(12)를 통해 전기적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카메라(12)의 하단에는 스피커(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런 스피커(14)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메세지를 듣는다.
그리고, TFT-LCD(16)는 스피커(14)의 하단에 설치된다. 이런 TFT-LCD(16)는 통화 중에는 상대방의 동영상메세지를 나타내고, 통화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는 현재시간, 충전지의 전원충전상태, 전파수신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나타낸다.
한편, 본체부(20)의 평면에는 키패드(22)가 설치되는데,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에 따라 키패드(22)를 눌러 화상전화기(1)를 조작한다.
그리고, 이런 키패드(22)의 하단에 설치된 마이크로폰(24)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메세지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한다. 이런 화상전화기(1)의 내부에는 메모리(도면에 도시 안됨)가 설치되어 일정량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동영상과 음성을 카메라(12)와 마이크로폰(24)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하며, 상대방의 동영상과 음성은 TFT-LCD(16)와 스피커(14)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키패드(22)를 조작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건다.
이런 화상전화기(1)를 사용함에 있어,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을 때, 사용자는 상대방이 누구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덮개부(10)를 상부로 선회하는 동작으로 전화를 받게 된다. 이 때, 상대방은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화상전화기(1)를 통해 사용자의 주변환경에 관한 정보를 접수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보안을 유지하여야 하는 정보원, 연구원, 핵심기술원 등이라면, 무의식중에 화상전화기(1)를 통해 걸려온 전화를 받는 순간, 사용자는 동영상을 통해 주변에 대한 정보를 유출시키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이는 반드시 보안을 유지하여야 하는 사람만의 문제는 아니다. 일반인일지라도 걸려온 전화를 받는 순간, 자신의 사생활이 타인에게 공개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95-14382호(발명의 명칭 : 화상전화기의 보류기능시 보류화상 전송장치 및 방법)"에서 소개하는 기술로는 보류키 입력이 이루어지면 실시간 영상 및 음성메세지를 차단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메세지가 전송되며, 보류해제키 입력이 이루어지면 다시 실시간 영상 및 음성메세지가 전송되는 보류화상 전송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전화기의 보류 기능시 보류화상 전송장치 및 방법"에서는 전화가 걸려오면, 우선, 화상통화가 이루어진 후에 잠시 대기하는 동안 저장된 영상 및 음성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전화를 받는 순간에 노출될 수 있는 자신의 사생활 및 보안을 유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에 동영상메세지를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선별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폴더형 무선 화상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화상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화상전화기의 보호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절환스위치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의 신호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의 회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유선 화상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컴퓨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덮개부 12 : 카메라
14 : 스피커 16 : TFT-LCD
18 : 힌지 20, 120 : 본체부
22 : 키패드 24 : 마이크로폰
130, 330 : 보호커버 140, 240, 340 : 절환스위치
100 : 무선 화상전화기 200 : 유선 화상전화기
224 : 수화기 300 : 화상통신컴퓨터
350 : 영상변환기 502 : 중앙처리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촬영하는 카메라와, 수신된 동영상메세지를 화상으로 나타내는 창와, 송신하고자 하는 음성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수신된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재생시키는 스피커와, 키패드를 포함하는 화상통신기기에 있어서, 입력된 안내화상데이터를 저장해 두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상기 안내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대기모드에서 실시간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실시간화상전송모드로 절환시키며 상기 실시간화상전송모드에서 상기 대기모드로 역절환시키는 절환스위치 및, 상기 절환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안내화상데이터와 상기 실시간 화상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상데이터와 실시간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통신기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에 통화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실시간화상전송모드에서 상기 대기모드로 절환되면서 영상 및 화상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는 화상통신기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환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증폭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환스위치는 상기 키패드에 설치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 1]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화상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화상전화기의 보호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절환스위치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의 신호흐름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의 회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전화기(100)의 덮개부(110)의 저면에는 그 내부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들어가 설치된 카메라(12; 도 1에 도시되어 있음)의 전방에 보호커버(130)가 설치되어 카메라의 렌즈(12a)를 보호한다. 이런 보호커버(130)는 덮개부(110)의 측면에 설치된 절환스위치(140)의 작동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이런 절환스위치(140)의 작동에 따라 화상전화기(100)에서 송신하는 영상메세지가 결정된다. 절환스위치(140)의 위치가 영상모드에 위치하게 되면 보호커버(130)는 열리게 되면서 화상전화기(100)는 카메라(12)를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동영상메세지와 함께 실시간 음성메세지를 송신하며, 절환스위치(140)가 음성모드에 위치하면 보호커버(130)는 닫히면서 카메라(12)의 렌즈(12a)를 보호한다. 이 때, 화상전화기(100)는 이미 메모리(503; 도 5에 도시됨)에 저장된 동영상메세지 또는 영상메세지와 사용자의 실시간 음성메세지를 송신한다.
한편, 화상전화기(100)의 내부에 내장된 메모리(503)에는 사용자의 신상을 프로필하는 동영상메세지 또는 영상메세지가 저장되어 있다. 이런 프로필 동/영상메세지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동/영상메세지를 녹화하여 메모리(503)에 저장하여 두는 것으로, 키패드(22) 중에서 녹화키를 조작하여 화상전화기(100)의 카메라(12)를 통해 사용자의 프로필 동영상메세지를 녹화하고, 그 녹화된 동/영상메세지를 메모리(503)에 저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동영상메세지는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화상전화기의 작동순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사용자는 절환스위치(140)를 영상모드로 위치시켜 카메라(12)가 노출되도록 보호커버(130)를 연다. 그리고, 키패드(22) 중에서 녹화키를 작동시켜, 자신이 준비한 프로필 동영상을 카메라(12)를 통해 동/영상메세지로 메모리(503)에 저장한다. 그리고, 절환스위치(140)를 음성모드로 위치시켜 보호커버(130)를 닫아 카메라(12)를 보호한다.
그런 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가 걸려오면, 화상전화기(100)의 덮개부(110)를 상향으로 선회시켜 전화를 받거나 또는, 전화를 걸기 위해서 덮개부(110)를 상향으로 선회시키고 키패드(22)를 눌러 전화를 걸고 발신음을 듣는다(S1). 이 때, 스피커(14)는 사용자의 귀에 위치하고 마이크로 폰(24)은 입의 주위에 위치시켜, 상대방의 음성메세지를 듣고, 자신의 음성메세지를 상대방에게 송신한다. 그러나, 이 때, 절환스위치(140)가 음성모드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카메라(12)를 통한 실시간의 동영상메세지는 상대방에게 보내지지 않으며, 메모리(503)에 저장된 동/영상메세지과 실시간의 음성메세지를 전송한다(S2).
따라서, 상대방은 사용자의 실시간 음성과 저장된 동/영상메세지을 전송 받게되고, 사용자는 상대방의 음성메세지 또는 영상메세지를 전송 받게 되어 상대방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S3).
이 때,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현 사용자의 모습과 주위의 환경을 상대방에게 노출시켜도 무방하다고 판단하였을 때(S4), 사용자는 절환스위치(140)를 영상모드로 위치시킨다(S5). 그러면, 보호커버(130)는 열리면서 보호커버(130) 안쪽에 위치한 카메라(12)를 통해 사용자의 모습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주위의 환경까지 실시간 동영상메세지로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이 때, 절환스위치(140)가 영상모드로 위치함과 동시에 전송되고 있던 저장된 동/영상메세지는 차단되면서 카메라(12)를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동영상메세지를 전송한다(S6).
이렇게 실시간 동영상과 음성메세지로 화상통화를 하다가 용건이 끝나면 전화를 끊게 된다(S7). 통화가 끝나면 덮개부(110)를 하향으로 선회하여 전화를 끊는데, 이 때, 절환스위치(140)를 음성모드로 이동시킨다(S8).
한편,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원치 않게 되면, 절환스위치(140)를 음성모드에 고정시켜 두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시간 음성메세지와 저장된 동/영상메세지를 전송한다(S9). 이렇게 실시간 음성메세지와 저장된 동/영상메세지을 전송하면서 통화하다가 용건이 끝나면 전화를 끊는다(S10).
한편, 절환스위치(140)가 음성모드에 위치한 상태에서 통화하는 시간이 저장된 동/영상메세지를 처음부터 끝까지 재생하는 시간보다 길 경우에, 동영상메세지는 처음으로 전환되어 다시 재생된다.
또한, 화상전화기(100)의 하단에 있는 커넥터(35)가 형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서는 저장시킬 동/영상메세지를 외부장치(개인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등)를 통해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보호커버(130) 없이 카메라(12)가 항시 노출되어 있으며, 절환스위치(130)의 작동에 따라 실시간 동영상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신기기는 절환스위치(130)의 입력에 응답하여 저장된 동/영상메세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기타 화상통신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부(CPU)(502)와, 중앙처리부(502)에서 수행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초기 데이터 혹은 프로그램에 의한 각종 처리데이터 및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동/영상메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503)와, 마이크로폰에서 전달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고 공중파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스피커로 전달하는 제 2 AD/DA변환기(504)와, 제 2 AD/DA변환기(504)에서 제공하는 송신할 디지털음성데이터를 압축하고 혹은 공중파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복원하여 제 2 AD/DA변환기(504)로 제공하는 음성코텍(505)과,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며 상대방으로부터 공중파 또는 유선을 통해 전달되어지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제 1 AD/DA변환기(506)와, 제 1 AD/DA변환기(506)에서 전달되는 디지털영상신호를 부호화하여 체널제어부(509)로 송출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어지는 디지털영상신호를 복호하는 영상코덱(507)과, 중앙처리부(502)의 제어를 받아 음성코덱(505)과 영상코덱(507) 및 메모리(503)의 음성과 영상 및 저장된 영상메세지를 공중파 또는 유선망의 음성 및 영상채널에 맞게 다중화하여 전송하거나 그 전송을 차단하는 채널제어부(509) 및, 카메라를 통해 영상신호가 입력될 때에는 제 2 AD/DA변환기(504)로부터 아날로그 변환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510)를 포함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유선 화상전화기는 음성과 영상메세지를 유선으로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는 것과, 절환스위치가 키패드에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커버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유선 화상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20)의 측면에는 스피커(14)와 마이크로폰(24)이 내장된 수화기(224)가 본체부(220)와 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부(220)에는 상하로 선회 가능한 TFT-LCD(16)가 설치되어 있으며, TFT-LCD(16)의 상부에는 카메라(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절환스위치의 한 종류인 토글스위치(240)가 본체부(220)의 상면에 설치되는 키패드(22)에 설치되어 있고, 본체부(220)의 내부에는 메모리(503; 도 5에 도시됨)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부(220)에는 음성 및 영상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250)이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동영상메세지는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유선 화상전화기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 화상전화기(200)로 전화를 걸거나 또는 전화를 받을 때, 토글스위치(240)는 음성모드 상태로서, 실시간 음성데이터와 저장된 동/영상데이터를 전송하며, 사용자가 상대방의 신원을 확인한 후에 토글스위치(240)를 누르면, 중앙처리장치(502; 도 5에 도시됨)에서는 토글스위치(240)의 입력신호를 받아 영상모드 상태로 전환한다. 그러면, 유선 화상전화기(200)는 케이블(250)을 통해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실시간 동영상메세지와 음성메세지를 전송한다.
이렇게 화상통화를 하다가 사용자가 전화를 끊으면, 통화종료(Hook on)신호는 중앙처리장치(502)에 입력되고, 중앙처리장치(502)에서는 토글스위치(240)의 영상모드 상태를 음성모드 상태로 전환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실시간 동영상메세지와 음성메세지의 전송을 차단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화상통신컴퓨터는 카메라와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가 독립된 외부장치로서 중앙처리부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상대방의 영상메세지를 모니터로 출력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컴퓨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매체의 중앙처리부(CPU)(502)에는 모니터(316)와,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변환하여 중앙처리부(502)로 입력시키는 영상변환기(350)와, 스피커(14), 마이크로폰(24), 입력장치인 키보드(322)가 외부장치로 연결되어 있다.
영상변환기(350)는 카메라(12; 도 1에 도시됨)와 보호커버(330)를 포함하며, 보호커버(330)는 절환스위치(340; 도 4에 도시된 도면부호 140과 유사함)에 의해 개폐된다. 한편, 메모리(503; 도 5에 도시됨)는 중앙처리부(502)에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저장된 동/영상메세지는 중앙처리부(502)에 내장된 메모리(503)에 저장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동영상메세지는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컴퓨터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신컴퓨터(300)로 상대방과 사용자가 통화를 할 때, 도 4의 도면부호 140의 절환스위치와 같이, 영상변화기(350)의 절환스위치(340)가 음성모드에 위치하여 있으면, 보호커버(330)는 닫혀진 상태에서 중앙처리부(502)에 저장된 동/영상메세지와 실시간 사용자의 음성메세지가 외부장치인 마이크로폰(24)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되며, 상대방의 음성메세지는 스피커(14)를 통해 음성으로 변환되어 들리게 되며, 상대방의 동영상메세지는 모니터(316)를 통해 나타난다.
그런 후에, 사용자가 실시간 동영상메세지를 전송하기로 결정하고, 절환스위치(340)를 영상모드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보호커버(330)는 열리면서 사용자의 모습은 카메라(12)로 촬영되고, 영상변화기(350)를 통해 영상 디자털 변환되어 중앙처리부(502)로 입력된다. 중앙처리부(502)에서는 촬영된 사용자의 실시간 동영상메세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며, 그럼으로써, 사용자와 상대방은 실시간 음성메세지와 실시간 영상메세지를 주고 받으면서 통화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영상메세지는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는 통화초기에 실시간 음성메세지로서, 상대방의 신원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실시간 동영상메세지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를 유출 및 사생활 노출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동영상메세지는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송신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촬영하는 카메라와, 수신된 동영상메세지를 화상으로 나타내는 창와, 송신하고자 하는 음성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수신된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재생시키는 스피커와, 키패드를 포함하는 화상통신기기에 있어서,
    입력된 안내화상데이터를 저장해 두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상기 안내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대기모드에서 실시간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실시간화상전송모드로 절환시키며 상기 실시간화상전송모드에서 상기 대기모드로 역절환시키는 절환스위치 및,
    상기 절환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안내화상데이터와 상기 실시간 화상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상데이터와 실시간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통화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실시간화상전송모드에서 상기 대기모드로 절환되면서 영상 및 화상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환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증폭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스위치는 상기 키패드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기기.
KR1019990052340A 1999-11-03 1999-11-24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 KR200100479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43473 1999-11-03
KR1019990043473 1999-1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922A true KR20010047922A (ko) 2001-06-15

Family

ID=1961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340A KR20010047922A (ko) 1999-11-03 1999-11-24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79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681B1 (ko) * 2001-12-20 2004-03-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영상과 음향의 합성 및 송신방법과 이를구현한 휴대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681B1 (ko) * 2001-12-20 2004-03-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영상과 음향의 합성 및 송신방법과 이를구현한 휴대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762B1 (ko) 휴대 영상 전화 단말, 휴대 영상 전화 시스템, 및 휴대 영상 전화 단말의 발호 및 착호 방법
KR101009773B1 (ko) 휴대 정보 단말
US20020067825A1 (en) Integrated headphones for audio programm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 biased microphone boom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JPH06292195A (ja) 携帯無線式tv電話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KR100332596B1 (ko) 화상통화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화방법
KR20010047922A (ko)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기기
JP4459916B2 (ja) 携帯情報端末
KR20010045158A (ko)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전화기
JP4600643B2 (ja) 文字表示機能を有するテレビ電話装置及びテレビ電話装置における音声の文字変換表示方法
JP3763995B2 (ja) 携帯電話機
JPH0580188B2 (ko)
KR20030033353A (ko) 도어폰
KR0157710B1 (ko) 부재중인 피방문자와 통화하는 방법
JPH08223264A (ja) 音楽出力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JPH06292197A (ja) 携帯無線式tv電話
JP3046998U (ja) 携帯電話
JP2004112820A (ja) 携帯テレビ電話端末
JP2003046676A (ja) テレビ電話機能付き電話機
JP3204262B2 (ja) 携帯無線装置
JP2000324235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3597997B2 (ja) 音声認識機能付き電話機
JP2590458Y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2714246B2 (ja) テレビ通話装置
JPS61281656A (ja) 電話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