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7675A -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7675A
KR20010047675A KR1019990051989A KR19990051989A KR20010047675A KR 20010047675 A KR20010047675 A KR 20010047675A KR 1019990051989 A KR1019990051989 A KR 1019990051989A KR 19990051989 A KR19990051989 A KR 19990051989A KR 20010047675 A KR20010047675 A KR 20010047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ller
mobile
terminal subscriber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유찬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5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7675A/ko
Publication of KR20010047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6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a) 호출자가 이동단말기 가입자를 호출하는 단계; (b)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 판단 결과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이라면, 호출자를 이동 교환국(MSC)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등록시키고, 메세지를 이동단말기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송출신호를 받아 이동단말기 가입자에게 호출자가 있음을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중인 이동단말기 가입자에게 긴급 호출된 것을 알려주고, 복수의 호출자를 자동으로 보류시켜 통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화 통화가 많거나 급한 용무가 있는 사용자에게 특히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 { Method for holding a caller in a mobile communicatin system }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일때 호출자들을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등록시킴으로써, 통화 종료후 자동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해 여러가지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화 접속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화 접속 과정은, 호출자가 이동단말기 가입자를 호출한다(단계 101). 이러한 호출을 통해 호출자의 오리지네이션 메세지 (Origination Message)는 호출자의 기지국을 통해 이동단말기 가입자의 이동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으로 전송된다.
상기 이동 교환국은 Origination 메세지를 수신하여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02). 판단 결과 호출된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이 아니라면 호출자에게 링(ring)을 송출하여(단계 103), 전화를 연결시켜 주고(단계 104), 만약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이라면 호출자에게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임을 알리는 톤을 송출한다(단계 105).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화 접속 과정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일 경우, 이동단말기 가입자와 급히 통화 하기를 원하는 호출자가 통화중음을 무한정 기다리거나, 계속해서 접속을 시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써,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일 경우 이동단말기 가입자의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호출자를 등록하여 이동단말기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하면, 자동으로 연결시켜 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화 접속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에 있어서 MSC의 자동 보류 테이블의 형식을 보여주는 도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은 (a) 호출자가 이동단말기 가입자를 호출하는 단계; (b)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 판단 결과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이라면, 호출자를 이동 교환국(MSC)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등록시키고, 메세지를 이동단말기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송출신호를 받아 이동단말기 가입자에게 호출자가 있음을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 종료후 보류 해제 메세지를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 송출하여 보류중인 호출자와 통화하는 (e)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b)단계에서 복수의 호출자를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등록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은 먼저 호출자가 이동단말기 가입자를 호출한다(단계 201). 이때 호출자의 Origination 메세지를 호출자의 기지국을 거쳐 이동단말기 가입자의 이동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렇게 Origination 메세지가 통화를 원하는 이동단말기 가입자의 이동 교환국으로 전송되게 되면, 이동단말기 가입자의 이동 교환국은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202).
상기 단계 202의 판단 결과,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이라면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호출자의 번호를 등록한다(단계 203). 아울러, 이동 교환국은 호출자에게 보류 멜로디등의 메세지를 송신하여 호출자가 통화 대기 상태라는 것을 알려준다.
이렇게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호출자의 번호가 등록되게 되면 이동 교환국은 이동단말기 가입자에게 현재 보류중인 호출자가 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이동단말기 가입자에게 전송하게 된다(단계 204).
이때 이동단말기 가입자의 단말기는 가입자에게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전송받은 메세지 전달을 위해 톤을 울려주고, 액정 표시 장치(LCD(Liquid Crystal Display)에는 문자로 보류중인 호출자가 있음을 디스플레이 시켜준다(단계 205).
이후,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를 종료하면(단계 206), 이동단말기 가입자의 단말기는 기지국을 통해 이동 교환국으로 보류 해제 메세지를 송출한다(단계 207). 이동단말기로부터 보류 해제 메세지를 수신 받은 이동 교환국은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등록된 보류 번호를 검색하여 보류중인 번호를 찾고, 보류 멜로디를 듣고 있는 호출자에게 이동단말기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었다는 메세지를 전송하고, 이 전송된 메세지를 수신 받은 호출자가 이동 교환국으로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여 보류 중이던 호출자와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연결되어(단계 208), 통화를 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에 있어서 호출자가 1명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호출자가 있을 경우에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호출자가 있을 경우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저장되는 형식을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복수의 호출자가 있을 경우에 보류 방법 및 응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출자 A가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을때, 또다른 호출자 B가 이동단말기 가입자에게 전화를 걸면, 상기 단계 201 부터 단계 202 과정을 거쳐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등록이 되는데, 이때 첫번째 호출자 A가 이미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호출자 B는 호출자 A 다음 순위에 등록이 된다.
이후,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를 종료하고 보류 해제 메세지를 이동 교환국으로 송출하게 되면, 이동 교환국은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첫번째 자동 보류되어 있는 호출자 A의 번호를 찾아, 이동단말기 가입자와 연결시켜 준다.
이렇게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첫번째 등록되어 있던 호출자 A가 이동단말기 가입자와 연결되게 되면,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서 호출자 A의 번호는 삭제하고, 두번째로 등록되어 있는 호출자 B를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의 첫번째 위치로 갱신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호출자는 이동단말기 사용자, 일반전화 사용자가 모두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에 의하면, 통화중인 이동단말기 가입자에게 긴급 호출된 것을 알려주고, 복수의 호출자를 자동으로 보류시켜 통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화 통화가 많거나 급한 용무가 있는 사용자에게 특히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a) 호출자가 이동단말기 가입자를 호출하는 단계;
    (b)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 판단 결과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중이라면, 호출자를 이동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등록시키고, 메세지를 이동단말기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송출신호를 받아 이동단말기 가입자에게 호출자가 있음을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통화 종료후 보류 해제 메세지를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로 송출하여 보류중인 호출자와 통화하는 (e)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b)단계에서 복수의 호출자를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 등록된 첫번째 호출자가 통화 연결되면, 자동으로 첫번째 보류자는 상기 이동 교환국의 이동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동 보류 테이블에서 삭제되고, 다음 호출자가 첫번째로 갱신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자동 보류 방법.
KR1019990051989A 1999-11-22 1999-11-22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 KR20010047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989A KR20010047675A (ko) 1999-11-22 1999-11-22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989A KR20010047675A (ko) 1999-11-22 1999-11-22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675A true KR20010047675A (ko) 2001-06-15

Family

ID=1962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989A KR20010047675A (ko) 1999-11-22 1999-11-22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76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292B1 (ko) * 2004-09-08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통화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292B1 (ko) * 2004-09-08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통화제어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9512A (en) Call waiting deluxe feature
EP0590862B1 (en) Information display provided to calling party
KR0175450B1 (ko) 키폰시스템에서 포기호 발신자 번호 표시방법
KR100528057B1 (ko) 입중계호에 응답하기 위한 방법 및 가입자 전화 시스템의 기지 장치
US20060199572A1 (en) Anonymous call blocking in wireless networks
JPH08256212A (ja) 電話システムの発呼者を被呼者に接続する方法
KR20000005353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신속한 음성 메일 액세스 시스템 및방법9
JP2000151812A (ja) 話し中電話機からのフラッシュフック信号を取り扱う方法および発信者識別デ―タを表示する電話機
GB2325114A (en) Call switching in private branch exchange
JP388310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並びにネットワーク装置
JPH04259129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JPH02256358A (ja) 通話中メッセージ送出機能付キャッチホンサービス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KR100285966B1 (ko) 이동무선교환시스템에서착신단말기의발신번표시방법
KR20010047675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출자 보류 방법
JPH10322773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CN100484174C (zh) 一种在汇接局中获得被叫状态的方法
KR20060002258A (ko) 부재중 전화가 왔을 때 자동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602277B1 (ko) 원폰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및해지 알림 방법
KR100247030B1 (ko) 디지털 통신망에서 호출자정보 안내방법
KR20010040284A (ko) 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과 메시지 녹음을 위한 방법및 시스템
KR100396048B1 (ko) 자동 다이얼링 장치
JP312930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秘書電話方法および秘書電話装置
KR100324735B1 (ko) 키폰의 구내 페이징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