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7432A - 섬유 탈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 탈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7432A
KR20010047432A KR1019990051651A KR19990051651A KR20010047432A KR 20010047432 A KR20010047432 A KR 20010047432A KR 1019990051651 A KR1019990051651 A KR 1019990051651A KR 19990051651 A KR19990051651 A KR 19990051651A KR 20010047432 A KR20010047432 A KR 20010047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ile products
deodorant composition
clothing
fiber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3037B1 (ko
Inventor
강주영
강윤석
김우재
이윤정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9005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037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에 염착이나 탈색 등의 손상없이 각종 섬유에 좋지 않은 냄새로 배어 있거나 오염된 냄새물질을 탈취할 목적으로 초기 탈취력이 우수한 무기계 금속 착화합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한 의류 및 섬유 제품 용도의 섬유탈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a) 구리 또는 아연 금속이 산화티탄에 담지된 콜로이드상의 무기계 금속착화합물을 포함하는 의류 및 섬유제품의 섬유탈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이 조성물은 추가로 탈취 및 항균효과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천연식물추출물인 감잎추출물 및 글리옥살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류 및 섬유제품 용도의 섬유 탈취제 조성물은 각종 냄새성분에 대한 탈취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세균 및 곰팡이에 대한 우수한 항균효과를 발휘하면서도 기존의 향 마스킹 방향제류나 공기청향제류의 제품들이 의류 및 섬유 제품에 변색이나 탈색 등의 손상 우려가 있어 사용하기를 꺼려하던 점을 해소하여 섬유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류 및 섬유제품 용도의 새로운 섬유탈취제 제품이다.

Description

섬유 탈취제 조성물{DEODORANT COMPOSITION FOR TEXTILES OR FABRIC}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섬유에 염착이나 탈색 등의 손상없이 각종 섬유에 좋지 않은 냄새로 배어 있거나 오염된 냄새물질을 탈취할 목적으로 초기 탈취력이 우수한 무기계 금속 착화합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한 의류 및 섬유 제품 용도의 섬유탈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불쾌한 냄새를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냄새 탈취 용도의 제품은 주거환경 및 실내외의 쾌적성 및 청결함을 위하여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악취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방향성의 향이 주성분인 방향제 제품이나 공기청향제 제품 그리고 세균 및 곰팡이냄새 제거제 등의 제품으로서 오래전 부터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러한 주거환경에 대한 탈취용품에 대해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일생생활에서 의류나 섬유 제품에 쉽게 배이는 냄새나 오염으로 인한 불쾌취를 세탁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제거하면서 동시에 섬유 제품에 손상을 주지 않는 의류 및 섬유 제품 전용의 탈취 제품에 대해서는 최근에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상 생활 주변에서 의류나 섬유 제품에 쉽게 배이거나 오염되는 것으로는 통상적으로 땀 냄새나 몸 냄새, 화장실 냄새, 고기나 생선요리 냄새 등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및 아민류 등의 질소 화합물의 염기성 취기와 김치야채 요리냄새나 세균 및 곰팡이 냄새 등에서 발생되는 황화수소나 메캅탄류 등의 황화 화합물의 산성취기 그리고 담배 냄새 등의 휘산성 취기 등이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주요한 악취원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냄새는 일과중에 착용 의복이나 커튼 및 카펫트 등의 섬유제품에 쉽게 노출됨으로서 좋지 않은 냄새로 배어 있거나 오염되기 쉬워 예민한 사람의 경우에는 심한 불쾌감까지 호소하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이러한 냄새는 특히 밀폐된 주거 공간내에서 주방에서 음식을 요리할 때나 환기가 되지 않고 오랫동안 보관 및 방치되는 경우에 커튼이나 소파, 카펫트, 심지어 침대나 옷장에 까지 냄새가 배어 들어 불쾌감을 유발시키기도 하며, 심지어 의류 및 섬유 제품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게 되어 불쾌한 냄새를 유발시키고 피부염증이나 각종피부 질환의 요인이 될 수 있어 위생상 좋지 않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우리의 일상 생활에 있어서 악취의 감지는 후각기관에 도달하는 몇종류의 화학적, 물리적 반응의 결과로써 휘발성 물질이 후각의 상피세포에 흡수되어 변화가 생기며 그로 인한 전위적 자극이 발생하면 신경을 통하여 뇌에 전달됨으로써 악취를 감지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생활공간의 쾌적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고조됨으로서 냄새는 환경원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서 불쾌취기의 발생원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선진 각국에서는 악취방지법 또는 대기오염 방지법 등의 규제 법률을 제정하여 엄격히 규제를 강화시켜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생활 주변 공간에서 불쾌감을 심하게 유발시키는 규제대상의 악취물질로는 생물의 배설물, 부패물, 각종 산업의 오,폐수 등 뿐만 아니라 생활 주변의 악취원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며 확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악취물질들은 염기성의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 등의 아민화합물, 산성의 황화수소 및 메틸메캅탄 등의 황화 화합물, 그리고 휘발점이 낮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류 화합물 등이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접하게 되는 악취물질로서 알려져 있으며, 이와같은 악취물질을 제거할 목적으로 이전부터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1) 화학적 제거방법
중화, 부가, 중합,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악취성분에 강한 반응성의 물질을 작용시켜 악취 물질을 분해 또는 무취성 화합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냄새물질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2) 물리 화학적 제거방법
활성탄이나 실리카, 사이클로 덱스트린 등의 흡착 및 포집능이 강한 화합물로서 악취성분을 표면에 흡착 또는 포집시키거나, 고비점의 용제, 계면활성제 등에 의한 흡수, 유동 파라핀, 고급 알코올,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피복시킴으로서 냄새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3) 생물 화학적 제거방법
양성 계면 활성제, 살균제 등에 의한 살균작용으로 세균에 의한 악취성분의 발생을 차단하거나, 소화 효소, 세균, 효모 등을 이용하여 악취 성분인 유기산을 분해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 및
4) 감각적 탈취방법
대상 악취성분에 대해 방향성의 향료를 사용하여 감각적인 중화나 냄새를 상쇄시켜주는 냄새 masking에 의한 제거방법.
한편, 의류나 섬유제품으로 부터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악취 원인 물질로서는 대개 담배 냄새, 조리시의 음식물 냄새, 몸에서 나는 땀이나 체취, 김치야채 냄새, 세균이나 곰팡이 냄새 및 각종 부패취 등에 의한 것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악취물질은 주로 암모니아(ammonia), 아민(amines), 산(acids), 알코올(alcohols), 알데히드(aldehydes), 케톤(ketones), 페놀(phenolics), 폴리시클릭(polycyclics), 인돌(indoles), 방향족(aromatics), 폴리아로마틱(polyaromatics) 등의 염기성 화합물 또는 휘산성 화합물과 티올(thiol), 메르캅탄(mercaptane), 설파이드(sulfide)와 같은 황화 화합물 등이다. 이와같은 다양한 악취원을 의류나 섬유제품에서 제거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세탁이나 드라이클리닝을 하여 제거할 수 있는데 세탁이 번거롭거나 세탁하기 힘든 커튼, 카펫트 등의 섬유 제품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섬유에 배인 악취물질을 쉽게 흡착시키거나 분해시키는 등의 탈취 물질을 섬유 표면에 직접 도포해 줌으로서 직접 악취 원인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훨씬 간편한 탈취방법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각종 섬유 표면에 배어 있는 냄새 물질을 흡착, 분해시키는 등의 탈취 성분을 직접 도포해 주는 탈취 방법은 광범위한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악취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시킬 수 있고 자체의 냄새도 없어야 되며 섬유제품에 어떠한 손상도 주지 않아야 한다는 제약이 따르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 의류 및 섬유 제품에 대한 악취 제거 기술은 악취 성분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제거가 아니라 주로 향에 의한 masking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는데, 이것은 냄새성분이 그대로 남아 있어 향이 없어 지면 다시 냄새를 느끼게 되므로 진정한 냄새 탈취방법으로서는 미흡한 것이 사실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의류나 섬유에 밴 악취성분을 근원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용도의 탈취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환상다당류인 cyclo dextrine과 금속미네랄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고 masking향을 첨가하여 의류 및 섬유표면에 분무하여 탈취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는데 (미국특허 제5,534,165호, 제5,593,670호, 제5,668,097호, 제5,714,137호, 5,882,638호), 이것은 향으로 마스킨(masking)하는 동안 금속이온이 악취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시키고 수분이 건조되는 동안 시클로 덱스트린(cyclo dextrine)이 분해된 악취 물질을 포집하여 냄새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탈취기술은 섬유에 대한 손상이 거의 없고 암모니아나 아민류 화합물과 같은 염기성 취기와, 담배 냄새 등의 휘산성 취기 물질에 대해서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으나 김치야채 냄새 및 음식물의 부패취 등의 산성취기에는 거의 탈취효과가 없으며 건조후에 섬유가 다시 수분에 의해 습윤되면 시클로 덱스트린에 포집된 악취물질과 수분의 교환 현상에 의해 포집되었던 악취 물질이 그대로 방출되어 불쾌치가 다시 느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글루코즈(glucose)로 구성된 시클로 덱스트린은 항균제와 방부제를 적절히 사용하지 않으면 섬유상에 미생물이 발생하여 번식될 수 있고 섬유 표면에 장기간 남아 있을 경우에도 곰팡이가 쉽게 증식하게 되어 냄새가 나거나 섬유를 변색시키게 되는 원인이 되어 좋지 않게 된다.
또한 탈취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유효한 천연 추출물로는 후라보노이드나 휘튼치드, 녹차추출물, 버섯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목초액 등 지금까지 수십여종이 알려져 있으나 의류 및 섬유제품의 탈취제의 용도로서 탈취효과가 부족하고 경제성이 미흡하며 또 단독으로 사용시에는 탈취시간이 오래 걸리고 과량 사용시에 의류나 섬유제품에 남아 황변이나 변색등의 문제를 야기시키는 등 섬유탈취제 용도로서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의류 및 섬유 제품에 손상이 없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탈취할 수 있는 새로운 탈취제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의류 및 섬유제품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담배 냄새나 고기 및 생선요리 냄새, 한국적 음식문화의 특징인 김치 냄새 뿐만 아니라 세균 및 곰팡이 냄새 등의 다양한 악취물질에 대하여 초기에 탈취효과가 우수하며 항균효과도 우수한 새로운 섬유탈취제 조성물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각종 섬유제품에 대하여 염착이나 탈색 등의 섬유손상이 없고 인체에도 안전한 냄새물질의 섬유탈취 주성분으로서 무기계 금속 착화합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섬유에 배어 있거나 오염된 냄새물질을 탈취하기 위하여 탈취성분으로서 구리 또는 아연 금속을 산화티탄에 담지시킨 평균 입자크기가 1∼10 nm의 콜로이드상 무기계 금속 착화합물을 0.01 내지 12 중량%를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및 섬유 제품용 섬유탈취제를 제공한다.
또한 추가로 탈취 및 항균효과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천연식물추출물인 감잎추출물 및 글리옥살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1 종 이상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천연 식물추출물로서 페놀성 수산기 및 다당류와 아미노산 등이 주성분인 감잎 추출물을 0.1 내지 15 중량%와 두 개의 수산기를 갖는 글리옥살을 0.1% 내지 8 중량%를 단독 또는 병용하여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및 섬유 제품용 섬유탈취제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섬유탈취제 조성물의 유효량을 의류 및 섬유 제품에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및 섬유제품의 탈취 방법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 용]
섬유탈취제에 있어서 초기탈취력은 사용자에게 탈취효과를 즉각적으로 인지시키는 아주 중요한 요소인데 본 발명에서 사용된 금속착화합물은 특히, 김치, 야채 냄새 등의 산성취기에 아주 강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섬유탈취제 주성분으로서 콜로이드상 무기계 금속 착화합물은 0.01 내지 12 중량%을 함유하며 구리 또는 아연 금속을 산화티탄에 담지시킨 평균 입자크기가 1 내지 10 nm의 콜로이드상 무기계 금속 착화합물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착화합물은 기질로서 화장품의 원료 기준에 적합한 산화티탄(TiO2) 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기질에 안정적으로 구리(Cu), 또는 아연(Zn) 금속을 담지시키고 있다.
이 화합물의 섬유에서의 탈취 메카니즘은 종래 주류였던 물리, 화학 흡착이나 향 마스킹(masking)과는 달리 광촉매 반응에 의한 분해작용에 의해 각종 냄새물질을 탈취하는 것이며, 온도 상승과 자외선 조사에 의해 여기되어 분해 반응속도가 증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아울러 흡착 탈취작용의 결점인 포화 열화도 없고 장기적으로 탈취효과가 지속될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이다. 그리고 이 금속 착화합물은 산성취기의 주요 성분인 황화수소와 메틸메캅탄 등의 황화 화합물에 대해 거의 완벽한 탈취 효과를 발휘하며 더욱이 염기성 취기인 암모니아나 트리메틸아민류 등은 물론 휘산성 취기인 아세트알데히드류 등의 냄새물질에도 매우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천연 식물 추출물인 감잎추출물과 글리옥살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1 종이상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탈취제 조성물은 무기계 금속 착화합물의 금속 이온이 초기에 악취 물질을 분해하고 감잎 추출물의 주성분인 탄닌류 및 폴리페놀류 화합물과 유기계 글리옥살 화합물이 각종 냄새물질의 성분과 화학적으로 부가 또는 축합반응을 일으켜 비휘발성 냄새물질로 변화시켜 냄새를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탈취 메카니즘을 발휘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 탈취제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감잎 추출물은 식물 추출 성분으로서 0.1 내지 15 중량%를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데, 후라보노이드 유도체인 탄닌 성분과 폴리 페놀류, 축합형 탄닌, 유기 고분자류 등의 복합 작용에 의해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틸메캅탄 등의 악취 가스 성분을 중화 및 부가, 치환, 환원 등의 화학적 탈취작용과 물리적인 포접이나 흡착, 흡수작용 등으로 냄새물질을 제거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섬유탈취제 조성물은 염기성 및 휘산성의 냄새물질을 제거하고, 특히 세균 및 곰팡이의 억제 작용으로 우수한 항균효과를 발휘하는 글리옥살 화합물을 0.1 내지 8 중량%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데, 반응성이 큰 말단의 하이드록시기에 의해 각종 냄새 성분의 염기성 및 휘산성의 관능기와 중화 또는 부가, 축합 등의 화학적 반응으로 탈취작용을 함으로서 냄새물질을 제거해 주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섬유탈취제 조성물의 특징은 각종 면 등의 천연 섬유류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 섬유에 대하여 변색이나 염착, 탈색등의 섬유손상이 없고 일광에 노출되어도 섬유의 형태나 색상의 변퇴색 및 염착 등의 섬유손상을 주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의류나 카펫트, 커튼 등의 섬유 제품류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섬유탈취제 조성물에 대하여 탈취 후에 섬유제품에 기분 좋은 향취를 부여하기 위하여 신선하고 은은한 향료를 함유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하여 물성 안정성이나 탈취효과 등에 영향이 없는 범위 이내에서 극소량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항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목적으로 공지의 트리클로산(스위스, 시바스페셜티 사제)이나 자몽추출물 등의 천연 항균성분을 극소량 함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섬유탈취제 조성물의 경시 상안정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보존제로서 공지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류 등의 가용화 용제를 미량 사용하거나 섬유 및 의류의 정전기 방지효과를 부여할 목적으로 공지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의 각종 정전기 방지제를 선택적으로 소량 함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안정성 및 탈취효과 등에는 영향이 없는 범위이어야 하며 상기의 각종 첨가제 등에 의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특징지워 지지는 않는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실시예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5, 비교예 1∼5
(탈취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섬유 탈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섬유 탈취제 조성물(단위: 중량%)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금속착화합물(TiO2/Cu,Zn) 3 5 8 10 0.2 - - - - -
감잎추출물 6 - 0.5 0.1 12 - - - - -
글리옥살 2 - 0 0.2 2 - - - - -
메틸사이클로 데스트린 - - - - - - 1.5 - - 2
염화아연(ZnCl2) - - - - - 2 1 - 5 1
녹차추출물(후라보노이드) - - - - - 5 2 6 - -
비이온성계면활성제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5
프로필렌글리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1
에탄올 1 3 5 3 2 4 7 5 2 5
기타 첨가제 1 1 0.5 0.5 1 1 0.5 1 1.5 0.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상기 표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공지의 유화분산제 용도의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토스테아릭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화합물의 군에서 선택가능하며,
기타 첨가제는 공지의 구연산 염 또는 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유기 및 무기계 염류와 이소치아졸리논계 방부제, 향료, 색상안정화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지제, 형광증백제, 수용성 염료 등의 첨가제 화합물이다.
(평 가)
상기 표 1 과 같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구성 성분들에 대한 섬유탈취제 조성물을 안정하게 얻을 수 있었으며, 각 조성물에 대하여 일상생활에서 의류 및 섬유제품에 쉽게 노출되어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주요한 냄새 성분으로서 염기성 취기로서 대표적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그리고 휘산성 취기로서 대표적인 아세트알데하이드, 산성 취기로서 대표적인 메틸메캅탄 화합물에 등의 악취원에 대해 각 조성물로서 검지관법에 의한 ??취효과를 3 회이상 반복 평가를 시험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검지관은 GASTEC 사제, no.71, 92, 180 으로, 각각 메틸 메르캅탄(methyl mercaptan), 아세트알데히드, 아민류 용의 지정 검지관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직물의 항균성 시험방법(KS K 0693법)에 따라서 항균효과를 평가하였고, 섬유 제품에 대한 안정성 시험을 위하여 `직물의 일광견뢰도 시험방법(KS K 0700법)에 따라 변퇴색 및 염착 현상 등의 섬유손상 여부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에 대하여 비교 평가 시험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5의 조성물은 각종 냄새 성분에 대한 탈취효과가 70 % 이상으로 비교예 1∼5의 조성물 보다 우수한 탈취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산성 취기인 메틸메캅탄 및 황화수소에 대해서는 비교예의 조성물이 거의 50 % 이하로서 탈취효과가 미흡하였던 반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거율이 70 % 이상으로 탈취효과가 현저히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어 한국적인 음식요리 문화에 노출되기 쉬운 김치야채 및 고기요리, 담배냄새 등의 불쾌취기를 세탁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제거해 주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직물의 항균효과 시험에서도 균감소율이 거의 90 % 이상으로서 매우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각종 섬유제품에 대한 변퇴색 및 염착 등의 섬유손상 우려도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 및 섬유제품 용도의 섬유 탈취제 조성물은 각종 냄새성분에 대한 탈취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세균 및 곰팡이에 대한 우수한 항균효과를 발휘하면서도 기존의 향 마스킹 방향제류나 공기청향제류의 제품들이 의류 및 섬유 제품에 변색이나 탈색 등의 손상 우려가 있어 사용하기를 꺼려하던 점을 해소하여 섬유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류 및 섬유제품 용도의 새로운 섬유탈취제 제품이다.

Claims (8)

  1. a) 구리 또는 아연 금속이 산화티탄에 담지된 콜로이드상의 무기계
    금속착화합물
    을 포함하는 의류 및 섬유제품의 섬유탈취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b) 감잎 추출물
    을 더욱 포함하는 의류 및 섬유제품용 섬유탈취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c) 2 개의 수산기를 갖는 글리옥살
    을 더욱 포함하는 의류 및 섬유제품용 섬유탈취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금속착화합물의 함량이 0.01 내지 12 중량%인 의류 및 섬유제품용 섬유탈취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금속착화합물의 입자크기가 1 내지 10 nm 인 무기계 금속 착화합물인 의류 및 섬유제품용 섬유탈취제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감잎 추출물의 함량이 0.1 내지 15 중량%인 의류 및 섬유제품용 섬유탈취제 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의 글리옥살의 함량이 0.1 내지 8 중량%인 의류 및 섬유제품용 섬유탈취제 조성물.
  8. 제 1 항 기재의 섬유탈취제 조성물의 유효량을 의류 및 섬유 제품에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및 섬유제품의 탈취 방법.
KR1019990051651A 1999-11-19 1999-11-19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10059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651A KR100593037B1 (ko) 1999-11-19 1999-11-19 섬유 탈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651A KR100593037B1 (ko) 1999-11-19 1999-11-19 섬유 탈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432A true KR20010047432A (ko) 2001-06-15
KR100593037B1 KR100593037B1 (ko) 2006-06-26

Family

ID=1962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651A KR100593037B1 (ko) 1999-11-19 1999-11-19 섬유 탈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03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831A (ko) * 2002-04-22 2003-11-01 게스트환경기술 주식회사 광촉매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용 탈취제
KR100511935B1 (ko) * 2002-05-03 2005-09-21 우리켐테크(주) 악취 제거용 탈취제
KR100765426B1 (ko) 2005-10-14 2007-10-11 주식회사 옥시 레킷벤키저 나노실버가 티타늄디옥사이드에 담지된 무기계 금속착화합물을 함유하는 살균/항균 및 소취 기능의섬유탈취제용 수성 조성물
KR100828023B1 (ko) * 2001-12-20 2008-05-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80012138A (ko) * 2016-07-26 2018-02-05 (주)탑나노시스 우모 소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모 세척 방법
KR102500088B1 (ko) * 2022-09-30 2023-02-16 주식회사 퍼스트창 커튼용 친환경 섬유탈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643A (ko) 2016-12-06 2018-06-15 김종철 천연식물 추출물로 만들어진 섬유향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4567A (ja) * 1986-09-02 1988-07-3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KR970008154B1 (ko) * 1992-04-14 1997-05-21 롯데제과 주식회사 감잎 추출물을 이용한 소취제
US5609863A (en) * 1993-11-22 1997-03-11 Cox; James P. Glyoxal composition for reduction of animal waste stench and septicity, and method thereof
KR960021134A (ko) * 1994-12-06 1996-07-18 이용배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
TW365547B (en) * 1994-12-26 1999-08-0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atalytic compositions and a deodoriz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333590B1 (ko) * 1998-04-20 2002-09-12 엘지전자주식회사 광재생형 탈취제 및 탈취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23B1 (ko) * 2001-12-20 2008-05-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030083831A (ko) * 2002-04-22 2003-11-01 게스트환경기술 주식회사 광촉매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용 탈취제
KR100511935B1 (ko) * 2002-05-03 2005-09-21 우리켐테크(주) 악취 제거용 탈취제
KR100765426B1 (ko) 2005-10-14 2007-10-11 주식회사 옥시 레킷벤키저 나노실버가 티타늄디옥사이드에 담지된 무기계 금속착화합물을 함유하는 살균/항균 및 소취 기능의섬유탈취제용 수성 조성물
KR20180012138A (ko) * 2016-07-26 2018-02-05 (주)탑나노시스 우모 소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모 세척 방법
KR102500088B1 (ko) * 2022-09-30 2023-02-16 주식회사 퍼스트창 커튼용 친환경 섬유탈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3037B1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9951B2 (ja) 揮発性尿臭成分の生成抑制方法
KR20080089893A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섬유탈취제 조성물
KR101640061B1 (ko)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102464550B1 (ko) 향료 원료를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소독제
KR101172928B1 (ko) 의류 및 섬유제품용 탈취제 조성물
KR100593037B1 (ko) 섬유 탈취제 조성물
JP2014152154A (ja) 肌着用の抗菌スプレー剤組成物
JPH0240339B2 (ko)
JPH0669478B2 (ja) 消臭剤および消臭スプレー
KR101869269B1 (ko)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20030093612A (ko) 액상 항균 소취제 조성물
JPH08164192A (ja) 植物性の消臭剤
KR20080087499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구비한 섬유 유연제 조성물
JP2003113010A (ja) 抗菌消臭剤
JP3757679B2 (ja) 消臭剤
KR20030043302A (ko) 체취 감소용 소취제 조성물
JP2804823B2 (ja) 消臭剤
JP3458808B2 (ja) 消臭剤
JP2804822B2 (ja) 消臭剤
KR20130011496A (ko)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주방용 세정제 조성물
KR102466766B1 (ko) 칡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악취 제거제
JP2007031605A (ja) 香料組成物
KR100486092B1 (ko) 항균 및 탈취 효능을 갖는 세정제
KR20060102631A (ko) 살균성 및 피부 저자극성을 갖는 소취제 및 상기 소취제를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2566260B1 (ko) 섬유 탈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