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577A -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577A
KR20010046577A KR1019990050402A KR19990050402A KR20010046577A KR 20010046577 A KR20010046577 A KR 20010046577A KR 1019990050402 A KR1019990050402 A KR 1019990050402A KR 19990050402 A KR19990050402 A KR 19990050402A KR 20010046577 A KR20010046577 A KR 20010046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ynchronous
synchronous
base station
handoff
mobil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5941B1 (ko
Inventor
박재홍
이종원
이유로
이호근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5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941B1/ko
Priority to US09/707,151 priority patent/US6704581B1/en
Priority to EP00309867A priority patent/EP1104974A3/en
Priority to JP2000345172A priority patent/JP3739276B2/ja
Publication of KR2001004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25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involving aiding data received from a cooperating element, e.g. assisted GPS
    • G01S19/256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involving aiding data received from a cooperating element, e.g. assisted GPS relating to timing, e.g. time of week, code phase, timing off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62Arrangements for Wireless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1Arrangements for Wireless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8Tim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간 핸드오프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동기/동기 겸용 방식의 이동국이 비동기 무선 망에서 동기 무선 망으로 핸드오프할 경우, 비동기 기지국이 자신의 수신장치를 통해 동기 기지국의 모든 정보를 획득한 후 이동국으로 전송해 주는 기법을 이용하여 핸드오프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핸드오프 처리방법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비동기 무선 망과 동기 무선 망이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비동기 시스템과 동기 시스템간의 원활한 핸드오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이동통신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 및 방법{HAND OFF DEVICE AND METHOD FROM ASYNCHRONOUS SYSTEM TO SYNCHRONOUS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간 핸드오프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비동기 무선 망에서 동기 무선 망으로 이동할 경우 비동기 기지국이 자신의 수신장치를 통해 동기 기지국의 모든 정보를 획득한 후 이동국으로 전송해 줌으로써, 원활한 핸드오프를 가능하게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이동통신 서비스는 1980년대 아날로그 기술 기반의 제 1세대 방식, 1990년대 디지털 기반 기술의 제 2세대 방식으로 발전해 왔으며, 제 2세대 방식에서는 종래의 음성 중심의 서비스를 벗어나 각종 비전화(non-telephone) 서비스와 데이터 전송서비스까지 서비스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의 급격한 증가와 활동범위의 확대, 개인화, 멀티미디어화 등의 요구에 따라 세계적 규모의 망 사이에서 사용자/이동국간의 이동(roaming)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방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래의 정보통신 수요에 대처하기 위하여 국제전기연합(ITU)을 중심으로 제 3세대 이동통신 방식인 IMT-2000과 관련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한된 주파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체 서비스 지역을 소규모의 서비스 지역인 셀(Cell)들로 분할하여 서비스하는데, 이때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해 주기 위해 사용자가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셀을 벗어나도 계속적으로 통화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의 통화채널을 인계해주는 핸드오프(Hand off)가 수행된다. 핸드오프는 구체적으로 이동국이 통화중에 다른 셀로 이동하면 이동한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통화 채널을 할당받도록 하는 것으로, 핸드오프에는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 off) 방식과 하드 핸드오프(Hard Hand off) 방식이 있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은 크게 동기 시스템과 비동기 시스템으로 구분되며, 이 가운데 동기 시스템은 각 하부 시스템들이 GPS(Gol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의 매스터 클럭(master clock)에 따라 동기를 맞추어 통신하는 시스템이고, 비동기 시스템은 GPS로부터의 매스터 클럭(master clock)을 이용하지 않는 통신 시스템이다. 본원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2세대(2G) 동기 시스템 또는 향후 상용화될 3세대(3G) 동기 시스템(동기 IMT-2000)을 의미하고,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3세대 비동기 시스템(비동기 IMT-2000)을 의미한다.
도 1은 동기 시스템과 비동기 시스템이 동일한 지역에서 서비스되고 있을 때의 동기 기지국과 비동기 기지국의 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세대 비동기 시스템은 초기에는 모든 지역에서 서비스할 수 없기 때문에 3세대 비동기 시스템의 셀이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2세대 동기 시스템의 셀에 인접하거나 포함되는 형태가 될 것이고, 이러한 기지국간의 셀 배치 관계는 크게 3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첫 번째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동기 기지국(200)의 셀(20)이 동기 기지국(100)의 셀(10)안에 완전히 포함된 상태이고, 두 번째 경우는 비동기 기지국(200)의 셀(21)이 동기 기지국(100)의 셀(10) 영향권 안에 있는 상태이며, 세 번째 경우는 비동기 기지국(200)의 셀(22)이 동기 기지국(100) 셀(10)과 일부분만 겹쳐져 있는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셀 배치 상황에서 비동기 시스템과 통화중인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은 비동기 시스템의 셀 경계에서 인접 동기 시스템으로의 지리적 이동을 할 경우 비동기 시스템에서 인접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가 가능하여야만 통화의 단절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 방식은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비동기 시스템의 셀에서 동기 시스템의 셀로 이동할 때 단순히 비동기 시스템의 방식을 이용하여 핸드오프 처리동작을 수행하였다. 이때, 상술한 비동기 시스템의 방식이란 비동기 시스템들간에 동일한 기준시간을 정하지 않고 단순히 임의의 시간에 각 비동기 시스템마다 시간 오프셋(offset)을 부여하여 절대시간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의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식에 의하면 크게 3가지의 치명적인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첫 번째 문제점으로는, 동기 기지국에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의 절대시간은 동기 기지국의 절대시간과 관련없는 비동기 기지국에서 정의된 시간 오프셋으로 설정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비동기 기지국과 통화하고 있는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동기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핸드오프를 하고자 할 경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은 동기 기지국의 시간정보를 알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은 현재 통화를 하고 있는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동기 기지국의 검색명령인 파워 모니터링 명령을 받았을 경우 곧바로 인접한 동기 기지국의 파워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없고, 먼저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초기 셀 탐색작업을 통한 동기 기지국의 시간정보를 획득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 과정은 동기 기지국의 셀 영역에서 이동국이 전원을 켰을 때 이동국 자신이 속해있는 동기 기지국의 속성을 알기위한 작업과 동일하며, 동기 시스템상에서 알려져 있듯이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다. 따라서, 이러한 동기 시스템의 셀 탐색 작업을 비동기 기지국과 통화중인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수행을 한다면, 아무리 겸용 이동국이라 할지라도 탐색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비동기 기지국과의 통화를 계속 진행할 수 없는 통화 단절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인해 통화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 번째 문제점으로는,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비동기 기지국과 연결되어 통화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동기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핸드오프를 할 경우, 이동국과 비동기 기지국간의 통화가 끊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비동기 기지국은 비동기 시스템 방식에서 사용하는 컴프레스드 모드(Compressed Mode) 기법을 이용해야 되는데, 이 컴프레스드 모드를 이용하는 시간동안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동기 시스템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상술한 압축 모드라는 것은 하드 핸드오프시 이동국이 다른 시스템의 정보를 탐색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현재 통화하고 있는 비동기 전송채널에서 일정 부분을 비워주는 방식을 의미하며, 이 경우 순간적으로 최대 약 10ms 정도의 시간을 비워 줄 수 있다.
세 번째 문제점으로는, 핸드오프 처리시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동기 기지국의 시간정보를 획득하여 인접 동기 시스템의 파워 모니터링 과정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비동기 기지국으로 보냈다고 하더라도,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핸드오프 시점에서 정확한 동기 시스템의 롱 코드 상태를 이동국이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통통신 망을 통하여 동기 시스템에서 비동기 시스템으로 정보를 제공하던지, 아니면 동기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를 하고자 하는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에 무선으로 롱 코드 상태정보를 전달하여야 하지만, 이 방법은 부가적이고 복잡한 시스템 구현 및 방법이 동원되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현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없음으로써 핸드오프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국이 비동기 시스템 영역에서 동기 시스템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비동기 기지국이 자신의 수신장치를 통해 동기 기지국의 절대시간 정보 및 롱 코드 상태정보를 획득한 후 이동국으로 전송해 줌으로써, 이동국으로 하여금 동기 시스템의 셀 탐색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해주어 이동국의 통화 단절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줌과 동시에 이로 인해 원활한 핸드오프를 가능하게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는 GPS로부터의 매스터 클럭에 따라 동기를 맞추어 통신하는 다수개의 동기 기지국, 상기 다수개의 동기 기지국과 인접해 있으며 동일한 기준시간 없이 임의의 시간에 각각 다른 시간 오프셋을 부여하여 기준시간으로 사용하는 다수개의 비동기 기지국, 상기 다수개의 동기 기지국 및 상기 다수개의 비동기 기지국과 모두 통화가능한 다수개의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 등으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내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비동기 기지국은, 인접한 동기 기지국들에서 전송하는 파일롯 신호와 동기 신호를 복조하여 인접 동기 기지국들의 절대시간 정보, 롱 코드 상태정보, 쇼트 코드 상태정보 등과 같은 동기 시스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은,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동기 기지국의 절대시간 정보를 획득한 후 자신의 절대시간(t)을 설정하기 위해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호를 시도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호를 시도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호를 시도하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절대시간(t)에 맞춰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과 통화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이 아니면 다시 상기 제 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이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5 단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의 탐색 메시지를 수신받아,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을 탐색한 후 이에 상응하는 결과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에서 전송한 인접 비동기 기지국에 관련된 탐색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그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7 단계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인접 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절대시간 정보, 롱 코드 상태정보, 쇼트 코드 상태정보 및 자신의 오프셋 시간정보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8 단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비동기 기지국의 탐색 메시지와 인접 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아, 인접 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한 후 이에 상응하는 결과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9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에서 전송한 인접 동기 기지국에 관련된 탐색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그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10 단계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핸드오프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프 메시지를 입력받아, 이미 전송받은 동기 기지국의 롱 코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동기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 1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은,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동기 기지국의 절대시간 정보를 획득한 후 자신의 절대시간(t)을 설정하기 위해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제 101 단계;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호를 시도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2 단계;
상기 제 102 단계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호를 시도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0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호를 시도하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절대시간(t)에 맞춰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과 통화를 수행하는 제 103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4 단계;
상기 제 104 단계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이 아니면 다시 상기 제 10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이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105 단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의 탐색 메시지를 수신받아,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을 탐색한 후 이에 상응하는 결과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106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에서 전송한 인접 비동기 기지국에 관련된 탐색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그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7 단계;
상기 제 107 단계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인접 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정보중에서 롱 코드 상태정보를 제외한 절대시간 정보, 쇼트 코드 상태정보 및 자신의 오프셋 시간정보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108 단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비동기 기지국의 탐색 메시지와 함께 인접 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정보중 롱 코드 상태정보만을 제외한 모든 정보를 수신받아, 인접 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한 후 이에 상응하는 결과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109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에서 전송한 인접 동기 기지국에 관련된 탐색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그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10 단계;
상기 제 110 단계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0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핸드오프 메시지에 동기 시스템의 롱 코드 상태정보를 삽입시킨 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111 단계; 및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프 메시지 및 동기 기지국의 롱 코드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그 동기 기지국의 롱 코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동기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 11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기지국과 비동기식 기지국의 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시스템에서 동기식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에서 비동기 시스템들의 절대시간에 대한 신호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기 기지국 셀 100 : 동기 기지국
20, 21, 22 : 비동기 기지국 셀 200 : 비동기 기지국
210 : 수신장치 300 :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
이하, 본 발명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는 다수개의 동기 기지국(100), 다수개의 비동기 기지국(200), 상기 다수개의 비동기 기지국(200)내에 장착된 수신장치(210) 및 다수개의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동기 기지국(100)은 GPS로부터의 매스터 클럭에 따라 동기를 맞추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과 통신하는 기지국이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기 다수개의 동기 기지국(100)과 인접해 있으며, 상기 수신장치(210)에서 출력한 동기 기지국들(100)의 절대시간 정보 및 롱 코드 상태정보 등과 같은 모든 정보를 입력받아 자신의 기준시간을 설정함과 동시에 그 기준시간에 의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과 통신을 하고, 이후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시 상기 비동기/동기 이동국(300)으로 그 동기 기지국들의 절대시간 정보 및 롱 코드 상태정보 등과 같은 모든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비동기 기지국(200)내에 각각 장착된 수신장치(210)는 인접한 동기 기지국(100)들에서 전송하는 파일롯 신호와 동기 신호를 복조하여 인접 동기 기지국(100)들의 절대시간 정보, 롱 코드(long code) 상태정보, 쇼트 코드(short code) 상태정보 등과 같은 동기 시스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후 자신의 비동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수신장치(210)는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의 셀(20)이 동기 기지국(100)의 셀(10)안에 완전히 포함된 상황일 경우 GPS 수신기 및 동기시스템 신호 수신기중 어느 한개의 수신기를 사용하여도 되고,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의 셀(21)이 동기 기지국(100)의 셀(10) 영향권안에 있거나 비동기 기지국(200)의 셀(22)이 동기 기지국(100) 셀(10)의 일부분만 겹쳐진 상황일 경우에는 GPS 수신기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은 상기 동기 기지국(100) 및 비동기 기지국(200)과 모두 통화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그러면,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인접한 동기 기지국(100)의 절대시간 정보를 획득한 후 자신의 절대시간(t)를 설정하기 위해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S1).
이때,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이 수행하는 초기화 작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최초로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비동기 시스템 초기화 메시지를 통해 오프셋 시간(Toffset,i)을 수신받는다(S1-1). 여기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받는 오프셋 시간(Toffset,i)은 비동기 시스템에서 정의된 슬롯당 칩수의 정수배인 값을 제외한 임의의 값중에서 비동기 기지국(200)마다 서로 다른 오프셋 시간(Toffset,i)을 선택하여 사용해야만 한다.
이어서,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기 수신장치(210)를 통해 인접 동기 기지국(100)들의 절대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자신의 기준시간(T)으로 설정한다(S1-2).
그런후,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오프셋 시간(Toffset,i)과 기준시간(T)를 이용하여 절대시간(t)을 설정한다(S1-3). 이때, 상술한 절대시간(t)은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이다.
ti= T + Toffset,i; i = 0, 1, 2, …, N, …
상기 [수학식 1]에서, ti는 i번째에 해당하는 비동기 기지국의 절대시간을 의미하고, T는 기준시간을 의미하며, Toffset,i은 오프셋 시간을 의미한다.
이때, 상술한 기준시간(T)이라는 것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비동기 기지국(200)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각 신호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시간이 아니라 각 비동기 기지국(200)에서 사용하는 시간에 대해 보조적으로 참고하는 시간을 의미하고, 절대시간(t)이라는 것은 각 비동기 기지국(200)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모든 신호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준시간(T)는 모든 비동기 기지국(200)마다 동일한 값을 가지고, 절대시간(t)은 각 비동기 기지국(200)마다 다른 값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술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이 호를 시도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
이때, 상기 제 2 단계(S2)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이 호를 시도하지 않으면(NO)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다시 상기 제 1 단계(S1)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이 호를 시도하면(YES)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절대시간(t)에 맞춰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과 통화를 수행한다(S3).
그런후,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
상기 제 4 단계(S4)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이 아니면(NO)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다시 상기 제 3 단계(S3)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이면(YES)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으로 전송한다(S5).
그러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은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의 탐색 메시지를 수신받아,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을 탐색한 후 이에 상응하는 결과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6).
또한,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에서 전송한 인접 비동기 기지국에 관련된 탐색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그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
상기 제 7 단계(S7)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NO),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인접한 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인접 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절대시간 정보, 롱 코드 상태정보, 쇼트 코드 상태정보 및 자신의 오프셋 시간정보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으로 전송한다(S8). 이때, 상기 제 8 단계(S8)에서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이 인접한 동기 기지국(100)들에 관련된 절대시간 정보, 롱 코드 상태정보, 쇼트 코드 상태정보 및 자신의 오프셋 시간정보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으로 전송하는 방법은 그 동기 기지국(100)들의 모든 정보가 비동기 시스템용 채널내에 삽입가능할 경우 비동기식 방송 채널, 비동기식 페이징 채널, 비동기식 동기시스템 정보 전송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반면에, 그 동기 기지국(100)들의 모든 정보가 비동기 시스템용 채널내에 삽입가능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기식 동기시스템 정보 전송채널을 생성한 후 그 동기식 동기시스템 정보 전송채널에 삽입시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은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인접 비동기 기지국의 탐색 메시지와 인접 동기 기지국(100)들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아, 인접 동기 기지국(100)들을 탐색한 후 이에 상응하는 결과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9).
이어서,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에서 전송한 인접 동기 기지국에 관련된 탐색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그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100)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
이때, 상기 제 10 단계(S10)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100)이 존재하지 않으면(NO)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다시 상기 제 3 단계(S3)로 진행하는 한편,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면(YES)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핸드오프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으로 전송한다(S11).
그러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은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으로부터 핸드오프 메시지를 입력받아, 이미 전송받은 동기 기지국(100)의 롱 코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동기 기지국(100)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S12).
또한, 상기 제 7 단계(S7)에서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면(YES),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다른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으로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의 핸드오프를 수행한다(S13).
한편,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인접한 동기 기지국(100)의 절대시간 정보를 획득한 후 자신의 절대시간(t)를 설정하기 위해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S101).
이때,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이 수행하는 초기화 작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최초로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비동기 시스템 초기화 메시지를 통해 오프셋 시간(Toffset,i)을 수신받는다(S101-1). 여기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받는 오프셋 시간(Toffset,i)은 비동기 시스템에서 정의된 슬롯당 칩수의 정수배인 값을 제외한 임의의 값중에서 비동기 기지국(200)마다 서로 다른 오프셋 시간(Toffset,i)을 선택하여 사용해야만 한다.
이어서,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기 수신장치(210)를 통해 인접 동기 기지국(100)들의 절대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자신의 기준시간(T)으로 설정한다(S101-2).
그런후,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오프셋 시간(Toffset,i)과 기준시간(T)를 이용하여 절대시간(t)을 설정한다(S101-3). 이때, 상술한 절대시간(t)은 상술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하면 된다.
한편,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술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이 호를 시도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2).
이때, 상기 제 102 단계(S102)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이 호를 시도하지 않으면(NO)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다시 상기 제 102 단계(S102)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이 호를 시도하면(YES)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절대시간(t)에 맞춰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과 통화를 수행한다(S103).
그런후,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4).
상기 제 104 단계(S104)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이 아니면(NO)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다시 상기 제 103 단계(S103)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이면(YES)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으로 전송한다(S105).
그러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은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의 탐색 메시지를 수신받아,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을 탐색한 후 이에 상응하는 결과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106).
또한,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에서 전송한 인접 비동기 기지국에 관련된 탐색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그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7).
상기 제 107 단계(S107)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NO),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인접한 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인접 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정보중에서 롱 코드 상태정보를 제외한 절대시간 정보, 쇼트 코드 상태정보 및 자신의 오프셋 시간정보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으로 전송한다(S108). 이때, 상기 제 108 단계(S108)에서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이 인접한 동기 기지국(100)들에 관련된 정보중에서 롱 코드 상태정보를 제외한 절대시간 정보, 쇼트 코드 상태정보 및 자신의 오프셋 시간정보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으로 전송하는 방법은 그 동기 기지국(100)들의 정보가 비동기 시스템용 채널내에 삽입가능할 경우 비동기식 방송 채널, 비동기식 페이징 채널, 비동기식 동기시스템 정보 전송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반면에, 그 동기 기지국(100)들의 정보가 비동기 시스템용 채널내에 삽입가능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기식 동기시스템 정보 전송채널을 생성한 후 그 동기식 동기시스템 정보 전송채널에 삽입시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은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인접 비동기 기지국의 탐색 메시지와 인접 동기 기지국(100)들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아, 인접 동기 기지국(100)들을 탐색한 후 이에 상응하는 결과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109).
이어서,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에서 전송한 인접 동기 기지국에 관련된 탐색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그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100)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0).
이때, 상기 제 110 단계(S110)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100)이 존재하지 않으면(NO)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다시 상기 제 103 단계(S103)로 진행하는 한편,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면(YES)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핸드오프 메시지에 동기 시스템의 롱 코드 상태정보를 삽입시킨 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으로 전송한다(S111).
그러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은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으로부터 핸드오프 메시지 및 동기 기지국의 롱 코드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그 동기 기지국(100)의 롱 코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동기 기지국(100)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S112).
또한, 상기 제 107 단계(S107)에서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면(YES), 상기 비동기 기지국(200)은 다른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으로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300)의 핸드오프를 수행한다(S113).
본 발명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 및 방법은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 비동기 무선 망 그리고 동기 무선망이 연동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비동기 무선 망과 동기 무선 망이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비동기 시스템과 동기 시스템간의 원활한 핸드오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이동통신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5)

  1. GPS로부터의 매스터 클럭에 따라 동기를 맞추어 통신하는 다수개의 동기 기지국, 상기 다수개의 동기 기지국과 인접해 있으며 동일한 기준시간없이 임의의 시간에 각각 다른 시간 오프셋을 부여하여 기준시간으로 사용하는 다수개의 비동기 기지국, 상기 다수개의 동기 기지국 및 상기 다수개의 비동기 기지국과 모두 통화가능한 다수개의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 등으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내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비동기 기지국은, 인접한 동기 기지국들에서 전송하는 파일롯 신호와 동기 신호를 복조하여 인접 동기 기지국들의 절대시간 정보, 롱 코드 상태정보, 쇼트 코드 상태정보 등과 같은 동기 시스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
  2. 제 2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비동기 기지국에 장착된 수신장치는, 상기 비동기 시스템의 셀이 동기 시스템의 셀안에 완전히 포함된 상황일 경우 GPS 수신기 및 동기시스템 신호 수신기중 어느 한개의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비동기 기지국에 장착된 수신장치는, 상기 비동기 시스템의 셀이 동기 시스템의 셀 영향권안에 있거나 동기 시스템 셀의 일부분만 겹쳐져 있는 상황일 경우 GPS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
  4.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동기 기지국의 절대시간 정보를 획득한 후 자신의 절대시간(t)을 설정하기 위해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호를 시도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호를 시도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호를 시도하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절대시간(t)에 맞춰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과 통화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이 아니면 다시 상기 제 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이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5 단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의 탐색 메시지를 수신받아,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을 탐색한 후 이에 상응하는 결과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에서 전송한 인접 비동기 기지국에 관련된 탐색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그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7 단계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인접 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절대시간 정보, 롱 코드 상태정보, 쇼트 코드 상태정보 및 자신의 오프셋 시간정보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8 단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비동기 기지국의 탐색 메시지와 인접 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아, 인접 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한 후 이에 상응하는 결과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9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에서 전송한 인접 동기 기지국에 관련된 탐색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그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10 단계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핸드오프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프 메시지를 입력받아, 이미 전송받은 동기 기지국의 롱 코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동기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 1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비동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비동기 시스템 초기화 메시지를 통해 오프셋 시간(Toffset,i)을 수신받는 제 1-1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수신장치를 통해 인접 동기 기지국들의 절대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자신의 기준시간(T)으로 설정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오프셋 시간(Toffset,i)과 기준시간(T)을 이용하여 절대시간(t)을 설정하는 제 1-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단계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받는 오프셋 시간(Toffset,i)은 비동기 시스템에서 정의된 슬롯당 칩수의 정수배인 값을 제외한 임의의 값중에서 비동기 기지국마다 서로 다른 오프셋 시간(Toffset,i)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단계에서 절대시간(t)을 설정하는 방법은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
    [수학식 1]
    ti= T + Toffset,i; i = 0, 1, 2, …, N, …
    여기서, ti는 i번째에 해당하는 비동기 기지국의 절대시간을 의미하고, T는 기준시간을 의미하며, Toffset,i은 오프셋 시간을 의미한다.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제 7 단계에서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다른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으로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 13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에서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절대시간 정보, 롱 코드 상태정보, 쇼트 코드 상태정보 및 자신의 오프셋 시간정보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방법은 비동기식 방송 채널, 비동기식 페이징 채널, 비동기식 동기시스템 정보 전송채널, 동기식 동기시스템 정보 전송채널중 어느 한개의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
  10.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동기 기지국의 절대시간 정보를 획득한 후 자신의 절대시간(t)을 설정하기 위해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제 101 단계;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호를 시도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2 단계;
    상기 제 102 단계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호를 시도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0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호를 시도하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절대시간(t)에 맞춰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과 통화를 수행하는 제 103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4 단계;
    상기 제 104 단계에서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이 아니면 다시 상기 제 10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위치가 핸드오프 영역이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105 단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의 탐색 메시지를 수신받아,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을 탐색한 후 이에 상응하는 결과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106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에서 전송한 인접 비동기 기지국에 관련된 탐색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그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7 단계;
    상기 제 107 단계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인접 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정보중에서 롱 코드 상태정보를 제외한 절대시간 정보, 쇼트 코드 상태정보 및 자신의 오프셋 시간정보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108 단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비동기 기지국의 탐색 메시지와 함께 인접 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정보중 롱 코드 상태정보만을 제외한 모든 정보를 수신받아, 인접 동기 기지국들을 탐색한 후 이에 상응하는 결과 메시지를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109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에서 전송한 인접 동기 기지국에 관련된 탐색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그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10 단계;
    상기 제 110 단계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0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핸드오프 메시지에 동기 시스템의 롱 코드 상태정보를 삽입시킨 후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111 단계; 및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이 상기 비동기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프 메시지 및 동기 기지국의 롱 코드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그 동기 기지국의 롱 코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동기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 11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1 단계는, 비동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비동기 시스템 초기화 메시지를 통해 오프셋 시간(Toffset,i)을 수신받는 제 101-1 단계;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수신장치를 통해 인접 동기 기지국들의 절대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자신의 기준시간(T)으로 설정하는 제 101-2 단계; 및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오프셋 시간(Toffset,i)과 기준시간(T)을 이용하여 절대시간(t)을 설정하는 제 101-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1-1 단계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받는 오프셋 시간(Toffset,i)은 비동기 시스템에서 정의된 슬롯당 칩수의 정수배인 값을 제외한 임의의 값중에서 비동기 기지국마다 서로 다른 오프셋 시간(Toffset,i)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1-3 단계에서 절대시간(t)을 설정하는 방법은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
    [수학식 1]
    ti= T + Toffset,i; i = 0, 1, 2, …, N, …
    여기서, ti는 i번째에 해당하는 비동기 기지국의 절대시간을 의미하고, T는 기준시간을 의미하며, Toffset,i은 오프셋 시간을 의미한다.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제 107 단계에서 인접한 비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탐색 결과중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다른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비동기 기지국으로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 113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8 단계에서 상기 비동기 기지국이 인접한 동기 기지국들에 관련된 정보중 롱 코드 상태정보만을 제외한 절대시간 정보, 쇼트 코드 상태정보 및 자신의 오프셋 시간정보를 상기 비동기/동기 겸용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방법은 비동기식 방송 채널, 비동기식 페이징 채널, 비동기식 동기시스템 정보 전송채널, 동기식 동기시스템 정보 전송채널중 어느 한개의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방법.
KR1019990050402A 1999-11-13 1999-11-13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및 방법 KR100645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402A KR100645941B1 (ko) 1999-11-13 1999-11-13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및 방법
US09/707,151 US6704581B1 (en) 1999-11-13 2000-11-06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between asynchronous base station and synchronous base station
EP00309867A EP1104974A3 (en) 1999-11-13 2000-11-07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between asynchronous base station and synchronous base station
JP2000345172A JP3739276B2 (ja) 1999-11-13 2000-11-13 無線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402A KR100645941B1 (ko) 1999-11-13 1999-11-13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577A true KR20010046577A (ko) 2001-06-15
KR100645941B1 KR100645941B1 (ko) 2006-11-14

Family

ID=1961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402A KR100645941B1 (ko) 1999-11-13 1999-11-13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94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359B1 (ko) * 1999-12-29 2002-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세대 직접확산시스템으로부터 2세대 또는 3세대동기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방법
KR100474683B1 (ko) * 2002-08-23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0545351B1 (ko) * 2003-03-21 2006-01-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 스택 이동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위치 추적 방법
KR100625669B1 (ko) * 2005-06-17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아이들 핸드오버 방법
KR100742468B1 (ko) * 2000-02-09 2007-07-2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네트워크 검색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0810332B1 (ko) * 2002-12-05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이동통신시스템들 사이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0810293B1 (ko) * 2002-12-05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이동통신시스템들 사이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0976935B1 (ko) * 2003-10-20 2010-08-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US8514807B2 (en) 2006-02-01 2013-08-2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s in communication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480B1 (ko) * 1998-07-16 2000-12-15 조정남 이동국의 심볼결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지국간 동기모드 및비동기모드 혼합 운용 방법
KR100350466B1 (ko) * 1999-05-31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동기채널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수행장치및 방법
KR100659196B1 (ko) * 1999-07-28 2006-12-21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비동기식 utran과 동기식 cn 간 핸드오프를 위한 계층 3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제어국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359B1 (ko) * 1999-12-29 2002-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세대 직접확산시스템으로부터 2세대 또는 3세대동기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방법
KR100742468B1 (ko) * 2000-02-09 2007-07-2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네트워크 검색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0474683B1 (ko) * 2002-08-23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0810332B1 (ko) * 2002-12-05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이동통신시스템들 사이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0810293B1 (ko) * 2002-12-05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이동통신시스템들 사이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0545351B1 (ko) * 2003-03-21 2006-01-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 스택 이동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위치 추적 방법
KR100976935B1 (ko) * 2003-10-20 2010-08-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100625669B1 (ko) * 2005-06-17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아이들 핸드오버 방법
US8514807B2 (en) 2006-02-01 2013-08-2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s in communic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941B1 (ko) 200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15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positioning a mobile station in a CDMA cellular system
RU2148894C1 (ru) Мобильный радиоприемный аппарат для сотовых радио-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систем (варианты)
US7447179B2 (en) Methods for synchronizing in a wide 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U718632B2 (en) TDM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eceiver station for detecting a timing difference between adjacent base stations
US5479409A (en) Method of transmitting timing advance data to a mobile station in a cellular mobile radio network and corresponding mobil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ransmission system
EP1112627B1 (en) Communication system
US81705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736793B2 (en) A method of determining timing advance information in a cellular radio system
JP4083172B2 (ja) デュアルモードシステム及びデュアルモード無線端末
JP2013527722A (ja) マイクロ基地局間同期の実現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116933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における非同期式基地局と同期式基地局との間のハンドオフ処理方法
JPH07284141A (ja) ハンドオーバ方法
US6205132B1 (en) Method for accessing a cell using two pilot channels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of an asynchronous or quasi-synchronous mode
KR100645941B1 (ko)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처리장치및 방법
KR100960829B1 (ko) 상이한 크기의 셀을 사용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기지국, 단말 및 그 방법
JP2001237769A (ja) 信号フロー中の同期情報の位置決定をする方法、および対応する受信機
KR100602026B1 (ko)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비동기 이동국의핸드오프 처리방법
KR100952189B1 (ko)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동기 방법, 핸드 오버방법, 관련 단말기 및 기지국
KR20010020093A (ko) 무선 이동통신에서 파일럿 채널을 슬롯으로 구분하는 시스템
JP2001028776A (ja) Phs(登録商標)向けの移動局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
KR100645942B1 (ko) 비동기 무선 망에서 동기 무선 망으로의 비동기 이동국의핸드오프 처리방법
KR100695249B1 (ko) 이동통신 환경에서 전파 추적 기법을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및 시스템
KR100777515B1 (ko) 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KR20000066773A (ko) 비동기 시스템의 소프트 핸드오프 처리 방법
KR20050071646A (ko) 듀얼 모드 시스템 및 듀얼 모드 무선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