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5319A -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5319A
KR20010045319A KR1019990048569A KR19990048569A KR20010045319A KR 20010045319 A KR20010045319 A KR 20010045319A KR 1019990048569 A KR1019990048569 A KR 1019990048569A KR 19990048569 A KR19990048569 A KR 19990048569A KR 20010045319 A KR20010045319 A KR 20010045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tuned
computer
tuning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희
Original Assignee
한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희 filed Critical 한성희
Priority to KR101999004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5319A/ko
Publication of KR2001004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31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33Voice editing, e.g. manipulating the voice of the synthesis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27Concept to speech synthesisers; Generation of natural phrases from machine-based concep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상에서 외부음향을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표준주파수설정값과 비교하여 특정음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음향조절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특정음향을 입력받아 그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제 1단계(S1); 상기 표준주파수설정값과 비교하여 입력된 상기 특정음향을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하는 제 2단계(S2);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된 상기 음향을 외부로 다시 송출시키는 제 3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표준주파수설정값을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S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음향을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하는 과정이 상기 디스플레이시스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sound control system using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상에서 외부음향을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표준주파수설정값과 비교하여 특정음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일예를 들어, 피아노와 같은 악기에 있어서, 피아노는 목재 및 펠트 등의 천연소재로 제작되어 있어 온도 및 습도에 민감한 반응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음에 1 내지 3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 1개당 약 80kg 의 장력이 작용한다. 전체적으로는 약 20톤에 해당하는 장력이 있어 시간이 흐를수록 현에 작용하는 장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음정이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6개월에 한 번씩 피아노 조율이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고, 피아노 조율은 다년간의 경험에 의한 숙련도와 지식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분야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피아노 조율은 사용자 개인이 조율하기 어렵고, 조율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기타는 일반인이 활용하기 쉬운 악기에 속한다. 기타의 조율은 소리굽쇠나 기타 튜닝기를 사용하여 조율하는 방법과 사용자가 직접 음정을 들으면서 조율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이나 후자의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들으면서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확한 조율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람의 심신을 편안하게 하는 음악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류의 음악은 일정한 박자의 음악의 반복인 경우가 많다. 특히, 사람의 심장박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음악을 들을 때 사람은 자신의 심리상태가 가장 편안하게 느낀다고 한다.
사람이 수면을 취하거나 흥분상태를 가라앉힐 때에는 심장박동수와 같은 음악이 점점 심장 박동수보다 느린 음악으로 전개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사람이 잠에서 깨어날 때는 느린 박자수의 음악에서 점차 빠른 박자의 음악을 연주함으로써 잠에서 깨어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의 특정음향을 입력받아 그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그 주파수값을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특정음향을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특정음향을 입력받아 그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표준주파수설정값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대역으로 출력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의 작동순서도.
도 2 :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의 흐름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조절시스템은 외부로부터 특정음향을 입력받아 그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제 1단계(S1); 상기 표준주파수설정값과 비교하여 입력된 상기 특정음향을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하는 제 2단계(S3);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된 음향을 외부로 다시 송출시키는 제 3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1,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을 이용한 제 1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을 이용한 제 2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제 1실시예는 사용자가 조율되지 않은 기타의 조율을 하는 과정을 제 1실시예로 구성하였고, 제 2실시예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고자 하거나 흥분상태를 가라앉히기 위한 과정을 제 2실시예로 구성하였다.
먼저, 제 1단계(S1)는 외부로부터 특정음향을 입력받아 그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제 1실시예에 있어, 기타 조율의 경우 조율하고자 하는 악기의 '도'와 같은 기준음을 마이크를 통하여 컴퓨터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기타의 한음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또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기타의 '도'음을 주파수스펙트럼으로 분석하는 단계이다. 또, 제 2실시예에 있어,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고자 할 때 청진기를 통하여 자신의 심장박동수를 컴퓨터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 내부에서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심장박동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분석하는 단계이다.
다음, 제 2단계(S2)는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표준주파수설정값과 비교하여 입력된 상기 특정음향을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제 1실시예에 있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표준주파수설정값인 '도'음과 외부에서 입력된 특정음향인 조율전의 기타음 '도'음과 비교하여 조율하는 단계이다. 또, 제 2실시예에 있어, 사용자의 심장박동수의 음악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표준주파수설정값인 수면에 적절한 심장박동수의 음악으로 점차 이동하는 조율단계이다.
다음, 제 3단계(S3)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된 음향을 외부로 다시 송출시키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제 1실시예에 있어, 제 2단계(S2)에서 조율된 기타음 '도'를 스피커를 통하여 확인하는 단계이다. 또, 제 2실시예에 있어, 제 2단계(S2)에서의 음악을 지속적으로 스피커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각 단계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상기 각 단계에서 있어서 조율하는 단계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조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조절시스템에 있어서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기타를 조율하는 데 있어 제 1단계(S1)인 조율되지 않은 기타의 기본음인 '도'음을 컴퓨터의 마이크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한다. 상기 입력된 '도'음은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주파스 스펙트럼 분석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도'음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조율되지 않은 '도'음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표준주파수설정값인 '도'음을 비교하여 디스플레이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비교화면을 보면서 조율되지 않은 기타의 음을 계속 확인하면서 조율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정확한 조율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다음, 제 2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수면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는 먼저 자신의 심장박동수를 컴퓨터의 입력수단으로 청진기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 내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입력된 심장박동수 데이터는 컴퓨터가 인식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그리고, 제 2단계(S2)에서는 입력된 심장박동수의 주파수와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점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3단계(S3)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된 음향을 외부로 다시 송출시키게 되어 사용자는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는 '음'을 조율하는 데 있어, 조율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기본음을 발생시켜 컴퓨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여 이를 표준주파수설정값과 비교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조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는 수면모드 또는 활성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컴퓨터로 입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의 박자수로 음악이 점차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는 편안하게 수면상태 또는 잠에서 깨어나게 되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음향조절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특정음향을 입력받아 그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제 1단계(S1);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표준주파수설정값과 비교하여 입력된 상기 특정음향을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하는 제 2단계(S2);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된 음향을 외부로 다시 송출시키는 제 3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조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조절 시스템은, 상기 표준주파수설정값을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S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조절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음향을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조율하는 과정이 상기 디스플레이시스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조절 시스템.
KR1019990048569A 1999-11-04 1999-11-04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 KR20010045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569A KR20010045319A (ko) 1999-11-04 1999-11-04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569A KR20010045319A (ko) 1999-11-04 1999-11-04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319A true KR20010045319A (ko) 2001-06-05

Family

ID=1961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569A KR20010045319A (ko) 1999-11-04 1999-11-04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53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109B1 (ko) * 2002-05-21 2005-03-10 학교법인 호서학원 전자식 조율기의 악기음 주파수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109B1 (ko) * 2002-05-21 2005-03-10 학교법인 호서학원 전자식 조율기의 악기음 주파수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5067B2 (en) Guitar tuner
JP2014071138A (ja) カラオケ装置
US5974385A (en)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data in a computer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input data sequence
KR20170106889A (ko) 지능형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악기
JP2002111795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メロディ同期表示制御方法
CN106416063A (zh) 用于身体活动期间的自适应声音回放的音频系统和方法
KR20010045319A (ko) 컴퓨터를 이용한 음향 조절시스템
KR20160098881A (ko) 악기 보조 시스템
JP2797648B2 (ja) カラオケ装置
US6653544B1 (en) Playing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sound generation of image display device
JP2008092093A (ja) 楽音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800003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ve
JPS6015695A (ja) 電子楽器の調律装置
JP2007078724A (ja) 電子楽器
CN112738691A (zh) 一种带编码器的智能拾音器
US4370069A (en) Electronic alarm timepiece
JPH09179561A (ja) 楽音生成方法
US20230260490A1 (en) Selective tone shifting device
CN213880238U (zh) 一种带编码器的智能拾音器
JP2019207339A (ja) 電子楽器のキー配列と演奏音の伝送・出音機器
KR102236569B1 (ko) 디지털 피아노를 활용한 두뇌 활동관리 시스템
JPH08137475A (ja) 電子楽器
KR20010008976A (ko) 악기 조율장치및 그 제어방법
JP2526406Y2 (ja) グラフィックイコライザ
CN104424934A (zh) 乐器型扬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