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5094A - 디티엠에프 톤 검출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디티엠에프 톤 검출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5094A
KR20010045094A KR1019990048226A KR19990048226A KR20010045094A KR 20010045094 A KR20010045094 A KR 20010045094A KR 1019990048226 A KR1019990048226 A KR 1019990048226A KR 19990048226 A KR19990048226 A KR 19990048226A KR 20010045094 A KR20010045094 A KR 20010045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telephone
dtmf tone
regist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48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5094A/ko
Publication of KR2001004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04Q1/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 H04Q1/4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 H04Q1/45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 H04Q1/457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with conversion of multifrequency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 H04Q1/4575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with conversion of multifrequency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which are transmitted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S-95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두 전화기가 통화중 상태에서 상대편 전화기에서 전송한 디티엠에프 톤을 검출할 수 있는 디티엠에프 톤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전화기간 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제1 전화기 또는 상기 제2 전화기가 디티엠에프 톤 검출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전화기의 중앙 처리 장치는 디티엠에프 톤 검출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디티엠에프 톤의 검출을 제어하기 위한 레지스터를 각각 셋팅 하는 단계와, 상기 디티엠에프 톤을 역방향 링크로 루프 백하여 검출하고, 해당 키를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키값을 자동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티엠에프 톤 검출 검출방법{DTMF Tone Detecting Method}
본 발명은 디티엠에프 톤(DTMF Tone) 검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IS-95 패밀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Forward Link)를 통하여 전송되는 디티엠에프 톤을 검출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디티엠에프 톤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티엠에프(dual-tone multiple-frequency : DTMF)는 전자식 전화기의 숫자 버튼을 누르면 해당 숫자에 상응하는 주파수 신호의 음향이다. 이와 같은 디티엠에프 톤은 발신측 전화기에서 착신측 전화번호를 역방향 링크(Reverse Link)를 이용하여 인-밴드 시그널링(In-Band Signaling) 방식으로 호출하기 위하여 전화기의 숫자를 선택할 때 발생하며, 발신측 전화기는 이때 발생되는 디티엠에프 톤을 검출하여 송수화기에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티엠에프 톤을 이용하여 발신 진행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티엠에프 톤은 위에서 간단히 설명한 바와 같이 착신측 전화번호를 호출하기 위하여 발신측 전화기에서만 사용하였기 때문에 두 전화기가 통화중인 상태에서는 숫자 버튼을 누르면 통화와 무관한 소리만 제공하며, 전화기가 통화중인 상태에서는 디티엠에프 톤을 검출할 수 없었다. 또한, 현재의 IS-95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화기에서 전송한 디티엠에프 톤을 검출하여 사용할 용도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IS-95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두 전화기가 통화중 상태에서 상대편 전화기에서 전송한 디티엠에프 톤을 검출할 수 있는 디티엠에프 톤 검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디티엠에프 톤 검출방법이 제1 및 제2 전화기간 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제1 전화기 또는 상기 제2 전화기가 디티엠에프 톤 검출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전화기의 중앙 처리 장치는 디티엠에프 톤 검출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디티엠에프 톤의 검출을 제어하기 위한 레지스터를 각각 셋팅 하는 단계와, 상기 디티엠에프 톤을 역방향 링크로 루프 백하여 검출하고, 해당 키를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키값을 자동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에 구비된 QCELP 보코더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 먹스
20, 80 : 포맷 변환기
30 : QCELP 인코더
40 : 디티엠에프 톤 검출기
60 : QCELP 디코더
70 : 곱셈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에 구비된 QCELP 보코더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QCELP 보코더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는 수신된 디티엠에프 톤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디코딩하는 QCELP 디코더(60)와, QCELP 디코더(60)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보코더 디코더 볼륨(Vocoder Decoder Volume)을 곱하여 출력하는 곱셈기(70)와, 곱셈기(70)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펄스 코드 변조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포맷 변환기(80)와, 입력되는 펄스 코드 변조 신호와 제1 포맷 변환기(80)에서 출력되는 펄스 코드 변조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전화기의 중앙 처리 장치에서 제공하는 루프 백 제어신호(CTL1:PCM_LOOPBACK)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나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제1 먹스(10)와, 제1 먹스(10)의 출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포맷 변환기(20)와, 제2 포맷 변환기(20)의 출력신호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인코딩하는 QCELP 인코더(30)와, 제2 포맷 변환기(20)의 출력신호를 분기하여 디티엠에프 톤을 검출하는 디티엠에프 톤 검출기(40)와, QCELP 인코더(30) 및 디티엠에프 톤 검출기(40)의 출력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디티엠에프 톤 검출 셋팅 제어신호(DTMF_STATUS:DTMF_DETECTED,DTMF_STATUS:DTMF_ROW,DTMF_STATUS:DTMF_COLUMN)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먹스(5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티엠에프 톤 검출방법을 설명한다.
IS-95 패미리(FAMILY) 이동 통신 시스템에 가입된 임의의 두 전화기가 도 1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전화기인 경우, 통화중인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디티엠에프 톤 검출모드를 각각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도 있다.
이때, 디티엠에프 톤 검출모드가 설정되지 않았으면 일반 통화를 계속할 수 있다. 반면, 디티엠에프 톤 검출 모드가 설정되었으면, 해당 전화기의 중앙 처리 장치는 디티엠에프 톤 검출 모드가 설정된 것을 감지한다(S1). 이때, 디티엠에프 톤이 상대방으로 전송되어 통화와 무관한 잡음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뮤트시키기 위한 제어신호(ESEC_AUDIO_CTL:ENC_MUTE)를 QCELP 인코더(30)로 출력하는 제1 레지스터와, 디티엠에프 톤이 한 발신에 의해 발생되는 것인지 또는 상대방의 전송에 의해 발생되는 것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제어신호(MODE_CTL:DTMF_DETECT)를 디티엠에프 톤 검출기(40)로 출력하는 레지스터와, 입력되는 디티엠에프 톤의 검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DTMF_STATUS:DTMF_DETECTER)를 제2 먹스로 출력하는 제 3 레지스터를 각각 셋팅한다(S11, S12, S13).
이어, 수신된 디티엠에프 톤을 QCELP 디코더(60)를 통하여 아날로그 방식으로 디코딩하고, 곱셈기(70)를 통한 후 제1 포맷 변환기(80)에서 펄스 코드 변조된 신호로 변환한다. 이어, 펄스 코드 변조된 디티엠에프 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역방향 링크로 루프백하도록 제1 먹스(10)의 일 측 입력단에 입력된다.
또한, 제1 먹스(10)의 다른 입력단에는 발신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펄스 코드 변조신호가 입력될 수 있으며, 제1 먹스(10)는 중앙 처리 장치에서 제공되는 루프백 제어신호(CTL1:PCM_LOOPBACK)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나의 신호만 출력한다. 이어, 제1 먹스(10)의 출력신호를 제2 포맷 변환기(20)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디티엠에프 톤 검출기(40)에 의해 디티엠에프 톤이 검출된다.
이어, 디티엠에프 톤 검출기(40)에 의해 디티엠에프 톤이 검출되면, 디티엠에프 톤의 검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DTMF_STATUS:DTMF_DETECTER)를 출력하는 레지스터를 셋팅하고, 디티엠에프 톤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메트릭스(DTMF_STATUS:DTMF_ROW, DTMF_STATUS:DTMF_COLUMN)를 이용하여 해당 키를 순차적으로 결정하고(S3), 결정된 키값을 전화기의 특정 메모리에 자동으로 저장한다(S4).
따라서, 통화중 상대방이 알려주는 전화번호를 암기하여 통화중 메모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알려주는 전화번호나 기타 숫자 정보를 자동적으로 전화기의 메모리에 저장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IS-95 이동 통신 시스템 또는 고정 유선망에 가입한 전화기의 사용자들이 통화중 디티엠에프 톤 검출 모드를 설정만 하면, 상대방이 전송한 디티엠에프 톤을 검출하여 검출된 디티엠에프 톤에 상응하는 킷값을 메모리에 자동으로 저장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디티엠에프 톤 검출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중 전화번호 메모 기능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 기능을 전화기 내의 하드웨어의 추가 없이 더욱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다.

Claims (2)

  1. 제1 및 제2 전화기간 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제1 전화기 또는 상기 제2 전화기가 디티엠에프 톤 검출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전화기의 중앙 처리 장치는 디티엠에프 톤 검출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디티엠에프 톤의 검출을 제어하기 위한 레지스터를 각각 셋팅 하는 단계와,
    상기 디티엠에프 톤을 역방향 링크로 루프 백하여 검출하고, 해당 키를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키값을 자동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티엠에프 톤 검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셋팅단계는
    상기 디티엠에프 톤이 상대방으로 전송되지 않도록 일정시간 뮤트시키기 위한 제1 레지스터를 셋팅하는 단계와,
    상기 디티엠에프 톤이 입력될 경우 발신에 의해 발생되는 것인지 또는 상대방의 전송에 의해 발생되는 것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제 2 레지스터를 셋팅하는 단계와, 입력되는 상기 디티엠에프 톤의 검출 여부를 제어하는 제 3 레지스터를 셋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티엠에프 톤 검출방법.
KR1019990048226A 1999-11-02 1999-11-02 디티엠에프 톤 검출 검출방법 KR20010045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226A KR20010045094A (ko) 1999-11-02 1999-11-02 디티엠에프 톤 검출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226A KR20010045094A (ko) 1999-11-02 1999-11-02 디티엠에프 톤 검출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094A true KR20010045094A (ko) 2001-06-05

Family

ID=1961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226A KR20010045094A (ko) 1999-11-02 1999-11-02 디티엠에프 톤 검출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509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030A (ko) * 1995-08-31 1997-03-29 배순훈 전화기의 통화중 전화번호 메모방법
KR970019280A (ko) * 1995-09-27 1997-04-30 김광호 전화기에서 통화중 디티엠에프(dtmf)를 이용한 전화번호 수신방법
KR970056552A (ko) * 1995-12-27 1997-07-31 김광호 통화중 전화번호 등록방법
KR19980059141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이동전화단말기에서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메모방법
KR20000020442A (ko) * 1998-09-21 2000-04-15 윤종용 이동무선단말기의 디티엠에프 신호 수신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030A (ko) * 1995-08-31 1997-03-29 배순훈 전화기의 통화중 전화번호 메모방법
KR970019280A (ko) * 1995-09-27 1997-04-30 김광호 전화기에서 통화중 디티엠에프(dtmf)를 이용한 전화번호 수신방법
KR970056552A (ko) * 1995-12-27 1997-07-31 김광호 통화중 전화번호 등록방법
KR19980059141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이동전화단말기에서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메모방법
KR20000020442A (ko) * 1998-09-21 2000-04-15 윤종용 이동무선단말기의 디티엠에프 신호 수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599A (en) Cordless telephone terminal
US5638437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nabling a user to get access to an automated call processing from a central station operating on pulse dialling mode
KR20010045094A (ko) 디티엠에프 톤 검출 검출방법
KR100561611B1 (ko) 전화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전화기
KR100215726B1 (ko) 모드설정에 의한 자동 착신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00496820B1 (ko)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US6546245B1 (en) Inverted code sequence cordless signaling
KR10060587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번호 전송방법
KR20010001635A (ko) 컴퓨터를 이용한 통화음 녹음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67819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매너모드에서 상황을 알리는 방법
KR1007133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프리모드에서 수신된 콜을 종료하는장치 및 방법
KR20020039491A (ko) 다기능 전화기
KR200277275Y1 (ko) 자동접속기능을 갖는 전화기
KR100198218B1 (ko) 키폰시스템 접속 단말기의 국선 전용모드 절환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35372A (ko) 자동 연속 재다이얼 기능을 갖춘 통신단말기
JPS62230247A (ja) オ−トダイヤル装置
KR100623435B1 (ko) 통화중에도 벨소리 호출이 가능한 전화기
KR200347179Y1 (ko) 다기능 전화기
JPH04372251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00049605A (ko) 일반전화기를 사용하여 인터넷 웹 전화가 가능한 장치 및그 운영 방법
KR19980044025U (ko)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무선응답 전화기
JPS63316596A (ja) ボタン式電話機
KR19980056080A (ko) 이어-마이크 접속 감지를 통한 자동 착신전환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9990000162A (ko) 선별이 가능한 유/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4124946A (ja) 応答制御機能付き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