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632A -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632A
KR20010044632A KR1020000025130A KR20000025130A KR20010044632A KR 20010044632 A KR20010044632 A KR 20010044632A KR 1020000025130 A KR1020000025130 A KR 1020000025130A KR 20000025130 A KR20000025130 A KR 20000025130A KR 20010044632 A KR20010044632 A KR 20010044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ata
service
language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광
Original Assignee
강성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광 filed Critical 강성광
Priority to KR1020000025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632A/ko
Publication of KR20010044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63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인터넷 서버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하나의 인터넷 서버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고, 사용자의 편의 및 공공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들을 제공하며, 각 데이터들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의 발명은 서로 다른 언어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둘 이상의 언어 영역들과, 상기 언어 영역들 내에 서비스되는 내용의 데이터는 상기 각 언어 영역의 해당하는 언어로 표현되며, 제공되는 서비스 내역에 따라 구분되는 검색 영역을 포함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비스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각 서비스 영역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 영역과 매칭되도록 링크가 형성된 인터넷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컴퓨터와 초기 접속 시에 언어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언어에 따라 언어를 선택하여 초기 데이터를 선택된 언어에 맞추어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인터넷 서버에서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서비스 제공 시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BUILDING DATA-BASE OF WEB AND METHOD FOR OFFERING INTERNET SERVICE}
본 발명은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웹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통신에는 음성을 기본으로 하는 통신과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는 통신으로 구분된다. 음성을 기본으로 하는 통신에는 유선 전화와 이동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전화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 통신에는 간단한 문자 메시지를 전달하는 통신에서부터 랜(LAN : Local Area Network) 등을 이용한 컴퓨터간 소규모 망의 데이터 통신, 그리고 PC 통신 회사 등에 가입한 가입자만을 수용하는 컴퓨터 통신과, 다양한 영역을 가지는 인터넷 통신 등이 있다.
상기한 데이터 통신의 방법 중에서 인터넷 통신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전화망 또는 전용회선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의 특정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그러면 인터넷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에서는 상기한 망을 통해 접속이 이루어지며, 컴퓨터 산업이 발달하면서 주로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인터넷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인터넷 통신을 위한 망의 구성 요소와 그 구성 요소간 연결 개념도이다. 먼저 인터넷 통신을 위한 각 구성 요소들과 그 구성 요소간 연결을 설명한다.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들(11, …, 12)은 일반적인 전화선 또는 교환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특별한 회선, 예를 들어 종합정보 통신망(ISDN :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등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회선들을 통해 음성 통신은 물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컴퓨터들(11, …, 12)은 일반적으로 교환 국사(CO)에 존재하는 교환 시스템(20)을 통해 인터넷망(30)에 연결된다. 상기 인터넷망(30)은 다수의 서버 컴퓨터들이 서버 컴퓨터간 또는 다른 교환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망(30)의 특정한 인터넷 서버(도 1에 도시하지 않음) 직접 연결되는 전용선을 통해 연결되는 컴퓨터(13)도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컴퓨터에 미리 설정된 서버의 특정한 인터넷 서버의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컴퓨터에서 인터넷 접속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인터넷 서버의 주소를 자신이 속한 전화국의 교환 시스템(20)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교환 시스템(20)은 상기한 주소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주소에 따른 인터넷 서버 컴퓨터로 스위치를 연결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인터넷 서버에서는 초기 접속을 위한 통신 과정을 수행하며, 초기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로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과정을 통해 인터넷 서버에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인터넷망(30)을 구성하는 인터넷 서버들은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베이스는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인터넷 서버들은 특정한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의 각각의 특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첫째로, 검색을 위주로 하는 인터넷 서버인 경우 검색에 따른 각종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검색된 결과에 따라 이동을 위한 링크들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을 위주로 하는 인터넷 서버에서도 인터넷 사용자들을 위한 게시판과, 물건의 매매를 위한 영역들 및 특정한 자료의 제공을 위한 영역들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극히 제한적인 내용만을 담고 있다.
둘째로, 특정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넷 서버인 경우에는 제공할 자료들의 화상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넷 서버인 경우에도 자신이 구비한 내용을 검색하기 위한 특정한 툴(Tool)을 구비하고 있으며, 다른 영역의 서버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의 데이터를 함께 구성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의 의견 수렴 등을 위한 게시판 및 소단위의 물품 매매에 따른 데이터들도 다루고 있는 경우도 있다.
셋째로, 온라인 매매를 위한 인터넷 서버인 경우에 매매를 위한 각종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매매를 위한 인터넷 서버는 일반적인 매매를 하는 서버와 역경매를 수행하는 인터넷 서버들도 있다.
넷째로, 소정의 분량의 영역을 할당하여 홈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서버 및 각종 국가 기관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서버들이 존재한다.
그런데 상기한 서버들은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인터넷 서버에서는 소정의 서비스가 아닌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인터넷 서버들이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는 하나의 단층 구조를 가진다. 즉, 인터넷 서버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에 맞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하나의 자료 구조를 가진다. 이를 상술하면, 데이터의 검색을 위한 자료인 경우에 한국어만을 지원하거나 또는 영어만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 또는 문화권에서는 동일한 인터넷 서버에서는 검색이 불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인터넷 서버에서는 특성에 맞는 하나의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데이터들의 검색과, 경매, 각종 정보를 하나의 인터넷 서버에서 검색하여 확인할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에서 활용중인 게시판도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영세한 소단위 기업에서는 인터넷에서 홈페이지를 개설하고자 하여도 이를 작성할 줄 모르거나 또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별도로 시간 및 금전을 할애하지 않으면 홈페이지를 개설할 수 없다.
그리고 온라인 매매를 수행하는 업체에서도 매매되는 물품이 규격화된 양식을 사용하지 않아, 판매자들이 자신의 유리한 점만을 기재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온라인 매매에 대한 불신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인터넷 서버에서 검색을 수행할 경우 데이터 분량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검색의 시간이 많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인터넷 서버의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특정한 디렉토리 내의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검색을 할 수 없었다.
한편 인터넷 통신을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형식은 웹 페이지 형식으로 데이터가 존재한다. 따라서 하나의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을 원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에 내장된 인터넷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을 위한 영역을 클릭(click)하여 이동을 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만일 이동하고자 하는 페이지가 여러 단계를 거치는 경우에는 수 차례의 이전 페이지를 클릭하여 확인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인터넷 서버에서 검색을 수행할 경우 원하는 정보를 모두 얻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즉, 특정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특정한 회사의 위치 또는 주소 또는 전화번호 또는 웹 페이지의 주소인 URL(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을 알고자 하는 경우 이를 한번에 검색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인터넷 서버에서 웹 주소 또는 회사의 주소 및 전화번호는 제공할 수 있으나, 그 위치를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그 지역의 주변 내용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넷 사용자들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른 인터넷 서버로 이동하여 위치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도 등을 이용하여 주소지에 따른 영역을 직접 찾아봐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는 특화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일련의 연속된 검색을 원하는 경우에 여러 인터넷 서버로 이동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인터넷 서버에서는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고 있지 않음으로 하나의 서버에서 각종 국가 및 특정한 정보에 대하여 동일한 내용을 획득하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특정한 웹 페이지 내에서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검색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를 수용할 수 없어, 모든 데이터 내에서 검색이 이루어져 인터넷 서버의 부하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특정한 위치의 주소 및 지도상에서의 위치 전화번호 및 웹 페이지의 주소 등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에도 모든 정보를 동시에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홈페이지를 작성할 수 없는 영세 사업자는 홈페이지를 작성할 수 없었으며, 특정한 기관에 대하여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인터넷 매매에 대하여 통일된 양식이 없어 매매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구매자들 또는 판매자들에게 불이익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하나의 인터넷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또는 넷스케이프 등에서 제공하는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를 클릭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주소 창에 모든 주소 데이터를 일일이 입력해야만 이동할 수 있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인터넷 서버에서 일련의 연속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데이터에 대하여 다양한 언어를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 매매를 수행할 수 있는 특정한 양식을 제공하여 공정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정한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구성하는 인터넷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으로, 서로 다른 언어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둘 이상의 언어 영역들과, 상기 언어 영역들 내에 서비스되는 내용의 데이터는 상기 각 언어 영역의 해당하는 언어로 표현되며, 제공되는 서비스 내역에 따라 구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비스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각 서비스 영역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 영역과 매칭되도록 링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서비스 영역들은 ;
국가 내의 지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국가 영역과, 검색을 위한 검색 영역을 적어도 구비하며, 해당 인터넷 홈페이지와, 전화번호, 주소, 우편번호 및 매핑된 지도 데이터 또는 다른 해당하는 서비스 영역과 링크가 형성되는 웹-텔 디렉토리 영역을 구비할 수 있고, 공공의 여론 장소를 제공하며, 영세 소기업의 무료 인터넷 홈페이지를 영역을 할당하며 다른 서비스 영역과 관련된 데이터 존재 시 링크가 형성된 커뮤니티 네트워크 영역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인터넷 매매를 위해 통일된 규격의 데이터를 등록하여 생산자와 소비자간 직접 매매가 이루어지며, 다른 서비스 영역들과 관련되는 데이터 존재 시 링크가 형성되는 사이버 엑스포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영역은 선택된 디렉토리 내의 검색과, 선택된 디렉토리 이하의 검색과, 모든 데이터 베이스의 검색을 구분하여 검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언어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둘 이상의 언어 영역들과, 상기 언어 영역들 내에 서비스되는 내용의 데이터는 상기 각 언어 영역의 해당하는 언어로 표현되며, 제공되는 서비스 내역에 따라 구분되는 검색 영역을 포함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비스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각 서비스 영역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 영역과 매칭되도록 링크가 형성된 인터넷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컴퓨터와 초기 접속 시에 언어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언어에 따라 언어를 선택하여 초기 데이터를 선택된 언어에 맞추어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초기 데이터는 해당하는 언어의 하위 디렉토리 구조 중 최상위 디렉토리를 표시하는 디렉토리 영역을 구비하며, 그에 따른 내용을 표시하는 내용영역으로 구분하여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한다. 초기 데이터 송신 후 다른 언어의 선택이 있을 경우 상기 선택된 언어로 초기 데이터를 다시 송신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내용 영역의 링크된 영역 또는 디렉토리 영역 중 특정 영역의 선택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선택된 디렉토리 영역의 하위 디렉토리 내역을 상기 디렉토리 영역에 표시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독취된 내용을 상기 내용 영역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인터넷 통신을 위한 망의 구성 요소와 그 구성 요소간 연결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터넷 서버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른 제공 DB의 영역별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공 DB에서 한국어 영역에서 서비스의 종류에 따른 전체 데이터 베이스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특정 국가 정보를 구성하는 각 영역별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상기한 영역들의 서비스가 이루어질 경우의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한국어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측의 컴퓨터에 도시되는 그래픽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분은 비록 다른 도면에 도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터넷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의 블록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인터넷 서버는 상술한 도 1에서 참조부호 40의 인터넷 서버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어부(41)는 인터넷 서버(4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제어를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1)는 후술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상술하기로 한다. 롬(42)는 인터넷 서버(40)의 전원 투입 시 초기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램(43)은 제어부(41)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및 제어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인터넷 망 접속부(44)는 인터넷망(30)과 접속되며, 제어부(41)로부터 인터넷망(30)으로 출력되는 데이터의 변환 및 인터넷망(3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넷 서버(40)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다. 즉 인터넷 프로토콜 예를 들어 TCP/IP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버퍼(45)는 제어부(41)와 인터넷망 접속부(44)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데이터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한다. 운용자 접속부(46)는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운용자 컴퓨터(50)와 연결되며, 운용자 컴퓨터(5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넷 컴퓨터(40)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제어부(41)로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41)로부터 운용자 컴퓨터(50)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운용자 컴퓨터(46)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의 변환은 운용자 접속부(46)의 특질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직렬 통신 방식 또는 병렬 통신 방식에 따라 각각 달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운용자 컴퓨터(5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는 인터넷 서버(4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의 갱신을 위한 데이터 또는 구동되는 프로그램 등의 갱신을 위한 데이터 및 인터넷 서버(40)의 유지 관리를 위한 제어 데이터 등이 된다.
디스크 제어기(47)는 제공 DB(48)와 프로그램 DB(49)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독취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며, 내부에 버퍼(도 2에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제공 DB(48)와 프로그램 DB(49)는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기록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도시한 것으로 실제로는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또는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나누어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른 제공 DB의 영역별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영역별 다이어그램을 설명한다.
제공 DB(48)는 언어별로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를 가지는 다수의 영역을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 서버(40)에서 제공하는 언어에 따라 동일한 내용의 다른 언어로 표현한 다수의 영역을 가지게 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만일 대한민국의 국기에 대한 설명의 텍스트(text)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한국어로 설명된 텍스트를 저장하는 영역(A)과, 영어로 설명된 텍스트를 저장하는 영역(B)과, 일본어로 설명된 텍스트를 저장하는 영역(C)과, 중국어로 설명된 텍스트를 가지는 영역(D)과, 독일어로 설명된 텍스트를 가지는 영역(E)과, 스페인어로 설명된 텍스트를 가지는 영역(F)과, 프랑스어로 설명된 영역(G), … 등을 가지게 된다. 즉,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언어로 설명하는 각 언어별 영역이 존재한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국기와 같은 그림의 데이터인 경우 동일한 데이터를 모두 저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동일한 데이터인 경우 기본 영역에만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이를 참조번지를 이용하여 다른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한 그림을 저장하는 영역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공통되는 그림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을 별도로 언어 영역과 같이 별도로 구분한 후 모든 부분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참조 번지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특정한 영역 예를 들어 한국어 영역(A)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공 DB에서 한국어 영역에서 서비스의 종류에 따른 전체 데이터 베이스 구성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른 전체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빗금 친 부분은 실제로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이 아닌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들이다. 즉, 구분의 우측으로 국가와 국제기구에 따른 분류를 한 분류의 기준을 도시하고 있으며, 하단부로는 소정 영역에 따른 카테고리의 데이터 베이스가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구분의 아래 측으로 표시된 제1영역 내지 제5영역은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이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영역(100)은 국가정보에 따른 영역이고, 제2영역(110)은 검색 디렉토리에 따른 영역이며, 제3영역(120)은 웹-텔(Web-Tel) 영역이고, 제4영역(130)은 커뮤니티 네트워크 영역이며, 제5영역(140)은 사이버 엑스포 영역이다.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5개의 영역만을 도시하였으나, 더 많은 영역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국가의 하위에는 240개의 국가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즉, 가나, 가봉, …, 홍콩의 순으로 240개의 국가가 제1영역 내지 제5영역에 걸쳐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게 된다. 그러면 특정 국가에 따른 해당 영역별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특정 국가 정보를 구성하는 각 영역별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설명한다.
제1영역(100)은 주로 텍스트와, 다른 영역으로의 링크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선택된 국가 또는 국제기구의 상징, 위치, 언어/문자, 환경, 외교, 정치, … 등의 데이터를 설명하는 텍스트와 그에 따라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하이퍼링크 데이터로 구성된다. 또한 제2영역(110)은 상기 선택된 영역 내에서 검색을 위한 디렉토리로, 검색 엔진 등에 의해 검색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택된 영역 내에서만 검색과 다른 범위의 검색 및 다른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검색하고자 하는 영역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으므로, 기존의 검색 엔진들이 모든 영역에서 검색하는 것과 달리 검색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영역(110)은 그 내용에 따라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영역(1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영역(120)은 웹-텔 영역으로 지도 데이터와 전화번호 및 위치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다른 영역들과 링크되어 있는 부분이 많다. 즉, 웹-텔 영역은 지도의 데이터와 지도의 해당 영역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있다. 즉, 국토에 대한 부분에서 특정 지역에 링크되어 있는 영역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텍스트 정보 중 서울에 대한 정보가 지도 데이터와 링크 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로부터 서울의 지도에 정보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201의 관계에 의해 지도의 제1영역(100)에서 제3영역(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영역에서 그 특정 구역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3영역(120)에서 제1영역(100)으로 링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영역(120)에는 지도 데이터뿐 아니라 해당 지역의 특정 영역에 대하여 웹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을 함께 저장하며, 링크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지도 데이터에서 해당하는 영역의 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링크의 형성은 도 5에서 204의 관계에서 링크 형성을 도시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국가 원수에 대한 텍스트 정보 중에서 국가 원수가 위치한 정보 및 언어 문자에 대한 정보 또한 202 관계 및 203관계와 같이 도시된 링크를 통해 국가원수가 위치한 지역의 지도 또는 홈페이지 등과 링크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한 서버 이외의 영역에 존재하는 다른 홈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내의 해당 웹 페이지로 이동하는 관계는 205의 관계에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영역(100)에서 제4영역(130)으로의 이동 관계도 211관계 및 212관계에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지도 데이터에는 세계지도에서부터 특정 국가의 지도와, 특정 국가 내의 도시와, 작은 구 단위의 내용까지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하는 구 단위 내에서 특정 회사 및 공공단체 등의 웹 홈페이지의 데이터와 링크를 형성하는 부분을 통해 연결이 가능하다.
제4영역(130)은 커뮤니티 네트워크(Community Network)를 구성하는 영역으로, 영세한 업체의 소규모 홈-페이지와, 게시판, 대화방, 특정 구역의 구인구직 광고, 벼룩 시장 및 칼럼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해당하는 영역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영역(100) 또는 제3영역(120)과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제5영역(140)은 인터넷 상거래를 위한 영역이다. 따라서 특정한 기업의 정보와 판매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영역으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도 있으며, 제2영역(110)을 통해 검색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1영역을 통해서도 접근할 수 있으며, 제3영역에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5영역은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보여질 경우 특정한 디렉토리를 이용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부분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하는 품목마다 규정된 소정의 양식이 적용된다. 즉, 사진 데이터와, 규격 데이터, 재원, 가격 등의 데이터를 모두 기재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인터넷 이용자들이 비교하여 물품의 구매를 직접 제조업자들과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도 5의 영역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해당 영역과 링크를 형성할 수 없고, 데이터를 구비하지 않는 영역이다. 만일 이러한 영역에 구비되는 데이터가 새로이 갱신될 경우 이러한 영역들은 실선으로 표시되며, 실제의 데이터가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갱신은 상기 운용자 컴퓨터(50)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한 인터넷 서버에서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의 제어 과정을 살펴본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상기한 영역들의 서비스가 이루어질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 6의 제어 흐름에서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의 갱신 및 제2영역의 선택에 따른 제어 과정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제어부(41)는 3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대기상태는 사용자의 접속이 없으며, 운용자로부터 갱신을 위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제어부(41)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3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접속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접속 신호는 인터넷망 접속부(44)를 통해 수신되며, 이러한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41)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프로토콜 과정은 일반적인 과정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부분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과정은 접속한 사용자 컴퓨터의 전송속도와 접속을 위한 각종 데이터의 교환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은 해당 컴퓨터가 기본적으로 설정하고 있는 언어영역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이다. 즉, 사용자 컴퓨터(11)가 한국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프로토콜 진행 시에 한국어 사용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인터넷 서버(40)의 제어부(41)는 이를 수신하여 한국어 영역(A)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만일 다른 사용자 컴퓨터(12)가 영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인터넷 서버(40)의 제어부(40)는 상기 도 3의 영어 영역(B)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초기 데이터가 한국어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내용은 도 7과 같이 도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한국어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측의 컴퓨터에 도시되는 그래픽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러면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측으로 제공되는 그래픽 화면을 상술한다.
도 7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터넷 상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경우의 사용자 그래픽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그램 DB(49)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면 디렉토리 영역(400)을 도시한다. 상기한 디렉토리 영역(400)은 구성하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예로 디렉토리를 표시하기 위해, 디렉토리 구조를 표시할 수 있으며, 동시에 특정한 언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내역에 따라 메뉴를 디렉토리 영역의 하위에 대륙 구분을 통한 국가의 표시 및 검색을 통한 국가의 표시 등으로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국가가 선택되면, 내용 영역(402)에 그 하위에 표시하는 내역을 도 7에서와 같이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다른 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디렉토리 영역(400)에는 초기 설정에 따라 선택된 언어의 하위 디렉토리들이 표시된다. 즉, 제1영역(100), 제2영역(110), 제3영역(120), 제4영역(130), 제5영역(140)이 하위 디렉토리로 표시된다. 또한 내용 영역(402)에는 상기 표시된 디렉토리 영역의 해당 내용이 표시되며 그에 따른 간단한 설명의 데이터가 함께 표시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그래픽을 구성하는 부분은 프로그램 DB(49)에서 수행되며, 상기 표시되는 내용의 데이터는 제공 DB(48)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1영역(100) 내지 제5영역(140) 중 하나의 영역을 상기 내용 영역(402)의 링크가 형성된 부분 또는 디렉토리 부분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신호는 인터넷망(30)을 통해 인터넷 서버(40)로 전송된다. 따라서 제어부(41)는 306단계에서 도 7과 같은 초기 데이터를 전송한 이후에는 308단계의 사용자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계속적으로 검사한다.
상기한 영역들 중에서 사용자가 수작업에 의해 디렉토리를 이동 중에 또는 내용 영역 또는 인터넷 프로그램의 웹 페이지의 전 화면 또는 후 화면 등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디렉토리 내에 존재하는 홈페이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검색 디렉토리 영역인 제2영역(110)이 선택되면 제어부(41)은 검색 영역을 표시하면서 내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재 디렉토리 내 검색과 현재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까지 또는 인터넷 서버(40) 내의 모든 데이터 베이스 내의 검색 또는 다른 검색 엔진을 이용한 검색 등 다양한 방향으로 검색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만일 사용자가 도 3의 제1영역(100) 내의 국토 내역을 검색하는 중에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을 찾고자 하는 경우 현재 진행중인 디렉토리가 상기 도 7의 디렉토리 영역(400)에 표시된다. 그러면 이때 제2영역(110)이 선택되어 제어부(41)이 사용자측으로 검색 화면을 제공할 경우 검색어를 넣는 칸과 함께 현재 디렉토리 내, 또는 이하 디렉토리, 또는 서버 전체, 또는 다른 검색 엔진 등으로 표시하도록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만일 다른 검색 엔진이 선택되는 경우 제공 가능한 검색 엔진을 표시하며, 그에 따른 검색 엔진이 선택되고 검색어를 수신하는 경우 이에 따른 검색을 수행한다. 그러나 서버 내의 상기한 내용 중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그 내용 에서만 검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검색 시에 검색의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다시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41)는 사용자 신호가 수신되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특정 영역으로 이동을 원하는 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11)에서 보여지는 그래픽의 디렉토리 영역(400) 중 특정 영역을 선택하거나 또는 내용 영역(402)의 링크된 부분을 선택한 선택 신호를 분석하여 알 수 있다. 만일 특정 영역으로 이동인 경우 3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20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특정 영역으로 이동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41)는 3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40) 내에서 이동하는 것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인터넷 서버(40)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31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14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41)는 314단계로 진행하면 인터넷망 접속부(44)를 제어하여 선택된 영역의 서버로 연결을 하도록 제어 한 후 상기 루틴을 종료한다. 이와 달리 인터넷 서버(40) 내의 이동인 경우 디스크 제어기(47)를 제어하여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를 제공 DB(48)로부터 독취한다. 상기 데이터의 독취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그런 후 제어부(41)는 318단계로 진행하여 이를 프로그램 DB(49)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렉토리 영역(400)에 선택된 영역의 디렉토리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며, 내용 영역(402)에 해당하는 내용의 데이터를 표시hk도록 사용자측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다시 308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310단계에서 320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1)는 데이터의 기록 요구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데이터의 기록 요구인 경우 322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영역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324단계로 진행하여 인터넷망 접속부(44)를 제어하여 사용자측으로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의 기록은 제4영역(130)과 제5영역(140)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1영역(100) 내지 제3영역(130)에서는 데이터의 기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커뮤니티 네트워크 영역인 제4영역(130)의 게시판 구인구직 내역 또는 벼룩시장, 칼럼 등의 내용에 기록을 수행하거나 공공기관에 대한 여론의 장을 마련한 곳 내지 영세 사업자의 소규모 홈페이지 등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매매의 장인 사이버 엑스포 영역인 제5영역(140)에 규정된 내용을 모두 기재한 경우에만 상기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인터넷 서버에서 해당하는 데이터의 내역을 언어의 영역별로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언어 영역 내에서 다수의 계층 구조를 가짐으로써 다른 서버로 이동하지 않고, 특정한 서버 내에서 모든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영세 사업자 등에게 홈페이지 영역을 할애하고, 다양한 통신의 장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을 구성하고 있으며, 해당하는 데이터의 각 구성요소별 링크가 형성되어 이동하며 데이터를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이동이 디렉토리화 하여 사용자들의 웹 페이지 이동이 편리한 이점이 있으며, 검색 시에 검색할 영역을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검색시간의 단축 및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인터넷망을 구성하는 인터넷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언어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둘 이상의 언어 영역들과,
    상기 언어 영역들 내에 서비스되는 내용의 데이터는 상기 각 언어 영역의 해당하는 언어로 표현되며, 제공되는 서비스 내역에 따라 구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비스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각 서비스 영역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 영역과 매칭되도록 링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영역들이,
    국가 내의 지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국가 영역과,
    검색을 위한 검색 영역을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영역들이,
    해당 인터넷 홈페이지와, 전화번호, 주소, 우편번호 및 매핑된 지도 데이터 또는 다른 해당하는 서비스 영역과 링크가 형성되는 웹-텔 디렉토리 영역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영역들이,
    공공의 여론 장소를 제공하며, 영세 소기업의 무료 인터넷 홈페이지를 영역을 할당하며 다른 서비스 영역과 관련된 데이터 존재 시 링크가 형성된 커뮤니티 네트워크 영역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영역들이,
    인터넷 매매를 위해 통일된 규격의 데이터를 등록하여 생산자와 소비자간 직접 매매가 이루어지며, 다른 서비스 영역들과 관련되는 데이터 존재 시 링크가 형성되는 사이버 엑스포 영역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영역은 선택된 디렉토리 내의 검색과, 선택된 디렉토리 이하의 검색과, 모든 데이터 베이스의 검색을 구분하여 검색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7. 서로 다른 언어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둘 이상의 언어 영역들과, 상기 언어 영역들 내에 서비스되는 내용의 데이터는 상기 각 언어 영역의 해당하는 언어로 표현되며, 제공되는 서비스 내역에 따라 구분되는 검색 영역을 포함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비스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각 서비스 영역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 영역과 매칭되도록 링크가 형성된 인터넷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컴퓨터와 초기 접속 시에 언어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언어에 따라 언어를 선택하여 초기 데이터를 선택된 언어에 맞추어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서버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초기 데이터 송신 후 다른 언어의 선택이 있을 경우 상기 선택된 언어로 초기 데이터를 다시 송신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서버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초기 데이터는 해당하는 언어의 하위 디렉토리 구조 중 최상위 디렉토리를 표시하는 디렉토리 영역을 구비하며, 그에 따른 내용을 표시하는 내용영역으로 구분하여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서버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내용 영역의 링크된 영역 또는 디렉토리 영역 중 특정 영역의 선택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선택된 디렉토리 영역의 하위 디렉토리 내역을 상기 디렉토리 영역에 표시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독취된 내용을 상기 내용 영역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서버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00025130A 2000-05-10 2000-05-10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10044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130A KR20010044632A (ko) 2000-05-10 2000-05-10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130A KR20010044632A (ko) 2000-05-10 2000-05-10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632A true KR20010044632A (ko) 2001-06-05

Family

ID=1966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130A KR20010044632A (ko) 2000-05-10 2000-05-10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6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108A (ko) * 2000-07-31 2000-12-05 강성재 언어 번역기를 이용한 인터넷상에서의 다국어 지원 방법및 그 웹 서버
KR20010079471A (ko) * 2001-07-24 2001-08-22 이경일 다국어 웹 서비스를 위한 자동 번역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16382A (ko) * 2000-08-25 2002-03-04 오춘영 인터넷에서의 다국어가 지원되는 지식 관리 방법
KR100440881B1 (ko) * 2001-09-03 2004-07-21 김재윤 사용자의 아이피 대역에 따른 해당국가의 웹페이지를 브라우저 사용 언어로 구현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108A (ko) * 2000-07-31 2000-12-05 강성재 언어 번역기를 이용한 인터넷상에서의 다국어 지원 방법및 그 웹 서버
KR20020016382A (ko) * 2000-08-25 2002-03-04 오춘영 인터넷에서의 다국어가 지원되는 지식 관리 방법
KR20010079471A (ko) * 2001-07-24 2001-08-22 이경일 다국어 웹 서비스를 위한 자동 번역 시스템 및 방법
KR100440881B1 (ko) * 2001-09-03 2004-07-21 김재윤 사용자의 아이피 대역에 따른 해당국가의 웹페이지를 브라우저 사용 언어로 구현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1713B2 (en) Internet-based method of and system for enabling communication of consumer product information between vendors and consumers in a stream of commerce, using vendor created and managed upn/tm/pd/url data links
US7143055B1 (en) Internet-based system for collecting, managing and serving consumer product-related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using trademarks and universal resource locators (urls) symbolically-linked by manufacturers of consumer products and/or their agents
JP3224507B2 (ja) 情報検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検索システム
US6154738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seminating product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using universal product codes
US5950173A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onsumer product related information to consumers within retail environments using internet-based information servers and sales agents
US6993557B1 (en) Creation of customized web pages for use in a system of dynamic trading of knowledge, goods and services
US20040019535A1 (en) Internet-based consumer product kiosk for installation within a retail environment
US200301587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serving consumer product related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US20080195487A1 (en) Internet shopping assistance technology and e-mail place
US20060230064A1 (en) Internet-based method of and system for enabling communication of consumer product information between manufacturers and consumers in a stream of commerce, using manufacturer created and managed data links
US200200047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ding and serving consumer product related information to consumers using internet-based information servers and clients
US20030139975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anaging and serving consumer-product related information on the world wide web (WWW) using universal product numbers (UPNS) and electronic data interchange (EDI) processes
WO1998019259A9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serving consumer product related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KR100380842B1 (ko) 네트워크 기반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0978186A1 (en) Destination website acces and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KR100984691B1 (ko) 멀티 인터넷주소를 이용한 다중관계 다차원구조 인터넷데이터 양방향 웹사이트 관리시스템
KR20010044632A (ko) 웹 데이터 베이스 구성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JP4247816B2 (ja) 電子広告提供システム
KR100402642B1 (ko) 인터넷 검색엔진의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방법
KR100431133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020008162A (ko) 열람 서비스 처리 장치, 방법, 시스템 및 기록 매체
AU20042145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serving consumer product related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JP2001092753A (ja) 電子掲示板システムおよび電子掲示板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の送受信方法
KR20020034786A (ko) 온/오프 라인 상의 정보제공·광고·상거래모델
EP1683054A1 (en) A database system and method of interrog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