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625A -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625A
KR20010044625A KR1020010012674A KR20010012674A KR20010044625A KR 20010044625 A KR20010044625 A KR 20010044625A KR 1020010012674 A KR1020010012674 A KR 1020010012674A KR 20010012674 A KR20010012674 A KR 20010012674A KR 20010044625 A KR20010044625 A KR 20010044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biodegradable polyester
monomer
dispersion medium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4828B1 (ko
Inventor
김경아
손병근
전용군
Original Assignee
김경아
주식회사 씨엠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아, 주식회사 씨엠리서치 filed Critical 김경아
Priority to KR102001001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8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625A/ko
Priority to US10/471,127 priority patent/US7138179B2/en
Priority to EP02700869A priority patent/EP1373357A4/en
Priority to PCT/KR2002/000264 priority patent/WO200207266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를 분산중합을 통하여 분쇄공정을 생략하고 직접 균질의 분말 또는 구형의 입자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은 락티드(Lactide)와 글리콜리드(Glycolide)등을 포함하는 화합물과 글리세린(Glycerin), 에리트리톨(Erythritol),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Dipentaerythritol)을 포함하는 다가알코올 및 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의 혼합물로 된 단량체를 분산매내에서 촉매 존재하에 고상 또는 액상으로 분산시켜 분산중합함으로써 구상 또는 분말형태의 지방족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분자량의 생분해성 소재를 균질의 분말 또는 구형의 입자 형태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ester and itself prepared thereby}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량의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를 그 단량체의 비용매와 함께 해당 고분자의 용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중합하여 구형, 무정형 입자 또는 분말상태로 중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는 고유한 분해 특성으로 인하여 의학, 농학, 환경 등 여러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소재이며, 특히 환경 및 의학 분야에서의 그 가치가 급격히 증대되고 있는 물질이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크게 천연 생분해성 고분자와 합성 생분해성 고분자로 나뉘어 진다. 이 중에서 천연 생분해성 고분자는 원료가 천연물이므로 환경에 대한 친화력이 높고, 물리적인 성능이나 생명체에 대한 적응성이 높아 유력한 물질로서 인식되어지고 있으나, 고가이며 천연 물질의 특성상 그 물성을 임의대로 조절하기 어려운 것이 큰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반면, 합성 생분해성 고분자는 천연 생분해성 고분자가 가지지 못한 점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보완할 수 있다는 점이 있어, 최근 들어 그 상업적 가치가 매우 높게 평가되어지고 있다.
이들 합성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 중, 특히 폴리글리콜리드(PGA)와 폴리락티드(PLA) 등은 비교적 그 성능이 우수하고, 환경 또는 생체에 대한 친화성 및 무독성 등으로 인하여 의학 분야에서 각종 용도로 다양하게 이용되어지고 있다. 약물 방출 조절용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이하에서 "DDS"로 약칭함), 뼈 및 조직 고정용 핀, 스크류 및 봉합사 등은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고상 프로세스는 필연적으로 물성의 불균일, 작업성의 저하와 같은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대형의 고체 상태로 제조된 중합물을 성형 가공 공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가능한 크기로 분쇄하여야 하는데, 상업적인 규모의 대량 생산에는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DDS 등의 용도에서는 약물의 방출 속도를 임의로 조절하기 위하여 입자의 형태와 크기의 자유로운 조절이 필연적으로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를 제조하기 위해서 지금까지는 이미 제조되어진 중합체를 용제와 비용제를 이용하여 용해-석출 과정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방법, 예를 들어 에스에이에스법(SAS;Supercritical Anti-solvent) 등이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분자량 및 입자 크기의 조절이 임의롭지 못하며 제조 수율 또한 매우 낮은 실정으로 그 제법이 완성되지 못한 상태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폴리락티드(PLA), 폴리글리콜리드(PGA) 및 폴리카프로락톤(PCL) 등의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를 분산중합을 통하여 분쇄공정을 생략하고 직접 입자, 구형 등의 형태로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DS 등의 의학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입자를 고수율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전자현미경 (SEM) 사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의 시차주사열량분석(DSC) 기록 차트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은 아래의 식(I)로 표시되는 (A)화합물과 식 (II) 내지 식 (V) 및 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B)화합물의 혼합물로 된 단량체를 분산매 내에서 촉매 존재하에 고상 또는 액상으로 분산시켜 분산중합함으로써 구상 또는 분말형태의 지방족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식 (I)
여기서, R1및 R2는 수소원자 또는 C1-C4의 알킬기
(B) HO-C(=O)-(CH2)n-(O=)C-OH 식 (II)
H-O-(CH2)m-O-H 식 (III)
R3(OH)x식 (IV)
H-O-{(CH2CH2)yO}z-H 식 (V)
여기서, n=1∼8, m=2∼8, x=2∼6 이고, R3: C1-C8의 포화 탄화수소 또는 에테르 ( -R-O-R- )임.
상기 단량체 중 (A)화합물의 함량은 75mo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85mol% 이상인 것이 좋고, (B)화합물은 25m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5mol% 이하인 것이 좋다.
(A)화합물로는 특히 락티드나 글리콜리드가 좋으며, 식 (V)의 (B)화합물로는 다가알코올 특히 글리세린(Glycerin), 에리트리톨(Erythritol),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Dipentaerythritol) 등이 좋다.
상기 분산매는
(1) 중합체에 대한 용해도가 없는 유기화합물,
(2) 단량체의 분산매에 대한 용해도가 5% 미만인 유기화합물,
(3) 단량체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것,
(4) 25℃에서의 점도가 1센티스트로크(이하 cSt) 이상 300cSt 이하,
(5) 비중이 0.85 이상 1.25 이하로서 중합체의 비중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폴리페닐메틸실록산(poly[phenyl- methylsiloxane]) 등의 알킬/아릴치환 실록산계 화합물, 액상 파라핀(liquid paraffin) 등의 장쇄포화탄화수소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반응 온도는 단량체의 용융점(Tm)과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 중 높은 온도와 중합체의 용융점(Tm) 사이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두 온도간 1/3 과 2/3 사이의 온도 범위가 효과적이다.
중합 반응의 분위기는 진공 또는 불활성기류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의 투입은 단량체에의 직접투입도 가능하나, 매체에의 투입이 입자크기와 중합도의 균일성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 ∼ 500,000 또는 그 이상의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를 그 단량체의 비용매(non-solvent) 또는 난용제(poor solvent)와 함께 해당 고분자의 용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중합하여 구형, 무정형 입자 또는 분말 상태로 중합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식 (I)로 표시되는 (A)단량체 1종으로 구성되는 호모폴리머 (Homopolymer) 또는 아래의 식 (II) 내지 식 (V) 및 카프로락톤으로부터 선택되는 (B)화합물과의 코폴리머(copolymer)를 구성 단위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A)식 (I)
여기서, R1및 R2는 수소원자 또는 C1-C4의 알킬기.
(B) HO-C(=O)-(CH2)n-(O=)C-OH 식 (II)
H-O-(CH2)m-O-H 식 (III)
R3(OH)x식 (IV)
H-O-{(CH2CH2)yO}z-H 식 (V)
여기서, n=1∼8, m=2∼8, x=2∼6 이고, R3: C1-C8의 포화 탄화 수소 또는 에테르 ( -R-O-R- )임.
구체적으로는 (A)단량체 성분이 75mol% 이상 좋게는 85mol% 이상 함유되고, (B)단량체 성분이 25mol% 이하, 더욱 좋게는 15mol% 이하로 함유되는 생분해성 호모폴리머(Homopolymer) 또는 코폴리머(copolymer) 제조에 관한 것이다.
식(I)로 표시되는 물질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락티드(Lactide)와 글리콜리드 (Glycolide)를 들 수 있다. 락티드(Lactide)와 글리콜리드(Glycolide)등의 (I)식으로 표시되는 이들 물질은 많은 경우 R1, R2의 결합 형태에 따라 D형태와 L형태가 혼합된(racemic mixture) 형태로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단량체는 D 또는 L 형태 중 하나의 구조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단 완전히 탈수된 분산매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이어서 단량체를 분말상 또는 용융 상태로 반응기에 투입하게 된다.
분산매에 대한 단량체의 비율은 분산매의 부피에 대한 단량체의 무게로 10% 이상 80% 미만이어야 하고, 30% 이상 70% 미만이면 더욱 좋다. 단량체의 비율이 10% 미만일 경우 고분자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나, 고분자 단위 무게당 소요되는 분산매의 양이 많아서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반면 함량이 80%를 넘을 경우에는 단량체의 분산매에 대한 분산성이 떨어져서 중합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리머 상호간에 서로 달라 붙기도 하고, 교반에 의해 발생되는 전단력에 의해 결정화도가 낮은 폴리머가 반응기 내벽에 달라붙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균일한 크기의 구형 또는 분말상 폴리머 제조가 극히 어렵다.
한편, 이때 사용하는 분산매로서 요구되는 특성은 폴리머에 대한 용해도가 없어야 하며, 분산매가 단량체와 화학적 구조 변화 또는 단량체와의 결합 등 중합 반응 자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어떠한 화학 반응도 야기하지 않아야 한다.
폴리머가 분산매에 소량이라도 용해될 경우 분산매 내에서 중합된 폴리머의 입자 형성이 어려우며, 중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폴리머가 분산매에 용해된 용액으로 되어 점도의 변화를 야기하고 분자량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폴리머 입자들끼리 서로 엉겨 붙게 되어 균일한 입자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고리상의 단량체가 분산매와 반응에 의해 어떤 화합물을 형성할 경우, 결과적으로 반응물의 순도가 낮아져서 중합 반응성이 급격히 저하, 높은 분자량의 폴리머 제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분산매에 요구되는 다른 특성으로는 단량체의 분산매에 대한 용해도와 점도 및 비중을 들 수 있다.
단량체의 분산매에 대한 용해도는 낮을수록 좋으며 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해도가 높을 경우 분산 중합(현탁 또는 유화 중합)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용액 중합 형태로 반응이 진행되어 분말, 입자상 폴리머의 제조가 어렵고, 도달할 수 있는 중합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분산매의 점도는 바람직하기로는 25℃ 측정치로 1cSt 이상 300cSt 미만인 것이 좋은데, 점도가 1cSt미만이거나 300cSt 이상일 경우에는 용융 단량체와의 점도차가 너무 커서 균일한 분산이 어려워 폴리머 입자의 형태와 크기 조절이 곤란하게 된다.
분산매의 비중은 25℃ 측정치로 0.85∼1.25 사이가 바람직하다. 0.85 미만일 경우는 용융 단량체가 분산매 내에서 아래로 가라앉아 격렬한 교반을 가하여도 분산매에 적절하게 분산되지 않아서 균일한 입자의 폴리머를 제조하는 것이 어렵고, 분산매의 비중이 1.25 이상, 또는 생성되는 폴리머의 비중 이상일 경우에는 단량체 뿐만 아니라 형성된 폴리머가 분산매 위로 뜨게 되어 효과적인 교반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분산매와 단량체를 사용하여 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분산매와 단량체를 투입한 후 반응기를 봉하고 진공 펌프에 연결하여 상온에서 최소 1시간 이상 진공을 가하여 분산매 및 단량체 속에 함유된 공기, 산소 및 물 등과 저분자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한다. 중합 반응시 반응기의 분위기는 진공상태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기류하에서 행해지는데, 두 경우 모두 중합도의 상승을 저해하는 용존 산소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진공에 의해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에는 반응물을 단량체의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 교반하여 분산매 속에 용융 단량체가 드로플릿(droplet)(미세방울 또는 무적(霧滴) 형태로 분산되게 한다. 이 때의 교반 속도는 분산매와 단량체가 서로 섞이지 않고, 비중차에 의해 두 층으로 분리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한다. 교반 속도가 너무 빠르면 전단력에 의하여 비중이 큰 단량체가 반응기 안쪽벽에 스트림(stream)을 형성하거나, 원심력에 의해 반응기 내벽에 부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너무 느릴 경우에는 비중이 큰 단량체 용액이 가라앉아 분산 효과가 낮아져서 역시 균일한 드로플릿(droplet) 형성이 어려우므로 반응기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용융 단량체가 분산매 내에서 안정되게 유동할 수 있는 적정한 속도로 조절하여야 한다.
중합 반응온도는 단량체의 종류와 단독 또는 공중합의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최저 온도는 단량체의 용융점과 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 중 높은 온도와 폴리머의 용융점( = 결정전이온도) 사이의 범위, 더욱 좋게로는 두 온도 사이의 1/3과 2/3 사이의 온도 범위에서 결정한다.
단량체 용액이 분산매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적정 중합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이어서 촉매를 투입하게 되는데, 촉매는 액상인 경우 원액 상태로 투입할 수도 있고 톨루엔(tolue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헥산(hexane) 등의 용매나 중합에 사용하는 분산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투입해도 좋다. 경우에 따라서는 촉매는 단량체에 직접 투입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분해성 고분자의 촉매로서는 여러 가지가 사용 가능하며, 사용되는 촉매에 따라 다양한 반응기구를 통하여 중합이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때 사용되는 촉매로는 아연, 주석, 알루미늄 계통의 유기금속촉매가 대표적이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염화 주석(stannic chloride), 산화주석(stannous oxide), 주석옥틸에스테르(stannous octoate), 염화주석이수화물(stannous chloride dihydrate), 사페닐주석(tetraphenyl tin) 등의 주석계통 촉매와 아연가루, 디에틸아연(diethyl zinc), 아연옥틸에스테르(zinc octoate), 염화아연(zinc chloride), 산화아연(zinc oxide) 등의 아연 계통 촉매와 염화알루미늄(aluminum chloride), 알루미늄 에톡사이드(aluminum ethoxide) 등의 알루미늄 계통의 촉매를 들 수 있는데, 이중 주석옥틸에스테르(stannous octoate)와 염화알루미늄(aluminum chloride)이 특히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체의 분자량 조절은 촉매의 투입량, 중합 온도 및 중합 시간 등에 의해 조절하지만 가장 큰 조절 요인은 촉매의 투입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조되어진 중합체는 분산매체의 점도가 단량체의 점도보다 낮으면 균일한 구형의 중합체 (0.5∼100㎛)가 얻어지고, 분산매체의 점도가 단량체의 점도와 같거나 높으면 무정형의 입자가 얻어질 가능성이 크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조된 폴리머입자의 크기는 교반 속도와 고형물의 양 (solid content)에 주로 따르며, 미반응 단량체의 완전 제거 후의 중합 최종 수율은 90 내지 95% 에 이른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가 기술되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단량체중 (A)성분으로서 L-락티드(L-lactide) 200g, 분산매로서 점도 10 cSt의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 500ml를 플라스크에 넣고 진공을 걸어 공기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130℃로 가열하여 상기 L-락티드(L-lactide)를 녹인 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촉매인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stannous 2-ethyl hexanoate) 0.1g을 진공이 유지되는 상태로 주입하여 24시간동안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분말상의 폴리머는 헥산 및 메탄올로 수 회 세척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진공 건조하여 보관하였다.
용액 점도법에 의한 분자량의 산출은 고유 점성도와 분자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마크호윙크(Mark-Houwink)식'에 의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환산하였다.
선형 폴리락티드(PLLA)의 경우
[η] = 4.41 × 10-4·Mw 0.72(dl/g)
스타형 (분지형) 폴리락티드(PLLA)의 경우
[η] = 2.04 × 10-4·Mw 0.77(dl/g)
고유 점성도 [η]는 폴리머 시료의 0.05∼0.5g/dl 클로로포름 용액을 우베로드(Ubbelohde)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한 환원점성도를 농도 0%로 외삽하여 구하였다.
제조된 폴리 L-락티드(poly(L-lactide))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2만 이었으며, 형상은 도면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평균직경이 10 ㎛인 구형이었다.
[실시예 2 - 10]
단량체중 (A)성분 및 (B)성분, 분산매를 아래의 표1에서와 같이 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을 시행하였다.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자량 및 성상이 표1에 나타나 있다.
표 1. 실시예 2~10
1) LLA = L-락티드 GA= 글리콜리드 2) 고유 점성도에 의한 환산 분자량
CL = 카프로락톤 Er=펜타에리트리톨 실시예 5 및 8~10 : star형 PLLA 환산식 적용
SA = 숙신산 EG= 에틸렌글리코올
3) 입자 형태 및 크기 : SEM에 의한 관찰(도면1~3)
크기 : 평균 입자크기
4) DSC 측정(그림 4)
[비교예 1 - 2]
단량체중 (A)성분 및 (B)성분, 분산매를 아래의 표 2 에서와 같이 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을 시행하였다.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자량 및 성상이 표1에 나타나 있다.
[비교예 3]
아래의 표 2 에서와 같이 L-락티드 단량체만으로 벌크중합을 행하였다.
표 2. 비교예 1~3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경우 수율이 낮고 회수가 곤란하며(비교예 1), 가공 가능한 입자를 얻기 위해 분쇄 및 분급공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비교예3의 Bulk 중합)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자상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를 높은 수율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비교예 3은 벌크중합의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하여 표 1 및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머의 결정화도가 매우 낮다. 대체로 벌크중합의 용융열(△HTm)은 40 내지 60J/g 이고, 에멀젼 중합의 용융열( △HTm)은 80J/g 이상이다.
본 발명은 고분자량의 생분해성 소재를 균질의 분말 또는 구형의 입자 형태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이러한 고분자 입자는 이들 소재에 적용되어지고 있는 압출성형 또는 고상 압출 성형 (solid-state extrusion)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분자량 조절이 가능하고 입자 크기를 임의대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제약 등 미세 비드(bead) 상태의 고분자 분말을 필요로 하는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18)

  1. 식(I)로 표시되는 (A)화합물과 식 (II) 내지 식 (V) 및 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B)화합물의 혼합물로 된 단량체를 분산매 내에서 촉매 존재하에 고상 또는 액상으로 분산시켜 분산중합함으로써 구상 또는 분말형태의 지방족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A)식 (I)
    여기서, R1및 R2는 수소원자 또는 C1-C4의 알킬기
    (B) HO-C(=O)-(CH2)n-(O=)C-OH 식 (II)
    H-O-(CH2)m-O-H 식 (III)
    R3(OH)x식 (IV)
    H-O-{(CH2CH2)yO}z-H 식 (V)
    여기서, n=1∼8, m=2∼8, x=2∼6 이고, R3: C1-C8의 포화 탄화 수소 또는 에테르 ( -R-O-R- )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중 (A)화합물의 함량은 75mol% 이상이고 (B)화합물은 함량은 25mol%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중 (A)화합물의 함량은 85 mol% 이상이고 (B)화합물은 함량은 15 mol%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식 (V)의 (B)화합물이 다가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이 글리세린(Glycerin), 에리트리톨(Erythritol),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및 디펜타에리트리톨(Dipentaerythritol)로 이루어지는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가 중합체에 대한 용해도가 없는 유기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가 상기 단량체에 대한 용해도가 5% 미만인 유기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가 상기 단량체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가 25℃에서의 점도가 1 cSt 내지 300 c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가 비중이 0.85 이상 1.25 이하로서 중합체의 비중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가 알킬/아릴치환 실록산계 화합물 또는 장쇄포화탄화수소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릴치환 실록산계 화합물이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또는 폴리페닐메틸실록산(poly(phenylmethyl silox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쇄포화탄화수소화합물이 액상 파라핀(liquid paraff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반응의 온도는 단량체의 용융점과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중 높은 온도와 중합체의 용융점(결정전이온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반응의 온도는 단량체의 용융점과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중 높은 온도와 중합체의 용융점(결정전이온도) 사이에서 두 온도간 1/3 과 2/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반응의 분위기는 진공 또는 불활성기류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공정에서 촉매를 분산매 또는 단량체 혼합물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8. 제 1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형, 무정형 또는 분말상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KR1020010012674A 2001-03-12 2001-03-12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KR100354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674A KR100354828B1 (ko) 2001-03-12 2001-03-12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US10/471,127 US7138179B2 (en) 2001-03-12 2002-02-20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ester and itself prepared thereby
EP02700869A EP1373357A4 (en) 2001-03-12 2002-02-20 PROCESS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ESTER AND BIODEGRADABLE POLYESTER THUS OBTAINED
PCT/KR2002/000264 WO2002072663A1 (en) 2001-03-12 2002-02-20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ester and itself prepar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674A KR100354828B1 (ko) 2001-03-12 2001-03-12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625A true KR20010044625A (ko) 2001-06-05
KR100354828B1 KR100354828B1 (ko) 2002-10-05

Family

ID=1970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674A KR100354828B1 (ko) 2001-03-12 2001-03-12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38179B2 (ko)
EP (1) EP1373357A4 (ko)
KR (1) KR100354828B1 (ko)
WO (1) WO200207266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4095B2 (en) 2004-12-10 2013-01-15 Hallux,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nditions of the nail unit
US8591870B2 (en) 2004-12-10 2013-11-26 Hallux,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nditions of the nail unit
US9375558B2 (en) 2013-03-14 2016-06-28 Hallux, Inc. Method of treating infections, diseases or disorders of nail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2546B2 (en) 2003-06-16 2011-01-04 Ethicon Endo-Surgery, Inc. Subcutaneous self attaching injection port with integral moveable retention members
US7553298B2 (en) * 2003-12-19 2009-06-30 Ethicon Endo-Surgery,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with cover and method
US8980300B2 (en) 2004-08-05 2015-03-1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Plasticizers for coating compositions
US9889238B2 (en) * 2009-07-21 2018-02-13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Biodegradable stent with adjustable degradation rate
US8889823B2 (en) * 2009-07-21 2014-11-18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Method to make poly(L-lactide) stent with tunable degradation rate
US8709070B2 (en) 2011-05-10 2014-04-29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Bioabsorbable scaffold with particles providing delayed acceleration of degradation
CN114940746B (zh) * 2022-06-17 2024-04-26 山东采采医疗科技有限公司 星型丙交酯乙交酯共聚物及作为药物缓释载体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5730A (en) * 1982-10-01 1986-08-12 Ethicon, Inc. Surgical articles of copolymers of glycolide and ε-caprolactone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4804691A (en) * 1987-08-28 1989-02-14 Richards Medical Company Method for making a biodegradable adhesive for soft living tissue
US4804461A (en) * 1987-10-22 1989-02-14 Gerhard Heinrich Process for recovering barite from drilling muds
FR2678168B1 (fr) * 1991-06-28 1993-09-03 Rhone Poulenc Rorer Sa Nanoparticules ayant un temps de capture par le dysteme reticulo endothelial allonge.
NL9201949A (nl) * 1992-11-06 1994-06-01 Univ Groningen Met rubber gemodificeerde polylactide-samenstelling.
US5412067A (en) * 1993-05-10 1995-05-02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reparation process of polyester
JP3557050B2 (ja) * 1995-09-07 2004-08-25 三井化学株式会社 生体吸収性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702717A (en) * 1995-10-25 1997-12-30 Macromed, Inc. Thermosensitive biodegradable polymers based on poly(ether-ester)block copolymers
DE19723807C2 (de) * 1997-06-06 2003-04-24 Ferring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opolyestern
US6068920A (en) * 1997-09-04 2000-05-30 Mitsui Chemicals, Inc. Random-block copolymer and monofilament thereof
KR100348717B1 (ko) * 1999-10-08 2002-08-14 주식회사 삼양사 스타형 글리콜라이드/ε-카프로락톤 공중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FI20000317A (fi) * 2000-02-15 2001-08-16 Jvs Polymers Oy Biologisesti hajoava materiaali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4095B2 (en) 2004-12-10 2013-01-15 Hallux,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nditions of the nail unit
US8591870B2 (en) 2004-12-10 2013-11-26 Hallux,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nditions of the nail unit
US8747820B2 (en) 2004-12-10 2014-06-10 Hallux, Inc. Methods for treating conditions of the nail unit
US9446009B2 (en) 2004-12-10 2016-09-20 Hallux, Inc. Methods for treating conditions of the nail unit
US9375558B2 (en) 2013-03-14 2016-06-28 Hallux, Inc. Method of treating infections, diseases or disorders of nail unit
US9498612B2 (en) 2013-03-14 2016-11-22 Hallux, Inc. Method of treating infections, diseases or disorders of nail unit
US10456568B2 (en) 2013-03-14 2019-10-29 Hallux, Inc. Method of treating infections, diseases or disorders of nail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73357A1 (en) 2004-01-02
US7138179B2 (en) 2006-11-21
EP1373357A4 (en) 2005-01-19
WO2002072663A1 (en) 2002-09-19
US20040138333A1 (en) 2004-07-15
KR100354828B1 (ko) 200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9995B2 (ja) 圧縮気体を用いる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重合体の製造方法
Ayyoob et al. Synthesis of poly (glycolic acids) via solution polycondens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ir thermal degradation behaviors
KR100701552B1 (ko) 압축기체를 이용한 필라멘트 및 시트 형태의 생분해성폴리에스테르 고분자 소재의 제조방법
KR100354828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CN101125914B (zh) 一种聚乙丙交酯的制备方法
Teng et al. Synthesis and degradability of a star-shaped polylactide based on l-lactide and xylitol
Ren et al. Synthesis of highly branched poly (δ-valerolactone) 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comb and linear analogues
WO2004101645A1 (en) Polymerization catalyst for preparing polyesters, prepara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use of polymerization catalyst
WO2020087221A1 (en) Controlled production of polyglycolic acid and glycolide
Louisy et al. Novel hybrid poly (L-lactic acid) from titanium oxo-cluster via reactive extrusion polymerization
CN113024850B (zh) 一种自由基聚合无溶剂制备聚乳酸微球的方法
JP3517856B2 (ja) ポリ乳酸の製造法
JPH06228287A (ja) 水酸基末端をエステル封鎖したポリ乳酸およびその製造法
JP3517858B2 (ja) ポリ乳酸の製造法
EP3303445B1 (en) A one step process for the pelletisation of poly lactic acid without melt processing
JP2020189905A (ja) ポリエステル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CN113185678B (zh) 催化剂零添加的脂肪族聚碳酸酯聚酯共聚物的制备方法
Wang et al. Synthesis of poly (p-dioxanone)-based block copolymer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ang et al.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Poly (l-lactide-co-p-dioxanone)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KR100793903B1 (ko) 락톤계 생분해성 고형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460314B1 (ko) 바이오 플라스틱용 폴리머,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8448114B2 (en) Polyglycolic acid resin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3732753B2 (ja) 生分解性共重合ポリ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Wang et al. Formation of well-defined spherical particles during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biodegradable poly (glycolide-co-p-dioxanone)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JP3287426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