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453A -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와 그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와 그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453A
KR20010044453A KR1020010008833A KR20010008833A KR20010044453A KR 20010044453 A KR20010044453 A KR 20010044453A KR 1020010008833 A KR1020010008833 A KR 1020010008833A KR 20010008833 A KR20010008833 A KR 20010008833A KR 20010044453 A KR20010044453 A KR 20010044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air
fuel
hot air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김진성
주식회사 좋은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성, 주식회사 좋은에너지 filed Critical 김진성
Priority to KR102001000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453A/ko
Publication of KR2001004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45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24B1/1883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the heat exchange medium being both water an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3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24B1/1907Supplying combustion-air in combination with provisions for heating both air and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9Fuel-handling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를 연료로 하여 난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온풍기본체의 내부에 다단식으로 격벽을 설치하여 연소부와 열풍발생부및 연료공급부로 분리되게 구성하되, 연소부에는 화덕을 설치하고, 열풍발생부에는 휀을 설치하여 화덕에서 발생된 열기를 실내로 공급하게 하고, 연료공급부에는 본체의 전면 후미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호퍼를 수직으로 설치하되 호퍼의 하단부에는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송스크류를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되 스크류의 끝부분에는 공급관을 설치하여 화덕의 상측에 위치하게 하고, 그 일측에는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연통을 설치하되 연통의 중간부에는 연소가스 배출부와 공기분리및 공기압조절부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옥수수를 연료로 이용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난방 효과를 얻을 수가 있으며, 기름기가 많은 옥수수를 연료로 함으로서 완전연소를 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체에 해로운 불완전가스를 제거함으로서 잦은 환기를 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연료의 구입으로 인한 불필요한 지출을 절감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와 그 작동장치{A WARM WIND MACHINE MAKE USE OF CORN AND WORKING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옥수수를 연료로 하여 난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온풍기 본체에 옥수수를 수납한 다음 일정량을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옥수수의 연소와 가스의 배출을 위한 공기의 분리및 공기압을 조절하는 공기압조절기및 옥수수를 연소시키는 화덕을 설치하여 일정량의 옥수수가 계속 공급되게 하여 연소시킴으로서 가열된 공기를 휀에 의하여 내부로 배출시킴으로서 난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저렴한 가격의 옥수수를 이용하여 비용을 절약함과 동시에 고효율의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풍기는 전기를 이용하는 방식과 가스 또는 기름을 연료로 하는 방법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바, 상기 전자의 전기를 이용한 온풍기는 발열선을 전기를 이용하여 가열하고 가열된 발열선의 후미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열기가 전면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고가의 전기를 이용함으로서 에너지의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고가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데 비하여 열효율이 극히 저조함으로서 넓은 면적의 공간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넓은 면적에서는 여러 대의 온풍기를 사용하여야 함으로서 온풍기를 여러 대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기를 이용한 온풍기는 좁은 발열선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반사판에 의하여 반사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반사열이 멀리가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풍기를 회전시킴으로서 반사열이 다른 곳에도 미치게 함으로서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방사열 자체가 멀리 발산되지 못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한편 상기 후자의 방식은 가스나 기름을 이용할 경우 실내에서 가스나 기름이 연소됨으로서 인체에 해로운 연소가스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자주 환기를 시켜야 함으로서 열 손실이 심한 단점이 있고, 또한 온풍기 자체에 연료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부주의 할 경우 화재의 위험성을 앉고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스나 기름이 우리 나라에서는 생산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전량이 외국에서 고가로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외화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므로 국제 경쟁에서 제조단가의 상승요인으로 인하여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온풍기의 연료를 옥수수를 이용하거나 옥수수와 같은 기름이 많고 단가가 저렴한 곡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온풍기본체의 상부에 옥수수를 투입하여 보관하는 호퍼를 설치하되 호퍼의 하단부에는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옥수수가 일정량씩 화덕으로 공급되게 하는 공급부와, 공급되는 옥수수를 받아 연소시키는 화덕부및 화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연소가스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조절기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개략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옥수수 공급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평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배기 순환도를 보인 개략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의 공기압 조절기를 보인 요부 확대 평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보일러로 사용할 때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격벽 3. 연소부
4. 열풍발생부 5. 연료공급부 6. 화덕
7. 15. 휀 8. 호퍼 9. 모우터
10. 이송스크류 11. 공급관 12. 연통
13, 공기압조절부 14. 송풍관 16. 배관라인
17. 온수용탱크 18. 냉수용탱크 19. 순환펌프
연료인 옥수수를 호퍼에 투입하는 단계,
호퍼에 저장된 옥수수를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화덕으로 공급하는 단계,
화덕에 있는 옥수수를 연소시키는 단계,
옥수수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와 연소가스로 열풍발생부를 가열시키는단계,
열풍발생부를 가열시킨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단계,
가열된 열풍발생부에서 휀이 작동하여 열풍을 실내로 배출시키는 단계.
옥수수를 연소시키면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하나의 휀으로서 공기를 분리하여 배기와 흡기를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온풍기본체(1)의 내부에 다단식으로 격벽(2)을 설치하여 연소부(3)와 열풍발생부(4)및 연료공급부(5)로 분리되게 구성하되, 연소부(3)에는 화덕(6)을 설치하고, 열풍발생부(4)에는 휀(7)을 설치하여 화덕(6)에서 발생된 열기를 실내로 공급하게 하고, 연료공급부(5)에는 본체(1)의 전면 후미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호퍼(8)를 수직으로 설치하되 호퍼(8)의 하단부에는 모우터(9)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0)를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되 이송스크류(10)의 끝부분에는 공급관(11)을 설치하여 화덕(6)의 상측에 위치하게 하고, 그 일측에는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연통(12)을 설치하되 연통의 중간부에는 공기분리및 공기압조절부(13)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미 설명 부호 20은 연료공급부의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우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스위치와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휀의 속도를 조절하는 스위치 및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 휀의 속도를 조절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컨트롤박스, 21은 호퍼의 상단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뚜껑, 22는 연소부의 뚜껑, 23은 화덕의 내부에 있는 옥수수를 뒤적이거나 연소되고 난 후 재를 꺼내는 부지깽이를 보인 것이다.
상기의 공기분리및 공기압조절부(13)는 연소부에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통(12)에 송풍관(14)을 설치하되 송풍관(14)의 일측에는 휀(15)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송풍관을 2개로 분리되게 하여 하나는 연통(12)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화덕(6)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 본체(1)의 연소부(3)에 물이 흐르는 배관라인(16)을 설치하고, 본체(1)의 내부에는 온수용탱크(17)와 냉수용탱크(18)및 순환펌프(19)를 설치하여 보일러로 사용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풍기 본체(1)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뚜껑을 개폐시킨 다음 연료로 옥수수를 투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소부(3)의 화덕(6) 하단부에 밑불을 놓은 다음 컨트롤박스에 설치된 버튼을 눌러 이송스크류(10)를 작동시키면 모우터(9)에 의하여 이송스크류(10)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이송스크류(10)의 하단에 투입되어 있던 옥수수가 이송스크류(10)를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측으로 이동된 옥수수는 공급관(11)을 통하여 화덕(6)의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화덕(6)의 내부로 떨어진 옥수수는 밑불에 의하여 연소되고 그 열기와 연소가스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열풍발생부(4)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열풍발생부(4)가 가열되면 열풍발생부(4)의 일측에 설치된 휀(7)이 작동하게 되는 바, 이때 휀이 설치된 곳에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하게 되고 휀(7)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열풍발생부(4)로 공급하게 됨으로서, 온풍기 본체(1)의 중앙부 상측에 설치된 배출공을 통하여 열풍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옥수수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와 연소가스는 연소부의 상측으로 올라가 상판을 가열한 다음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연통(12)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연통에는 공기분리및 공기압조절부(13)의 송풍관(14)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휀(15)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송풍관(14)을 통하여 연통으로 분사됨으로서 송풍관이 만나는 곳 전에 있는 연통부에는 송풍관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연통에 있던 공기를 끌러 함께 배출됨으로서 고압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연소부에 있던 연소가스가 고압이 발생하는 연통으로 흡입됨으로서 온풍기에 있는 연소가스가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완벽하게 배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덕으로 떨어진 옥수수가 연소되면 연소된 재는 덩어리가 지게 됨으로 온풍기를 부지깽이를 이용하여 재를 꺼내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도 에서와 같이 본체(1) 연소부(3)에 설치된 배관라인(16)에 냉수용 탱크(18)와 연결한 다음 물을 공급하고 화덕에 옥수수연료를 공급하면 연료가 연소되면서 연소부(3)가 가열되고 이로 인하여 배관라인(16)에 있던 물이 같이 가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물은 순환펌프(19)에 의하여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 온수용탱크(17)로 모이게 되며, 온수용 탱크에 있던 물은 다시 배관을 타고 순환하여 냉수용탱크(18)로 공급되어 연소부(3)의 배관라인(16)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물이 모여 있는 온수통에는 난방용 라인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일러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체의 내부에는 보조탱크를 설치하고 온수탱크는 본체의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를 보일러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연소부나 온수통 등에 별도의 온도감지센서 등을 이용한 일반적인 안전장치 등을 설치하여 보일러가 나무 뜨거울 경우 자동으로 멈추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온풍기의 연료를 옥수수를 이용하거나 옥수수와 같은 기름이 많고 단가가 저렴한 곡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온풍기본체의 상부에 옥수수를 투입하여 보관하는 호퍼를 설치하되 호퍼의 하단부에는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크류를 설치하여 옥수수가 일정량씩 화덕으로 공급되게 하는 공급부와, 공급되는 옥수수를 받아 연소시키는 화덕부및 화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연소가스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조절기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옥수수를 연료로 이용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난방 효과를 얻을 수가 있으며, 기름기가 많은 옥수수를 연료로 함으로서 완전연소를 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체에 해로운 불완전 연소 가스를 제거함으로서 잦은 환기를 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연료의 구입으로 인한 불필요한 지출과 외화를 절감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연료인 옥수수를 호퍼에 투입하는 단계,
    호퍼에 저장된 옥수수를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화덕으로 공급하는 단계,
    화덕에 있는 옥수수를 연소시키는 단계,
    옥수수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와 연소가스로 열풍발생부를 가열시키는단계,
    열풍발생부를 가열시킨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단계,
    가열된 열풍발생부에서 휀이 작동하여 열풍을 실내로 배출시키는 단계.
    옥수수를 연소시키면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하나의 휀으로서 공기를 분리하여 배기와 흡기를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
  2. 온풍기본체(1)의 내부에 다단식으로 격벽(2)을 설치하여 연소부(3)와 열풍발생부(4)및 연료공급부(5)로 분리되게 구성하되, 연소부(3)에는 화덕(6)을 설치하고, 열풍발생부(4)에는 휀(7)을 설치하여 화덕(6)에서 발생된 열기를 실내로 공급하게 하고, 연료공급부(5)에는 본체(1)의 전면 후미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호퍼(8)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옥수수를 연료로 하되 호퍼(8)의 하단부에는 모우터(9)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0)를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되 이송스크류(10)의 끝부분에는 공급관(11)을 설치하여 화덕(6)의 상측에 위치하게 하고, 그 일측에는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연통(12)을 설치하되 연통의 중간부에는 공기분리및 공기압조절부(13)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의 작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분리및 공기압조절부(13)는 연소부에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통(12)에 송풍관(14)을 설치하되 송풍관(14)의 일측에는 휀(15)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송풍관을 2개로 분리되게 하여 하나는 연통(12)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화덕(6)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의 작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1)의 연소부(3)에 물이 흐르는 배관라인(16)을 설치하고, 본체(1)의 내부에는 온수용탱크(17)와 냉수용탱크(18)및 순환펌프(19)를 설치하여 보일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의 작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옥수수를 연료로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
KR1020010008833A 2001-02-22 2001-02-22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와 그 작동장치 KR20010044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833A KR20010044453A (ko) 2001-02-22 2001-02-22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와 그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833A KR20010044453A (ko) 2001-02-22 2001-02-22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와 그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453A true KR20010044453A (ko) 2001-06-05

Family

ID=1970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833A KR20010044453A (ko) 2001-02-22 2001-02-22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와 그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4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037B1 (ko) * 2006-06-05 2007-09-17 (주)보우엔지니어링 벽난로
KR100897831B1 (ko) * 2008-09-26 2009-05-15 유병철 펠릿 연료를 이용한 구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037B1 (ko) * 2006-06-05 2007-09-17 (주)보우엔지니어링 벽난로
KR100897831B1 (ko) * 2008-09-26 2009-05-15 유병철 펠릿 연료를 이용한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748B1 (ko) 펠렛난로
JP4912003B2 (ja) 木質ペレット燃料燃焼装置
KR101156188B1 (ko) 펠렛 난로 온풍기
JP2007232241A (ja) 木質ペレット燃料燃焼装置
KR100270921B1 (ko) 비닐하우스용 온풍기
KR101243851B1 (ko) 열 효율을 극대화시킨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0825822B1 (ko) 고체연료용 난방기의 화격자
JP3155768U (ja) 温風暖房装置
CN202141198U (zh) 秸秆颗粒锅炉
KR20100000619U (ko)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3패스 보일러
KR20010044453A (ko) 옥수수를 연료로 한 온풍기와 그 작동장치
CN203442792U (zh) 一种燃用生物质颗粒的智能锅炉
CN1240910A (zh) 具有红外气体烧烤器的电烹调炉
CN108571818A (zh) 一种高效热风炉及高效循环热风炉
JP5030111B2 (ja) 固形燃料燃焼装置の灰除去手段
RU2296920C1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KR19990066143A (ko) 갈탄 난방기
CN207422280U (zh) 一种新能源多功能集成智能应用设备
CN101363619B (zh) 一种取暖炉
KR200465794Y1 (ko) 펠릿형 난방장치
KR101625577B1 (ko) 난방굴뚝을 갖는 펠릿 난방기
KR200466626Y1 (ko) 펠릿형 난방장치
JPS6023636Y2 (ja) 給湯装置
KR200208703Y1 (ko)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JP2006003032A (ja) 暖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