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209A -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광고방법 - Google Patents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광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209A
KR20010044209A KR1020010001691A KR20010001691A KR20010044209A KR 20010044209 A KR20010044209 A KR 20010044209A KR 1020010001691 A KR1020010001691 A KR 1020010001691A KR 20010001691 A KR20010001691 A KR 20010001691A KR 20010044209 A KR20010044209 A KR 20010044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data
server
tim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경
Original Assignee
이효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5259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7247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5383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72574A/ko
Application filed by 이효경 filed Critical 이효경
Publication of KR20010044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209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광고나 배너광고 등의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전화 단말기 등의 이동전화 단말기 광고의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동전화 단말기에 MPEG4 또는 JPEG/GIF 포맷의 광고데이터(동영상광고 또는 배너광고 등)를 저장하고 재생시키는 기능을 내장시켜, 심야시간 또는 음성호 응답 대기시간 동안 광고중개 사업자 서버(이하, "Ad서버")에 접속하여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사용자가 음성호 요구(통화버튼을 누름) 또는 무선인터넷 중의 정보 요구시에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데이터를 LCD 화면에 표시하고, 음성호인 경우 상대방이 응답하거나 또는 음성사서함으로 전환될 때, 무선인터넷호인 경우에는 요구 정보가 수신 완료될 때, 즉시 LCD 화면의 광고를 사라지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호연결(음성호 또는 인터넷호)이 되었음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A mobile phone capable of reproducing advertisement data and an advertisement method using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은 동영상광고나 배너광고 등의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이동전화 단말기, PDA 등) 및 이를 이용하여 음성호(voice call) 또는 무선인터넷호의 무의미하게 기다리는 응답 대기시간 동안 이동전화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데이터를 표시해 주고, 심야시간대에 이동전화 단말기가 자동적으로 광고 서버에 접속하여 그날 재생될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로서 음성호(voice call) 이용시 응답 대기시간 동안 발신음 (ring-back tone) 대신에 음성 광고를 들려 주는 방식이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 업체의 서버에 접속하여 음성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서버 접속시 발생하는 비용 등의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통한 무선인터넷 이용시에 무선인터넷 브라우저의 특정부분을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할당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협소한 이동전화 단말기 LCD 화면의 일부분을 이용하기 때문에 광고 표시에 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음성호 응답 대기시간 동안에 음성으로 광고를 전달하는 방법은, 광고를 듣기 위해서 이동전화 단말기를 계속 귀에 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현재 이슈화되고 있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자파 유해성 논란 문제로 인해 광고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현재까지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배너광고 방법은 이동전화 단말기 LCD 크기의 제한으로 서비스 되고 있는 모델은 없으며, 단지 무선인터넷 전 단계인 단축문자메세지 서비스 (SMS)를 이용한 광고 방법이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단축문자메세지 서비스를 통한 광고 방법은 문자 방식으로 인해 광고효과가 그리 크지 않다고 여겨지고 있다.
정리하면,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는 음성 또는 단축메세지 서비스(SMS)를 통해 이루어져 왔지만, 이러한 음성 또는 문자를 통한 광고 전달 방식은 광고 전달력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기존 4대 광고 매체(TV, 라디오, 신문, 잡지)와 인터넷 온라인 광고와는 달리 광고 매체로서 크게 인정을 받지 못했다.
또한, 파일 크기가 큰 동영상 광고를 실시간(streaming)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것은 현재 이동전화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속도의 한계로 인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전화 단말기 등의 이동전화 단말기 광고의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동전화 단말기에 MPEG4 또는 JPEG/GIF 포맷의 광고데이터(동영상광고 또는 배너광고 등)를 저장하고 재생시키는 기능을 내장시켜, 심야시간 또는 음성호 응답 대기시간 동안 광고중개 사업자 서버(이하, "Ad서버")에 접속하여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사용자가 음성호 요구(통화버튼을 누름) 또는 무선인터넷 중의 정보 요구시에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데이터를 LCD 화면에 표시하고, 음성호인 경우 상대방이 응답하거나 또는 음성사서함으로 전환될 때, 무선인터넷호인 경우에는 요구 정보가 수신 완료될 때, 즉시 LCD 화면의 광고를 사라지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호연결(음성호 또는 인터넷호)이 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광고데이터 또는 배너광고데이터를 심야시간대 또는 음성호 응답 대기시간 동안 자동적으로 다운로드받아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이 저장한 동영상광고 또는 배너광고를 사용자가 음성호 시도시(또는 무선인터넷 이용중 정보 요구시)에 단말기의 LCD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시도한 것이 음성호인 경우에는 상대방이 응답하거나 또는 음성사서함으로 전환될 때, 사용자가 요청한 것이 무선인터넷호인 경우에는 요구정보가 수신 완료될 때, 즉시 LCD 화면의 광고를 사라지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호연결(음성호 또는 인터넷호)이 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3은 Ad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4는 이동단말이 심야시간 동안의 Ad서버에 접속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5는 이동단말이 타이머에 설정된 서버접속 시간에 Ad서버에 접속하여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 광고정보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6a, 6b는 이동전화 단말기로 음성통화를 이용할 때의 광고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6c, 6d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때의 광고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7은 광고관심도 평가를 위한 광고화면(a)과 광고관심도 평가화면(b)의 예시도이다.
도8은 무선인터넷 이용시에 재생되는 광고(배너광고)의 예시도이다.
개요
본 발명을 통해 이용자의 "음성호 통화" 요구시 이동전화 단말기의 CPU에서 광고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응답 대기시간 동안 메모리부에 저장된 동영상광고를 LCD 화면에 표시하고, 상대방과 호연결이 되거나 상대방 부재시 음성사서함으로 연결될 경우, LCD 화면에 표시된 동영상광고를 사라지게 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호연결이 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리고, 이동전화 단말기로 무선인터넷 이용시 이용자가 요청한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응답 대기시간 동안 메모리부에 저장된 배너광고를 LCD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전화 사용이 드문 심야시간대(00:00~06:00) 동안에 이동전화 단말기가 자동적으로 Ad서버(광고중개 사업자)에 접속하여 광고주가 의뢰한 동영상광고데이터(배너광고데이터를 포함함)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전날 재생된 광고정보(재생시간, 관심도 등)를 Ad서버로 업로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광고주가 의뢰한 광고의 광고효과 측정을 위해 시청자의 광고관심도를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광고주에게 광고에 대한 관심도 통계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는 광고주가 마케팅 정책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동단말, 이동단말기, 단말기, 이동전화 단말기 등으로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용어는 모두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광고데이터에는 동영상광고 데이터와 배너광고 데이터로 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의 광고데이터도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동전화 단말기의 구성과 작용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광고 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300)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MPEG4, JPEG/GIF 등 형식의 동영상광고 데이터(배너광고를 포함함. 이하, "광고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안테나(370), RF 모듈(315), CPU/모뎀(310)으로 구성됨. 이 데이터 송수신부는 물론 통상의 음성통화 또는 무선인터넷 모드시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도 한다. CPU/모뎀(310)의 CPU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호 시작, 호 종료 신호,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통화중 신호, 응답신호, 음성사서함 전환신호 등을 검색하는 호상태 검색수단을 포함하며, 광고재생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서 수신된 광고데이터를 재생하는 제어 역할을 한다.
- 상기 수신된 광고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320)로 구현됨. 메모리(320)에는 수신된 광고데이터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가 동작하면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를테면, 광고의 종류와 재생시작 시간, 재생종료 시간 등의 데이터이다. 차후에 설명한다.
- 사용자의 음성호 요구에 따라(또는 무선인터넷호 이용중의 정보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광고데이터를 재생가능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로 디코드하는 동영상 디코더(325)
- 디코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코덱(335)
- 상기 CPU의 지시에 의해 광고데이터를 재생 또는 종료시키는 제어부(315)
-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되어 CPU/모뎀(310)에서 복조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동영상 디코더(325)에서 디코드된 비디오 광고데이터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345)
- 제1멀티플렉서(345)에 의해 멀티플렉스된 비디오 데이터를 화면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컬러 또는 흑백 LCD(365)로 구현됨.
-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되어 복조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코덱(335)에서 변환된 오디오 광고데이터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345')
- 제2멀티플렉서(345')에 의해 멀티플렉스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리로 재생하는 음성출력부: 스피커(350)로 구현됨.
상기 구성요소 이외에 도1에서와 같이 마이크(360)와 기능입력용 키패드(355)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고 표시 기능은 두 가지로 이루어진다.
(1) 사용자가 음성호(음성통화) 시도를 하기 위해 통화 버튼을 누르면 이동전화 단말기의 CPU(310)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315)에게 메모리(320)에 저장된 광고데이터를 디코드하도록 명령한다. 이 명령을 받은 제어부(315)는 인터페이스 신호를 이용하여 메모리(320)에 있는 데이터를 읽어와 동영상 디코더(325)로 전달한다. 동영상 디코더(325)는 영상데이터를 디코드하여 LCD(365)로 보낸다. 한편, 동영상 디코더(325)에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만들기 위해 오디오 코덱(335)을 거친다. 아날로그로 변환된 음성데이터는 증폭을 위해 앰프(340)를 거쳐 제2멀티플렉서(345')에 의해 통상의 통화음성과 선택되어 스피커(350)로 출력된다.
이때, CPU(310)는 광고종류와 영상재생 시작시간(H1H2:M1M2:S1S2)을 메모리(320)에 저장하고 T1초(실제로는 약 10초 정도) 후, LCD(365)에 광고 번호로서 상기 S2를 동영상광고에 삽입한다(이는 광고관심도 평가 방법으로서 추후에 설명한다). 그리고, 통화중 신호, 상대방 응답신호, 음성사서함 전환 신호가 수신되면, CPU(310)는 제어부(315)에게 영상재생 중지 명령을 내리고 통화가 연결되었다는 문구를 LCD(365)로 출력한다. 이때, CPU(310)는 영상재생 종료시간(H3H4:M3M4:S3S4)을 메모리(320)에 저장한다.
다음에, 음성호가 종료되면 CPU(310)는 광고 평가화면을 LCD(365)로 출력하여 응답 대기시간 동안 동영상광고에 삽입되었던 광고 번호를 묻는다(도7 및 광고관심도 평가에 관한 설명 참조). 그리고, 최대 T2초 동안 입력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T2초 후 광고 평가단계를 종료하여 입력 대기상태 동안 입력된 번호와 광고 번호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광고관심도를 메모리(320)에 저장한다.
(2) 사용자가 무선인터넷호 브라우저를 활성화하여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면 이동전화 단말기의 CPU(310)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315)에게 메모리(320)에 저장된 광고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명령한다. 이 명령을 받은 제어부(315)는 인터페이스 신호를 이용하여 메모리(320)에 있는 데이터를 읽어와 동영상 디코더(325)로 전달한다. 동영상 디코더(325)는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이동전화 단말기의 LCD(365)로 보낸다. 이때, CPU(310)는 광고종류와 광고재생 시작시간(H1H2:M1M2:S1S2)을 메모리(320)에 저장한다. 그리고, 선택한 정보가 수신 완료되면 CPU(310)는 LCD(365)로 수신 완료된 정보를 출력한다(도8 참조). 이때, CPU(310)는 영상재생 종료시간(H3H4:M3M4:S3S4)을 메모리(320)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두 가지 광고 표시 기능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메뉴를 통한 광고 재시청 기능은 기 재생된 동영상(배너 포함) 광고를 재시청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용자가 메뉴를 이용하여 기재생된 광고 목록을 선택하면, CPU(310)는 제어신호를 통해 제어부(315)에게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선택된 동영상(배너 포함) 광고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명령한다. 이 명령을 받은 제어부(315)는 인터페이스 신호를 이용하여 메모리(320)에 있는 데이터를 읽어와 동영상 디코더(325)로 전달한다. 동영상 디코더(325)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이동전화 단말기의 LCD(365)로 보낸다. 한편, 동영상 디코더(325)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를 아날로그로 만들기 위해 오디오 코덱(335)을 거친다. 아날로그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증폭을 위해 앰프(340)를 거쳐 스피커(365)로 출력된다. 이때, CPU(310)는 광고 종류와 영상재생 시작시간(H1H2:M1M2:S1S2)을 메모리(320)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동영상 광고 시청중 통화 또는 인터넷 버튼을 누르면, 동영상 광고 파일에 등록된 전화번호 또는 인터넷 도메인 어드레스로 바로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CPU(310)는 음성호 종료 후 동영상 광고관심도를 평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이동전화 단말기의 이용
위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응답 대기시간 동안 재생된 동영상광고 또는 배너광고를 시청하게끔 하여 사용자에게는 광고시청에 대한 보상비용을 제공하고 광고주에게는 회원정보에 의한 타겟광고 마케팅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이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이동단말기에 의한 다운로드(광고데이터 수신) 기능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심야시간대"에 이동전화 단말기가 CPU(310)에 의해 자동적으로 무선인터넷 프로토콜(TCP/IP)로 Ad서버(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광고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나중에 시스템적으로 자세히 설명된다)에 접속하여 회원 인증을 거친 후, 회원에게 준비된 광고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메모리(320)에 저장한다. 이때, 전날 기록된 재생 광고 정보(광고 종류, 광고 재생시간, 광고관심도 등) 파일을 Ad서버로 업로드 한다.
또한 "음성호 응답 대기시간" 동안 CPU(310)는 무선인터넷으로 Ad서버와 접속하여 회원인증을 거친 후, 회원에게 준비된 광고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메모리(320)에 저장한다.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광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광고주가 의뢰한 광고를 광고중개사업자 홈페이지에 등록한 회원정보를 토대로 광고데이터를 Ad서버의 회원DB에 저장하는 단계가 선행된다. 그리고 회원의 이동전화 단말기가 무선인터넷을 통해 심야시간대(00:00~06:00)에 정해진 서버접속 시간에 자동적으로 Ad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인증과정을 거친 후, 회원DB에서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다. 심야시간동안 Ad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데이터는 회원이 무선인터넷 이용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정보가 수신완료되는 응답 대기시간 동안 광고영상으로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LCD에 표시된다. 이때, 재생된 광고의 종류와 재생시간 등의 광고정보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저장된 광고정보는 다음날 서버접속 시간에 이동전화 단말기가 Ad서버에 접속하여 그날 사용될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 것과 함께 Ad서버로 업로드된다. 그리고, Ad서버는 업로드된 광고정보에 의해 회원에게 줄 광고보상비를 산정하게 된다.
도2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동영상광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시스템은, TCP/IP 프로토콜이 내장되어 있고 무선인터넷이 가능하며 광고재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도1과 같이 구성되는 회원 이동단말기(300), 광고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망(mobile network), 인터넷망, Ad서버(광고중개사업자 서버)(200), 회원 PC(400), 그리고 광고주PC(500)로 구성된다.
도3은 Ad서버(2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일반적인 컴퓨터의 기본적인 구성 이외에, 데이터 저장장치(250)가 회원DB(255), 회원계좌DB(260), 동영상광고DB(265), 배너광고DB(270), 광고주DB(275), 광고정보DB(280)로 구성된다. 각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광고 방법을 설명할 때 설명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동영상광고 방법에 대해 개략적인 단계별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회원등록단계. 광고 서비스를 원하는 이동전화 이용자가 자신의 PC(도2의 400)를 통해 광고중개 사업자(Ad서버 운영자)의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을 하고 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전화 단말기(300)을 준비한다(신규구입 또는 업그레이드).
제2단계: 광고데이터 다운로드 단계(도4,5 참조). 이는 제1단계가 완료된 회원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CPU에 내장된 광고재생 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된 서버접속 시간에 자동적으로 무선데이터서비스를 통해 Ad서버에 접속한 후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이동전화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제3단계: 광고재생 단계(도6a 참조). 제2단계를 통해 저장된 광고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음성호 또는 무선인터넷호의 응답 대기시간 동안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이동전화 단말기의 메뉴를 통해 광고를 선택하여 이동단말기의 LCD 화면을 통해 재생되는 단계이다. 이때, 재생된 광고종류 및 재생시작시간 등의 광고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리고, 음성호인 경우 광고관심도 평가를 위해 광고 재생 중간에 임의의 번호나 문자가 화면에 표시된다(도7의 (a) 참조). 광고관심도 평가 단계는(도6b 참조) 음성호가 종료되면 상기 제3단계의 광고 중간에 표시된 광고의 번호나 문자를 묻는 단계이다(도7의 (b) 참조).
제4단계: 광고재생 종료 단계(도6a 참조). 응답 대기시간 동안, 음성호인 경우에는 상대방과 호연결이 되거나 상대방 부재시 또는 통화중일 경우 음성사서함으로 연결(이동통신망이 연결 신호를 이동전화 단말기로 송신)될 때, 무선인터넷호인 경우에는 요청한 데이터가 수신완료될 때, LCD화면에 표시된 동영상광고 또는 배너광고를 사라지게 하여 이용자가 호연결 또는 음성사서함 연결이 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재생종료시간 등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본 단계에서는 광고정보 업로드 단계(도6b 참조)가 포함된다. 이는 상기 제2단계처럼 심야시간대에 무선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여 전날 재생된 광고정보(광고종류, 재생시간, 광고관심도 등)를 자동적으로 Ad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이다.
이하, 위의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제2단계에서 이동단말기의 CPU(310)가 심야시간(00:00~06:00) 동안에 Ad서버에 접속하는 시간(이하, "Ad서버 접속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이동단말기(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거나 단말기와 Ad서버와의 접속이 종료되면[600] 메모리에 접속시간 데이터 파일이 있는지 체크한다[602]. 없다면 이동전화 단말기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전화번호나 기계 일련번호)을 seed로 한 난수를 발생하여 심야시간(00시~06시) 사이의 임의의 시간을 타이머에 세팅하여 서버접속 시간을 결정하고[604], 메모리에 접속시간 데이터 파일이 있다면 이 접속시간 데이터 파일에 있는 접속시간을 이용하여 서버접속 시간을 타이머에 세팅하여 서버접속 시간을 결정한다[603].
도5는, 상기 제2단계, 즉, 이동단말이 타이머에 세팅된 서버접속 시간에 Ad서버에 접속하여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받고 메모리에 저장된 전날의 광고정보를 업로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프로세스가 시작되면, 단말기가 사용중인 것인지 체크하여[620] 단말기가 사용중이 아니라면 TCP/IP를 이용해 Ad서버에 접속하여[622], Ad서버와 인증절차를 수행한다[624]. 인증이 되면 Ad서버로부터 광고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한다[626]. 그리고, 메모리의 광고 디렉토리의 재생정보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정보 파일을 Ad서버로 업로드한다[628]. 즉, 이동단말이 CPU(310)에 있는 광고재생 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된[604, 606] 서버접속 시간에 자동적으로 TCP/IP를 이용한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Ad서버에 접속하여[622] 인증절차를 거친 후[624],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626] 전날 광고재생시 저장된 광고정보 데이터를 Ad서버로 업로드하는 것이다[628]. 다음에, 메모리에 있는 접속시간 데이터 파일의 서버접속 시간을 이용하여 타이머에 설정한다[630].
도6a는 제3,4단계, 즉, 이동단말기에서 음성호 응답 대기시간 동안에 동영상광고를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이고, 도6b는 제5,6단계, 즉, 음성호가 종료된 후 광고관심도 평가단계를 거친 후, 서버접속 시간에 전날 저장된 광고정보(광고종류, 광고 재생시간, 광고관심도)를 Ad서버로 업로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6c는 무선인터넷 응답 대기시간 동안 광고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6a에서, 이용자(회원)가 "음성호 통화" 요구시[700], CPU(310)에 있는 광고재생 프로그램(도6a에서는 AD 프로그램으로 표기)이 실행되어[702] 메모리(320)에 저장된 광고데이터를 LCD(365)에 표시 및 스피커(350)로 출력하고 재생된 광고종류와 광고재생 시작시간을 광고정보로서 메모리(320)에 저장한다[708]. 그리고 상대방과 호연결이 되거나 음성사서함으로 연결되면[710] 이동단말(300)은 LCD에 표시된 광고를 사라지게 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상대방과 연결 또는 음성사서함에 연결되었음을 인식토록 해준다. 이때, 광고재생 종료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한다[712].
이렇게 하여 호가 종료되면[714], 도6b에서와 같은 광고관심도 평가루틴이 수행된다. 광고관심도는 회원이 음성호 응답 대기시간 동안 표시된 동영상광고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보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7의 (a)에서와 같이 광고가 표시되는 동안 임의의 시간에 임의의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고(도7에서는 "8"), 음성호가 종료된 후 광고 중간에 나타난 숫자나 문자를 물어보아(도7의 (b)) 제대로 입력하였는지에 따라 광고에 대한 관심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도6b의 716~726 단계]. 이와 같은 방법으로 광고관심도를 결정하여 저장하였으면,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정보(광고종류, 광고재생시간)를 서버접속 시간에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Ad서버에 접속하여 업로드한다[728]. 그러면, Ad서버의 회원계좌DB(260)에 이 광고정보가 저장되고 Ad서버는 회원에 대한 광고보상비를 산출하고 [730], 이 광고보상비를 회원계좌DB에 저장한다[732].
한편, 도6c,d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동단말기로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때에는[750], 이용자가 요청한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응답 대기시간 동안 메모리(320)에 저장된 배너광고를 LCD(365)에 표시하고 재생된 광고종류와 재생시작시간을 광고정보로서 메모리(320)에 저장한다[758]. 그리고 요청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광고를 사라지게 하고 무선인터넷 브라우저를 표시한다[762]. 이때, 광고재생 종료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한편, 단계 752에서 호가 종료된다면 도6d로 넘어가,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정보(광고종류, 광고재생시간)를 심야시간대에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Ad서버에 접속하여 업로드한다[764]. 그리고 나서, 회원계좌DB(260)에 광고종류와 광고시간 데이터를 저장하고 광고보상비를 산출하고 나서[766], 이 광고보상비를 회원계좌에 저장한다[768]. 도6c와 d의 기본적인 절차는 도6a,b의 경우와 유사하다. 도6a,b의 경우는 이동전화 단말기로 음성호를 이용할 때의 광고방법 절차이고, 도6c,d의 경우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의 광고방법 절차인 것이다.
다시 도2와 도3으로 돌아가면, 광고중개 사업자 Ad서버(200)는 이동통신망과 광고주(500) 사이에 위치한다. Ad서버(200)는 광고주가 원하는 광고 대상을 홈페이지를 통해 회원DB(255)에 저장된 회원정보(나이, 성별, 지역, 생활수준, 관심분야 등)에 따라서 선정하는 절차를 거쳐 회원에 대한 광고계획 프로세서(230)를 통해 미리 수립한다. 예를 들면, A 화장품 회사가 신제품을 18~24세의 미혼여성, 서울 및 5대 광역시 거주자, 한달 평균 수입 100만원 이상의 조건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광고하기를 원한다면, 회원DB(255)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대상을 추출하여 A 화장품 회사의 신제품 광고 대상으로 선정한다. 그리고 회원 이동단말이 Ad서버(200)에 접속될 때 회원 ID(단말기 번호)로 회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과정을 거친 회원의 이동단말로 미리 정해진 회원 광고계획에 따라 해당 광고데이터를 회원 단말기로 다운로드한다[도5의 626 단계].
광고정보DB(280)는 회원의 이동단말에 의해 심야시간대에 업로드된[도5의 628 단계] 광고정보(광고종류, 광고 재생시간, 광고관심도 등)를 근거로 회원에 대한 광고 보상비용을 산출하여 회원계좌DB(260)에 저장시킨다[도6b의 732].
광고중개사업자의 홈페이지는 광고 서비스를 원하는 이동전화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회원가입을 하고 회원ID를 부여 받는 곳이다. 홈페이지를 통해 등록된 회원정보(나이, 성별, 지역, 생활수준, 관심분야 등)는 Ad서버(200)의 회원DB(255)에 저장되어 이용된다.
이동전화 가입자는 회원등록 후 광고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이동전화 단말기)을 준비(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신규 단말기 구입)하여 이전과 같이 상대방 전화번호를 누르고[도6a의 700] 응답 대기시간 동안 LCD 화면의 동영상광고를 보다가[708] 광고가 사라지게 되면[712] 상대방과 통화를 하거나 음성사서함에 메세지를 남기면 된다.
한편, 무선인터넷 이용시[도6c의 750]에도 요청한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 동안 LCD 화면의 배너광고(도8 참조)를 보다가 광고가 사라지게 되면 데이터가 수신된 화면을 보면 된다. 그리고 광고를 본 댓가(광고보상비)는 Ad서버(200)에 있는 회원계좌DB(260)에 저장되어 이동전화 요금을 감면받거나 회원이 원하는 은행구좌에 입금된다. 도8은 무선인터넷 응답 대기시간 동안 재생되는 배너광고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로 광고 중개 사업자는 광고주로부터 광고를 의뢰받은 후 광고를 본 회원에게 지불하는 보상비와 광고데이터를 회원 단말기로 다운로드하기 위해 통신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망 이용료를 제외한 금액으로 수익을 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고 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는 응답 대기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동영상 광고를 보여줌으로 인해, 광고주에게는 사용자 정보에 의한 타겟광고 마케팅이 가능해지고 사용자에게는 응답 대기시간 동안의 지루함을 없애 주고 더 나아가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비용을 받을 수 있어 실질적인 통신요금 절감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한, 동영상 광고를 시청하는 응답 대기시간 동안에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자파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고 방법에 따르면 이동전화 이용자에게 음성호 또는 무선인터넷호를 위해 이동전화 이용시 응답 대기시간 동안 동영상 광고나 배너광고를 보여줌으로써 고비용인 이동전화 요금을 절약할 수 있게끔 해주며, 광고주에게는 회원 정보(나이, 성별, 지역, 생활수준, 관심 분야...)에 따라 저렴한 광고비용으로 맞춤광고를 할 수 있어 특정대상을 타겟으로 하는 타겟광고가 가능하고 광고관심도 평가를 통한 이용자의 광고관심 여부를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Feedback) 있어 높은 광고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0)

  1.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MPEG4, JPEG/GIF 등 형식의 동영상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를 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수신 및 복조된 광고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사용자의 음성호 요구에 따라 또는 무선인터넷호 이용중의 정보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광고데이터를 재생가능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로 디코드하는 동영상 디코더; 디코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코덱; 이동전화 단말기의 호 시작, 호 종료 신호,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통화중 신호, 응답신호, 음성사서함 전환신호 등을 검색하는 호상태 검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호 상태 검색 수단에 의해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재생 또는 종료시키는 제어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되어 복조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동영상 디코더에서 디코드된 비디오 광고데이터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 제1멀티플렉서에 의해 멀티플렉스된 비디오 데이터를 화면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되어 복조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코덱에서 변환된 오디오 광고데이터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 제2멀티플렉서에 의해 멀티플렉스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리로 재생하는 음성출력부로 구성되어,
    심야시간 또는 음성호 응답 대기시간 동안 광고중개 사업자 서버에 접속하여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사용자의 음성호 요구 또는 무선인터넷 이용중의 정보 요구시에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데이터를 영상출력부에 표시하고, 음성호인 경우에는 상대방이 응답하거나 또는 음성사서함으로 전환될 때, 무선인터넷호인 경우에는 요구 정보가 수신 완료될 때, 즉시 영상출력부의 광고를 사라지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호연결이 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2. 청구항 1에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는 모뎀과, 광고재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모뎀 및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3. TCP/IP 프로토콜이 내장되어 있고 무선인터넷이 가능하며 광고재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청구항 1 또는 2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전화 단말기, 광고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망, 인터넷망, Ad서버(광고중개사업자 서버), 회원 PC, 그리고 광고주PC(500)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Ad서버는 회원DB, 회원계좌DB, 광고정보DB(280)를 포함하고, 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광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제1단계: 회원등록단계로서. 광고 서비스를 원하는 이동전화 이용자가 자신의 PC를 통해 Ad서버 운영자의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을 하고 청구항 2의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준비하는 단계,
    제2단계: 광고데이터 다운로드 단계로서, 상기 제1단계가 완료된 회원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CPU에 내장된 광고재생 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된 서버접속 시간에 자동적으로 무선데이터서비스를 통해 Ad서버에 접속한 후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제3단계: 광고재생 단계로서,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저장된 광고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음성호 또는 무선인터넷호의 응답 대기시간 동안 또는 사용자가 직접 이동전화 단말기의 메뉴를 통해 광고를 선택하여 이동단말기의 영상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는 단계,
    제4단계: 광고재생 종료 단계로서, 응답 대기시간 동안, 음성호인 경우에는 상대방과 호연결이 되거나 상대방 부재시 또는 통화중일 경우 음성사서함으로 연결(이동통신망이 연결 신호를 이동전화 단말기로 송신)될 때, 무선인터넷호인 경우에는 요청한 데이터가 수신완료될 때, 영상출력부에 표시된 광고를 사라지게 하여 이용자가 호연결 또는 음성사서함 연결이 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하도록 하는 단계.
  4. 청구항 3에서, 상기 제2단계는
    단말기가 사용중인 것인지 체크하여 단말기가 사용중이 아니라면 TCP/IP를 이용해 Ad서버에 접속하여, Ad서버와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인증이 되면 Ad서버로부터 광고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5. 청구항 3 또는 4에서, 상기 제2단계의 이동단말기의 CPU가 심야시간 동안에 Ad서버에 접속하는 시간(이하, "Ad서버 접속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거나 단말기가 Ad서버와의 접속을 종료한 후 메모리에 접속시간 데이터 파일이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접속시간 데이터 파일이 없다면 이동전화 단말기의 MIN을 seed로 한 난수를 발생하여 심야시간(00시~06시) 사이의 임의의 시간을 타이머에 설정하여 서버접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메모리에 접속시간 데이터 파일이 있다면 이 접속시간 데이터 파일에 있는 접속시간을 이용하여 서버접속 시간을 타이머에 설정하여 서버접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6. 청구항 3에서, 제3단계는
    이용자(회원)가 "음성호 통화" 요구시, 이동전화 단말기의 CPU에 있는 광고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데이터를 영상출력부에 표시 및 음성출력부로 출력하는 단계,
    재생된 광고종류와 광고재생 시작시간을 광고정보로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대방과 호연결이 되거나 음성사서함으로 연결되면 이동단말은 영상출력부에 표시된 광고를 사라지게 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상대방과 연결 또는 음성사서함에 연결되었음을 인식토록 하는 단계,
    광고재생 종료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7. 청구항 6에서, 제4단계는
    전날 재생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정보(광고종류, 광고재생시간)를 서버접속 시간에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Ad서버에 접속하여 업로드하는 단계,
    업로드된 광고정보가 Ad서버의 회원계좌DB에 저장되고 Ad서버는 회원에 대한 광고보상비를 산출하여, 이 광고보상비를 회원계좌DB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8. 청구항 7에서, 상기 제4단계에
    제3단계의 음성호 응답 대기시간 동안 재생되는 광고 화면에 임의의 시간 및 위치에 임의의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호 종료 후 또는 광고 종료 후에 이동전화 단말기의 영상출력부에 상기 광고 중간에 나타난 임의의 숫자나 문자를 묻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나 문자가 일치하는지 평가하여 광고관심도를 결정하는 광고관심도 평가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9. 청구항 8에서, 상기 광고정보에는 결정된 광고관심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10. 청구항 5에서, 제3단계는
    이용자(회원)가 "무선인터넷호" 요구시, 이동전화 단말기의 CPU에 있는 광고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이용자가 요청한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의 응답 대기시간 동안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를 영상출력부에 표시하는 단계,
    재생된 광고종류와 광고재생 시작시간을 광고정보로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요청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동단말은 영상출력부에 표시된 광고를 사라지게 하고 무선인터넷 브라우저에 수신된 정보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호가 종료된다면,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정보(광고종류, 광고재생시간)를 서버접속 시간에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Ad서버에 접속하여 업로드하는 단계,
    회원계좌DB에 광고종류와 광고시간 데이터를 저장하고 광고보상비를 산출하고 나서, 이 광고보상비를 회원계좌에 저장하는 단계,
    광고재생 종료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20010001691A 2000-09-06 2001-01-12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광고방법 KR200100442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593 2000-09-06
KR1020000052593A KR20000072474A (ko) 2000-09-06 2000-09-06 동영상 광고 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KR1020000053836 2000-09-09
KR1020000053836A KR20000072574A (ko) 2000-09-09 2000-09-09 유·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09A true KR20010044209A (ko) 2001-06-05

Family

ID=2663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691A KR20010044209A (ko) 2000-09-06 2001-01-12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광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20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89A (ko) * 2001-05-11 2001-07-25 이돈 화상통신 단말기에 대한 광고시스템
KR20020090353A (ko) * 2002-08-23 2002-12-02 김용호 네트워크상의 영상 광고물을 통한 통신 단말기 사용료 할인
KR20030037091A (ko) * 2001-11-02 2003-05-12 박재윤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0397290B1 (ko) * 2001-04-11 2003-09-06 (주) 엘지텔레콤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100470174B1 (ko) * 2001-12-11 2005-02-05 (주)이미지쇼크 광고 데이터가 포함된 캐릭터의 무선 전송 방법 및 그기록매체
WO2008120944A1 (en) * 2007-04-02 2008-10-09 Sk Networks Co., Ltd. Method of gathering mobile advertisement use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gathering mobile advertisement use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1051458B1 (ko) * 2008-07-02 2011-07-22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통화 협상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발착신 가입자에게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290B1 (ko) * 2001-04-11 2003-09-06 (주) 엘지텔레콤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20010069789A (ko) * 2001-05-11 2001-07-25 이돈 화상통신 단말기에 대한 광고시스템
KR20030037091A (ko) * 2001-11-02 2003-05-12 박재윤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0470174B1 (ko) * 2001-12-11 2005-02-05 (주)이미지쇼크 광고 데이터가 포함된 캐릭터의 무선 전송 방법 및 그기록매체
KR20020090353A (ko) * 2002-08-23 2002-12-02 김용호 네트워크상의 영상 광고물을 통한 통신 단말기 사용료 할인
WO2008120944A1 (en) * 2007-04-02 2008-10-09 Sk Networks Co., Ltd. Method of gathering mobile advertisement use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gathering mobile advertisement use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1051458B1 (ko) * 2008-07-02 2011-07-22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통화 협상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발착신 가입자에게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422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mer engagement and revenue optimization
BRPI0611488A2 (pt) sistema e método para propaganda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CA2968482A1 (en) Telecommunications call augmentation system
KR19990084087A (ko) 사용자에 적응적인 광고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
US89044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LAN service using rental digital television
US201101129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by using text messages
KR20130111912A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광고 시스템
KR20010044209A (ko) 광고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광고방법
KR10074428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광고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4230A (ko) 문자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72474A (ko) 동영상 광고 재생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KR20030037091A (ko)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WO2016079539A1 (en) Telecommunications call augmentation system
KR20170047991A (ko) 통화 연결음을 이용한 광고관리서버
JP7021297B2 (ja) サー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33734B1 (ko) 통화 연결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기
JP4251288B2 (ja) コマーシャル表示機能付きテレビ電話システム及び通信料金割引方法
WO2023218609A1 (ja) 広告配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45372A (ko) Dmb 광고 방송에 링크된 웹 서버의 상세 정보를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
KR20010000911A (ko) 캐릭터를 휴대폰에 따운 받아 새로운 뉴스, 일기예보,스포츠나 광고 등의 정보와 게임을 서비스하는 방법.
KR100611116B1 (ko) 방송 중에 재생되는 음원을 컨텐츠 서비스 음원으로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10096693A (ko) 브이엠 및 스트리밍 기술을 응용한 모바일 동영상광고
KR2006005464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37911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030061472A (ko)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엔터테인먼트 이벤트의 광고방법 및 그 이벤트의 예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