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115A - 다기능 복합 단말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복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115A
KR20010044115A KR1020000063553A KR20000063553A KR20010044115A KR 20010044115 A KR20010044115 A KR 20010044115A KR 1020000063553 A KR1020000063553 A KR 1020000063553A KR 20000063553 A KR20000063553 A KR 20000063553A KR 20010044115 A KR20010044115 A KR 20010044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욱
Original Assignee
손욱
케이스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케이스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20000063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115A/ko
Publication of KR2001004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1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2Pag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과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하나의 단말기 내에 함께 내장한 다기능 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일방향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과,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하나의 단말기에 구현하고, 두개의 무선모듈을 적절히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방향 데이터 전송의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과; 양방향 데이터 전송의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과; 상기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과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제어하여, 단일방향 또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기능 복합 단말기{Multi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과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하나의 단말기 내에 함께 내장한 다기능 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은 무선호출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무선호출시스템은 협대역으로 여러사람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당히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상기 무선호출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는 일종의 방송으로 특정지역에 동일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가입자는 이렇게 방송된 무선호출신호로부터 특정한 주소만을 선택하여 수신하게 된다.
상기 무선호출시스템은 FLEX 고속 페이징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삐삐와 같은 호출장치 및 호출자가 남긴 음성메시지를 압축, 부호화하여 고속으로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등의 음성페이징 서비스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단말기는, 무선휴대전화기를 시리얼 케이블로 연결하거나 무선 모듈을 단말기 내부에 내장하여 필요한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단말기는, 양방향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통신망용 무선 모듈은 CDMA 셀룰러 방식이나 PCS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인터넷 검색, E-mail 전송, 위치정보전송 및 증권거래 정보 전송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망용 무선 모듈은, 양방향의 정보 전송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보량이 작고, 신속한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은 무선모듈을 이용하고 있는 종래의 경우는 상기 무선호출망용 무선 모듈을 이용한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용 무선 모듈을 이용한 단말기가 독립적으로 구현되고 있다. 즉,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은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호출시스템으로만 이용되고,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은 이동통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으로만 이용하였던 것이다.
한편, 상기 무선호출시스템에 이용된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은, 단일방향의 정보 전송을 수행하기 때문에, 다수의 사용자에게 많은 정보를 동시에 보낼때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된다. 즉, 데이터를 수신만 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경우의 단말기에 있어서는 상기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는, 증권정보 전용 단말기 정도이며, 실제로 주기적으로 데이터의 수신을 필요로 하는 여러 분야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된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은, 양방향의 정보 전송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보량이 작으면서 신속함을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된다. 즉,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해야 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경우의 단말기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시판되고 있는 단말기의 경우는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과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이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의 장점과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의 장점을 적절하게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테면,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을 이용하여 일정주기로 변화하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수신하는 것이 효율적인데도 불구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이용하여 일정주기로 변화하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수신하는 것에 이용하는 등, 단말기가 매우 비경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대량의 단일방향 정보 및 일정주기로 반복해서 전송되는 정보는 무선호출망을 사용하여 전송되어 수신되도록 하고, 소량의 데이터나 시간적으로 긴급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경우는 이동통신망을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망 무선모듈과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을 결합하여 하나의 단말기로 구현하고 있는 다기능 복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무선호출수신부 110 : 이동통신송수신부
120 : 단말기 제어부 13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단말기는, 단일방향 데이터 전송의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과; 양방향 데이터 전송의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과; 상기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과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제어하여, 단일방향 또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은, 일정주기로 반복해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은,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른 거래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단말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단말기는 무선호출망(22)을 제어, 감독하는 무선호출사업자(20)와 이동통신망(26)을 제어, 감독하는 이동통신사업자(24)에게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무선호출사업자(20)에는 무선호출망(22)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단말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제공자들이 등록된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호출망(22)을 통한 정보제공자들로서, 증권시세정보, 증권뉴스정보를 제공 가능한 증권거래소(10)와; 경마 일정정보, 경마 결과정보, 경주마정보 등을 제공 가능한 마사회(23)와; 도로 소통정보, 도로 유고정보 등을 제공 가능한 교통정보회사(14)를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사업자(24)에는 이동통신망(26)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단말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제공자들이 등록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망(26)을 통한 정보제공자로서, 증권거래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증권회사(16)와, 기타 업무용 데이터 등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하는 각종 물류회사(18)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무선호출망(22)을 이용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제공자들이 제공하는 정보는 무선호출사업자(20)를 거쳐서 무선호출정보로 압축, 코드화 된 후, 무선호출망(22)을 통해서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단말기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26)을 이용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제공자들이 제공하는 정보는 이동통신사업자(24)를 거쳐서 압축, 코드화된 후, 이동통신망(26)을 통해서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단말기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단말기는 상기 무선호출망(22)으로 전송되는 무선호출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호출수신부(28)와, 상기 이동통신망(26)과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송수신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단말기는, 상기 무선호출수신부(28)와 이동통신송수신부(30)를 제어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송신할 데이터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제어부(32)의 제어하에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칼라 LCD(34),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스피커(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선택에 의한 각종 데이터 및 키신호를 입력하는 터치패드(36) 및 기능키(38)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부호 42는 데이터 저장부이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32)의 제어하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송신될 데이터를 저장하며, 그리고 부호화된 데이터의 내용을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통신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단말기로 제공되어진다.
먼저 무선호출망(22)을 이용하는 무선호출 정보 전송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증권거래소(10)에서는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는 증권 시세정보, 증권 뉴스정보 등을 무선호출사업자(2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마사회(12)에서는 경마일정정보, 경마 결과정보, 경주마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무선호출사업자(20)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교통정보회사(14)도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도로 소통정보, 도로 유고정보 및 생활정보 등을 상기 무선호출사업자(20)에게 전송한다.
상기 무선호출사업자(20)는 상기 증권거래소(10), 마사회(12), 교통정보회사(14) 등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정보를 입력하고, 무선호출 전송이 가능한 무선호출정보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정보를 무선호출망(22) 상에 전송시킨다.
상기 무선호출망(22)에 전송되는 각종 정보는 다기능 복합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때, 각각 다기능 복합 단말기는, 무선호출수신부(28)를 통해서 상기 무선호출망(22)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 후, 단말기 제어부(32)에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 제어부(32)는 입력된 무선호출정보들을 데이터 저장부(42)에 저장시키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서 선택된 정보를 칼라 LCD(34)에 표시시키거나 또는 스피커(40)를 통해서 음성으로 제공한다.
다음은 이동통신망(26)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정보 송수신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호출망(22)을 통해서 각종 증권정보 및 경마정보를 인식한 사용자는 그에 따라서 어떤 대응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실시간 증권정보를 확인하고, 증권거래에 따른 각종 정보를 증권회사 측으로 송신할 수가 있으며, 거래 결과에 따른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을때,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다. 또한 실시간 경마정보에 대해서도 마권거래에 따른 정보를 마사회 측으로 송신할 수가 있으며, 거래 결과에 따른 확인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을때,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요구된다.
이런 경우에 사용자는 칼라 LCD(34)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서 터치패드(36) 또는 기능키(38)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이렇게 해서 입력된 정보는 단말기 제어부(32)에 입력되고, 상기 단말기 제어부(32)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이동통신송수신부(30)를 통해서 이동통신망(26)에 전송시킨다.
상기 이동통신망(26)으로 전송된 정보는 이동통신사업자(24)를 통해서 증권회사(16) 및 마사회에 해당 정보가 전송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거래가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거래가 이루어진 확인 결과가 다시 증권회사(16)나 마사회 측에서 이동통신망(26)을 통해서 다기능 복합 단말기로 전송되어진다. 이때의 전송정보로 사용자는 자신이 요구한 거래가 행해졌음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단말기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무선호출망(22)을 통해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호출수신부(100)는, 상기 무선호출망(22)을 통해 전송되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한 후, 처리가 가능한 내부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접속부(10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접속부(104)에서 출력되는 무선호출정보 중에서 설정되고 있는 코드의 정보만을 추출하여, 이를 데이터로 변환한 후 단말기 제어부(120)로 전송하는 디코더부(102)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망(26)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송수신부(110)는, 주변의 가장 가까운 기지국과 무선 채널을 설정하고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이동통신망(26)을 통해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접속부(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신제어부(114)와, 송신될 신호의 부호화를 수행하는 송신제어부(116)를 포함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22)와,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음성저장부(128), 음성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처리부(126)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제어부(124)는, 상기 디코더부(102)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나 상기 수신제어부(114)를 통해서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122)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를 칼라 LCD(132)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124)는, 상기 칼라 LCD(132)의 표시 내용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한 경우, 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 패드(134)나 기능키(136)를 이용하여 요구사항을 입력하면, 입력한 요구사항을 인식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전송이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송수신부(110)의 송신제어부(116)를 통해서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음성저장부(128)에 저장된 음성을 음성처리부(126)에서 문장으로 조합하는 것을 제어하고, 조합된 문장이 스피커(138)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단말기는, 전화번호부 기능, 간단한 문서 작성 기능, E-mail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전자사전 기능 등을 포함시켜서 구성한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각종 기능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100)은, 도로 소통정보, 도로 유고정보, 생활정보, 증권 시세정보, 증권 뉴스정보, 경마 일정정보, 경마 결과정보, 경주마정보, 기타 단일방향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에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110)은, 인터넷 검색, E-mail 전송, 위치정보 전송, 증권거래 정보전송, 경마실황정보, 마권발권, 경마계좌 관리, 기타 업무용 데이터 등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다.
우선, 증권정보 단말기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증권정보 단말기 기능은, 각종 지수조회, 증권거래, 뉴스 및 정보 검색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수조회기능은,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을 이용한다.
즉, 증권거래소(10)에서 실시간적으로 제공되는 종합주가지수, 코스닥지수, 선물지수 등은 다기능 복합 단말기에서 수신만 이루어지면 된다. 따라서 상기 증권거래소(10)에서 실시간적으로 제공되어 무선호출망(22)을 통해 무선호출수신부(100)에 수신된 데이터는, 디코딩된 후, 중앙제어부(124)의 제어하에 데이터 저장부(122)에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칼라 LCD(132)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서 특정 종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종목에 해당하는 현재가, 주가변동상황, 거래량 등의 각종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22)에서 읽어와서 칼라 LCD(132)에 표시시킨다.
이와 마찬가지로, 증권정보에 대한 뉴스 및 정보 검색 기능도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을 이용한다.
증권거래소(10)에서 실시간적으로 제공되는 각종 증권관련 뉴스 및 전문가 추천종목, 외국인 동향정보 그리고 해외 증시 정보, 기업공시정보, 시황분석정보 등은 다기능 복합 단말기에서 수신만 이루어지면 된다. 따라서 상기 증권거래소(10)에서 실시간적으로 제공되어 무선호출망(22)을 통해 무선호출수신부(100)에 수신된 데이터는, 디코딩된 후, 중앙제어부(124)의 제어하에 데이터 저장부(122)에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칼라 LCD(132)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서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뉴스가 데이터 저장부(122)에서 읽어져서 칼라 LCD(132)에 표시된다.
그러나 증권거래 기능은 양방향 데이터 송수신을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 증권거래 기능은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이용한다.
증권회사 등에서 제공되는 거래 가능 정보가 이동통신망(26)을 통해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칼라 LCD(34)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서 터치패드(134)와 기능키(136)를 이용하여 원하는 종목의 매입/매도 또는 계좌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가 거래정보를 입력하면, 중앙제어부(124)는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통해서 해당하는 증권회사와 접속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거래정보를 송수신한다.
다음은 경마정보 단말기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경마정보 단말기 기능은, 경마 일정조회, 실황조회, 결과 조회, 마권발권, 계좌관리, 경주마 정보 검색 등의 기능이 포함된다.
이 중에서 경마 일정조회 및 결과 조회, 경주마 정보 검색 등의 기능은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을 이용해서 수신한다. 즉, 마사회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정보는 무선호출망(22)을 통해서 무선호출수신부(100)로 수신된다. 이렇게 수신된 무선호출정보는 중앙제어부(124)의 제어하에 데이터 저장부(122)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후 사용자가 날짜별 경마 일정을 조회하고자 할때나, 수신된 경마 결과를 알고자 할때, 그리고 수신된 경주마 관련정보를 원할때, 칼라 LCD(132)에 표시시킨다. 이때의 제어도 상기 중앙제어부(124)의 제어하에 사용자 요구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또한, 경마 실황조회, 마권발권 기능, 계좌관리 기능 등은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통해서 수행된다. 즉, 사용자 요구에 따라서 마사회와 접속이 이루어진 후, 경마가 실제 행해지고 있는 실황정보가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통해서 수신되어져 LCD에 표시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마권발권기능 및 계좌관리기능은, 사용자 요구에 따라서 마사회와 접속이 이루어지고, 계정확인 절차를 거친 후에 마권구매, 계좌관리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어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요구정보 및 마권구매, 계좌관리에 따른 동작이 마사회와 사용자 간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양방향 전송이 필요하고, 따라서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이용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다.
그 하나가 업무용 단말기 기능이다. 상기 업무용 단말기 기능은, 사용자가 직접 응용 프로그램 개발도구(SDK : Software Development Kit)를 사용하여 자신의 업무용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보험회사의 고객관리, 보험설계 도는 제조회사의 자재관리, 출하관리 등)할 수 있으며, 이 기능을 통해 단말기를 사용한 모빌 오피스(Mobile Office)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다.
전화번호부 기능은, 사용자가 LCD(132)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서 터치패드(134)나 기능키(136)를 사용하여 각종 정보(이름, 전화번호, 주소, 기타 등)을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22)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검색, 수정, 삭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문서작성 기능은, 사용자가 LCD(132)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서 터치 패드(134)나 기능키(136)를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작성된 문서를 데이터 저장부(122)에 저장한 후, 사용자 요구에 따라서 검색, 편집, 삭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사전 기능은, 데이터 저장부(122)에 저장되어 있는 사전(영-한, 한-영 등 기타)을 사용하여 LCD(132)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서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여 검색하고, 그 결과를 LCD(132)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E-mail 기능은, 단말기에 내장된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사용하여 해당 E-mail 서버에 접속한다. 그리고 계정 확인 절차를 거친 다음에 단말기에서 작성한 메일을 송신하거나 수신한 메일을 받고, 주소록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넷 검색기능은, 구비된 웹 브라우져를 사용하여 단말기에 내장된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통해 해당 인터넷 서버에 접속한다. 그리고 계정확인 절차를 거친 후, LCD와 터치패드, 기능키 등을 이용하여 웹 검색 기능을 수행한다.
PC-Sync 기능은, 단말기를 사용자 PC의 COM 포트와 시리얼 케이블로 연결하여,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 문서, E-mail 주소록 등의 정보를 PC로 전송하거나 PC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수신하여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류정보 단말기 기능은 소통정보 제공, 유고정보 제공, 생활정보 제공, 위치추적, 카 네비게이션, 최적경로 검색, 운행관리 등이 있다.
상기 소통정보 제공 기능은, 단말기에 내장된 무선호출망용 무선 모듈(100)을 사용하여 소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그리고 이를 데이터 저장부(122)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LCD(132)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서 특정 구역이나 도로 또는 구간을 지정하면, 해당정보를 스피커(138)를 통해서 음성(소통원활, 지체, 정체 등)으로 제공한다.
상기 소통정보가 음성으로 제공될때, 중앙제어부(124)는, 음성저장부(128)에 미리 저장되고 있는 각종 단어들을 읽어와서 음성처리부(126)에서 도로명과 구간명 및 소통정보에 따른 문장으로 구성하여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LCD에 표시된 메뉴에서 지도 표시를 선택한 경우는, LCD에 선택 구역의 지도를 표시하고, 지도상의 도로에 소통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상기 유고정보기능은, 단말기에 내장된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100)을 사용하여 도로상에 발생한 각종 사고, 공사, 통제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그리고 이것을 LCD(132)에 표시하거나 TTS에 의한 음성합성방법으로 음성으로 제공한다.
생활정보기능은, 단말기에 내장된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100)을 사용하여 각종 정보(뉴스, 날씨 등)를 수신한다. 이렇게 수신된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122)에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LCD(132)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서 정보를 요구할 경우에 해당정보를 LCD(132)에 표시시키거나 음성신호로 제공한다.
위치추적 기능은, 단말기에 내장된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110)를 사용한다. 즉, 현재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물류센터로 전송하면, 상기 물류센터에서는 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의 시리얼 포트에 외부 GPS 모듈을 연결하면, 더욱 정확한 위치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최적경로 검색기능은, 사용자가 LCD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단말기에 내장된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100)이 수신한 각 도로의 소통상태를 참조하여 최적 경로를 탐색해서 LCD에 표시시켜준다.
카 네비게이션 기능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의 지도를 LCD에 표시하고 단말기에 내장된 무선호출망용 무선 모듈(100)로 수신한 도로의 소통정보를 소통상태별로 지도의 도로 위에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차량의 현재 위치 결정은 단말기에 내장된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이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를 사용한다. 출발지와 목적지를 사용자가 입력하면, 최적 경로가 탐색되어, 진행방향에 따라 음성으로 제공된다.
운행관리 기능은, 사용자가 LCD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서 목적지, 출발시간, 도착시간, 운행거리 등을 입력하고 관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단일방향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과,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하나의 단말기에 구현하고, 두개의 무선모듈을 적절히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복합 단말기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많은 정보를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동시에 보내는 경우에는 단일방향의 무선호출망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변하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수신해야 하는 경우에 데이터 전송비용이 저렴한 무선호출망을 이용하므로서 경제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복합 단말기는, 신속한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 경우에 양방향의 이동통신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증권거래, 마권거래와 같이 실시간적인 대응을 필요로 하는 것에 빠르게 처리가 가능하여, 시간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복합 단말기는, 무선호출망과 이동통신망을 같이 하나의 단말기로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단일방향 데이터 전송의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과;
    양방향 데이터 전송의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과;
    상기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과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을 제어하여, 단일방향 또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기능 복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망용 무선모듈은, 일정주기로 반복해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용 무선모듈은,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른 거래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단말기.
KR1020000063553A 2000-10-27 2000-10-27 다기능 복합 단말기 KR20010044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553A KR20010044115A (ko) 2000-10-27 2000-10-27 다기능 복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553A KR20010044115A (ko) 2000-10-27 2000-10-27 다기능 복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115A true KR20010044115A (ko) 2001-06-05

Family

ID=1969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553A KR20010044115A (ko) 2000-10-27 2000-10-27 다기능 복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1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837B1 (en) * 2001-09-18 2002-11-29 Hanvit Information Technology Pda case system for easily performing telephone cal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020A (ja) * 1996-01-01 1997-09-05 Nokia Mobile Phones Ltd 使用者により作動されるページャーモードを有する移動端末
KR19990010659A (ko) * 1997-07-18 1999-02-18 윤종용 스마트폰에서 페이저 모듈을 내장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기와 페이저 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무선 송, 수신방법
US6055440A (en) * 1996-09-19 2000-04-25 Nec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00043362A (ko) * 1998-12-26 2000-07-15 남철우 호출기가 부설된 특징의 휴대용 전화기
KR20010049224A (ko) * 1999-11-18 2001-06-15 뉴먼 에드워드 개인용 통신 장치
KR20010104076A (ko) * 2000-05-12 2001-11-24 송문섭 Cdma 단말기에서의 무선 호출기 기능을 가진 송/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020A (ja) * 1996-01-01 1997-09-05 Nokia Mobile Phones Ltd 使用者により作動されるページャーモードを有する移動端末
US6055440A (en) * 1996-09-19 2000-04-25 Nec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KR19990010659A (ko) * 1997-07-18 1999-02-18 윤종용 스마트폰에서 페이저 모듈을 내장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기와 페이저 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무선 송, 수신방법
KR20000043362A (ko) * 1998-12-26 2000-07-15 남철우 호출기가 부설된 특징의 휴대용 전화기
KR20010049224A (ko) * 1999-11-18 2001-06-15 뉴먼 에드워드 개인용 통신 장치
KR20010104076A (ko) * 2000-05-12 2001-11-24 송문섭 Cdma 단말기에서의 무선 호출기 기능을 가진 송/수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837B1 (en) * 2001-09-18 2002-11-29 Hanvit Information Technology Pda case system for easily performing telephone c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7657B2 (e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to send and receive voice data positioning information
US7245926B2 (en) Multimedia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quiry download service
US7248884B2 (en) Position data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email communications
US6674849B1 (en) Telephone providing directions to a location
CN100460817C (zh) 通过移动终端输入目的地数据的方法
CA2437706A1 (en) Mobi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
US200901765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Data Between A User And A Data Provider
US20040162674A1 (en) Voice interaction for location-relevant mobile resource management
CN101261626B (zh) 公共交通工具运行信息的远程查询系统及其服务器和方法
CN101965725B (zh) 向蜂窝无线手机的网络浏览器提供统一资源定位符的方法、蜂窝无线手机、系统及计算机程序产品
KR20060006992A (ko)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정보 및 길 안내 정보 제공 방법.
CN1327726C (zh) 用于移动通信终端的基于位置的消息传送方法
US200901773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Positional Information
KR20010044115A (ko) 다기능 복합 단말기
KR19990068737A (ko) 고객맞춤형의주식정보실시간주가전송서비스방법
KR100665818B1 (ko) 위치정보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를이용한 인스턴트 메세징 시스템
KR20010103357A (ko) 지역 종합정보 제공 시스템
KR100644027B1 (ko) 텍스트 기반의 음성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30068059A (ko) 교통 정보 제공 방법
JP2006512631A (ja) データ変換/伝送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20084367A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여행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0213949A (ja) 携帯型電話機によるナビゲ―ションシステム
KR20000054617A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56914Y1 (ko) Ars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시스템
JP2003178394A (ja) 配車車両選択システム、配車車両選択方法、配車車両選択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