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990A - 광 파장을 스위칭하는 방법 및 파장 선택 스위칭 - Google Patents

광 파장을 스위칭하는 방법 및 파장 선택 스위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990A
KR20010043990A KR1020007014635A KR20007014635A KR20010043990A KR 20010043990 A KR20010043990 A KR 20010043990A KR 1020007014635 A KR1020007014635 A KR 1020007014635A KR 20007014635 A KR20007014635 A KR 20007014635A KR 20010043990 A KR20010043990 A KR 20010043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wavelength
wavelength selective
selective cross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우구스트손토르스텐
Original Assignee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Publication of KR2001004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9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diffraction, e.g. grating
    • G02B6/29316Light guides comprising a diffractive element, e.g. grating in or on the light guide such that diffracted light is confined in the light guide
    • G02B6/29317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7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5Mach-Zehnder configuration, i.e. comprising separate splitting and combining means
    • G02B6/29352Mach-Zehnder configuration, i.e. comprising separate splitting and combining means in a light guide
    • G02B6/29355Cascade arrangement of interfero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79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use of the complete device
    • G02B6/2939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use of the complete device configurable, e.g. tunable or reconfigur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31Digital deflection, i.e. optical switching
    • G02F1/313Digital deflection, i.e. optical switching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 G02F1/3136Digital deflection, i.e. optical switching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of interferometric switch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5Mach-Zehnder configuration, i.e. comprising separate splitting and combining means
    • G02B6/29352Mach-Zehnder configuration, i.e. comprising separate splitting and combining means in a light guide
    • G02B6/29353Mach-Zehnder configuration, i.e. comprising separate splitting and combining means in a light guide with a wavelength selective element in at least one light guide interferometer arm, e.g. grating, interference filter, resona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grating
    • G02F2201/307Reflective grating, i.e. Bragg gr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5Function characteristic wavelength 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07Construction
    • H04Q2011/0022Construction using fibre gr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파장 채널을 스위칭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 파장 채널은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1 측면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도파관에 삽입된다. 그 결과, 파장 채널은 상기 다중 모드 도파관(10)을 통해 송신되고, 대향하는 측면상에 제공된 적어도 두개의 접속 도파관상에서 투사된다. 그 결과, 광 파장 채널은 접속 도파관을 통해 송신된다. 각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4,6,8)에 대해, 위상은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4,6,8)의 제1 측면상의 제1 및 제2 접속 도파관에 배치된 두개의 위상 제어 소자(C1,C2,D1,D2,E1,E2,F1,F2)의 반사하는 파장에 대해 변화되는 동시에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2 측면에서와 같이, 상기 반사 파장 위상은 비교적 변화되지 않고 유지된다. 각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4,6,8)에 대해, 위상은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4,6,8)마다 제1 및 제2 방향으로 파장을 1회 송신하기 위해 변화된다. 제2 다중 모드 도파관(20)의 제1 측면상에 제공된 각 액세스 도파관에서 광 신호 사이의 위상 차는 광 신호가 대향하는 측면상에서 집중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Description

광 파장을 스위칭하는 방법 및 파장 선택 스위칭{METHOD AND WAVELENGTH SELECTIVE SWITCHING FOR SWITCHING OPTICAL WAVELENGTHS}
기존의 광 네트워크상에 용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상이한 공지된 방법이 있다. 하나의 방법은 광 네트워크에서의 광 섬유에 사용 가능한 대역폭 접속의 작동도를 개선시키는 소위 파장 분할 다중화(WDM)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네트워크의 융통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광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의 재설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트랙픽을 재설정하는 상기 장치는 가능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에 적합하고 네트워크가 중단될 때에도 또한 적합하다. 각 파장 채널에 대해 개별적으로 재설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파장 선택 스위치가 요구된다.
Y.Hibino 등에 의한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with Photoinduced Bragg Gratings Fabricated in a planar Lightwave Circuit Type Asymmetric Mach Zehnder Interferometer on Si" (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s, Vol.8, No.1, January 1996, 99 84-86)에는, 브래그-격자 및 위상 제어 소자가 마하 젠더(Mach Zehnder) 간섭계에서 사용되는 광 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제출된 출원은 파장 분할 다중화 및 파장 분할 역다중화이다.
그러나, 전술된 스위치는 파장 선택 스위치로서 사용될 수 없다. 전술된 장치가 더 많은 채널의 애드/드롭(add/drop)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다수의 장치는 조정된 애드/드롭 쌍의 수에 동일하도록 요구된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비교적 재구성하기가 어렵다. 즉, 융통성이 없다.
파장 선택 스위치에 관하여 전술된 기술이 갖는 문제점은 큰 전력 손실 및 고비용을 발생시키는 매우 큰 복잡한 구조 또는 여러가지 구성부품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광학적인 파장 선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파장 채널이 다른 파장 채널에 분리 및 독립적으로 재설정될 수 있는 광 네트워크에서 파장 채널을 재설정하는 파장 선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광 네트워크에서의 파장 채널을 재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파장 선택 스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소위 MMIBg-원리에 기초하여 대칭 애드/드롭(add/drop)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광 송신 시스템에서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상이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장 분할 다중화에서, 송신 채널은 상이한 반송 파장상에서 정보 흐름으로 또는 정보 흐름으로부터 다중화 및 역다중화된다. 상기 다중화 및 역다중화는 광학적 파장 선택 장치를 요구한다. 각 파장 채널에 대해 개별적으로 광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위칭할 목적으로, 구성부품은 파장 선택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공지된 파장 선택 스위치가 갖는 하나의 문제점은 이들이 큰 전력 손실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공지된 파장 선택 스위치가 갖는 또 다른 문제점은 공지된 파장 선택 스위치가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갖고, 모든 공지된 경우에서 비교적 수 많은 상이한 구성부품을 갖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공지된 파장 선택 스위치가 전술된 복잡한 구조 및 포함된 구성부품의 수에 기초하여 제조하는데 비교적 고가라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의 다중 모드 도파관, 적어도 하나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 적어도 두개의 위상 제어 소자 및 적어도 네개의 접속 도파관을 포함하는 파장 선택 스위치의 수단에 의해 문제점을 해결한다.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는 제1 및 제2 다중 모드 도파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에는 제1 측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도파관 및 제2 측면상에 적어도 두개의 액세스 도파관이 제공되고, 상기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에는 제1 측면상에 적어도 두개의 액세스 도파관 및 제2 측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도파관이 제공된다.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는 제1 및 제2 측면상에 적어도 두개의 액세스 도파관이 제공된다.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서,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2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은 제1 접속 도파관을 통해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1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에 배치되고,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2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은 제2 접속 도파관을 통해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2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에 배치되고,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1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은 제3 접속 도파관을 통해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1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에 배치되고,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2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은 제4 접속 도파관을 통해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1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에 배치된다.
위상 제어 소자는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측면중의 하나상의 접속 도파관에 배치된다.
교차 접속 구조에서, 광 신호에서의 각각의 특별한 파장용의 두개의 상이한 소위 마하 젠더 경로가 있다. 제1 마하 젠더 경로는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2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으로부터 제1 및 제4 접속 도파관을 통하고, 교차 접속 구조를 통해 송신되는 파장용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를 통해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1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까지 이른다.
제2 마하 젠더 경로는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2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으로부터 제2 및 제3 접속 도파관을 통하고, 교차 접속 구조를 통해 송신되는 파장용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를 통해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1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까지 이른다.
제3 마하 젠더 경로는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2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으로부터 제1 및 제3 접속 도파관을 통하고, 교차 접속 구조에 의해 반사되는 파장용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를 통해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1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까지 이른다.
제4 마하 젠더 경로는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2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으로부터 제2 및 제4 접속 도파관을 통하고, 교차 접속 구조에 의해 반사되는 파장용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를 통해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1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까지 이른다.
어떤 교차 접속 구조에서 반사되는 파장 즉, 전술된 바와 같은 제3 및 제4 마하 젠더 경로를 통해 이르는 파장만이 활성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마하 젠더 경로는 본 발명에 따르는 파장 선택 스위치 소자에서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동일하다.
따라서,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대해, 교차 접속 구조에 의해 반사되는 파장용의 두개의 상이한 마하 젠더 경로가 있고, 교차 접속 구조에 의해 송신되는 파장용의 두개의 상이한 마하 젠더 경로가 있다. 따라서, 두개의 상이한 파장용 및 N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용의 두개의 상이한 마하 젠더 경로에 대해, N 파장용의 2XN개의 상이한 마하 젠더 경로가 있다.
제1 및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유형 예를 들어, 22 유형일 때 동일한 길이-폭 비율을 갖는다. 본 발명을 따르는 실시예에서, 다중 모드 도파관은 MMI 도파관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대한 두개 이상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두개의 위상 제어 소자 및 두개의 접속 도파관이 부가된다. 각각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는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관련하여 대향하는 측면상에 두개의 위상 제어 소자가 제공된다.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는 제1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상의 액세스 도파관으로부터 인접한 파장 선택 교차 구조상의 다른 액세스 도파관까지 접속 도파관을 통해 상호 배치된다. 상기 액세스 도파관은 동일 측면상에 있도록 및 서로에게 가장 근접하도록 선택된다.
광 네트워크에서 광 파장 채널을 재설정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파장 채널은 제1 다중 채널 도파관의 제1 측면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도파관에서 출사된다. 광 파장 채널은 상기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을 통해 송신되고, 상기 액세스 도파관에 관련하여 대향하는 측면상에 제공된 적어도 두개의 접속 도파관상에 투사된다. 그 결과, 광 파장 채널은 접속 도파관을 통하여 송신된다. 각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대해, 위상은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1 측면상의 제1 및 제2 접속 도파관에 배치된 두개의 위상 제어 소자에 의해 반사 파장에 대해 2회 변화되는 동시에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2 측면에서와 같이, 반사 파장의 위상은 비교적 변화되지 않고 유지된다.
각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대해, 파장을 송신하는 위상은 1회 변화된다. 광 파장 채널은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적어도 두개의 접속 도파관을 통해 여기된다. 각 파장의 위상 차는 상기 파장의 전력이 얼마나 많은지 및 다중 모드 도파관의 출력 도파관중의 어느 출력 도파관에 각 파장이 송신되는지에 대해서 결정된다.
특별한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속하는 위상 제어 소자는 동기하여 작동하고 동일 범위로 위상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장 선택 지향 스위칭 구조는 MMI-브래그-격자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파장이 파장의 나머지 부분에 독립적으로 스위치될 수 있는 파장 선택 스위치를 얻는 것과, 스위치의 구조가 가능한한 단순 및 컴팩트한 것에 의해 출력의 선택을 모두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조 가격이 공지되어 있는 기술과 비교하여 감소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장점은 전력 소비를 비교적 낮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혼선등과 같은 부가적인 성능이이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파장 선택 스위치(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파장 선택 스위치(1)는 두개의 다중 모드 도파관(10,20), 네개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4,6,8), 8개의 위상 제어 소자(C1,C2,D1,D2,E1,E2,F1,F2), 10개의 접속 도파관 및 다중 모드 도파관(10,20) 모두와 교차 접속 구조(2,4,6,8)상에 제공된 액세스 도파관을 포함한다.
다수의 상이한 파장을 포함하는 광 신호는 제1 다중 모드 도파관(10)의 제1 측면상에 제공된 액세스 도파관으로 여기된다. 광 신호는 다중 모드 도파관(10)을 통해 송신되고, 광 신호가 여기된 위치와 비교하여 대향하는 측면상에 제공된 액세스 도파관상에 투사된다. 신호는 다중 모드 도파관(10)상의 길이-폭 비율 및 액세스 도파관의 배치에 따라 투사된다. 길이-폭 비율은 다중 모드 도파관(10)의 제1 측면에서 여기되는 광 신호가 대향하는 측면상의 액세스 도파관에서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투사되는 것과 같은, 즉, 광 신호는 액세스 도파관에서 모두 1/2 밀도로 나누어지는 것과 같다고 가정한다.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2 측면상의 액세스 도파관에 접속 도파관이 제공된다. 제1 접속 도파관은 제1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의 제1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에 접속된다. 제2 접속 도파관은 제1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2 측면상에 제공된 제1 액세스 도파관에 접속된다. 이들 접속 도파관중의 하나는 위상 제어 소자(C1)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위상 제어 소자는 상기 제1 접속 도파관에 포함된다. 제2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4)는 두개의 접속 도파관을 통해 제1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배치된다. 제1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의 제1 측면상에 제공된 제2 액세스 도파관은 제3 접속 도파관을 통해 제2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4)의 제1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에 배치된다. 제1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의 제2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은 제4 접속 도파관을 통해 제2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4)의 제2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에 배치된다.
도 1에서, 4개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4,6,8)가 서로 잇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4,6,8)는 제1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상의 액세스 도파관으로부터 인접한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상의 또 다른 액세스 도파관까지의 접속 도파관을 통해 상호 배치되고, 상기 액세스 도파관은 동일한 측면상에서 서로 가장 근접하도록 선택된다.
최종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8)는 접속 도파관을 통해 제2 다중 모드 도파관(20)에 배치된다. 최종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8)의 제1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은 접속 도파관을 통해 제2 다중 모드 도파관(20)의 제1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에 배치된다.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제2 다중 모드 도파관(20)의 제2 측면상에 두개의 도파관이 제공된다.
제1 다중 모드 도파관(10)의 제1 측면상의 섹션 A를 따라 액세스 도파관에 공급되는 광 신호는 처음에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다중 모드 도파관(10)을 통해 송신되고, 상기 액세스 도파관에 관련하여 대향하는 측면상에 배치된 접속 도파관상에서 모두 섹션 B를 따라 투사된다. 그 결과, 광 신호는 접속 도파관 모두에서 더 송신된다. 이들 접속 도파관중 하나에, 위상 제어 소자(C1)가 배치된다. 그 결과, 상기 위상 제어 소자(C1)는 통과하는 모든 파장에 영향을 미친다. 광 신호는 섹션 C에서 제1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에 송신된다. 섹션 (C,D,E, 및 F)에서 이들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4,6,8)의 각각의 하나는 파장을 반사하고 나머지 부분을 송신하도록 배치된다. 섹션 C에서의 제1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는 파장 λ1을 반사하도록 배치되고, 섹션 A에서의 제2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4)는 파장 λ2를 반사하도록 배치되고, 셕션 E에서의 제3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6)는 파장 λ3를 반사하도록 배치되고, 섹션 F에서의 제4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8)는 파장 λ4를 반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가정한다.
파장 λ1,λ2,λ3,λ4에 대해, 이들 파장의 각각의 하나는 유일한 하나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4,6,8)에 의해서만 반사되고 나머지 부분을 통해 송신되는 것이 지정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어떤 하나에 의해 반사되고, 섹션 B를 따라 접속 도파관중의 하나의 외부로 송신되는 각 파장 채널은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중의 어떤 하나에 의해 반사되고, 섹션 B에 따라 제2 접속 도파관의 외부로 송신되는 각 파장 채널과 비교되어 두개의 위상 제어 소자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다. 예를 들어, 파장 λ1이 섹션 G를 따라 제2 다중 모드 도파관(20)의 제1 측면에 도달할 때,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파장이 위상 제어 소자(C1,C2,D1,D2,E1,E2,F1,F2)의 상이한 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에 따라 위상은 제1 및 제2 도파관에서 상이할 것이다. 섹션 G를 따라 제1 및 제2 액세스 도파관에서의 각각의 상이한 반사 파장에 대한 위상은 서로 상이할 것이다. 도 1에서의 섹션 G를 따라 이들 액세스 도파관중의 하나에서, 주어진 반사 파장에 대해, 위상은 제2 액세스 도파관에서의 위상과 비교해서 2회 변화된다. 각 반사 파장은 구조를 통해 유일한 경로, 마하 젠더 경로를 갖는다. 이러한 방법에서, 파장은 나머지 부분에 관계 없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제2 다중 모드 도파관(20)상의 액세스 도파관의 길이, 폭 및 배치에 관하여 적합한 실시예의 도움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각각의 반사 파장은 섹션 H를 따라 어떤 출력으로 향할 수 있다.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의 주어진 길이-폭 비율에 대해, 섹션 G에 따라 액세스 도파관에서의 광 신호 사이의 위상 차는 광 신호가 섹션 H를 따라 집중될 위치를 결정한다.
위상 제어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작동하고, 동일 위상 변화를 가지고 작동한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파장 선택 스위치에서 응용할 수 있는 장점에 의한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100)의 예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서, 도 2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100)는 애드/드롭 다중화 소자이다. 도 2의 특정 장치는 대칭의 MMI-브래그-격자 구조라고 불린다. 도 2의 교차 접속 구조와 같은 기능성을 갖는 어떤 애드/드롭 소자는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구성부품의 실현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소자가 트림(trim)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트림밍이 필요할 때, 파장 선택 스위치(1)는 아주 적은 파장이 작동될 경우에, 즉, 많은 교차 접속 구조(2,4,6,8)가 요구될 때 작동이 불가능할 수 있다.
광 신호는 예를 들어, 도 2의 교차 접속 구조에서의 액세스 도파관(40)에서 여기된다. 하나의 채널이 액세스 도파관(30)에 반사되고, 나머지 부분은 액세스 도파관(50)에 송신된다. 장치의 상호성 및 대칭성으로 인해, 액세스 도파관(50)에서 여기된 광 신호는 액세스 도파관(50)에 반사되거나 액세스 도파관(30)으로 송신될 것이다.
교차 접속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대칭적 즉, 중간을 절단하면, 양쪽 모두 자신의 겨울상일 것이다.
개시된 파장 선택 스위치(1)는 어떤 모놀리식(monolithic) 반도체 시스템 또는 SiO2/Si 유형의 유전체 도파관 시스템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파장 선택 스위치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모든 접속 도파관을 사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발명은 전술한 것 및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되는 청구범위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1)

  1. 적어도 두개의 다중 모드 도파관(10,20), 적어도 하나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4,6,8), 적어도 두개의 위상 제어 소자(C1,C2,D1,D2,E1,E2,F1,F2), 적어도 네개의 접속 도파관을 포함하는 광 파장 스위칭용의 파장 선택 스위치(1)로서,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는 제1(10) 및 제2(20) 다중 모드 도파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다중 모드 도파관(10)에는 제1 측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도파관 및 제2 측면상에 적어도 두개의 액세스 도파관이 제공되고, 상기 제2 다중 모드 도파관(20)에는 제1 측면상에 적어도 두개의 액세스 도파관 및 제2 측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도파관이 제공되고,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는 제1 및 제2 측면상에 적어도 두개의 액세스 도파관이 제공되고,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서, 상기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2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은 제1 접속 도파관을 통해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1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2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은 제2 접속 도파관을 통해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2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에 배치되고,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1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은 제3 접속 도파관을 통해 상기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1 측면상의 제1 액세스 도파관에 배치되고,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2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은 제4 접속 도파관을 통해 상기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1 측면상의 제2 액세스 도파관에 배치되고, 상기 위상 제어 소자는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측면중의 하나상의 접속 도파관에 배치되고, 각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대한 두개 이상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는 두개의 위상 제어 소자 및 두개의 접속 도파관이 부가되고, 각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는 가장 인접한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관련하여 대향하는 측면상의 두개의 위상 제어 소자가 제공되고,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는 제1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상의 액세스 도파관으로부터 인접한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상의 다른 액세스 도파관까지 접속 도파관을 통해 상호 배치되고, 상기 액세스 도파관은 동일 측면상에 있도록 및 서로에 가장 근접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장 스위칭용의 파장 선택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모드 도파관은 MMI-도파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장 스위칭용의 파장 선택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는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장 스위칭용의 파장 선택 스위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2,4,6,8)는 MMI-브래그 격자 구조(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장 스위칭용의 파장 선택 스위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각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속하는 상기 위상 제어 소자(C1,C2,D1,D2,E1,E2,F1,F2)는 동일한 범위로 위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장 스위칭용의 파장 선택 스위치.
  6. 제 5항에 있어서,
    모든 접속 도파관은 동일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장 스위칭용의 파장 선택 스위치.
  7. 제 6항에 있어서,
    N개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대해, N개의 상이한 파장용의 2N개의 마하 젠더 경로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장 스위칭용의 파장 선택 스위치.
  8. 광 네트워크에서 광 파장 채널을 스위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 파장 채널이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1 측면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도파관에 접속되는 단계와;
    상기 광 파장 채널이 상기 제1 다중 모드 도파관을 통해 송신되고, 상기 액세스 도파관에 관련하여 대향하는 측면상에 제공된 적어도 두개의 접속 도파관상에 투사되는 단계와;
    상기 광 파장 채널이 상기 접속 도파관을 통해 송신되는 단계와;
    각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대해, 위상이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1 측면상의 제1 및 제2 접속 도파관에 배치된 두개의 위상 제어 소자에 의해 반사하는 파장에 대해 2회 변화되는 동시에 상기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의 제2 측면에서와 같이 상기 반사 파장이 비교적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는 단계와;
    각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대해, 위상이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마다 제1 및 제2 방향으로 파장을 1회 송신하도록 변화되는 단계와;
    상기 광 파장 채널이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에서 적어도 두개의 접속 도파관을 통해 접속되는 단계와;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1 측면상에 제공된 각 액세스 도파관내의 광 신호 사이의 위상 차가 상기 다중 모드 도파관의 소정의 길이-폭 비율에 대해 제2 다중 모드 도파관의 제2 측면에서 광 신호가 집중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광 파장 채널을 스위칭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모드 도파관은 MMI-도파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장 채널을 스위칭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모든 접속 도파관은 동일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장 채널을 스위칭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N개의 파장 선택 교차 접속 구조에 대해, N개의 상이한 파장용의 2N개의 상이한 마하 젠더 경로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장 채널을 스위칭하는 방법.
KR1020007014635A 1998-06-25 1999-06-14 광 파장을 스위칭하는 방법 및 파장 선택 스위칭 KR200100439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2254A SE512226C2 (sv) 1998-06-25 1998-06-25 Våglängdsselektiv switch och förfarande för switching av vågländskanaler i ett optiskt nätverk
SE9802254-4 1998-06-25
PCT/SE1999/001056 WO1999067907A1 (en) 1998-06-25 1999-06-14 Method and wavelength selective switching for switching optical wavelength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990A true KR20010043990A (ko) 2001-05-25

Family

ID=2041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635A KR20010043990A (ko) 1998-06-25 1999-06-14 광 파장을 스위칭하는 방법 및 파장 선택 스위칭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292599B1 (ko)
EP (1) EP1090471B1 (ko)
JP (1) JP2002519721A (ko)
KR (1) KR20010043990A (ko)
CN (1) CN1179510C (ko)
AU (1) AU4940599A (ko)
CA (1) CA2336171A1 (ko)
DE (1) DE69939319D1 (ko)
HK (1) HK1039227B (ko)
SE (1) SE512226C2 (ko)
TW (1) TW391088B (ko)
WO (1) WO1999067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3095C2 (sv) * 1998-10-02 2000-07-10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WDM-sändning och -mottagning
JP4519248B2 (ja) * 2000-03-14 2010-08-04 富士通株式会社 光導波路付光学装置
US20020145782A1 (en) * 2001-03-16 2002-10-10 Photur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WDM signals between different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s in an optically transparent manner
SE523638C2 (sv) * 2001-09-28 2004-05-04 Ericsson Telefon Ab L M Omkopplare baserad på flermodsinterferensvågledare
SE0202160D0 (sv) * 2002-07-10 2002-07-10 Proximion Fiber Optics Ab Wavelength selective switch
US7715711B2 (en) * 2006-05-25 2010-05-11 Fujitsu Limited Wavelength selective switch design configurations for mesh light-trai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09352C (en) * 1989-02-07 1995-02-28 Masao Kawachi Guided-wave optical branching components and optical switches
US5446809A (en) * 1994-09-23 1995-08-2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ll fiber wavelength selective optical switch
US5703975A (en) * 1995-06-09 1997-12-30 Corning Incorporated Interferometric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9802254D0 (sv) 1998-06-25
EP1090471B1 (en) 2008-08-13
AU4940599A (en) 2000-01-10
EP1090471A1 (en) 2001-04-11
WO1999067907A1 (en) 1999-12-29
CN1179510C (zh) 2004-12-08
US6292599B1 (en) 2001-09-18
HK1039227A1 (en) 2002-04-12
JP2002519721A (ja) 2002-07-02
SE512226C2 (sv) 2000-02-14
TW391088B (en) 2000-05-21
SE9802254L (sv) 1999-12-26
CN1307767A (zh) 2001-08-08
CA2336171A1 (en) 1999-12-29
DE69939319D1 (de) 2008-09-25
HK1039227B (zh) 200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3467A (en) Switchable optical filter
EP0926853B1 (en) Article comprising a wavelength selective add-drop multiplexer
JP4739928B2 (ja) 波長選択光スイッチおよび波長選択光スイッチモジュール
US7321704B2 (en) Wavelength cross connect with per por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JP2008503920A (ja) フレキシブル波長バンドアグリゲータ、デアグリゲータおよび階層的ハイブリッド光クロスコネクトシステム
KR100495286B1 (ko) 파장 선택 스위치 및 광 파장 채널 스위칭 방법
WO2007123157A1 (ja) 波長群光分波器、波長群光合波器、および波長群光選択スイッチ
US6956987B2 (en) Planar lightwave wavelength blocker devices using micromachines
JP4388681B2 (ja) 追加/ドロップ光多重化装置とチャンネルを付加する方法
Doerr et al. Eight-wavelength add-drop filter with true reconfigurability
JP4759033B2 (ja) 波長選択スイッチ
US6963684B2 (en) Multi-band arrayed waveguide grating with improved insertion loss and wavelength accuracy
WO1999066664A1 (en) Method and multi-wavelength selective switch for switching and redirection of optical wavelengths
KR20010043990A (ko) 광 파장을 스위칭하는 방법 및 파장 선택 스위칭
US6754410B1 (en) Integrated wavelength-selective cross connect
US6859576B2 (en) Optical cross-connect system
JP4668488B2 (ja) 波長選択性デバイスおよび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使った方法
EP1159646B1 (en) A wavelength selective modulator
EP12664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ing
KR100709880B1 (ko) 동조 가능한 광 필터
US20040131309A1 (en) Tunable optical filter, optical switch, and optical add/drop multiplexer employing linearly variable thin film optical filters
US20030016911A1 (en) Random access optical add/drop switch
JP2004297129A (ja) 無妨害波長合分波器、それを使用した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