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847A - 신체 정합성을 개선시킨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 - Google Patents

신체 정합성을 개선시킨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847A
KR20010043847A KR1020007013310A KR20007013310A KR20010043847A KR 20010043847 A KR20010043847 A KR 20010043847A KR 1020007013310 A KR1020007013310 A KR 1020007013310A KR 20007013310 A KR20007013310 A KR 20007013310A KR 20010043847 A KR20010043847 A KR 20010043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garment
pull
edge line
ear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애쉬톤그레고리
호킨스크레이그앤드류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4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omeric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61F2013/4904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being stretchable non-elastic panels
    • A61F2013/4904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being stretchable non-elastic panels at the 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방향 중심선,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의 가랑이 영역을 갖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는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가랑이 영역에 제공된 몸통부를 포함한다. 몸통부는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에 가장자리 선을 가지며,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면시이트와 결합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를 포함한다.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는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의 몸통부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 이상의 신장성 귀형 패널을 추가로 포함한다. 귀형 패널 각각은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의 하나 이상은 수축되지 않은 가멘트 상태에서 종방향 중심선으로부터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거리를 갖는다. 귀형 패널은 2개의 다리 개구부와 1개의 허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응하는 가장자리 선을 따라 몸통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귀형 패널 각각은 상응하는 가장자리 선을 따라 몸통부에 연결되어 솔기선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2개의 다리 개구부와 1개의 허리 개구부를 형성한다. 수축되지 않은 가멘트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솔기선은 종방향 중심선으로부터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거리를 갖는다.

Description

신체 정합성을 개선시킨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DISPOSABLE PANT-TYPE DIAPER HAVING IMPROVED FITNESS TO BODY}
유아 및 그 밖의 뇨실금자는 기저귀와 같은 일회용 가멘트를 착용하여 뇨 및 다른 신체 분비물을 수용하고 봉쇄한다. "팬티형 가멘트"라고도 불리우는, 고정된 측부를 갖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는 걸을 수 있고 종종은 배변연습을 하는 유아 에게 대중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풀온형 가멘트는 2개의 다리 개구부와 1개의 허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가장자리가 이어져 있는 측부 패널을 갖는다. 신체 분비물을 봉쇄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 형상 및 크기에 정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풀온형 가멘트는 신체상에 위치한 곳으로부터 늘어지거나 처지거나 흘러내리지 않으면서 착용자의 허리와 다리 주위에 편안하게 정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풀온형 가멘트의 예가 1992년 12월 15일자로 이가우(Igau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71,239호, 1986년 9월 9일자로 스트로빈(Strohbee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10,681호, 1990년 7월 10일자로 반 곰펠(Van Gompe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40,464호, 1993년 9월 21일자로 하쎄(Hass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46,433호, 1996년 10월 29일자로 부엘(Buel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69,234호 및 1996년 10월 10일자로 공개된 애쉬톤(Ashton)의 WO96/31176호에 기재되어 있다.
풀온형 가멘트가 착용자 신체로부터 늘어지거나 처지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풀온형 가멘트의 허리 및 측부 패널 영역에서 적절한 힘이 발생되어서 착용자 신체에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예컨대, 1995년 5월 16일자로 와타나베(Watanab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415,649호, 및 1997년 3월 12일자로 공개된 EP 0 761 193 A2호(야마모토(Yamamoto) 등) 및 EP 0 761 194 A2호(야마모토 등)는 신체에 조절가능한 정합력을 제공하는 상이한 확장 응력을 갖는 다수의 탄성 부재를 사용함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풀온형 가멘트는 다수의 탄성 부재를 사용하고 취급해야 하므로, 그의 제조 공정은 탄성 부재를 취급하기 위해 복잡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 다른 예는 1997년 3월 26일자로 공개된 EP 0 547 497 B1호(반 곰펠 등)이다. 상기 공개공보는 정합성을 향상시키는 신장성 구배의 측부 패널을 갖는 삼각형의 신장성 측부 부재를 사용하는 일회용 배변연습용 팬츠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풀온형 가멘트는 삼각형 신장성 측부 부재를 사용하므로, 제조 공정이 상기 부재를 취급하기 위해 복잡하게 되기 쉽다.
따라서, 현재의 어떠한 기술도 본 발명의 모든 이점과 효과를 제공하지 못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종방향 중심선,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에 있는 가랑이 영역을 갖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는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가랑이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몸통부(chassis)를 포함한다. 몸통부는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에 가장자리 선을 가지며,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면시이트에 결합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를 갖는다.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는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의 몸통부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신장성 귀형 패널(extensible ear panel)을 추가로 포함한다. 귀형 패널 각각은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중 하나 이상은 미수축 상태의 가멘트에서 종방향 중심선으로부터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거리를 갖는다. 귀형 패널은 2개의 다리 개구부와 1개의 허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응하는 가장자리 선을 따라 몸통부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귀형 패널 각각은 상응하는 가장자리 선을 따라 몸통부에 연결되어 솔기선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2개의 다리 개구부와 1개의 허리 개구부를 형성한다. 솔기선중 하나 이상은 미수축 상태의 가멘트에서 종방향 중심선으로부터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거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관점 및 이점이 본 개시내용을 읽음으로써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disposable pull-on garment)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의 예에는 일회용 언더웨어, 일회용 풀온형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츠 및 생리용 일회용 팬티가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체 정합성을 개선시킨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명확하게 청구하는 청구항으로 결론지어지지만, 본 발명은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첨부된 도면(여기서, 유사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전형적인 사용중의 배치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의 한 바람직한 양태의 투시도이다.
도 2는 전형적인 사용중의 배치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의 투시도이다.
도 3은 가멘트의 다양한 패널 또는 대역을 나타내는 편평한 미수축 상태의 도 2에 도시된 양태를 단순화시킨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 절단선을 따라 취한 바람직한 양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방 귀형 패널(46)과 후방 귀형 패널(48)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바람직한 양태의 탄성 부재(70)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탄성 부재(70)의 일부가 확대된 측면도이다.
도 8은 바람직한 양태에서 엘라스토머성 물질의 이력현상 곡선의 2개 사이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엘라스토머성 물질의 다른 양태를 예시한, 일부를 확대시킨 투시도이다.
도 10은 전방 귀형 패널(46)의 한 양태의 평면도이다.
모든 인용문헌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문헌으로 인용된다. 참조문헌을 언급하는 것을 청구된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 결정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본원에서 "풀온형 가멘트"라 함은 한정된 허리 개구부와 한 쌍의 다리 개구부를 갖고 다리를 다리 개구부에 넣고 허리 주위로 제품을 끌어올려 착용자 신체상에 착용되는 착용 제품을 말한다. 본원에서 "일회용"이란 세탁되거나 또는 가멘트로서 복구되거나 재사용되지 않는 가메트를 기술한다(즉, 이들은 한 번 사용후에 폐기되고, 바람직하게는 재생, 퇴비화 또는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처분된다). "일체형" 풀온형 가멘트는 분리 부분으로 형성되어 통합된 단위체를 형성하는 풀온형 가멘트를 말하지만, 귀형 패널은 분리된 몸통부에 연결된 분리 요소가 아니며, 가멘트의 몸통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층에 의해 형성된다(즉, 가멘트는 분리된 몸통부 및 분리된 귀형 패널과 같은 별도로 조작되는 패널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풀온형 가멘트는 바람직하게는 신체로부터 분비되는 각종 분비물을 흡수하고 봉쇄하는 "흡수성"이다. 본 발명의 풀온형 가멘트의 바람직한 양태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일회용 풀온형 흡수 가멘트인 풀온형 가멘트(120)이다. 본원에서 "풀온형 기저귀"라 함은 대체로 유아 및 그 밖의 뇨실금자가 착용하여 뇨 및 변을 흡수하여 봉쇄하는 풀온형 가멘트를 말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배변연습용 팬츠, 뇨실금자용 브리이프, 여성 위생 가멘트 또는 팬티 등과 같은 다른 풀온형 가멘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패널"은 풀온형 가멘트의 영역 또는 요소를 지칭한다. (패널은 전형적으로 구별되는 영역 또는 요소이지만, 패널은 인접한 패널과 다소 일치할 수 있다(기능 면에서 상응한다).) 본원에서 "연결된"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한 요소를 다른 요소에 직접 부착시킴으로써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고정되는 배치 형태 및 한 요소를 중간 부재에 부착시키고 중간 부재를 다른 요소에 부착시킴으로써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간접 고정되는 배치형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미수축 상태"라 함은 사용된 모든 탄성 물질이 제거되어 있고 이어져 있지 않은(즉, 솔기가 없는) 편평한 이완 상태의 풀온형 가멘트 상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즉, 일체형 일회용 풀온형 기저귀(120))의 한 바람직한 양태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120)는 전방 영역(26), 후방 영역(28), 및 전방 영역(26)과 후방 영역(28) 사이의 가랑이 영역(30)을 갖는다. 몸통부(41)는 전방 영역(26), 후방 영역(28) 및 가랑이 영역(30)에 제공되어 있다. 몸통부(41)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24), 상면시이트(24)에 결합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22), 및 상면시이트(24)와 배면시이트(22)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25)(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한다. 몸통부(41)는 전방 영역(26)에서 가장자리 선(222)을 형성하는 측부 가장자리(220)를 갖는다.
본 발명의 풀온형 가멘트(120)는 몸통부(41)의 상응하는 측부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신장성 귀형 패널(45)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귀형 패널(45)은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242)을 형성하는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240)를 갖는다.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242)중 하나 이상은 미수축 상태의 가멘트(120)에서 종방향 중심선(100)(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거리를 갖는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귀형 패널(4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영역(28)의 몸통부(41)의 상응하는 측부로부터, 전방 영역(26)의 몸통부(41)의 상응하는 측부 가장자리(220)까지 연속하여 연장된다. 다르게, 귀형 패널(45)은 전방 영역(26)의 몸통부(41)의 상응하는 측부로부터, 후방 영역(28)의 몸통부(41)의 상응하는 측부 가장자리(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풀온형 가멘트(120)는 2개의 다리 개구부(34)와 1개의 허리 개구부(36)를 형성하도록 몸통부(41)에 연결된 귀형 패널(45)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풀온형 가멘트(120)는 2개의 다리 개구부(34)와 1개의 허리 개구부(36)를 형성하도록 상응하는 가장자리 선(222, 242)을 따라 몸통부(41)와 귀형 패널(45)을 각각 연결하는 솔기(232)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귀형 패널(45)중 하나 이상은 솔기(232)를 따라, 허리 개구부(36)로부터 시작되는 실질적 결합부(SB)와 다리 개구부(34)로부터 시작되는 비결합부(UB)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비결합부 대 실질적 결합부의 길이 비는 약 4:96 내지 20:80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즉, 일체형 일회용 풀온형 기저귀(20))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20)는 전방 영역(26)의 몸통부(41)의 상응하는 측부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신장성 전방 귀형 패널(46) 및 후방 영역(28)의 몸통부(41)의 상응하는 측부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신장성 후방 귀형 패널(48)을 포함한다. 귀형 패널(46, 48) 각각은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242)을 형성하는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240)를 갖는다.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242)중 하나 이상은 가멘트(20)의 미수축 상태에서 종방향 중심선(100)(도 2에는 도시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됨)으로부터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거리를 갖는다. 또한, 풀온형 가멘트(20)는 2개의 다리 개구부(34)와 1개의 허리 개구부(36)를 형성하도록 상응하는 가장자리 선(242)을 따라 전방 귀형 패널(46)과 후방 귀형 패널(48)을 각각 연결시킨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귀형 패널(45, 46 및 48) 쌍중 하나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둘다는 적어도 측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신장성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귀형 패널(45, 46 및 48)은 측방향과 종방향 둘다로 탄성에 의해 신장성이다. 본원에서 "신장성"이란 용어는 무리하게 인열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어느 정도 신장될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본원에서 "탄성" 및 "탄성에 의해 신장성"이란 용어는 물질을 신장시킨 힘을 제거한 후에 거의 본래 치수로 되돌아갈 수 있는 신장성 물질을 말한다. 본원에서 "신장성"이라고 기재된 물질 또는 요소는 또한 달리 제공되지 않는 한 탄성에 의한 신장성이다. 신장성 귀형 패널(45, 46 및 48)은 풀온형 가멘트의 측부를 확장 및 수축시키므로, 풀온형 가멘트를 착용자에게 처음에 순응되게 정합시키고 이에 분비물이 적재된 지 한참 지난 착용기간 내내 상기 정합성을 유지시킴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꼭 맞는 정합성을 제공한다.
귀형 패널(45, 46 및 48)은 풀온형 가멘트(20 또는 120)의 일체형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즉, 이들은 풀온형 가멘트(20 또는 120)에 고정된 별도로 조작되는 요소가 아니며, 풀온형 가멘트의 다양한 층중 하나 이상의 층의 연장부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귀형 패널(45, 46 및 48) 각각은 몸통부(41)의 돌출된 부재이다(도 3에 보다 명확히 도시됨). 바람직하게, 귀형 패널(45, 46 및 48)은, 몸통부(41)의 일부를 형성하며 귀형 패널(45, 46 및 48)로 계속하여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일체형 요소 또는 연속 시이트 물질(예컨대, 도 4의 부직 외층 커버(74))을 포함한다. 다르게, 귀형 패널(45, 46 및 48)은 몸통부(41)의 일부를 형성하는 임의의 일체형 요소를 갖지 않는 별도의 부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고, 또한 몸통부(41)의 상응하는 측부에 별도의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풀온형 가멘트(20 또는 120)는 귀형 패널(45, 46 및 48) 각각으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솔기 패널(66); 및 솔기 패널(66)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인열 개봉 탭(tear open tab)(31)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솔기 패널(66) 각각은 상응하는 귀형 패널(45, 46 및 48), 그에 사용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 또는 상기 구성요소의 그 밖의 조합물의 연장부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인열 개봉 탭(31) 각각은 또한 상응하는 솔기 패널(66), 그에 사용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 또는 상기 구성요소의 그 밖의 조합물의 연장부이다.
인열 개봉 탭(31)은 풀온형 가멘트(20, 120)가 더러워진 후에 솔기(32)에서의 의도적인 인열 개봉을 쉽게 한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종방향 중심선(100)으로부터의 측방향 거리(LD)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개구부(34) 방향에서 이격거리가 증가한다. 상기 양태에서, 전방 귀형 패널부에 사용될 원판(original) 물질은 상부 물질 라인(143)과, 상부 물질 라인(154)에 수직인 측부 물질 라인(156)에 의해 정의된 형상을 갖는다.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240)와 인열 개봉 탭(31)은 원판 물질로부터 가장자리부(158)를 제거함(또는 잘라냄)으로써 형성된다. 인열 개봉 탭(31)은 상기 라인(154, 156)에 의해 정의된 직각을 갖는 원판 물질내에서 수득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물질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즉, 원판 귀형 패널 물질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몸통부(41) 및/또는 귀형 패널(45, 46 및 48)의 상응하는 가장자리부는 중첩된 솔기 구조를 형성하는 중첩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예컨대, 솔기 패널(66)을 통해) 이어진다. 다르게, 전방 귀형 패널(46)과 후방 귀형 패널(48)은 접합 이음(butt seam) 방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솔기(32)의 결합은 몸통부(41) 및/또는 귀형 패널(45, 46 및 48)에 사용되는 특정 물질에 적합한 당해 기술에 공지된 적절한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밀봉, 열 밀봉, 압력 결합, 접착 또는 응집 결합, 바느질, 자생 결합 등이 적합한 기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솔기 패널(66)은 착용 동안에 가멘트(20 또는 120)에서 발생되는 힘과 응력을 견디는 열/압력 또는 초음파 용접으로 이루어진 소정의 패턴에 의해 연결된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형 패널(45, 46 및 48), 및 허리 개구부(36) 주위의 몸통부(41)의 일부에 의해 연속 띠(38: continuous belt)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탄성화 허리 밴드(50)는 전방 영역(26)과 후방 영역(28) 둘다에 제공된다. 연속 띠(38)는 착용자상에 놓일 때 풀온형 가멘트(20 또는 120)에 동적으로 정합력을 발생시키고, 신체 분비물이 적재되는 경우에도 풀온형 가멘트(20 또는 120)를 착용자상에 유지시켜서 흡수코어(25,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착용자에 근접하게 유지시키며, 착용 동안에 허리 주위에 동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분배시켜서 흡수코어(25)를 결합시키거나 뭉치게 하지 않는 흡수코어(25)의 보충 지지물을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
도 3은 귀형 패널(46, 48)이 솔기(32)에 연결되기 이전의 미수축 상태(이완된 상태로 있는 귀형 패널(46, 48)에서는 예외)로 있고 상면시이트(24)가 관찰자를 향해 있는, 도 2의 풀온형 가멘트(20)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풀온형 가멘트(20)는 전방 영역(26), 전방 영역(26)에 대향되는 후방 영역(28), 전방 영역(26)과 후방 영역(28) 사이에 위치한 가랑이 영역(30), 및 측부 가장자리가 150 및 240으로 지정되어 있고 말단 가장자리 또는 허리 가장자리가 152로 지정되어 있는, 풀온형 가멘트(20)의 외부 둘레 또는 가장자리에 의해 정의되는 주변부를 갖는다. 상면시이트(24)는 사용 동안에 착용자 신체에 인접하게 위치해 있는 풀온형 가멘트(20)의 신체 대향면을 갖는다. 배면시이트(22)는 착용자 신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풀온형 가멘트(20)의 외부 대향면을 갖는다. 풀온형 가멘트(20)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24), 상면시이트(24)에 결합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22), 및 상면시이트(24)와 배면시이트(22)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25)를 포함하는 몸통부(41)를 포함한다. 가멘트(20)는 몸통부(41)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전방 귀형 패널(46)과 후방 귀형 패널(48), 탄성화 다리 커프스(52) 및 탄성화 허리밴드(5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면시이트(24)와 배면시이트(22)는 흡수코어(25)보다 대체로 더 큰 치수의 길이와 너비를 갖는다. 상면시이트(24)와 배면시이트(22)는 흡수코어(25)의 가장자리를 지나 연장되어서, 가멘트(20)의 측부 가장자리(150)와 허리 가장자리(152)를 형성한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22)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68)을 포함한다.
또한, 풀온형 가멘트(20)는 2개의 중심선, 즉, 종방향 중심선(100)과 횡방향 중심선(110)을 갖는다. 본원에서 "종방향"이란 풀온형 가멘트(20)가 착용될 때 기립 착용자의 신체를 좌우로 반분하는 수직 평면과 대체로 나란한(예컨대, 대략 평행한) 풀온형 가멘트(20)의 평면에 있는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본원에서 "횡방향" 및 "측방향"은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종방향과 대체로 수직인 풀온형 가멘트의 평면(착용자를 신체 앞뒤로 반분한다)에 있는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또한, 풀온형 가멘트(20)와 그의 구성요소 물질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는 신체 대향 표면 및 신체 대향 표면과 반대 표면인 외부 대향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귀형 패널(45, 46 및 48) 각각은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242)을 갖는다. 본원에서 "가장자리 선"이란 귀형 패널(45, 46 및 48) 또는 몸통부(41)의 윤곽을 한정하는 선을 말한다. 본원에서 "가장 바깥쪽"이란 종방향 중심선(100)으로부터 가장 멀리있는 부분을 말한다. 가장자리 선(242)중 적어도 하나는 미수축 상태의 가멘트(20)에서 종방향 중심선(100)으로부터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거리(LD)를 갖는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242)은 허리 개구부(36)에 가장 근접한 부분에 있는 제 1 지점(251) 및 다리 개구부(34)에 가장 근접한 부분에 있는 제 2 지점(252)을 가지며,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242)은 제 1 지점(251)과 제 2 지점(252)을 연결시킴으로써 정의되는 직선이다.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242)은 귀형 패널의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240)의 방향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가장자리 선(242)은 미수축 상태의 풀온형 가멘트(20)에서 종방향 가장자리 선(100) 쪽으로 치우쳐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242)은 미수축 상태의 풀온형 가멘트(20)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개구부(34) 방향에서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종방향 중심선(100)부터의 측방향 거리(LD)를 갖는다. 다르게,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242)은 미수축 상태의 풀온형 가멘트(20)에서, 다리 개구부(34) 방향에서 이격거리가 감소하는 종방향 중심선(100)부터의 측방향 거리(LD)를 갖는다.
상면시이트(24), 배면시이트(22) 및 흡수코어(25)는 널리 공지된 각종 배치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나, 예시적인 몸통부 배치형태가 1975년 1월 14일자로 부엘(Kenneth B. Buell)에게 허여된 "Contractible Side Portions for Disposable Diaper"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3,860,003호 및 1992년 9월 29일자로 부엘 등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Having A Predisposed Resilient Flexural Hinge"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51,092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4-4 절단선을 따라 취한 바람직한 양태의 횡단면도이다. 풀온형 가멘트(20)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24), 상면시이트와 결합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22), 및 상면시이트(24)와 배면시이트(22)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25)를 포함한다. 풀온형 가멘트는 몸통부(41)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전방 귀형 패널(46), 및 내부 차단 커프스(54)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4는 전방 영역(26)내에 전방 귀형 패널(46)과 몸통부(41)로 이루어진 구조물만을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유사한 구조물이 후방 영역(28)에도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전방 귀형 패널(46) 각각은 차단 플랩(56), 탄성 부재(70) 및 부직 외부 커버(74)의 연장된 부분(72)의 라미네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탄성 부재(70)는 편평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도 6에 도시되어 있음)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편평한 엘라스토머성 물질"이라 함은 2차원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엘라스토머성 물질을 말한다. 바람직한 편평한 엘라스토머성 물질은 스크림, 천공된(또는 세공이 형성된) 필름, 또는 엘라스토머성 직물 또는 부직물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편평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너비를 갖는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방 귀형 패널(46)과 후방 귀형 패널(48)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서, 부직 외부 커버(74)를 귀형 패널(46, 48)로부터 제거하여서 탄성 부재(70)와 솔기(32)를 명확히 나타낸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귀형 패널(46, 48) 각각은 편평한 엘리스토머성 물질(124)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70)(한 예가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70)는 편평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에 연결된 신장성 시이트 또는 필름 물질(예컨대, 부직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편평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탄성 부재(70)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탄성 부재(70) 및 편평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광범위한 크기 및 형상(예컨대, 삼각형, 직사각형, 다른 사변형 및 그 밖의 다각형)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편평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너비(LW)를 갖는 적어도 일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편평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측방향 너비(LW)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개구부(34) 방향에서 이격거리가 증가한다. 다르게, 편평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측방향 너비(124)는 다리 개구부(34) 방향에서 이격거리가 감소할 수 있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바람직한 양태에서, 솔기(32)는 가장자리 선(242)을 따라 임시로 결정된 솔기선(230)상에 형성된다. 솔기선(230)은 가장자리 선(242) 사이의 중첩된 영역(238)에서 그을 수 있는 임의의 직선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솔기선(230)은 상응하는 가장자리 선(242)을 따라,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장자리 선(242)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중첩된 영역(238)을 동일하게 나누는 직선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기선(230)으로 선택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솔기선(230)은 미수축 상태의 가멘트에서 종방향 중심선(100)으로 치우친다. 바람직하게, 솔기선(230)이 종방향 중심선(100)으로부터 갖는 측방향 거리는 다리 개구부(34) 방향에서 이격거리가 증가한다. 다르게, 솔기선(230)이 종방향 중심선(100)으로부터 갖는 측방향 거리는 다리 개구부(34) 방향에서 이격거리가 감소한다(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바람직한 솔기(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기선(230)상에 형성된, 다수의 이격된 불연속적인 이음 결합(236)에 의해 형성된다. 불연속적인 이음 결합(236)은 솔기선(230) 상에서, 허리 개구부(36)로부터 시작되는 실질적 결합부(SB) 및 다리 개구부(34)로부터 시작되는 비결합부(UB)를 형성한다. 본원에서 "실질적 결합부"라 함은 다리 개구부(34)와 허리 개구부(36)가 형성되도록 다른 물질에 불연속적으로 및/또는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본원에서 "비결합부"는 다른 물질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말한다.
다른 양태에서, 솔기(32)는 솔기선(230) 상에서 전방 귀형 패널(46)과 후방 귀형 패널(48)을 연속되게 결합시키는 연속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또한, 연속 결합은 솔기선(230) 상에서, 허리 개구부(36)로부터 시작되는 실질적 결합부(SB) 및 다리 개구부(34)로부터 시작되는 비결합부(UB)도 형성한다.
착용자 피부상에 발생하는 홍반 문제점을 피하기 위하여, 비결합부(UB) 대 실질적 결합부(SB)의 바람직한 길이 비는 약 4:96 내지 약 2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92 내지 약 15:85이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90 내지 약 13:87이다. 유아에게 바람직한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는 다리 개구부(34)로부터 약 4 내지 약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15㎜,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3㎜ 길이의 비결합부(UB)를 갖는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귀형 패널(45, 46 및 48)중 하나 이상은 가멘트가 더러워진 이후에 쉽게 인열 개봉되도록, 비결합부에 회합된 인열 개봉 탭(231)을 형성하는 형상을 부분적으로 갖는다. 인열 개봉 탭(231)은 솔기(32)에서의 의도적인 인열 개봉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귀형 패널(45, 46 및 48)은 가멘트가 더러워진 후에 다리 개구부(34)로부터 개봉되도록 인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양태에서는 고유한 인열 개봉 탭(31)이 제외될 수 있다.
흡수코어(25)는, 일반적으로 압축성이고 순응적이며 착용자 피부에 비자극성이고 뇨 및 다른 특정한 신체 분비물과 같은 액체를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는 임의의 흡수부재일 수 있다. 흡수코어(25)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 및 기타 흡수제품에 흔히 사용되는 광범위한 액체 흡수성 물질, 예컨대 일반적으로 에어펠트라고 불리우는 분쇄된 목재 펄프로부터 광범위한 크기 및 형상(예컨대, 직사각형, 누각형, "T" 형 및 비대칭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흡수물질의 예는 크레이핑된 셀룰로즈 왜딩; 코폼을 비롯한 용융취입된 중합체; 화학적으로 강화, 변형 또는 가교결합된 셀룰로즈 섬유; 티슈 랩 및 티슈 라미네이트를 비롯한 티슈; 흡수성 포움; 흡수성 스폰지; 초흡수성 중합체; 흡수성 겔화 물질; 또는 임의의 등가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흡수코어(25)는 미수축 상태의 풀온형 가멘트(20)에서, 가멘트 면적의 약 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이상의 코어 영역의 면적 비율을 갖는다. 코어 면적은 미수축 상태의 풀온형 가멘트(20)에서 흡수코어(25)의 신체 대향 표면의 전체 면적으로 정의된다. 흡수코어(25)의 신체 대향 표면의 주변부는 흡수코어(25)에 사용되는 주요 흡수 물질의 응집물의 윤곽에 의해 결정된다. 본원에서 "주요 흡수 물질"이라는 용어는 흡수코어(25)의 건조 상태 체적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는 흡수 물질을 말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목재 펄프(예: 에어펠트)가 흡수코어(25)의 주요 흡수 물질로 간주되며, 흡수 코어(25)의 신체 대향 표면의 주변부를 한정하고, 이에 의해 흡수코어(25)의 코어 면적을 한정한다. 그 밖의 주요 흡수 물질은 크레이핑된 셀룰로즈 왜딩; 코폼을 비롯한 용융취입된 중합체; 화학적으로 보강, 변형 또는 가교결합된 셀룰로즈 섬유; 티슈 랩과 티슈 라미네이트를 비롯한 티슈; 흡수성 포움; 흡수성 스폰지; 초흡수성 중합체; 흡수성 겔화 물질; 또는 임의의 등가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가멘트 면적은 미수축 상태의 풀온형 가멘트(20)의 신체 대향 표면의 전체 면적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면적 비율은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된다:
AR = CA / GA x 100
상기 식에서,
AR은 면적 비율(%)이고,
CA는 코어 면적(㎠)이고,
GA는 전체 면적(㎠)이다.
유아용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흡수코어(25)는 약 45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25㎠ 미만의 코어 면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흡수 코어(25)는 약 12㎝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 미만의 최대 코어 너비를 갖는다. 본원에서 "코어 너비"라 함은 흡수코어(25)의 하나의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측부 가장자리까지의 측방향 거리를 말한다.
흡수코어(25)의 배치형태 및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예컨대, 흡수코어(25)는 다양한 캘리퍼 대역, 친수성 구배, 초흡수성 구배, 또는 저 평균 밀도 및 저 평균 기본중량의 포획 대역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층 또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수코어(25)의 크기 및 흡수 용량은 유아로부터 성인에 이르는 착용자를 수용하도록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흡수코어(25)의 전체 흡수 용량은 가멘트(20)의 적재량 설계 및 목적하는 용도에 적합해야 한다.
가멘트(20)의 바람직한 양태는 전방 허리 영역(26)과 후방 허리 영역(28)에 귀형부를 갖는 비대칭적인 변형 누각형의 흡수코어(25)를 갖는다. 광범위하게 허용되어 왔고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둔, 흡수코어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흡수 구조물이 1986년 9월 9일자로 와이즈만(Weisman) 등에게 허여된 "High-Density Absorbent Structur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10,678호, 1987년 6월 16일자로 와이즈만 등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s With Dual-Layered Cor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73,402호, 1989년 12월 19일자로 앙스타트(Angstadt)에게 허여된 "Absorbent Core Having A Dusting Layer"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888,231호 및 1989년 5월 30일자로 알레마니(Alemany) 등에게 허여된 "High Density Absorbent Members Having Lower Density and Lower Basis Weight Acquisition Zon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834,735호에 기재되어 있다.
몸통부(41)는 흡수코어(25)상에 위치한, 화학적으로 강화된 섬유로 이루어진 포획/분포 코어(84)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중 코어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섬유는 화학적으로 강화된 친수성 셀룰로즈 섬유이다. 본원에서 "화학적으로 강화된 섬유"는 건조 및 수성의 2가지 조건하에서 섬유의 강직성을 증가시키는 화학적 수단에 의해 강화된 임의의 섬유를 의미한다. 이러한 수단은 섬유를 예컨대 피복시키고/시키거나 함침시키는 화학적 강화제의 첨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단은 섬유의 화학적 구조를, 예컨대 중합체 쇄의 가교결합에 의해 변형시켜서 섬유를 강화시킴을 포함한다.
또한, 포획/분포 코어(84)에 이용되는 섬유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예컨대, 가교결합제가 섬유에 적용되어, 적용 이후에 섬유내 가교결합이 화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교결합은 섬유의 강직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섬유를 화학적으로 강화시키기 위한 섬유내 가교결합을 이용함이 바람직하지만, 섬유의 화학적 강화를 위한 다른 유형의 반응을 배제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강화된 섬유에서, 화학적 가공은 가교결합제에 의한 섬유내 가교결합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섬유는 비교적 탈수, 세동제거된(즉, 개별화된), 꼬여있는 컬링 상태로 있다. 적합한 화학적 강화제는 산 작용기를 갖는 C2-8디알데하이드 및 C2-8모노알데하이드를 비롯한(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량체성 가교결합제를 포함하며, 이를 사용하여 가교결합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일 셀룰로즈 쇄에 있는 또는 단일 섬유의 셀룰로즈 쇄에 근접하게 위치해 있는 둘 이상의 하이드록실 그룹과 반응할 수 있다. 강화된 셀룰로즈 섬유의 제조에 사용될 것으로 고려되는 가교결합제는 글루타르알데하이드, 글리옥살, 포름알데하이드 및 글리옥실산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적합한 강화제는 폴리카복실레이트, 예컨대 시트르산이다. 폴리카복실 강화제 및 이로부터 강화된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1993년 3월 2일자로 헤론(Herron)에게 허여된 "Process for Preparing Individualized, Polycarboxylic Acid crosslinked Fiber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90,563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의 가교결합 효과는, 본 흡수제품에서 사용되는 동안에 꼬이고 컬링된 배치형태를 유지하기 쉬운 강화된 섬유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이 상기 참조로 인용된 특허에 언급되어 있다.
바람직한 이중 코어 시스템이 1993년 8월 10일자로 알레마니(Alemany) 등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Waist Feature and Enhanced Absorbency"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234,423호 및 1992년 9월 15일자로 영(Young), 라본(LaVon) 및 테일러(Taylor)에게 허여된 "High Efficiency Absorbent Articles For Incontinence Management"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47,345호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포획/분포 코어(84)는 미국 웨이어하우저 캄파니(Weyerhaeuser Co.)로부터 "CMC"라는 상품명으로 구입가능한, 화학적으로 처리되어 강화된 셀룰로즈 섬유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포획/분포 코어(84)는 약 40 내지 약 4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약 300g/㎡의 기본 중량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 몸통부(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시이트(24)와 포획/분포 코어(84) 사이에 포획/분포 층(82)을 추가로 포함한다. 포획/분포 층(82)은 상면시이트(24)의 표면이 습윤되는 경향을 감소시키는데 일조한다. 바람직하게, 포획/분포 층(82)은 6dtex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성되어 약 43g/㎡의 기본 중량을 갖게 제조된 카딩된, 수지 결합된 고로프트(hiloft) 부직물, 예컨대 미국 뉴저지주 랜디시빌 소재의 폴리머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노쓰 아메리카(Polymer Group, Inc., North America)로부터 코드번호 FT-6860으로 구입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포획/분포 층(82) 및 포획/분포 코어(84)에 대한 바람직한 예가 1997년 10월 1월자로 공개된 EP 0 797 968 A1호(쿠르트(Kurt)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면시이트(24)는 바람직하게는 순응적이며 촉감이 부드럽고 착용자 피부에 비자극성이다. 또한, 상면시이트는 액체(예: 뇨)가 그 두께를 쉽게 투과하도록 하는 액체 투과성이다. 적합한 상면시이트(24)가 광범위한 물질, 예컨대 직물과 부직물; 중합성 물질, 예컨대 천공된 성형 열가소성 필름,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및 하이드로포밍된 열가소성 필름; 다공성 포움; 망상구조 포움; 망상구조 열가소성 필름; 및 열가소성 스크림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적합한 직물 및 부직물이 천연 섬유(예: 목재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예: 중합성 섬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 또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조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면시이트(24)는 바람직하게는 상면시이트(24)를 통과하여 흡수코어(25)에 봉쇄된 액체가 착용자 피부로부터 떨어져 있도록(즉, 재습윤을 방지하도록) 소수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면시이트(24)가 소수성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 적어도 상면시이트(24)의 상부 표면은 친수성이도록 처리되어서 액체는 상면시이트를 보다 신속하게 통과한다. 이는 신체 분비물이 상면시이트를 통해 빨아들여져서 흡수코어(25)에 흡수되지 않고 상면시이트(24)에서 새어나오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상면시이트(24)는 계면활성제로 처리함으로써 친수성으로 될 수 있다. 상면시이트(24)를 계면활성제로 처리하는 적합한 방법은 상면시이트(24) 물질을 계면활성제로 분무하는 것과 상기 물질을 계면활성제에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처리 및 친수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1991년 1월 29일자로 레이징(Reising) 등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s with Multiple Layer Absorbent Layer"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988,344호 및 1991년 1월 29일자로 레이징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s with Rapid Acquiring Absorbent Cor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988,345호에 포함되어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면시이트(24)는 표면 습윤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어서 습윤된 후에는 코어(25)에 의해 흡수된 뇨가 착용자 피부로부터 떨어져 있게 조장하는 부직 웹이다. 바람직한 상면시이트 물질중 하나는 미국 사우쓰 캐롤라이나주 심슨빌 소재의 화이버웹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Fiberweb North America, Inc.)로부터 코드번호 P-8로서 구입가능한 열결합된 카딩된 웹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상면시이트 물질은 일본의 하빅스 캄파니(Havix Co.)로부터 코드번호 S-2355로서 구입가능하다. 이 물질은 두 층의 복합 물질이며, 합성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이성분 섬유 2종류로부터 카딩 및 송풍 기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다른 바람직한 상면시이트 물질은 독일 구로나우 소재의 아모코 패브릭스 인코포레이티드(Amoco Fabrics, Inc.)로부터 코드번호 프로플리스 스타일(Profleece Style) 040018007로서 구입가능한 열결합된 카딩된 웹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면시이트(24)는 허리 가장자리(152)를 따라 및/또는 풀온형 가멘트(20 또는 120)의 다른 부분에 통풍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설계/가공 관점에서 풀온형 가멘트(20 또는 120)에 사용되는 다른 물질(예: 배면시이트(22)에 있는 구성요소 물질)과 상용가능해야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상면시이트(24)는 천공된 성형 필름을 포함한다. 천공된 성형 필름이 상면시이트(24)에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필름이 신체 분비물에 투과성이지만 비흡수성이고 액체가 다시 역류하여 착용자 피부를 재습윤시키는 경향이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체와 접촉해 있는 성형 필름의 표면은 건조한 채로 있으며, 이에 의해 신체가 더러워지는 현상이 줄어들고 착용자에게 보다 안락한 느낌을 제공한다. 적합한 성형 필름이 1975년 12월 30일자로 톰슨(Thompson) 등에게 허여된 "Absorptive Structures Having Tapered Capillari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3,929,135호, 1982년 4월 13일자로 뮬란(Mullane) 등에게 허여된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Stain Resistant Topsheet"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324,246호, 1982년 8월 3일자로 라델(Radel) 등에게 허여된 "Resilient Plastic Web Exhibiting Fiber-Like Properti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342,314호, 1984년 7월 31일자로 아르(Ahr) 등에게 허여된 "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lastic Web Exhibiting Non-Glossy Visible Surface and Cloth-Like Tactile Impression"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463,045호 및 1991년 4월 9일자로 베어드(Baird)에게 허여된 "Multilayer Polymeric Film"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006,394호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배면시이트(22)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불투과성 필름(68)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액체 불투과성 필름(68)은 전방 영역(26), 후방 영역(28) 및 가랑이 영역(30)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액체 불투과성 필름(68)은 귀형 패널(46, 48)중 하나 이상까지 측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액체 불투과성 필름(68)은 신체 대향 표면(79) 및 외부 대향 표면(77)을 갖는다. 액체 불투과성 필름(68)은 액체(예: 뇨)에 대해 불투과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제작된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은 증기가 가멘트(20)로부터 빠져나가게 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이 액체 불투과성 필름(68)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은 일본 나고야 소재의 미츠이 토아츠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Mitsui Toatsu Chemicals, Inc.)에 의해 제작되어 PG-P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일회용 테이프(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배면시이트(22)의 외부 표면에 부가적으로 연결되어, 풀온형 가멘트가 더러워진 후에 편리하게 처분되도록 한다.
액체 불투과성 필름(68)에 적합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비롯한, 약 0.012㎜(0.5밀) 내지 약 0.051㎜(2.0밀)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이다. 바람직하게, 액체 불투과성 필름은 약 5 내지 약 35g/㎡의 기본 중량을 갖는다. 그러나, 그 밖의 가요성 액체 불투과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본원에서, "가요성"은 순응적이고 착용자의 일반적인 형태 및 윤곽에 쉽게 맞추어지는 물질을 말한다.
바람직하게, 배면시이트(22)는 라미네이트(즉, 배면시이트(22))를 형성하도록 액체 불투과성 필름(68)의 외부 대향 표면과 연결된 부직 외부 커버(74)를 추가로 포함한다. 부직 외부 커버(74)는 가멘트(20)의 가장 바깥쪽 부분에 위치하며, 가멘트(20)의 가장 바깥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부직 외부 커버(74)는 가멘트(20)의 가장 바깥쪽 부분의 거의 전체 면적을 덮는다. 부직 외부 커버(74)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부착 수단에 의해 액체 불투과성 필름(68)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부직 외부 커버(74)는 균일한 연속 접착층, 패턴화된 접착층, 접착제의 분리된 선, 나선 또는 점의 어레이에 의해 액체 불투과성 필름(68)에 고정될 수 있다. 적합한 접착제는 일본 오사카 소재의 니타 핀들리 캄파니 리미티드(Nitta Findley Co., Ltd.)로부터 구입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 및 일본 오사카 소재의 에이치.비.풀러 재팬 캄파니 리미티드(H.B.Fuller Japan Co., Ltd.)로부터 JM-6064으로서 구입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부직 외부 커버(74)는 카딩된 부직 웹, 예컨대 일본 기후 소재의 하빅스 캄파니 리미티드로부터 E-2341로서 구입가능한 웹이다. 부직 외부 커버(74)는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의 이성분 섬유로 제조된다. PE/PP 비는 약 50/50이다. PE/PP 이성분 섬유는 2d x 51㎜ 치수를 갖는다. 또 다른 바람직한 카딩된 부직 웹은 일본 모리야마 소재의 치소 코포레이션(Chisso Corp.)으로부터 구입가능하다. 또한, 부직 외부 커버(74)는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의 이성분 섬유로 제조된다. PE/PP 비는 약 50/50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부직 웹은 스펀결합된 부직 웹, 예컨대 일본 도쿄 소재의 미츠이 페트로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로부터 구입가능한 것이다. 부직 웹은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의 이성분 섬유로부터 제조된다. PE/PP 비는 약 80/20이다. PE/PP 이성분 섬유는 약 2.3d의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배면시이트(22)는 허리 가장자리(152)를 따라 통풍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및/또는 풀온형 가멘트(20 또는 120) 내에 솔기(32)를 형성하기 위해, 설계/가공 관점에서 풀온형 가멘트(20 또는 120)에 사용되는 다른 물질(예: 상면시이트(24)의 구성요소 물질)과 상용가능해야 한다.
배면시이트(22)는 흡수코어(25)의 외부 대향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부착 수단에 의해 상기에 연결된다. 예컨대, 배면시이트(22)는 균일한 연속 접착층, 패턴화된 접착층, 또는 접착제의 분리된 선, 나선 또는 점의 어레이에 의해 흡수코어(25)에 고정될 수 있다.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파울 소재의 에이치.비.풀러 캄파니에서 만족스러운 것으로 밝혀진 접착제를 제조하며, HL-1358J로서 시판된다. 개방 패턴 망상구조의 접착제 필라멘트를 비롯한 임의의 적합한 부착 수단의 예가 1986년 3월 4일자로 미네톨라(Minetola) 등에게 허여된 "Disposable Waste-Containment Garment"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573,986호에 개시되어 있다. 나선 패턴으로 말린 여러 선의 접착제 필라멘트를 비롯한 그 밖의 적합한 부착 수단이 1975년 10월 7일자로 스프라그 주니어(Sprague J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11,173호, 1978년 11월 22일자로 지엑커(Zieck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85,996호 및 1989년 6월 27일자로 웨레닉쯔(Werenicz)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42,666호에 보여진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예시된다. 다르게, 부착 수단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열 결합, 압력 결합, 초음파 결합, 동적 기계적 결합,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착 수단, 또는 이러한 부착 수단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흡수코어(25)는 전방 영역(26)과 후방 영역(28)에 보다 큰 신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면시이트(22) 및/또는 상면시이트(24)에 연결되지 않는다.
풀온형 가멘트(20)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및 다른 신체 분비물의 봉쇄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탄성화 다리 커프스(52)를 추가로 포함한다. 탄성화 다리 커프스(52)는 다리 영역에서 신체 분비물이 누수되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여러 상이한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 커프스는 다리 밴드, 측부 플랩, 차단 커프스, 탄성 커프스 또는 가스켓 커프스일 수 있고, 때때로 이와 같이 불리기도 한다.) 1975년 1월 14일자로 부엘에게 허여된 "Contractable Side Portions for Disposable Diaper"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3,860,003호는 탄성화 다리 커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측부 플랩과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를 갖는 수축가능한 다리 개구부를 제공하는 일회용 기저귀를 개시하고 있다. 1990년 3월 20일자로 아지쯔(Aziz) 등에게 허여된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Flap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909,803호는 다리 영역에서의 봉쇄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기립형" 탄성화 플랩(차단 커프스)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개시하고 있다. 1987년 9월 22일자로 로손(Lawson)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Cuff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95,278호 및 1989년 1월 3일자로 드라구(Dragoo)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 Having Leakage-Resistant Dual Cuff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795,454호는 가스켓 커프스와 차단 커프스를 포함한 이중 커프스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개시하고 있다. 1987년 11월 3일자로 부엘에게 허여된 "Disposable Waist Containment Garment"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704,115호는 가멘트내에 유리 액체를 봉쇄하도록 측부-가장자리의 누수-가드형 거터 배치형태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또는 뇨실금자용 가멘트를 개시하고 있다.
각각의 탄성화 다리 커프스(52)가 전술된 임의의 다리 밴드, 측부 플랩, 차단 커프스 또는 탄성 커프스와 유사하도록 배치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탄성화 다리 커프스(52)는 전술한 미국 특허 제 4,695,278호와 미국 특허 제 4,795,454호에 기재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탄성 스트랜드(64)를 갖는 탄성 가스켓 커프스(6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탄성화 다리 커프스(52)는 전술된 미국 특허 제 4,909,803호에 기재된 차단 플랩(56) 및 이격 수단(58)을 각각 포함하는 내부 차단 커프스(54)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온형 가멘트(20)는 바람직하게는 정합성과 봉쇄성을 개선시키는 탄성화 허리밴드(50)를 추가로 포함한다. 탄성화 허리밴드(50)는 착용자의 허리에 동적으로 정합되도록 탄성에 의해 확장 및 수축하게 되어 있는 풀온형 가멘트(20)의 부분 또는 대역이다. 탄성화 허리밴드(50)는 바람직하게는 풀온형 가멘트(20)의 허리 가장자리로부터 종방향 바깥쪽으로 흡수코어(25)의 허리 가장자리 쪽을 향해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풀온형 가멘트(20)는 2개의 탄성화 허리밴드(50)를 갖는데, 1개는 후방 영역(28)에 위치하고 다른 1개는 전방 영역(26)에 위치하지만, 탄성화 허리밴드 1개를 갖는 다른 풀온형 기저귀 양태를 제작할 수 있다. 탄성화 허리밴드(50)는 1985년 5월 7일자로 키에빗트(Kievit) 등에게 허여된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ally Contractible Waistband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515,595호 및 부엘에게 허여된 상기 미국 특허 제 5,151,092호에 기재된 것을 비롯한 수많은 상이한 배치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허리밴드(50)는 "예비인장된" 또는 "기계적으로 예비인장된"(즉, 물질을 영구 신장시키기 위해 국부 패턴에 기계적 신장이 일정 정도로 가해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깊은 엠보싱 기법을 사용하여 예비인장될 수 있다. 다르게, 상기 물질은 1994년 7월 19일자로 부엘 등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Feature Having A Portion Mechanically Prestrained"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30,45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점증적 기계적 신장 시스템에 물질을 통과시킴으로써 예비인장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물질을 실질적으로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시켜서, 적어도 초기 신장점 이하로 신장가능한 제로(0) 변형 신장 물질을 형성시킨다. 제로 변형 물질의 예는 1937년 3월 30일자로 갈리간(Gallig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2,075,189호, 1962년 3월 13일자로 하우드(Harwood)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025,199호, 각각 1978년 8월 15일과 1980년 6월 24일자로 시슨(Sis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107,364호와 미국 특허 제 4,209,563호, 1989년 5월 30일자로 사비(Sabee)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34,741호 및 1992년 9월 29일자로 부엘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51,09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귀형 패널(45, 46 및 48)중 하나 이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70)를 포함한다. 전방 귀형 패널(46)의 탄성 부재(70)는 착용자의 허리 및 측부 영역에 최적의 보유력(또는 지속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우수한 정합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몸통부(41)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엘라스토머성 물질(124)(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착용자 피부에 홍반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풀온형 가멘트(20)가 신체상의 제 위치로부터 늘어지거나 처지거나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데 최적인 보유력(또는 지속력)을 발생시키도록 한 방향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으로 신장성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귀형 패널(45, 46 및 48) 각각은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70)는 적어도 측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신장성이도록 귀형 패널(45, 46 및 48)의 부직 웹(72, 74)중 하나 이상에 조작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탄성 부재(70)는 실질적으로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제로 변형) 상태로 있으면서, 부직 웹(72, 74)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둘다에 고정됨으로써 부직 웹(72, 74)에 조작가능하게 연결된다.
탄성 부재(70)는 불연속적인 결합 배치형태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인 결합 배치형태를 이용하여 부직 웹(72, 74)에 조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원에서 "불연속적으로" 결합된 라미네이트 웹은 겹(ply)들이 불연속적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초기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웹 또는 겹들이 불연속적으로 이격된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은 라미네이트 웹을 의미한다. 반대로, "실질적으로 연속되게" 결합된 라미네이트 웹은 겹들이 접촉 영역 전체에서 처음에 서로에 실질적으로 연속되게 결합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웹을 의미한다. 비탄성 웹이 파열되지 않고 연신 또는 권축되도록 신장성 라미네이트의 전체 또는 상당 부분에 걸쳐 신장성 라미네이트가 결합되어 있고, 신장성 라미네이트의 층이 점증적인 기계적 신장 조작이후에 층 전체가 서로에 비교적 밀접하게 부착되도록 유지되는 배치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신장성 라미네이트의 탄성 패널 부재 및 다른 겹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연속되게 결합된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선택된 접착제는 약 7.0g/㎡의 기본 중량으로 조절 피복 분무 패턴(control coat spray pattern)으로 적용된다. 접착제 패턴의 너비는 약 6.0㎝이다.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일본 오사카 소재의 니타 핀들리 캄파니 리미티드로부터 H2085F 상품명으로 구입가능한 접착제이다. 다르게, 신장성 라미네이트의 탄성 패널 부재 및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는 열 결합, 압력 결합, 초음파 결합, 동적 기계적 결합 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서로에 불연속적으로 또는 연속되게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70)가 부직 웹(72, 74)중 하나 이상에 조작가능하게 연결된 후에, 비탄성 구성요소, 예컨대, 부직 웹(72, 74)을 영구적으로 연신시키기에 충분한 기계적 신장을 수득된 복합 신장성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일부에 가한다. 이어서, 복합 신장성 라미네이트가 실질적으로 장력을 받지 않은 상태로 돌아오게 한다. 이에 의해, 귀형 패널(45, 46 및 48)중 한 쌍 이상, 바람직하게는 둘다를 "제로 변형" 신장성 라미네이트로 성형한다. (다르게, 탄성 부재(70)는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조작가능하게 연결된 후 이에 기계적 신장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는 "제로 변형" 신장성 라미네이트 만큼 바람직하지는 않다.) 본원에서 "제로 변형" 신장성 라미네이트란 실질적으로 장력을 받지 않은("제로 변형") 상태에서 동시 연장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서로에 고정된 두 겹 이상의 물질로 구성된 라미네이트를 말하며, 상기 겹중 한 겹은 신장가능하고 엘라스토머성인(즉, 가해진 장력이 제거된 후에는 장력을 받지 않은 치수로 거의 복구되는) 물질을 포함하고 두 번째 겹은 신장시에 적어도 어느 정도 영구적으로 연신되고 적용된 장력이 제거된 후에는 본래의 변형되지 않은 배치형태로 완전히 복구되지 않게 연신가능하다(그러나, 반드시 엘라스토머성이지는 않다). 이에 의해, 수득된 신장성 라미네이트는 처음 신장 방향으로 적어도 처음 신장점 이하까지는 탄성에 의해 신장성이다. 신장성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데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방법 및 장치는 상기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신장시키는 맞물림 파형 롤을 사용한다. 특히 바람직한 장치 및 방법이 1992년 12월 1일자로 웨버(Web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67,897호, 1990년 10월 20일자로 부엘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56,793호 및 1992년 9월 1일자로 웨버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43,697호에 개시되어 있다.
탄성 부재(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76)에 의해 액체 불투과성 필름(즉, 액체 불투과성 필름(68)) 각각의 가장자리(78)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접 고정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액체 불투과성 필름(68)은 전방 영역(26), 후방 영역(28) 및 가랑이 영역(30)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지만, 신장성 귀형 패널(45, 46 및 48)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각각까지로 측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 탄성 부재(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대향 표면(77)에서 액체 불투과성 필름(68) 각각의 가장자리(78)에 연결된다. 다른 양태에서, 탄성 부재(70)는 신체 대향 표면(79)(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서 액체 불투과성 필름(68) 각각의 가장자리(78)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착제(76)는 나선 아교 패턴으로 적용된다. 바람직한 태양에서, 접착제(76)는 무정형 결정화 구성요소를 갖는 가요성 접착제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접착제가 일본 오사카 소재의 니타 핀들리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H2085H으로 제조된다. 다르게, 탄성부재(70)는 열 결합, 압력 결합, 초음파 결합, 동적 기계적 결합 또는 이러한 부착 수단의 조합을 포함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결합 수단에 의해 액체 불투과성 필름(68)의 각각의 가장자리(78)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탄성 부재(70)는 제 1 표면(150), 및 제 1 표면에 대향되는 제 2 표면(152)을 갖는 엘라스토머성 물질(124), 및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제 1 표면(150)에 연결된 제 1 커버스톡층(122)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제 1 커버스톡층(122)은 예컨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160)에 의해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제 1 표면(150)에 연결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탄성 부재(70)는 접착제(164)에 의해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제 2 표면(152)에 연결된 제 2 커버스톡층(126)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탄성 부재(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대향 표면(77)에서 액체 불투과성 필름(68) 각각의 가장자리(78)에 연결된다. 다른 양태에서, 탄성 부재(70)는 신체 대향 표면(79)(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서 액체 불투과성 필름(68) 각각의 가장자리(78)에 연결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각종 크기, 형태 및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연속적인 편평한 층의 형태이다. 연속적인 편평한 층의 바람직한 형태는 스크림, 천공된(또는 세공이 형성된) 필름, 엘라스토머성 직물 또는 부직물 등을 포함한다. 연속적인 편평한 층은 귀형 패널에 적합하게 제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연속적인 편평한 층의 바람직한 형상은 직사각형과 사각형을 비롯한 사변형, 사다리꼴 및 다른 다각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서로에 연결되지 않은 불연속적인 스트랜드(또는 스트링)의 형태이다.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진 엘라스토머성 물질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기재의 스크림 물질, 천공된(또는 세공이 형성된) 탄성 필름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0.05㎜(0.002인치) 내지 약 1.0㎜(0.039인치)의 두께를 갖는 것이다. 엘라스토머성 물질(124)로 적합한 그 밖의 엘라스토머성 물질은 "생" 합성 고무, 천연 고무, 다른 합성 고무 포움, 다른 천연 고무 포움, 엘라스토머성 필름(열 수축성 엘라스토머성 필름을 포함함), 엘라스토머성 직조 또는 부직 웹, 엘라스토머성 복합물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시 확장된, 3차원 다공성 엘라스토머성 웹(172)이다. 웹(172)은 연속적인 제 1 표면(174)과, 제 1 표면(174)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불연속적인 제 2 표면(176)을 갖는다. 엘라스토머성 웹(172)은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중합성 층을 갖는 성형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층중 하나 이상은 엘라스토머 층(178)이고, 다른 층중 하나 이상은 실질적으로 엘라스토머성이 적은 피부 층(182)이다. 엘라스토머성 웹은 웹(172)의 제 1 표면(174)에서 다수의 제 1 세공(184)을 가지며, 상기 제 1 세공(184)은 제 1 표면(174)의 평면에서 연속적인 망상구조로 상호연결된 부재(186)에 의해 정의된다. 각각의 상호연결된 부재(186)는 그 길이를 따라 위로 오목한 형상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상호연결된 부재(186)는 웹의 제 2 표면의 평면에서 제 2 세공(188)을 형성하도록 실질적으로 동시에 종결된다. 제 1 세공(184)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및 제조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1997년 3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08/816,106호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다공성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이 트레데가 필름 프로덕츠(Tredegar Film Products)에 의해 X-25007로 제조된다.
100% 신장시의 제 1 사이클 신장력(FCEF100%), 200% 신장시의 제 1 사이클 신장력(FCEF200%), 50% 신장시의 제 2 사이클 회복력(SCRF50%) 및 10 내지 12시간후에 50%에서 지속되는 하중과 같은 측부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신장 특성이 일회용 가멘트의 성능에서 중요한 고려대상이다. 측부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바람직하게는 한정된 범위내에서 신장 특성을 갖는다. FCEF100% 및 FCEF200%는 일회용 가멘트의 적용/제거 동안에 전체적으로 인지되는 "신장성"의 측정치이다. 또한, 이들 2개 특성은 적용자(applicator)가 적합한 정도의 적용 신장성을 얻을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비교적 높은 FCEF100% 및 FCEF200%를 갖는 측부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일회용 가멘트를 착용자에 적용시키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일으킬 수 있다. 반면에, 비교적 낮은 FCEF100% 및 FCEF200%를 갖는 측부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적절한 정도의 신체 정합성/순응성을 이룰 수 없다. 또한, SCRF50%는 일회용 가멘트의 착용자에 대한 신체 정합성/순응성에 밀접하게 관련된다. 비교적 높은 SCRF50%를 갖는 측부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착용자의 피부에 홍반을 발생시키기 쉬우며, 사용 동안에 착용자를 불편하게 할 수 있다. 비교적 낮은 SCRF50%를 갖는 측부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기저귀를 착용자 신체상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또는 우수한 신체 정합성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10 내지 12시간후에 50%에서 지속되는 하중은 시간 경과에 따른 힘 감퇴를 측정한다. 이러한 힘 감퇴는 제한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당한 처짐이 일어난다.
FCEF100%, FCEF200% 및 SCRF50%의 값은 장력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장력 시험기는 상부 집게, 및 상부 집게 아래에 위치한 하부 집게를 포함한다. 상부 집게는 이동가능하며, 신장력을 측정하는 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하부 집게는 책상(또는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약 2.54㎝(1.0인치) 너비와 약 12.75㎝(5인치) 길이를 갖는 시험 표본(즉, 측정하려는 엘라스토머성 물질)을 준비하고, 유효 표본 길이(L)(즉, 게이지 길이)가 약 5.08㎝(2.0인치)이도록 상부 집게와 하부 집게 사이에 고정시킨다. 상부 집게를 통해 시험 표본에 신장력을 적용시킨다. 신장력을 시험 표본에 적용하지 않은 경우, 시험 표본은 원래의 길이(즉, 0% 신장)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력 시험기는 미국 매사츄세츠주 02021 캔톤 로얄 스트리트 100 소재의 인스트론 코포레이션(Instron Corporation)에서 코드번호 인스트론5564로서 구입가능하다.
도 8은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2개 사이클의 이력현상에 대한 신장력 및 회복력 곡선의 한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다. 곡선(E1)은 제 1 사이클에서의 신장력을 나타내지만, 곡선(R1)은 제 1 사이클에서의 회복력을 나타낸다. 곡선(E2)(점선으로 도시됨)은 제 2 사이클에서의 신장력을 나타내는 반면, 곡선(R2)은 제 2 사이클에서의 회복력을 나타낸다. 신장 특성과 회복 특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한다.
제 1 사이클에서, 초기 신장력을 약 23℃에서 50.8㎝/min(20인치/min)의 크로스헤드 속도로 시험 표본에 가하고, 30초동안 200% 신장시켜 고정시켰다. 이어서, 시험 표본을 동일한 속도로 본래 상태(즉, 0% 신장)로 이완시킨다. 시험 표본을 1분동안 자유롭게 놔둔 후 동일한 속도 및 조건에서 제 2 신장력(제 2 사이클을 위함)을 적용시킨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측부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FCEF100%는 약 100g/in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FCEF100%는 약 120 내지 약 220g/in,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지 190g/in이다. FCEF200%는 바람직하게는 약 160 내지 약 450g/in,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80 내지 약 300g/in,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240g/in이다. 측부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SCRF50%는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130g/in,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105g/in,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약 95g/in이다. 10 내지 12시간후에 50%에서 지속되는 하중은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130g/in,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105g/in이고,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약 95g/in이다.
도 6에 도시된 바람직한 양태에서, 엘라스토머성 스크림(124)은 다수의 제 1 스트랜드(125) 및 다수의 제 2 스트랜드(127)를 갖는다. 다수의 제 1 스트랜드(125)는 교차점(node)에서 소정의 각 α로 다수의 제 2 스트랜드(127)와 교차하여, 다수의 세공(132)을 갖는 그물형 개방 구조를 형성한다. 각각의 세공(132)은 둘 이상의 인접한 제 1 스트랜드와 둘 이상의 인접한 제 2 스트랜드에 의해 한정되어서, 세공(132)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또한, 예컨대 평행사변형, 사각형 또는 원형 아치 분절과 같은 다른 배치형태를 갖는 세공(132)도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스트랜드(125)와 제 2 스트랜드(127)는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실질적으로 서로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 각 α가 약 90。이도록 제 1 스트랜드(125)는 제 2 스트랜드(127)와 노드(130)에서 교차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스트랜드(125)와 제 2 스트랜드(127)는 교차점(90)에서 연결되거나 결합된다.
바람직한 엘라스토머성 스크림(124)은 미국 미네소타주 미네폴리스 소재의 콘웨드 플라스틱스 캄파니(Conwed Plastics Company)에서 XO2514로 제작된다. 이 물질은 구조물 방향(B)으로 약 12개의 탄성 스트랜드/in(즉, 제 1 스트랜드(125))를 가지며, 구조물 방향(D)으로 약 7개의 탄성 스트랜드/in(즉, 제 2 스트랜드(127))를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양태에서, 탄성 부재(70)는 제 1 커버스톡층(122)과 제 2 커버스톡층(126), 및 제 1 커버스톡층(122)과 제 2 커버스톡층(126)내에 위치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을 포함한다. 제 1 커버스톡층(122)은 내부 표면(122)과 외부 표면(144)을 갖는다. 제 1 커버스톡층(122)의 내부 표면(142)은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을 향해 있는 표면이다. 또한, 제 2 커버스톡층(126)은 내부 표면(146)과 외부 표면(148)을 갖는다. 제 2 커버스톡층(126)의 내부 표면(146)은 엘라스토머성 표면(124)을 향해 있는 표면이다. 또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은 2개의 편평한 표면, 즉, 제 1 표면(150)과 제 2 표면(152)을 가지며, 각각은 제 1 커버스톡층(122) 및 제 2 커버스톡층(126)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 1 표면(150)은 제 1 커버스톡층(122)의 내부 표면(142)과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편평한 표면이다. 제 2 표면(152)은 제 2 커버스톡층(126)의 내부 표면(146)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편평한 표면이다.
탄성 부재(70)에는 사용 전과 사용 동안에 기계적 신장이 가해지므로, 제 1 커버스톡층(122)과 제 2 커버스톡층(126)은 바람직하게는 파단시에 비교적 높은 연신성을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신장가능하거나 연신가능하며,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리하게(바람직하게는 전혀) 인열되거나 떼어짐없이 권축가능하다(그러나, 반드시 엘라스토머성일 필요는 없다). 또한, 제 1 커버스톡층(122)과 제 2 커버스톡층(126)은 바람직하게는 순응적이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착용자 피부에 비자극성이고, 제품에 직물 가멘트의 촉감 및 안락함을 제공한다. 제 1 커버스톡층(122)과 제 2 커버스톡층(126)에 적합한 물질은 광범위한 물질, 예컨대 플라스틱 필름,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천연 섬유(예: 목재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예: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의 조합물의 직조 또는 부직 웹; 또는 피복된 직조 또는 부직 웹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커버스톡층(122)과 제 2 커버스톡층(126) 각각은 동일한 압밀된(consolidated) 부직 물질이다. 예시적인 바람직한 부직 물질은 미국 사우쓰 캐롤라이나주 심슨빌 소재의 화이버웹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소프스판(Sofspan) 200으로 제작된다. 상기 물질은 압밀되기 전에 25g/㎡의 기본 중량을 가지며, 압밀된 후에는 약 63g/㎡의 기본 중량을 갖는다. 본원에서, "기본중량"은 편평한 웹 물질 1㎡의 중량이다. 다르게, 고 변형성 부직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 제 1 커버스톡층(122)과 제 2 커버스톡층(126)은 원하는 성능 요구조건, 예컨대 탄성 성능, 유연성, 가요성, 통기성 및 내구성이 충족된다면 동일한 물질일 필요는 없다. 본원에서 "압밀된 부직물"은 적은 힘하에서 구조물 방향(D)으로 연신될 수 있도록 기계적 장력하에 구조물 방향(D)으로 물질이 모아지거나 너비가 좁아지는 부직 물질을 의미한다.
도 7은 라미네이트(120)(즉, 탄성 부재(70))의 구조물 방향(B)이 관찰되도록 일부를 확대한 측부 단면을 나타낸다. 측부 고정 구역(A)이 발생되도록 라미네이트(120)가 결합되거나 고정될 때, 상기 라미네이트(120)는 해적층화와 크리프(creep)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동시에 고 탄성이고, 요구되는 성능 특징간의 상쇄 효과를 갖지 않으면서 모든 범주의 성능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제공함이 밝혀졌다. 측부 고정은 커버스톡층(122, 126) 사이에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을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 비드로 측부 접착시켜서 라미네이트 공정의 일부로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 측부 고정은 바느질, 열 밀봉, 초음파 결합, 니들 펀칭(needle punching), 대안적인 점착 공정에 의해 또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다른 대안은 엘라스토머성 커버스톡 구성요소를 적층시킨 후에 라미네이트 구조물의 층을 측부 고정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특히 라미네이트(120)는 착용자 및 소비자에게 매우 우수한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소비자가 부드러움을 중시하므로 중요하다. 종래의 라미네이트에서, 크리프를 없애려는 시도는 종종 허용되지 않을 정도의 부드러움 감소를 요구하였으며, 이는 종종 활성화능을 허용되지 않을 정도로 감소시켰다. 이는 이전의 상기 시도(크리프를 없애지 못함)가 결합을 강화시키기 위해 종종 전체적인 피복 패턴을 갖는 부가적인 용융 취입 접착제의 적용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라미네이트의 전반적인 강화라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바람직한 양태의 라미네이트는 소비자가 원하는 부드러운 느낌의 감소 및 활성화능의 감소없이 크리프를 제거한다.
도 7에서, 제 1 접착제(170)는 라미네이트 구조물(120)의 외부 가장자리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제 2 커버스톡층(126)의 내부 표면(146)에 적용된다. 제 1 접착제는 제 1 커버스톡층(122)의 내부 표면(142)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쉽게 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제 2 커버스톡층(126)의 적용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상기 패턴은, 이전에 공지된 라미네이트와 관련된 해적층화 및 크리프를 실질적으로 없애고 크리프 또는 해적층화없이 라미네이트(120)가 보다 많이 변형되도록 하는 측부 고정 대역(A)을 만든다. 또한, 제 1 접착제(170)를 라미네이트 구조물(120)의 가장자리 영역(180)에 한정시키면 라미네이트(120)의 신장성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커버스톡층(122, 126)의 인열이 방지됨이 또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 제 1 접착제(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비드(168) 형태로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제 1 접착제(170)는 무정형 결정화 구성요소를 갖는 가요성 접착제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접착제는 일본 오사카 소재의 니타 핀들리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H9224로서 제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라미네이트(120)는 제 2 접착제(164)를 포함한다. 제 2 접착제(164)는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제 2 표면(152)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는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제 1 표면(150)에 적용될 수 있다. 제 2 접착제(164)는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분무 패턴(166)으로 적용되며, 이에 의해 직선형 분무 적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보다 더 불연속적인 결합 점(167b)을 형성한다. 이론에 제한되지 않더라도, 제 2 접착제(164)의 대부분은 구조물 방향(D)으로 분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도 6). 따라서, 나선형 분무에 의해 매우 양호한 활성화 특성이 얻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원에서 "활성화"는 신장되는 능력을 말한다.
제 2 접착제(164) 층을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제 2 표면(152)상에 직접 분무하는 것이 제 2 접착제(164)를 대향(즉, 제 2) 커버스톡층(126)에 적용하는 것보다 더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제 2 접착제(164)가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의 표면에 잔류할 수 있는 임의의 잔여 가공제 또는 오일에 침투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러한 잔여 물질이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에 잔류하도록 방치되는 경우에는 접착제 결합이 약화될 수 있고, 따라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라미네이트 구조물(120)이 약화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잔여 물질이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 라미네이트(120)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결합은 제품을 소비자가 구입하기 전까지의 시간 사이에 약화될 수 있다.
나선형 접착제의 영역에서 라미네이트(120)의 박리값은 나선형(166)이 대향(즉, 제 2) 커버스톡층(126)에 적용되는 경우보다 엘라스토머성 물질(124)에 직접 적용되는 경우에서 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본원에서 "박리값"은 커버스톡 물질의 두 층(122, 126)을 서로 분리하는데 요구되는 힘의 양을 말한다. 전형적으로 박리값이 높을수록 전형적으로 사용 동안에 해적층화의 가능성이 적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 3 접착제(160)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커버스톡층(122)의 내부 표면(142)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3 접착제(160)는 엘라스토머성 접착제이다. 제 2 나선형 접착제의 적용(166)에 대해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접착제(160)는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분무 패턴(162)으로 적용되며, 이에 의해 직선형 분무 적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보다 더욱 불연속적인 결합 점(167a)을 형성한다. 이론에 제한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분무된 제 1 접착제(160)의 대부분은 구조물 방향(D)과 나란한 것으로 생각된다.
바람직하게, 제 2 접착제(160) 및 제 3 접착제(164)는 동일한 엘라스토머성 접착제이다. 제 2 접착제의 나선형 분무(162)와 제 3 접착제의 나선형 분무(166)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접착제는 일본 오사카 소재의 니타 핀들리 캄파니 리티미드에 의해 H2120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제 2 나선형 분무(162)와 제 3 나선형 분무(166) 각각의 부가량은 약 4 내지 약 12㎎/in2,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in2이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 및 양태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없이 당해 기술의 숙련자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제시됨을 이해한다.

Claims (10)

  1. 종방향 중심선,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상기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의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면시이트와 결합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기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가랑이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에서 가장자리 선을 갖는 몸통부(chassis); 및
    상기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에서 몸통부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을 각각 갖는 한 쌍 이상의 신장성 귀형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가장자리 선의 하나 이상이 미수축 상태의 가멘트에서 종방향 중심선으로부터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거리를 갖고,
    상기 귀형 패널이 2개의 다리 개구부와 1개의 허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응하는 가장자리 선을 따라 몸통부에 연결되어 있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disposable pull-on garment).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 이상의 귀형 패널이 전방 영역의 몸통부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신장성 전방 귀형 패널 및 후방 영역의 몸통부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신장성 후방 귀형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귀형 패널 각각이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을 가지며, 상기 가장자리 선 중의 하나 이상이 미수축 상태의 가멘트에서 종방향 중심선으로부터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거리를 갖고,
    2개의 다리 개구부와 1개의 허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응하는 가장자리 선을 따라 전방 귀형 패널과 후방 귀형 패널 각각을 연결하는 솔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
  3.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다리 개구부와 1개의 허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응하는 가장자리 선을 따라 몸통부와 귀형 패널을 각각 연결하는 솔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이 허리 개구부에 가장 근접한 부분에 있는 제 1 지점과 다리 개구부에 가장 근접한 부분에 있는 제 2 지점을 연결한 것으로 정의되며, 미수축 상태의 가멘트에서 종방향 중심선 쪽으로 치우쳐 있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
  5. 제 4 항에 있어서,
    미수축 상태의 가멘트에서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이, 다리 개구부 방향에서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종방향 중심선으로부터의 측방향 거리를 갖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 이상의 귀형 패널 각각이, 다리 개구부 방향에서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너비를 갖는 적어도 일부분을 갖는 편평한 엘라스토머성 물질을 포함하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솔기가 몸통부와 귀형 패널을 중첩 방식으로 연결시키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
  8. 제 6 항에 있어서,
    편평한 엘라스토머성 물질이 엘라스토머성 스크림인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
  9. 제 1 항에 있어서,
    귀형 패널중 하나 이상이 "제로 변형" 신장성 라미네이트("zero strain" stretch laminate)로부터 형성되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
  10. 종방향 중심선,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의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면시이트에 결합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상기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가랑이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에서 가장자리 선을 갖는 몸통부; 및
    상기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의 몸통부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 선을 각각 갖는 한 쌍 이상의 신장성 귀형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귀형 패널 각각이 상응하는 가장자리 선을 따라 몸통부에 연결되어 솔기선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2개의 다리 개구부와 1개의 허리 개구부를 형성하며,
    하나 이상의 솔기선이 미수축 상태의 가멘트에서 종방향 중심선으로부터 균일하지 않은 측방향 너비를 갖는
    일회용 풀온형 가멘트.
KR1020007013310A 1998-05-28 1998-05-28 신체 정합성을 개선시킨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 KR200100438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8/010851 WO1999060971A1 (en) 1998-05-28 1998-05-28 Disposable pant-type diaper having improved fitness to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847A true KR20010043847A (ko) 2001-05-25

Family

ID=22267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310A KR20010043847A (ko) 1998-05-28 1998-05-28 신체 정합성을 개선시킨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EP (1) EP1079780B1 (ko)
JP (1) JP2000513643A (ko)
KR (1) KR20010043847A (ko)
CN (1) CN1307460A (ko)
AR (1) AR019310A1 (ko)
AU (1) AU7801298A (ko)
BR (1) BR9815869A (ko)
CA (1) CA2330774C (ko)
DE (1) DE69816344T2 (ko)
EG (1) EG22438A (ko)
ES (1) ES2200347T3 (ko)
HU (1) HUP0102000A3 (ko)
ID (1) ID27573A (ko)
IL (1) IL139124A0 (ko)
PE (1) PE20000630A1 (ko)
TR (1) TR200003491T2 (ko)
WO (1) WO1999060971A1 (ko)
ZA (1) ZA9935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0108A (ja) * 1999-12-22 2001-06-26 Crecia Corp 完全パンツ型紙おむつ
JP3807924B2 (ja) * 2000-10-31 2006-08-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US6764478B2 (en) * 2001-06-29 2004-07-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highly extensible leg openings
US7056313B2 (en) 2001-12-20 2006-06-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esthetically improved side panels for disposable garmen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939335B2 (en) 2001-12-20 2005-09-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esthetically improved side panels for disposable garm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736350B2 (en) * 2002-12-30 2010-06-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ntainment flaps
US7604624B2 (en) 2003-05-30 2009-10-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overlapping absorbent assembly secured to front and back panels
US7150730B2 (en) 2004-03-01 2006-1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astenable pant-like disposable undergarment
JP5211378B2 (ja) * 2008-03-18 2013-06-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US9320657B2 (en) * 2014-03-31 2016-04-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interconnected waist and leg ban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0681A (en) 1985-05-31 1986-09-09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underpants having discrete outer seals
US4743241A (en) * 1986-04-15 1988-05-10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underpants
US4940464A (en) 1987-12-16 1990-07-10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incontinence garment or training pant
US5171239A (en) 1989-08-10 1992-12-15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s
MY109047A (en) 1990-10-31 1996-11-30 Kao Corp Disposable diaper
US5246433A (en) 1991-11-21 1993-09-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icized disposable training pa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350094B2 (ja) * 1992-05-22 2002-11-25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伸縮性サイドパネルを有する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US5569234A (en) 1995-04-03 1996-10-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pant
US5624425A (en) 1995-04-05 1997-04-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calized application of fine denier fibers onto a spunbonded web for optimization of leg cuff hydrophobicity in diapers and pads
JP3515834B2 (ja) 1995-08-02 2004-04-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5897545A (en) * 1996-04-02 1999-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omeric side panel for use with convertible absorbent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30774A1 (en) 1999-12-02
TR200003491T2 (tr) 2001-06-21
PE20000630A1 (es) 2000-09-22
EP1079780B1 (en) 2003-07-09
JP2000513643A (ja) 2000-10-17
HUP0102000A2 (hu) 2001-10-28
HUP0102000A3 (en) 2001-11-28
CN1307460A (zh) 2001-08-08
DE69816344D1 (de) 2003-08-14
EP1079780A1 (en) 2001-03-07
ZA993565B (en) 1999-11-29
BR9815869A (pt) 2001-04-24
WO1999060971A1 (en) 1999-12-02
EG22438A (en) 2003-02-26
ES2200347T3 (es) 2004-03-01
AU7801298A (en) 1999-12-13
CA2330774C (en) 2005-07-05
DE69816344T2 (de) 2004-06-03
AR019310A1 (es) 2002-02-13
IL139124A0 (en) 2001-11-25
ID27573A (id) 200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3848A (ko) 홍반에 대한 보호능이 개선된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 및그의 제조방법
JP5925412B2 (ja) 強く配向した成分繊維から形成された不織布層を含む弾性ラミネ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る使い捨て着衣
US6443940B1 (en) Disposable pant-type diaper having improved fitness to body
EP1124683B1 (en) Elastic laminates and disposable garment employing the same
KR20010043847A (ko) 신체 정합성을 개선시킨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
WO2000019950A1 (en) Disposable garment having elastic laminate including polystyrene thermoplastic elastomer and nonwoven layer containing polyester
JP3497515B2 (ja) 使用中における体への向上した適合を有している使い捨て衣類
WO2000019951A1 (en) Disposable garment having elastic laminate including nonwoven layer formed from highly oriented component fibers
EP1242024B1 (en) Disposable garment using nonwoven layer formed from highly oriented component fibers
KR20010034664A (ko) 탄성 부재 및 사용 동안에 가해진 응력에 대한 강도가향상된 일회용 가멘트
CA2345926A1 (en) Elastic laminates and disposable garment employing the same
MXPA00009429A (en) Elastic member and disposable garment having improved strength against stress applied during use
MXPA00011745A (en) Disposable pant-type diaper having improved fitness to body
MXPA00009428A (en) Elastic member and disposable garment having improved fitness to body during entire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