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044A - 유사한 임피던스를 갖는 말단 부분을 구비하는 2 열의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유사한 임피던스를 갖는 말단 부분을 구비하는 2 열의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044A
KR20010043044A KR1020007011909A KR20007011909A KR20010043044A KR 20010043044 A KR20010043044 A KR 20010043044A KR 1020007011909 A KR1020007011909 A KR 1020007011909A KR 20007011909 A KR20007011909 A KR 20007011909A KR 20010043044 A KR20010043044 A KR 2001004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terminals
connector housing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1595B1 (ko
Inventor
아추히토 노다
테추오 호시노
토시히로 니이쭈
테추야 아사카와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2001004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21Leaded components
    • H05K3/3426Leaded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lead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개선된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에 있는 두 개의 평행한 열에 배열된 일련의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는 상부 레벨 및 하부 레벨로 나누어진다. 상부 단자의 말단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의 후측부로부터 비스듬하게 하강하도록 아래로 구부려진 중간 부분을 구비하는 한편, 하부 단자의 말단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의 후측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상승하도록 위로 구부려진 중간 부분을 구비한다. 상부 열 및 하부 열 모두의 말단 부분이 동일한 전기 길이(eletrical length)를 갖도록, 상부 열 및 하부 열에 있는 단자의 중간 부분은 공통선을 따라 말단 부분의 납땜 말단 부분과 만난다. 또한, 두 열의 단자 중간 부분이 연결된 납땜 말단 부분과 만나는 곳보다 커넥터 하우징을 빠져 나오는 곳에서 표면적이 더 크게 되도록, 두 열의 단자 중간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테이퍼지거나(tapered) 플레어링(flared)된다. 또한, 이러한 테이퍼링은 커넥터 말단부의 원하는 임피던스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Description

유사한 임피던스를 갖는 말단 부분을 구비하는 2 열의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CONNECTOR WITH TWO ROWS OF TERMINALS HAVING TAIL PORTIONS WITH SIMILAR IMPEDANCE}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는 전기 장치에서, 신호 경로 전체의 임피던스에 일제히 영향을 주는 저항, 정전 용량, 및 인덕턴스(inductance)를 제어하기 위해, 이러한 신호에 대한 신호 경로가 최고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특히 신호 경로를 지나는 고주파 신호의 성능 저하를 막도록,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피던스는 그 구성으로 인해 전자 케이블 내에서 쉽게 제어될 수 있지만, 커넥터 전도 단자의 배치 및 구성 때문에, 커넥터 내에서 제어하는 하는 것은 더욱 힘들다. 단자의 형상 및 커넥터 하우징(connector housing)에 사용되는 유전체 재료뿐만 아니라, 단자의 간격 또한 고려해야 한다.
도 6은 절연된 하우징(51)에 장착된 다수의 단자(54)를 구비하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50)를 도시한다. 단자는 대향하는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두 개의 평행한 열(상부 및 하부로 도시됨)에 배열된다. 이러한 단자(54)는 커넥터 하우징(51) 내에 배치된 접촉 부분(미도시됨)과, 커넥터로부터 회로 기판에 납땜 장착 표면을 위한 위치까지 이어지는 말단 부분(52)을 구비한다. 상부 단자 및 하부 단자가 L자 형상, 즉 수직 다리 및 수평 발 연장부(vertical leg and foot extensions)를 형성하도록 구부려지므로, 이런 단자의 말단 부분(52)은 다른 말단 부분(tail section)(52a, 52b)을 구비한다. 수평 발 연장부(53)는 절연 하우징(51)의 바닥부(51a)와 동일 평면이 되게 배치되며, 그 결과 단자(54)가 회로 기판의 대향 포드(opposing pod) 또는 대향 트레이스(trace)에 납땜될 수 있도록, 수평 발 연장부(53)가 납땜 말단부로서 사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단자 및 하부 단자의 수직 말단 부분(52a, 52b)은 그 길이가 서로 다르다. 또한, 이런 두 길이의 차이는 상부 단자 및 이와 쌍으로 이루어진 하부 단자의 "전기 길이(electrical length)"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이런 커넥터를 통한 전송 경로로 이동하는 고주파 신호에 역효과를 일으킨다. 이런 종래의 구조는 신호가 커넥터를 빠져 나오는 단자의 임피던스에 있어서의 큰 변화를 촉진시킨다.
임피던스 변화의 차이를 줄이도록, 동일 길이를 구비하는 상부 단자 및 하부 단자의 말단 부분(52a, 52b)의 제작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단자 및 하부 단자의 말단 부분(52a, 52b)은 같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말단 부분(52a, 52b)이 커넥터 하우징(51)에서 두 개의 평행한 열로 배치되므로, 말단 부분은 하부 레벨 및 상부 레벨로부터 다른 수직 거리를 보상하기 위해 도시된 네 개의 다른 위치에서 구부려져야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부림 구조는 동일한 전기 길이의 단자 말단 부분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부림 구조는 일본 공개 특허 출원 번호 제 JP. 6-60946 호에서 개시된다.
이러한 커넥터의 단자 말단 부분(52a, 52b)의 길이를 같게 하는 것이 상기 단자 말단 부분을 통해 전송되는 고주파 신호에 역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러한 단자를 구부리고, 성형시키는데 필요한 작업은 복잡하며,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대해 동일 평면 관계가 되게 모든 단자 말단 단부를 접속시키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복잡한 많은 구부림 또는 직각 구부림에 의해 야기되는, 말단 부분 각각에서의 증가된 양의 스프링 백(spring back)에 기인한다. 이러한 유형의 구조는 단자 말단 단부가 인쇄 회로 기판에 있는 선택된 컨덕터(conductor)에 납땜될 수 있는 확실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고 커넥터에 개선된 전기적 특성을 제공하는 개선된 말단 단부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거의 같은 임피던스(impedance)의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커넥터 후방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1 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확대 부분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제 3 커넥터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6은 종래의 커넥터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다른 종래의 커넥터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단자 말단 부분이 같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단자 말단 부분이 회로 기판에 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 열의 단자가 동일한 전기 길이를 가지면서 단자 말단 부분의 구부림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에 있는 상부 열 및 하부 열에 배치된 2 열의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선된 임피던스 특징을 갖는 표면 장착 장치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접촉 부분과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말단 부분을 구비하는 다수의 전도 단자를 포함하며, 말단 부분 및 접촉 부분은 각각의 중간 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2 열의 단자에 있어서, 단자 말단 부분 및 중간 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기 길이를 가지며, 대향 방향으로 배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가 다수의 단자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는 개선된 전기 임피던스 특징을 커넥터에 제공하는 것이며, 단자는 적어도 두 개의 수평이면서 분리된 단자 열로 배치되며, 또한 제 1 열의 단자 중에 있는 각각의 분리된 단자가 제 2 열의 단자 중에 있는 다른 분리된 단자와 연관되도록, 단자는 2 열의 단자 사이에 분리된 단자 쌍으로 배열되며, 제 1 열의 분리된 단자는 아래를 향해 말단 부분으로 경사진 중간 부분을 구비하며, 제 2 열 단자 중의 분리된 단자는 위를 향해 말단 부분으로 경사진 중간 부분을 구비하며, 제 1 열에 있는 단자의 전기 길이가 실질적으로 제 2 열에 있는 단자의 전기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도록, 두 단자의 열의 대향된 경사 부분은 공통 선상을 따라 각각의 말단 부분과 만나며, 분리된 단자 쌍의 말단 부분의 임피던스와 실질적으로 같은 임피던스를 분리된 단자 쌍의 중간 부분을 따라 얻기 위해, 단자 중간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변하는 폭을 구비한다.
이러한 목적을 얻기 위해, 2 열 단자의 말단 부분이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면으로부터 빠져 나온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와 연결된 단자의 중간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면에 대해 비스듬히 구부려진다. 다수의 전도 단자는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다. 단자는 적어도 두 개의 구별되는 열로 배열된,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상부 열 및 하부 단자 열로 배열된 한 쌍의 분리된 단자 쌍을 포함하며, 상부 열에 있는 일 단자는 하부 열에 있는 특정 단자와 연관된다.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어진다. 상부 열 단자의 중간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면으로부터 상기 중간 부분이 이와 연결된 말단 부분과 만나는 곳까지 아래로 구부려지며, 하부 열 단자의 말단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면으로부터 위로 구부려진다. 상부 열 및 하부 열 단자 중간 부분은 공통 선상을 따라 상기 중간 부분과 연결된 말단 부분과 만난다. 단자 중간 부분의 이러한 구부러진 배치는 납땜 말단 부분을 커넥터 하우징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 관계가 되게 위치시키며, 이로써 납땜 말단 부분이 회로 기판 상의 선택된 컨덕터에 납땜되는 것을 허용한다.
적은 수의 구부림은 이루기 쉬우며, 또한 적은 수의 구부림은 각각의 단자 말단 부분에서의 스프링 백의 총량을 감소시킨다. 납땜 말단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의 바닥과 동일 평면이 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필요한 납땜이 납땜 말단 부분의 표면에 시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납땜 말단 부분은 인쇄 회로 기판에 있는 선택된 관통 홀에 삽입될 수 있고 납땜될 수 있는 수직 말단부일 수 있다.
중간 부분이 이와 연결된 말단 부분에 도달할 때까지, 중간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축소되는 단자의 단면적이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면 근처에서 더욱 크도록, 비스듬한 또는 경사진 단자 말단 부분의 각 부분은 이와 연결된 납땜 단자 부분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가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상부 열 및 하부 열의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과 유사한 임피던스를 갖게되며, 이로써 고주파 신호를 위한 전송 성능을 개선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확실히 인식될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 동안에, 첨부된 도면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진다.
이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커넥터(1)의 제 1 실시예는 절연 커넥터 하우징(2) 내에 장착된 다수의 전도 단자(3)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커넥터(1)는 대향 커넥터(미도시됨)와 짝이 되기에 적합한 매이팅 표면(mating face)(29)을 구비한다. 단자(3)는 상부 레벨 및 하부 레벨에서 일반적으로 평행한 두 열로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단자는 대향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커넥터 하우징(2)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어진다.
각각의 단자(3)는 다이를 이용하여 얇은 금속 박판을 스탬핑(stamping)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각각의 단자는 일 단부에 형성된 수 또는 암 접촉 부분(20)(도 2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됨), 상기 수 또는 암 접촉 부분(20)에 연속되는 중간 유지 부분(4), 타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중간 유지 부분(4)에 연속되는 말단 부분(5a, 5b)을 구비한다. 단자(3)가 커넥터 하우징(2)의 후측부(2b)에 형성된 선택된 단자 슬롯(21)에 삽입될 때, 단자(3)는 중간 유지 부분(4)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의 후측벽(2b)에 고정되며, 이로써 암 또는 수 접촉 부분이 커넥터 하우징(2)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허용한다. 동시에, 말단 부분(5a, 5b)이 커넥터 하우징(2)의 후방면(2b)으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진다(도 2 및 도 3의 오른쪽에 도시됨).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열 단자의 중간 부분(7a)은 또한 커넥터 하우징(2)의 후방면(2b)으로부터 돌출하며, 단자 상부 열의 중간 부분이 이와 연결된 말단 부분(5a)과 만나는 곳까지 아래를 향해 임의의 각도로{(커넥터 하우징(2)의 후방면(2b)에 대해 비스듬하게} 구부려진다. 이와 유사하게, 단자 하부 열의 중간 부분(7b)은 이와 연결된 말단 부분(5b)과 만나도록 위를 향해 구부려진다. 도 2에서 가장 잘 도시된 것처럼, 상부 및 하부 단자의 중간 부분이 위치하는 두 평면은 도 3에서 일반적으로 6으로 도시된 지점(O)에서 서로 교차한다. 또한, 이러한 지점(O)은 가로 방향으로 단자(3)로 이어지는 공통선으로도 간주되며, 이와 연결된 수직 다리 부분(8a, 8b)으로부터 중간 부분(7a, 7b)을 구분하게 한다.
상부 단자열의 말단 부분(5a)은 수직 다리(8a)와 수평 발(9a)을 갖는 일반적으로 L자 형상이다. 그리고 하부 단자의 말단 부분(5b)도 연결된 다리(8b)와 수평 발(9b)을 갖는 일반적으로 L자 형상이다. 장착 발(9a, 9b)은 동일 평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일반적으로 커넥터 하우징(2)의 바닥 면(bottom face)(2a)과 동일 평면에 있거나 커넥터 하우징(2)의 바닥 면(2a)의 바로 아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대향 전도 패드(opposing conductive pad)(25)를 가상선으로 도시된 회로 기판(26)에 부착하기 위한 납땜 말단부로서 작용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단자(3)는 함께 수직으로 짝을 이뤄 사용되며, 각각의 단자 쌍은 다른 쌍의 단자와 동일한 특징을 갖는 임피던스를 갖는다. 이렇게 짝을 이룸으로써, 상부 단자 열의 단일 단자(5a)는 하부 단자 열의 단일 단자(5b)와 관련된다. 그 결과, 이러한 단자 쌍은 대향 커넥터(미도시됨)에 의해 다른 전자 구성 요소 또는 장치의 차동 쌍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러한 단자 쌍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각각 오프셋(offset)된다.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한 또는 경사진 연장부(7a, 7b)는 중간 부분이 말단 부분과 만나는 도 2의 6으로 도시된 곳에서 생기는 말단 부분(5a, 5b)의 폭이 될 때까지 가늘어지거나,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폭(W)을 가진다. 쌍으로 이루어진 단자의 특징적인 임피던스는 단자간 거리에 비례하며 및 마주하는 단자 면적에 역으로 비례하여 변한다.
그래서, 단자(3) 각각의 중간 부분 및 말단 부분이 세 곳의 다른 위치에서 구부려지지며, 상기 각도 중 하나의 각도는 둔각임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도 7에 도시된 단자와 비교해 더 복잡한 구부림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더욱이, 적은 수의 구부림은 도 7의 공지된 단자 구조와 비교할 때 스프링 백의 양을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쓰이는 스프링 백은 금속 형상이 구부려질 때 발생하는 대부분의 금속이 갖는 고유의 특성이다. 재료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스프링 백"의 경향을 갖는다. 각각의 구부림이 이와 연관된 스프링 백을 갖게되므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선행 기술 분야의 단자와 같이, 단자에서 구부림이 많을수록, 허용 오차{즉, 평평한 말단 부분(9a, 9b)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넥터의 스프링 백 감소는 납땜 말단부(9a, 9b)가 커넥터(2)의 바닥면(2a)과 동일 평면에 놓일 가능성을 증가시키며, 그 결과 납땜 말단부(9a, 9b)가 회로 기판(26)의 선택된 컨덕터(25) 상에 정확히 위치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 결과,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납땜이 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단자 쌍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의 임피던스를 가지며, 그 결과 본 발명의 커넥터를 이용한 전송 라인(transmission line)에는 전송 라인을 따라 통과하는 고주파 신호의 반사 및 손실이 없을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커넥터는 차동 전선(differential wire) 쌍 또는 다른 차동 컨덕터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하다. 제공된 임의의 차동 쌍에 대해, 상기 쌍 중 제 1 컨덕터는 일 방향으로 전류를 보내는 한편, 상기 쌍 중 제 2 컨덕터는 다른 방향으로 등가의 전류를 보낼 것이다. 이런 전선 각각에서의 전류 흐름은 고유의 전자기 계(electromagnetic field)를 발생시킬 것이며, 상기 전류의 배향은 컨덕터를 통한 전류 흐름에 따라 달라진다. 이런 차동 쌍은 케이블, 및 도 1 내지 도 3의 커넥터와 전측면(1)에서 짝이 되는 대향 커넥터에 포함된다.
전류는 상기 전류가 대향 매이팅 커넥터와 연결된 차동 쌍에서 흐르는 것과 같은 방향으로 커넥터 단자(5a, 5b) 내에서 흐른다. 예를 들면, 상부 열의 좌측 단자가 출 전압(voltage out) 단자 또는 양극 단자를 구비할 수 있는 한 편, 이와 연결된 하부 단자는 회귀 전압(return voltage) 단자 또는 음극 단자일 수 있다. 어쨌든, 각각의 단자는 자기 계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자기 계는 서로 대향되며, 단자로부터 방사되는 방사물(emission)을 실질적으로 억제하도록 다른 자기계 상에서 중지 효과(canceling effect)를 가질 것이다. 이러한 지점에서 자기계의 전위가 0이므로, 이러한 중지 효과가 일어나는 선은 가상 "그라운드"(virtual "ground")라고 가정된다.
중간 부분의 각도는 말단 부분의 스프링 백을 감소시키는 것과, 단자를 동일 길이로 유지시키는 것을 모두 돕는다. 또한, 단자의 말단 부분은 같은 길이이므로, 단자 쌍(5a, 5b)은 동일한 전기 길이를 갖는다. 이것은 단자 쌍이 동일한 임피던스로 유지되는 것을 돕는다. 또한, 단자 중간 부분의 점점 줄어드는 폭은 단자 쌍이 동일한 임피던스로 유지되게 하는 기능을 돕는다. 단자 중간 부분(7a, 7b)은 커넥터 하우징 후방면 근처에서 그 폭이 더욱 크며, 단자 중간 부분이 말단 부분(8a-b, 9a-b)의 폭과 일치할 때까지, 점차 그 폭이 축소한다(도 3의 선형 축소로 묘사됨). 단자 중간 부분은 폭이 점점 가늘어지므로, 도 2에서 6으로 도시된 지점(O)까지, 단자 중간 부분 사이의 거리는 감소되어, 이제, 커넥터의 모든 단자가 나란하게 정렬되도록, 테이퍼(taper)가 없어지며, 중간 부분은 수직 다리 부분(8a, 8b)과 만난다.
점진적인 테이퍼링(tapering)을 포함하는 이러한 단자 구조의 효과는 단자의 임피던스가 지점(O)에서 유지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커넥터 후방면 근처에서 두 단자 중간 부분(7a, 7b)의 큰 폭, 이에 따른 큰 표면적에 부분적으로 기인하며, 상기 큰 표면적은 커넥터(2)의 후방면에 있는 단자 쌍의 정전 용량을 증가시킨다. 단자 중간 부분이 단자의 수직 다리(8a, 8b)와 만나는 지점(O)에 있는 레벨까지, 단자 중간 부분(7a, 7b)사이의 간격(및 단자 중간 부분의 폭)이 축소하므로, 이러한 정전 용량은 감소한다. 이러한 지점에서, 다리(8a, 8b) 및 발(9a, 9b)은 나란하게 정렬되어 더욱 가깝게 배치된다. 그 결과, 지점(O)에서 임의의 각도로 서로를 향하게 하면서, 단자(5a, 5b)의 중간 부분(7a, 7b)을 따라 단자의 폭을 테이퍼링하거나, 플레어링(flaring)함으로써, 단자의 특징적인 임피던스는 실질적으로 같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다.
위에서 기술된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2)의 바닥(2a)과 동일 평면에 있는 납땜 말단부(9a, 9b)를 구비하며, 이로써 납땜 말단부(9a, 9b)가 인쇄 회로 기판에 있는 선택된 컨덕터 상에 납땜되는 것을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납땜 말단부는 L 형상의 다리-및-발 연장부를 대신해 수직 관통홀(throughhole) 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납땜 말단부가 접합을 위해 회로 기판에 있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변경에서, 각각의 말단 부분은 두 곳의 선택된 위치서만 구부려지며, 이로써 구부림에 대한 필요성을 더욱 감소시킨다.
말단 중간 부분의 테이퍼링은 도 3에 도시된 선형 테이퍼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도 4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테이퍼링은 안쪽으로 오목한 방식으로 이어지는 도면 번호 10으로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또는 곡선의 경로를 따라 플레어링된(flared) 구성을 또한 이룬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는 플레어링이 도면 번호 11을 따라 바깥쪽으로 볼록한 또는 밖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일어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순히 본 발명의 원리의 몇몇 적용을 설명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질 것이며, 본 발명의 참된 사상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른 테이퍼링 또는 플레어링 구조 및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6)

  1. 개선된 임피던스(impedance) 특성을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중간 몸체 부분에 의해 나누어진 매이팅 표면(mating face)과 장착 표면을 구비하며, 다수의 전도 단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는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단자 열로 배열되며, 상기 두 개의 분리된 단자 열 각각은 미리 결정된 거리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단자 열 각각은 연관된 단자 쌍을 한정하는 동 수의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 쌍 중 하나의 단자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열 중 하나의 열에 있으며, 상기 단자 쌍 중 다른 단자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 중 다른 열에 있는,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과,
    접촉 부분과 말단 부분을 포함하는 각각의 단자로서,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말단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몸체 부분으로부터 빠져 나오며, 상기 말단 부분은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하도록 맞추어진 납땜 말단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말단 부분은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납땜 말단 부분 사이에 삽입된 중간 말단 부분을 더 포함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말단 부분을 함께 만나는 각각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단자 열 중 상기 한 열의 상기 단자의 상기 중간 부분은 연결된 납땜 말단 부분을 향하는 제 1 평면에 있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장착 표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이어지고, 적어도 두 개의 단자 열 중 상기 다른 열의 상기 단자의 상기 중간 부분은 연결된 납땜 말단 부분을 향하는 제 2 평면에 있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장착 표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이어지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단자 열의 단자 말단 부분의 전체 전기 길이(electrical length)가 실질적으로 같게되도록, 상기 제 1 평면 및 상기 제 2 평면은 상기 두 개의 분리된 단자 열 모두의 상기 납땜 말단 부분과 일치하는 선을 따라 서로 엇갈리는 개선된 임피던스 특징을 갖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 열은 상부 및 하부 단자 열 각각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장착 표면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단자 열의 상기 단자 각각의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 후방면으로부터 상기 단자 말단 부분으로 변하는 폭을 갖는,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단자 열 각각의 상기 중간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후방으로 가늘어지는(tapered),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단자 열 각각의 상기 중간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후방으로 플레어링되는(flared),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단자 열 각각의 상기 단자의 상기 중간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변하는 표면적을 가지며, 상기 중간 부분의 표면적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 장착 표면 근처에서 크며, 상기 납땜 말단 부분 근처에서 작은,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 열의 상기 중간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선형으로 가늘어지는,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 열의 상기 중간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아치형으로 플레어링되는,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플레어(flare)는 오목형인,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플레어는 볼록 형인,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 갖는 커넥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납땜 말단 부분 각각은 장착 발(mounting foot)을 포함하며, 모든 상기 단자 납땜 말단 부분의 상기 장착 발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바닥면과 거의 동일 평면으로 배치되는,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장착 표면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은 아래로 향하며, 상기 제 2 방향은 위로 향하는,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중간 부분 각각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 장착 표면과 상기 연결된 단자 납땜 말단 부분 사이에서 이어지는,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단자 중간 부분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변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단자 중간 부분의 폭은 상기 납땜 말단 부분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으며, 상기 단자 중간 부분이 상기 커넥터 장착 표면에 접근할 때 넓어지는,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의 단자는 각각의 상부 및 하부 단자 열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장착 표면으로부터 빠져 나오며, 상기 상부 열에 있는 단자는 상기 하부 열에 있는 단자에 대해 오프셋되는(offset),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중간 부분의 상기 제 1 평면은 하향 평면이고 상기 단자 중간 부분의 상기 제 2 평면은 상향 평면이며, 상기 납땜 말단 부분은 상기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수직 다리 부분을 포함하는, 개선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
  16. 커넥터에 있어서,
    중간 커넥터 몸체 부분에 의해 나누어지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구비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 제 2 표면을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다수의 전도 단자로서, 상기 단자는 두 개의 분리된 단자 열에 배열되며, 상기 두 개의 분리된 단자 열은 단자의 상부 열 및 단자의 하부 열을 한정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제 2 표면을 따라 수직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단자 상부 열의 단자 각각은 상기 단자 하부 열에 있는 상응하는 단일 단자와 연관된 다수의 전도 단자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각각의 단자로서, 상기 단자 각각은 상기 커넥터를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맞추어진 말단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말단 부분이 함께 만나는,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말단 부분 사이에 삽입된 중간 부분을 더 포함하며, 단자 각각의 상기 중간 부분 및 상기 말단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각각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단자 열에 있는 상기 단자의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 제 2 표면에 대해 제 1 평면에서 임의의 각도로 아래로 이어지고, 상기 하부 단자 열에 있는 상기 단자의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 제 2 표면에 대해 제 2 평면에서 임의의 각도로 위로 이어지며, 상기 상부 열 및 상기 하부 열 모두에 있는 상기 단자의 상기 중간 부분이 이와 연결된 말단 부분과 각각 만나는 곳과 일치하는 범위를 따라, 상기 제 1 평면 및 상기 제 2 평면이 서로 교차하며,
    상기 상부 단자 열 및 상기 하부 단자 열에 있는 상기 단자 각각의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 제 2 표면과 이와 연결된 말단 부분 사이에서 이어지는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중간 부분 각각은 상기 중간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변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상부 단자 열의 중간 부분이 상기 하부 열 단자 중간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상기 단자 중간 부분의 폭은 상기 납땜 말단 부분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고 상기 단자 중간 부분이 상기 커넥터 제 2 표면에 접근할 때 그 폭이 넓어지며, 이로써, 상기 상부 열 및 상기 하부 열에 있는 상기 단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의 임피던스를 갖는 커넥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자 열 및 상기 하부 단자 열 각각의 상기 중간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후방으로 가늘어지는 커넥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자 열 및 상기 하부 단자 열 각각의 상기 중간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플레어링되는 커넥터.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자 열에 있는 상기 단자는 상기 하부 열에 있는 상기 단자에 대해 오프셋되는(offset) 커넥터.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자 및 상기 하부 단자 열 각각의 상기 중간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선형으로 가늘어지는 커넥터.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자 열 및 상기 하부 제 2 단자 열 각각의 상기 중간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아치형으로 플레어링되는 커넥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플레어(flare)는 오목형인 커넥터.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플레어는 볼록형인 커넥터.
  24.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말단 부분은 표면 장착 말단 부분인 커넥터.
  25.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구별되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구비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어지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 제 2 표면을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다수의 전도 단자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제 2 표면을 따라 서로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제 1 단자 열 및 제 2 단자 열로 배치된, 다수의 전도 단자와,
    접촉 부분 및 인쇄 회로 기판에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말단 부분을 포함하는 각각의 단자로서, 상기 단자 각각은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말단 부분이 함께 만나는,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말단 부분 사이에 삽입된 중간 부분을 더 구비하며, 각 단자의 상기 중간 부분 및 상기 말단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에배치된 각각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단자 열에 있는 상기 단자의 상기 중간 부분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 제 2 표면에 대해 제 1 평면에서 임의의 각도로 이어지고, 상기 제 2 단자 열에 있는 상기 단자의 상기 중간 부분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 제 2 표면에 대해 제 2 평면에서 임의의 각도로 이어지며, 제 1 및 제 2 평면은 상기 상부 단자 열 및 상기 하부 단자 열 모두에 있는 상기 단자의 상기 중간 부분이 이와 연결된 말단 부분과 각각 만나는 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범위를 따라 서로 교차하며,
    상기 제 1 단자 열 및 상기 제 2 단자 열에 있는 상기 단자 각각의 중간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 제 2 표면 및 이와 연결된 말단 부분 사이의 범위에 있는 길이를 가지며, 또한, 상기 중간 부분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변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상부 단자열 중간 부분이 상기 하부 단자 열 중간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단자 중간 부분의 폭은 상기 납땜 말단 부분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아지고, 상기 단자 중간 부분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 제 2 표면에 접근할 때 넓어지며, 이로써 상기 상부 단자 열 및 상기 하부 단자 열에 있는 상기 단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의 임피던스를 갖는 커넥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중간 부분의 상기 제 1 평면은 하향 평면이며, 상기 단자 중간 부분의 상기 제 2 평면은 상향 평면인 커넥터.
KR1020007011909A 1998-08-13 1999-08-11 유사한 임피던스를 갖는 말단 부분을 구비하는 2 열의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KR100591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42576 1998-08-13
JP10242576A JP2000067961A (ja) 1998-08-13 1998-08-13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044A true KR20010043044A (ko) 2001-05-25
KR100591595B1 KR100591595B1 (ko) 2006-06-20

Family

ID=1709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909A KR100591595B1 (ko) 1998-08-13 1999-08-11 유사한 임피던스를 갖는 말단 부분을 구비하는 2 열의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05941B1 (ko)
JP (1) JP2000067961A (ko)
KR (1) KR100591595B1 (ko)
CN (1) CN1144320C (ko)
DE (1) DE69930400T2 (ko)
MY (1) MY124414A (ko)
TW (1) TW430186U (ko)
WO (1) WO20000102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944B1 (ko) * 2011-10-11 2014-02-2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리드 프레임, 접점 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0209B1 (en) 1999-07-16 2001-08-2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improv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N100409503C (zh) 1999-07-16 2008-08-06 莫列斯公司 阻抗调谐的连接器
US6863549B2 (en) 2002-09-25 2005-03-08 Molex Incorporated Impedance-tuned terminal contact arrangement and connectors incorporating same
JP4684789B2 (ja) * 2005-07-29 2011-05-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のコネクタ
JP5220110B2 (ja) 2007-08-23 2013-06-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取付電気コネクタ
TWI417016B (zh) 2009-08-25 2013-11-21 Cyntec Co Ltd 表面黏著型電子元件
CN102036544B (zh) * 2009-09-30 2013-04-17 乾坤科技股份有限公司 表面黏着型电子元件
CN102117993B (zh) * 2009-12-30 2013-05-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8496486B2 (en) * 2010-07-19 2013-07-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ransceiver assembly
JP6452512B2 (ja) * 2015-03-18 2019-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224472A (ja) * 2016-06-15 2017-12-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基板用コネクタ
CN109066142B (zh) * 2018-08-08 2023-10-10 四川华丰科技股份有限公司 可同步装配的电源连接器
JP7240616B2 (ja) * 2020-09-24 2023-03-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2700A1 (de) * 1984-04-04 1985-10-1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rontsteckverbinder
US4628410A (en) * 1985-04-10 1986-12-09 Itt Corporation Surface mounting connector
US5201662A (en) * 1991-08-23 1993-04-1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5256085A (en) * 1992-11-05 1993-10-26 Foxconn International, Inc. Connector with improved ESD protection mechanism
US5281169A (en) * 1993-01-21 1994-01-25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944B1 (ko) * 2011-10-11 2014-02-2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리드 프레임, 접점 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595B1 (ko) 2006-06-20
TW430186U (en) 2001-04-11
CN1311909A (zh) 2001-09-05
JP2000067961A (ja) 2000-03-03
CN1144320C (zh) 2004-03-31
EP1105941A1 (en) 2001-06-13
WO2000010228A1 (en) 2000-02-24
DE69930400T2 (de) 2006-12-07
DE69930400D1 (de) 2006-05-11
EP1105941B1 (en) 2006-03-15
MY124414A (en) 200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230E1 (en) High speed bypass cable assembly
US7310875B2 (en) Connector for high-speed communications
KR100591595B1 (ko) 유사한 임피던스를 갖는 말단 부분을 구비하는 2 열의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US3980382A (en) Matched impedance coaxial cable to printed circuit board terminator
US5161987A (en) Connector with one piece ground bus
US7048567B2 (en) Edge card connector assembly with tuned impedance terminals
US6053751A (en) Controlled impedance,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CN107871987A (zh) 电连接器
US5046952A (en) Right angle connector for mounting to printed circuit board
US7632107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6783405B1 (en) Terminal for electric connector for communication apparatus
US9257793B2 (e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6394823B1 (en) Connector with terminals having increased capacitance
JP2008300130A (ja) 遊動型コネクタ
CN109193203B (zh) 电连接器
US7285025B2 (en) Enhanced jack with plug engaging printed circuit board
KR100421434B1 (ko) 향상된접지특성을가진전기커넥터
US6431882B1 (en) Connector with two rows of terminals having tail portions with similar impedance
US11855369B2 (en) Connector assembly
TWI755171B (zh) 連接器
US7938652B2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KR20180036572A (ko) 커넥터
CN117117570A (zh) 连接端子和电连接器
EP3101735A1 (en) Audio jack connector having compressive contacts
US20040018781A1 (en) Metal wir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