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041A - 작업장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장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041A
KR20010043041A KR1020007011904A KR20007011904A KR20010043041A KR 20010043041 A KR20010043041 A KR 20010043041A KR 1020007011904 A KR1020007011904 A KR 1020007011904A KR 20007011904 A KR20007011904 A KR 20007011904A KR 20010043041 A KR20010043041 A KR 20010043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discharge point
area
wall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터요르그
뷔닝토스텐
클렘트올라프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riority claimed from PCT/DE2000/000486 external-priority patent/WO2000051917A1/de
Publication of KR2001004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04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6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장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10, 10', 5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10, 10', 50)는 슈트(14, 14', 54)로서 형성된, 상기 재료(12)를 위한 저장 영역을 갖는다. 돌출형 인출 영역(18, 18', 58)을 구비한 배출 지점(16, 16', 56)이 상기 슈트(14, 14', 54)에 연결된다. 상기 슈트(14, 14', 54)와 배출 지점(16, 16', 56)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된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 지점(16, 16', 56)은 상기 슈트의 정면(36, 40, 76, 110)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형성을 통해 적은 부품만으로도 상기 장치(10, 10', 50)에서 많은 다양한 저장 용량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장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delivering material to work stations}
그와 같은 장치는 이미 독일 실용신안 제 73 37 769 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슈트로서 형성된 재료 저장 영역을 가지며, 돌출한 인출 영역과 재료 도싱 장치(material dosing device)가 있는 배출 지점이 상기 재료 저장 영역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슈트와 배출 지점은 하나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장치의 선택에 따라서, 이용하고자 하는 재료의 저장 용량 역시 정해지게 된다. 가능한 한 많은, 상이한 저장 용량에의 적응성을 얻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상당수의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부품 수의 증가라는 단점을 초래하게 된다.
작업장에 다수의 장치를 적층 배열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하측에 래치(latch)가 제공되며 상측에는 상기 래치가 걸리는 리세스가 제공된다. 그 때문에 다수의 장치는 적층 배열되고 편심적으로(offset)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래치와 리세스의 고정 간격 때문에 상기 장치의 편심 배열과 관련한 방법이 제한적으로만 실현될 수 있다.
슬라이더 형상의 재료 도싱 장치의 안내를 위해, 굽혀진 2개의 브래킷이 제공되고, 그 안에서 상기 재료 도싱 장치가 매우 잠깐 안내된다. 그 때문에 상기 재료 도싱 장치는 쉽게 기울어져, 그 취급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라 작업장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작업장에 재료의 공급을 위한 장치의 제 1 의 실시예의 확대 사시도,
도 2 는 제 2 의 실시예가 되는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 3 은 제 2 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의 사시도,
도 4 는 제 2 의 실시예에 따라서 장치의 적층된 다수의 슈트의 측면도,
도 5 는 도 4의 선 V-V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
도 6 은 제 2 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대한 또 다른 고정 방법,
도 7 은 적층 배열된 2개의 장치의 제 1 의 사시도,
도 8 은 도 7에 따라 적층 배열된 2개의 장치의 제 2 의 사시도,
도 9 는 도 7에 따라 상기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확대 사시도,
도 10 은 도 8에 따른 재료 도싱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독립항의 특징을 가지는 작업장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장점으로는 매우 많은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재들이 단지 적게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는 상기 슈트와 배출 지점이 탈착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 지점이 상기 슈트의 개구에 배열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상기 저장 용량이 정확하게 각각의 목적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작업장에서 그 공간이 최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알맞는 부품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후 보충의 필요성이 적고, 그 때문에 제조 시에 부수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용기는 별도로 미리 채워지고 슬라이더를 통해 문제없이 폐쇄될 수 있으며 이송될 수 있다. 슈트는 병렬 형태로도 적층 형태로도 배열될 수 있다. 수직 방향의 배열에서 다수의 용기가 장착되어 하나의 부품 사일로가 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슈트는 공구 없이도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동시에 적정량 공급(dosing)에 이용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재료가 더러워지는 것을 막는다.
상기 슈트가 압출된 프로파일 형상을 가지게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제조는 매우 경제적이다.
상기 슈트의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외측에 서로 대응하는 연장부와 언더컷된 홈이 형성되면, 간단하게 그리고 연속적으로 편심되어 다수의 장치가 적층 배열될 수 있다. 적층 배열되는 장치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나사형 홈 안에 고정되는 돌기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개별 요소들을 쉽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슈트의 코너 영역에서 나사형 채널이 제공되고 상기 배출 지점 및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가 나사에 의해 슈트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 지점은 돌출형 인출 영역과 프레임 형상의 영역을 가지며, 그의 코너 영역에 나사를 위한 오리피스가 제공된다.
재료 도싱 장치는 상기 배출 지점에 제공된 2개의 레일을 통해 양호하게 안내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재료 도싱 장치의 평평한 영역이 그 안에서 안내받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을 측면에서 제한하는 2개의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상기 레일을 형성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배출 지점에서 개구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배출 지점에 보어가 제공되고 재료 도싱 장치에 마디(knob)가 제공된다.
작업장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장점 및 유리한 구성은 종속항 및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된다.
본 발명의 2개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술된다.
도 1에는 작업장에 재료(12)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10)가 제 1 의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재료(12)는 작업장에서 조립에 이용되는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디스크, 또는 예를 들어 나사, 너트, 전자 부품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다. 상기 장치(10)에 상기 재료(12)를 위한, 슈트(14)로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저장 영역이 제공된다. 상기 슈트(14)의 횡단면은 실제로 각형인,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다른 형상의 횡단면도 가능하다. 상기 슈트(14)는 예를 들어 판금 제품으로서 또는 압출된 알루미늄 프로파일로서 또는 압출된 플라스틱 프로파일로서 제조된 반제품이다. 그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해진다. 그 외에도 상기 슈트(14)는 필요한 크기로 절삭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필요한 용량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슈트(14)의 벽두께는 상기 슈트(14)의 재질, 가능한 최대 길이 및 그 안에 저장될 재료(12)에 따라서 선택된다.
상기 슈트(14)에 상기 장치(10)의 또 다른 구성 요소로서 배출 지점(16)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 지점은 돌출형 인출 영역(18), 프레임 형상의 또는 슈트 형상의 영역(30) 및 바람직하게는 재료 도싱 장치(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18)과 상기 재료 도싱 장치(20)는 예를 들어 금속의 다이캐스팅 부재 및/또는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 부재로서 제조된다.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18)은 밑판(22)을 가지며, 상기 밑판에 상기 재료(12)가 머무르게된다. 상기 접근 영역(24)에, 즉 상기 재료(12)가 조립을 위해 인출되는 영역에,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세워진 벽(26)이 제공된다. 그 외에도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18)은 2개의 측벽(28)을 갖는다.
상기 배출 지점(16)의 프레임 형상 또는 슈트 형상의 영역(30)의 횡단면이 실제 각형인,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이다.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벽(32a, 32b)은 상기 밑판(22)의 측벽(28)으로 연속되어 있다. 상기 영역(30)의, 접근 영역(24)에 이격된 또 다른 벽(32c)은 둥근 영역을 거쳐 상기 밑판(22)으로 연속된다. 상기 벽(32c)에 마주하는 제 4 의 벽(32d)이 상기 밑판(22)에까지 내려오지는 않는다. 그 때문에 재료(12)가 상기 영역(30)으로부터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의 밑판(22)으로 미끄러져 갈 수 있는 개구(22)가 생긴다.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장치(10)의 비스듬한 배열을 통해 상기 재료(12)는 중력에 의해 상기 슈트(14)를 통해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18)으로 미끄러져 가고 경우에 따라서는 위를 향해 경사져 있는 벽(26)을 통해 멈추게 된다.
상기 벽(32d)에 상기 재료 도싱 장치(20)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벽(32d)에 리세스(20a)가 형성되고, 그 안에 슬라이더(20b)가 배열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개구(33)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0b)가 상기 리세스(20a)로부터 밖으로 당겨지면, 많은 재료(12)가 상기 개구(33)를 통해 나오고, 상기 슬라이더(20b)가 안으로 당겨지면, 그에 상응하게 적은 재료가 배출된다.
상기 영역(30)은 상기 인출 영역(18)의 밑판(22)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역(30)은 상기 슈트(14)의 개구 또는 정면에 배열된 개구 또는 정면(34)에서 끝난다. 상기 슈트(14)와 배출 지점(16)이 끼워질 수 있음이 장점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영역(30)의 정면쪽(34)에서 환형의 연장부(38)가 상기 영역(30)에 연속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슈트(14) 안에 끼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환형의 연장부(38)와 상기 슈트(14)가 압력 끼워 맞춤된다. 그러나 상기 슈트(14)와 배출 지점(16) 사이의 다른 연결 방법 역시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접착 결합, 용접 결합, 나사 결합, 리벳 결합 또는 기타의 결합이 있다.
상기 슈트(14)의 벽이 DE-GM 73 37 769에서처럼 형성되므로, 다수의 장치(10)가 적층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슈트(14)의 제 2 의 개구 또는 정면에 연결 부재(42)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42)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 지점(16)처럼 환형의 연장부(38)를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 부재(42)의 환형 연장부(38)가 상기 슈트(14) 안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 연장부(38)에 보충 깔때기(44) 및/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커버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충 깔대기(44)는, 재료(12)가 채워지고 상기 슈트(14)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실제 이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상기 슈트(14)와 배출 지점(16)은 별도의 부재로서 또는 탈착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 지점(16)은 하나 이상의 상기 슈트(14)의 정면들(36, 40) 중 어느 하나에 배열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슈트(14)는 반제품으로서 가변 길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슈트(14)와 상기 배출 지점(16)이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되면, 이는 불가능해진다.
도 2에는 작업장에서 재료의 제공을 위한 장치(50)가 제 2 의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재료는 작업장에서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디스크, 나사, 너트, 전기 부품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부품들이 될 수 있다. 상기 장치(50)는 슈트(54)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위한 저장 영역을 갖는다. 상기 슈트(54)는 각형인,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형상의 횡단면도 가능하다. 상기 슈트(54)는 예를 들어 판금 부재 또는 플라스틱 부재이다. 그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해진다. 상기 슈트(54)의 벽 두께는 상기 슈트(54)의 재질, 가능한 최대 길이 및 그 안에 저장될 재료에 따라서 선택된다.
상기 슈트(54)에 상기 장치(50)의 또 다른 구성 요소로서 배출 지점(56)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 지점은 돌출형 인출 영역(58)과 슈트(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근 영역(64)에, 즉 조립을 위해 재료가 인출되는 영역에, 위를 향해 경사진 벽(66)이 제공된다. 그 외에도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58)에는 2개의 측벽(68)이 제공된다.
상기 배출 지점(56)의 슈트 형상의 영역(70)은 실제 각형인,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벽(72a, 72b)이 상기 밑판(62)의 측벽(68)으로 연속된다. 상기 슈트 형상의 영역(70)의, 상기 접근 영역(64)에 이격된 또 다른 벽(72c)은 밑판(62)으로 연속된다. 상기 벽(72c)에 마주하는 제 4 의 벽(72d)은 상기 밑판(62) 아래로까지 내려가지 않는다. 그 때문에, 하나의 개구(73)가 생기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재료가 슈트 형상 영역(70)으로부터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58)의 밑판(62)으로 떨어진다. 이 때 상기 개구(73) 및 위를 향해 경사진 벽(66)은, 상기 밑판(62)에서 아래를 향해 미끄러져가는 재료가 상기 벽(66)에서 멈추도록, 형성된다.
상기 슈트 형상의 영역(7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58)의 밑판(62)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열된다. 슈트 형상의 영역(70)은 개구(74)에서 끝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슈트(54)의 정면 또는 개구(76)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슈트(54)와 상기 배출 지점(56)이 끼워질 수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처럼, 이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로서 형성된 다른 부재에 상기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80)이 상기 접근 영역(64)에 이격된 슈트(54)의 벽(78)의 외측(77)에 제공된다. 상기 수단(80)은 상하 배열되고 U-형상으로서 하향 개방된 2개의 리셉터클(84)을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슈트(54)의 외측(77)에 형성되고 2개의 연결 요소(85)를 갖는다.
U-형상의 리셉터클(84)은 병렬로 연장된 2개의 U-레그(86)를 가지며, 그 안에 언더컷(8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U-레그(86)의 상단부들 사이에 베이스 레그(90)가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 요소(85)는 디스크(92)를 가지며, 상기 디스크는 리셉터클(84) 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크(92)의 한 면(94)에 형성된 T-형상 연장부(96)를 갖는다. 상기 T-형상 연장부(96)를 통해 슬롯(98)은, 후크 형상의 2개의 연장부(100)가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T-형상의 연장부(96)의 후크 형상의 2개의 연장부(100)가 횡단면 상으로 상기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의 언더컷된 홈(102)에 일치하게 되고 그 안에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T-형상 연장부(96)의 후크 형상 연장부(100)는 상기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의 종방향 측면으로부터 또는 정면쪽으로부터 언더컷된 홈(102) 안에 삽입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의 언더컷된 홈(102) 안에 정확한 위치에 T-형상의 연장부(96)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형 핀(108)을 위한 횡보어(106)가 있는 하나 이상의 돌기(104)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에 상기 장치(50)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84) 각각에 연결 요소(85)가 배열된다. 그러므로, 전부 2개의 연결 요소(85)가 필요하다. 그 외에도 돌기(104)가 상기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의 언더컷된 홈(102) 안에 배열되고 나사형 핀(108)이 필요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장치(50)에 배열된 연결 요소(85)의, 상기 벽(78)의 외측(77)에 이격된 후크 형상의 연장부(100)가 상기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의 언더컷된 홈(102) 안에서 가이드된다. 이 경우 상기 후크 형상 연장부(100)는 먼저 언더컷된 홈(102)의 홈 네크(groove neck)의 측벽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 후크 형상 연장부(100)가 상기 언더컷된 홈(102)의 언더컷의 영역 안에 도달하면, 상기 연장부는 탄성 형상 때문에 밖으로 스냅된다. 상기 연결 요소(85)와 함께 상기 장치(50)는, 상기 연결 요소(85)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돌기(104)에 접할 때까지, 상기 홈(102) 안에서 이동된다.
그 대신에, 상기 연결 요소(85)의 T-형상 연장부(96)는 슬롯(98)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연결 요소(85)는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의 정면으로부터 언더컷된 홈(102)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에는 수직선 방향으로 정렬된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에서처럼 장치(50)의 다수의 슈트(54, 54', 54")가 가변의 저장 용량을 가지는 부품 사일로가 도시되어 있다. 일정수의 슈트(54, 54', 54")를 통해 상기 저장 용량은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개별 슈트(54, 54', 54") 각각이 도 3에서 설명한 바처럼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에 장착된다. 도면에서는 U-레그(86)만이 파악된다.
도 5에서 파악할 수있는 것처럼, 이 때 상기 슈트(54)의 제 2 의 정면 또는 개구(110)는 상기 제 2 의 슈트(54')의 제 1 의 개구(76)에 위치한다. 상기 제 2 의 슈트(54')의 제 1 의 개구(76)에 환형의 연장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는 제 1 의 슈트(54) 안에 삽입되고 거기에서 하나 이상의 용이한 압축 끼워 맞춤을 갖는다. 상기 제 1 의 슈트(54)는 환형의 연장부(112)에 의해 상기 배출 지점(56)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의 슈트(54')는 상기 제 1 의 슈트(54)의 제 2 의 개구(110)에 배열될 수 있는 연결 부재이다.
상기 슈트(54, 54', 54")는 상기 개구(76, 110)의 영역에서 잠금부(114)를 갖는다. 각각의 잠금부(114)는 이 경우 플레이트(116)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슈트(54)의, 상기 벽(78)에 마주하는 벽(120)에 있는 슬롯(118)에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슈트(54) 안에 형성된 레일(122)에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레일(122)은, 상기 개구(76, 110)가 상기 플레이트(116)의 측면 삽입을 통해 닫혀질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레일(122)은 상기 벽(120)과 벽(78) 사이에 연장된 벽(124) 안에 형성되어 있다.
도 6에는 장치(50)를 위한 또 다른 고정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는, 그 안에 배열된 2개의 연결 요소(85)가 상기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의 언더컷된 종방향 홈(102) 안에서 뿐만 아니라 장치(50)의 2개의 리셉터클(84) 안에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파일 형태의 양 바아(82)를 따라서 임의적으로 많은 장치(50)가 병렬 배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슈트(54)와 배출 지점(56)이 별도의 부재로서 또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부재로서 형성되며 상기 배출 지점(56)은 하나 이상의 슈트(54)의 2개의 개구(76, 110) 중 어느 하나에 배열될 수 있다. 그 때문에, 다수의 슈트(54, 54', 54")로부터 가변적인 저장 용량을 가지는 부품 사일로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슈트(54)와 배출 지점(56)이 일부재로서 형성된다면, 이는 불가능해질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양 장치(10')는 제 1 의 실시예와 유사하고 부분적으로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변형된 부재에는 프라임(')이 붙여졌다.
도 7에는 적층되어 있는 2개의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수의 장치(10')가 적층 배열될 수도 있다. 하측의 장치(10')가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장치(10')는 작업장에서 재료(12)의 제공에도 이용된다. 상기 재료(12)는 예를 들어 상기 도시된 디스크 또는 예를 들어 나사, 너트, 전자 부품 등과 같은 부재이다; 특히 수작업장에서 조립되는 소형 부품들이다.
상기 장치(10')는 슈트(14'), 배출 지점(16') 및 연결 부재(42')를 갖는다. 상기 배출 지점(16') 및 연결 부재(42')는 나사(125)에 의해 - 바람직하게는 자동 커팅되는 나사로 - 상기 슈트(14')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슈트(14)와 배출 지점(16) 사이에 다른 연결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착 결합, 용접 결합, 나사 결합, 리벳 결합 또는 기타의 결합이 있다.
슈트(14')로서 형성된 상기 재료(12)를 위한 저장 영역은 각형인,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외측 에지는 라운딩처리된다. 그러나 다른 형상의 횡단면도 가능해진다. 상기 슈트(14')는 예를 들어 압출된 알루미늄 프로파일 또는 압출된 플라스틱 프로파일로서 제조된 반제품이다. 그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해진다. 그 외에도 상기 슈트(14')는 필요한 크기로 절삭되므로 간단하게 상기 재료(12)에 대한 필요 용량이 얻어진다. 상기 슈트(14')의 벽 두께는 상기 슈트(14')의 재질, 가능한 최대 길이 및 그 안에 저장될 재료(12)에 따라서 선택된다.
상기 장치(10')를 안정되게 적층 배열하기 위해, 상기 슈트(14')의 마주하는 2개의 외측(126, 127)을 따라서 서로 상응하는 바람직하게는 T-형상인 연장부(128)와 언더컷된 홈(1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슈트(14')의 종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상기 외측(126)은 이 경우 상기 장치(10') 또는 상기 슈트(14')의 동작에 알맞는 배열에서 상측이고 상기 외측(124)은 하측이다. 조립을 위해 상기 제 1 의 장치(10')의 연장부(128)가 상기 제 2 의 장치(10')의 홈(129) 안에서 이동된다.
상기 외측(126)을 따라서 언더컷된 4개의 홈(129)이 제공된다. 상기 홈(129)의 종방향 중간 평면이 균일한 간격(aN)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외측(127)을 따라서 2개의 연장부(128)가 연장해 있고, 상기 연장부는 T-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홈(129) 안에 미끄럼 끼워맞춤를 갖는다. 상기 연장부(128)의 종방향 중간 평면의 간격(aF)은 3*aN이다. 그 이유는 폭이 다른 장치(10')로 크기가 다른 장치(10')의 박스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4개의 홈(129)을 가지는 도시된 장치(10')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2개의 장치(10')가 배열되고, 이들은 각각 절반의 폭을 가지며 그의 외측(127)에서 각각 2개의 연장부(128)가 상기 간격(aN)과 같은 간격(aT)으로 형성된다. 그의 외측(126)에, 간격(aN)의 종방향 중간 평면을 가지는 2개의 홈(129)이 제공된다. 상기 2개의 장치(10')에 예를 들어 도시된 종류의 장치(10')가 또 배열된다. 이와 같이 작업장에 대해 박스 종류가 다른, 서로 맞춰진 장치(10')가 조립되고, 이들은 안정된 결합을 형성한다.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바처럼, 적층 배열되는 장치(10')의 위치를 상기 홈(129)에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돌기(130)가 배열되고, 이것은 예를 들어 나사형 핀인 나사(132)로 고정된다. 상기 연장부(128), 언더컷된 홈(129), 돌기(130) 및 나사(132)를 통해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편심(aV)을 가지는, 적층 배열되는 장치(10')가 배치된다. 그 때문에 작업장에서 인간 공학적 환경이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외측(126, 127)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외측(134, 136)을 따라서 서로 병렬로 연장된 홈(138)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장치(10')의 취급성이 개선된다.
도 9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슈트(14')의 4개의 코너 영역에 상기 나사(125)를 위한 나사 채널(140)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 채널(140)은 슬롯(142)을 통해 외향 개방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슈트(14')의 제조에 유리하다.
상기 장치(10')의 또 다른 구성 요소로서 상기 배출 지점(16')이 상기 슈트(14')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 지점은 도 9와 도 10에서 분명하게 파악되며, 이것은 돌출형 인출 영역(18'), 프레임 형상의 영역(30') 및 재료 도싱 장치(20')로 이루어지며, 이는 특히 도 9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인출 영역(18)과 재료 도싱 장치(20)는 예를 들어 금속의 다이캐스팅 부재로서 및/또는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 부재로서 제조된다.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18')은 함몰부가 있는 밑판(22')을 가지며, 그 위에서 상기 재료(12)가 멈추게된다. 상기 접근 영역(24)에, 즉 조립을 위해 상기 재료(12)가 인출되는 영역에 위를 향해 개방된 벽(26)이 제공된다. 그 외에도 상기 인출 영역(18')은 2개의 측벽(28)을 갖는다.
상기 배출 지점(16')의 영역(30')은 코너 영역을 라운딩 처리한 각형인,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벽(32a', 32b')은 상기 밑판(22')의 측벽(28)으로 연속된다. 상기 영역(30')의, 상기 접근 영역(24)에 이격된 또 다른 벽(32c')은 둥근 영역을 거쳐 상기 밑판(22')으로 연속된다. 상기 벽(32d')에 마주하는 벽(32c')이 상기 영역(30')을 폐쇄하여 하나의 프레임으로 된다. 상기 영역(30')의 개구(33')를 통해 재료(12)가 상기 영역(30')으로부터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18')의 밑판(22')으로 미끄러져 간다. 상기 수직축과 관련하여 상기 장치(10')의 경사진 위치를 통해 상기 재료(12)는 중력에 의해 상기 슈트(14')를 통해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18')으로 미끄러지고 위를 향해 경사진 벽(26)에 정지하게 된다.
상기 영역(3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18')의 밑판(22')에 대해 일정한 각도 하에 배열된다. 프레임 형상의 또는 슈트 형상의 영역(30')이 상기 슈트(14')의 정면에 배열될 수 있는 정면(34')에서 끝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14')와 상기 배출 지점(16')이 끼워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영역(30')은, 상기 슈트(14')가 상기 배출 지점(16')의 영역(30')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배출 지점(16')의 코너 영역에, 보어(143)에 인접하는 리세스(142)가 상기 영역(30')의 코너 영역을 통해 상기 나사(125)를 위한 지지면(144)과 함께 제공된다.
2개의 레일(146)이 상기 배출 지점(16')에 제공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18')의 2개의 측벽(28)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거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상기 레일(146)은 L-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재료 도싱 장치(20')의, 이 실시예에서 평평하게 형성된 영역(148)이 상기 레일(146)에서 안내된다. 이에 대해 상기 영역(148)에서 2개의 웨브(148a)가 서로 떨어져 있고, 이들은 상기 레일(146)과 결합한다. 그 외에도 상기 재료 도싱 장치(20')는 상기 레일(146)과 상기 영역(30') 사이에서 가이드된다. 상기 레일(146)의 길이를 크게하여 상기 재료 도싱 장치(20')가 양호하게 가이드된다. 상기 재료 도싱 가이드(20')에 양호한 취급을 위해 손잡이(149) 또는 손잡이 형상의 스트립이 제공된다.
상기 배출 지점(16')의 개구(33')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바꾸기 위해 상기 배출 지점(16')에 보어(150)가 제공된다. 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 지점(16')의 영역(30')이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18')에 마주하는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벽(154)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벽(154)에서 상기 보어(150)가 일렬로 배열된다. 그 외에도 상기 재료 도싱 장치(20')는 상기 보어(150)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52)를 갖는다. 상기 재료 도싱 장치(20')의 적절한 조정을 통해 상기 돌출부(152)는 선택적으로 상기 보어(150)에 결합한다. 그 때문에 상기 개구(33')의 크기는 고정적으로 그리고 확실하게 조정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영역(30')의 벽(32c')은 상기 슈트(14')의 연장부(128)를 위한 슬롯(32e')을 갖는다. 그러나 각각 2개의 슬롯(32e')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벽(32d')은 상기 슈트(14')의 홈을 위한 리셉터클(32f')을 갖는다.
상기 슈트(14')의 제 2 의 정면(40)에 상기 연결 부재(42')가 배열된다. 특히 도 9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42')가 보충 깔대기(44)를 가지는 것이 파악된다. 상기 보충 깔대기(44)의 구성은, 재료(12)가 채워지고 상기 슈트(14')에 도달할 수 있게 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부재(42')는 상기 영역(30')에 유사한 프레임(156)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슈트(14')의 정면을 에워싼다. 상기 정면(40)의 영역에서 언더컷된 홈(129)과 상기 연장부(128)가 연장되는 지점에서, 상기 프레임(156)은 홈 형상부(158) 또는 캐버티(160)를 갖는다. 상기 4개의 홈 형상부는 4개의 홈(129)에 정렬되고 2개의 캐버티(160)는 상기 연장부(128)에 정렬된다. 이와 같이 완전히 조립된 장치(10')가 다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부재(42')의 고정을 위해 상기 리세스(142) 또는 보어(143)는 나사(125)를 위한 리세스(162) 또는 보어(163)와 유사하게 제공된다.
상기 장치(10')에서 중요한 점은 하나 이상의 상기 슈트(14')와 배출 지점(16')이 별도의 부재로서 또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된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 지점(16')은 하나 이상의 상기 슈트(14')의 정면(36, 40) 중 하나에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때문에, 상기 슈트(14')는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반제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슈트(14')와 상기 배출 지점(16')이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된다면, 이는 불가능해질 것이다.

Claims (19)

  1. 작업장에 재료(12)를 공급하기 위해, 장치(10, 10', 50)는 슈트(14, 14', 54)로서 형성된, 상기 재료(12)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 영역을 가지며, 돌출형 인출 영역(18, 18', 58)과 바람직하게는 재료 도싱 장치(20, 20')가 있는 배출 지점(16, 16', 56)이 상기 저장 영역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10, 10', 50)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슈트(14, 14', 54)와 상기 배출 지점(16, 16', 56)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 지점(16, 16', 56)이 하나 이상의 상기 슈트(14, 14', 54)의 2개의 정면(36, 40, 76, 110) 중 어느 하나에 배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슈트(14, 14', 54)의 정면(36, 40, 76, 110)에 배열될 수 있는 개구(33, 33', 74)를 가지는 영역(30, 30', 70)이 상기 배출 지점(16, 16', 56)의 돌출형 인출 영역(18, 18', 58)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슈트(14, 14', 54)와 상기 배출 지점(16, 16', 56)의 영역(30, 30', 70)이 실제 각형인,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슈트(14, 14', 54)와 상기 배출 지점(16, 16', 56)이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33, 74)에서 환형의 연장부(38)가 상기 영역(30, 70)에 연속되고, 상기 연장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슈트(14, 54)에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환형 연장부(38)와 하나 이상의 상기 슈트(14, 54)가 바람직하게는 압력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슈트(14, 14', 54)의 제 2 의 정면(40, 110)에 연결 부재(42, 42', 54', 54")가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에 바람직하게는 보충 깔때기(44) 및/또는 커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장치(10, 10')가 적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가 압출된 프로파일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10')를 적층 배열하기 위해 상기 슈트(14')의 마주하는 2개의 외측(126, 127)에 서로 대응하는 연장부(128)와 언더컷된 홈(12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127) 중 어느 하나에 T-형상 연장부(128)가 그리고 그에 마주하는 외측(126)에 언더컷된 홈(129)이 제공되며 상기 연장부(128)와 언더컷된 홈(129)이 상기 슈트(14')의 종방향으로 연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적층 배열되는 장치(10')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상기 홈(129)에 하나 이상의 돌기(130)가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나사(132)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14')의 코너 영역에 나사형 채널(140)이 제공되고 상기 배출 지점(16')과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42')가 나사(125)에 의해 상기 슈트(16')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지점(16')은 프레임 형태의 영역(30')과 돌출형 인출 영역(18')을 가지며, 코너 영역에서 상기 나사(125)를 위한 리세스(14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14')는 상기 배출 지점(16')의 영역(30')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지점(16')에 레일(146)이 제공되고, 상기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출 영역(18')의 2개의 측벽(28)의 높이 전체에 걸쳐 연장해 있으며 상기 재료 도싱 장치(20')의 영역(148)이 상기 레일에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지점(16')의 개구(33')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배출 지점(16')에 보어(150)가 제공되며 상기 재료 도싱 장치(20')가 상기 보어(150)와 선태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디(15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지점(16')의 영역(30')이 상기 돌출형 인출 영역(1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벽(154)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보어(150)가 일렬로 상기 벽(154)에 배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하나 이상의 슈트(54, 54', 54")이고, 상기 슈트가 상기 개구(76, 110)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잠금부(114)를 가지며, 상기 잠금부는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슈트(54, 54', 54")의 벽(120)에 그리고 상기 슈트(54, 54', 54")에 형성된 레일(122)에 있는 슬롯(118)을 통해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54, 54', 54")의 벽(78)에 상기 장치(50)의 고정을 위한 수단(80)이 하나 이상의 다른 부재(82)에 제공되며, 상기 벽(78)에 U-형상의 리셉터클(84)이 제공되며, 상기 리셉터클에 연결 요소(85)의 디스크(92)가 배열되고, 상기 연결 요소에 하나 이상의 연장부(96, 100)가 제공되며, 상기 연장부는 프로파일 형태의 바아(82)의 언더컷된 홈(102) 안에 배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돌기(104)가 상기 T-형상의 연장부(96)의 고정을 위한 나사형 핀(108)을 위한 횡 보어(106)와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7011904A 1999-02-27 2000-02-22 작업장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KR200100430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8600 1999-02-27
DE19908600.1 1999-02-27
DE10003438A DE10003438A1 (de) 1999-02-27 2000-01-27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Material an Arbeitsplätzen
DE10003438.1 2000-01-27
PCT/DE2000/000486 WO2000051917A1 (de) 1999-02-27 2000-02-22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material an arbeitsplätz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041A true KR20010043041A (ko) 2001-05-25

Family

ID=789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904A KR20010043041A (ko) 1999-02-27 2000-02-22 작업장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05246B2 (ko)
KR (1) KR20010043041A (ko)
DE (2) DE10003438A1 (ko)
TW (1) TW429205B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102Y2 (ja) * 1980-03-14 1984-12-19 サカエ金属工業株式会社 作業用小物入れ
JPH0315086U (ko) * 1989-06-24 1991-02-15
JPH08150518A (ja) * 1994-11-24 1996-06-11 Sony Corp バルクケ−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05246B2 (ja) 2011-06-22
TW429205B (en) 2001-04-11
DE50006383D1 (de) 2004-06-17
JP2003527274A (ja) 2003-09-16
DE10003438A1 (de) 200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772B2 (en) Shelf for showcase
US7300121B2 (en) Shelf for a refrigerating appliance, in particular a bottle shelf for a bottle-storing cooler cabinet
US6350002B1 (en) Food storage apparatus with partition frame partitioning front opening into a plurality of access openings
US4592471A (en) Bakeware organizer
US20080156751A1 (en) Merchandising system
US8397937B2 (en) Article carrier with a dividing arrangement
US20020092818A1 (en) Beam structures for shelving apparatus
US20070246471A1 (en) Module tray system
DE4410901A1 (de) Kühlschrank mit Kühlgutablagen
KR900002044A (ko) 냉동 및 냉장 유니트
US5275302A (en) Plastic container and pallet system
KR20010043041A (ko) 작업장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EP1924812B1 (en) A cooling device
KR100791238B1 (ko) 재료 보관 및 정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작업장치
ES2220416T3 (es) Dispositivo para aprontar material en puestos de trabajo.
KR200343445Y1 (ko) 수납장 서랍체
WO2004103124A1 (en) Device for holding accessories on shop and store room shelves
CN220617198U (zh) 一种柔性振动盘
US20110115352A1 (en) Shelf Element
CN216519016U (zh) 一种预装件及安装板组件
CN219215874U (zh) 一种内部空间可自由组合的塑料盒
KR200231072Y1 (ko) 가구의 선반높이 조절구
CN211926282U (zh) 食品存放容器、存放容器装置以及家用制冷器具
EP0569087B1 (en) Continuous joints particularly for frames of electrical cabinets and the like
RU2324416C2 (ru) Шкаф для ключ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