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717A - 광학 확대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확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717A
KR20010042717A KR1020007011438A KR20007011438A KR20010042717A KR 20010042717 A KR20010042717 A KR 20010042717A KR 1020007011438 A KR1020007011438 A KR 1020007011438A KR 20007011438 A KR20007011438 A KR 20007011438A KR 20010042717 A KR20010042717 A KR 20010042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ng
reflecting member
reflected
half mirror
obj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쓰카다카지
고마타기미오
Original Assignee
오쓰카 히데지
가부시키가이샤 오쓰카 고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쓰카 히데지, 가부시키가이샤 오쓰카 고가쿠 filed Critical 오쓰카 히데지
Publication of KR2001004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7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18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light path, e.g. for comparing two specimens
    • G02B21/20Binocular arrangements
    • G02B21/22Stereoscopic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1Eye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9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using crossed beamsplitting surfaces, e.g. cross-dichroic cubes or X-cubes

Abstract

양 눈으로 입체적으로 물체를 관찰할 수 있는 광학 확대장치에 있어서, 확대율을 크게 하더라도, 작동거리를 길게 할 수 있고, 접안렌즈로부터 눈까지의 거리가 길며, 또한 편한 자세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광학 확대장치이고, 그 구성은, 피관찰물체(1)에 대향배치되는 제 1 대물보조볼록렌즈(4a)와, 제 1 대물보조볼록렌즈(4a)로부터의 좌우 투과광속(3L,3R)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5)와, 상기 하프 미러(5)에서 반사된 각각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7L,7R)와, 상기 제 1 반사부재(7L,7R)의 사이에 배치된 대물렌즈(2)와, 각각의 제 1 반사부재(7L,7R)에서 반사되어, 상기 대물렌즈(2) 및 하프 미러(5)를 투과한 좌우의 사출광속(8L,8R)을 수광하는 제 2 반사부재(9)와, 제 2 반사부재(9)에 근접배치되어 상기 사출광속(8L,8R)을 투과하여 제 2 반사부재(9)로 사출함과 동시에, 제 2 반사부재(9)에서 반사된 광속을 다시 투과하여 1차결상면에 피관찰물체(1)의 상을 결상하는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4b)와, 상기 1차결상면을 거쳐, 왼쪽 제 1 반사부재(7L)로부터의 사출광속(10L)을 왼쪽으로, 오른쪽 제 1 반사부재(7R)로부터의 사출광속(10R)을 우측으로, 각각 사출하는 접안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광학 확대장치{OPTICAL MAGNIFIER}
작업용의 광학 확대장치는, 통상 양눈으로 들여다 볼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의 볼록렌즈를 여러장 조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전자회로기판의 부품 설치상태를 눈으로 검사하는 작업이나, 작은 기계가공부품의 검사나 가공작업 등에 사용되는 작업용의 광학 확대장치는, 양눈으로 관찰하는 구조를 가지며, 피관찰물체를 입체감 있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광학 확대장치는,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는 광학계를 사용하여 물체의 허상을 관찰하는 방식이므로 확대율을 크게 하고자 하면, 볼록렌즈의 촛점거리를 짧게 해야 하고, 대물렌즈로부터 피관찰물체까지의 거리, 즉 작동거리가 짧아진다. 더구나 이 광학 확대장치는, 피관찰물체를 양눈으로 관찰하는 것이기 때문에, 렌즈 구경이 100mm 이상이 되고, 동일한 정도의 확대율을 가지는, 한쪽 눈으로 관찰하는 형식의 루페에 비하여, 렌즈구성 장수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고, 이것에 의해 작동거리가 더욱 짧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작업용의 광학 확대장치는 확대율이 커지면, 피관찰물체와 대물렌즈와의 거리가 접근하여 작동거리가 극단적으로 짧아지게 되고, 피관찰물체와 대물렌즈와의 사이에 손이 들어 가지 않게 되어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피관찰물체를 조명하는 것도 곤란하게 되며, 피관찰물체를 보기 어렵게 되어 작업 그 자체가 곤란하게 되고, 때로는 대물렌즈가 피관찰물체에 부딪혀, 대물렌즈가 손상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광학 확대장치와 같이 물체를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쌍안실체현미경이라는 것이 있다. 이 쌍안실체현미경은 작동거리를 크게 하기 위해서 저배율의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물체의 실상을 만들고, 그 실상을, 고배율의 접안렌즈를 사용하여 허상으로서 관찰하는 것이다.
이 쌍안실체현미경은 작동거리를 크게 할 수 있지만, 피관찰물체를 입체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접안렌즈를 양눈으로 들여다 보기 때문에, 접안렌즈에 눈을 가까이 해야 한다. 이 때문에 머리의 위치가 고정되어 버리기 때문에, 상술한 구성의 작업용의 광학 확대장치와 같이, 자유로운 자세로 물체를 관찰할 수 없고, 장시간의 관찰작업에는 맞지 않았다.
본 발명은 광학 확대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상세하게는, 양눈에 의해 입체적으로 물체를 관찰할 수 있는 작업용의 광학 확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확대 광학장치의 제 1 형태예의 광학계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확대 광학장치의 제 2 형태예의 광학계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확대 광학장치의 제 3 형태예의 광학계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확대광학장치의 제 4 형태예의 광학계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를 사용하고 있는 제 2 형태예 내지 제 4 형태예의 눈폭 조정기구의 일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조작레버를 앞으로 당긴 경우의 눈폭 조정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조작레버를 누른 경우의 눈폭 조정기구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접안렌즈로부터 눈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고, 또한 양눈으로 입체적으로 물체를 관찰할 수 있는 광학 확대장치에 있어서, 확대율을 크게 하더라도, 작동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편한 자세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광학 확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관찰물체를 양눈으로 보면서 양손으로 작업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싸이즈를 콤팩트하게 한 광학 확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대물렌즈, 대물보조볼록렌즈, 하프 미러, 반사부재 및 접안렌즈 등을 효율좋게 배치하고 있다.
제 1 발명에 관한 광학 확대장치는, 피관찰물체에 대하여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대물렌즈와, 상기 한 쌍의 대물렌즈의 입사(入射)측 또는 사출(射出)측에 배치되는 대물보조볼록렌즈와, 각각의 대물렌즈로부터의 투과광속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와, 상기 하프 미러로 반사된 각각의 반사광을 수광하기 위해서 좌우의 대물렌즈에 대응하여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와, 각각의 제 1 반사부재로 반사되고 상기 하프 미러를 투과한 각각의 대물렌즈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수광하는 제 2 반사부재와,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반사된, 왼쪽 대물렌즈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좌측으로, 오른쪽 대물렌즈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오른쪽으로, 각각 사출하는 접안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는, 각각의 대물렌즈를 투과하여 상기 하프 미러로 반사된 반사광속을 서로 다른쪽의 제 1 반사부재에 향하여 반사한 후, 상기 하프 미러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사출광속반사점 또는 그 근방을 투과시켜 상기 제 2 반사부재에 입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발명에 관한 광학 확대장치는, 피관찰물체에 대향배치되는 대물보조볼록렌즈와, 상기 대물보조볼록렌즈로부터 좌우의 투과광속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와 이 하프 미러로 반사된 각각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대물렌즈와, 각각의 제 1 반사부재로 반사되고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하프 미러를 투과한 좌우의 사출광속을 수광하는 제 2 반사부재와,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반사된 왼쪽 제 1 반사부재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좌측으로, 오른쪽 제 1 반사부재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오른쪽으로, 각각 사출하는 접안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는 상기 하프 미러로 반사된 좌우의 사출광속을 서로 다른쪽의 제 1 반사부재에 향하여 반사하고 상기 대물렌즈를 사출한 후, 상기 하프 미러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사출광속반사점 또는 그 근방을 투과시켜 상기 제 2 반사부재에 입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이들 발명에 있어서, 접안렌즈와 관찰위치와의 거리를 적절히 설정하기 위한 시야렌즈를, 상기 대물렌즈의 초점위치 또는 그 근방에 배치하여도 좋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제 2 반사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하프 미러를 투과한 좌우의 사출광속을 수광하는 제 1 중간반사부재와, 상기 제 1 중간반사부재로 반사된 반사광속을 수광하는 제 2 중간반사부재와, 상기 제 2 중간반사부재로 반사된 반사광속을 1차결상 후에 투과시켜 상기 제 2 반사부재에 입사하는 시야렌즈를 포함하는 광축중간굴곡광학계가 배치되어 있다.
제 4 발명은, 피관찰물체에 대향배치되는 제 1 대물보조볼록렌즈와, 상기 제 1 대물보조볼록렌즈로부터 좌우의 투과광속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와, 상기 하프 미러로 반사된 각각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대물렌즈와, 각각의 제 1 반사부재로 반사되어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하프 미러를 투과한 좌우의 사출광속을 수광하는 제 2 반사부재와, 상기 제 2 반사부재의 반사면에 근접배치되고 상기 하프 미러를 거친 좌우의 사출광속을 투과하여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사출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반사한 광속을 다시 투과하여 1차결상면에 피관찰물체의 상을 결상하는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와, 제 1차결상면을 거친 왼쪽 제 1 반사부재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좌측으로, 오른쪽 제 1 반사부재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오른쪽으로, 각각 사출하는 접안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는 상기 하프 미러로 반사된 좌우의 사출광속을, 서로 다른쪽의 제 1 반사부재를 향하여 반사하고 상기 대물렌즈를 투과한 후, 상기 하프 미러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사출광속반사점 또는 그 근방을 투과시켜, 상기 제 2 반사부재에 입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이 피관찰물체에 대향배치한 대물보조볼록렌즈와, 피관찰물체에 대하여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대물렌즈 또는 1개의 대물렌즈와, 대물렌즈의 투과광속으로서 형성되는 도립상(倒立像)을 정립상(正立像)으로 하여 공통의 결상면에 합성하는 정립반사광학계와, 합성된 정립실상을 허상으로서 확대하여 관찰하기 위한 1개의 접안렌즈를 가지는 접안광학계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작동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서 대물렌즈의 촛점거리를 길게 하면, 확대율이 저하하지만 확대율의 저하를, 대물렌즈에 의해 만들어지는 결상면상의 관찰상을 접안렌즈로 더욱 확대함으로써 보완하고 있다.
게다가, 각각의 사출광속으로서 형성되는 도립상을, 2계통의 정립반사광학계로 각각 정립상으로 보정하여 실질적인 공통의 결상면으로 합성하고, 또한 접안렌즈에 의해 피관찰물체를 좌측에서 보는 대물렌즈의 광속을 관찰자의 왼쪽눈으로, 우측에서 보는 대물렌즈의 광속을 관찰자의 오른쪽눈으로 안내하여 양눈으로 피관찰물체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다.
따라서, 확대율을 크게 하더라도 작동거리를 짧게 하지 않고, 더구나, 종래의 확대경과 같이 양눈을 접안렌즈로부터 떼고 관찰할 수 있어 편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대물렌즈를 사용한 경우는 고배율을 얻을 수 있고, 1개의 대물렌즈를 사용한 경우는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제 3 발명과 같이, 광축중간굴곡광학계를 설치함으로써, 광학 확대장치의 안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광학 확대장치 전체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제 4 발명과 같이, 제 2 반사부재의 반사면에 근접하여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를 배치하면, 제 2 반사부재에 입사하는 광속 및 제 2 반사부재로 반사된 광속의 쌍방의 볼록렌즈가 역활을 다 하는 것이 되고, 1장의 볼록렌즈에 의하여, 원리적으로 2장의 볼록렌즈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때문에 광학계의 광로를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1장의 파워가 약한, 즉 보다 얇은 렌즈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찰상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수차(收差)의 발생을 막고, 조밀한 광학계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반사부재나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에 부착한 먼지가 확대되지 않고, 피관찰물체를 명료하게 관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대물렌즈의 1차결상면위치에 시야틀을 배치함으로써 보다 명료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대물렌즈의 1차결상면위치에 눈금판을 배치함으로써 피관찰물체의 상과 초점판의 눈금이나 모양을 거의 동일위치에서 볼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관찰이 가능해지며, 측정확대광학장치로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안렌즈를 투과한 좌우 광속의 사출동(射出瞳) 위치에, 좌우 양끝단의 원호가 좌우 사출동의 원호보다 큰 가로길이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가이드마스크를 배치함으로써, 공중에 존재하는 사출동을 잡기 쉽고, 또한 외부의 빛을 차광할 수 있어 적합하게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프 미러와 제 2 반사부재의 사이이며, 하프 미러를 투과한 좌우의 투과광속의 광로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피관찰물체를 조명하기 위한 직관형의 형광등을 배치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나가는 열량이 적고, 팬 등에 의한 강제배기의 필요가 없으며, 피관찰물체를 손상할 위험도 회피할 수 있고, 확산성이 있는 부드러운 빛의 조명에 의해 한쪽에서의 조명일지라도 관찰하기 쉽다.
본 발명은, 대물보조볼록렌즈의 중심위치를 투과한 뒤, 하프 미러의 좌우의 사출광속반사점의 중간위치를 투과하는 피관찰물체의 광속을 수광하여 반사하는 카메라용 반사부재와, 상기 카메라용 반사부재에 반사된 카메라용 반사광속을 CCD 카메라에 결상시키는 결상렌즈를 배치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CCD 카메라로 피관찰물체의 바로 위에서 관찰할 수가 있어 정확한 형상의 관찰상과, 눈의 관찰로 인한 입체상에 의해 관찰을 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일끝단이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조작레버와, 상기 기판에 중간부가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좌우 한 쌍의 크랭크형상의 아암판으로 구성되고, 양 아암판의 일끝단이 상기 조작레버에 각각 걸어맞춤하며, 상기 왼쪽 아암판의 다른 끝단에 핀으로써 회동가능하게 세워설치한 왼쪽 제 1 반사부재 및 상기 오른쪽 아암판의 다른 끝단에 핀으로써 회동가능하게 세워설치한 오른쪽 제 1 반사부재는 가이드핀을 각각 설치하여, 상기 기판에 해당 가이드핀 안내용의 원호형상의 가이드홈을 가지고 있는 눈폭 조정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좌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의 간격이나 미러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형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면에 있어서, 부호에 「L」을 붙인 것은 왼쪽 눈용, 「R」을 붙인 것은 오른쪽 눈용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광학 확대장치의 제 1 형태예의 광학계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형태예는, 1개의 피관찰물체(1)에 대하여 대략 동등한 촛점거리를 가지는 한 쌍의 대물렌즈(2L,2R)가 좌우에 배치되어 있다. 대물렌즈(2L,2R)의 입사측에는, 1개의 대물보조볼록렌즈(4)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이 대물보조볼록렌즈 (4)는 대물렌즈(2L,2R)의 사출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대물렌즈(2L,2R)의 사출측에는, 각각의 대물렌즈(2L,2R)를 투과한 투과광속 (3L,3R)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5)와, 상기 하프 미러(5)로 반사된 각각의 반사광속 (6L,6R)을 수광하기 위해서, 좌우의 대물렌즈(2L,2R)에 대응하여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7L,7R)와, 각각의 제 1 반사부재(7L,7R)에서 반사되어 상기 하프 미러(5)를 투과한 각각의 사출광속(8L,8R)을 수광하는 제 2 반사부재(9)와, 상기 제 2 반사부재(9)로 반사된 광속(10L,10R)을 입사하여 사출하는 접안렌즈(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7L,7R)는, 각각의 대물렌즈를 사출하여 상기 하프 미러(5)로 반사된 반사광속(6L,6R)을, 서로 다른쪽의 제 1 반사부재(7L,7R)로 향하여 반사한 후, 상기 하프 미러(5)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사출광속반사점(12L, 12R) 근방을 투과시켜 상기 제 2 반사부재(9)에 입사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즉, 왼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7L)는, 하프 미러(5)로 반사된 반사광속(6L)을 반사하여 오른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7R)에서 반사시킨 뒤, 하프 미러(5)의 오른쪽 눈용의 사출광속반사점(12R) 근방을 투과시켜, 왼쪽 눈용의 사출광속(8L)으로서 제 2 반사부재(9)에 입사되고, 제 2 반사부재(9)로 반사시켜 광속(10L)로서 접안렌즈(11)의 좌측을 투과시키며, 왼쪽 눈용의 사출동(13L)에 이르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7R)는 하프 미러(5)로 반사된 반사광속(6R)을 반사하고, 왼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7L)에서 반사시킨 뒤, 하프 미러(5)의 왼쪽눈용의 사출광속반사점(12L) 근방을 투과시켜, 오른쪽 눈용의 사출광속(8R)로서 제 2 반사부재(9)에 입사되고, 제 2 반사부재(9)로 반사시켜, 광속 (10R)으로 접안렌즈(11)의 오른쪽을 투과시켜, 오른쪽 눈용의 사출동(13R)에 이르는 것이다.
상기 제 2 반사부재(9)는, 상기 대물렌즈(2L,2R)의 1차결상면위치 근방에 배치되고, 정립역상(正立逆像)을 정립정상으로 하고, 사출광속(8L,8R)을 접안렌즈 (11)의 좌측으로 입사하는 광속(10L)과 오른쪽으로 입사하는 광속(10R)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접안렌즈(11)는 볼록렌즈로서, 제 2 반사부재(9)의 근방에 형성되는 정립실상을 확대하여 허상으로서 관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반사부재(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거울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2 반사부재(9)의 근방에 평면형상의 실상이 형성되기 때문에, 실상과 합치하는 위치「예컨대, 대물렌즈(2L,2R)의 1차결상면」에 눈금판(14) 등을 배치하면, 실상의 크기를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다. 실상을 제 2 반사부재(9)의 반사면에 결상시키도록 제 2 반사부재(9)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눈금을 제 2 반사부재(9)의 반사면에 직접 그리는 것도 가능하다.
한 쌍의 대물렌즈(2L,2R) 간격과 하나의 대물보조볼록렌즈(4)와의 관계는, 양눈으로 1개의 물체를 자연스럽게 관찰하는 것과 거의 같은 각도가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작업효율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작동거리가 확대율 약 3배 정도에서 100 mm 이상이 되도록, 대물렌즈(2L,2R)와 대물보조볼록렌즈(4)의 촛점거리를 설정한다. 대물렌즈(2L,2R)에서 사출하는 광속은, 수속광속으로서 후방의 정립 미러광학계를 통해 제 2 반사부재(9)의 근방에 결상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광학 확대장치의 제 2 형태예의 광학계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형태예는 1개의 피관찰물체(1)에 대항하여 대물보조볼록렌즈(4)가 배치되어 있다. 대물보조볼록렌즈(4)의 사출측에는, 대물보조볼록렌즈(4)의 투과광속(3L,3R)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5)와, 하프 미러(5)로 반사된 각각의 반사광속(6L,6R)을 수광하기 위해서,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7L,7R)와, 제 1 반사부재(7L,7R)의 중간위치에 배치되는 1개의 대물렌즈(2)와, 각각의 제 1 반사부재(7L,7R)에서 반사되고, 상기 대물렌즈(2) 및 상기 하프 미러(5)를 투과한 각각의 사출광속(8L,8R)을 수광하는 제 2 반사부재(9)와, 상기 제 2 반사부재(9)로 반사된 광속(10L,10R)을 입사하여 사출하는 접안렌즈(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7L,7R)는, 상기 하프 미러(5)로 반사된 좌우의 사출광속(6L,6R)을, 서로 다른쪽의 제 1 반사부재에 향하여 반사하여 상기 대물렌즈(2)를 사출한 후, 상기 하프 미러(5)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사출광속반사점(12L, 12R) 근방을 투과시켜 상기 제 2 반사부재(9)에 입사할 수 있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즉, 왼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7L)는, 하프 미러(5)로 반사된 반사광속(6L)을 반사하여 대물렌즈(2)를 투과시킨 후, 오른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7R)에서 반사시켜, 하프 미러(5)의 오른쪽 눈용의 사출광속반사점(12R) 근방을 투과시키고, 왼쪽 눈용의 사출광속(8L)으로서 제 2 반사부재(9)에 입사되어 제 2 반사부재(9)로 반사시켜, 광속(10L)으로서 접안렌즈(11)의 좌측을 투과시키고, 왼쪽 눈용의 사출동(13L)에 이르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7R)는, 하프 미러(5)로 반사된 반사광속(6R)을 반사하여 대물렌즈(2)를 투과시킨 후, 왼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 (7L)에서 반사시켜 하프 미러(5)의 왼쪽 눈용의 사출광속반사점(12L) 근방을 투과시키고, 오른쪽 눈용의 사출광속(8R)으로서 제 2 반사부재(9)에 입사되어 제 2 반사부재(9)로 반사시켜, 광속(10R)으로서 접안렌즈(11)의 오른쪽을 투과시키고, 오른쪽 눈용의 사출동(13R)에 이르는 것이다.
제 2 형태예의 제 2 반사부재(9)나 눈금판(14)등의 역할 및 배치위치등, 및 접안렌즈(11)의 역할 및 형상등은, 제 1 형태예의 것과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광학 확대장치의 제 3 형태예의 광학계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형태예는 상기 제 2 형태예의 광학계에, 하프 미러로부터 제 2 반사부재에 달하는 광축을 굴곡하는 광축중간굴곡광학계를 배치하여 광학계의 안길이를 짧게 한 것이다. 또한 도 2의 기구나 요소와 같은 것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광학계는, 상기 하프 미러(5)와 상기 제 2 반사부재(9)와의 사이에, 제 1 중간반사부재(15), 제 2 중간반사부재(16), 눈금판(14) 및 시야렌즈(17)를 포함하는 광축중간굴곡광학계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제 1 중간반사부재(15)는, 상기 하프 미러(5)를 투과한 좌우의 사출광속(8L,8R)을 수광하여, 반사광속(18L,18R)으로서 상기 제 2 중간반사부재(16)를 향해 반사한다. 상기 제 2 중간반사부재(16)는 상기 반사광속(18L,18R)을 수광하고, 반사광속(19L,19R)으로서 상기 제 2 반사부재 (9)로 향하여 반사한다. 상기 눈금판(14)은, 상기 대물렌즈(2)의 1차결상면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시야렌즈(17)는 상기 눈금판(14)과 상기 제 2 반사부재(9)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반사광속(19L,19R)은 상기 눈금판(14) 및 시야렌즈 (17)를 투과한 후 제 2 반사부재(9)로 수광되고, 상기 광속(10L,10R)으로서 상기 접안렌즈(11)를 향하여 사출한다. 접안렌즈(11)를 투과한 광속(10L,10R)은 좌우의 사출동(13L,13R)에 이른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광학 확대장치의 제 4 형태예의 광학계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형태예의 광학계는 제 2 형태예의 광학계와 주요구성부품이 비교적 공통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의 기구나 요소와 같은 것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형태예는, 피관찰물체(1)에 대항하고 제 1 대물보조볼록렌즈(4a)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대물보조볼록렌즈(4a)의 사출측에는, 해당 대물보조볼록렌즈 (4a)의 투과광속(3L,3R)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5)와, 상기 하프 미러(5)로 반사된 각각의 반사광속(6L,6R)을 수광하기 위해서,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7L,7R)와, 제 1 반사부재(7L,7R)의 중간위치에 배치되는 1개의 대물렌즈(2)와, 각각의 제 1 반사부재(7L,7R)에서 반사되어 상기 대물렌즈(2) 및 상기 하프 미러(5)를 투과한 각각의 사출광속(8L,8R)을 수광하는 제 2 반사부재(9)와, 상기 제 2 반사부재(9)의 반사면에 근접배치되고 하프 미러(5)를 거친 사출광속(8L,8R)을 투과하여 제 2 반사부재(9)로 사출함과 동시에, 제 2 반사부재(9)로 반사된 광속(10L,10R)을 다시 투과하여, 대물렌즈(2)의 1차결상면에 관찰물체의 상을 결상하는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4b)와, 1차결상면위치에 배치한 시야틀(20)과, 상기 시야틀(20)에 배치한 눈금판(14)과, 상기 눈금판(14)을 통과한 광속(10L,10R)을 입사하여 사출하는 접안렌즈(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7L,7R)는, 상기 하프 미러(5)로 반사된 좌우의 반사광속(6L,6R)을, 서로 다른쪽의 제 1 반사부재(7L,7R)를 향하여 반사하여 상기 대물렌즈(2)를 사출한 뒤, 상기 하프 미러(5)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사출광속반사점 (12L,12R) 근방을 투과시켜 상기 제 2 반사부재(9)에 입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왼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7L)는, 하프 미러(5)로 반사된 반사광속(6L)을 반사하여 대물렌즈(2)를 투과시킨 후, 오른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7R)에서 반사시켜 하프 미러(5)의 오른쪽 눈용의 사출광속반사점(12R) 근방을 투과시키고, 왼쪽 눈용의 사출광속(8L)으로서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4b)를 투과하여 제 2 반사부재(9)에 입사되고, 제 2 반사부재(9)로 반사시켜 광속(10L)으로서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4b)를 다시 투과하여 1차결상면에서 결상한 후, 접안렌즈(11)의 좌측을 투과시켜 왼쪽 눈용의 사출동(13L)에 이르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7R)는, 하프 미러(5)로 반사된 반사광속(6R)을 반사하여 대물렌즈(2)를 투과시킨 후, 왼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 (7L)에서 반사시켜 하프 미러(5)의 왼쪽 눈용의 사출광속반사점(12L) 근방을 투과시키고, 오른쪽 눈용의 사출광속(8R)으로서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4b)를 투과하여 제 2 반사부재(9)에 입사되고, 제 2 반사부재(9)로 반사시켜 광속(10R)으로서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4b)를 다시 투과하여 1차결상면에서 결상한 후, 접안렌즈(11)의 오른쪽을 투과시켜 오른쪽 눈용의 사출동(13R)에 이르는 것이다.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4b)를 설치한 효과는, 광학계 전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요컨대, 제 2 반사부재(9)의 직전에 설치된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4b)는 제 2 반사부재(9)에 입사하는 사출광속(8L,8R) 및 제 2 반사부재(9)로 반사된 광속 (10L,10R)의 쌍방에 대하여, 볼록렌즈가 역활을 다 하는 것으로 되고, 1장의 볼록렌즈에 의해 원리적으로 2장의 볼록렌즈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때문에 광학계의 광로를 단축가능함과 동시에, 1장의 파워가 약한, 즉 보다 얇은 렌즈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찰상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수차의 발생을 막고, 콤팩트한 광학계를 제작할 수 있다.
제 2 반사부재(9)나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4b)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먼지가 부착하기 때문에, 제 2 반사부재(9)나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4b)가 1차결상면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1차결상면에 결상하고 있는 피관찰물체(1)의 상과 부착한 먼지가 동시에 확대되어 피관찰물체(1)가 먼지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본 형태예와 같이, 제 2 반사부재(9)와 1차결상면과의 간격을 띄운 것에 의해 부착한 먼지가 확대되지 않고, 피관찰물체(1)를 명료하게 관찰할 수가 있다.
또한, 본 형태예서는 상기 접안렌즈(11)를 투과한 좌우의 광속(10L,10R)의 사출동 위치에, 관찰이 용이하도록 가로길이형상의 개구(21a)를 가지는 가이드마스크(21)를 배치한다. 상기 개구(21a)는 사출광속을 양눈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그 좌우 양끝단의 원호를 좌우의 사출동(13L,13R)의 원호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다.
본 형태예에 의거하여 제작되는 광학 확대장치의 좌우의 사출동(13L,13R)은, 지름 20 mm 이상의 크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익숙해진 관찰자는 즉시 자기의 눈을 사출동상에 둘 수 있지만, 초보자는 공중에 존재하는 사출동을 잡는 것이 때로는 곤란하였다. 또한 한번 잡은 사출동(13L,13R)을, 장시간 응시하는 것이 어려운 관찰자도 있었다. 따라서 관찰용의 가이드마스크(21)를 사출동(13L,13R)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공중에 존재하는 사출동(13L,13R)을 찾아 내기 쉽고, 더구나 확실히 관찰자의 눈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접안렌즈(11)에 외부의 빛, 특히 천장의 조명이 비추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생겨 명료한 관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마스크(21)의 개구(21a)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동(13L,13R)이 좌우에 배치되도록 가로길이형상의 구멍을 설치한 차광판이다. 사출동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개구하여 목적은 달성할 수 있지만, 가로길이형상 쪽이 관찰자는 피곤하지 않고 적합하다.
또한, 상기 하프 미러(5)와 상기 제 2 반사부재(9)와의 사이로서, 하프 미러(5)를 투과한 좌우의 사출광속(8L,8R)의 광로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피관찰물체(1)의 조명용 직관형의 형광등(22)을 배치하고 있다.
이 형광등(22)은, 사출광속(8L,8R)의 광로를 차단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제 1 대물보조볼록렌즈(4a)의 주변부 근방으로서, 관찰자의 확대경을 들여다 보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조명방향을 피관찰물체(1)의 방향에만 향하여 관찰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조명용의 광원을 관찰자가 들여다 보는 쪽에 배치하면, 조명계가 튀어나와 보여, 피관찰물체(1)를 직시할 수 없고, 작업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관찰자의 확대경을 들여다 보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광등을 조명기구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나가는 열량이 적고, 팬 등에 의한 강제배기의 필요가 없으며, 피관찰물체를 손상할 위험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할로겐램프 등의 지향성이 강한 광원과 다르고, 형광등의 확산성이 있는 부드러운 빛의 조명에 의해 한쪽으로부터의 조명이라도 관찰하기 쉽다.
또한, 이 형태예는 제 1 대물보조볼록렌즈(4a)의 중심을 투과하고, 상기 하프 미러(5)의 좌우의 사출광속반사점(12L,12R)의 중간위치(12c)를 투과하는 피관찰물체(1)의 광속(23)을 수광하여 반사하는 카메라용 반사부재(24)와, 상기 카메라용 반사부재(24)에서 반사된 카메라용 반사광속(25)을 CCD(전하결합소자)카메라(26)에 결상시키는 결상렌즈(27)가 배치되어 있다.
본 광학 확대장치는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 피관찰물체(1)를 확대입체상으로서 잡는 것이 원래의 목적이지만, 동시에 복수인으로 관찰하는 방법으로서, CCD 카메라에 의한 모니터 텔레비젼으로 관찰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CCD 카메라상을 눈으로 보는 경우보다 크게 하여, 미세한 개소를 확대하여 관찰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본 형태예와 같이, CCD 카메라용의 광축을, 제 1 대물보조볼록렌즈(4a)의 중심을 지나, 하프 미러(5)의 좌우의 사출광속반사점(12L,12R)의 중간위치(12c)를 투과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모니터화상을 비뚤어짐이 없는 상태로 촬상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형태예로서는 CCD 카메라(26)에 의해 정확한 형상의 관찰상을, 눈으로의 관찰에 의해 입체상을 얻을 수 있어 이상적이다.
또, 카메라용 반사부재(24)는 통상의 미러 외에 CCD 카메라에 대한 반전조건에 의해 2회 반사를 하는 펜타프리즘이라도 좋다. 또한 카메라용 반사부재(24)나 결상렌즈(27)는 광속(8L,8R,10L,10R)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카메라용 반사부재(24)로부터 CCD 카메라(26)까지를 1개의 유니트로서 구성하여, 이 유니트를 간단히 떼어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확대율이 다른 유니트나 줌렌즈 등의 선택도 가능해진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형태예에도 제 4 형태예와 같이, 시야틀, 가이드마스크, 조명용 광원, CCD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은 가능하다.
각 실시형태예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7L,7R)의 간격은, 양눈으로 1개의 물체를 자연스럽게 관찰하는 것과 거의 같은 각도가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작업효율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작동거리가 확대율 약 3배 정도에서 100 mm 이상이 되도록 대물렌즈(2L,2R)와 대물보조볼록렌즈(4,4a,4b)의 촛점거리를 설정한다. 대물렌즈(2L,2R)에서 사출하는 광속은, 수속광속으로서 후방의 정립 미러광학계를 통해, 1차결상면위치에 결상시킨다.
제 2, 3, 4형태예의 대물렌즈(2)는, 제 1 형태예의 한 쌍의 대물렌즈(2L,2R)와 같은 역할을 한다. 또한, 제 1 형태예는, 한 쌍의 대물렌즈(2L,2R)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3, 4형태예와 비교하여 고배율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 2, 3, 4형태예는 대물렌즈를 1개로 하였기 때문에, 제 1 형태예의 광학 확대장치에 비교해서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제 2, 3, 4형태예의 대물렌즈(2)는 왼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7L)로부터의 광속과, 오른쪽 눈용의 제 1 반사부재(7R)로부터의 광속이 역방향으로 입사하기 때문에, 렌즈형식은 대칭형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내는 제 3 형태예에 의하면, 상기 하프 미러(5)로부터 상기 제 2 반사부재(9)에 달하는 광축을 굴곡시키기 때문에, 광학 확대장치의 안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광학 확대장치 전체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 광축을 굴곡시키는 수단은, 제 1 형태예의 하프 미러(5)와 제 2 반사부재(9)와의 사이에 배치하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 형태예의 광학 확대장치에 있어서, 총합 확대율은 결상면에서의 배율과 결상면 후방의 접안렌즈에 의한 확대율의 곱이 된다. 따라서 결상면에서의 배율은 총합 확대율보다 작아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종래의 확대경과 같은 관찰환경으로 하기 위해서는, 광학계의 사출동(13L,13R)을 접안렌즈(11)의 후방 약 100 mm 이상 떨어져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출동(13L,13R)의 크기는 될 수 있는 한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고, 구체적으로는 20 mm 이상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또 도 1 및 2에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사출동의 위치와 크기의 관계에서, 시야렌즈를 대물렌즈(2L,2R) 또는 대물렌즈(2)의 결상위치근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양형태예의 확대장치의 배율변경은, 한 쌍의 대물렌즈(2L,2R) 또는 하나의 대물렌즈(2)를 배율이 다른 것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대물보조볼록렌즈를 배율이 다른 것으로 변경함으로써도 가능하다. 또한, 접안렌즈를 배율이 다른 것으로 변경함으로써도 가능하다. 또 배율변경에 있어서는, 대물보조볼록렌즈를 겹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찰자의 양눈의 간격에 사출동의 위치를 맞추는 눈폭조정방법은, 제 1 형태예에서는, 한 쌍의 대물렌즈(2L,2R)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 및/또는 제 1 반사부재(7L,7R)의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제 2 형태예(변형예를 포함한다) 및 제 3 형태예로서는, 2개의 조정방법이 있고, 그 하나는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7L,7R)를 좌우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 1 반사부재(7L,7R)의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가능하며, 그 두번째는 1개의 대물렌즈(2)를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에 따라 제 1 반사부재(7L,7R)의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도 4에 나타내는 형태예에 있어서의 눈폭조정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눈폭조정기구(30)는 기판(31)과, 이 기판(31)에 지축(32)에 의해 일끝단이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조작레버(33)와, 상기 기판(31)에 중간부가 지축(33L,33R)에 의해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좌우 한 쌍의 크랭크형상의 아암판(34L,34R)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아암판(34L,34R)의 일끝단 (35L,35R)은 절곡되어 상기 조작레버(33)의 긴 구멍(36)에 각각 걸어맞춤하고 있다. 상기 왼쪽 아암판(34L)의 다른 끝단에는, 상기 왼쪽 제 1 반사부재(7L)가 핀(37L)으로 회동가능하게 세워설치되고, 상기 오른쪽 아암판(34R)의 다른 끝단에는, 상기 오른쪽 제 1 반사부재(7R)가 핀(37R)으로 회동가능하게 세워설치되며, 양 제 1 반사부재(7L,7R)는, 각각 가이드핀(38L,38R)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판(31)은 상기 가이드핀(38L,38R)을 안내하는 원호형상의 가이드홈(39L,39R)을 가지고 있다. 이 가이드홈(39L,39R)의 형상은 제 1 반사부재(7L,7R)의 미러간격(W)이 100 mm, 90 mm, 80 mm인 경우에 양 제 1 반사부재(7L,7R)의 미러각도 θ가 14.6°, 13.2°, 11.7°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40은 조작레버(33)의 다른 끝단의 조작부이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40)를 앞으로 당기면, 조작레버 (33)는, 지축(32)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일끝단 (35L,35R)이 조작레버(33)의 긴 구멍(36)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아암판(34L,34R)은, 지축(33L,33R)을 지점으로 하여 다른 끝단끼리가 가까이 가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미러간격(W)이 80 mm로 좁아짐과 동시에 가이드홈(39L,39R)에 따라 가이드핀(38L, 38R)이 서로 다가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미러각도 θ가 11.7°로 좁아진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40)를 누르면, 조작레버(3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아암판(34L,34R)은 다른 끝단끼리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미러간격(W)이 100 mm로 넓어짐과 동시에, 가이드핀(38L,38R)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미러각도 θ가 14.6°로 넓어진다.
이 눈폭조정기구(30)는 도 1에 나타내는 제 1 형태예의 제 1 반사부재(7L, 7R)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각 형태예의 광학 확대장치와 하프 미러(5)를 투과한 광속을, 하프 미러(5)의 배면측에 배치한 CCD(전하결합소자)카메라나 비디콘 (vidicon)(광도전형저속도촬상관) 등의 관찰용카메라에 의해서 CRT 모니터 등에 의한 관찰이 가능해지고, 많은 사람의 동시 관찰도 가능해진다. 또 제 2 형태예 내지 제 4 형태예의 광학 확대장치는, 피관찰물체(1)와 하프 미러(5)와의 사이에 대물보조볼록렌즈(4)가 배치될 뿐이므로 관찰용 카메라의 배치가 제 1 형태예에 비교해서 용이하다.

Claims (10)

  1. 피관찰물체에 대하여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대물렌즈와,
    상기 한 쌍의 대물렌즈의 입사측 또는 사출측에 배치되는 대물보조볼록렌즈와,
    각각의 대물렌즈로부터의 투과광속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와,
    상기 하프 미러로 반사된 각각의 반사광을 수광하기 위해서, 좌우의 대물렌즈에 대응하여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와,
    각각의 제 1 반사부재로 반사되어, 상기 하프 미러를 투과한 각각의 대물렌즈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수광하는 제 2 반사부재와,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반사된 왼쪽 대물렌즈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좌측으로, 오른쪽 대물렌즈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우측으로, 각각 사출하는 접안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는, 각각의 대물렌즈로부터 사출되어 상기 하프 미러로 반사된 반사광속을, 서로 다른쪽의 제 1 반사부재에 향하여 반사한 후, 상기 하프 미러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사출광속반사점 또는 그 근방을 투과시켜 상기 제 2 반사부재에 입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광학 확대장치.
  2. 피관찰물체에 대향배치되는 대물보조볼록렌즈와,
    상기 대물보조볼록렌즈로부터의 좌우의 투과광속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와,
    상기 하프 미러로 반사된 각각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대물렌즈와,
    각각의 제 1 반사부재로 반사되어,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하프 미러를 투과한 좌우의 사출광속을 수광하는 제 2 반사부재와,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반사된, 왼쪽 제 1 반사부재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좌측으로, 오른쪽 제 1 반사부재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우측으로, 각각 사출하는 접안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는, 상기 하프 미러에서 반사된 좌우의 반사광속을, 서로 다른쪽의 제 1 반사부재에 향하여 반사하고 상기 대물렌즈를 사출한 후, 상기 하프 미러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사출광속반사점 또는 그 근방을 투과시켜 상기 제 2 반사부재에 입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광학 확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제 2 반사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하프 미러를 투과한 좌우의 사출광속을 수광하는 제 1 중간반사부재와, 상기 제 1 중간반사부재로 반사된 반사광속을 수광하는 제 2 중간반사부재와, 상기 제 2 중간반사부재로 반사된 반사광속을, 1차결상 후에 투과시켜 상기 제 2 반사부재에 입사하는 시야렌즈가 배치되어 있는 광학 확대장치.
  4. 피관찰물체에 대향배치되는 제 1 대물보조볼록렌즈와,
    상기 제 1 대물보조볼록렌즈로부터의 좌우의 투과광속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와,
    상기 하프 미러로 반사된 각각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대물렌즈와,
    각각의 제 1 반사부재로 반사되어,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하프 미러를 투과한 좌우의 사출광속을 수광하는 제 2 반사부재와,
    상기 제 2 반사부재의 반사면에 근접배치되고, 상기 하프 미러를 거친 좌우의 사출광속을 투과하여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사출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반사한 광속을 다시 투과하여, 1차결상면에 피관찰물체의 상을 결상하는 제 2 대물보조볼록렌즈와,
    상기 1차결상면을 거친, 왼쪽 제 1 반사부재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좌측으로, 오른쪽 제 1 반사부재로부터의 사출광속을 우측으로, 각각 사출하는 접안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부재는, 상기 하프 미러로 반사된 좌우의 반사광속을, 서로 다른쪽의 제 1 반사부재에 향하여 반사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사출한 후, 상기 하프 미러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사출광속반사점 또는 그 근방을 투과시켜 상기 제 2 반사부재에 입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광학 확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의 1차결상면위치에 시야틀을 배치한 광학 확대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의 1차결상면위치에 눈금판을 배치한 광학 확대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렌즈를 투과한 좌우의 광속의 사출동위치에, 가로길이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가이드마스크를 배치하고, 상기 개구의 좌우양끝단의 원호는, 좌우 사출동의 원호보다 큰 광학 확대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제 2 반사부재의 사이로서, 상기 하프 미러를 투과한 좌우의 사출광속의 광로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상기 피관찰물체 조명용의 직관형 형광등을 배치한 광학 확대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보조볼록렌즈의 중심위치를 투과한 후, 상기 하프 미러의 좌우의 사출광속반사점의 중간위치를 투과하는 상기 피관찰물체의 광속을 수광하여 반사하는 카메라용 반사부재와, 상기 카메라용 반사부재로 반사된 카메라용 반사광속을 CCD 카메라에 결상시키는 결상렌즈를 배치한 광학 확대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일끝단이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조작레버와, 상기 기판에 중간부가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좌우 한 쌍의 크랭크형상의 아암판으로 구성되고, 양 아암판의 일끝단은 상기 조작레버에 각각 걸어맞춤하여, 상기 왼쪽 아암판의 다른 끝단에 핀으로써 회동가능하게 세워설치한 상기 왼쪽 제 1 반사부재 및 상기 오른쪽 아암판의 다른 끝단에 핀으로써 회동가능하게 세워설치한 상기 오른쪽 제 1 반사부재는 가이드핀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가이드핀 안내용의 원호형상의 가이드홈을 가지고 있는, 눈폭조정기구를 구비한 광학 확대장치.
KR1020007011438A 1999-02-16 2000-02-16 광학 확대장치 KR200100427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71199 1999-02-16
JP36711 1999-02-16
JP135262 1999-05-17
JP13526299 1999-05-17
PCT/JP2000/000853 WO2000049446A1 (fr) 1999-02-16 2000-02-16 Dispositif optique grossiss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717A true KR20010042717A (ko) 2001-05-25

Family

ID=2637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438A KR20010042717A (ko) 1999-02-16 2000-02-16 광학 확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10042717A (ko)
CN (1) CN1294694A (ko)
TW (1) TW419593B (ko)
WO (1) WO2000049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9959C (zh) * 2007-04-17 2008-12-03 天津大学 用于ic封装的放大成像视觉定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4845A (en) * 1984-09-01 1987-06-23 Canon Kabushiki Kaisha Stereoscopic microscope with means for varying stereoscopic viewing angle
US4663511A (en) * 1986-05-02 1987-05-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Stereoscopic optical view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19593B (en) 2001-01-21
CN1294694A (zh) 2001-05-09
WO2000049446A1 (fr) 200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7659B2 (ja) 立体顕微鏡
CN113848041B (zh) 光学性能测试系统及测试方法
JPS61172111A (ja) 実体顕微鏡
JP2002311337A (ja) 光学器械の視検筒
SE451282B (sv) Binokuler betraktningsanordning for att betrakta samma bild med bada ogonen samtidigt
JP2009205162A (ja) 顕微鏡用の照明装置
JP2002006228A (ja) 手術用ビデオ型顕微鏡
KR20010042717A (ko) 광학 확대장치
US7088504B2 (en) Surgical microscope
JP4063469B2 (ja) 超微小空隙から内部を観察するための装置
JP3944262B2 (ja) 手術用顕微鏡
JP3538365B2 (ja) ビデオ型立体顕微鏡
JPH0949971A (ja) 顕微鏡
JP3033857B2 (ja) 実体顕微鏡
JP3454851B2 (ja) 実体顕微鏡
JP4302199B2 (ja) 複数人で観察可能な実体顕微鏡
JPH07261096A (ja) 双眼実体顕微鏡
JP2000098237A (ja) 顕微鏡用俯視角度可変鏡筒
JP2000131735A (ja) 実像ファインダー
JP2712590B2 (ja) 倒立顕微鏡
JP2001066511A (ja) 顕微鏡
JP3962444B2 (ja) 光学拡大装置
JP2001051205A (ja) ビデオ型立体顕微鏡
JP3089304B2 (ja) 光学顕微鏡
JP2001051201A (ja) ビデオ型立体顕微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