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170A - Float valve for filling a flush tank - Google Patents

Float valve for filling a flush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170A
KR20010042170A KR1020007010623A KR20007010623A KR20010042170A KR 20010042170 A KR20010042170 A KR 20010042170A KR 1020007010623 A KR1020007010623 A KR 1020007010623A KR 20007010623 A KR20007010623 A KR 20007010623A KR 20010042170 A KR20010042170 A KR 20010042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valve
float
sectio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6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르네 브레겐제르
르네 돌데르
Original Assignee
페에.주플, 베에.에겐베르게르
게베리트테크니크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에.주플, 베에.에겐베르게르, 게베리트테크니크아게 filed Critical 페에.주플, 베에.에겐베르게르
Publication of KR2001004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170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a transmission with parts linked together from a single float to a single valve
    • F16K3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a transmission with parts linked together from a single float to a single valve with the valve guided for rectilinear movement and the float attached to a pivoted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플로트 밸브는 물탱크를 채우기 위해 사용되며 축방향 가동형 밸브 본체(16)에 연결되는 플로트(1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밸브 본체(16)는 공급 라인에 연결되는 노즐 본체(7)의 입구 노즐의 밸브 시트(9)와 상호 작용한다. 밀봉되는 노즐 단면(A)을 변화하기 위한 수단(8, 15, 17)이 제공된다. 그 결과, 밸브(1)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본체(16)에 작용하는 힘은 폐쇄력에 적합할 수 있다. 노즐 단면(A)은, 예컨대 호스형의 변형가능한 다이어프램(8), 회전가능한 노즐 디스크(17), 또는 교환가능한 노즐 본체(7)로 형성될 수 있다.The float valve is used to fill the water tank and has a float 19 connected to the axially movable valve body 16. This valve body 16 interacts with the valve seat 9 of the inlet nozzle of the nozzle body 7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Means 8, 15, 17 are provided for changing the nozzle cross section A to be sealed. As a result, the force acting on the valve body 16 when the valve 1 is in the closed position can be adapted to the closing force. The nozzle cross section A can be formed, for example, of a hose-shaped deformable diaphragm 8, a rotatable nozzle disk 17, or an exchangeable nozzle body 7.

Description

물탱크를 채우기 위한 플로트 밸브{FLOAT VALVE FOR FILLING A FLUSH TANK}FLOAT VALVE FOR FILLING A FLUSH TANK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플로트 밸브는 본 출원인의 명의로 특허 출원된 DE 31 53 688 C2 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출원의 플로트 밸브는 화장실 물탱크로의 물 흐름을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커플링 기구에 의해 이동되어 폐쇄 위치를 유지하는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커플링 기구의 감속비는 밀폐 이동의 시작시에는 작고 이동 말기에는 상당히 크다. 밀폐 이동 동안 감속비의 이러한 변화는 급송라인에서의 압력 증가 또는 압력 변화의 경우 밸브의 소망하지 않는 개방에 대해서 안전성을 증가하기 위해 제공되고 있다.This general form of float valve is disclosed in DE 31 53 688 C2, filed in the name of the applicant. The float valv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used to control the water flow into the toilet water tank and has a valve body which is moved by a coupling mechanism to maintain the closed position. The reduction ratio of this coupling mechanism is small at the beginning of the hermetic movement and considerably large at the end of the movement. This change in the reduction ratio during the closing movement is provided to increase the safety against undesired opening of the valve in the case of pressure increase or pressure change in the feed line.

이러한 형태의 플로트 밸브에 의하면, 밸브가 평균 이상의 수압 상태에서 급송라인에 연결될 수 있도록 플로트의 양력이 일정 크기로 유지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결과적으로, 플로트의 양력은 평균 이하의 수압 상태에서 급송라인에 대해 최적인 경우보다 커야만 한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플로트 밸브 및 이와 유사한 밸브에 있어서, 플로트의 통상적인 양력은 대략 1.6 내지 2.0 N 까지의 범위를 갖는다. 플로트의 양력은 실질적으로 그 부피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높은 양력은 플로트의 큰 부피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ype of float valve, it is essential that the lift of the float be maintained at a constant size so that the valve can be connected to the feed line at a hydraulic pressure above average. As a result, the lift lift of the float should be greater than optimal for the feed line in sub-average hydraulic conditions. For float valves and similar valves disclosed in this publication, the typical lift of the float ranges from approximately 1.6 to 2.0 N. The lift of a float is substantially determined by its volume. Thus, high lift can only be achieved by a large volume of float.

장착되는 일반적인 우수(雨水) 탱크로부터 분출수를 얻는 나라에서, 예컨대, 집 지붕의 수압은 비교적 다양하고 대개는 상당히 작다. 이 경우 입구 압력은, 예컨대, 1 바아(bar) 이다. 이 정도 수준의 비교적 저압에서 사용되는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플로트는 불필요하게 높은 양력과, 이로 인한 불필요한 부피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밀폐된 물탱크의 경우,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플로트를 가능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플로트는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플로트는 비교적 복잡하고 상응하는 다른 플로트 또는 플로트 밸브는 재고로 유지되어야 한다.In countries where squirt is obtained from the general rainwater tanks fitted, for example, the pressure in the roof of the house is relatively variable and usually quite small. In this case the inlet pressure is, for example, 1 bar. Conventional floats up to now used at relatively low pressures at this level exhibit unnecessarily high lift and thus unnecessary volume. Especially in the case of closed water tanks, it is desirable to make the float as small as possible in order to save space. In principle, this type of float can be exchanged. However, the float is relatively complex and the corresponding other float or float valve must be kept in stock.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컴팩트하고 소형이면서 그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일반적 형태의 플로트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at valve of the general type which is more compact and compact and which improves the reliability of its function.

본 발명은, 물탱크를 채우기 위해, 공급라인에 연결되는 노즐 본체의 입구 노즐에서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는 축방향 가동형 밸브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플로트를 구비한 플로트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valve with a float connected to an axially movable valve body that interacts with the valve seat at the inlet nozzle of the nozzle body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to fill the water tan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밸브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float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밸브가 개방된 위치에서, 도 1에 도시한 플로트 밸브의 부분 단면도,FIG. 2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at valve shown in FIG. 1 in the open position of the valve, FIG.

도 2b은 도 2a의 화살표 Ⅱb 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rrow IIb of FIG. 2A;

도 3a는 밸브가 다시 개방된 위치에서, 변형예에 따른 플로트 밸브의 부분 단면도,3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float valve according to a variant, in a position where the valve is open again

도 3b는 도 3a의 화살표 Ⅲb 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rrow IIIb of FIG. 3A;

청구항 1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일반적인 형태의 플로트 밸브에서, 밀봉되는 노즐 단면을 변화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밸브에 있어서, 밀봉되는 노즐 단면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 노즐 단면은 입구 수압에 적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입구 수압의 경우 이 노즐 단면은 감소하고, 매우 낮은 입구 수압의 경우 노즐 단면은 증가한다. 이런 방법으로, 밸브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밸브 본체에 작용하는 힘은 밸브의 폐쇄력에 최적으로 유지된다. 동시에, 충만 용량은 또한 최적으로 유지된다. 비교적 낮은 입구 수압의 경우, 노즐 단면은 점차 증가하고, 충만 용량은 점차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본체의 일반적으로 높은 힘이 노즐 단면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플로트는 처음부터 과대한 치수가 되지 않는다.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is achieved by means for changing the nozzle cross section being sealed in a float valve of the general type. In the float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ozzle cross section to be sealed varies, this nozzle cross section may be suitable for inlet water pressure. In general, for high inlet water pressure this nozzle cross section decreases and for very low inlet water pressure the nozzle cross section increases. In this way, the force acting on the valve body when the valve is in the closed position is optimally maintained for the closing force of the valve. At the same time, the full capacity is also optimally maintained. In the case of relatively low inlet water pressure, the nozzle cross section gradually increases, and the filling capacity gradually increases. As a result, the float does not become excessively dimensioned from the beginning because the generally high force of the valve body can flexibly change the nozzle cross section when the valve is in the close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밸브에서 1.2 내지 1.5 N 범위의 양력이 최적이라는 것을 시험에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낮은 양력 때문에, 플로트의 부피는 통상적인 경우 보다 작다. 이것은 물탱크 내부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특히 밀봉된 물탱크의 경우에는, 조립 및 수선 작업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더욱이, 대략 200 ㎤/sec 의 최적 충만 용량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6 리터의 분출수가 대략 30 초만에 재충만된다.The tests show that the lift in the range of 1.2 to 1.5 N is optimal for the float val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Because of this low lift, the volume of the float is smaller than usual. This facilitates access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an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sealed water tank,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in view of assembly and repair operations. Moreover,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optimum full capacity of approximately 200 cm 3 / sec. As a result, 6 liters of jet water are refilled in approximately 30 seconds.

특히 이 단면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면 최적의 노즐 단면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다. 변형예에 따르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본체에 의해 매우 저렴하고 신뢰성 있는 방법이 행해진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변형가능한 본체는 호스 형상이고 반경방향으로 진행하는 조절수단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In particular, if this cross section is changed continuously, the optimum nozzle cross section cannot be adjusted accurately. According to a variant, a very inexpensive and reliable method is carried out by the elastically deformable body. According to a variant of the invention, the deformable body is hose shaped and can be deformed by means of adjusting means running radially.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밀봉되는 노즐 단면을 변화하기 위한 수단은 복수 개의 통로 개구를 구비하고 회전가능하거나 피봇 운동가능한 디스크로 형성된다. 디스크의 회전으로, 최적 노즐 단면에 대응되는 통로 개구는 밸브 시트로서 선택된다. 적절한 노즐 단면은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팅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다른 노즐 단면이 마련된 다른 노즐 본체에 대해서도 고려할 수 있다.According to a variant of the invention, the means for changing the sealed nozzle cross section is formed of a disk which has a plurality of passage openings and is rotatable or pivotable. With the rotation of the disk, the passage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optimum nozzle cross section is selected as the valve seat. The proper nozzle cross section can be set very easily and quickly.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other nozzle bodies provided with other nozzle cross sections to be used.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Two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도시한 플로트 밸브(1)는 유니언 너트(3)에 의해 커넥션 니플(2)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는 밸브 하우징(22)을 구비하고 있다. 연속 보어(4)가 마련된 노즐본체(7)는 클램핑 링(6)과 함께 니플(2)과 밸브 하우징(22) 사이에 단단하게 클램프 고정되어 있다. 노즐본체(7)는 밀봉부재(5)에 의해 니플(2)에 대해 밀봉되어 있다.The float valve 1 shown in FIG. 1 has a valve housing 22 which is releasably attached to the connection nipple 2 by a union nut 3. The nozzle body 7 provided with the continuous bore 4 is clamped tightly between the nipple 2 and the valve housing 22 together with the clamping ring 6. The nozzle body 7 is sealed to the nipple 2 by the sealing member 5.

노즐본체(7)는 디플렉터 스크린(7b)의 대략 중앙에 배열되는 밸브 시트(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밸브 시트(9)는 고무 시일(16a)이 마련된 밸브 본체(16)와 상호 작용하고 있다. 도 1에서, 고무 시일(16a)이 마련된 밸브 본체(16)는 밸브 시트(9)에 가압되어 있다. 결국, 밸브가 폐쇄되어 노즐 본체(7)의 보어(4)를 통해 밸브 하우징(22)의 환형 챔버(10)로 분출수가 유입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The nozzle body 7 has a valve seat 9 which is arrang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deflector screen 7b. This valve seat 9 interacts with the valve body 16 provided with the rubber seal 16a. In FIG. 1, the valve body 16 provided with the rubber seal 16a is pressed against the valve seat 9. As a result, the valve is closed, and it is impossible for the spout water to flow into the annular chamber 10 of the valve housing 22 through the bore 4 of the nozzle body 7.

출구 파이프(21) 상에 수직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법으로 가이드되고 링크장치(20)를 경유하여 레버(11)에 연결되어 있는 플로트(19)에 의해 밸브 본체(16)에는 압력이 가해지고, 이 링크장치는 상기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지만 커플링 기구가 바람직하다. 링크장치(20) 및 플로트(19)는 전술의 DE 31 53 688 C2 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플로트(19)는 물탱크에 위치하므로 부력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양력은 링크장치(20)와 레버(11)를 경유하여 밸브 본체(16)에 전달된다.Pressure is applied to the valve body 16 by a float 19 guided in a vertically displaceable manner on the outlet pipe 21 and connected to the lever 11 via the linkage 20. The linkage is shown schematically in the figure, but a coupling mechanism is preferred. The linkage 20 and float 19 can be configured as disclosed in DE 31 53 688 C2 above. The float 19 is located in the water tank and thus is affected by buoyancy. This lif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valve body 16 via the linkage device 20 and the lever 11.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형 일래스토머릭 다이어프램(8, elastomeric diaphragm)은 노즐 본체(7)의 보어(4)에 삽입되어 있다. 다이어프램(8)의 단부에는 노즐 본체(7)를 고정시키는 반경방향 플랜지(8d)가 구비되어 있다. 다이어프램(8)의 영역에는, 보어(4)가 적절한 크기의 보다 큰 보어(13)로 확장되어 있다. 그럽 나사(15, grub screw)가 삽입되고, 반경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사산 보어(14)는 이 보어(13)로 돌출하고 있다. 그 단부 측면에서, 이 그럽 나사(15)는 다이어프램(8)의 외측면에 대해 유지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위치에서, 다이어프램(8)은 그럽 나사(15)에 의해 다소 큰 범위까지 탄성 변형되고, 도 2b에 도시한 노즐 단면(A)은 둥글지 않고 또한 비변형 다이어프램(8)의 경우 보다 작다. 도 2a에서, 그럽 나사(15)가 나사산 보어(14)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면,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점차 제거되고 다이어프램(8)은 그 전체 영역에 걸쳐 보어(13)에 대해 유지되고 노즐 단면(A)은 원형으로 되므로 도 2b에 도시한 것 보다 크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 그럽 나사(15)가 반경방향 내향으로 더 이동하면, 노즐 단면(A) 크기는 더 감소된다. 이와 같이, 다이어프램(8)을 적절하게 변형함으로써, 노즐 단면(A)은 한정된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본체(16)에 작용하는 힘은 노즐 본체(7)에서 수압에 의해 변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높은 수압의 경우, 그럽 나사(15)를 적절히 체결하고 노즐 단면(A)을 감소시킴으로써 노즐 본체(16)에 작용하는 힘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대향 방향으로 그럽 나사(15)가 헐렁해지고, 이에 따라, 노즐 단면(A)은 증가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a hose-type elastomeric diaphragm 8 is inserted into the bore 4 of the nozzle body 7. At the end of the diaphragm 8 is provided a radial flange 8d for fixing the nozzle body 7. In the region of the diaphragm 8, the bore 4 extends into a larger bore 13 of appropriate size. The grub screw 15 is inserted, and the threaded bore 14 running in the radial direction protrudes from the bore 13. At its end side, the grub screw 15 is held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diaphragm 8. In the position shown in the figure, the diaphragm 8 is elastically deformed to a rather large range by the grub screw 15, and the nozzle end face A shown in FIG. 2B is not round and the undeformed diaphragm 8 Less than if. In FIG. 2A, when the grub screw 15 moves upward in the threaded bore 14, the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is gradually removed and the diaphragm 8 is held against the bore 13 over its entire area and the nozzle cross section A ) Becomes circular, which is larger than that shown in FIG. 2B. As the grub screw 15 further moves radially inward in FIGS. 2A and 2B, the nozzle cross section A size is further reduced. As such, by appropriately deforming the diaphragm 8, the nozzle end surface A can be continuously changed within a limited range. Thus, the force acting on the valve body 16 when the valve is in the closed position is changed by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nozzle body 7. In general, in the case of high water pressure, the force acting on the nozzle body 16 can be continuously reduced by properly tightening the grub screw 15 and reducing the nozzle end surface A. FI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grub screw 15 is loosened, whereby the nozzle end face A is increased.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노즐 디스크(17)는 노즐 본체(7')의 반경방향 리세스(18)에 삽입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디스크에는 서로 다른 단면(A 및 A' 등)을 갖는 복수 개의, 예컨대 네 개의 노즐 개구(17a 내지 17d)가 구비되어 있다. 노즐 디스크(17)는, 예컨대 래칭수단(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네 개의 위치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 고정될 수 있다. 도 3b는 가장 큰 노즐 단면(A)이 마련된 노즐 통로(17a)가 동작하는 노즐 디스크(17)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단면은 변화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변화는 눈금을 매긴 노즐 통로(17a)에 대응하는 스텝에서 발생하지만 연속적이지는 않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A and 3B, the nozzle disc 17 is inserted into the radial recess 18 of the nozzle body 7 ′, and the nozzle disc 17 has different cross sections as shown in FIG. 3B. A plurality of, for example, four nozzle openings 17a to 17d having (A and A ', etc.) are provided. The nozzle disc 17 can be rotatably mounted and fixed at each of the four positions using, for example, latching means (not shown). FIG. 3B shows the position of the nozzle disk 17 on which the nozzle passage 17a provided with the largest nozzle cross section A operates. In this embodiment, the nozzle cross section can vary. However, the change occurs in the step corresponding to the graduated nozzle passage 17a but is not continuous.

다이어프램(8) 및 노즐 디스크(17)는 노즐 단면을 변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수단의 실례이다. 노즐 단면이 계단식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다른 수단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Diaphragm 8 and nozzle disk 17 are examples of means that can be used to change the nozzle cross section. It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eans by which the nozzle cross section may be changed stepwise or continuously may be considered.

노즐 단면(A)은 조립시 세팅된다. 일반적으로, 이 노즐 단면(A)은 조립후 고정되고 예외적인 경우에 다시 변화될 수 있지만, 원칙적으로 적절한 시기에 변경가능하다. 노즐 단면(A)의 채택 여부는 조립후 물탱크를 충만하여 분출함으로써 체크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200 ㎤/sec 의 최적 충만 공간은 체크가 용이하다.The nozzle cross section A is set at the time of assembly. In general, this nozzle cross section A is fixed after assembly and can be changed again in exceptional cases, but in principle can be changed at an appropriate time. The adoption of the nozzle end face A can be checked by filling and filling the water tank after assembly. In this case, for example, an optimal filling space of 200 cm 3 / sec is easy to check.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밸브의 다른 중요한 장점은 교환이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부품을 사용하여 행해진다는 데에 있다. 공지의 플로트 밸브에 비해 조작 방법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노즐 단면이 입구 압력에 적합하게 최적으로 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부피가 작으면서 비교적 높은 양력을 갖는 플로트(19)가 제공된다.Another important advantage of the float val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that the replacement is done using relatively simple and inexpensive components.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operation method compared with the known float valve. Since the nozzle cross section can be optimally adapted to the inlet pressure, a float 19 is provided which is relatively small in volume and has a relatively high lift.

Claims (8)

물탱크를 채우기 위해, 공급라인에 연결되고 노즐 본체(7)의 입구 노즐에서 밸브 시트(9)와 상호 작용하는 축방향 가동형 밸브 본체(16)에 연결되어 있는 플로트(19)를 구비하는 플로트 밸브에 있어서, 밀봉되는 노즐 단면(A)을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8, 15, 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밸브.To fill the water tank, a float with a float 19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and connected to the axially movable valve body 16 interacting with the valve seat 9 at the inlet nozzle of the nozzle body 7. A valve, comprising: means (8, 15, 17) for varying a nozzle end face (A) to be sea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단면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밸브.The float valve of claim 1, wherein the nozzle cross-section is continuously vari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단면(A)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본체(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밸브.The float valve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nozzle cross section (A) is formed by an elastically deformable body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8)는 호스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밸브.4. The float valv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ain body (8) has a hose type structure.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본체(8)는, 예컨대 반경방향으로 조절가능한 그럽 나사(grub screw, 15)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다이어프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밸브.5. Float valve according to claim 3 or 4,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ormable body (8) is for example a diaphragm which can be deformed by means of a radially adjustable grub screw (15). 제1항에 있어서, 노즐 단면(A)을 변화하기 위한 수단(17)은 노즐 본체(7)에 장착되는 인서트(17)에 의해 고정되고, 선택적으로 입구 노즐을 형성하고 크기가 다른 단면(A, A')을 갖는 두 개 이상의 통로(17a-17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The cross section 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ns for changing the nozzle cross section A are fixed by an insert 17 mounted to the nozzle body 7, optionally forming an inlet nozzle and having a different size A. And at least two passages (17a-17d) having A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7)는 회전가능하거나 피봇 운동가능한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7. Valve according to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17) is a rotatable or pivotable disk.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런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The valv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ich is a plunger valve.
KR1020007010623A 1999-01-28 1999-11-25 Float valve for filling a flush tank KR2001004217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51/99 1999-01-28
CH15199 1999-01-28
PCT/CH1999/000564 WO2000045076A1 (en) 1999-01-28 1999-11-25 Float valve for filling a flush t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170A true KR20010042170A (en) 2001-05-25

Family

ID=418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623A KR20010042170A (en) 1999-01-28 1999-11-25 Float valve for filling a flush tank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066481A1 (en)
JP (1) JP2002535584A (en)
KR (1) KR20010042170A (en)
CN (1) CN1120317C (en)
AT (1) AT4076U1 (en)
AU (1) AU758581B2 (en)
DE (1) DE29918936U1 (en)
WO (1) WO200004507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6045B (en) * 2010-11-11 2013-11-06 李飞宇 Closestool water inlet val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10062195A1 (en) * 2010-11-30 2012-05-31 Krones Aktiengesellschaft Control valve for pressure reduction
DE202014102658U1 (en) * 2014-06-06 2014-06-23 Bürkert Werke GmbH diaphragm valv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7235A (en) * 1930-06-11 1932-11-08 Wolverine Brass Works Valve mechanism
GB662896A (en) * 1948-10-01 1951-12-12 Willy Homan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s taps
GB782904A (en) * 1954-08-23 1957-09-18 Leonard Victor Sherwood A ball valve device
CH649336A5 (en) 1980-10-27 1985-05-15 Geberit Ag FLOAT VALVE FOR CONTROLLING THE WATER INLET IN A TOILET CLEANER.
US5197708A (en) * 1992-08-11 1993-03-30 Flow-Rite Controls, Ltd. Tubing pinch valv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58581B2 (en) 2003-03-27
WO2000045076A1 (en) 2000-08-03
AU1146600A (en) 2000-08-18
DE29918936U1 (en) 2000-01-13
JP2002535584A (en) 2002-10-22
CN1295655A (en) 2001-05-16
EP1066481A1 (en) 2001-01-10
CN1120317C (en) 2003-09-03
AT4076U1 (en) 200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486B1 (en) Fluid operated valve
US4776952A (en) Regulated control valve assembly for a water purification system
US4853117A (en) Purified water supply system
US4927115A (en) Valve for a hand held spray nozzle
US7140590B2 (en) Pinch valve element for plumbing fixture flush valve
EP0110577B1 (en) Float valve
US6035888A (en) Fill valve
KR900002882B1 (en) Control stop for flushing system
US3982557A (en) Fluid valve with float actuator
KR20010042170A (en) Float valve for filling a flush tank
KR100561208B1 (en) pilot valves functioning relief and depressurization
FR2472709A1 (en) PUSH BUTTON CONTROL VALVE
KR200404834Y1 (en) Pressure reducing valve
KR100826044B1 (en) Liquid control valve
JP4738078B2 (en) Pilot flow control device
EP1601901B1 (en) Toilet cistern filling valve
US20020144732A1 (en) Liquid flow control valve
CN110656694A (en) Adjustable flexible cut-off device
CN218510239U (en) Pressure reducing valve
EP1364144B1 (en) Float actuated fluid flow control device
GB2133902A (en) Float-operated cistern valve assemblies
RU209149U1 (en) Filling valve for toilet cisterns
US4979529A (en) Valves
CA1076919A (en) Water closet valve assembly
KR930005270Y1 (en) Oil pressure press val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