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774A - 형광체의 열화방지 및 청색 순도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형광체의 열화방지 및 청색 순도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774A
KR20010038774A KR1019990046890A KR19990046890A KR20010038774A KR 20010038774 A KR20010038774 A KR 20010038774A KR 1019990046890 A KR1019990046890 A KR 1019990046890A KR 19990046890 A KR19990046890 A KR 19990046890A KR 20010038774 A KR20010038774 A KR 20010038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layer
electrode
plasma display
substrat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득일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4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8774A/ko
Publication of KR2001003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77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체층의 열화를 방지하고 청색의 순도를 강화시키는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방전이 일어나는 제 2 및 제 3 전극(14, 15)을 매립하는 전면기판(16)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전체층(18)의 하부에 다시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전체층(30, 3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전체층(30, 31)은 청색을 가진다.

Description

형광체의 열화 방지 및 청색 순도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nel for precluding the degradation of the illuminating material and enhancing the blue property}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nel:PDP)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그 형광체의 열화를 방지하고 또한 청색의 순도를 향상 시키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그 동작 원리에 따라 직류(DC) 플라즈마 표시 장치와 교류(AC) 플라즈마 표시 장치로 대별된다. 직류 플라즈마 표시 패널은 모든 전극들이 방전 공간에 노출된 구조로서, 그 대응되는 전극들 사이에 전하(charges)들의 이동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반하여, 교류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대응하는 전극들 중에서 적어도 한 전극이 유전체로 둘러 쌓인 구조로서, 대응되는 전극들 사이에 직접적인 전하들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벽전하(wall-charge)의 전계에 의하여 방전이 수행된다.
도 1에는 교류 플라즈마 표시장치중 면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배면기판(10)과, 상기 배면기판(10) 위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제1전극(11)들과, 이 제1전극(11)이 형성된 기판(10)위에 형성된 유전체층(12)과, 이 유전체층(12) 상에 형성되어 방전거리를 유지시키고 셀간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는 격벽(13)과, 상기 격벽(13)이 형성된 배면기판(10)과 결합되며 상기 제1전극(11)과 직교하도록 소정의 패턴의 제2전극(14)들과 제3전극(15)들이 하면에 형성된 전면기판(16)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기판(16)의 하면에는 전극들이 매립되는 유전체층(18)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3)에 의해 구획된 방전공간 내의 적어도 일측에는 형광체층(17)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16)에 의해 구획된 방전공간에는 소정의 가스가 주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상기 제1전극(11)과 공통전극인 제3 전극(15)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이들 사이에서 예비방전이 일어나 전면기판(16)의 유전체(18)층 하면에 하전입자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유지 방전이 이루어지는데, 이 유지방전은 해당되는 제2전극(14)과 제3전극(15) 사이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면기판의 유전체 표면에서 이루어진다. 이때에 가스층에서 플라즈마가 형성됨으로써 형성되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가 여기되어 화소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에 의하여 상기 형광체층(17)의 열화가 진행되는데, 이러한 열화는 그 전면기판 하부의 유전체층(18)과 상기 격벽(13)사이의 형광체층(17)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욱 심화된다. 그러나, 상기 유전체층(18)과 상기 형광체층(17)의 거리는 격벽(13)의 높이에 의하여 고정된 것으로서, 그 거리를 멀게하는데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청색의 순도가 약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청색의 순도를 향상시키고 형광체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배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위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제1전극들과, 이 제1전극이 형성된 기판위에 형성된 유전체층과, 이 유전체층상에 형성되어 방전거리를 유지시키고 셀간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방전공간내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형광체층과, 상기 격벽이 형성된 배면기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소정의 패턴의 제2전극들과 제3전극들이 하면에 형성된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및 제 3 전극들이 매립되는 유전체층을 가지는 면 방전형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및 제 3 전극들이 매립되는 유전체층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및 제 3 전극들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전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상기 전면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전체층은 일종의 스페이서(spacer)로서 작용을 하여 상기 방전을 위한 제 2 및 제 3 전극을 매몰하고 있는 유전체층과 상기 격벽사이에 배치된 형광체층 사이의 거리를 그 격벽의 높이를 넘어서 더욱 띄운다. 그러면, 그 멀어진 거리만큼 형광체층의 열화가 완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상기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전층을 청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청색의 순도가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면 방전형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분리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전면기판 10: 하면기판 11: 제 1 전극
130, 131, 132: 격벽 14, 15: 제 2 및 제 3 전극
30, 31: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전체층
18: 전면기판 유전체층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분리 사시도 및 그 결합단면도이다. 이들을 참고로, 배면기판(10)과, 상기 배면기판(10) 위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제1전극(11)들과, 이 제1전극(11)이 형성된 기판(10)위에 형성된 유전체층(12)과, 이 유전체층(12) 상에 형성되어 방전거리를 유지시키고 셀간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는 격벽(130, 131, 312)이 형성된 것이 보인다. 또한 상기 격벽(130, 131, 312)의 사이에는 일화소를 형성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이 여기되는 형광체층(17)이 형성된 것이 보인다. 이러한 배면 기판의 상부에전면기판(16)이 결합되는데, 상기 전면기판(16)은 상기 제1전극(11)과 직교하도록 소정의 패턴의 제2전극(14)들과 제3전극(15)들이 하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및 제 3 전극들(14, 15)이 매립되는 유전체층(1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기판(16)의 제 2 및 제 3 전극(14, 15)가 매립되는 유전체층(18)의 하면에는 다시 유전체층(30, 31)이 형성된다. 상기 유전체층(30, 31)은 스트라이프 타입으로서 상기 제 2 및 제 3 전극(14, 15)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시부호 19는 이차 전자를 방출하는 MGO막이다. 그러면 상기 제 2 및 제 3 전극이 매립되는 전면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전체층(18)의 하부에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는 유전체층(30, 31)에 의하여 상기 형광체층(17)과 방전이 일어나는 상기 상기 제 2 및 제 3 전극이 매립되는 전면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전체층(18)의 거리가 상기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전체층(30, 31)의 두께만큼 멀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형광체층(17)의 열화가 그만큼 완화된다.
상기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16)에 의해 구획된 방전공간에는 소정의 가스가 주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상기 제1전극(11)과 공통전극인 제3전극(15)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이들 사이에서 예비방전이 일어나 전면기판(16)의 유전체(18)층 하면에 하전입자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유지 방전이 이루어지는데, 이 유지방전은 해당되는 제2전극(14)과 제3전극(15) 사이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면기판의 유전체 표면에서 이루어진다. 이때에 가스층에서 플라즈마가 형성됨으로써 형성되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가 여기되어 화소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전체층(30, 31)은 청색을 가지도록 한다. 그러면,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청색의 순도가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형광체층(17)과 방전이 일어나는 유전체층(18)사이의 거리가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전체층(30, 31)사이의 거리만큼 멀어지게 되어 그 만큼 열화가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전체층(30, 31)을 청색으로 한 경우,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작동시 청색순도가 강화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전인 것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배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위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제1전극들과, 이 제1전극이 형성된 기판위에 형성된 유전체층과, 이 유전체층상에 형성되어 방전거리를 유지시키고 셀간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방전공간내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형광체층과, 상기 격벽이 형성된 배면기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소정의 패턴의 제2전극들과 제3전극들이 하면에 형성된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및 제 3 전극들이 매립되는 유전체층을 가지는 면 방전형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및 제 3 전극들이 매립되는 유전체층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및 제 3 전극들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전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전체층은 청색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19990046890A 1999-10-27 1999-10-27 형광체의 열화방지 및 청색 순도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10038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890A KR20010038774A (ko) 1999-10-27 1999-10-27 형광체의 열화방지 및 청색 순도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890A KR20010038774A (ko) 1999-10-27 1999-10-27 형광체의 열화방지 및 청색 순도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774A true KR20010038774A (ko) 2001-05-15

Family

ID=1961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890A KR20010038774A (ko) 1999-10-27 1999-10-27 형광체의 열화방지 및 청색 순도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877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497A (ja) * 1993-07-13 1995-01-31 Fujitsu Ltd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950769A (ja) * 1995-05-26 1997-02-18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49874A (ja) * 1997-11-13 1999-06-02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9990039429A (ko) * 1997-11-12 1999-06-05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층 구조
KR19990069149A (ko) * 1998-02-05 1999-09-06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497A (ja) * 1993-07-13 1995-01-31 Fujitsu Ltd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950769A (ja) * 1995-05-26 1997-02-18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39429A (ko) * 1997-11-12 1999-06-05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층 구조
JPH11149874A (ja) * 1997-11-13 1999-06-02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9990069149A (ko) * 1998-02-05 1999-09-06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9474B2 (en) Flat lamp using plasma discharge
US7906907B2 (en) Plasma display panel (PDP)
KR2005004551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20026040A (ko) 기판 및 이 기판을 이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52261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518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5103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038774A (ko) 형광체의 열화방지 및 청색 순도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48846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33518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7030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5374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구조
KR10061528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466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2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964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8853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15840B1 (ko) 격벽의 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220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1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0191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80231555A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5010418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