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158A - 개방이 용이한 캔 - Google Patents

개방이 용이한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158A
KR20010037158A KR1019990044507A KR19990044507A KR20010037158A KR 20010037158 A KR20010037158 A KR 20010037158A KR 1019990044507 A KR1019990044507 A KR 1019990044507A KR 19990044507 A KR19990044507 A KR 19990044507A KR 20010037158 A KR20010037158 A KR 2001003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cover
ring portion
rive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705B1 (ko
Inventor
이흥열
Original Assignee
이흥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열 filed Critical 이흥열
Priority to KR2019990022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468Y1/ko
Priority to KR1019990044507A priority patent/KR100320705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1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89Unusu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의 덮개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개방이 용이한 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링부가 형성된 탭과, 상기 탭을 덮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리벳과, 상기 덮개에 형성된 절개선을 절개하여 개방부를 하부로 눌러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탭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탭의 회전이동을 규제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덮개에 돌출형성된 좌측 및 우측 스토퍼와, 상기 리벳의 중심과 상기 좌측 스토퍼의 우측면을 잇는 선 및 상기 리벳의 중심과 상기 우측 스토퍼의 좌측면을 잇는 선 사이의 반경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덮개의 하부로 향해서 함몰된 반원형 형상을 이루는 좌측 및 우측 오목홈과, 상기 선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탭에 형성된 링부의 좌측링부 및 우측링부의 하부면을 들어 올려서 탭을 일정 높이만큼 상향시키도록 상기 선사이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좌측 및 우측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캔의 덮개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이 용이한 캔{A LID OF CAN HAVING A CAN OPENER}
본 발명은 캔의 덮개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개방이 용이한 캔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종래의 개폐가 용이한 캔은 일본국 공고특허공보 소화 54-14554호(공고일;1979년 6월 7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화 54-14554호에 개시되어 있는 개폐가 용이한 캔은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 주변의 림(2)을 따라서 절개선(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1)의 중앙에는 강도를 부여함과 동시에, 탭(6)의 손잡이 링(5)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오목홈(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탭(6)은 덮개(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리벳(7)에 의해서 덮개(1)에 고착되어 있으며, 상기 탭(6)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손잡이 링(5)의 반대측에는 선단부가 뾰족한 돌기부(8)가 있고, 상기 돌기부(8)가 개폐구멍을 형성하도록 절개선(3)으로 부터 외측으로 신장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캔의 덮개를 개방할려면, 한손으로는 캔을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상기 탭(6)의 손잡이 링(5)에 손가락을 집어넣은 다음, 캔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링(5)을 상부로 잡아당겨서 돌기부(8)가 절개선(3)을 눌러서 절개선(3)에 구멍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손잡이 링(5)을 상부로 잡아당겨서 절개선(3)을 따라 상부의 덮개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른 손의 손가락을 상기 탭(6)의 손잡이 링(5)의 밑으로 집어 넣기가 곤란하여 캔의 덮개를 개방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캔의 덮개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개방이 용이한 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의 개방이 용이한 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개방이 용이한 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링부가 형성된 탭과, 상기 탭을 덮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리벳과, 상기 덮개에 형성된 절개선을 절개하여 개방부를 하부로 눌러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탭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탭의 회전이동을 규제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덮개에 돌출형성된 좌측 및 우측 스토퍼와, 상기 리벳의 중심과 상기 좌측 스토퍼의 우측면을 잇는 선 및 상기 리벳의 중심과 상기 우측 스토퍼의 좌측면을 잇는 선 사이의 반경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덮개의 하부로 향해서 함몰된 반원형 형상을 이루는 좌측 및 우측 오목홈과, 상기 선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탭에 형성된 링부의 좌측링부 및 우측링부의 하부면을 들어 올려서 탭을 일정 높이만큼 상향시키도록 상기 선사이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좌측 및 우측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캔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개방이 용이한 캔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깡통 따개를 구비한 캔에 있어서 탭의 좌측 및 우측 링부가 좌측 및 우측 돌출부상에 재치됨에 따라 탭이 덮개로부터 올라가는 것을 설명하는 도 4의 화살표Ⅴ-Ⅴ를 따라 취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탭이 캔의 덮개에 인접해서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5b는 탭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탭의 좌측 및 우측 링부의 하부면이 좌측 및 우측 돌출부에 당접되면서 탭이 덮개로부터 상향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단면도, 도 5 c는 탭의 좌측 및 우측 링부의 하부면이 좌측 및 우측 돌출부의 정부(꼭지점)에 당접되어 덮개로부터 가장 많이 떨어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캔 102:덮개
104:링부 104a:좌측링부
104b:우측링부 104c:삽입공
105:탭 106:리벳
108:절개선 110:개방부
112:돌기부 114:좌측스토퍼
115:우측 스토퍼 118:좌측 오목홈
120:우측 오목홈 122:좌측 돌출부
124:우측 돌출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캔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깡통 따개를 구비한 캔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깡통 따개를 구비한 캔에 있어서 탭의 좌측 및 우측 링부가 좌측 및 우측 돌출부상에 재치됨에 따라 탭이 덮개로부터 올라가는 것을 설명하는 도 4의 화살표Ⅴ-Ⅴ를 따라 취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방이 용이한 캔(100)의 상부에는 덮개(102)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 덮개(102)의 중앙부 근처에는 일측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링부(104)가 형성된 탭(105)이 리벳(10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탭(105)의 선단부에는 상기 덮개(102)에 형성된 절개선(108)을 절개하여 개방부(110)를 하부로 눌러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돌기부(1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부(104)에는 손가락을 삽입해서 상기 탭(105)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손가락을 삽입하는 삽입공(104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102)에는 상기 탭(105)의 회전이동을 규제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좌측 및 우측 스토퍼(114,115)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벳(106)중심과 상기 좌측 스토퍼(114)의 우측면을 잇는 선(ℓ1) 및 상기 리벳(106)의 중심과 상기 우측 스토퍼(115)의 좌측면을 잇는 선(ℓ2) 사이의 반경방향에는 상기 링부(104)를 형성하는 좌측링부(104a) 및 우측링부(104b)를 손가락으로 밀어서 리벳(106)을 중심으로 상기 탭(105)을 화살표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덮개(102)의 하부로 향해서 함몰된 반원형 형상을 이루는 좌측 및 우측 오목홈(118,1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벳(106)중심과 상기 좌측 스토퍼(114)의 우측면 및 상기 우측 스토퍼(115)의 좌측면을 각각 잇는 선(ℓ1,ℓ2)사이에는 상기 탭(105)의 좌측링부(104a) 및 우측링부(104b)의 하부면을 들어 올려서 탭(105)을 일정 높이(H2-H1=△H)만큼 상향시키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로 향하는 마름모 형상(단면에서 봐서 좌측꼭지각(α)과 우측 꼭지각(β)을 가진 삼각형 형상)의 좌측 및 우측 돌출부(122,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돌출부(122,124)는 덮개(102)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 오목홈(118,120)보다 상기 리벳(106)에 인접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돌출부(122,124)의 꼭지점(a)에 형성되는 꼭지각(α)은 꼭지점(b)에 형성되는 꼭지각(β)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캔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탭(105)의 우측 링부(104b)가 우측 스토퍼(115)에 당접되어 있는 상태에서 캔(100)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102)의 개방부(110)를 개방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우측 오목홈(120)에 넣으면서 상기 탭(105)의 우측링부(104b)를 반시계방향으로 밀면, 상기 탭(105)이 리벳(106)을 중심으로 해서 좌측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탭(105)에 형성된 링부(104)의 좌측링부(104a)의 하부면은 상기 덮개(102)에 형성된 좌측 돌출부(122)의 우측경사면(완만한 경사면)을 따라 올라감과 동시에, 우측 링부(104b)의 하부면은 상기 덮개(102)에 형성된 우측 돌출부(124)의 우측경사면(완만한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므로, 상기 탭(105)의 링부(104)는 덮개(102)로부터 △H만큼 올라가므로, 손가락을 링부(104)의 삽입공(104c)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링부(104)를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탭(105)에 형성된 링부(104)의 좌측링부(104a)의 하부면이 좌측 돌출부(122)의 정부(꼭지점)에 얹혀지고, 또한 우측 링부(104b)의 하부면이 상기 덮개(102)에 형성된 우측 돌출부(124)의 정부(꼭지점)에 얹혀지면, 상기 좌측링부(104a)의 좌측면이 좌측 스토퍼(114)의 우측면에 당접되므로 상기 탭(105)이 반시계방향을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링부(104)를 들어 올릴 때, 상기 탭(105)의 선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기부(112)가 개방부(112)를 눌러서 상기 개방부(110)가 절개선(108)을 따라 절개되면서 개방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돌출부(122)의 우측경사면을 완만하게 형성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돌출부(122)의 좌측경사면을 급경사로 형성하고, 상기 덮개(102)에 형성된 우측 오목홈(120)에 손가락을 넣으면서 탭(105)의 우측 링부(104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탭(105)의 좌측 링부(104a)의 하부면 및 우측 링부(104b)의 하부면을 상기 좌측 돌출부(122) 및 우측 돌출부(124)의 정부(꼭지점)에 위치시켜 상기 탭(105)의 링부(104)를 덜개(102)로부터 상부를 향해 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좌측 및 우측 돌출부(122,124)의 좌측경사면을 완만하게 형성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돌출부(122)의 우측경사면을 급경사로 형성하고, 상기 덮개(102)에 형성된 좌측 오목홈(118)에 손가락을 넣으면서 탭(105)의 좌측 링부(104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탭(105)의 좌측 링부(104a)의 하부면 및 우측 링부(104b)의 하부면을 상기 좌측 돌출부(122) 및 우측 돌출부(124)의 정부(꼭지점)에 위치시켜 상기 탭(105)의 링부(104)를 덜개(102)로부터 상부를 향해 떨어지도록 구성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때에는 도 4에서 우측스토퍼(115)를 상기 탭(105)의 우측면에 답접되도록 위치고정하고, 상기 좌측 스토퍼(114)를 상기 탭(1050의 좌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서 설치고정하면 된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방이 용이한 캔에 의하면 일측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링부가 형성된 탭과, 상기 탭을 덮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리벳과, 상기 덮개에 형성된 절개선을 절개하여 개방부를 하부로 눌러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탭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탭의 회전이동을 규제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덮개에 돌출형성된 좌측 및 우측 스토퍼와, 상기 리벳의 중심과 상기 좌측 스토퍼의 우측면을 잇는 선 및 상기 리벳의 중심과 상기 우측 스토퍼의 좌측면을 잇는 선 사이의 반경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덮개의 하부로 향해서 함몰된 반원형 형상을 이루는 좌측 및 우측 오목홈과, 상기 선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탭에 형성된 링부의 좌측링부 및 우측링부의 하부면을 들어 올려서 탭을 일정 높이만큼 상향시키도록 상기 선사이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좌측 및 우측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캔의 덮개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측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링부(104)가 형성된 탭(105)과, 상기 덮개(102)에 상기 탭(105)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리벳(106)과, 상기 덮개(102)에 형성된 절개선(108)을 절개하여 개방부(110)를 하부로 눌러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탭(105)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기부(112)를 구비한 캔에 있어서,
    상기 탭(105)의 회전이동을 규제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덮개(102)에 돌출형성된 좌측 및 우측 스토퍼(114,115)와, 상기 리벳(106)의 중심과 상기 좌측 스토퍼(114)의 우측면을 잇는 선(ℓ1) 및 상기 리벳(106)의 중심과 상기 우측 스토퍼(115)의 좌측면을 잇는 선(ℓ2) 사이의 반경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덮개(102)의 하부로 향해서 함몰된 반원형 형상을 이루는 좌측 및 우측 오목홈(118,120)과, 상기 선(ℓ1,ℓ2)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탭(105)에 형성된 링부(104)의 좌측링부(104a) 및 우측링부(104b)의 하부면을 들어 올려서 탭(105)을 일정 높이만큼 상향시키도록 상기 선(ℓ1,ℓ2)사이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좌측 및 우측 돌출부(122,1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돌출부(122,124)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돌출부(122,124)는 덮개(102)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 오목홈(118,120)보다 상기 리벳(106)에 인접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돌출부(122,124)는 꼭지점(a)에 형성되는 꼭지각(α)이 꼭지점(b)에 형성되는 직꼭지각(β)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캔.
KR1019990044507A 1999-10-14 1999-10-14 개방이 용이한 캔 KR100320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086U KR200175468Y1 (ko) 1999-10-14 1999-10-14 개방이 용이한 캔
KR1019990044507A KR100320705B1 (ko) 1999-10-14 1999-10-14 개방이 용이한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507A KR100320705B1 (ko) 1999-10-14 1999-10-14 개방이 용이한 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086U Division KR200175468Y1 (ko) 1999-10-14 1999-10-14 개방이 용이한 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158A true KR20010037158A (ko) 2001-05-07
KR100320705B1 KR100320705B1 (ko) 2002-03-18

Family

ID=196153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086U KR200175468Y1 (ko) 1999-10-14 1999-10-14 개방이 용이한 캔
KR1019990044507A KR100320705B1 (ko) 1999-10-14 1999-10-14 개방이 용이한 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086U KR200175468Y1 (ko) 1999-10-14 1999-10-14 개방이 용이한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54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8877B2 (en) 2001-07-09 2010-08-17 Linkshare Corporation Enhanced network based promotional track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777A (ko) * 2016-12-09 2018-06-19 윤성훈 개방이 용이한 원통형 음료수용 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8877B2 (en) 2001-07-09 2010-08-17 Linkshare Corporation Enhanced network based promotional tra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0705B1 (ko) 2002-03-18
KR200175468Y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0252B1 (en) Re-closable lid, in particular of a drinks can
JP2655997B2 (ja) ベント付きシール
DK3009369T3 (en) Resealable can end cap with a rotatable opening and re-closing tab
US4609123A (en) Beverage can with sanitary reclosable lid
EP0502985A4 (en) Container end member
EP1554185A1 (en) Opening device for can
US4463631A (en) Multipurpose opener
US5385254A (en) Easy lift container opening
US4356929A (en) Pop-top lid
US6450359B1 (en) Sanitary beverage can lid
US3957172A (en) End panel for nested tab safety closure
KR100320705B1 (ko) 개방이 용이한 캔
JPH07132936A (ja) 缶蓋およびそれを用いた飲料用缶
KR100908477B1 (ko)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EP1208044A1 (en) Can lid with opening means providing enhanced opening function and sanitariness
JP3137912U (ja) プルトップ式缶の開栓構造
KR100419265B1 (ko) 캔뚜껑 구조
US20030132230A1 (en) Articulated tab opener for container
KR20010111502A (ko)
KR20010035614A (ko) 오픈이 용이한 캔
KR200289208Y1 (ko) 문고리형 따개를 가진 캔뚜껑
JP2001130560A (ja) プルトップ付き缶
JPS6018347Y2 (ja) 引張り開口缶の構造
JPS6246419B2 (ko)
KR200233596Y1 (ko) 음료용 캔 마개의 자동열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