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5614A - 오픈이 용이한 캔 - Google Patents

오픈이 용이한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5614A
KR20010035614A KR1019990042265A KR19990042265A KR20010035614A KR 20010035614 A KR20010035614 A KR 20010035614A KR 1019990042265 A KR1019990042265 A KR 1019990042265A KR 19990042265 A KR19990042265 A KR 19990042265A KR 20010035614 A KR20010035614 A KR 20010035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top plate
tap
stopper
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우주
Original Assignee
나우주
주식회사 엘지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우주, 주식회사 엘지에스 filed Critical 나우주
Priority to KR1019990042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5614A/ko
Publication of KR2001003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tab)이 있는 캔(can)에 관한 것으로 캔 엔드(can end)위에 탭을 만들어 캔의 오픈 구조를 완성하는데 있어서 탭 조작성을 고려하여 탭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캔 엔드 상판(13)에 마련된 개구편(16) 비드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리벳(14)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이 리벳을 통해 캔 엔드 상판에 탭을 고정하는 지지부(18)가 있으며, 이 지지부 또는 탭과 캔 엔드 상판 사이에 위치하여 탭에 상승력을 부여하는 탄력작용편(19)을 구비하며, 탭 지지부의 리벳 고정점으로 부터 어긋난 위치나 리벳을 따라 도는 탭의 해당 회전 궤적이 미치는 캔 엔드 상판 적소의 위치에 탭의 상승 탄력을 저지하는 스토퍼(20)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캔을 여는 조작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오픈이 용이한 캔{A easy open can}
본 발명은 탭(tab)이 있는 캔(can)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캔 엔드(can end)위에 탭을 만들어 캔의 오픈 구조를 완성하는데 있어서 탭 조작성을 고려하여 탭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캔 타입의 용기를 열기 위한 용도로서 엔드 캔 위에 풀 탭(full-tab) 이나 스테이-온-탭(stay-on-tab) 등을 쓰는 형식이 알려져 있다. 전자는 캔 엔드로 부터 탭이 분리되는 분리형이고, 후자는 탭이 캔 엔드에서 분리되지 않는 비분리형에 속하지만 모두 여는 조작성에서 쉽게 캔 용기를 열수 있기 때문에 이지 오픈 캔(easy open can)으로도 불리워 진다.
이같이 캔 용기를 열기 위해 탭을 쓰는 경우 탭을 여는데 드는 조작성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탭의 부착 형태는 캔 제조 공정상의 이득이나 위생 취식 및 안전 그리고 적층 보관 등의 다양한 특성을 충족 시키기 위해 탭의 손잡이부와 캔엔드 상판과의 간격을 거의 밀착 시키는 것과 같은 상태로 좁게 설계해야 하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탭과 캔 엔드 상판간의 틈을 조작성을 고려해 넓게 유지하기는 어렵고 너무 좁아 손가락으로 탭을 들어올리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강하게 열 때 손톱이 부러지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위와 같은 캔 공정상의 문제, 위생 및 취식 안정성, 쌓아올리는 캔의 보관 등의 조건적 필요성 때문에 탭을 여는 조작성 까지는 완전하게 구현해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탭을 여는 조작성 개선을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어 왔던 바, 본 발명과 관련있는 몇가지 기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 특허공보 공고번호 91-7960호 및 93-12212호의 기술은 탭과 캔 엔드 상판 에 비드를 만드는 기계가공부의 형상에 관한 기술로서, 이 기술은 보다 적은 노력으로 탭을 열수 있게 하지만 탭이 상판에 거의 붙어 있어 풀탭 형식에 적용될 때 탭을 캔 엔드의 상판에서 들어올릴 때 드는 초기 조작성이 나쁘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4-5571호에 소개된 기술은 캔 엔드 상판의 일부분 즉 탭이 닿는 상판의 일측에 오목면을 형성시켜 손가락을 쉽게 들어가도록 하여 탭을 들어올리기 좋게 한 기술로서, 이 기술은 오목면의 영역이 지나치게 커서 이물질이 쌓일 우려가 크기 때문에 비위생적 이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5-18486호에 소개된 기술은 탭과 캔엔드 상판 사이에 적당한 거리를 확보시키고자 하였으나, 캔 용기가 가지는 조건적 필요성중 캔공정상의 문제와 적층 보관에 대응할 수 없고 조작에 신뢰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구조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0168052호에 소개된 기술은 탭 손잡이부에 패임부를 형성하여 탭을 손가락으로 당겨 일으키기 용이하도록 제공된 기술이나 역시 패임부에 불순물이 쌓일 수 있어 위생처리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제시된 다양한 기술들은 공통적으로 도 1과 같이 캔(1)의 상면인 캔 엔드(2)의 상판(3)에 리벳(4)으로 탭(5)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탭(5)과 캔 엔드(2)의 상판(3) 사이 간격을 확보하거나 아니면 탭(5)의 구조를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만큼의 공간으로 만들어 열기 쉬운 이지 오픈 캔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술적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분리형인 풀탭과 비분리형인 스테이온탭 형식에 적용시킬 경우 탭 조작에 대한 신뢰성의 문제나 위생 및 조작성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최근의 이지 오픈 캔의 형식은 안정성이나 폐기물 처리와 괸련하여 보다 우월한 비분리형 탭을 많이 쓰고 있다. 특히 감압캔의 경우는 내용물을 채웠을 때 캔엔드의 상판이 안쪽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탭을 들어올리기가 더욱 어려워 진다.
캔의 제조 공정상에서 요구되는 최적의 공정은 캔 엔드 상판과 탭의 단일 공정성의 확보이다. 캔 엔드를 단일 공정으로 완료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알려진 기술들은 이러한 제한된 제조 공정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들이기 때문에 조작 신뢰성 확보를 위해 탭을 들어올리기 쉽도록 구조적으로 완성 시키는 데에는 제약이 크다.
따라서 캔 엔드의 상판에 오목홈을 만들거나 탭을 상판으로 부터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하거나 그것도 아니면 보조물을 부가하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그만큼 탭과 캔 엔드의 조합은 정밀한 설계와 위생,안정성,생산성 및 소지자의 조작성 등을 모두 충족 시킬 필요성을 가지고 있지만 제한적 조건들을 모두 충족 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상의 이득을 고려하고 위생 및 안정성을 충족 시키면서도 탭을 들어올리는 조작성을 최적의 조건으로 만들어주기 위한 캔엔드와 탭의 조합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캔 엔드의 상판과 밀착 관계를 유지시켜 캔의 쌓아올리기 보관을 가능케 하면서도 탭의 간격을 넓혀줄 수 있는 탭의 선택적 위치 가변 구조를 제공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캔은, 캔 엔드의 상판 중앙부에 근처에 철취 가능한 비드가 나 있는 개구편이 있고, 이 개구편을 벗어난 위치에 탭을 위치 시켜 그 일단을 리벳으로 고정되며, 리벳 고정점의 상대측에 탭링을 선택적으로 갖는 캔에 있어서,
(1) 캔 엔드 상판에 마련된 개구편 비드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리벳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이 리벳을 통해 캔 엔드 상판에 탭을 고정하는 지지부가 있으며, 이 지지부 또는 탭과 캔 엔드 상판 사이에 위치하여 탭에 상승력을 부여하는 탄력작용편을 구비하며,
(2) 상기 탭 지지부의 리벳 고정점으로 부터 어긋난 위치나 리벳을 따라 도는 탭의 해당 회전 궤적이 미치는 캔 엔드 상판 적소의 위치에 탭의 상승 탄력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캔 엔드의 상판에서 리벳을 축으로 유동되는 탭의 내측 회전 반경 영역인 해당 캔 엔드 상판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스토퍼는 캔 엔드 상판으로 부터 솟아 있으면서 끝이 구부러진 저지편이 있고, 상기 스토퍼에 닿는 탭의 해당 부분은 바깥으로 연장된 접촉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캔 엔드 상판에 대하여 탭 전체가 등간격을 가지도록 처리한 조건에서 탭에 있는 탭링을 중심으로 일부분을 구부려서 손잡이 부분의 간격이 캔 엔드 상판과 간격이 더 벌어지도록 볼록부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캔 엔드 및 탭의 표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캔 엔드 및 탭의 표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탭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탭의 위치 변위를 보인 것으로 (A)는 초기상태 (B)는 조작상태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캔 엔드 및 탭의 조합을 보인 것으로 (A)는 초기 상태 (B)는 조작상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캔 12:캔 엔드
13:상판 14:리벳
15:탭 16:개구편
17:비드 18:지지부
19:탄력작용편 20:스토퍼
21:접촉면 23:저지편
24:탭볼록부 25:탭링
26;오목부
이렇게 캔 엔드 상판에 탭을 부설 하는데 있어서 탭 조작과 관련되어 탭의 위치가 캔 엔드 상판 위로 부상하도록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캔 엔드와 탭의 조합 구조는 캔의 제조 공정상의 일관성을 유지 시키고, 캔 엔드 상판 면부의 오염에 대비할 수 있으며, 조작전 탭의 위치를 캔 엔드 상판과 밀착 시킬 수 있으므로 쌓아올리기 보관 및 포장공정 등 다양한 캔의 기능적 조건을 만족 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탭이 있는 캔 엔드의 표면도 이고, 도 3은 탭의 상세 이며, 도 4의 (A)와 (B)는 탭의 세부 이고, 도 5는 캔 엔드와 탭의 접촉 단면 이며, 도 6의 (A)와 (B)는 탭의 위치 변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캔 엔드 상판(13)에 마련된 개구편(16)의 비드(17)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리벳(14)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이 리벳(14)을 통해 캔 엔드 상판(13)에 탭(15)을 고정하는 지지부(18)가 있으며, 이 지지부(18) 또는 탭(15)과 캔 엔드 상판(13) 사이에 위치하여 탭(15)에 상승탄력을 주는 탄력작용편(19)을 구비하고, 탭 지지부(18)의 리벳(14) 고정점으로 부터 어긋난 위치나 리벳(14)을 따라 도는 탭(15)의 해당 회전 궤적이 미치는 캔 엔드 상판(13) 적소의 위치에 탭(15)의 상승 탄력을 저지하는 스토퍼(20)를 설치하여 탭(15)을 수평상태로 고정하거나 부상 시키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캔 엔드 탭은 탄성탭의 형태로서, 캔 엔드 개구편(16) 주위는 기존의 캔 엔드와 비슷한 구조이다. 탭(15)은 캔 엔드 상판(13)에 부착 되는데 기존의 부착 위치에서 약 10°를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여서 상판(13)에 리벳(14)으로 고정 시킨다.
리벳(14)으로 탭을 상판(13)에 고정시킬 때 가능한 리벳(14)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판(13)과 탭(15)의 사이에 탄력작용편(19)을 둔다. 탄력작용편(19)은 상판(13) 위에서 탭(15)을 위로 밀어올리는 탄성방향성을 갖는다.
탭(15)의 모양은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한쪽에 귀 모양의 접촉면(21)을 돌출 시켰다. 스토퍼(20)는 가능한 리벳(14)의 모양과 같게 만들며, 탭(15)의 접촉면(21)을 눌러서 탭(15)을 상판(13)에 고정 시킨다. 따라서 스토퍼(20)는 상판(13)에 가능한 일체형으로 형성 시키고 탭(15)으로 부터 약간 옆으로 튀어나온 접촉면(21)을 눌러주는 형태로 유지 시키기 위해 절곡된 형태의 저지편(23)을 둘 수 있다.
캔 엔드(12)의 상판(13)에 고정된 탭(15)을 상판(13)의 스토퍼(20)로 부터 벗어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나는 탭(15)의 일부를 볼록부(24)로 만들어 탭링(25)에 손가락이 걸려 쉽게 옆으로 밀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캔 엔드(12)의 상판(13)에 작은 오목부(26)를 만들어 손가락이나 뾰족한 물체가 들어가 옆으로 미는 조작을 쉽게 하도록 하는 형태이다.
오목부(26)는 캔 엔드(12)의 상판(13)에서 리벳(14)을 축으로 유동되는 탭(15)의 내측 회전 반경 영역에 형성한다.
그리고 탭(15)에 처리하는 볼록부(24)는 캔 엔드 상판(13)에 대하여 탭(15) 전체 사이 간격이 등간격을 가지도록 처리한 조건에서 탭(15)에 있는 탭링(25)을 중심으로 일부분을 구부려서 손잡이 부분의 간격이 캔 엔드 상판(13)과 간격이 더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캔 엔드 상판(13)위에 탭(15)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리벳 지지부를 중심으로 탄력작용편을 두면 캔을 열 때 지지부를 중심으로 탭을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캔을 열기 위한 탭의 조작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캔을 열기 위한 탭(15)의 조작을 도 2에서 보면, 먼저 탭(15)을 옆으로 약간 밀면 탭(15)이 리벳(14)을 중심으로 미는 방향인 화살표 ″B″ 방향 으로 움직인다.
탭(15)의 초기 상태는 탄력작용편(19)의 탄력이 수축되어 있는 상태 즉 탭(15)이 스토퍼(20)에 의해 탄력작용편(19)의 상승력이 저지된 상태에 있다. 도 4의 (A)는 탭(15)의 상승이 스토퍼(20)에 걸려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앞서와 같이 탭(15)을 밀면 탭(15)이 스토퍼(20)로 부터 이탈되어 밑에서 위로 작용하는 탄력작용편(19)에 축적된 탄력이 그대로 탭(15)의 일단에 전달되어 탭(15)을 위로 들어올린다. 도 4의 (B)는 탄력작용편(19)이 탄성이 회복되어 탭(15)을 들어올린 상태이다.
따라서 탭(15)은 초기에 캔 엔드 상판(13)에 수평상태로 붙어 있지만 옆으로 약간만 밀면 위로 들어올려지는 위치 가변적 동작을 나타낸다.
그러나 캔(10)의 제조시 부터 사용전 까지는 탭(15)은 캔 엔드 상판(13)위에 스토퍼(20)에 걸려 있기 때문에 위로 튀어올라가지는 않고 언제나 눌려져 있어 캔 엔드 상판(13)에 거의 붙어 있는 상태에 놓인다.
캔 엔드 상판(13)위에 특히 탭(15)의 회전 반경 영역 안쪽에 스토퍼(20)를 두면 이러한 탭(15)의 조작에 드는 탭(15) 초기 유동을 아주 약간만 실행해도 스토퍼(20)로 부터 탭(15)을 이탈 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탭에 축적된 탄성력과 오동작에 대비하여 보다 확실한 제어 방법으로 스토퍼(20)의 상단을 구부린 저지편(23)으로 만들고 여기에 탭(15)의 위를 눌러놓는 도 5와 같은 형태는 탭의 보다 안정된 정착 상태를 지속 시킨다.
마찬가지로 탭의 회전 반경 영역내 캔엔드 상판(13)위에 적당한 오목부(26)를 두면 탭(15)을 옆으로 밀어 붙히는 조작 단계에서 손가락 이나 다른 뾰족한 물체를 넣어 미는 조작을 훨씬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탭(15)의 손잡이 일단을 구부려서 볼록부(24)로 형성 하여 탭(15)을 잡기 쉽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이 형식은 탭(15)의 일단이 캔 엔드 상판(13)으로 부터 들어올려져 변형된 상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조작성 증진 구조의 적용 유무에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탭(15)의 초기 밀어내기 조작만 실행되면 충분히 탭의 일단이 상승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어떤 부속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탭(15)을 미는 조작성과 관련되는 사항은 탭(15)과 스토퍼(20)의 구속을 푸는 과정과 마찬가지이다. 탭(15)에 귀 모양의 접촉면(21)을 만들어 스토퍼(20)에 고정 시키면 미는 조작성이 더 좋아진다.
탄력작용편(19)이나 스토퍼(20) 및 그 밖에 보조물들은 기존의 제조공정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제조 공정에서 몇 개의 금형 교체로도 제작 가능하고 공정의 단계는 오히려 조작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유사한 기술들에 비해 훨씬 줄어들며, 설치물들은 모두 캔엔드 상판 위에서 아주 작은 변경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캔(10)에 내용물을 채웠을 때 내압에 견디는 성능 저하는 없다.
캔 엔드 상판 위에 탭(15)을 스토퍼(20)로 고정 시켜 놓으면 탭의 조작성을 고려하지 않은 보통의 탭과 아주 흡사하다. 이러한 상태는 위생 및 안전 그리고 제조공정상의 이득이나 쌓아올리기 포장 및 보관에서 보다 유리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탭을 조작하여 캔을 여는 부담을 줄여 기능이 더 보강된 캔을 양산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캔엔드 상판위에 놓이는 탭의 위치를 조작과 관련되어 가변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캔 제조 및 사용을 고려하는 캔의 다양한 기능성 요건을 만족 시킬 수 있고 동시에 캔을 열 때 탭의 조작을 보다 간편하고 쉽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과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캔 제조에 드는 제작성이 양호하고 비교적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저비용으로 쉽게 양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캔엔드의 상판 중앙부에 근처에 철취 가능한 비드가 나 있는 개구편이 있고, 이 개구편을 벗어난 위치에 탭을 위치 시켜 탭의 일단은 리벳으로 고정되며, 리벳 고정점의 상대측에 탭링을 선택적으로 갖는 캔에 있어서,
    상기 캔 엔드 상판에 마련된 개구편 비드(17)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리벳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이 리벳을 통해 캔 엔드 상판에 탭을 고정하는 지지부(18)가 있으며, 이 지지부 또는 탭과 캔 엔드 상판 사이에 위치하여 탭에 상승력을 부여하는 탄력작용편(19)을 구비하며,
    상기 탭 지지부의 리벳 고정점으로 부터 어긋난 위치나 리벳을 따라 도는 탭의 해당 회전 궤적이 미치는 캔 엔드 상판 적소의 위치에 탭의 상승 탄력을 저지하는 스토퍼(20)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엔드에 고정되는 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 엔드의 상판의 리벳을 축으로 유동되는 탭의 내측 회전 반경 영역에 오목부(2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캔 엔드 상판으로 부터 솟아 있으면서 끝이 구부러진 저지편(23)이 있고, 상기 스토퍼에 닿는 탭의 해당 부분은 바깥으로 연장된 접촉면(21)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 엔드 상판에 대하여 탭 전체가 등간격을 갖고, 탭에 있는 탭링을 중심으로 일부분을 구부려서 손잡이 부분의 간격이 캔 엔드 상판과 간격이 더 벌어지도록 볼록부(24)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KR1019990042265A 1999-10-01 1999-10-01 오픈이 용이한 캔 KR20010035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265A KR20010035614A (ko) 1999-10-01 1999-10-01 오픈이 용이한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265A KR20010035614A (ko) 1999-10-01 1999-10-01 오픈이 용이한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614A true KR20010035614A (ko) 2001-05-07

Family

ID=1961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265A KR20010035614A (ko) 1999-10-01 1999-10-01 오픈이 용이한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56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265B1 (ko) * 2001-08-13 2004-02-18 강지수 캔뚜껑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8932U (ko) * 1989-05-18 1990-12-18
JPH0526825U (ja) * 1991-09-20 1993-04-06 充子 三吉 飲料容器缶蓋構造
JPH1059362A (ja) * 1996-08-19 1998-03-03 Seikichi Kawabe 開缶用スコア部付き缶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8932U (ko) * 1989-05-18 1990-12-18
JPH0526825U (ja) * 1991-09-20 1993-04-06 充子 三吉 飲料容器缶蓋構造
JPH1059362A (ja) * 1996-08-19 1998-03-03 Seikichi Kawabe 開缶用スコア部付き缶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265B1 (ko) * 2001-08-13 2004-02-18 강지수 캔뚜껑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725B2 (en) Sealing device for a container
EP2562093B1 (en) Resealable beverage can end and can
US7513383B2 (en) Opening device for can
US7594588B2 (en) Removable locking container cover with slotted outer skirt
US8783495B2 (en) Can end
US7870967B2 (en) Child-resistant vial closure
US8770425B2 (en) Beverage can lid
JPH0631101B2 (ja) 小児保護用ディスペンス蓋
EP2921421B1 (en) Dispensing closure
EP1786698A1 (en) Dispensing closure
US3949898A (en) Non-detachable easy open flap and tab assembly
US6450359B1 (en) Sanitary beverage can lid
KR20010035614A (ko) 오픈이 용이한 캔
US6189719B1 (en) Plastic cover for a container
JP4641833B2 (ja) 開閉自在の小蓋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JPH07132936A (ja) 缶蓋およびそれを用いた飲料用缶
JP4466944B2 (ja) 開口容易缶蓋
WO2001002260A1 (en) Can lid with opening means providing enhanced opening function and sanitariness
JP4439958B2 (ja) 開閉自在の小蓋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KR100320705B1 (ko) 개방이 용이한 캔
US11932460B2 (en) Closure
EP0456749B1 (en) Lid for a container
JP2001114275A (ja) 飲料容器
JP2002264977A (ja) エアゾール容器用噴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