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017A -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017A
KR20010037017A KR1019990044289A KR19990044289A KR20010037017A KR 20010037017 A KR20010037017 A KR 20010037017A KR 1019990044289 A KR1019990044289 A KR 1019990044289A KR 19990044289 A KR19990044289 A KR 19990044289A KR 20010037017 A KR20010037017 A KR 20010037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i
power
base station
sdb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준선
송태걸
김임수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44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7017A/ko
Publication of KR2001003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0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58Format of the TPC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S-95B의 역방향 보조 데이터 블록(Supplemental Data Block)의 첫 번째 1비트를 단말기 파워 문제 발생 유무를 알리는 플래그로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역방향 전력 제어 및 효율적인 보조 채널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역방향 SDB프레임을 수신하고, 단말기 파워 문제가 발생되었나 또는 해소되었나를 판단하여 단말기 파워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는 PCSS를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역방향 전력의 다운을 단말기에 지시하여 단말기 파워 문제를 해소시키며, 단말기 파워 문제가 해소된 경우에는 PCSS를 디폴트 값으로 복원하고, 정상적인 역방향 전력제어 루틴으로 돌아가는 과정에 의해 달성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Reverse direction power control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IS-95B의 역방향 보조 데이터 블록(Supplemental Data Block)의 첫 번째 1비트를 단말기 파워 문제 발생 유무를 알리는 플래그로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역방향 전력 제어 및 효율적인 보조 채널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 서비스중인 CDMA시스템의 무선망 규격은 IS-95A규격을 따르고 있으며, IS-95B란 이러한 IS-95A의 업그레이드 규격으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차세대 CDMA 무선망 규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IS-95B는 무선망의 트래픽 채널을 기본 데이터 블록(SDB)과 보조 데이터 블록(SDB)으로 구분하고 있다.
상기 SDB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전송 데이터의 양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SDB는 전송 데이터 양에 따라 0-7개가 사용되고, FDB 1개는 호 유지를 위한 시그널의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을 목적으로 항상 유지된다.
이 IS-95B의 규격을 따를 경우, 이동 단말기는 20msec마다 최대 8개(FDB 1, SDB 7)의 트래픽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이동단말기의 파워 소모량을 증대시켜 기존의 역방향 전력제어 방식을 개선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 파워 관점에서 볼 때 중대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IS-95B는 역방향 전력 제어와 관련하여 두가지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데 그 첫째는, 다이나믹 파워 콘트롤 스텝 사이즈(PCSS)를 지원하는 것이고, 둘째는 단말기가 SDB 전송 시점에 파워 문제로 인하여 정해진 SDB 수만큼 전송이 불가능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SDB 전송을 포기하는 것이다.
역방향 전력 제어는 1.25msec단위로 수행되며, 기지국은 순방향 트래픽 프레임을 통하여 단말기에 1.25ms단위로 역방향 전력의 업/다운을 지시하기 위해 파워 콘트롤 비트를 전송하는데 여기서, 파워 콘트롤 비트는 ″0″ 또는 ″1″로서 각각 업 또는 다운을 의미한다.
IS-95A는 업/다운 폭을 1dB로 고정하였으나, IS-95B는 업/다운 폭을 1-0.25dB로 가변할 수 있으며, 업/다운 폭은 트래픽 CAI(Common Air Interface)메시지를 통하여 단말기에 전달된다.
즉, 종래 IS-95B는 단말기 파워 문제가 발생하여 적어도 하나의 SDB 전송을 포기했음을 기지국이 감시할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역방향 SDB 프레임이 배드 프레임으로 결정될 경우, 단말기가 실제 전송하였는지를 기지국이 감지할 방법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다이나믹 PCSS 운용에 따른 결과를 기지국이 감지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파워 문제 발생을 기지국에서 파악하여 다이나믹 PCSS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역방향 SDB프레임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PEI B:정보 비트
C:프레임 질 지시기 D:인코더 끝단 비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PEI가 1인가를 판단하여 PEI가 ″1″인 경우에는 PCSS를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역방향 전력의 다운을 단말기에 지시하여 단말기 파워 문제를 해소시키며, PEI가 ″0″인 경우에는 PCSS를 디폴트 값으로 복원하고, 정상적인 역방향 전력제어 루틴으로 돌아가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레이트 셋 2 역방향 SDB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A부분은 PEI, B부분은 정보 비트들, C부분은 F(Frame Quality Indicator), D부분은 T(Encoder Tail Bits)이다.
여기서는, PEI가 ″1″, 정보 비트가 267, F가 12, T가 8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IS-95B 규격에 PEI(Power Exhausted Indicator)개념을 추가한 것으로, PEI는 레이트 셋 2(14.4bps)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역방향 SDB의 프레임을 통하여 기지국에 전달된다.
만일, PEI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인 경우에는, 단말기 파워 문제가 발생하여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 SDB전송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PEI가 ″0″인 경우 상기와 반대로 단말기 파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PEI를 이용한 역방향 전력제어의 흐름도로, 먼저 역방향 SDB 프레임을 수신하고(S1단계), PEI가 1인가를 판단한다(S2단계).
즉, 단말기 파워문제가 발생되었나 또는 해소되었나를 판단한다.
만일, PEI가 ″1″인 역방향 SDB를 수신한 기지국은 PCSS를 최대값으로설정하고, 역방향 전력의 다운(Down)을 단말기에 지시하여 단말기 파워 문제를 해소시킨다(S3단계).
그러나, PEI가 ″0″인 역방향 SDB를 수신한 기지국은 PCSS를 디폴트 값으로 복원하고, 파워 업 또는 다운을 실시한 후 정상적인 역방향 전력제어 루틴으로 돌아간다(S4,S5단계).
즉, 본 발명은 PEI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파워 문제를 기지국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의 파워 문제 해소가 가능한 역방향 전력 제어 알고리즘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IS-95B CDMA 시스템에서 단말기 파워 문제를 기지국에서 감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SDB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로 인한 단말기 파워 문제를 개선된 역방향 전력제어 방법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역방향 SDB프레임을 수신하고, 단말기 파워 문제가 발생되었나 또는 해소되었나(PEI가 1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단말기 파워 문제가 발생되어 PEI가 ″1″인 역방향 SDB를 기지국에서 수신한 경우, PCSS를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역방향 전력의 다운을 단말기에 지시하여 단말기 파워 문제를 해소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제1단계에서 단말기 파워 문제가 해소되어 PEI가 ″0″인 역방향 SDB를 기지국에서 수신한 경우, PCSS를 디폴트 값으로 복원하고, 정상적인 역방향 전력제어 루틴으로 돌아가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레이트 셋 2 역방향 SDB프레임의 예약(reserve)비트를 PEI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KR1019990044289A 1999-10-13 1999-10-13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KR20010037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289A KR20010037017A (ko) 1999-10-13 1999-10-13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289A KR20010037017A (ko) 1999-10-13 1999-10-13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017A true KR20010037017A (ko) 2001-05-07

Family

ID=1961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289A KR20010037017A (ko) 1999-10-13 1999-10-13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701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1763A (en) * 1996-03-15 1998-05-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51291A (ko) * 1997-12-19 1999-07-05 서정욱 차분상을 이용한 전력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83484A (ko) * 1998-04-25 1999-11-25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기지국과단말기간의송신전력제어방법
KR20000011694A (ko) * 1998-07-13 2000-02-25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링크공용채널의전력제어장치및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1763A (en) * 1996-03-15 1998-05-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51291A (ko) * 1997-12-19 1999-07-05 서정욱 차분상을 이용한 전력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83484A (ko) * 1998-04-25 1999-11-25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기지국과단말기간의송신전력제어방법
KR20000011694A (ko) * 1998-07-13 2000-02-25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링크공용채널의전력제어장치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925B1 (ko) 통신 유니트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U2242095C2 (ru) Эффективная внутриполосная передача сигналов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прерывистой передачи и изменений конфигураций систем связи с многоскоростной адаптивной передачей сигналов
US720320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to be employed in the same
AU733749B2 (en) Power control method of discontinuous transmission
CA2199892C (en) Scheme for wire line data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160992A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remote unit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RE39990E1 (en) Increasing channel capacity in fixed cellular networks
JPH11514505A (ja) コードレス加入者ラインインターフェイス用無線システム
JP3252487B2 (ja) セルラ無線電話システム
JP3457316B2 (ja) デ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と変換器との間の伝送エラーの管理方法および対応する基地局と変換器
JP2003520522A (ja) 最適化休眠モード動作
KR20010023122A (ko) 공유 채널을 구비한 원격통신 시스템
CA2323447C (en) Accommodating packet data loss at base stations interfacing between a packet switched network and a cdma macrodiversity network
US65075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signaling channel
KR100260711B1 (ko)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력 제어방법
KR20010037017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GB2290198A (en) Monitoring link quality in a TDMA radio communication system during silent periods
FI107201B (fi) Tiedonsiirron laadun turvaaminen tietoliikenneverkossa
KR100311353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프로토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억세스처리방법
CA2352177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lecting transmitting station
KR100257884B1 (ko)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과 기지국간트렁크 전송 효율향상 방법
US9161383B2 (en) Discontinuous transmission CDMA system
JP2856139B2 (ja) 誤り訂正制御方法及び誤り訂正制御装置
JP2726311B2 (ja) 無線回線切替方法
KR100312307B1 (ko)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전송슬롯단위의 순방향 프레임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