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694A -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링크공용채널의전력제어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링크공용채널의전력제어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694A
KR20000011694A KR1019990028308A KR19990028308A KR20000011694A KR 20000011694 A KR20000011694 A KR 20000011694A KR 1019990028308 A KR1019990028308 A KR 1019990028308A KR 19990028308 A KR19990028308 A KR 19990028308A KR 20000011694 A KR20000011694 A KR 20000011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power
transmission power
channel
comm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9527B1 (ko
Inventor
박창수
안재민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2000001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control comm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제어방법이,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된 전력제어신호들을 누적하여 누적값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누적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송신전력을 감소하여야 할 때 전력감소신호를 발생하고, 송신전력을 증가하여야 할 때에는 전력 증가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현재의 송신전력을 유지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공용채널의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REVERSE COMMON CHANNEL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전력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방향 링크 공용채널의 전력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한다.)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음성을 위주로 하는 종래의 이동 통신 규격에서 발전하여, 음성뿐만 아니라 고속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IMT-2000 규격으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IMT-2000 규격에서는 고품질의 음성, 동화상, 인터넷 검색 등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상기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존재하는 통신 선로는 크게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향하는 순방향 링크(Forward Link)와 반대로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향하는 역방향 링크(Reverse Link)로 구별된다.
상기 역방향링크 공용채널에는 역방향 공용제어 채널(Reverse Common Control Channel, R-CCCH)과 역방향링크 엑세스채널(Reverse Access Channel, R-ACH) 등이 있다. 상기 역방향링크 공용제어 채널 및 역방향링크 엑세스 채널 등은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메시지(Message) 송신 및 이에 대한 승인(Acknowlede, ACK) 메시지에 의한 전력조절(Power Adjustment)만이 존재할뿐, 고속폐루프전력제어(Fast Closed Loop Power Control)는 존재하지 않는다. 종래의 역방향링크 공용제어채널 및 역방향링크 엑세스 채널의 전력제어 방법은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먼저 단말은 순방향링크를 통한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보다 수신신호의 세기가 작으면 송신전력을 증가시키고, 기준값보다 수신신호의 세기가 크면 송신전력을 감소시키는 개루프(Open-loop) 전력제어 방법과 단말이 역방향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송신한 메시지에 대하여 기지국이 보내오는 승인메세지(ACK)의 수신유무를 검사하여, 상기 승인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미리 설정된 크기만큼 증가된 송신전력으로 메시지를 송신하여 엑세스를 시도하는 폐루프(Closed-loop) 전력제어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전력제어 방법은 특히 폐루프 전력제어방법의 경우 전력제어과정의 시간 지연이 문제가 된다.
또한 역방향링크 공용제어 채널 및 역방향링크 엑세스채널 등은 경쟁(Contention)을 기반으로 하는 채널이므로, 여러 단말기들이 동시에 엑세스를 시도하는 경우에는 충돌이 발생하게된다. 이런 경우 각 단말기들은 전력을 증가시킨 상태로 재차 엑세스를 시도하게 되며, 따라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에 간섭(Interference)이 증가하게 된다. 이것은 엑세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의 트레픽 채널(Traffic Channel)의 성능이 저하(Degradation)되는 결과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은 하기의 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역방향링크 공용채널의 전력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최저레벨의 전력으로 프리엠블(Preamble)을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엑세스를 시도한다. 상기 도 1에서의 T1은 첫 번째 엑세스 시점을 나타낸 것이다. 만약 다른 단말과의 경쟁이 발생하여 엑세스가 실패하면, 단말기는 일정시간(T2)이 지난 후 송신전력을 증가시켜 다시 프리엠블을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엑세스를 시도한다. 만약 또 다시 엑세스가 실패할 경우 단말은 일정시간(T3)을 기다린 후, 송신전력을 증가시켜 다시 엑세스를 시도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일정시간은 고정시간(Fixed time)과 랜덤시간(Random time)의 합으로 구성된다.
역방향링크에서 이러한 전력제어를 이용하여 엑세스를 하는 경우 여러 단말이 경쟁하게 될 때 과잉전력으로 인한 전체 시스템의 간섭 증가가 유발된다. 따라서 역방향링크 공용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패킷(Packet)데이터를 전송시 과잉 송신전력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과잉 송신전력을 줄이는 고속전력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종래의 역방향링크 트래픽채널의 전력제어가 기지국의 수신전력대잡음(Received Eb/No)의 값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에 중점을 둔 것에 반해 역방향링크 공용채널의 전력제어는 여러 단말들이 하나의 전력제어명령 스트림(Stream)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여러 단말의 과잉 송신전력을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링크 공용채널의 과잉신호전력을 줄이기 위한 전력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개루프 및 폐루프 전력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역방향 링크의 공용채널 송신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공용채널 전력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송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공용채널의 개루프(Open loop) 전력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개루프와 폐루프 방법을 동시에 고려한 역방향 링크 공용채널의 전력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전력제어 결정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전력제어비트란 상대방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대방한테 송신전력을 높히거나 내리도록 명령하기 위해 전송하는 제어비트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 Station)과 단말(Mobile Station)사이에서 계층3 및 접근매체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메세지의 전송에 이용되는 역방향링크 공용채널(Reverse Link Common Channel)의 전력제어시, 개루프의 전력제어 방법과 폐루프의 전력제어방법을 공용으로 사용한다. 이때 개루프 전력제어시 수신신호의 세기에 따라 역방향 링크 공용채널의 전력을 제어하고, 폐루프 제어시에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전력제어신호가 감소 명령인 경우에는 공용채널의 송신전력을 감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송신 전력 상태를 유지하여 역방향 공용 채널의 신호 전력에 의한 간섭을 줄인다.
도 2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채널 송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을 갖는 채널 송신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입력되는 데이타는 20ms 프레임을 갖는 풀레이트의 데이타(full rate data)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CRC발생기111은 입력되는 172비트 프레임 데이타에 12비트 CRC를 생성하여 부가하며, 테일비트 발생기112는 부호기113이 프레임 단위로 데이타를 초기화할 수 있도록 프레임 데이타의 종료 위치에서 8비트의 테일비트를 생성하여 부가한다. 따라서 상기 172 비트의 데이타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테일비트 발생기112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192비트가 된다. 그러면 상기 부호기113은 상기 테일비트 발생기112에서 출력되는 1 프레임 데이타를 부호화하여 프레임 당 576 심볼을 발생하고, 인터리버114는 상기 부호기113에서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타를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상기 비트선택기117은 롱코드 발생기116에서 출력되는 롱코드를 데시메이션하여 상기 인터리빙된 부호화 데이타들과 길이를 일치시킨다. 배타적 논리합기115는 상기 인터리빙되는 부호화 데이타와 상기 데시메이션된 롱코드를 배타적 논리합하여 출력(scrambling)한다. 이후 신호변환기118은 상기 배타적 논리합기115의 출력을 디멀티플렉싱하여 홀수 번째 데이타는 제1채널(I 채널)에 출력하고 짝수 번째 데이타는 제2채널(Q 채널)에 출력하며, 또한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변환한다. 이때 신호 변환은 0을 +1로 변환하고 1을 -1로 변환한다. 그리고 신호 변환된 각 채널들의 신호는 각각 채널 이득조정기119 및 121에서 이득이 조정되어 출력된다.
제어비트 발생기120은 역방향 공용채널에 삽입할 제어비트를 발생한다. 천공삽입기122 및 123은 상기 제어비트발생기120에서 출력되는 제어비트를 상기 비트선택기117이 지정하는 채널 이득조정기 119 및 121의 출력 위치에 삽입하여 출력한다. 곱셈기124 및 125은 상기 천공삽입기122 및 123의 출력을 할당된 월시부호와 곱하여 채널 확산된 신호를 발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공용채널의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결정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공용채널의 전력제어 방법은 상기 도 1과 같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전력제어방법과,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송신전력을 조절하는 개루프 전력제어 방법과, 전력제어 명령에 의한 고속 폐루프 전력제어방법을 혼용하여 사용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프리앰블 송신시 상기 도 1과 같이 송신전력을 일정 크기로 증가시키는 전력 제어 방법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 1과 같이 프리앰블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프리앰블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개루프 전력제어 및 고속 폐루프 전력제어 방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전력세기 측정값 비교기411은 기준값을 구비하며,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세기 값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역방향 링크 공용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비교 결과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보다 크면 송신전력 감소기415를 구동하며,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보다 작으면 송신전력증가기412를 구동한다. 그러면 제1송신전력 결정기414는 상기 송신전력 증가기412 및 송신전력 감소기413에서 출력을 분석하여 개루프에 의한 송신전력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411, 412, 413, 414는 개루프 전력제어부의 구성으로써,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두 번째로 전력제어명령 누적 레지스터421은 기지국으로 부터 송신되는 전력제어비트를 수신하여 누적한다. 그리고 전력제어명령 누적값 비교기422는 상기 누적기421에서 출력되는 누적된 전력제어명령 값과 내부의 최대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비교기422는 누적된 전력제어명령 값이 최대값과 비교한 결과 송신 전력을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송신전력 감소기423을 구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송신전력을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현재의 송신전력을 유지시킨다. 그러면 제2송신전력 결정기424는 상기 송신전력 감소기423 및 비교기422의 출력을 분석하여 폐루프에 의한 송신전력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421, 422, 423, 424는 폐루프 전력제어부의 구성으로써, 전력제어명령의 누적 값을 분석하여 송신전력을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에만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전력을 감소시키고, 송신전력을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현재의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폐루프 전력제어시 전력제어명령 누적값을 비교하는 최대값은 시스템 파라메타로써 실험에 의하여 정해질 수도 있으며 고속 폐루프 전력제어에 의한 송신전력 증가시 허용되는 최대값이다. 또한 상기 고속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하여, 기지국이 엑세스를 시도하는 여러 단말에게 지시하는 송신전력 제어명령은 엑세스를 시도하는 여러 단말 중 가장 큰 송신전력으로 엑세스를 시도하는 단말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제어명령을 보낼 수도 있다. 따라서 만약 가장 큰 송신전력으로 엑세스를 시도하는 단말의 송신전력을 큰 폭으로 감소시킬 경우, 약한 송신전력으로 엑세스를 시도하는 여러 단말들의 엑세스는 실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송신전력결정기414 및 제2송신전력제어기424에서 각각 개루프 및 폐루프의 전력제어신호가 발생되면, 송신전력 누산기415는 상기 역방향 공용채널의 두 전력제어신호를 누산하여 송신전력제어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누산기415는 수신신호의 세기 및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전력제어비트의 분석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전력제어신호로써, 이 신호는 다시 상기 도 1과 같은 방법으로 발생되는 전력제어신호와 누산된 후, 프리앰블의 송신 전력제어신호로 인가된다.
즉, 도시하지 않은 프리앰블 송신기는 소정시간(고정시간 + 랜덤시간) 단위로 상기 도 1과 같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며 프리앰블을 송출한다. 그러면 개루프 전력제어기인 제1송신전력제어기는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프리앰블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1송신전력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폐루프 전력제어기인 제2송신전력제어기는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된 전력제어명령들을 누적하여 누적값을 발생하며, 상기 누적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송신전력을 감소시켜야 할 시 설정된 값으로 송신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송신전력제어신호를 발생하며, 그렇지 않으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현재의 전력을 유지시키는 제2송신전력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송신전력누산기415는 상기 제1송신전력제어신호 및 제2전력제어신호를 누산한 후, 상기 프리앰블의 송신기에 인가하여 프리앰블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폐루프 전력제어기의 상기 제2송신전력제어신호를 결정하는 기준값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력제어명령에 의해 송신전력을 증가시킬 시 허용되는 최대값이며, 상기 전력제어명령은 상기 기지국이 큰 송신전력으로 억세스하는 시도하는 단말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발생하고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의 전력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프리앰블의 송신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력제어명령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전력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말기들은 가장 큰 송신전력으로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단말기 이외의 나머지 단말기들의 송신 전력을 최대로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을 억세스하지 못하는 단말기들의 송신전력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게된다.
도 3은 상기 도 2와 같은 구조를 갖는 채널 송신장치의 전력제어 결정기의 전력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로써, 개루프(Open loop) 전력제어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력제어결정기는 단말기에서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전력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전력제어 결정기는 단계 212에서 기지국이 송신한 신호의 수신전력 세기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전력 세기 측정 방법은 이 분야의 종사자에게 널리 알려져있는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신전력 세기측정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전력제어 결정기는 단계 213에서 상기와 같이 측정한 수신신호의 전력세기를 기준값(Threshold)과 비교를 한다. 이때 상기 상기 기준값보다 수신전력세기가 낮으면 215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의 송신전력을 송신전력을 미리 설정된 값(x dB)만큼 단계 215에서 올리고, 반대로 기준값보다 수신전력 세기가 높으면 단계 214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값(x dB) 만큼 내린다.
상기 단계 214 또는 215를 수행하여 송신전력의 세기를 조절한 후, 상기 전력제어 결정기는 단계 216에서 프리엠블(Preamble)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대기한다. 이때 대기 과정에서 상기 전력제어 결정기는 단계 217에서 기지국이 송신한 승인신호(ACK)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데, 상기 승인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 219에서 공용채널을 통한 메시지의 통신을 활성화시킨 후 본 과정을 종료하고, 만약 승인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단계 218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상기 과정을 단계 212부터 재동작한다.
도 4는 상기 도 2와 같은 같은 구조를 갖는 채널 송신장치의 전력제어 결정기의 폐루프 전력 전력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312에서는 폐루프 전력제어에 사용되는 전력제어 명령누적 레지스터의 값을 0으로 초기화를 한다. 여기서 개루프 전력제어 과정은 상기 도2의 방법으로 330단계에서 수행된다. 즉, 단말이 기지국이 송신한 신호의 전력세기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한 기준값(Threshold Value)과 비교를 한다. 전력세기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미리 설정된 값(x dB)만큼 프리엠블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고, 전력세기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미리 설정된 값(x dB)만큼 프리엠블 송신전력을 감소시킨다.
폐루프 전력제어 과정을 살펴보면, 전력제어 결정기는 단계 313에서 기지국이 송신한 전력제어 명령(PCB)을 수신하여 전력증가 명령 혹은 전력감소 명령의 여부를 판단하며, 단계 314단계에서 상기 전력제어 명령값을 누적한다. 상기 전력제어 명령값은 전력증가 명령은 +1, 전력감소 명령은 -1 이 될 수도 있다. 이후 단계 315에서 상기 누적된 전력제어 명령값을 최대값과 비교하며, 이때 상기 단계 315의 최대값은 0이 될 수도 있으며 시스템파라메타로 주어질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계 315에서 비교한 값이 최대값보다 크면, 즉 프리엠블 송신 전력을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프리엠블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현재의 송신전력을 유지시키며 단계 317로 간다. 그러나 상기 단계 315에서 비교한 값이 최대값보다 작으면, 즉, 프리엠블 송신 전력을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단계 316에서 프리엠블 송신전력을 미리 설정된 값(y dB)만큼 감소시킨다. 상기 단계 315에서 누적 값이 최대값 보다 큰 경우이거나 또는 상기 단계 316을 수행한 후, 단계 317에서 전력제어 명령누적 레지스터(PWR_ACC_REG)의 값을 초기화한 후, 상기 단계 319로 진행한다.
그러면 상기 전력제어 결정기는 상기 단계 319에서는 개루프 및 폐루프에 의한 전력제어 결과를 바탕으로 프리엠블 송신전력을 증가 혹은 감소시킨 후 프리엠블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즉, 상기 전력제어 결정기120은 상기 개루프 및 폐루프 전력 제어 과정을 수행하면서 결정된 전력 제어 신호를 결합시켜 역방향 링크 공용채널의 송신전력을 결정한다.
이후 상기 단계 320에서는 기지국이 송신한 승인 메시지 신호의 수신여부를 판단한 후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 319로 가서 공용 채널을 통한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킨 후, 전력 제어 동작을 종료하고,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단계 313 및 323부터 상기 과정을 재시도 하게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단말이 동시에 경쟁을 하는 경우에 폐루프전력 제어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의 증폭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전력제어 명령을 기지국이 단말로 전달하는 방법은 종래의 순방향링크(Forward Link) 공용 제어채널외에 순방향링크 공용서브 제어채널(Forward Link Common Sub-Control Channel)을 별도로 두는 방법이 있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별도 서브제어채널을 이용하여 전력제어 명령을 단말로 보낸다. 상기 전력제어 명령을 기지국이 단말로 전달하는 다른 방법은 페이징(Paging) 채널 또는 순방향링크 공용제어 채널의 전력제어 비트를 천공(Puncturing)을 하여 천공된 부분에 상기 전력제어 명령을 삽입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전력제어 명령을 기지국이 단말로 전달하는 또 다른 방법은 페이징 채널 혹은 순방향링크 공용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제어 명령을 별도의 메시지로써 전달하는 방법이 있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링크 공용채널에 대하여 다수의 단말이 동시에 엑세스를 시도하는 경쟁상황에서 생기는 과잉신호전력(Excessive Signal Power)에 의한 간섭을 줄이기 위한 전력제어(Power Control)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13)

  1.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된 전력제어신호들을 누적하여 누적값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누적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누적값이 상기 기준값 보다 작을 시 송신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송신전력제어명령을 발생하고, 상기 누적값이 상기 기준값 보다 클 때 현재의 송신전력을 유지시키는 과정을 구비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공용채널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프리앰블이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승인메세지 수신시 상기 프리앰블의 송신을 중단하고 상기 역방향 공용채널을 억세스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공용채널이 순방향 링크의 공용 서브제어채널로써, 상기 서브제어채널은 전력제어명령을 전용으로 전송하는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역방향링크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여 대응되는 전력제어비트를 발생하여 공용제어채널의 설정된 위치에 삽입한 후 상기 공용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공용채널이 공용제어채널이며, 상기 공용제어채널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 전력제어명령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제어방법.
  6. 소정시간 단위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며 프리앰블을 송출하며, 기지국의 응답에 의해 역방향 공용채널을 억세스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제어방법에 있어서,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프리앰블의 제1송신전력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된 전력제어명령들을 누적하여 누적값을 발생하며, 상기 누적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송신전력을 감소시켜야 할시 설정된 값으로 송신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송신전력제어신호를 발생하며, 그렇지 않으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현재의 전력을 유지시키는 제2송신전력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송신전력제어신호 및 제2전력제어신호를 누산한 후 상기 프리앰블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력제어신호가 가장 큰 송신전력으로 기지국의 억세스를 시도하는 단말기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송신전력이 증가될 때 허용되는 최대값으로 결정되는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 송신전력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승인신호 발생시, 상기 프리앰블의 송신을 중단하고 역방향 공용채널을 억세스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제어방법.
  9.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된 전력제어신호들을 누적하여 누적값을 발생하는 전력제어명령 누적기와,
    상기 누적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여 상기 송신전력을 감소하여야 할 때 전력감소신호를 발생하고, 송신전력을 증가하여야 할 때에는 전력 증가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현재의 송신전력을 유지시키는 전력제어기로 구성되는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공용채널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프리앰블인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공용채널이 순방향 링크의 공용 서브제어채널이며, 상기 서브제어채널은 전력제어명령을 전용으로 전송하는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제어장치.
  12. 소정시간 단위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며 프리앰블을 송출하는 프리앰블 송신기와,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프리앰블의 제1송신전력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개루프 전력제어기와,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된 전력제어명령들을 누적하여 누적값을 발생하며, 상기 누적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송신전력을 증가하여야 할시 설정된 값으로 송신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송신전력제어신호를 발생하며, 그렇지 않으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현재의 전력을 유지시키는 제2송신전력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력제어기와,
    상기 제1송신전력제어신호 및 제2전력제어신호를 누산한 후 상기 프리앰블의 송신기에 인가하는 송신전력 누산기로 구성되는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의 송신 전력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력제어신호가 가장 큰 송신전력으로 기지국의 억세스를 시도하는 단말기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송신전력이 증가될 때 허용되는 최대값으로 결정되는 CDMA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역방향 공용채널 송신전력제어장치.
KR1019990028308A 1998-07-13 1999-07-13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링크 공용채널의 전력제어 장치 및방법 KR100309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28238 1998-07-13
KR1019980028238 1998-07-24
KR19980032351 1998-08-05
KR1019980032351 1998-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694A true KR20000011694A (ko) 2000-02-25
KR100309527B1 KR100309527B1 (ko) 2001-11-01

Family

ID=2663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308A KR100309527B1 (ko) 1998-07-13 1999-07-13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링크 공용채널의 전력제어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12931B1 (ko)
EP (1) EP1013006A1 (ko)
KR (1) KR100309527B1 (ko)
CN (1) CN1128515C (ko)
AU (1) AU4656899A (ko)
BR (1) BR9906825A (ko)
CA (1) CA2299575C (ko)
WO (1) WO200000349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017A (ko) * 1999-10-13 2001-05-07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KR100386562B1 (ko) * 1999-11-01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방향 공통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KR100429535B1 (ko) * 2002-03-20 200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전력 제어 방법
KR100839244B1 (ko) * 2001-11-17 2008-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유제어채널 전력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5120B2 (en) 2000-02-07 2012-05-08 Ipr Licensing, Inc. Minimal maintenance link to support synchronization
US7936728B2 (en) * 1997-12-17 2011-05-03 Tantivy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timing of synchronization messages over a reverse link of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394791B2 (en) * 1997-12-17 2008-07-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ulti-detection of heartbeat to reduce error probability
US7079523B2 (en) * 2000-02-07 2006-07-18 Ipr Licensing, Inc. Maintenance link using active/standby request channels
US6222832B1 (en) * 1998-06-01 2001-04-24 Tantivy Communications, Inc. Fast Acquisition of traffic channels for a highly variable data rate reverse link of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5923B2 (en) 1997-12-17 2016-12-20 Intel Corporation Multi-detection of heartbeat to reduce error probability
WO1999049595A1 (en) * 1998-03-23 1999-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verse link common channel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8134980B2 (en) * 1998-06-01 2012-03-13 Ipr Licensing, Inc. Transmittal of heartbeat signal at a lower level than heartbeat request
EP1703643B1 (en) * 1998-11-09 2019-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s and methods for power control in a rsma (reservat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968190B2 (ja) * 1999-03-06 2007-08-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受信装置
US6606341B1 (en) 1999-03-22 2003-08-12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Common packet channel with firm handoff
US6643318B1 (en) 1999-10-26 2003-11-04 Golden Bridge Technology Incorporated Hybrid DSMA/CDMA (digital sense multiple access/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with collision resolution for packet communications
WO2001039452A1 (en) 1999-11-29 2001-05-31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Closed loop power control for common downlink transport channels
US6757319B1 (en) 1999-11-29 2004-06-29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Closed loop power control for common downlink transport channels
US6931256B2 (en) * 2000-02-01 2005-08-1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ably permitting communication of burst data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1218253A (ja) * 2000-02-02 2001-08-10 Nec Saitama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WO2001059968A1 (en) 2000-02-09 2001-08-16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Collision avoidance
US6862457B1 (en) * 2000-06-21 2005-03-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reverse link power control using mobility profiles
US6795712B1 (en) * 2000-09-20 2004-09-21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 for allowing a TDMA/CDMA portable transceiver to operate with closed loop power control
US7369871B2 (en) * 2000-09-20 2008-05-06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a TDMA/CDMA portable transceiver to operate with closed loop power control
EP1198076A1 (en) * 2000-10-10 2002-04-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itiation of communication
US8155096B1 (en) 2000-12-01 2012-04-10 Ipr Licensing Inc. Antenna control system and method
SE0004923D0 (sv) * 2000-12-29 2000-12-29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system of transmission power control
US6748196B2 (en) * 2001-01-30 2004-06-08 Kon-Hee Lee Transmit output controlling circuit and method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954448B2 (en) * 2001-02-01 2005-10-11 Ipr Licensing, Inc. Alternate channel for carrying selected message types
US7551663B1 (en) 2001-02-01 2009-06-23 Ipr Licensing, Inc. Use of correlation combination to achieve channel detection
US6937562B2 (en) 2001-02-05 2005-08-30 Ipr Licensing, Inc. Application specific traffic optimization in a wireless link
US8605686B2 (en) 2001-02-12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06483B2 (en) 2001-02-23 2006-02-28 Ipr Licensing, Inc. Qualifying available reverse link coding rates from access channel power setting
US6937641B2 (en) * 2001-02-28 2005-08-30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Power-controlled random access
US20020160800A1 (en) * 2001-04-25 2002-10-31 Jack Rozmary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ulti-level power control loop
ES2624979T3 (es) 2001-06-13 2017-07-18 Intel Corporation Aparatos para la transmisión de una señal de latido de corazón a un nivel inferior que la solicitud de latido de corazón
GB0211005D0 (en) * 2002-05-15 2002-06-26 Ipwireless Inc System,transmitter,receiver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power control
KR100501031B1 (ko) * 2002-08-29 2005-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국 초기 액세스 상태 진단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US7197314B2 (en) * 2002-12-05 2007-03-27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US7283824B2 (en) * 2003-04-10 2007-10-16 Benq Corporation Method of location display for mobile station
CN1322767C (zh) * 2003-07-29 2007-06-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移动通信系统的功率控制方法
US7346314B2 (en) * 2003-08-15 2008-03-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orward link transmit power control based on observed command response
EP1548955B1 (en) * 2003-12-22 2007-11-28 Alcatel Lucent A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s of a mobile radio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ower control algorithm
JP4977015B2 (ja) * 2004-05-06 2012-07-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通信システム、一次局、及び送信電力制御の方法
US8897828B2 (en) 2004-08-12 2014-11-25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81 Llc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6058460A1 (fr) * 2004-12-02 2006-06-08 Zte Corporation Procede de reglage de seuil de commande de puissance de transmission directe d'un terminal dans un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KR100713356B1 (ko) * 2005-05-06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US8254977B2 (en) * 2006-01-27 2012-08-28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medium access control algorithm for CDMA reverse link
AT503628B1 (de) * 2006-04-25 2008-06-15 Vc Trust Holding G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r maximalentfernung zweier objekte
KR100869922B1 (ko) * 2006-05-12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장치 및방법
EP3694262A1 (en) 2006-10-03 2020-08-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mbined open loop/closed lopp (cqi-based)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for e-utra
KR100819052B1 (ko) 2006-12-08 2008-04-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제어값 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78305A (ko) * 2007-02-23 200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력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S2592276T3 (es) 2007-03-07 2016-11-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rocedimiento combinado de bucle abierto/bucle cerrado para controlar la potencia de enlace ascendente de una estación móvil
CN101052233B (zh) * 2007-05-24 2010-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提高前向业务混合自动重传效率的方法、基站控制器
EP2171871B1 (en) * 2007-06-20 2019-04-17 Cellular Communications Equipment Llc Power headroom reporting method
US7957757B2 (en) * 2007-07-05 2011-06-07 Qualcomm Incorporated Open loop power offset update
CN101247152B (zh) * 2008-02-29 2012-01-04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输出功率控制方法及信号发射装置
JP5388372B2 (ja) * 2008-08-11 2014-01-1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8140085B2 (en) * 2008-09-30 2012-03-20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pectrum utilization by a cognitive radio network
US9497715B2 (en) * 2011-03-02 2016-11-15 Blackbird Technology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ing in a resource-constrained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119A (en) * 1989-11-07 1993-11-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DMA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US6308080B1 (en) * 1997-05-16 2001-10-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control in point-to-multipoint systems
US6072784A (en) * 1997-07-25 2000-06-06 At&T Corp. CDMA mobile station wireless transmission power management with adaptive scheduling priorities based on battery power level
EP0975185B1 (en) * 1998-01-16 2006-07-26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mobile phone, base station, and recording medium
US6216004B1 (en) * 1998-06-23 2001-04-10 Qualcomm Incorporate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common channel soft handoff and associated method
US6252865B1 (en) * 1998-10-02 2001-06-26 Qualcomm,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st power control of signals transmitted on a multiple access channel
US6311070B1 (en) * 1999-03-22 2001-10-30 Nortel Networks Limited Variable step size for power control bits to protect against power overshoo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017A (ko) * 1999-10-13 2001-05-07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KR100386562B1 (ko) * 1999-11-01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방향 공통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KR100839244B1 (ko) * 2001-11-17 2008-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유제어채널 전력 제어 방법
KR100429535B1 (ko) * 2002-03-20 200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전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3006A1 (en) 2000-06-28
WO2000003499A1 (en) 2000-01-20
CN1128515C (zh) 2003-11-19
BR9906825A (pt) 2000-08-15
CA2299575C (en) 2003-09-23
CN1272987A (zh) 2000-11-08
AU4656899A (en) 2000-02-01
CA2299575A1 (en) 2000-01-20
US6512931B1 (en) 2003-01-28
KR100309527B1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52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링크 공용채널의 전력제어 장치 및방법
KR100433910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주파수간핸드오프를 위한 전력
US7203182B2 (en) Method of link adaptation of blind type using acknowledgements in ARQ system
US6310868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mobile station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249683B1 (en) Forward link power control of multiple data streams transmitted to a mobile station using a common power control channel
JP3078330B2 (ja) Cdma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遠隔送信機電力制御
JP3943792B2 (ja) ワイアレス通信システムのパワー制御方法
KR100863162B1 (ko) Cdma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채널의 전송 전력을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7486961B2 (en) Method of adjusting a signal power in a variable data rate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67383B1 (ko) 무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에상응하는 무선 시스템
KR100723560B1 (ko)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US72368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channel used for power control for reverse feedback channels
KR20010014426A (ko) 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6904291B2 (en) Power control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KR20000062703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에의 억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스
KR100745276B1 (ko) Arq 시스템에서 ack/nak를 이용한 블라인드타입의적응형 전력제어 방법
EP0999657B1 (en) CDMA transmission power control capable of preventing call disconnection and degradation of capacity of subscribers
EP1190504B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RU218789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для общего канала обратной линии связи в мобильн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KR19990062644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
RU2347329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реализации внешнего контура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в беспроводной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е
Iacono et al. The Enhanced Access Channel in cdma2000: Overview and Performance Evaluation
KR19990053160A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셀룰러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의성능 향상을 위한 다단계 전력 제어 방법
KR20020068813A (ko) Arq 시스템에서 다중부호전송을 이용한 블라인드타입의 적응형 전력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