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6963A - 소형 콤프레샤 - Google Patents

소형 콤프레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6963A
KR20010036963A KR1019990044189A KR19990044189A KR20010036963A KR 20010036963 A KR20010036963 A KR 20010036963A KR 1019990044189 A KR1019990044189 A KR 1019990044189A KR 19990044189 A KR19990044189 A KR 19990044189A KR 20010036963 A KR20010036963 A KR 20010036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hole
housing
r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064B1 (ko
Inventor
황동일
황빈
Original Assignee
황동일
황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동일, 황빈 filed Critical 황동일
Priority to KR101999004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064B1/ko
Priority to US09/959,019 priority patent/US6676392B1/en
Priority to JP2000613949A priority patent/JP3933395B2/ja
Priority to CNB008081972A priority patent/CN1143061C/zh
Priority to PCT/KR2000/000384 priority patent/WO2000065236A1/en
Priority to EP00921159A priority patent/EP1177383A4/en
Priority to AU41503/00A priority patent/AU4150300A/en
Publication of KR2001003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7Balance weight, counter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콤프레샤에 관한 것으로, 제 2 하우징에 원형 베인의 외측에 2개의 공기 공급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도록 하고,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는 요동체와 제 2 하우징은 회전 억제구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캠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요동체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한 원형 작동공이 제 2 하우징과 원형 베인의 사이에서 원형 작동공의 캠운동에 따라 2개로 분리된 압축실의 밀폐체적을 변화시켜 많은 공기를 압축시키도록 하고,
상기 2개의 압축실에서 각각 압축되어 요동체의 이동구멍을 통하여 하나의 압축실로 모아진 압축공기는 제 2 하우징의 토출공을 통해 공기 저장실로 이동한 후 압축공기 토출구를 거쳐 케이징의 내부에 모아지도록 하고,
일측 끝단에 통공을 형성한 상기 링형 작동공의 양끝단의 내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는 접촉돌부를 얼마간 돌출되도록 부착하면서 이에 접하는 원형 베인의 양쪽 외면에는 긁힘 방지용 요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내부에서 요동체가 안정된 캠운동을 하는 중에 기밀성이 유지되어 작은 공간에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높은 압축 효율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형 콤프레샤{.}
본 발명은 소형 콤프레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요동체의 타측에는 양측 끝단의 내면에 접촉돌부를 결합한 링형 작동공을 형성하고, 일측 끝단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통공이 형성된 상기의 링형 작동공이 끼워지는 원형 베인에는 요홈부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안정되게 압축시켜 원형 베인의 토출공으로 토출시키도록 하며, 상기의 링형 작동공이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하여 2개의 공간에서 압축이 행하여지도록 함으로써 적은 크기에서 고효율의 압축공기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소형 콤프레샤에 관한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1999년 4월 23일자로 출원한 소형 콤프레샤의 개량형으로서, 원형 작동공과 원형 베인이 접촉할 때 안정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압축되는 공기가 압축되지 않은 공간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즉 본 출원인의 선출원은 케이징의 내부에서 하단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은 제 1 하우징의 축공에 끼워져 안정되게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의 끝단인 D형 회전축이 D형 축공에 끼워져 같이 회전하는 요동체의 타측에는 링형 작동공을 형성하면서 그 안쪽에는 링기어가 내주면에 구비된 원형공간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원형공간에 편심된 상태로 접하는 원형공간의 내주면에 링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요동체 및 제 2 하우징의 원형 공간에서 링기어들에 양측의 선기어들이 치합되도록 회전 억제구를 결합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요동체가 제 2 하우징의 중심에 지지된 채 캠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원형 압축실에는 오목부를 통하여 연결되면서 상기의 링형 작동공에 끼워지는 원형 베인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 2 하우징의 오목부의 좌측에 형성한 공기 공급공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압축시켜 원형 베인의 오목부의 우측에 형성한 토출공으로 토출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토출공을 통해 원형 공간으로 이동한 후 압축공기 토출구를 거쳐 케이징의 내부에 모아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형 콤프레샤에 의하여서는 회전축에 의해 요동체의 링형 작동공에 원형 베인이 끼워진 상태에서 90°만큼 캠운동하게 되면, 압축되지 않은 공간이 요동체의 링형 작동공과 제 2 하우징의 원형 베인의 외면에 의해 형성되면서 공기 공급공을 통해 계속 공기가 유입되고, 요동체가 180°만큼 캠운동하게 되면 압축 공간과 압축되지 않은 공간 및 완전히 압축된 공간으로 구분되면서 압축실의 압축 공간 내의 공기가 더 압축되도록 하고, 요동체가 270°만큼 캠운동하게 되면, 완전히 압축된 공간의 압축공기는 토출공을 통하여 원형 공간으로 토출되어 압축공기 토출구를 거쳐 케이징의 내부에 모아지도록 하였으나, 링형 작동공의 양끝단과 원형 베인의 외면이 안정되게 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압축되는 중의 압축공기가 압축되지 않은 공간으로 유출되어 압축 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링형 작동공의 일측이 섹션시 진공상태로 되어 잡아끄는 부하로 작용하여 공기의 유입을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요동체의 타측에는 양측 끝단의 내면에 접촉돌부를 결합한 링형 작동공을 형성하고, 일측 끝단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통공이 형성된 상기의 링형 작동공이 끼워지는 원형 베인에는 요홈부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안정되게 압축시켜 원형 베인의 토출공으로 토출시키도록 하며, 상기의 링형 작동공이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하여 2개의 공간에 압축이 행하여지도록 함으로써 적은 크기에서 고효율의 압축공기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소형 콤프레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2 하우징에 원형베인의 외측에 형성한 2개의 공기 공급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제 2 하우징의 내부인 압축실로 각각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의 끝단인 D형 회전축이 D형 축공에 끼워져 같이 회전하는 요동체의 타측 중앙에는 내주면에 링기어가 구비된 원형 공간을 형성하면서 제 2 하우징의 상단 중앙에도 링기어가 구비된 원형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의 링기어들에 회전 억제구의 양측에 형성한 선기어가 치합되도록 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캠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요동체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한 원형 작동공이 제 2 하우징의 내부인 압축실보다 작고 상기 제 2 하우징에 오목부를 통하여 연결된 원형 베인보다는 크므로 원형 작동공의 캠운동에 따라 2개로 분리되는 압축실의 밀폐체적을 변화시켜 많은 공기를 압축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2개의 압축실에서 각각 압축되어 요동체의 이동구멍을 통하여 하나의 압축실로 모아진 압축공기는 제 2 하우징의 원형 베인의 내측에 형성한 토출공을 통해 공기 저장질로 이동한 후 압축공기 토출구를 거쳐 케이징의 내부에 모아지도록 하되,
일측 끝단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통공을 형성한 상기 링형 작동공의 양끝단의 내부에는 접촉성이 좋아 기밀이 유지되는 접촉돌부를 얼마간 돌출되도록 부착하면서 이에 접하는 원형 베인의 양쪽 외면에는 긁힘 방지용 요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내부에서 요동체가 안정된 캠운동을 하는 중에 기밀성이 유지되어 작은 공간에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높은 압축 효율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측단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차례로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징 2 : 회전축
3 : 웨이트 5 : 제 1 하우징
11 : 요동체 13, 13a : 링형 작동공
16 : 이동구멍 17 : 통공
18, 19 : 접촉돌부 21 : 제 2 하우징
34, 35 : 긁힘 방지용 요홈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케이징(1)의 내부에서 도면에 도시않은 하단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일측의 웨이트(3)에 의해 원심력을 받으면서 안정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회전축(2)은 제 1 하우징(5)의 축공(6)에 끼워진 채 안정되게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2)의 끝단인 D형 회전축(4)이 D형 축공(12)에 끼워져 같이 회전하는 요동체(11)의 양측에는 링형 작동공(13)(13a)을 대칭으로 형성하면서 그 안쪽에는 링기어(15)가 내주면에 구비된 원형공간(14)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하우징(5)과 결합되는 제 2 하우징(21)에는 상기의 원형공간(14)에 편심된 상태로 접하는 원형공간(22)의 내주면에 링기어(23)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요동체(11) 및 제 2 하우징(21)의 원형 공간(14)(22)에서 링기어(15)(23)들에 양측의 선기어(32)(33)들이 치합되도록 회전 억제구(31)를 결합하여 회전축(2)의 회전에 따라 요동체(11)가 제 2 하우징(21)의 중심에 지지된 채 캠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 2 하우징(21)의 원형 압축실(24)에는 오목부(25)를 통하여 연결되면서 상기의 링형 작동공(13)(13a)에 끼워지는 원형 베인(26)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 2 하우징(21)의 오목부(25)의 외측에 형성한 공기 공급공(27)(27a)을 통하여 각각 공급되는 공기를 압축시키도록 하고,
상기 링형작동공(13)에 의한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압축공기를 요동체(11)의 이동구멍(16)을 통해 전달받는 링형작동공(13a)에 의한 압축공간으로 이동시켜 원형 베인(26)의 오목부(25)의 우측에 형성되며 밸브(28a)에 의해 역류가 방지되는 토출공(28)으로 토출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토출공(28)을 통해 공기 저장실(29)로 이동한 후 압축공기 토출구(30)를 거쳐 케이징(1)의 내부에 모아지도록 하고,
일측 끝단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통공(17)을 형성한 상기 링형 작동공(13)(13a)의 양끝단의 내부에는 접촉성이 좋아 기밀이 유지되는 접촉돌부(18)(19)를 얼마간 돌출되도록 형성하면서 이에 접하는 원형 베인(26)의 양쪽 외면에는 긁힘 방지용 요홈부(34)(35)를 형성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하우징(5) (21)의 내부에서 요동체(11)가 안정된 캠운동을 하는 중에 기밀성이 유지되어 작은 공간에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높은 압축효율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소형 콤프레샤는 케이징(1)의 내부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중에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외부의 에어콘에 이용하도록 한 것으로서,
공기를 압축시키는 과정은 케이징(1)의 내부에서 하단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은 제 1 하우징(5)의 축공(6)에 끼워진 채 회전하는 중에 끝단의 D형 회전축(4)이 D형 축공(12)에 끼워진 요동체(11)도 같이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요동체(11)는 링형 작동공(13)(13a)이 제 2 하우징(21)의 원형 압축실(24)과 원형 베인(26)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원형 공간(14)(22)의 링기어(15)(23)에 회전 억제구(31)의 선기어(32)(33)가 끼워서 안정된 캠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공기가 제 2 하우징(21)의 공기 공급공(27)을 통해 원형 압축실(24)의 압축되지 않은 공간(A)으로 유입된 상태가 되고, 회전축(2)이 회전함에 따라 요동체(11)가 제 2 하우징(21)에 지지된 회전 억제구(31)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캠운동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회전축(2)에 의해 요동체(11)의 링형 작동공(13)에 원형 베인(21)이 끼워진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90°만큼 캠운동하게 되면, 압축되지 않은 공간(A)이 요동체(11)의 링형 작동공(13)과 제 2 하우징(21)의 원형 베인(26)의 외면에 의해 형성되면서 공기 공급공(27)을 통해 계속 공기가 유입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요동체(11)가 180°만큼 캠운동하게 되면 압축 공간(B)과 압축되지 않은 공간(A) 및 완전히 압축된 공간(C)으로 구분되면서 원형 압축실(24)의 압축 공간(B) 내의 공기가 더 압축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링형 작동공(13)과 원형 베인(26)이 오목부(25)에 의해 점접촉에 의한 안정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밀성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링형 작동공(13)에 돌출되게 형성한 접촉돌부(18)(19)가 원형 베인(26)의 외면과 안정된 접촉이 이루어져 기밀성이 확보되는 한편, 원형 베인(26)의 긁힘 방지용 요홈부(34)(35)에 의해 캠운동이 이루어지는 중에 과다하게 접촉되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요동체(11)가 270°만큼 캠운동하게 되며 완전히 압축된 공간(C)의 압축공기는 토출공(28)을 통하여 공기 저장실(29)로 토출되어 압축공기 토출구(30)를 거쳐 케이징(1)의 내부에 계속 모아지도록 한다.
여기서 링형 작동공(13)의 통공(17)으로 인해 압축공기를 토출공(28)을 통해 토출시킬 때 진공상태가 되어 잡아끄는 부하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다음의 행정에서 안정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형 콤프레샤에 의하여서는, 제 2 하우징에 원형 베인의 외측에 2개의 공기 공급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도록 하고,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는 요동체와 제 2 하우징은 회전 억제구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캠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요동체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한 원형 작동공이 제 2 하우징과 원형 베인의 사이에서 원형 작동공의 캠운동에 따라 2개로 분리된 압축실의 밀폐체적을 변화시켜 많은 공기를 압축시키도록 하고,
상기 2개의 압축실에서 각각 압축되어 요동체의 이동구멍을 통하여 하나의 압축실로 모아진 압축공기는 제 2 하우징의 토출공을 통해 원형 공간으로 이동한 후 압축공기 토출구를 거쳐 케이징의 내부에 모아지도록 하고,
일측 끝단에 통공을 형성한 상기 링형 작동공의 양끝단의 내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는 접촉돌부를 얼마간 돌출되도록 부착하면서 이에 접하는 원형 베인의 양쪽 외면에는 긁힘 방지용 요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내부에서 요동체가 안정된 캠운동을 하는 중에 기밀성이 유지되어 작은 공간에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높은 압축 효율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케이징(1)의 하단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은 제 1 하우징(5)의 축공(6)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2)의 끝단과 같이 회전하는 요동체(11)의 안쪽에는 링기어(15)가 내주면에 구비된 원형공간(14)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하우징(5)과 결합되는 제 2 하우징(21)에는 상기의 원형공간(14)에 접하는 원형공간(22)의 내주면에 링기어(23)를 형성하고,
    상기 요동체(11) 및 제 2 하우징(21)의 원형 공간(14)(22)에서 링기어(15)(23)들에 양측의 선기어(32)(33)들이 치합되도록 회전 억제구(31)를 결합하여 캠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 2 하우징(21)의 원형 압축실(24)에 연결되면서 상기의 링형 작동공(13)(13a)에 끼워지는 원형 베인(26)을 일체로 형성하여 공기공급공(27)(27a)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받도록 한 소형 콤프레샤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축(2)은 일측의 웨이트(3)에 의해 원심력을 받으면서 안정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요동체(11)의 양측에는 링형 작동공(13)(13a)을 대칭으로 형성하여 이에 끼워지는 원형 베인(26)에 의해 공기를 압축시키도록 하고,
    상기 링형작동공(13)에 의한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압축공기를 요동체(11)의 이동구멍(16)을 통해 전달받는 링형작동공(13a)에 의한 압축공간으로 이동시켜 원형 베인(26)의 오목부(25)의 우측에 형성된 토출공(28)으로 토출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토출공(28)을 통해 공기 저장실(29)로 이동한 후 압축공기 토출구(30)를 거쳐 케이징(1)의 내부에 모아지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콤프레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작동공(13)(13a)의 일측 끝단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통공(17)을 형성하면서 양끝단의 내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촉돌부(18)(19)를 얼마간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제 1 및 제 2 하우징(5)(21)의 내부에서 요동체(11)가 안정된 캠운동을 하는 중에 작은 공간에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높은 압축 효율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콤프레샤.
KR1019990044189A 1999-04-23 1999-10-12 소형 콤프레샤 KR100323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189A KR100323064B1 (ko) 1999-10-12 1999-10-12 소형 콤프레샤
US09/959,019 US6676392B1 (en) 1999-04-23 2000-04-24 Small-sized compressor
JP2000613949A JP3933395B2 (ja) 1999-04-23 2000-04-24 小型コンプレッサ
CNB008081972A CN1143061C (zh) 1999-04-23 2000-04-24 小型压缩机
PCT/KR2000/000384 WO2000065236A1 (en) 1999-04-23 2000-04-24 Small-sized compressor
EP00921159A EP1177383A4 (en) 1999-04-23 2000-04-24 SMALL SIZE COMPRESSOR
AU41503/00A AU4150300A (en) 1999-04-23 2000-04-24 Small-sized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189A KR100323064B1 (ko) 1999-10-12 1999-10-12 소형 콤프레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963A true KR20010036963A (ko) 2001-05-07
KR100323064B1 KR100323064B1 (ko) 2002-02-09

Family

ID=1961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189A KR100323064B1 (ko) 1999-04-23 1999-10-12 소형 콤프레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0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64B1 (ko) * 2002-07-15 2004-06-22 황동일 베인 압축기
KR100493421B1 (ko) * 2002-09-07 2005-06-07 황동일 궤도운동 타입의 콤프레샤
KR100581570B1 (ko) * 2004-10-06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슬라이더를 갖는 선회베인 압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64B1 (ko) * 2002-07-15 2004-06-22 황동일 베인 압축기
KR100493421B1 (ko) * 2002-09-07 2005-06-07 황동일 궤도운동 타입의 콤프레샤
KR100581570B1 (ko) * 2004-10-06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슬라이더를 갖는 선회베인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3064B1 (ko) 200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54199B1 (en) Scroll compressor
JP3933395B2 (ja) 小型コンプレッサ
KR100436864B1 (ko) 베인 압축기
KR100285846B1 (ko) 밀폐형회전압축기
JP4832040B2 (ja) 圧縮機
KR100323064B1 (ko) 소형 콤프레샤
CN113027760B (zh) 一种用于空气压缩机的轴式固定活塞及其空气压缩机
KR100323063B1 (ko) 소형 콤프레샤
US20180038372A1 (en) Rotating cylinder type compressor
KR100407741B1 (ko) 에어콘용 밀폐형 콤프레샤
KR20040107727A (ko) 스크롤 압축기의 선회스크롤 자전 방지 장치
WO1999004167A1 (fr) Pompe a palettes
KR20230136822A (ko) 차량용 오비터 압축기
KR100231475B1 (ko) 베인펌프
KR0179944B1 (ko) 베인 펌프
KR960001568B1 (ko) 베인형 펌프 및 압축기
EP0766789A1 (en) Vane pump
JPS58152192A (ja) 揺動型コンプレツサ
KR100557060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0493421B1 (ko) 궤도운동 타입의 콤프레샤
KR0132703B1 (ko) 베인 펌프
JPH08144974A (ja) ロータリ圧縮機
KR100590493B1 (ko) 선회베인 압축기의 압축장치
KR0128910Y1 (ko) 로타리 압축기
KR19990027626A (ko) 베인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