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6870A -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36870A KR20010036870A KR1019990044058A KR19990044058A KR20010036870A KR 20010036870 A KR20010036870 A KR 20010036870A KR 1019990044058 A KR1019990044058 A KR 1019990044058A KR 19990044058 A KR19990044058 A KR 19990044058A KR 20010036870 A KR20010036870 A KR 200100368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temperature
- less
- high tensile
- toughnes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재결정온도를 저하시켜 미재결정역 압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미량의 Nb를 첨가하고, 제어압연 및 직접소입 후 저온소려 열처리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경도(HRc) 45급 강이 갖는 경도 및 인성을 대폭 향상시켜 강의 사용범위를 확대시키는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초고장력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0.25~0.40%, Mn:1.5% 이하, Si:0.1~0.3%, Ni:2.0~3.5%, Cr:0.1~1.5%, Mo:0.20~0.35%, Nb:0.035% 이하, Ti:0.035% 이하, 그리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원소로 구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1300℃ 온도에서 충분히 가열하고, 미재결정온도 영역에서 누적압하율 40~75% 이상이 되도록 제어압연한 다음, 3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여 5~50℃/sec의 냉각속도로 상온까지 수냉한 후, 180~250℃에서 소려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HRc 50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량의 Nb를 첨가하고 열간압연 및 열처리를 제어함으로써, 종래의 경도(HRc) 45급 강이 갖는 경도 및 인성을 대폭 향상시켜 강의 사용범위를 확대시키는, 로크웰 경도(HRc) 50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켓트 모타게이스, 랜딩기어 및 장갑판재 등에 주로 사용되는 종래의 경도 (HRc) 45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중량%로 C:0.25~0.40%, Mn:1.5% 이하, Ni:2.0~3.5%, Cr:0.1~1.5%, Mo:0.20~0.35%, Ti:0.035% 이하, 그리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원소로 구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 이상에서 충분히 가열한 후, 열간압연하고 상온까지 공냉한 다음, 다시 850~900℃에서 용체화처리하고 상온까지 냉각한 후 180~250℃에서 1시간 이상 템퍼링 처리하여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초고장력강은 로크웰 경도(HRc)값이 45정도로, 로켓트 모타게이스, 랜딩기어 및 장갑판재 등의 사용에 있어서 다소 낮은 경도를 갖고 있으므로, 더 폭넓은 적용을 위해 인성의 향상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종래의 제조방법은 열간압연 후 공냉된 슬라브 소재를 다시 850~900℃에서 용체화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열원단위가 높아지는 단점도 아울러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미재결정온도를 저하시켜 미재결정역 압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미량의 Nb를 첨가하고, 제어압연 및 직접소입 후 저온소려 열처리공정을 적용함으로써, 로크웰 경도(HRc)가 50급인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발명재와 비교재의 로크웰 경도(HRc)-충격인성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초고장력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0.25~0.40%, Mn:1.5% 이하, Si:0.1~0.3%, Ni:2.0~3.5%, Cr:0.1~1.5%, Mo:0.20~0.35%, Nb:0.035% 이하, Ti:0.035% 이하, 그리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원소로 구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1300℃ 온도에서 충분히 가열하고, 미재결정온도 영역에서 누적압하율 40~75% 이상이 되도록 제어압연한 다음, 3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여 5~50℃/sec의 냉각속도로 상온까지 수냉한 후, 180~250℃에서 소려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초고장력강에서 경도 및 인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심도있는 연구와 실험을 행한 결과, 압연, 압연후 냉각조건 및 소려열처리조건을 제어하여 마르텐사이트 래스 미세화와 가공전위에 의한 강화기구를 이용하면, 충격인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도 고경도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이하, 상기 성분범위 및 제조조건 한정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C는 강에서 중요한 강화원소로 그 함량이 증가하면, 소입성 및 고용강화효과의 증대에 의해 강도가 증가되나 용접성 및 인성을 해치고, 반대로 그 함량이 감소하면 강도가 감소하여 강도확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그 함량은 0.25~0.4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n은 소입성 향상효과가 크며 고용강화에 의한 강도증가의 효과가 있으나, 과도하게 첨가된 경우 용접성을 해치므로, 1.5%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i은 내부품질을 개선하는 탈산제로서 첨가되는 성분인데, 그 함량이 증가하면 항복강도는 증가하지만, 강의 연성-취성 천이온도를 높여 인성을 해치고 용접성에도 유해하므로, 0.1~0.3%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i은 강의 연성-취성 천이온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고장력강의 인성확보에 있어서 필수적인 원소이다. 일반적으로, Ni의 함량이 증가하면 인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함량이 증가할수록 제조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2.0~3.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r과 Mo은 고장력강의 소입성 향상을 위한 필수원소일 뿐 아니라, 550℃ 이상의 고온 소려처리시에는 석출효과에 의한 강도향상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첨가량이 증가하면 고온소려처리시의 강도증가 효과는 증가하지만, 용접성을 해치고 제조비용도 증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250℃ 이하의 온도에서 소려처리하여, Cr과 Mo이 소입성 향상만을 위해 첨가되기 때문에, Cr은 0.1~1.5%, Mo은 0.20~0.3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b은 열간압연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고 오스테나이트의 미재결정 온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어압연을 적용하는 경우에 압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첨가되나, 그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용접성이 나빠지므로, 그 함량은 0.035%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i은 탈산 및 강도확보를 위한 석출물 Ti(C,N)을 석출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원소로서, 특히 용접부 인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강중 고용 N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으나, 그 함량이 과도하게 증가할 경우 강중 Ti 산화물 증가로 오히려 인성을 해치게 되므로, 그 함량은 0.035%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강 슬라브를 1150~130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가열온도가 1150℃ 이하인 경우에는 압연시 변형저항의 증가로 과도한 압연부하를 초래하고, 1300℃ 이상의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이상성장에 의한 조직불균일을 초래하여 인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슬라브를 열간압연하고 열처리함에 있어서, 미재결정온도 영역에서의 누적압하율을 40% 이상이 되도록 열간압연한 후, 직접소입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직접소입상의 경우, 미재결정온도 영역에서의 누적압하율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가공전위가 발생하여 변태 후 강도가 증가할 뿐 아니라, 마르텐사이트 래스의 핵생성이 촉진되어 조직이 미세해짐으로서 결과적으로 강도-인성 관계가 향상된다. 그러나, 미재결정역에서의 누적압하율이 지나치게 증가할 경우에는 소입성이 감소하여 오히려 강도가 저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과도한 압연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미재결정온도 영역에서의 누적압하율은 40~7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열간압연한 후 이어서 수냉하는데, 이 때 수냉개시까지의 유지시간이 너무 길면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에 의해서 제어압연효과가 반감되고, 유지시간이 짧을수록 제어압연(미재결정압연) 및 직접소입에 의한 강도와 인성증가효과에 좋으므로, 30초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냉각을 개시할 때, 냉각속도는 5~50℃/sec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냉각속도가 빠를수록 마르텐사이트 조직확보 및 전위밀도증가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50℃/sec 를 초과하면 심한 판변형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냉각속도가 너무 느리면 상부 베이나이트 등의 연질조직 발생으로 강도가 저하하며 미재결정압연 효과가 감소하여 강도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180~250℃의 온도범위에서 소려처리 한다. 소려온도는 강도 및 인성에 중요한 인자인데, 그 온도가 250℃ 이상이면 소려취화를 일으켜 오히려 인성의 저하를 초래할 뿐 아니라, 세멘타이트 형성 및 회복과 재결정에 의한 강도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결과적으로 로크웰 경도(HRc)50급 강도확보는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려처리를 실시하지 않거나 그 온도가 너무 낮으면, 사용중 지연파괴(delayed fracture)로 알려진 응력부식균열(stress crossion cracking)에 의한 파손의 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하한은 1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1과 같이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200℃에서 충분히 가열하고, 하기 표2의 조건으로 압연 및 열처리하여 제조된 각 시편에 대하여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시편들에 대한 로크웰 경도-충격인성 관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1에 나타내었다.
강종 | 화학성분(중량%) | |||||||
C | Mn | Si | Ni | Cr | Mo | Nb | Ti | |
종래강a | 0.38 | 1.25 | 0.25 | 3.25 | 1.00 | 0.30 | - | 0.030 |
발명강b | 0.35 | 1.10 | 0.24 | 3.01 | 1.05 | 0.28 | 0.025 | 0.028 |
발명강c | 0.32 | 1.28 | 0.28 | 2.95 | 1.35 | 0.32 | 0.028 | 0.030 |
발명강d | 0.39 | 1.02 | 0.25 | 2.50 | 0.98 | 0.25 | 0.025 | 0.028 |
강종 | 제조조건 | 물성 | ||||
미재결정역압하량(%) | 제조공정 | 소려온도(℃) | 경도(HRc) | -40℃충격인성(J) | ||
발명재1 | 발명강b | 50 | 직접소입 | 180 | 53.0 | 23.1 |
발명재2 | 발명강c | 직접소입 | 200 | 52.3 | 21.7 | |
발명재3 | 발명강d | 직접소입 | 220 | 51.3 | 25.0 | |
발명재4 | 발명강b | 70 | 직접소입 | 180 | 53.2 | 22.0 |
발명재5 | 발명강c | 직접소입 | 200 | 52.8 | 20.8 | |
발명재6 | 발명강d | 직접소입 | 220 | 50.5 | 23.2 | |
종래재1 | 종래강a | 0 | 재가열소입 | 200 | 44.5 | 15.0 |
비교재1 | 발명강b | 직접소입 | 200 | 46.5 | 19.0 | |
비교재2 | 발명강c | 50 | 직접소입 | 300 | 48.7 | 13.2 |
비교재3 | 발명강d | 직접소입 | 300 | 49.3 | 12.1 |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발명재는 종래강을 종래방법으로 제조한 종래재(1)에 비해 HRc경도값이 5 이상 증가(약 11% 이상 증가)되어 HRc 50급을 충분히 만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40℃ 충격인성의 측면에서 보면, 발명재는 종래강인 종래재(1)보다 약 5~10J 정도의 약 30% 이상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발명강을 종래방법으로 열간압연하고 공냉한 후 재가열 소입한 비교재(1)는 경도 및 충격인성은 종래재에 비해 약간 우수하지만, 경도가 HRc50에 미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발명강을 미재결정역 50% 제어합연의 방법으로 열간압연 및 직접소입하고 300℃의 고온에서 소려처리한 비교재(2),(3)의 경우도 경도 및 충격인성에 있어 발명재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야금학적인 관점에서 종합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소입 및 소려처리된 마르텐사이트강의 강도는 합금원소의 고용강화, 마르텐사이트 변태시 형성된 전위에 의한 전위강화, 소려처리시 형성된 여러종류의 탄화물에 의한 석출강화, 마지막으로 래스(lath)와 패킷(packet)등 마르텐사이트 유효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홀-패치(Hall-Patch) 강화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들 강화기구 중에서 경도 및 인성을 모두 증가시키는 강화기구는 마르텐사이트 유효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강화기구이며, 나머지 강화기구는 강도증가와 더불어 인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강에 비해 발명재의 경도 및 인성이 향상된 이유는 미재결정역에서의 제어압연 및 직접소입공정에 의해 마르텐사이트조직의 전위밀도를 증가시키고, 오스포밍효과에 의해서 마르텐사이트 조직미세화를 이룩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강화방법은 강도증가에 따른 인성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초고강도에서도 우수한 인성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명재와 동일한 제어압연 및 직접소입으로 제조하였지만, 최종 소려처리만을 달리한 비교재(2),(3)의 경우, 경도 및 인성 모두 발명재에 비해서 좋지 않음을 알수 있다. 그 이유는 야금학적으로 잘 알려진 소려마르텐사이트 취화현상때문이다. 즉, 일반적으로 마르텐사이트는 소려온도가 높아지면 경도는 감소하는 반면 인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세멘타이트가 형성되는 온도인 300~450℃ 부근에서는 경도 및 인성이 동시에 감소한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어압연을 통해 소입전의 미세조직을 제어하고 곧바로 직접소입을 행하면,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미세화하고 마르텐사이트 내의 전위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초고강도화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래강과 다른 방법, 즉 마르텐사이트 조직 미세화 및 전위밀도 증가방법에 의해 초고강도화를 달성함으로써, 종래강보다 우수한 인성이 확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재가열 소입공정에서 재가열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하고, 경도(HRc) 및 인성의 대폭적인 향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 초고장력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중량%로 C:0.25~0.40%, Mn:1.5% 이하, Si:0.1~0.3%, Ni:2.0~3.5%, Cr:0.1~1.5%, Mo:0.20~0.35%, Nb:0.035% 이하, Ti:0.035% 이하, 그리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원소로 구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1300℃ 온도에서 충분히 가열하고, 미재결정온도 영역에서 누적압하율 40~75% 이상이 되도록 제어압연한 다음, 3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여 5~50℃/sec의 냉각속도로 상온까지 수냉한 후, 180~250℃에서 소려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4058A KR100419648B1 (ko) | 1999-10-12 | 1999-10-12 |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4058A KR100419648B1 (ko) | 1999-10-12 | 1999-10-12 |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36870A true KR20010036870A (ko) | 2001-05-07 |
KR100419648B1 KR100419648B1 (ko) | 2004-02-25 |
Family
ID=1961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44058A KR100419648B1 (ko) | 1999-10-12 | 1999-10-12 |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1964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0000B1 (ko) * | 1999-12-27 | 2005-03-30 | 주식회사 포스코 | 고인성 내마모강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5617B1 (ko) * | 1989-12-30 | 1992-07-10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인장강도 100kgf/㎟급 용접구조용 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JPH09324219A (ja) * | 1996-06-05 | 1997-12-16 | Kobe Steel Ltd | 耐水素脆性に優れた高強度ばねの製造方法 |
KR100328042B1 (ko) * | 1997-11-04 | 2002-05-10 | 이구택 | 고장력강판의제조방법 |
-
1999
- 1999-10-12 KR KR10-1999-0044058A patent/KR10041964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0000B1 (ko) * | 1999-12-27 | 2005-03-30 | 주식회사 포스코 | 고인성 내마모강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19648B1 (ko) | 2004-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2972B1 (ko) |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트 | |
JPH10509768A (ja) | 優れた靭性および溶接性を有する高強度二次硬化鋼 | |
JPH1060593A (ja) | 強度−伸びフランジ性バランスにすぐれる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190010571A1 (en) | High hardness wear-resistant steel with excellent toughness and cutting crack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101518571B1 (ko) | 고강도 및 고인성 비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030055537A (ko) |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및 그 제조방법 | |
KR100419648B1 (ko) |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
JPH0813028A (ja) | 析出硬化型高張力高靱性鋼材の製造方法 | |
JP2756535B2 (ja) | 強靭棒鋼の製造方法 | |
JPH0219175B2 (ko) | ||
KR100363188B1 (ko) | 인장강도 150kgf/㎟급 초고장력 강판의 제조방법 | |
KR100328051B1 (ko) | 고장력강판의제조방법 | |
KR100398375B1 (ko) | 고주파소입용비조질강선재의제조방법 | |
KR100368218B1 (ko) | 소려연화 저항성이 우수한 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
KR100398388B1 (ko) | 충격특성이 우수한 샤프트용 선재의 제조방법 | |
KR100435467B1 (ko) | 연속소둔에 의한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 |
KR100363194B1 (ko) | 고인성 볼트의 제조방법 | |
KR100314183B1 (ko) | 직접소입-자기소려를 이용한 강의 제조방법 | |
KR100355020B1 (ko) | 인성이 향상된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
JPH0967620A (ja) | 脆性亀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た調質型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 |
KR100328042B1 (ko) | 고장력강판의제조방법 | |
KR100368241B1 (ko) | 플랜지 가공성이 우수한 열연변태유기 소성강 제조방법 | |
JPH09263838A (ja) | 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 |
KR101070018B1 (ko) | 딥 드로잉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후강판을 이용한 저온, 고압용기의 제조방법 | |
KR100363189B1 (ko) |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