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5969A -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 - Google Patents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5969A
KR20010035969A KR1019990042779A KR19990042779A KR20010035969A KR 20010035969 A KR20010035969 A KR 20010035969A KR 1019990042779 A KR1019990042779 A KR 1019990042779A KR 19990042779 A KR19990042779 A KR 19990042779A KR 20010035969 A KR20010035969 A KR 20010035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signal
c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0933B1 (ko
Inventor
이갑영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4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933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9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7Coupling between buses using bus bridges
    • G06F13/405Coupling between buses using bus bridges where the bridge performs a synchronising function
    • G06F13/4059Coupling between buses using bus bridges where the bridge performs a synchronising function where the synchronisation uses buffers, e.g. for speed matching between bu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속의 주변장치와 고속의 중앙처리장치간의 타이밍을 맞추기에 적당하도록 한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와 데이터 버스(Data bus)와 읽기/쓰기(RD/WR) 신호와 칩선택(Chip Select) 신호와 클럭신호(Clock)를 각각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중앙처리장치에서 상기 각 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Data Transfer ACKnowledge)를 출력하는 저속처리 주변장치와;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칩선택 신호를 위상반전시키는 인버터(Inverter)부와; 인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칩선택 신호에 따라, 저속처리 주변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와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를 동기화시키는 클럭동기부와; 클럭동기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하나의 클럭주기만큼 지연시켜 트랜스퍼 인지신호(Transfer ACKnowledge)로 출력하는 클럭지연부로 구성되어, 처리속도가 빠른 중앙처리장치의 셋업타임(Setup time)과 홀드타임(Hold time)을 하나의 클럭주기만큼 유지시켜,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출력하는 어떠한 주변장치에 대해서도 엑세스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PU and external devices in keyphone system}
본 발명은 키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처리속도가 느린 주변장치와 처리속도가 빠른 중앙처리장치간의 타이밍을 맞추기에 적당하도록 한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폰시스템의 메인보드는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로 구성된다.
이하, 종래의 키폰시스템의 메인보드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1은 종래의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폰시스템의 메인보드에 있어서, 어드레스 버스와 데이터 버스와 읽기/쓰기 신호와 칩선택 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입력받게 되는 중앙처리장치(1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각 신호를 입력받고,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출력하는 저속처리 주변장치(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중앙처리장치(11)는 저속처리 주변장치(1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저속처리 주변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게 된다. 즉, 중앙처리장치(11)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와 칩선택 신호(Chip Select)와 읽기/쓰기 신호(RD/WR)를 각각 출력하여 저속처리주변장치(12)를 제어하며,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 Data Transfer ACKnowledge)가 저속처리 주변장치(12)로부터 입력되면, 데이터버스(Data Bus)에 의해 데이터를 저속처리 주변장치(12)와 상호 교환하게 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1)는 저속처리 주변장치(1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통해 정상적인 데이터의 처리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중앙처리장치(11)는, 저속처리 주변장치(12)에 대한 읽기/쓰기 동작시 하나의 클럭주기에 저속처리 주변장치(12)에서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발생시킨 다음 하나의 주기를 종료하게 된다.
특히, 중앙처리장치의 메모리에 대한 대부분의 엑세스 방식은 이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중앙처리장치 내부에서 처리되는 기본 클럭이 클럭주파수 20Mhz 이하일 경우에는 운용에 문제가 없지만, 20Mhz 이상의 높은 클럭주파수를 갖는 중앙처리장치와 낮은 클럭주파수의 저속처리 주변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속처리 주변장치로부터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직접 받아 처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 속도가 빠른 중앙처리장치가 저속처리 주변장치를 정상적으로 엑세스하도록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의 블럭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의 블럭구성도이며,
도3은 도2에 의한 각 신호의 타이밍도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중앙처리장치 22 : 저속처리 주변장치
23 : 인버터부 24 : 클럭동기부
25 : 클럭지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와 데이터 버스(Data bus)와 읽기/쓰기(RD/WR) 신호와 칩선택(Chip Select) 신호와 클럭신호(Clock)를 각각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중앙처리장치에서 상기 각 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Data Transfer ACKnowledge,)를 출력하는 저속처리 주변장치와;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칩선택 신호를 위상반전시키는 인버터(Inverter)부와; 인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칩선택 신호에 따라, 저속처리 주변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와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를 동기화시키는 클럭동기부와; 클럭동기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하나의 클럭주기만큼 지연시켜 트랜스퍼 인지신호(Transfer ACKnowledge)로 출력하는 클럭지연부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의 블럭구성도이며, 도3은 도2에 의한 각 신호의 타이밍도표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21)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와 읽기/쓰기(RD/WR) 신호와 칩선택 신호()와 클럭신호(CKOUT)를 각각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저속처리 주변장치(22)는, 중앙처리장치(21)에서 각각 출력되는 상기 각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저속처리 주변장치(22)는,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21)에 출력할 준비가 되었을 때 중앙처리장치(21)에서 출력되는 칩선택 신호()가 저준위이면,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저준위로 하게 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21)와 저속처리 주변장치(22)는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통해 읽기/쓰기 신호(RD/WR)에 따라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교환하게 된다. 즉, 데이터 버스(Data bus)는 데이터를 저속처리 주변장치(22)에 기록할 때는 중앙처리장치(21)로부터의 출력신호가 되고, 데이터를 저속처리 주변장치(22)로부터 읽을 때는 중앙처리장치(21)에의 입력신호가 된다. 그리하여 저속처리 주변장치(22)는, 중앙처리장치(21)에서 출력되는 칩선택 신호()가 저준위일 때 읽기/쓰기 신호(RD/WR)가 고준위이면,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에 대하여 읽기/쓰기 데이터를 데이터버스를 통해 중앙처리장치(21)와 교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클럭신호(CKOUT)는, 중앙처리장치(21)에서 데이터를 처리시 저속처리 주변장치(22)와 클럭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동기방식의 타이밍을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인버터부(23)는, 중앙처리장치(21)에서 저속처리 주변장치(22)로 출력되는 칩선택 신호()를 위상반전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클럭동기부(24)는, 인버터부(2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프리셋단자(Preset)로 입력받고, 저속처리 주변장치(2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중앙처리장치(21)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CKOUT)에 따라 동기화시키게 된다. 즉, 중앙처리장치(21)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CKOUT)의 상승에지(Rising Edge)를 기준으로, 저속처리 주변장치(2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래치(Latch)하여 클럭지연부(25)로 출력하게 된다.
더불어 클럭지연부(25)는, 클럭동기부(24)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21)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CKOUT)의 상승에지(Rising Edge)를 기준으로 하나의 클럭주기만큼 지연시킨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중앙처리장치(21)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버터부(23)에서 칩선택 신호()의 반전신호가 클럭동기부(24)의 프리셋 단자(PR)에 입력되면, 클럭동기부(23)과 클럭지연부(24)는, 칩선택 신호()가 고준위일 때 저속처리 주변장치(2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상승에지(Rising Edge)를 기준으로 하여 하나의 클럭주기만큼 지연시켜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중앙처리장치(21)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도3의 ⓐ 및 ⓑ와 같이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가 어떤 클럭의 상승에지(Rising Edge)로부터 다음 클럭의 상승에지(Rising Edge)까지의 일 클럭주기내에서 임의의 타이밍에 발생되면, 트랜스퍼 인지신호()는 그 다음 클럭의 상승에지(Rising Edge)에서 반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클럭지연부(25)로부터 입력되는 트랜스퍼 인지신호()가 저준위일 때 중앙처리장치(21)에서 칩선택 신호()를 고준위로 하면, 저속처리 주변장치는 데이터의 읽기/쓰기 동작을 완료하고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고준위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처리장치(21)로 입력되는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중앙처리장치(21)에서 출력되는 칩선택 신호()를 기준으로 하나의 클럭주기만큼 지연되게 하므로, 처리속도가 빠른 중앙처리 장치(21)의 셋업타임(Setup time)과 홀드타임(Hold time)을 하나의 클럭주기만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저속처리 주변장치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 클럭동기부와 클럭지연부에서 저속처리 주변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클럭신호와 동기시켜 데이터의 엑세스타임을 정확하게 일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는, 중앙처리장치로 입력되는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칩선택 신호에 따라 하나의 클럭주기만큼 지연되게 하므로, 처리속도가 빠른 중앙처리장치의 셋업타임(Setup time)과 홀드타임(Hold time)을 하나의 클럭주기만큼 유지시켜,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출력하는 어떠한 주변장치에 대해서도 엑세스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어드레스 버스와 데이터 버스와 읽기/쓰기 신호와 칩선택 신호와 클럭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상기 각 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를 출력하는 저속처리 주변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칩선택 신호를 위상반전시키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칩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저속처리 주변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트랜스퍼 인지신호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를 동기화시키는 클럭동기부와;
    상기 클럭동기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하나의 클럭주기만큼 지연시켜 트랜스퍼 인지신호로 출력하는 클럭지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
KR10-1999-0042779A 1999-10-05 1999-10-05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 KR100400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779A KR100400933B1 (ko) 1999-10-05 1999-10-05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779A KR100400933B1 (ko) 1999-10-05 1999-10-05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969A true KR20010035969A (ko) 2001-05-07
KR100400933B1 KR100400933B1 (ko) 2003-10-08

Family

ID=1961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779A KR100400933B1 (ko) 1999-10-05 1999-10-05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37B1 (ko) * 2002-08-21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폰 시스템에서 오동작 감지/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37B1 (ko) * 2002-08-21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폰 시스템에서 오동작 감지/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0933B1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1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ata transfers in a logic circuit having plural clock domains
US62157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parallel memory in a serial memory system
US5600824A (en) Clock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bus clock and chip clock synchronously having frequency ratio of N-1/N responsive to synchronization signal for inhibiting data transfer
KR100337052B1 (ko) 동기화된 독출 포인터 및 기록 포인터를 갖는 2 중 포트 fifo
EP0135879B1 (en) Interface circuit and method for connecting a memory controller with a synchronous or an asynchronous bus system
JP2005071354A (ja) ストローブ信号に対して整合されたクロックを使用するデータ信号受信ラッチ制御
US61782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urce synchronous data transfer
US55353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write signals
US5079696A (en) Apparatus for read handshake in high-speed asynchronous bus interface
JPS6083166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303780B1 (ko) 디디알 에스디램에서의 데이터 우선 순위 결정 장치
KR100400933B1 (ko)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간의 동기화장치
US7280628B1 (en) Data capture for a source synchronous interface
TW52641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apture
JP4114749B2 (ja) メモリ制御装置および電子装置
JP2972447B2 (ja) データ転送回路
KR0144825B1 (ko) 시스템 제어기의 실시간 클럭 제어기
KR930007593Y1 (ko) 장치간 데이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
JP2708061B2 (ja) 同期回路装置
KR10019744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딜레이를 이용한 인식 신호 발생회로
AU7433898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necting processor to asic
KR10019741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시프트를 이용한 인식 신호 발생회로
KR900005452B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데이터 처리속도를 개선한 회로
KR10019741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카운터를 이용한 인식 신호 발생 회로
Wirth et al. Interfaces Between Asynchronous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