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5020A -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5020A
KR20010035020A KR1020000060437A KR20000060437A KR20010035020A KR 20010035020 A KR20010035020 A KR 20010035020A KR 1020000060437 A KR1020000060437 A KR 1020000060437A KR 20000060437 A KR20000060437 A KR 20000060437A KR 20010035020 A KR20010035020 A KR 20010035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xecution
program
serv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수동
Original Assignee
한수동
이지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동, 이지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수동
Priority to KR102000006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5020A/ko
Publication of KR20010035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020A/ko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의 한정된 지원에 대응한 광고 시청을 수행에 따라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사용을 갱신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은,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제1 단계;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제작 및 편집하는 제2 단계; 제작 및 편집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파일과 운영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제3 단계; 카운팅하는 제4 단계; 설정시간 또는 설정회수에 이르면 제한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실행을 중지시키는 제5 단계; 광고요구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제6 단계; 광고를 전송하고, 전송된 광고의 실행회수 및 실행시간에 대응시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의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를 갱신하는 제7 단계;로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유롭게 편집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제한된 범위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사용에 관한 정보제공에 대응하여 광고를 실행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as per signal demanding advertisement transmitted by user}
본 발명은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의 한정된 지원에 대응한 광고 시청을 수행함에 따라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사용을 갱신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바탕화면을 전문적으로 운용하는 웹사이트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소정의 시간동안 프로세서로 인터럽트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프로세서 및 모니터 등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절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화면보호기에 관련된 정보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는 문자, 그림, 및 동영상 등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광고정보 전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인터넷의 보급 및 대중화와 더불어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광고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화면보호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아서 받아오는 것(pull)이 아니라,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서비스제공자(provider)측에서 정보를 사용자에게 계속 보내주는 푸쉬(push) 기술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푸쉬 기술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인터넷서비스제공자가 제공하고 싶어하는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송받게 되므로, 사용자 중심의 정보가 전송되지 않아 사용자가 외면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광고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사용자의 외면은 결국 광고주로부터 지불되는 광고비 등에 수익의 대부분을 의존하는 인터넷서비스제공자의 수익 악화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수익성을 요구하는 인터넷 광고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익에 역행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사용함과 동시에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사용에 대응한 광고 시청을 수행하여 사용자 중심의 광고 시청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의 한정된 지원에 대응한 광고 시청을 수행함에 따라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사용을 갱신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시스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웹상에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제작 및 편집한 후 사용자단말에서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d는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의 제작 및 편집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탕화면 편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실행에 대응한 광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파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용자단말 200 : 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로 이루어져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로 광고를 전송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은, 상기 서버에서 운용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영역에 사용자가 저장한 자료 중에서 선택하여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제작 및 편집하는 제2 단계; 상기 제작 및 편집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파일과,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파일을 실행시키는 실행프로그램영역, 사용자단말의 카운터에 연계시켜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를 카운팅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링크된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단말의 시간과 매칭시키고 해당 시간에서 상기 링크된 파일을 실행시키는 실행명령어를 포함하는 카운팅프로그램영역, 상기 카운팅에 의해 서버가 설정한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에서 실행프로그램을 중지시키는 제한프로그램영역, 상기 서버에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프로그램영역, 및 상기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를 갱신시키는 갱신프로그램영역을 포함하는 운영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제3 단계; 상기 운영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실행시킴과 동시에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를 카운팅하는 제4 단계; 상기 카운팅에 의해 설정시간 또는 설정회수에 이르면 제한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실행을 중지시키는 제5 단계; 상기 접속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임의로 실행시켜 광고요구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광고요구신호에 의해 사용자단말로 광고를 전송하고, 전송된 광고의 실행회수 및 실행시간에 대응시켜 상기 갱신프로그램의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를 갱신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 단계와 제2 단계 사이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영역을 할당받기 위해 회원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a.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제작 및 편집 페이지를 출력하여 바탕화면, 화면보호기, 알람/시간알림, 및 연속자료동작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메뉴에 등록된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리스트의 실행순서를 정의하는 단계; d. 상기 실행순서에 따라 선택된 리스트를 화면상에 테스트하는 단계; e. 상기 테스트결과 사용자 지정에 따라 편집리스트에 저장시키거나, 다른 리스트를 지정하기 위해 상기 단계 b로 진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 단계에서 다운로드되는 운영프로그램에 포함된 접속프로그램은,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실행 중지시에 웹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운영프로그램 인스톨시에 통신서비스사 전화번호 및 서버가 운용하는 웹사이트 주소(URL)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웹서버와의 자동접속에 따라 광고 전송이 웹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로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4 단계에서 카운팅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시간, 매시, 및 매시 30분에서 링크된 음향파일 및 사용자정의 음향파일을 실행시켜 알람 및 시간알림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에서 카운팅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해당 음성파일을 실행시켜 스케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에, 상기 카운팅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서 해당 파일의 실행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실행 회수가 서버에서 설정한 회수에 이르면, 상기 해당 파일 실행 전후에서 운영프로그램제공자 광고를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시스템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 인터넷서비스제공자, 및 광고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100)을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인터넷서비스제공자는 사용자단말(100)에 바탕화면, 화면보호기, 및 광고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버(200)를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바탕화면, 화면보호기, 및 광고에 관련된 데이터와 각 사용자에 대응한 사용자영역의 데이터를 저장시킨 데이터베이스(300)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단말(100)에는, 인터넷상에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사용자측 접속부(110)가 마련되며, 이 사용자측 접속부(110)에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해당 프로그램으로 연계시키는 인터페이스부(12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인터페이스부(120)에 시스템의 전반적인 운영체제를 담당하는 운영시스템(130)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 운영시스템(13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인터넷 프로토콜부(140) 및 웹브라우저(150)가 상기 운영시스템(130)과 상호 연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며 출력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운영시스템(130)에는 사용자측 입출력부(16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인터넷과 접속되는 사용자측 접속부(110)는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뎀 또는 네트워크 어뎁터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네트워크 어뎁터는 고속 통신을 위해 예를 들어 10Mbps 이더넷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네크워크는 광섬유 베이스 100Mbps 또는 ISDN 라인과 같은 고속 네트워크가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측 입출력부(160)는 통상의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부(140)는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인터넷상에서 사용되는 웹의 표준화된 모든 프로토콜을 지칭하며,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TCP/IP를 지칭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웹브라우저(150)는 상기한 표준화된 인터넷 프로토콜을 가지며 동영상 및 문자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인터넷서비스제공자가 보유하는 서버(200)에는, 인터넷상에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서버측 접속부(210),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해당 프로그램으로 연계시키는 인터페이스부(220), 시스템의 전반적인 운영체제를 담당하는 운영시스템(230), 및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인터넷상에서 사용되는 웹의 표준화된 인터넷 프로토콜부(TCP/IP, 240), 통상의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마이크,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 서버측 입출력부(250)가 마련되는데, 이들 구성요소는 상기한 사용자단말(200)의 구성요소의 일부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사용자 관련 데이터 및 입출력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웹서버(260)가 더 마련되어 있다.
상기 웹서버(26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와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여 액티브 서버 페이지(Active Server Pages ; 이하 ASP라 함) 파일로 변형하는 인터넷 인포메이션 서버(Internet Information Server ; 이하 IIS라 함)와, 상기 IIS에 접속되어 상기 ASP 파일을 관리하는 ASP 관리부와, 사용자 관련 데이터 및 입출력 데이터에 관한 자료가 저장되는 ASP데이터베이스(Data Base ; DB)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용자단말(100)과 서버(200)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단말(100)에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실행하게 되는데, 상기 ASP 관리부가 존재하는 이유는 상기 입출력 데이터가 궁극적으로 ASP 파일로 변환하여 인터넷상에 공지되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웹상에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제작 및 편집한 후 사용자단말에서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서비스제공자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다(S100).
이 때,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광고수신과 관련된 광고수신 콘텐츠를 클릭하면, 회원용 콘텐츠와 비회원용 콘텐츠를 별도로 관리하는 서버가 상기 광고수신 콘텐츠와 같이 회원만이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선택 전송신호를 받을 경우에 회원인가를 판별하게 되고(S200), 회원이 아닐 경우에 회원등록 페이지 또는 회원등록 메시지를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회원등록 페이지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입력하여 회원등록을 수행하게 되고(S300), 회원으로 가입이 이루어지면 회원만이 이용할 수 있는 상기한 광고수신과 같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S400).
한편, 본 발명의 특징중의 하나로서, 인터넷서비스제공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사용자단말에서 실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제작 및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마련하고 있다. 이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제작 및 편집 콘텐츠는 서버에서 공급하는 자료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서버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영역에 자료를 전송하여 저장한 후 이를 바탕으로 제작 및 편집할 수 있다(S500). 상기 자료로는 영상, 음성, 문자, 및 동영상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의 제작 및 편집과정은 도 3a 내지 도 3d에 잘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웹상에서의 서버의 홈페이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영역에 만들어 놓은 사용자 홈페이지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홈페이지에는 사진자료, 소리자료, 동영상자료 등이 다수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의 자료들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3c는 상기한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편집페이지이고, 도 3d는 사용자가 편집페이지를 이용하여 편집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의 자료저장 및 화면보기 페이지이다.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및 배경 선택메뉴, 바탕화면 선택메뉴, 화면보호기 선택메뉴, 알람/시간알림 선택메뉴, 및 연속자료동작 선택메뉴 각각에 대해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그 각각의 실행 순서도 임의로 사용자가 정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선택메뉴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를 임의로 실행시켜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후 사용자가 원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의 구체적인 과정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탕화면 편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탕화면의 제작 및 편집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화면보호기, 알람/시간알림, 및 연속자료동작의 제작 및 편집 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의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제작 및 편집을 수행하는 웹페이지를 출력시킨다(S510). 본 실시예는 바탕화면 제작 및 편집의 경우이므로 사용자는 바탕화면 메뉴를 선택한다(S520). 이후, 디스플레이방식과 알람방식 등을 선택한 후(S530), 테스트 과정을 거친다(S540). 사용자가 테스트를 통해 자신이 제작 및 편집한 바탕화면에 만족한가를 판별하여(S550) 만족할 경우에는 상기 바탕화면을 저장시킨다(S560). 물론, 상기 테스트를 통해 바탕화면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단계 S520으로 진행한다.
이는 통상의 인터넷서비스제공자가 공급하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영역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저장된 배경화면, 로고, 폰트, 및 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홈페이지 제작과정과 유사하다.
이 때,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으나 알람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에서 알람시간, 매시, 및 매시 30분에서 링크된 음향파일 및 사용자정의 음향파일을 실행시켜 알람 및 시간알림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파일을 실행시켜 스케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알람기능의 설정시에 해당시간을 입력하게 되고 이를 다운로드하면 사용자단말과 매칭되는 해당시간에 실행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카운팅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서 해당 파일의 실행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실행 회수가 서버에서 설정한 회수에 이르면, 상기 해당 파일 실행 전후에서 운영프로그램제공자 광고를 수행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즉, 운영프로그램제공자의 상호등을 음성파일로 저장하여 ″XX에서 제공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을 출력시킨다. 이는 다운로드되는 파일에 포함시킴으로써 이룰 수 있다. 상기 운영프로그램제공자는 서버를 운영하는 서버운영자를 의미한다.
이후,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의 제작 및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다운로드 받게 되는데, 다운로드되는 파일에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작 및 편집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파일을 실행시키는 실행프로그램영역, 사용자단말의 카운터에 연계시켜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를 카운팅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링크된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단말의 시간과 매칭시키고 해당 시간에서 상기 링크된 파일을 실행시키는 실행명령어를 포함하는 카운팅프로그램영역, 상기 카운팅에 의해 서버가 설정한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에서 실행프로그램을 중지시키는 제한프로그램영역, 상기 서버에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프로그램영역, 및 상기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를 갱신시키는 갱신프로그램영역을 포함하는 운영프로그램이 포함되게 된다(S600). 이어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운영프로그램을 사용자단말에 인스톨시킨 후,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실행시킨다(S700).
이에 따라,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의 실행시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리스트가 셋팅된 조건에서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알람, 시간알림, 및 스케쥴알림을 수행할 경우에, 카운팅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링크된 음향파일 및 사용자정의 음향파일이 실행된다.
한편,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운영프로그램 인스톨시, 웹서버의 URL 및 통신서비스사의 전화번호 등을 입력한다. 이는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가 제한된 범위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의 실행이 중지될 경우에 이를 웹서버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인식시킬 수 있도록 통신서비스사의 전화번호와 웹서버의 URL을 입력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통신서비스사를 통한 웹서버와의 접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웹서버는 임의의 사용자단말에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실행이 중지되었음을 자동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인터넷서비스제공자가 운용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등록과,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제작,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실행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인스톨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의 실행에 따라 광고를 다운로드받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실행에 대응한 광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의 부팅 등에 의해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실행프로그램이 실행되면(S700'),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실행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있는 카운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운팅을 시작한다(S800). 물론, 이 때 카운팅은 시간개념의 카운팅이 될 수도 있고, 회수개념의 카운팅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단말에서 카운팅이 이루어지다가 웹서버에서 미리 설정해 놓은 실행회수 및 실행시간에 이르게되면(S900),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실행프로그램의 사용을 제한하는 제한프로그램을 실행시키게 된다(S1000). 이는 최근 상품 판매에 앞서 일정기간을 두고 테스트하는 트라이얼버젼 등에 많이 적용하고 있는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이 때, 사용자는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계속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인터넷서비스제공자가 운용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사용을 위한 갱신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광고전송요구 데이터를 전송한다(S1100). 이는 접속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이루어지며, 광고전송에 관해 출력된 페이지 및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운영프로그램 인스톨시 입력한 통신서비스사의 전화번호와 웹서버의 인터넷주소 등을 실행함으로써 자동으로 이루이질 수도 있다.
이에 웹서버는 전송된 광고전송요구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로운 광고를 사용자단말에 전송시킨다(S1200).
이후, 온라인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전송된 광고의 실행회수 및 실행시간에 대응시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의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를 갱신시킨다(S120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파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웹상에서 제작 및 편집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다운로드 받을 경우에 웹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에 전송되는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로드되는 파일에는 선정된 자료모음순서를 나타내는 영역,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에 관련된 파일 영역, 실행프로그램 영역, 카운팅프로그램 영역, 제한프로그램 영역, 접속프로그램 영역, 및 실행시간 및 실행회수 갱신프로그램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편집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제한된 범위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사용에 관한 정보제공에 대응하여 광고를 실행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로 이루어져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로 광고를 전송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운용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영역에 사용자가 저장한 자료 중에서 선택하여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제작 및 편집하는 제2 단계;
    상기 제작 및 편집된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파일과,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파일을 실행시키는 실행프로그램영역, 사용자단말의 카운터에 연계시켜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를 카운팅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링크된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단말의 시간과 매칭시키고 해당 시간에서 상기 링크된 파일을 실행시키는 실행명령어를 포함하는 카운팅프로그램영역, 상기 카운팅에 의해 서버가 설정한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에서 실행프로그램을 중지시키는 제한프로그램영역, 상기 서버에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프로그램영역, 및 상기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를 갱신시키는 갱신프로그램영역을 포함하는 운영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제3 단계;
    상기 운영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를 실행시킴과 동시에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를 카운팅하는 제4 단계;
    상기 카운팅에 의해 설정시간 또는 설정회수에 이르면 제한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실행을 중지시키는 제5 단계;
    상기 접속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임의로 실행시켜 광고요구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제6 단계;
    상기 광고요구신호에 의해 사용자단말로 광고를 전송하고, 전송된 광고의 실행회수 및 실행시간에 대응시켜 상기 갱신프로그램의 실행시간 또는 실행회수를 갱신하는 제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와 제2 단계 사이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영역을 할당받기 위해 회원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a.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제작 및 편집 페이지를 출력하여 바탕화면, 화면보호기, 알람/시간알림, 및 연속자료동작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메뉴에 등록된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리스트의 실행순서를 정의하는 단계;
    d. 상기 실행순서에 따라 선택된 리스트를 화면상에 테스트하는 단계;
    e. 상기 테스트결과 사용자 지정에 따라 편집리스트에 저장시키거나, 다른 리스트를 지정하기 위해 상기 단계 b로 진행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다운로드되는 운영프로그램에 포함된 접속프로그램은, 상기 바탕화면 및 화면보호기 실행 중지시에 웹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운영프로그램 인스톨시에 통신서비스사 전화번호 및 서버가 운용하는 웹사이트 주소(URL)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와의 자동접속에 따라 광고 전송이 웹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로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카운팅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시간, 매시, 및 매시 30분에서 링크된 음향파일 및 사용자정의 음향파일을 실행시켜 알람 및 시간알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카운팅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해당 음성파일을 실행시켜 스케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서 해당 파일의 실행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실행 회수가 서버에서 설정한 회수에 이르면, 상기 해당 파일 실행 전후에서 운영프로그램제공자 광고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KR1020000060437A 2000-10-13 2000-10-13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KR20010035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437A KR20010035020A (ko) 2000-10-13 2000-10-13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437A KR20010035020A (ko) 2000-10-13 2000-10-13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020A true KR20010035020A (ko) 2001-05-07

Family

ID=1969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437A KR20010035020A (ko) 2000-10-13 2000-10-13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50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382A (ko) * 2000-10-17 2002-04-25 송유진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의 광고출력균등화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635A (ko) * 1999-07-16 1999-11-05 이원수 컴퓨터 모니터의 바탕화면을 이용한 광고방법
KR20020006221A (ko) * 2000-07-11 2002-01-19 최종섭 스크린 세이버처럼 작동하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인터넷광고방법.
KR20020011836A (ko) * 2000-08-04 2002-02-09 종 진 임 광고서버와 스크린세이버를 이용한 광고방법 및 광고장치
KR20020018248A (ko) * 2000-09-01 2002-03-08 이낭하 통신망을 통한 바탕화면 교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635A (ko) * 1999-07-16 1999-11-05 이원수 컴퓨터 모니터의 바탕화면을 이용한 광고방법
KR20020006221A (ko) * 2000-07-11 2002-01-19 최종섭 스크린 세이버처럼 작동하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인터넷광고방법.
KR20020011836A (ko) * 2000-08-04 2002-02-09 종 진 임 광고서버와 스크린세이버를 이용한 광고방법 및 광고장치
KR20020018248A (ko) * 2000-09-01 2002-03-08 이낭하 통신망을 통한 바탕화면 교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382A (ko) * 2000-10-17 2002-04-25 송유진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의 광고출력균등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82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user interfaces for network client devices
US7305452B2 (e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information delivery program, serv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advertisement information delivery method and saver page display method
US6847992B1 (en) Data pass-through to sponsors
US6141010A (en) Comput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with targeted advertising
CN101352057B (zh) 在移动终端上显示数据的方法和系统
US79213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nsing and communicating updated status information for remote users accessible through an instant messaging system
EP1486889B1 (en) Mobile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cached information at the terminal
US6983311B1 (en) Access to internet search capabilities
US20120151329A1 (en) On-page manipulation and real-time replacement of content
JP4502506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US20080066080A1 (en) Remote management of an electronic presence
EP1030247A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bookmark information
US69684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iding display information
WO2008025012A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dynamic information content in a screen sa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1523853A (ja) 略リアルタイムで複数のデータソースのデータを表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00064755A (ko) 표시장치주변사람들의주목을끌기위한어텐션매니저
JP2002269151A (ja) イベント連動型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イベント連動型情報表示方法
JPH10260821A (ja) Wwwブラウザ用スタートページの自動生成システム
JP2002073545A (ja) 情報送受信システム、情報送受信方法、及び情報送受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000050127A (ko) 인터넷망에서의 네트워킹에 의한 pc방 네트워크 운영 방법
US790856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web based personalized service
KR20010035020A (ko) 사용자주체 정보전송에 의한 광고방법
US20030216929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web content according to a determined learning style
KR20060122453A (ko) 광고 노출 방법 및 장치
JP2001229310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バナー広告の提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