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4673A - 래칫 렌치 - Google Patents

래칫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4673A
KR20010034673A KR1020007010640A KR20007010640A KR20010034673A KR 20010034673 A KR20010034673 A KR 20010034673A KR 1020007010640 A KR1020007010640 A KR 1020007010640A KR 20007010640 A KR20007010640 A KR 20007010640A KR 20010034673 A KR20010034673 A KR 2001003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head
ratchet
axis
drive st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0426B1 (ko
Inventor
피터엠. 로버츠
존비. 데이빗슨
Original Assignee
존 비. 데이빗슨
조다 엔터프라이지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비. 데이빗슨, 조다 엔터프라이지즈, 인크. filed Critical 존 비. 데이빗슨
Publication of KR2001003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25B13/461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25B13/461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 B25B13/462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the ratchet parts engaging in a direction radial to the tool operating axis
    • B25B13/463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the ratchet parts engaging in a direction radial to the tool operating axis a pawl engaging an externally toothed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25B23/0035Connection means between socket or screwdriver bit and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Dowel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래칫 렌치는 손잡이(7), 구동 스터드(9) 그리고 래칫 메카니즘(20)을 포함하며, 또한 도구 풀림메키니즘을 갖는다. 도구 풀림메카니즘은 구동 스터드(9)의 중심선을 따라 미끄러지는 제어막대(2)와 구동 스터드 축을 가로지르는 평면 상을 미끄러지는 경사부(42)를 포함한다. 설명된 작동기는 래칫 휠의 영역에 한정되며, 래칫 메카니즘의 폴(25)과 렌치의 헤드 사이를 움직이지 않는다. 중심맞춤요소(30)는 렌치의 머리부로부터 구동 스터드(9) 반대편의 래칫 휠의 표면에 있는 환상의 오목부(24) 안으로 뻗어있다. 작동기(40)는 중심맞춤요소의 마주보는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간극 안에서 움직인다.

Description

래칫 렌치{RATCHET WRENCH}
미국특허 제 3,208,318호는 소켓과 같은 도구를 위한 효과적인 풀림 메카니즘을 공개한다. 공개된 시스템에서 제어막대는 렌치의 구동 스터드(stud) 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제어막대는 볼(ball)이 올라가는 경사 표면을 형성한다. 스프링은 제어막대에 대해 놓여진 위치 바깥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며, 볼은 소켓과 같은 도구 내의 오목부와 확실히 결합한다. 소켓을 구동 스터드로부터 풀려고 할 때, 제어막대는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아래로 밀려져, 볼은 경사면 아래로 소켓이 게거되도록 하는 위치까지 움직이게 된다.
상술된 특허에 의한 도구 풀림 메카니즘은 신뢰성 있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어떤 상황 하에서는 사용자가 렌치를 사용 중에 부주의로 제어막대를 아래로 미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렌치의 머리부가 사용자의 손바닥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이러한 상황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손바닥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어막대의 상단 말단부가 접촉할 수 있고, 따라서 렌치를 사용하는 도중에 제어막대를 부주의하게 누름으로써 소켓을 풀어 버릴 수 있다. 아래에 기술된 몇 실시예의 한가지 목적은 기존기술의 이러한 잠재적인 결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미국특허 제 4,420,995호에서 Roberts는 소켓과 같은 도구의 풀림 메카니즘을 공개한다. 공개된 래칫 메카니즘에서, 래칫 휠은 구동 스터드 반대편에 래칫 휠의 측면상에 환상의 들어올려진 보스를 가진다. 그리고, 이 보스는 렌치의 머리부 안의 오목부내에 고정된다. 보스는 회전축에 대하여 래칫 휠을 편심시키려는 힘을 막아준다.
본 발명은 소켓 렌치(socket wrench)와 같은 래칫 렌치와 관련되며, 특히 부주의한 작동에 대응하는 개선된 풀림 메카니즘을 가지고, 폴(pawl)과 결합된 래칫 휠을 고정하는 개선된 장치를 가진 래칫 렌치와 관련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호되는 실시예의 래칫 렌치의 투시도이다.
제 2 도는 도 1의 선 2-2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제 3 도는 도 2의 선 3-3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제 4 도는 도 2의 선 4-4를 따라본 단면도이다.
제 5 도는 도 2의 평면상에서 빠른 풀림 메카니즘의 다른 위치에서 보여주는 도1의 렌치의 단면도이다.
제 6 도는 두 번째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래칫 렌치의 단면도.
제 7 도는 도 6의 선 7-7을 따라 본 단면도.
*도면부호설명
1...렌치 2...제어막대
3...헤드 4...플랜지
5...경사부 7...손잡이
8...스프링 9...구동 스터드
11...통로 12...볼
16...소켓 17...오목부
18...역전레버 19...손잡이
20...래칫 메카니즘 21...래칫 휠
22...헤드 23...전면
24...오목부 25...폴
26...멈춤볼 27...스프링
30...중심맞춤요소
40...작동기 41...롤핀
42...경사부 43...제어표면
44...슬롯
본 발명은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되며, 본 장에 기술된 내용들은 그러한 청구범위의 제한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 소개한 바와 같이, 아래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래칫 렌치의 머리부에 장착된 작동기(actuator)에 의하여 제어되는 빠른 풀림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작동기는 빠른 풀림 메카니즘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래칫 휠의 회전축을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평면상에서 움직인다.
후술된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작동기는 평면상을 운동할 때에 렌치의 래칫 메카니즘의 폴과 렌치의 머리부 사이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만들어진다. 이것은 래칫 렌치의 머리부 두께의 불필요한 증가 없이 폴과 래칫 렌치사이에 필요 접촉공간을 증가시킨다. 만약 필요하다면, 래칫 휠은 축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있는, 렌치의 머리부로부터 구동 스터드 반대편의 레칫 휠의 측면 상에 형성된 환상의 오목부 안으로 뻗어있는 중심맞춤 요소에 의하여 중심이 맞추어 질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래칫 렌치(1)의 투시도이다. 래칫 렌치(1)는 회전에 대해 구동 스터드(9)를 지지하는 손잡이(7)를 포함한다. 래칫 메카니즘(도1에 도시안됨)은 구동 스터드(9)의 손잡이(7)에 대한 회전을 제어한다. 구동 스터드(9)는 소켓(16)과 같은 도구내의 개구부에 의해 수용되도록 치수와 형태가 만들어진다. 도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구동 스터드(9)는 통로(11) 내를 미끄러지는 제어막대(2)를 수반한다. 제어막대(2)는 헤드(3)와 플랜지(4)를 가지며, 이들은 단일 요소로 각각의 표면을 갖는다. 스프링(8)은 플랜지(4)와 통로(11)의 어깨부분 사이에 있으며, 도 2에 나타난 상방으로 제어막대(2)에 힘을 가한다.
제어막대(2)는 또한 볼(12)이 놓이는 경사부(5)를 포함한다. 볼(12)이 경사부(5)의 가장 오목한 바닥부분에 위치했을 때, 볼(12)은 소켓(16)이 구동 스터드(9)로 삽입되고 제거되도록, 구동 스터드(9) 내에서 완전히 움직일 수 있다(도2 참조). 그 반대로, 제어막대(2)가 도5에 도시된 위치까지 옮겨지면, 볼(12)은 경사부(5)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볼(12)은 소켓(16)의 오목부(17) 안으로, 구동 스터드(9) 외부로 부분적으로 튀어 나가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볼(12)은 구동 스터드(9) 상에 소켓(16)을 확실히 유지하게 된다. 제어막대(2)는 도구 풀림 작동기의 예로서 생각될 수 있으며, 볼(12)은 도구 보존요소의 예로 볼 수 있다. 제어막대(2)와 경사부(5)는 각 소켓(16)을 위하여 볼(12)의 선택적인 정렬을 제공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렌치(1)는 또한 역전레버(reversing lever,18)를 포함하며, 렌치(1)의 래칫 메카니즘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역전레버(18)는 손잡이(19)를 포함한다.
도 2,3 및 4는 래칫 렌치(1)의 각 평면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래칫 렌치(1)는 축 A 주위로 회전을 위한 렌치(1)의 헤드(22) 내에 있는 오목부 상에 장착된 래칫 휠(21)과 결합하는 래칫 메카니즘(20)을 포함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휠(21)은 구동 스터드(9)의 반대편에 휠(21)의 측면상에 전면(23)을 포함하며, 이 전면(23)은 환상의 오목부(24)를 형성한다.
도 4에 잘 나타나 있듯이, 래칫 메카니즘(20)은 도 1의 역전레버(18)에 의하여 세가지 기능상의 위치, 전진, 중립, 역진 중의 어느하나로 움직일 수 있는 폴(pawl,25)을 포함한다. 스프링(27)에 의해 지지되는 멈춤볼(26)은 이러한 세가지 위치중의 어느 하나에 대하여 폴(25)을 탄성적으로 고정한다. 중립의 위치에서 폴(25)은 래칫 휠(21)과 접촉없이 고정되고, 래칫 운동을 할 수 없으며, 래칫 훨(21)과 구동 스터드(9)가 손잡이(7)에 대하여 자유로운 회전을 할 수 있다. 전진과 역진의 위치에서 폴(25)은 단지 전진과 역진의 방향으로만, 래칫 휠(21)의 일방향 회전만을 할 수 있다.
도 2와 4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렌치(1)의 헤드(22)는 래칫 휠(21) 쪽으로 뻗어있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부품(31,32)을 포함하는 중심맞춤요소(30)를 형성하며, 오목부(24) 내에 수용된다. 중심맞춤요소(30)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부품(31,32)은 부가적인 부품들(33,34)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며, 도 4에 잘 나타나 있듯이, 중심맞춤요소(30)는 축 A 주위로 연속적으로 뻗어있다. 중심맞춤요소(30)는 축 A에 대하여 래칫 휠(21)을 편심시키려는 토크와 다른 하중에 대하여 래칫 휠(21)의 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결합한다. 일반적으로, 중심맞춤요소는 래칫 휠과 폴 사이의 유효한 결합을 방해하는 폴(25)로부터의 흔들림 운동에 대응하여 래칫 휠(21)을 중앙에 오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다. 더구나, 만약 원한다면, 중심맞춤요소(30)는 다른 방향, 폴이나 혹은 축A와 폴 사이로 뻗어있는 선의 오른쪽 각으로의 운동방향으로 래칫 휠(21)의 중심을 맞추도록 형상설계 될 수 있다.
도 4에 보이듯이, 실시예에 있어서 중심맞춤요소(30)의 부가적인 부품 33은 후술하는 경사부(42)의 운동을 수반하기 위해 감소된 두께를 가진다. 부가적 부품34는 실질적으로 방사상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래칫 휠(21)의 폴(25)로 부터의 편심운동을 저지하도록 잘 놓여진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부가적 부품 33과 34 둘 중의 하나나 모두는 완전히 제거될 수 있으며, 중심맞춤요소(30)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부품(31,32) 사이에 간극을 남긴다. 선택적으로, 중심맞춤요소는 편자(horsesho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간극이나 노치나 중심맞춤요소(30)에 구비되던 아니던 간에, 만약 있다면 그 개수와 중심맞춤요소(30)의 일부분의 방사상의 두께는 많이 변할 수 있으며, 응용예에 달려있다.
제어막대(2)와 볼(12)을 포함하는 빠른 풀림메카니즘은 도 3에 잘 도시된 작동기(40)에 의하여 제어된다. 작동기(40)는 경사부(42)를 포함하며, 제어막대(2)의 헤드(3)와 결합하기 위해 움직이고, 제어 표면(43)은 헤드(2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작동기(40)는 헤드(22)내에 형성된 슬롯(44)에 의하여 축 A를 가로지르는 선형운동을 하도록 안내된다. 선택적으로, 작동기(40)는 중심맞춤요소(30)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부품(31,32)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제어 표면(43)은 슬롯(44)을 통하여 헤드(22)의 외부로 뻗어있다. 작동기(40)는 기계적으로 헤드(3) 안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 것이 좋다. 이러한 기능은 어떠한 적절한 기계적 연동장치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이 선호되는 실시예에서는 롤핀(roll pin,41)이 사용된다. 다른 장치는 작동기(40)를 축 A 방향을 따라 원하지 않는 축운동에 대응하여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헤드(22)를 통하여 튀어나와 있는 작동기(40)의 목 주위로 뻗어있는 클램핑 C 링(clamping C-ring)과 같은 장치이다. 작동기(40)나 혹은 렌치(1)의 헤드 중의 하나는 선택적으로 겹침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빠른 풀림메카니즘의 작동은 도 2,3 및 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와 3은 첫 번째 위치에서의 빠른 풀림메카니즘을 보여주며, 작동기(40)는 역전레버(18, 도1)로부터 밀려난 위치이다. 이 위치에서, 경사부(42)의 두꺼운 끝부분은 제어막대(2)의 헤드(3)상에 오게되며, 제어막대(2)를 도 3의 방향에서 아래로 힘을 가하게 되어 스프링(8)을 압축하고, 볼(12)이 완전히 구동 스터드(9) 안으로 움직이게 한다(도2). 경사부(42)의 얇은 부분이 축 A와 정렬되는 다른 말단부로의 이동위치가 도 5에 나와있다. 이 작동기 위치에서 스프링(8)은 도 5의 방향에서 상향으로 제어막대(2)를 움직이기 위해 플랜지(4)를 밀며, 따라서 볼(12)이 소켓(16)의 오목부(17) 안으로 오게 한다. 경사부(42)는 어떠한 적절한 형태도 가능하며, 즉 굽거나 계단형이거나 선형이 될 수 있다.
작동기(40)는 직선보다는 원호를 따라 움직이도록 배치되며, 운동의 방향은 원하는대로 변할 수 있다.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스프링들(도시안됨)이 도 5의 위치까지 작동기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나 혹은 선택적으로, 경사부(42)는 많은 선택된 위치중의 어느 하나에 작동기(40)를 고정하기 위하여 헤드(3)와 멈춤작용을 제공하도록 노치(notch)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는 작동기가 역전레버 쪽으로 움직일 때 도구를 풀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다.
도 2,3 및 5의 작동기(40)는 도 4에 가장 잘 나타난 중심맞춤요소의 부품들(31,32) 사이를 움직인다. 중심맞춤요소의 부품들(33,34)은 작동기(40)가 원하는 영역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중심맞춤요소의 부품 33은 감소되는 방사상 두께를 가지며, 중심맞춤요소(30)내에 노치나 오목부를 형성한다.
모든 실시예에서 중심맞춤요소(30)를 갖추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만약 원한다면 래칫 휠(21)은 구동 스터드(9)에 근접한 표면에 의해서 완전히 중심맞춤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 스터드(9) 반대편에 래칫 휠(21)의 측면 상에 중심맞춤요소(30)의 사용이나 부가는 많은 실시예에서 선호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작동기(40)는 래칫 휠(21)과 헤드(22) 사이의 영역에 한정되며, 축 A에 평행하게 놓인 선과 결코 교차하지 않는, 그리고 래칫 휠(21)과 헤드(22) 사이의 경계면을 통과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배치는 폴(25)이 래칫 휠(21)의 전체 높이를 지나 뻗을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며, 폴과 래칫 휠 사이의 경계면의 두께에 있어서 원하지 않는 감소를 없앨 수 있다. 사용 중에 구동 스터드(9)에 가해진 토크는 직접 폴(25)에 작용하므로, 따라서 폴(25)이 적당한 토크하중을 지지하도록 치수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설계목적은 설명된 실시예에서 헤드(22)의 두께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지 않고 즉시 성취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작동기(40)는 사용자가 소켓을 끼우거나 결합시킬 때에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부주의한 조작은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예를들면, 렌치의 머리부가 사용 중에 사용자의 손바닥에 위치했을 때, 작동기(40)에 가해지는 손바닥의 축방향 압력은 제어막대(2)의 부적절한 운동을 만들지 않는다.
도 6과 7은 본 발명에 의한 두 번째 선호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며, 상술된 첫 번째 실시예와 많은 면에 있어서 유사점을 가진다. 비교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수정된 관련요소들은 프라임 기호를 사용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기(40')는 도 7에 잘 나타나 있듯이 작동기 축 B 주위로 회전운동을 위해 헤드(22')에 의해 안내된다. 작동기(40')는 롤핀(41')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유지되며, 작동기(40')의 내부에 제어막대(2)의 헤드(3')에 대응하는 캠(cam) 표면으로 동작하는 환상의 경사부(42')를 형성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동기(40')는 중심맞춤요소(30')와 접촉없이 고정된다.
래칫 휠(21')은 축 A에 대하여 중심을 벗어나게 하려는 힘에 대항하여, 헤드(22') 내의 결합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연속적인 환상의 링으로 형성된 중심맞춤요소(30')에 의하여 정렬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중심맞춤요소(30')는 작동기(40') 주위로 연속적으로 뻗어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도구 풀림 메카니즘과 래칫 메카니즘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떠한 적절한 도구 풀림메카니즘과 래칫 메카니즘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러치 타입의 메카니즘이 도면에 나타난 폴 타입 래칫 메카니즘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더구나, 렌치는 어떠한 적절한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소켓과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확장 막대, 유니버셜 조인트, 비트(bit) 및 많은 다른 도구를 포함하는 어떠한 적당한 장치를 위한 도구 풀림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구동 스터드는 어떠한 적당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사각형 형태일 필요는 없다. 구동되는 요소 안의 암 공동(female cavity)과 맞추어 적절히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다른 유사원 형태, 예를 들면 6각형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빠른 풀림 메카니즘은 상술한 형태의 제어막대 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많은 다른 기계적 대안이 가능하다.
모든 실시예에서 멈춤 메카니즘에 의해 폴이 중립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중립위치는 다른 방법들과 마찰을 이용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다른 장치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폴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안정한 평형상태에 있도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용어 "결합된"은 직접 그리고 간접적인 결합장치(coupling)를 넓게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중심맞춤요소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부분은 직접 기능적으로 결합되었을 때(즉, 직접접촉에 의하여), 또한 첫 번째 부분이 직접적으로나 혹은 하나나 그 이상의 부가적인 중간부분을 통하여 두 번째 부분과 기능적으로 결합되어있는 중간부분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서로 결합되었다고 말한다. 또한, 두 개의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때(직접 혹은 간접적으로)와 그렇지 않을 때에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
용어 "래칫 방향"은 적어도 전진과 역진의 래칫 기능과 비래칫 혹은 상술한 중립 래칫기능을 널리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래칫작용은 중립 래칫방향과 같은 그러한 래칫 방향을 요구하지 않는다.
용어 "위치"는 그 위치의 주변 영역을 널리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다.
용어 "도구 풀림 메카니즘"은 도구 보존력을 선택적으로 줄이는, 그러한 보존력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더라도 감소시키는 메카니즘을 넓게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용어 "기계적 연동장치"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각 부품들 중의 하나의 운동을 제한하는 기계적 결합을 넓게 포함하는 의미이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이 취할 수 있는 많은 형태중의 일부만을 기술한 것으로서, 제한적이기 보다는 설명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영역을 정의하는 것은 다음의 청구범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빠른 풀림장치를 가진 래칫 렌치로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도구 풀림을 방치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Claims (23)

  1. 래칫 렌치에 있어서:
    헤드를 가지는 손잡이와;
    헤드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종축을 정의하는 구동 스터드(stud);
    상기 구동 스터드와 결합된 래칫 메카니즘;
    상기 구동 스터드 내에 놓여진 빠른 풀림 메카니즘; 그리고
    축을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움직이고 손잡이 내에 장착된 작동기(actuator)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기는 빠른 풀림 메카니즘과 연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빠른 풀림 메카니즘은 축을 따라 구동 스터드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핀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작동기는:
    헤드 내에서의 작동기의 운동이 구동 스터드 내의 핀의 운동을 일으키는 그러한 핀과 결합된 경사부와; 그리고
    사용자의 손과 접촉을 위해 헤드의 외부에서 노출된 제어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3. 래칫 렌치에 있어서,
    헤드를 가지는 핸들과;
    상기 헤드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중 지지요소;
    상기 하중지지요소와 회전되게 결합된 구동 스터드;
    상기 하중지지요소와 회전되게 결합된 래칫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지지요소는 상기 구동 스터드의 반대편에 하중지지요소의 측면 상에 첫 번째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첫 번째 표면은 축 주위로 뻗어있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오목부 내에 수용되고, 상기 하중지지요소가 축에 대하여 적어도 한 방향으로 치우치는 운동을 막기 위한 중심맞춤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구동 스터드 내에 배치된 빠른 풀림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빠른 풀림 메카니즘은 축을 따라서 구동 스터드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핀을 포함하고; 또한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평면 상에서 움직이는 손잡이 내에 장착된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는 헤드 내에서 작동기의 운동이 구동 스터드 내에서 핀의 운동을 일으키는 그러한 핀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5. 제 1 항 혹은 제 4 항에 있어서, 헤드는 미끄럼운동에 있어서 작동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는 구동 스터드와 회전하도록 결합된 하중지지요소 쪽으로 뻗어있는 중심맞춤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지지요소는 축으로부터 적어도 한 방향으로 래칫 휠의 운동을 막아주는 중심맞춤요소를 수용하도록 형상을 갖춘 첫 번째 표면상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7. 제 4 항 혹은 제 6 항에 있어서, 중심맞춤요소는 축 주위로 180도 이상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8. 제 4 항 혹은 제 6 항에 있어서, 중심맞춤요소는 작동기 수용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기는 작동기 수용영역 안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9. 제 4 항 혹은 제 6 항에 있어서, 중심맞춤요소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부품으로구성되며, 각각의 부분은 작동기의 분리된 각 측면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0. 제 3 항 혹은 제 4 항에 있어서, 하중지지요소는 래칫 휠을 포함하며, 래칫 메카니즘은 상기 래칫 휠과 결합하는 폴을 포함하고, 작동기는 축에 대해 평행한 선을 교차하지 않고 폴과 래칫 휠 사이의 경계면을 통과하지 않는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1. 제 2 항 혹은 제 4 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헤드 내에 장착되고, 제어표면은 헤드의 외부에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헤드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경사부는 작동기 축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있으며, 경사부는 작동기 축 주위로의 회전운동을 위해 헤드 안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4. 제 3 항 혹은 제 4 항에 있어서, 중심맞춤요소는 올려진 고리모양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5. 제 4 항에 있어서, 경사부는 작동기 축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있고, 경사부는 작동기 축 주위로 회전운동을 위해 헤드 내에서 안내되며, 중심맞춤요소는 작동기 주위로 뻗어있는 올려진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중심맞춤요소는 축 주위로 연속적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7. 제 3 항 혹은 제 7 항에 있어서, 중심맞춤요소는 렌치의 적어도 일정 운전동안에 하중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8. 제 4 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사용자의 손과의 접촉을 위해 손잡이의 외부에서 노출된 제어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20. 손잡이와,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스터드, 그리고 구동 스터드와 결합된 래칫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래칫 렌치에 있어서:
    구동 스터드 내에 배치된 도구 유지 요소를 포함하는 도구 풀림 메카니즘과 도구 유지요소와 결합된 도구 풀림 작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스터드는 하중지지요소와 결합되고, 상기 하중지지요소는 구동 스터드 반대편에 하중지지요소의 측면상에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에 첫 번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축 주위로 회전을 위한 하중지지요소를 수용하도록 형상을 갖춘 두 번째 오목부와 첫 번째 오목부 안으로 돌출되는 중심맞춤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맞춤요소는 적어도 한 방향에 있어서 축에 대하여, 첫 번째 표면의 중심에 대한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하중지지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21. 래칫 렌치에 있어서:
    헤드를 포함하는 손잡이와;
    구동 스터드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하중지지요소에 의해 헤드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스터드;
    상기 구동 스터드 내에 배치된 도구 풀림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지지요소는 구동 스터드 반대편에 하중지지요소의 측면상의 표면을 포함하고, 첫 번째 오목부가 상기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중심맞춤요소와, 축 주위로 회전을 위한 하중지지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갖춘 두 번째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맞춤요소는 첫 번째 오목부로 돌출하고;
    상기 중심맞춤요소는 적어도 한 방향에 있어서 축에 대하여 첫 번째 표면의 중심에 대한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하중지지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22. 제 20 항 혹은 제 21 항에 있어서, 중심맞춤요소는 축 주위로 180도 이상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23. 제 3 항 혹은 제 6 항 혹은 제 20 항에 있어서, 하중지지요소는 래칫 휠을 포함하고, 래칫 메카니즘은 래칫 휠과 결합된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KR1020007010640A 1998-04-09 1999-04-01 래칫 렌치 KR100670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26898P 1998-04-09 1998-04-09
US60/081,268 1998-04-09
US09/229,206 US6109140A (en) 1998-04-09 1999-01-13 Ratchet wrench
US09/229,206 1999-01-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593A Division KR100631260B1 (ko) 1998-04-09 1999-04-01 래칫 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673A true KR20010034673A (ko) 2001-04-25
KR100670426B1 KR100670426B1 (ko) 2007-01-17

Family

ID=267654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593A KR100631260B1 (ko) 1998-04-09 1999-04-01 래칫 렌치
KR1020007010640A KR100670426B1 (ko) 1998-04-09 1999-04-01 래칫 렌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593A KR100631260B1 (ko) 1998-04-09 1999-04-01 래칫 렌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109140A (ko)
EP (1) EP1107851B1 (ko)
JP (1) JP4703847B2 (ko)
KR (2) KR100631260B1 (ko)
CN (1) CN1146488C (ko)
AT (1) ATE433834T1 (ko)
AU (1) AU3220399A (ko)
CA (1) CA2326747C (ko)
DE (1) DE69941004D1 (ko)
DK (1) DK1107851T3 (ko)
ES (1) ES2325430T3 (ko)
ID (2) ID28143A (ko)
PT (1) PT1107851E (ko)
TW (1) TW407091B (ko)
WO (1) WO1999052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4472A2 (en) * 2000-10-20 2002-05-02 Joda Enterprises, Inc. Sealed ratchet wrench
JP4873209B2 (ja) * 2001-04-17 2012-02-08 京都機械工具株式会社 ラチェットレンチ
TW494829U (en) * 2001-12-27 2002-07-11 Shiou-Ching Huang Invertible fitting
US7121169B1 (en) 2003-01-14 2006-10-17 Precision Instruments, Inc. Ratchet head
US7013761B2 (en) * 2004-02-02 2006-03-21 Terence Chen Wrench
US20060065080A1 (en) * 2004-09-28 2006-03-30 Davidson John B Ratcheting tools
WO2006072026A2 (en) * 2004-12-30 2006-07-06 Crawford Ted C Ratchet wrench with socket quick release mechanism
US20060201289A1 (en) * 2005-03-10 2006-09-14 Davidson John B Tools for detachably engaging tool attachments
US20060248987A1 (en) * 2005-05-05 2006-11-09 Patrick White Ratchet handle
WO2007133360A2 (en) 2006-05-01 2007-11-22 Joda Enterprises, Inc. Coupling mechanisms for detachably engaging tool attachments
AU2007257355B2 (en) 2006-06-02 2013-03-28 Joda Enterprises, Inc. Universal joint with coupling mechanism for detachably engaging tool attachments
US7584686B2 (en) * 2007-11-26 2009-09-08 Cheng Chang Tsai Quick release mechanism for socket wrench
US20090245931A1 (en) * 2008-03-25 2009-10-01 Apple Inc. Small lanyard connector for low profile device
JP5393430B2 (ja) * 2009-12-18 2014-01-22 株式会社山下工業研究所 ソケットレンチ
TW201221309A (en) * 2010-11-25 2012-06-01 zhen-kun Chen Unidirectional ratchet device
US8857298B2 (en) 2011-12-22 2014-10-14 Joda Enterprises, Inc. Tool release mechanism with spring-receiving guided element
CN103206503B (zh) * 2012-01-16 2015-12-09 志拓有限公司 驱动工具
CN104416508B (zh) * 2013-09-04 2016-06-29 志拓有限公司 棘轮扳手
CN103447996A (zh) * 2013-09-22 2013-12-18 广西五鸿建设集团有限公司 省力扳手
CN105829026B (zh) * 2013-10-16 2018-08-03 艾沛克斯品牌公司 棘轮及插座总成
CN103962995A (zh) * 2014-05-07 2014-08-06 国家电网公司 一种操作扳手
US9757847B2 (en) * 2015-04-24 2017-09-12 Ty-Flot, Inc. Ratchet wrench with a locking release assembly
CN105149682A (zh) * 2015-10-10 2015-12-16 江苏苏美达五金工具有限公司 斜断锯
US10814442B2 (en) * 2016-10-03 2020-10-27 General Electric Company Nut torquing device for recessed nut
US20180272505A1 (en) * 2017-03-22 2018-09-27 Snap-On Incorporated Hub for Ratchet Gears
CN109968255B (zh) * 2019-04-04 2020-12-22 宁波工程学院 一种窄距双螺母定力矩同步预紧扳手
US11583939B2 (en) * 2019-06-18 2023-02-21 Cricut, Inc. Tool assembly for a crafting apparatus
TWI718946B (zh) * 2020-05-12 2021-02-11 金統立工業股份有限公司 可快速拆裝批頭之棘輪扳手
TWI730841B (zh) * 2020-07-14 2021-06-11 原利興工業有限公司 工具頭攜帶結構
TWI750850B (zh) * 2020-10-15 2021-12-21 李仁凱 快脫驅動工具
US11865678B2 (en) * 2021-02-02 2024-01-09 Snap-On Incorporated Dual pawl ratchet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0051A (en) * 1948-07-24 1952-12-02 Reuben A Kaplan Wrench
US3208318A (en) * 1964-04-24 1965-09-28 Peter M Roberts Quick release for socket wrenches
US3438291A (en) * 1967-07-19 1969-04-15 Pendleton Tool Ind Inc Socket release mechanism
US4218940A (en) * 1978-12-06 1980-08-26 Harvey M. Main Socket release apparatus
US4277990A (en) * 1979-11-14 1981-07-14 Duro Metal Products Company Ratchet wrench
US4420995A (en) * 1981-06-05 1983-12-20 Roberts Peter M Quick-release and positive locking mechanism for use on socket wrenches and on power and impact tools
US5000066A (en) * 1983-07-05 1991-03-19 Gentiluomo Paul A Ratchet wrench
US4614457A (en) * 1985-07-15 1986-09-30 Sammon James P Coupling mechanism
US4807500A (en) * 1986-11-14 1989-02-28 Main Harvey M Reversing ratchet mechanism for tools
US4934220A (en) * 1989-04-03 1990-06-19 Snap-On Tools Corporation Sealed reversible ratchet wrench
JPH0621671Y2 (ja) * 1989-07-15 1994-06-08 前田金属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レンチ
US5390571A (en) * 1993-03-05 1995-02-21 Fox, Iii; Leonard J. Push button socket locking mechanism
US5582080A (en) * 1994-09-26 1996-12-10 Barmore; Thomas C. Ratchet wrench
US5761973A (en) * 1996-10-22 1998-06-09 Tung; Yi-Ming Double-headed ratchet wrench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11347A (ja) 2002-04-16
CA2326747A1 (en) 1999-10-21
KR100670426B1 (ko) 2007-01-17
WO1999052681A1 (en) 1999-10-21
ID23480A (id) 2000-04-27
KR100631260B1 (ko) 2006-10-02
EP1107851A4 (en) 2002-11-13
CN1146488C (zh) 2004-04-21
EP1107851A1 (en) 2001-06-20
PT1107851E (pt) 2009-08-13
CA2326747C (en) 2004-02-10
ATE433834T1 (de) 2009-07-15
CN1296435A (zh) 2001-05-23
EP1107851B1 (en) 2009-06-17
DK1107851T3 (da) 2009-08-24
US6109140A (en) 2000-08-29
TW407091B (en) 2000-10-01
KR20060080596A (ko) 2006-07-10
AU3220399A (en) 1999-11-01
JP4703847B2 (ja) 2011-06-15
DE69941004D1 (de) 2009-07-30
ES2325430T3 (es) 2009-09-03
ID28143A (id) 200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4673A (ko) 래칫 렌치
EP1021277B1 (en) Ratchet wrench
US5433548A (en) Universal joint for torque transmitting tools
US5466102A (en) System for coupling machine tools
US20060226588A1 (en) Quick release bar clamp
KR101497713B1 (ko) 공구부착장치들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커플링기구를 가진 유니버설 조인트
JP4863094B2 (ja) 自動二輪車用レバー組立て体
JP2008514444A5 (ko)
US6446735B1 (en) Torque restricting structure of pin hammer-type hammering mechanism
TWI418446B (zh) 用於可分離式地接合工具附件之耦合機構
US6128980A (en) Optimal clearance retaining devices for adjustable wrenches
US20050268751A1 (en) Gearless one way drive
CA2149351C (en) Universal joint for torque transmitting tools
WO2002034472A2 (en) Sealed ratchet wrench
MXPA00009856A (en) Ratchet wrench
GB2191466A (en) Robotic gripper
WO2002034474A1 (en) Sealed ratchet wrench
MXPA00003469A (es) Llave de trinquete
JPH071351A (ja) ソケットレンチのような工具用急速解放機構
GB2318535A (en) Ratchet wrench
KR20000011441U (ko) 워터펌프 플라이어
KR19990019947A (ko) 볼트 및 너트 체결용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