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762A - 내연신성이 다른 대역들을 가진 개인 위생용품 - Google Patents

내연신성이 다른 대역들을 가진 개인 위생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762A
KR20010033762A KR1020007007287A KR20007007287A KR20010033762A KR 20010033762 A KR20010033762 A KR 20010033762A KR 1020007007287 A KR1020007007287 A KR 1020007007287A KR 20007007287 A KR20007007287 A KR 20007007287A KR 20010033762 A KR20010033762 A KR 20010033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ersonal care
band
outer cover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460B1 (ko
Inventor
폴 테오도르 밴곰펠
융 흐시앙 황
조지아 린 제너
Original Assignee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169832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3376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로날드 디. 맥크레이
Publication of KR2001003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A61F13/514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having an impervious inner layer and a cloth-lik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2013/490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decoupled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개인 위생용품이 탄력적 연신가능한 외측 커버를 포함한다. 제1 실시태양에서, 외측 커버의 제1 대역은 외측 커버의 일부분의 연신성에 알맞은 목적하는 제1 특성을 제공하는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엠보싱된다. 제1 특성을 제공하게끔 외측 커버의 제2 대역을 개질시키지 않고, 이로써 제1 대역와 다른 연신 특성을 가지게 된다. 제2 실시태양에서, 제1 패널은 탄력적 연신가능한 제2 패널에 고정된다. 제2 패널의 제1 대역은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고정시키는 엠보싱 패턴을 가진다. 엠보싱부는 제1 대역이 엠보싱되지 않은 제2 패널의 제2 대역과 다른 연신 특성을 가지게 하여 이로써 연신 특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내연신성이 다른 대역들을 가진 개인 위생용품{Personal Care Article Having Zones With Different Resistance-to-Strech}
일반적으로, 개인 위생용품은 착용자의 신체에 편안하게 맞아야 한다. 통상적인 개인 위생용품은 예를 들어, 외측 커버 및 신체측 라이너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연신성이거나, 또는 약 50% 이하의 제한된 연신성을 가진다. 따라서, 개인 위생용품을 제조하는 주요 기재는 허리 및 다리 개구부에서 요구되는 탄력적 연신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통상적인 개인 위생용품은 일반적으로 제품의 허리밴드 주위에 고정된 탄력적 연신가능한 신축성 부재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개인 위생용품은 일반적으로 다리 개구부에 인접한 가랑이부의 양측에 다리부 신축성 부재를 가진다. 이러한 허리부 신축성 부재 및 다리부 신축성 부재는 각각 개인 위생용품의 허리밴드부 및 가랑이부에 목적하는 수준의 신장성 및 수축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개인 위생용품에서처럼, 외측 커버 및 신체측 라이너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1종 이상의 재료가 50%가 넘게, 예를 들어 300%까지 탄력적 연신가능한 경우에도, 통상적인 개인 위생용품에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정도의 연신성, 내연신성 및 탄력성을 제공하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력적 연신가능성이 허리부 및 다리부에 필요로 되지만, 너무 작은 연신성 또는 너무 큰 내연신성보다 너무 큰 연신성 또는 너무 작은 내연신성이 더 수용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연신가능한 외측 커버 또는 연신가능한 신체측 라이너의 연신 정도가 목적하는 것보다 큰 경우, 또는 내연신 정도가 목적하는 것보다 적은 경우에는, 목적하는 정도의 연신가능성 및 내연신성을 제공하기 위해 각 외측 커버 또는 신체측 라이너를 적합하게 변형시켜야한다.
유아용 기저귀, 배변 연습용 속팬츠, 성인 요실금용 제품 등과 같은 개인 위생용품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신체 분비물을 수용하고 흡수하는 능력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개인 위생용품, 특히 각 개인 위생용품의 여러 대역에서 이들의 연신 특성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개인 위생용품은 허리밴드부를 가로지르거나 다리 개구부에 인접하여 목적하는 연신성, 내연신성 및 신축성을 지녀야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명세서에 정의된 출원인의 발명은 탄력적 연신가능한 외측 커버 및(또는) 탄력적 연신가능한 신체측 라이너를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품에 목적하는 정도의 탄력적 연신성(resilient stretch) 및 목적하는 내연신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연신가능한 부재를 엠보싱하여 선택된 부위에 목적하는 정도의 연신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허리부의 연신성 외측 커버를 엠보싱함으로써 허리밴드부의 연신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으로 인해 엠보싱된 부위의 내연신성이 제품의 다른 대역의 내연신성보다 커지게 되어 엠보싱된 부위의 내연신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엘라스토머 부재의 부착 또는 연신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재료 처리 방법과는 달리, 본 출원의 제품 및 제조방법에서는 본 발명의 개인 위생용품의 처리된 부위 또는 대역에서 본 발명의 개인 위생용품에 사용되는 재료을 변형시켜, 연신 정도 또는 신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내연신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방향 이상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한 외측 커버를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품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탄력적 연신가능한 외측 커버의 제1 대역의 제1 부분은 제1 대역에서 외측 커버의 연신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한 또는 한정하는 엠보싱 패턴을 가지므로, 이로써 외측 커버의 연신성 및 내연신성에 알맞은 목적하는 제1 특성을 제공한다. 외측 커버는 제1 특성이 제공되게끔 변형시키지 않은 별도의 다른 제2 대역을 가진다. 따라서, 제1 대역의 엠보싱부(embossment)로 인해 외측 커버 제1 대역의 처리된 부분은 외측 커버 제2 대역의 비처리된 또는 덜 처리된 각 부위와는 다른 내연신성을 가지게 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외측 커버가 개인 위생용품의 전면부에서 적어도 횡방향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하고, 외측 커버가 전면부에 제1 허리밴드부 및 후면부에 제2 허리밴드부를 가지고, 제1 대역은 개인 위생용품 전면부의 제1 허리밴드부를 이루고, 제1 허리밴드부는 허리밴드부의 연신 정도에 알맞은 목적하는 제1 연신 특성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제2 대역이 제1 허리밴드부로부터 안쪽으로 사이를 두고 외측 커버의 소정의 영역을 이룬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개인 위생용품에 추가의 허리부 신축성 부재가 없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외측 커버가 개인 위생용품의 후면부에서 적어도 횡방향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하고, 제2 허리밴드부가 제2 대역보다 내연신성이 큰 후면부의 제3 대역을 이룬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외측 커버가 제4 대역 및 제5 대역을 포함하고, 제4 대역 및 제5 대역은 제2 대역에 비해 내연신성이 크도록 이의 일부를 효과적으로 엠보싱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제4 대역이 적어도 가랑이부에서 제1 외측 연부에 인접하고, 제5 대역이 적어도 가랑이부에서 반대쪽 제2 외측 연부에 인접하고, 제4 대역 및 제5 대역이 임의로 가랑이부의 길이를 따라 뻗어 있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개인 위생용품의 가랑이부에 다리부 신축성 부재가 추가되지 않고, 제4 대역 및 제5 대역이 다리부 신축성 부재의 특성을 제공하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제1 대역이 엠보싱 배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격된 엠보싱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상기 배열이 2 줄 이상의 이격된 점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상기 배열이 일련의 이격된 선 또는 다른 구조를 이룬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개인 위생용품이 전면부에 전면 연부 및 후면부에 후면 연부를 가지고, 외측 커버의 전면 연부 및 후면 연부에 실질적으로 접힘이 없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개인 위생용품이 외측 커버 상에 포개져 사용가능하게 연결된 흡수성 구조물을 포함하고, 이로써 흡수성인 개인 위생용품을 제조하고, 이 흡수성 구조물이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인 배면시트, 배면시트 상에 포개진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 및 신체측 라이너와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는 흡수 구조물을 외측 커버에 고정시키면서 외측 커버의 탄력적인 횡방향 연신을 허용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각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가 흡수성 구조물을 외측 커버에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주름을 가진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외측 커버가 제1 대역에서 불연속적으로 엠보싱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는, 개인 위생용품이 제1 패널, 한 방향 이상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한 제2 패널을 포함하며, 함께 기부를 이루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대향 관계에 있고, 제2 패널의 제1 대역의 제1 부분에는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고정시켜 제2 패널의 연신성에 알맞은 목적하는 제1 특성을 제공하는 엠보싱 패턴이 있고, 제2 패널의 제2 대역에는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고정시키는 엠보싱부가 없거나 또는 제1 특성을 나타내지 않고, 따라서 제1 대역의 엠보싱부로 인해 제1 대역은 제2 대역과 다른 내연신성을 가지게 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제2 패널을 연신하지 않은 채로 제1 패널에 고정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제1 대역이 개인 위생용품의 가랑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이루고, 가랑이부의 제1 대역이 제2 대역에 비해 큰 내연신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제1 패널이 신장가능한 신체측 라이너를 이루고, 제2 패널이 외측 커버를 이룬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제1 패널이 실질적으로 비신장성인 신체측 라이너를 이룬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외측 커버를 한 방향 이상으로 미리 연신시키고 신체측 라이너에 고정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외측 커버를 신체측 라이너에 고정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정도로 미리 연신시키는데, 기부가 미리 결정된 신장 정도까지 연신될 때는 제1 특성의 하중/신장길이 곡선 관계를 가지고, 미리 결정된 신장 정도 이상으로 연신될 때는 제2 특성의 하중/신장길이 관계를 가진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제1 대역의 엠보싱 패턴이 제1 대역에서 개인 위생용품의 내연신성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제1 대역이 제2 패널 전체 면적의 약 2%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전체 면적의 약 5% 내지 약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체 면적의 약 10% 내지 약 30%를 차지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제2 패널의 제1 대역에서 대략 전체 표면적의 약 5% 내지 약 80%가 제1 패널에 엠보싱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엠보싱부가 실질적으로 제1 대역 전체에 걸쳐 2차원적으로 퍼져 있는 이격된 점의 패턴으로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결합시킨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상기 결합이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초음파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엠보싱부가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접착제로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제2 패널이 제1 패널에 고정될 때 약 5% 이상 약 35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상 약 20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이상 약 100% 이하로 신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은 다른 제1 및 제2 연신 특성을 각각 개인 위생용품 기부의 다른 제1 및 제2 대역에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적어도 제2 패널의 제1 대역의 일부분을 제1 패널의 각 부분에 효과적으로 엠보싱함으로써 제1 패널을 대향 관계로 제2 패널에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기부는 제1 패널 및 탄력적 연신가능한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엠보싱부로 인해 기부의 제2 대역의 제2 연신 특성과는 다른 목적하는 제1 연신 특성을 가지게끔 제1 대역이 고정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개인 위생용품의 제1 실시태양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2--2 선을 따라 절단된 도 1의 개인 위생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3--3 선을 따라 절단된 도 1의 개인 위생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의 부분 근접도이다.
도 5는 이격된 막대를 포함하는, 플런지형의 초음파 앤빌의 작용 표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실시태양의 엠보싱된 부위와 엠보싱되지 않은 부위에 대한 특성의 하중/신장길이 관계를 포함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질적으로 외측 커버 전체에 신체측 라이너가 깔린 본 발명의 개인 위생용품의 제2 실시태양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8--8 선을 따라 절단된 도 7의 개인 위생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9--9 선을 따라 절단된 도 7의 개인 위생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실시태양의 엠보싱된 부위 및 유사하지만 엠보싱되지 않은 다른 패널에 대한 특성의 하중/신장길이 관계를 포함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7의 실시태양의 엠보싱된 부위와 엠보싱되지 않은 부위에 대한 특성의 하중/신장길이 관계를 포함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기부 표면 상에 엠보싱 배열을 가진 부분이다.
도 13은 외측 커버가 신체측 라이너에 고정될 때 미리 연신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7의 실시태양과 유사한 본 발명의 개인 위생용품의 제3 실시태양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14--14 선을 따라 절단된 도 13의 개인 위생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실시태양의 엠보싱된 부위와 엠보싱되지 않은 부위에 대한 특성의 하중/신장길이 관계를 포함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이 출원에서 하기에 설명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상세한 구조 및 부재의 배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르게 실시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및 표현은 설명과 도시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한정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수많은 참고문헌에 사용된 것과 같은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은 설명의 목적이고, 반드시 실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설명된 실시태양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태양은 일회용 개인 위생용품에서 이들의 용도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구조물의 잠재적 용도가 기저귀, 여성 위생용품, 요실금용 가먼트 등의 일회용 개인 위생용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하기 청구항에 사용된 문구 "개인 위생용품"에는 성인 요실금용 제품, 여성 위생용품, 상당한 흡습성을 가지지는 않지만 소변 및(또는) 대변을 수용하고(하거나) 저장하는 제품, 상당한 흡습성을 가지고 소변 및(또는) 대변을 수용하고(하거나) 저장하는 제품, 예컨대 기저귀, 배변 연습용 속팬츠 등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 및 하기 청구항에 사용된 문구 "내연신성"은 신장에 대한 하중의 비로 표현되고, 패널 또는 다른 재료를 특정 길이로 늘이는데 필요한 힘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대역보다 큰 내연신성을 가진 제1 대역은 더 작은 힘으로 제2 대역을 늘였을 때와 동일한 길이로 늘이기 위해서는 더 큰 힘을 필요로 한다.
본 명세서 및 하기 청구항에 사용된 "엠보싱" 또는 "엠보싱부"는 재료가 압력, 열 에너지, 초음파 에너지, 또는 열성형 및 선택된 부위에서 제1 및 제2 패널을 결합시키는 접착제의 도포 등을 비롯한 다른 처리에 의해 처리된 곳의 재료의 연신 특성이 변하게 되는 처리된 부위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다른 결합 기술도 용어 "엠보싱"의 영역에 속한다. 이러한 기술로 제1 패널의 여러 부위에 고정되기 때문에 제2 패널의 연신성이 제한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방향 "L" 및 횡방향 "C"를 지닌 개인 위생용품 (12)는 전면 연부 (16)을 지닌 전면부 (14), 후면 연부 (20)을 지닌 후면부 (18), 및 전면부 (14)와 후면부 (18) 사이의 가랑이부 (22)로 이루어진다. 종방향 "L"은 개인 위생용품 (1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횡방향 "C"는 개인 위생용품 (12)의 나비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의미한다. 개인 위생용품 (12)는 외측 커버 (24)를 포함한다. 체결 패널 (26, 28)은 도 1에 도시된 전면부 (14)의 외측 커버 (24)의 양측 연부 영역에 고정된다. 후면부 (18)의 양측 연부 영역에 있는 패스너 장치 (30, 32)는 후면부 (18)의 양측 연부 영역을 전면부 (14)에 패스닝시킨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측 커버 (24)의 엠보싱부 (34)는 외측 커버의 전면부 (14)에서는 전면 연부 (16)에 인접하게 및 후면부 (18)에서는 후면 연부 (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엠보싱부 (34)는 개인 위생용품 (12)의 가랑이부 (22)의 양측 연부 (36, 38)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엠보싱부 (34)는 엠보싱부가 없는 외측 커버 (24)의 제2 대역 세트 (48, 50)와 다른 내연신성을 가진 제1 대역 세트 (40, 42, 44, 46)을 제공한다. 대역 (48, 50)은 엠보싱부가 없는 외측 커버 (24)의 특정 부위를 나타내며, 기본적으로 전체 외측 커버는 대역 (40, 42, 44, 46)을 제외하고는 엠보싱부가 없는 합쳐진 단일 대역을 이룬다.
그러나,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 (48, 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아주 적은 엠보싱부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부는 제1 대역 세트 (40, 42, 44, 46)의 엠보싱부에 비해 작은 내연신성을 제공한다.
흡수성 구조물 (52)를 외측 커버 (24) 상에 포개 놓고 사용가능하게 외측 커버에 고정시켜 흡수성 제품을 제조한다. 흡수성 구조물 (52)는 접착제 (62)에 의해 외측 커버 (24)의 각 부분에 고정된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 58, 60)을 포함한다.
도 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것과 같이, 흡수성 구조물 (52)는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인 배면시트 (64), 배면시트 (64) 상에 포개진 액체 투과성인 신체측 라이너 (68), 및 배면시트와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 (70)을 포함한다. 도 1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것과 같이, 흡수성 구조물 (52)는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에 의해 전면부 (14)에서 외측 커버 (24)에 고정되고,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8, 60)에 의해 후면부 (18)에서 외측 커버 (24)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면의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8, 60)은 배면시트 (64)와 신체측 라이너 (68)이 합쳐져 연장된 부분이고, 흡수 코어 (70)과 외측 커버 (24) 사이에 주름이 잡혀있다. 이 주름으로 인해 흡수 코어 (70) 또는 신체측 라이너 (68)에 응력을 가하지 않고도 개인 위생용품 (12)를 횡방향 "C"로 신장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커버 (24)는 연신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외측 커버의 전체 표면적의 약 30% 이상이 적어도 횡방향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외측 커버 (24)는 적어도 개인 위생용품 (12)의 전면부 (14)에서 탄력적으로 연신가능하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외측 커버 (24)는 개인 위생용품 (12)의 전면부 (14) 및 후면부 (18)에서 탄력적으로 연신가능하다. 또한, 외측 커버 (24)는 외측 커버 전체에서 한 방향 이상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하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외측 커버 (24)는 횡방향 "C"과 종방향 "L" 모두로 탄력적 연신가능하다. 따라서, 특정 실시태양에서는, 착용자에게 개인 위생용품 (12)가 꼭 맞도록 외측 커버 전체가 종방향 "L" 및 횡방향 "C"를 따라 신장될 수 있다.
외측 커버 (24)는 착용자에게 편안한 인장력 범위 내에서 약 10% 내지 약 300%의 신장성을 외측 커버에 제공하는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외측 커버 (24)가 연신 방향으로 횡방향 직선 나비 1 cm 당 80 g의 인장력을 받는 경우에는 약 30% 이상 신장될 수 있다. 외측 커버 (24)는 필름, 라미네이트 (필름-부직포), 부직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복합재를 포함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문구 "탄력적 연신가능한"은 물질이 힘에 반응하여 신장 또는 연신가능하고, 힘을 이완시킨 후에는 상당히 장기간 동안 변형되어 있지 않고 실질적으로 비연신된 크기로 되돌아 가는 능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외측 커버 (24)는 힘에 의해 200% 신장(원래 길이의 3배)된 다음, 힘을 이완시킨 후 원래 길이의 약 150%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렇게 신장 길이의 약 75% 이상이 복원되는 것이 탄력적 연신가능한 외측 커버로 설명된다.
외측 커버 (24)에 유용한 엘라스토머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부타디엔 등), 폴리에스테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고무와 같은 가교결합되고 경화된 엘라스토머가 포함된다.
이 엘라스토머는 두께가 약 0.00508 mm(0.2 mil) 내지 약 0.127 mm(5 mil)로 다양한 연속 필름 또는 천공된 필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는 기본 중량이 약 5 g/㎡ 내지 약 250 g/㎡으로 다양한 부직 또는 멜트블로운 중합체일 수 있다. 엘라스토머 및 부직포 또는 필름의 복합재는 다수개의 층을 예를 들어, 접착제 결합, 열 결합 또는 초음파 결합을 통해 결합하여 다층 라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외측 커버 재료로 열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 엘라스토머 필름 또는 층 또는 멜트블로운 재료의 라미네이트(예컨대,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또는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에 결합된 부직재가 포함된다.
예컨대, 외측 커버 (24)용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 당 쉘 케미컬 캄파니(Shell Chemical Company)사의 G2755 크라톤(KRATON:등록상표) 엘라스토머 필름 45 g을 포함한다. 이 필름은 23 g/㎡인 두개의 40% 넥킹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디드 부직포 층 사이에 배치되고 결합된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의 예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와 모순되지 않고 일치되는 방법인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1993년 7월 13일 노먼(Norman)에 의해 발행된 미국 특허 제5,226,992호에 기재되어 있다.
외측 커버 (24)는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와 모순되지 않고 일치되는 방법인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1987년 5월 5일 위스네스키(T. Wisneski) 등에 의해 발행된 미국 특허 제4,663,220호에 기재된 적합한 멜트블로운 신축성 섬유 웹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상 신축성 층에 고정된 한 층 이상의 부직재를 포함하는 복합 포의 예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와 모순되지 않고 일치되는 방법인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1987년 4월 8일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 제EP 0110010호에 기재되어 있다.
외측 커버 (24)가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하는 특정 실시태양에서는, 횡방향 샘플 길이 1 cm 당 80 g의 인장력을 가하였을 때, 외측 커버 (24)는 바람직하게는 약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이상, 심지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이상 횡방향으로 신장가능하다. 게다가, 외측 커버 (24)는 횡방향으로 30% 신장되었을 때, 횡방향 샘플 길이 1 cm 당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275 g, 심지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200 g 범위의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외측 커버 (24)는 웹으로 구성된 또는 웹으로 형성된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일 수 있다. 직물은 종방향 "L" 및 횡방향 "C" 중 한 방향 이상으로 신장가능한 정도로 주름 잡히거나 넥킹된다. 다른 유리한 특성을 가진 다른 재료들도 외측 커버 (24)에 유용하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외측 커버 (24)는 적당한 탄력적 연신가능성을 가진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는 한 층은 수축가능한 층이고 다른 층은 연신가능한 층인 2 층 이상의 복합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된 복합 층을 이완시켰을 때 수축가능한 층이 수축되도록 연신가능한 층이 연신된 상태에 있을 때 이 층들을 서로 결합시킨다. 다른 적합한 재료도 외측 커버 (24)로 사용될 수 있다.
체결 패널 (26, 28)은 비연신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외측 커버 (24)와는 별개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어서, 개인 위생용품 (12)의 전면부 (14)의 양측 연부에서 외측 커버 (24)에 조립되어 부착될 수 있다. 체결 패널 (26, 28)은 외측 커버 (24)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서 한 쌍의 양측 허리 플랩부를 형성한다. 체결 패널 (26, 28)은 개인 위생용품 (12)가 착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도와준다.
체결 패널 (26, 28)은 예를 들어, 초음파 결합을 통해 외측 커버 (24)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체결 패널 (26, 28)은 접착제, 스티칭, 열 결합, 클립, 스태플, 용매 결합 등에 의해 외측 커버 (24)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 패널 (26, 28)은 실질적으로 비연신성인 중합체 필름, 직포, 부직포 등뿐 아니라 이들의 복합재와 같은 실질적으로 비연신성인 재료를 포함한다. 패스너 장치 (30, 32)는 별도의 재료로부터 제조된 다음, 조립되어 개인 위생용품 (12)의 후면부 (18)의 양측 연부에서 외측 커버 (24)에 부착된다. 패스너 장치 (30, 32)는 통상적으로 실질적으로 비엘라스토머 패스너 재료를 포함한다. 패스너 장치 (30, 32)는 외측 커버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서 한 쌍의 양측 패스닝부를 형성한다. 사용 중, 패스너 장치 (30, 32)는 전면부 (14)에 후면부 (18)을 고정시켜 착용자의 신체에 개인 위생용품 (12)가 유지되도록 한다.
패스너 장치 (30, 32)는 초음파 결합을 통해 외측 커버 (24)에 영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패스너 장치 (30, 32)는 접착제, 스티칭, 열 결합, 클립, 스태플, 용매 결합 등에 의해 외측 커버 (24)에 고정될 수 있다.
패스너 장치 (30, 32)는 예를 들어, 후크와 루프 패스닝 시스템인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공지된 패스닝 시스템도 착용자에게 개인 위생용품 (12)를 지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착 패스닝 시스템, 접착 패스닝 시스템 등이 경우에 따라 착용자에게 개인 위생용품 (12)를 지지시키는데 전면부 (14) 상에 위치한 적합한 상호작용 부재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사용시에는, 바람직하게는 패스너 장치 (30, 32)가 외측 커버 (24)의 전면부 (14)에 있는 탄력적 연신가능한 탈착 대역에 고정되어, 각 패스너 장치 (30, 32)가 탄력적 연신가능한 탈착 대역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용도에 적합한 패스너 장치의 예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와 모순되지 않고 일치되는 방법인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1995년 3월 21일 뢰슬러(Roessler) 등에 의해 발행된 미국 특허 제5,399,219호에 설명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커버 (24)는 패스너 장치 (30, 32)의 후크가 외측 커버 (24)의 포에 직접 맞물릴 수 있도록 적합한 고리형 구조물을 지닌 재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외측 커버 (24)가 패스너 장치 (30, 32)에 대한 탈착 대역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구조는 제조되고 배치되어 개인 위생용품 (12)에 고정되어야 하는 부재의 수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
흡수성 구조물 (52)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64),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 (68), 흡수 코어 (70), 및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 58, 60)을 포함한다.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 58, 6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수성 구조물 (52)의 전면 및 후면의 양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배면시트 (64) 및 신체측 라이너 (68)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구역을 포함한다.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 58, 60)은 각각 접히거나 주름잡힌 구역을 가진다.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는 접착제 (62)에 의해 외측 커버 (24)에 고정된다. 따라서,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 58, 60)은 흡수성 구조물 (52)를 외측 커버 (24)에 고정시키며 외측 커버 (24)의 전면부 (14) 및 후면부 (18)을 적어도 횡방향 "C"로 탄력적 연신을 허용한다. 각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 58, 60)은 흡수성 구조물 (52)와 외측 커버 (24)가 연결되는 안으로 접힌 주름이 한 개 이상있다. 주름 또는 주름들은 개인 위생용품 (12)가 횡방향 "C"로 신장될 때 펴져서 늘어난다. 일반적으로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 58, 60)에 의해 외측 커버 (24)의 적당한 정도의 움직임 및(또는) 늘어남으로부터 흡수성 구조물 (52)가 무관하게 되어, 외측 커버의 적어도 전면부 (14)가 횡방향 "C"로 신장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의 실시태양에서는, 착용자에게 고정되도록 횡방향 "C"로 외측 커버 (24)를 충분히 연신시키기 위해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 58, 60)이 열려서 펴질 수 있기 때문에, 배면시트 (64)와 신체측 라이너 (68) 둘 다 제한된 신장성 또는 비신장성을 가질 수 있다.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 58, 60)은 배면시트 (64)와 신체측 라이너 (68) 둘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된 별도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별도의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 58, 60)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로는 폴리에스테르, 포움 및 천연 섬유가 포함된다. 다양한 다른 직포 또는 부직포가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 58, 6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 (54, 56, 58, 60)은 주름 대신에 적어도 횡방향 "C"로 상당히 연신되거나 신장될 수 있는 신장가능한, 바람직하게는 탄력적으로 신장가능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64)는 제조된 배면시트가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이도록 단일 층, 또는 다성분, 다층 또는 부분 층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배면시트 (64)는 플라스틱 박층 또는 다른 가요성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불투과성 배면시트 (64)는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부직 웹 표면에 적층된 폴리에틸렌 필름(예, 폴리올레핀 섬유의 스펀본디드 웹)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64)는 흡수 코어 (70)에 인접하거나 가까이에 있는 선택된 영역에 목적하는 정도의 액체 불투과성을 주기 위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되거나 처리된 섬유상 직조 웹 또는 부직 웹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64)는 액상 배설물이 배면시트를 통과하는 것은 막는 반면 증기는 흡수 코어 (70)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미공질 재료로 임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신체측 라이너 (68)은 착용자에게 순응적이고 부드러우며 자극적이지 않은 피부-대향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신체측 라이너 (68)은 액체를 투과시키기에 충분한 다공질이어야 하고, 이 두께를 따라 액체가 통과할 수 이어야 한다.
신체측 라이너 (68)은 실질적으로 소수성이고 실질적으로 비습윤성인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소수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처리되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목적하는 정도의 습윤성 및 소수성을 제공하기 위해 가공된다.
신체측 라이너 (68)은 다공성 포움, 그물형 포움,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천연 또는 합성 섬유와 같은 웹 재료로부터 광범위하게 선택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측 라이너 (68)은 목재 또는 면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유용한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같은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복합재이다. 신체측 라이너 (68)은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흡수 코어 (70)에 보유된 액체를 분리시키는데 적합하게 사용된다.
다양한 직포 및 부직포가 신체측 라이너 (68)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측 라이너 (68)은 폴리올레핀 섬유의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디드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 (68)은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된 카디드 및(또는) 본디드 웹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신체측 라이너 (68)이 기본 중량이 약 22 g/㎡이고 밀도가 0.06 g/㎤인 웹으로 제조된 약 0.311 내지 0.356 g/㎞(약 2.8 내지 3.2 데니어)의 섬유로 구성된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포는 약 0.3 중량%의 계면활성제로 처리된다.
신체측 라이너 (68)은 단일 층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또는 본 명세서에서 신체측 라이너로 개시된 어떠한 재료뿐 아니라 다른 공지의 재료와도 상응하는 다수개의 부재, 층 또는 부분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흡수 코어 (70)이 본 발명의 개인 위생용품 (12)에 사용될 때, 광범위하게 다양한 크기 및 형태(예, 직사각형, 사다리꼴, T-형, I-형, 모래시계형 등)를 가진 광범위하게 다양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흡수 코어 (70)의 크기 및 흡수 용량은 의도된 착용자의 치수에 적합해야하고, 예상된 액체 하중이 개인 위생용품 (12)의 의도된 용도로 제공되어야 한다.
적합하게는 흡수 코어 (70)이 셀룰로오즈 플러프(fluff)의 웹 또는 웹들과 같은 친수성 섬유의 매트릭스를, 바람직하게는 초흡수성 재료로 통상적으로 공지된 고흡수성 재료와 함께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흡수 코어 (70)은 초흡수성 히드로겔-형성 재료 및 목재 펄프 플러프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목재 펄프 플러프 대신에, 합성 섬유, 고분자 섬유, 멜트블로운 또는 천연 섬유, 또는 목재 펄프 플러프, 합성 섬유, 고분자 섬유, 멜트블로운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의 복합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초흡수성 재료는 친수성 및(또는) 소수성 섬유, 또는 다른 재료와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혼합되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흡수 코어 (70)과 합하여 질 수도 있다.
흡수 코어 (70)은 섬유 웹 및 초흡수성 재료의 라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흡수체의 목적하는 위치 부위에 고정된 초흡수성 재료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다른 적합한 구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흡수 코어 (70)의 고흡수성 재료는 천연, 합성 및(또는) 개질된 천연 중합체 및(또는) 다른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고흡수성 재료는 실리카 겔과 같은 무기물질 또는 가교결합된 중합체와 같은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용어 "가교결합된"은 효과적으로 보통의 수용해성 물질을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지만 팽윤성인 물질로 만드는 수단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흡수성은 여전하지만, 물-기재의 액체를 흡수한 후 팽윤된 물질은 실질적으로 부동성이 된다. 이러한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물리적 얽힘, 결정질 영역, 공유 결합, 이온 착물, 이온 회합, 친수성 회합(수소 결합) 및 소수성 회합 또는 반데르 발스력이 포함된다.
도 2에서, 신축성 부재 (71)은 적어도 개인 위생용품 (12)의 가랑이부 (22)에서 배면시트 (64)와 신체측 라이너 (68) 사이에 배치되어, 배면시트(64)와 신체측 라이너 (68)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된다. 신축성 부재 (71)은 흡수성 구조물 (52)에 종방향 "L"의 신축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임의의 신축성 부재 (71)은 흡수성 구조물 (52)에 탄력적 연신성 또는 부가적으로 종방향 "L"의 탄력적 연신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신축성 부재 (71)의 제조에 적합한 재료로는 라이크라(LYCRA:등록상표) 스트랜드, 리본, 또는 개인 위생용품 (12)에 접착될 수 있는 한 층 이상의 또는 한 층 부재 이상의 고분자 재료 및(또는) 엘라스토머 재료가 포함되고, 이를 통해 신축성 부재가 연신되 상태에서 가랑이부 (22)가 탄력적으로 연신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좌측 및 우측의 이격된 양측 샘방지 플랩(도시되지 않음)이 개인 위생용품의 각 측면 연부의 안쪽에서 개인 위생용품 (12) 전체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기 실시태양에서, 샘방지 플랩은 통상적으로 신체측 라이너 (68)에 고정되어 있다. 샘방지 플랩의 한 예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와 모순되지 않고 일치되는 방법인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1987년 11월 3일 엔로에(K. Enloe)에 의해 발행된 미국 특허 제4,704,116호에 기재되어 있다.
샘방지 플랩은 예를 들어, 배면시트 (64)를 포함하는 재료와 유사한 섬유상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고분자 필름과 같은 다른 적합한 통상적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측 커버 (24)는 필름의 양측 표면 상에서 넥킹된 스펀본디드 층 (74, 76)과 대향 관계에 있는 엘라스토머 필름 (72)를 포함하는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NBL)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넥킹된 스펀본디드 층 (74, 76)을 관통하는 엠보싱부 (34)로 나타난 것과 같이 이격된 지점에서 외측 커버 (24)에 엠보싱한 결과를 보여준다. 엠보싱부 (34)가 관통하여 밀착 영역 (78)에서 엘라스토머 필름 (72)에 대해 스펀본디드 층 (74, 76)을 밀착시킬 수 있다(도 4). 엠보싱부 (34)에서 스펀본디드 층 (74, 76)의 밀착 영역 (78)은 엘라스토머 필름 (72)의 연신성 또는 신장성을 제한한다. 각 스펀본디드 층 (74, 76)은 엠보싱되는 동안 열 및(또는) 압력에 의해 밀착되고, 스펀본디드 층들이 굳어서 더욱 견고하게 엘라스토머 필름 (72)에 부착된다. 따라서, 스펀본디드 층 (74, 76)은 엠보싱부 (34)의 밀착 영역 (78)에서 필름 (72)의 신축성 연신을 제한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연신의 "제한"은 신장가능한 재료의 표면에 형성된 엠보싱에 의해 신장가능한 부재가 주어진 신장력에 반응하여 신장하는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한"은 엠보싱부 (34)에서 외측 커버 (24), 또는 외측 커버 (24)와 다른 층에 의해 형성된 복합재의 신장을 막거나 제한한다.
따라서, 엠보싱부 (34)는 외측 커버의 물리적 특성, 즉 연신 특성을 변형시켜 이미 적어도 연신 특성을 가진 일부분을 제한하여 대역 (40, 42, 44, 46)에서 외측 커버 (24)의 내연신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도 1의 실시태양에서는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 (48, 50)에 비해 전면부 (14) 전체를 따라 전면 연부 (16)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대역 (40) 및 후면부 (18) 전체를 따라 후면 연부 (20)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대역 (42)의 내연신성이 더 크다.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 (48, 50)이 개인 위생용품 (12)의 각 전면부 (14) 및 후면부 (18) 내의 한정된 대역에 도시되어 있으나, 엠보싱된 대역 (40, 42, 44, 46)을 제외한 외측 커버 (24)의 전체가 엠보싱되지 않은 제2 대역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외측 커버 (24)는 엠보싱부 (34)를 제외한 어떠한 지점에서도 엠보싱되지 않는다. 따라서, 체결 패널 (26, 28) 및 패스너 장치 (30, 32)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외측 커버 (24)의 전체에서 내연신성이 일정하다. 따라서, 사용 중에는 개인 위생용품 (12)의 전면부 (14) 및 후면부 (18)에서 엠보싱된 대역 (40, 42)가 이들 안쪽의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 또는 대역들이 비해 더 큰 내연신성을 제공하며, 이로써 전면 및 후면 허리밴드부로 작용한다.
따라서, 임의의 다른 대역 또는 대역들의 연신성은 커지고 전면 및 후면 허리밴드부의 연신성은 작아져서, 개인 위생용품 (12)가 착용자에게 보다 양호하게 고정되어 꼭 맞게된다. 허리밴드부가 적당히 작동하므로 배설물이 개인 위생용품 (12)에서 샐 가능성이 감소되고, 또는 개인 위생용품의 허리밴드부에서 외측 커버 (24)가 너무 많이 연신되어 자유롭게 움직여진 결과 착용자가 움직이는 동안 착용자의 신체에서 아래로 미끄러져 벗겨질 가능성이 감소된다.
각 전면 연부 (16) 및 후면 연부 (20)에 인접한 전면부 (14) 및 후면부 (18)의 엠보싱된 대역 (40, 42)는 적합한 허리부 신축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태양에서는 개인 위생용품 (12)의 전면부 (14) 및 후면부 (18)의 허리밴드부에 허리부 신축성 부재가 추가되지 않는다. 제1 허리밴드부의 외측 커버 (24)는 통상적으로 허리밴드 신축성 부재에 탄력적 연신성이 남아 있게 해준다.
마찬가지로, 가랑이부 (22)의 양측 연부 (36, 38)에 인접한 엠보싱된 대역 (44, 46)은 가랑이부 (22)에서 엠보싱된 대역들 (44, 46) 사이의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에 비해 더 큰 내연신성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 중에는 엠보싱된 대역 (44, 46)이 대역들 (44, 46) 사이의 개인 위생용품 (12) 부위에 비해 연신에 대한 내성이 보다 커서 가랑이부의 전체 나비를 따라 거의 동일한 연신성을 가진 개인 위생용품에 비해 착용자의 다리에 보다 양호한 봉합성을 제공하여, 배설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가랑이부 (22)의 엠보싱된 대역 (44, 46)은 다리부 신축성 부재의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개인 위생용품 (12)에는 외측 커버 (24)의 가랑이부 (22)에 다리부 신축성 부재가 추가되지 않는다.
도 1의 실시태양에서, 외측 커버 (24)는 전면 연부 (16) 및 후면 연부 (20)에서 실질적으로 펼쳐져 있다. 외측 커버 (24)의 연부를 접는데 필요한 임의의 제조 공정은 복잡한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할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이용하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다양한 재료 및 대역의 내연신성은 시험 재료, 엠보싱 방법 및 시험 방법에 대한 하기 설명에 의해 보다 잘 설명된다.
<시험 재료>
시험 과정에 샘플로 사용된 재료는 하기와 같다.
1. 탄력적 연신가능한 웹은 각 마주접한 면이 약 20 g/㎡의 기본 중량으로 넥킹된 마주접한 넥킹된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부직 웹 2 층을 가진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NBL)로 구성되어 있다. 35 g/㎡의 메탈로센(METALLOCENE:등록상표) 엘라스토머 수지는 3 겹의 복합 라미네이트(NBL)의 코어를 포함한다. 메탈로센(등록상표) 엘라스토머 수지는 어퍼너티(Affinity) 58380.00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미시건주 미드랜드 소재의 다우 케미컬 코포레이션(Dow Chemical Corp.)사 제품이다. 마주접한 넥킹된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부직 웹 2 층은 엘라스토머 필름 코어의 양면에 위치한다. 복합 라미네이트는 총 기본 중량이 75 g/㎡이다.
2. 신장가능한 재료로는 시험 샘플 나비 1 인치 당 20 g의 하중을 가하였을 때 약 80% 신장가능한, 24 g/㎡인 넥킹된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부직 웹이 포함된다.
3. 비신장성 재료로는 기본중량이 20 g/㎡인 약 0.311 내지 0.356 g/㎞(2.8 내지 3.2 데니어)의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스펀본디드 포, 폴리프로필렌 포가 포함된다.
상기 재료로 제조된 시험 스트립은 길이가 25.4 cm(10 인치)이고 나비가 2.54 cm(1 인치)이다.
<샘플의 엠보싱>
시험 샘플을 엠보싱하기 위해, 코네티컷주 댄버리 소재의 브라손 울트라소닉(Brason Ultrasonic)사 제품인 나비가 19 mm(0.75 인치)이고 길이가 203.2 mm(8.0 인치)인 플런지형의 돌기를 가진 브라손 85 소닉 본더(Sonic Bonder), 및 브라손 1300 P 동기를 사용하였다. 모든 시험 재료를 엠보싱/결합하기 위해, 압력 48.5 g/㎡(70 lb/in2), 총 전력 85%, 밀착 시간 1.0 초, 지속 시간 2.0 초 및 속도 7.5 미만으로 세팅하였다. 지속 시간은 결합 또는 엠보싱부가 냉각 및 고화되는 동안 샘플이 앤빌 (80)과 초음파 돌기(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도 5는 브라슨 소닉 본더에 이용되는 일련의 작용 접촉 막대 (82)를 가진 플런지형의 초음파 앤빌 (80)의 작용 표면의 평면도이다. 막대 (82)는 길이가 약 19 mm(0.75 인치)이고 나비가 약 0.8 mm(0.031 인치)이다. 따라서, 각 막대 (82)는 결합 면적이 약 15.2 ㎟이다. 막대 (82)는 인접한 막대와 약 1.6 mm(0.062 인치)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나비가 2.54 cm(1 인치)인 샘플을 엠보싱할 때, 막대 (82)를 샘플의 횡방향을 가로질러 중심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샘플 재료의 엠보싱 패턴의 각 옆에 약 3.2 mm에는 엠보싱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각 엠보싱 형성 막대 (82)는 초음파 앤빌 (80)의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시험을 수행할 때, 앤빌 (80)의 횡방향이 각 샘플의 횡방향을 따라 덮는다. 따라서, 엠보싱된 샘플은 샘플 재료의 횡방향을 가로질러 뻗어 있는 선형 또는 막대형의 엠보싱을 지니게 된다. 막대 (82)는 나비가 19 mm(0.75 인치)이고 길이가 대략 178 mm(7 인치)인 막대 (82) 배열에 의해 형성된 면적의 33.6%를 차지한다. 따라서, 막대 (82)는 막대 배열의 경계선 내에 접한 샘플의 면적의 약 33.6%를 밀착시킨다. 엠보싱 패턴의 각 옆에 샘플 재료의 약 3.2 mm는 엠보싱되지 않는다.
<시험 방법>
미네소타주 에덴 프레리 소재의 엠티에스 시스템 코포레이션(MTS System Corporation)사 제품인 신테크(Sintech) 인장 시험기 모델 #M4011을 이용하여 인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재료의 인장력-신장길이 곡선, 즉 하중/신장길이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시험 방법은 ASTM 표준 시험 방법 D882(얇은 플라스틱 시트의 인장 특성을 위한 인장 시험 방법)의 변형한 것이다. ASTM 표준 시험 방법 D882를 하기와 같이 변형하였다.
1. 모든 샘플의 나비는 25.4 mm(1.0 인치)이다.
2. 시험 장치의 조(jaw)들 사이의 초기 분리 간격은 76.2 mm(3.0 인치)이다. 따라서, 시험될 샘플의 일부 길이가 76.2 mm이다.
3. 시험 장치의 조들 사이의 분리 속도는 시험될 모든 샘플에 대하여 50 mm/분이다.
4. 샘플이 시험 장치의 조에 죄어질 때, 조가 서로 멀어지는 움직임에 의해 어떠한 장력도 발생하기 전의 시험될 샘플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하중-신장길이 곡선 D를 나타내는 샘플을 제외한 모든 샘플에 대해서 약 10 g이었다. 하중-신장길이 곡선 D를 나타내는 샘플은 하중이 약 20 g이었다. 주로 시험 장치의 조를 죄임으로써 발생하는 이러한 움직이기 전의 최소하중은 시험 전반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5. 하중-신장길이 곡선 D를 나타내는 샘플을 제외한 모든 샘플이 약 60 mm 신장되었을 때 각 샘플에 대한 인장 시험을 종료하였다. 즉, 샘플이 원래 길이의 약 180% 길이로 신장되었다. 그러나, 하중-신장길이 곡선 D를 나타내는 샘플은 약 40 mm 신장되었을 때 종료하였다. 즉, 하중-신장길이 곡선 D를 나타내는 샘플은 원래 길이의 약 152% 길이로 신장되었다.
하기와 같이 시험을 수행하였다. 2.54 cm(1.0 인치) x 25.4 cm(10.0 인치) 샘플 재료 스트립 또는 스트립들을 인장 시험기에 위치시켰다. 재료 스트립 중 7.62 cm(3 인치)가 시험되도록 재료 스트립의 말단에 조를 죄었다. 7.62 cm(3 인치) 길이를 따라 연신시켜 인가된 힘(g)에 의해 생성된 신장길이(mm)의 함수로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도 6은 엠보싱되지 않은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 및 유사하지만 엠보싱된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패널들은 상기 기재된 특성을 지닌 메탈로센(등록상표) 층을 각각 포함하는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포함하였다. 엠보싱된 패널은 패널이 연신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동안 엠보싱되었다. 엠보싱하는 동안 또는 시험하는 동안, 다른 층 또는 재료와 엠보싱된 패널을 합하지 않았다.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엠보싱된 패널은 유사한 재료로 제조된 엠보싱되지 않은 패널의 하중-신장길이 곡선 A에 비해 증가된 내연신성을 나타내는 하중-신장길이 곡선 B를 가진다. 따라서, 엠보싱은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을 신장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킨다. 시험된 패널의 신장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내연신성이 증가되는 것이 보다 구체화된다.
따라서, 엠보싱부 (34)는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에 비해 엠보싱된 대역의 내연신성을 증가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이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흡수성 구조물 (52)(도 1)가 보다 통상적인 흡수성 배치물로 교체되었다. 즉, 신체측 라이너 (68)이 일반적으로 외측 커버 및 신체측 라이너의 외측 연부에서 이들 사이에 흡수 코어 (70)이 배치되도록 외측 커버 (24)와 대향 관계로 고정된다. 도 7에 도시된 부재들은 도 1에 도시된 상응하는 부재들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부재들은 상기 기재된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에 대표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신체측 라이너 (68)과 외측 커버 (24)는 같이 연신되고, 길이 및 나비의 크기가 흡수 코어 (70)의 크기보다 크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신체측 라이너 (68)이 외측 커버 (24)의 전체 표면과 결합되고, 일반적으로 이 위에 포개져, 외측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의 복합재가 개인 위생용품 (12)의 외측 둘레를 함께 이룬다. 흡수 코어 (70)은 임의로 개인 위생용품 (12)의 외측 둘레 내부에서 외측 커버 (24)와 신체측 라이너 (68) 사이에 배치된다.
이미 기재된 실시태양과 같이, 외측 커버 (24)가 적어도 전면부 (14)에서 적어도 횡방향 "C"로 탄력적 신장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실시태양과는 달리, 도 8에서 신체측 라이너 (68)이 외측 커버 (24)와 대향 관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적어도 전면부 (14)에서 적어도 횡방향 "C"로 탄력적 신장가능하다. 이러한 신체측 라이너 (68)의 신장성은 흡수 코어 (70)을 함유한 이들의 일부분을 비롯하여 전면부 (14)를 적어도 횡방향 "C"로 신장시키고 연신시키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신체측 라이너 (68)의 신장성은 신체측 라이너에 사용된 재료의 신장성의 기능일 수 있고, 또는 신체측 라이너의 크기, 형태 및(또는) 물리적 구조의 기능일 수도 있다.
패스너 장치 (30, 32)는 외측 커버 (24)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 (68)에 일체된 일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패스너 장치 (30, 32)의 도입으로 개인 위생용품 (12) 제조에 필요한 부재의 수가 감소된다.
도 7 내지 9의 실시태양에서, 신체측 라이너 (68)은 예를 들어, 웹으로 형성된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포일 수 있다. 이 포는 횡방향 및 종방향 중 한 방향 이상으로 신장가능하도록 주름 잡히거나 넥킹될 수 있다. 또한, 신체측 라이너 (68)은 일반적으로 개인 위생용품 (12)의 전체 신체 대향면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일반적인 전체 표면 접촉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신축성 및 나비를 가진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SBL)와 같은 연신가능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연신가능한 층은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 공중합체 또는 다른 엘라스토머 중합체와 같은 연신가능한 재료의 연신가능한 필름, 또는 덜 연신가능한 층 또는 웹에 연신된 상태로 고정된 라텍스 또는 라이크라(등록상표)와 같은 연신가능한 재료의 다수개의 스트랜드일 수 있다. 또한, 별법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진 다른 재료를 신체측 라이너 (68)에 일체시키거나 부착시켜 연신 특성을 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재료가 착용자 피부에 대한 신체측 라이너 (68)의 부드러운 감촉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도 7 내지 9의 실시태양에서, 외측 커버 (24)는 통상적으로 신체측 라이너 (68)이 엠보싱되기 전에는 연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9의 단면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엠보싱부 (34)는 밀착 영역 (78, 84)을 포함한다. 외측 커버 (24)의 밀착 영역 (78)은 도 3 및 4에 도시된 실시태양에 관해 상기 기재된 밀착 영역과 직접적으로 상응한다. 그러나, 밀착 영역 (84)는 신체측 라이너 (68)이 엠보싱되고 외측 커버 (24)에 고정된 영역을 포함한다. 밀착 영역 (84)에서, 신체측 라이너 (68)의 섬유상 재료를 열, 압력 등에 의해 밀착시켜, 재료를 밀착시키고 외측 커버 (24)에 신체측 라이너 (68)을 고정시킨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외측 커버 (24)의 스펀본드 층과 신체측 라이너 (68)을 대향 관계로 밀착 및 결합시켜 신체측 라이너 (68)을 외측 커버 (24)에 결합시킨다. 외측 커버 (24)의 스펀본디드 층과 신체측 라이너 (68)은 개별적으로 밀착된 층 부재로 합쳐져서, 선택된 엠보싱부 위치 (34)에서 외측 커버 (24)를 신체측 라이너 (68)에 결합시킨다.
일반적으로 엠보싱부 (34)는 열 및(또는) 압력에 의해 형성되지만, 감압성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도 외측 커버 (24)를 신체측 라이너 (68)에 결합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태양에서는, 밀착 영역 (78, 84)로 형성된 톱니모양이 필요없고, 이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엠보싱부 (34)는 외측 커버 (24)와 신체측 라이너 (68)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태양에서는, 밀착 영역 (78, 84)가 외측 커버 (24) 및 신체측 라이너 (68)에 의해 제조된 기부의 양측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 (48)은 체결 패널 (26, 28), 패스너 장치 (30, 32) 및 엠보싱된 대역 (40, 42, 44, 46)을 제외한 실질적으로 개인 위생용품 (12) 전체를 이룬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도 1의 실시태양은 도 7의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 (48)과 형태와 크기가 유사한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사용 중에는, 도 7의 개인 위생용품 (12)의 전면부 (14)의 엠보싱된 대역 (40)의 내연신성이 엠보싱된 대역 (40)에서 안쪽으로 배치된 대역 (48)의 내연신성에 비해 크다. 외측 커버 (24)가 신체측 라이너 (68)에 고정된 경우 외측 커버 (24)에서 엠보싱부 (34)가 연신을 제한하기 때문에, 내연신성이 더 커진다. 대역 (40)에서, 외측 커버 (24)가 횡방향 "C"로 탄력적 연신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대역 (48)이 대역 (40)에 비해 보다 큰 연신성을 가지고 보다 작은 내연신성을 가진다. 이를 통해, 대역 (40)이 착용자의 허리에서 개인 위생용품 (12)를 꼭 맞게하고 유지시겨 주는 허리밴드부로 작용하게 된다.
후면부 (18)의 엠보싱된 대역 (42)는 전면부 (14)의 엠보싱된 대역 (40)과 동일한 방식의 기능을 가진다. 외측 커버 (24)가 적어도 엠보싱된 대역 (40, 42)에서 적어도 횡방향 "C"로 탄력적 연신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대역 (40, 42)는 함께 착용자의 신체에 개인 위생용품 (12)를 고정시키는 전면 및 후면 허리밴드부로 작용한다.
가랑이부 (22)의 엠보싱된 대역 (44, 46)은 개인 위생용품 (12)의 다리 개구부에서 각 양측 연부 (36, 38)을 따라 안쪽으로 인접하여 뻗어 있다. 적어도 가랑이부 (22)에서는, 외측 커버 (24) 및 신체측 라이너 (68)이 둘다 적어도 종방향 "L"로 탄력적 연신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싱된 대역 (44, 46)은 이미 기재된 것과 같이 엠보싱된 대역들 (44, 46) 사이에 배치된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 (48)의 상응하는 일부분에 비해 엠보싱된 대역에 더 큰 내연신성을 제공하는 엠보싱부 (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엠보싱된 대역들 (44, 46) 사이에 배치된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 (44)의 일부분이 대역 (44, 46)에 비해 적어도 종방향 "L"로 더 큰 연신성을 가진다. 따라서, 엠보싱된 대역 (44, 46)은 착용자의 다리에 봉합성을 제공하는 다리부 신축성 부재로 작용하여, 개인 위생용품 (12)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을 막아 준다. 대역 (44, 46)이 엠보싱되지 않았다면, 아마도 아주 조금 봉합효과가 떨어질 것이고, 착용자의 다리에 인접한 가랑이부 (22)에서 샐 가능성이 높다.
<시험 결과>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 (48)에 비해 엠보싱된 대역 (44, 46)의 내연신성이 보다 큰 것은 도 10의 그래프에 설명되어 있다. 도 10의 그래프는 이미 기재된 시험 재료와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 실시태양에서는 각 마주접한 면이 약 20 g/㎡의 기본 중량으로 넥킹된 2 층의 마주접한 넥킹된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부직 웹을 가진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로 상기 기재된 탄력적 연신가능한 웹, 및 기본 중량이 35 g/㎡인 엘라스토머 필름 코어가 연신되지 않은 상태로 엠보싱 플레이트에 배치되었다. 다음, 기본 중량이 4 g/㎡인 넥킹된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부직 웹으로 상기 기재된 신장가능한 재료를 탄력적 연신가능한 웹 상에 배치하였다. 탄력적 연신가능한 웹과 신장가능한 재료의 복합재를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이 도 5에 도시된 막대 (82)를 가진 플런지형의 초음파 앤빌 (80)으로 엠보싱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연신된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을 신장가능한 패널에 엠보싱함으로써 하중-신장길이 곡선 C로 도시된 결합된 두 패널로 제조된 복합 패널의 내연신성이 하중-신장길이 곡선 A를 나타내는 상기 기재된 엠보싱되지 않은 패널에 비해 크다.
도 11의 그래프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복합 패널의 내연신성은 심지어 도 6에 부재 B로 정의된 엠보싱된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보다 크다.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중-신장길이 곡선 C는 상기 기재된 하중-신장길이 곡선 B에 비해 복합 재료를 신장시키는데 더 큰 힘이 필요로 한다. 각 패널이 신장될 수록 내연신성(신장시키기 위한 힘)의 차이가 커진다. 따라서, 비연신된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을 신장가능한 패널에 엠보싱함으로써 내연신성이 증가된 대역 (44, 46)을 형성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의 대역 (40)의 구역이다. 이 실시태양에서, 엠보싱된 대역 (40)은 환형 또는 핀형을 가진 다수개의 엠보싱부 (34)를 포함한다. 엠보싱부 (34)는 다수 열의 엠보싱 배열을 포함한다. 이 배열에서 각 엠보싱부 (34)는 인접한 엠보싱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도 12에서 엠보싱된 대역 (40)은 도 7에 기재된 엠보싱된 대역 (40)과 유사한 방식의 기능을 가진다.
도 7 및 12가 각각 일련의 이격된 선, 및 줄지어 있는 점을 포함한 배열로서 엠보싱부 (34)를 설명하지만, 다른 패턴 또는 배열의 엠보싱부가 본 발명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엠보싱부는 이격된 점 패턴, 교차선 패턴, 직선 또는 곡선 패턴, 연속 또는 불연속 패턴, 실질적으로 각 엠보싱된 대역 전체를 가로지르거나 임의의 일부 또는 일부들을 가로지르는 2차원으로 뻗어 있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엠보싱부 (34)는 엠보싱된 대역 (40, 42, 44, 46)의 전체 표면적의 약 5% 내지 약 80%를 차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엠보싱부 (34)가 엠보싱된 대역 전체 표면적의 약 15% 내지 약 60%를 차지할 수 있다. 엠보싱된 대역 (40, 42, 44, 46)은 외측 커버 (24)의 내연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엠보싱부를 함유한 대역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엠보싱된 대역 (40, 42, 44, 46)은 이들의 엠보싱되지 않은 부위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엠보싱부 (34)에 인접한 외측 커버 (24)의 부위 또는 근접하여 이격된 엠보싱부들 사이에 위치한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시험 샘플을 사용한 실시태양에서는, 엠보싱된 대역의 약 33.6%가 이 내부에서 물리적으로 엠보싱되어 단일 층의 연신가능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다른 재료 층에 물리적으로 엠보싱한다.
엠보싱된 대역 (40, 42, 44, 46)은 외측 커버 (24) 상의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단지 하나의 엠보싱된 대역 (40)만이 외측 커버 (24)에 존재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된 여러 다양한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엠보싱된 대역이 개인 위생용품 (12)의 주변 둘레를 따라 뻗어 있을 수 있다. 특히 도 6의 실시태양을 참고로, 개인 위생용품 (12)의 흡수 코어 (70)을 보유하고 제품의 주변 둘레에서 예를 들어, 연부 (16, 20, 36, 38)에서 신체측 라이너와 외측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신체측 라이너 (68)과 외측 커버 (24)가 흡수 코어 (70)의 바깥 지점에서 서로 고정되어야 한다.
외측 커버 (24) 전체 크기에 대한 엠보싱된 대역 (40, 42, 44, 46)의 크기는 엠보싱된 대역에서 개인 위생용품의 내연신 정도를 조절하여, 개인 위생용품 (12)의 전체 내연신성을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엠보싱된 대역 (40, 42, 44, 46)은 외측 커버 (24) 또는 상응하는 패널 전체 면적의 약 2%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을 차지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태양을 나타낸다. 이 실시태양은 전반적으로 도 7의 실시태양과 상응한다. 그러나, 이 실시태양에서는 외측 커버 (24)가 신체측 라이너 (68)에 고정되기 전에 미리 연신된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재된 엠보싱을 통해 외측 커버 (24)를 신체측 라이너 (68)에 고정시키기 전에 외측 커버 (24)를 미리 연신시킴으로써 신체측 라이너 (68)이 다소 구겨지거나 주름잡히게 된다. 또한, 엠보싱에 의해 탄력성이 감소되기 때문에, 엠보싱한 후 및 연신력을 제거한 후에 외측 커버 (24)가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 오지 않는다.
상기 기재된 실시태양들과 같이, 이 실시태양에서는 엠보싱을 통해 외측 커버 (24)의 내연신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이, 외측 커버 (24) 및 신체측 라이너 (68)을 포함하는 기부는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 (48)에 비해 엠보싱된 대역 (40, 42, 44, 46)에서 더 큰 내연신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 13의 실시태양은 도 7의 실시태양과 유사한 방식의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사용 중 도 13 및 14의 실시태양은 2 단계 하중 효과를 가진다. 이 2 단계 하중 효과는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동안 기부가 외측 커버 (24)가 신체측 라이너 (68)에 고정된 상태에 있을 때 이 외측 커버 (24)의 미리 연신된 원래 길이 이상으로 신장될 때 나타난다. 개인 위생용품 (12)를 미리 연신된 원래 길이 이상으로 연신된 길이에서 더 신장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개인 위생용품을 미리 연신된 길이까지 연신시키는데 필요한 힘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미리 연신된 외측 커버 (24) 원래 길이 이상에서의 하중-신장길이 곡선의 내연신성이 미리 연신된 길이에 이르기 전의 하중-신장길이 곡선의 내연신성보다 훨씬 크다. 즉, 하중/신장길이 비가 증가한 것이다. 따라서, 외측 커버 (24)를 미리 연신된 원래 길이 이상으로 신장시킬 때는 내연신성이 상당히 증가한다. 이에 구애되지는 않지만, 출원인들은 엠보싱된 대역에서 내연신성이 주로 증가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2 단계 효과는 상기 기재된 탄력적 연신가능한 층을 포함한 기부, 및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이 비신장성 패널에 엠보싱하기 전에 외측 커버 층을 원래 길이의 50%로 미리 연신시킨 시험 스트립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 15의 그래프에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을 신장가능한 패널에 엠보싱하여 복합 패널을 제조하였다. 복합 패널의 7.62 cm(3 인치)를 인장 시험에 이용하였기 때문에, 미리 연신되어 비신장성 패널에 고정될 때,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의 구역 총 길이가 약 11.4 cm였다. 따라서, 예상한 바와 같이 도 15는 하중-신장길이 곡선 D가 약 11 내지 약 12 cm 신장되었을 때 내연신성이 변화된 것을 나타낸다. 하중-신장길이 곡선의 이 영역에서, 하중-신장길이 곡선 D의 기울기가 상당히 증가하여 약 40 mm 신장시켰을 때는 약 1600 g의 힘을 나타내며 멈추었다.
따라서, 2 단계 곡선 D는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을 미리 연신시켜 비신장성 패널에 고정시킴으로써 형성한다. 하중-신장길이 곡선의 기울기가 변하는 영역은 비신장성 패널에 고정시킬 때 탄력적 신장가능한 패널을 미리 연신시키는 정도에 의해 조절된다.
도 15는 원래 길이의 약 50%로 미리 연신한 다음 고정시키지는 않은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과 복합 패널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예상한 바와 같이, 미리 연신시키기만 한 패널의 하중-신장길이 곡선 E가 미리 연신되고 고정된/엠보싱된 복합 패널에 비해 내연신성이 훨씬 작다. 곡선 D의 내연신성이 더 큰 이유는 미리 연신된 층을 비신장성 패널에 고정시켰기 때문이다. 미리 연신된 원래 길이 이상의 길이로 복합 패널을 더 신장시키는 것에 대해 비신장성 패널이 상당히 저항할 것이다. 따라서,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에 비해 복합 패널이 더 큰 내연신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이 미리 연신되었을 때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의 선택된 대역을 비신장성 패널에 엠보싱함으로써, 엠보싱되지 않은 대역에 비해 엠보싱된 대역에 더 큰 내연신성을 제공하며,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의 실질적으로 미리 연신된 길이에서 시작되는 제2 단계가 제1 단계에 비해 상당히 증가됨을 보이는 2 단계 하중-신장길이 곡선을 제공한다.
탄력적 연신가능한 패널이 미리 연신되는 길이는 2 단계 곡선이 훨씬 큰 내연신성을 가지는 점(신장 길이)을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2 패널이 미리 연신되는 실시태양에서는, 일반적으로 제2 패널이 제1 패널에 고정될 때, 제2 패널 원래 길이의 약 5% 이상 약 350% 이하, 바람직하게는 원래 길이의 약 10% 이상 약 20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원래 길이의 약 15% 이상 약 100% 이하로 신장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태양에 관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을 특정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대해서 상기 기재되어 있지만, 다양하게 재구성되고, 변형되고, 변경될 수 있다는 것과, 이러한 재구성, 변형 및 변경이 첨부된 청구항의 영역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어느 정도는 하기 청구항이 기능을 갖는 수단의 표현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실시태양으로 제시된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것과 구조적으로 동등하지 않은 것을 청구항 또는 본 명세서에 포함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Claims (64)

  1. 탄력적 연신가능한 외측 커버가 적어도 전면부의 제1 대역에 상기 외측 커버의 연신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엠보싱 패턴을 가지고, 적어도 제1 특성을 제공하게끔 개질시키지 않은 제2 대역을 가져, 제1 대역의 상기 엠보싱부로 인해 제1 대역이 제2 대역과 다른 내연신성을 가지는 한 방향 이상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한 외측 커버를 포함하는, 측면 횡방향 및 종방향, 전면부 및 후면부, 및 전면부와 후면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가랑이부를 가진 개인 위생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가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전면부에서 적어도 횡방향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하고, 상기 외측 커버가 전면부에 제1 허리밴드부 및 후면부에 제2 허리밴드부를 가지고, 제1 대역이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전면부의 제1 허리밴드부를 이루고, 제1 허리밴드부가 제2 대역보다 큰 내연신성을 가지고, 제1 허리밴드부가 허리밴드부의 연신 정도에 적합한 목적하는 제1 연신 특성을 제공하는 개인 위생용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대역이 제1 허리밴드부로부터 가랑이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사이를 두고 상기 외측 커버의 전체적으로 엠보싱부가 없는 소정의 부위를 이루는 개인 위생용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허리밴드부에 추가의 허리부 신축성 부재가 없는 개인 위생용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가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후면부에서 적어도 횡방향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하고, 제2 허리밴드부가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후면부에 제3 대역을 포함하고, 제2 허리밴드부가 제2 대역보다 큰 내연신성을 가지는 개인 위생용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가 제4 대역 및 제5 대역을 포함하고, 제4 및 제5 대역이 제2 대역에 비해 큰 내연신성을 가지도록 제4 및 제5 대역의 일부분을 효과적으로 엠보싱 처리한 개인 위생용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위생용품이 가랑이부의 양측에 제1 및 제2 외측 연부를 가지고, 제4 대역이 개인 위생용품의 적어도 가랑이부에서 제1 외측 연부에 인접하고, 제5 대역이 개인 위생용품의 적어도 가랑이부에서 제2 외측 연부에 인접한 개인 위생용품.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제4 및 제5 대역이 종방향으로 가랑이부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개인 위생용품.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4 내지 제5 대역이 다리부 신축성 부재의 특성을 제공하는 개인 위생용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가 가랑이부에서 적어도 종방향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하고, 상기 개인 위생용품이 가랑이부의 양측에 제1 및 제2 외측 연부를 가지고, 제1 대역이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적어도 가랑이부의 상기 제1 외측 연부에 인접한 개인 위생용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적어도 가랑이부에서 상기 제2 외측 연부에 인접한 상기 외측 커버의 제3 대역은 엠보싱 처리되어, 제3 대역이 제2 대역보다 큰 내연신성을 가지는 개인 위생용품.
  12. 제11항에 있어서, 각 제1 대역 및 제3 대역이 종방향으로 가랑이부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것인 개인 위생용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전면부에 전면 연부가 있고 후면부에 후면 연부가 있으며, 상기 외측 커버의 상기 전면 연부 및 상기 후면 연부에 실질적으로 접힘이 없는 개인 위생용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성인 상기 개인 위생용품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상기 외측 커버에 포개어 사용가능하게 연결된 흡수성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구조물이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인 배면시트, 상기 배면시트 상에 포개진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 및 상기 신체측 라이너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품.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위생용품이 상기 흡수성 구조물을 상기 외측 커버에 고정시키며 상기 외측 커버의 탄력적인 횡방향 연신을 허용하는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신장가능한 부착 부재에 상기 흡수성 구조물을 상기 외측 커버에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안쪽으로 접힌 주름이 있는 개인 위생용품.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의 제1 대역이 불연속적으로 엠보싱 처리된 개인 위생용품.
  19. 개인 위생용품이
    (a) 제1 패널, 및
    (b) 한 방향 이상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한 제2 패널
    을 포함하며, 함께 기부를 이루는 상기 탄력적 연신가능한 제2 패널과 상기 제1 패널이 대향 관계에 있고, 적어도 상기 제2 패널의 제1 대역의 제1 부분에는 제2 패널의 연신성에 알맞은 목적하는 제1 특성을 이루고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고정시켜 상기 제2 패널의 연신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엠보싱 패턴이 있고, 상기 제2 패널의 상기 제2 대역에는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고정시키는 엠보싱부가 없거나 또는 제1 특성을 나타내지 않아, 제1 대역의 엠보싱부로 인해 제1 대역이 제2 대역과 다른 연신 특성을 가지는, 측면 횡방향 및 종방향, 전면부 및 후면부, 및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서로 연결된 가랑이부를 가진 개인 위생용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을 연신시키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1 패널에 고정시킨 개인 위생용품.
  21. 제19항에 있어서, 제1 대역이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가랑이부의 적어도 일부분를 이루고, 가랑이부의 제1 대역이 제2 대역에서 비해 큰 내연신성을 가지는 개인 위생용품.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가랑이부에 추가의 다리부 신축성 부재가 없는 개인 위생용품.
  23.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패널의 제3 대역의 제1 부분에는 상기 제2 패널을 상기 제1 패널에 고정시키는 엠보싱 패턴이 있는 개인 위생용품.
  24. 제23항에 있어서, 가랑이부의 제1 및 제2 양측 다리 개구부에는 제1 및 제2 양측 연부가 있고, 적어도 가랑이부의 제1 및 제2 양측 연부에 인접하여 제1 대역 및 제3 대역이 위치한 개인 위생용품.
  25. 제11항, 제12항, 제23항 또는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대역이 제1 대역과 제3 대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대역 및 제3 대역이 제2 대역에 비해 큰 내연신성을 가지는 개인 위생용품.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대역이 엠보싱 배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격된 엠보싱 패턴을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품.
  27. 제26항에 있어서, 배열이 2 줄 이상의 이격된 점을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품.
  28. 제26항에 있어서, 배열이 엠보싱된 다수개의 이격된 선을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품.
  29. 제19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이 신장가능한 신체측 라이너를 이루는 개인 위생용품.
  30. 제19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이 외측 커버를 이루는 개인 위생용품.
  31. 제19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이 실질적으로 비신장성인 신체측 라이너를 이루는 개인 위생용품.
  32. 제1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적 연신가능한 제2 패널이 외측 커버를 이루는 개인 위생용품.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를 한 방향 이상으로 미리 연신하여 상기 신체측 라이너에 고정시킨 개인 위생용품.
  34. 제1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이 외측 커버를 이루고, 상기 외측 커버가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전면부에서 적어도 횡방향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하고, 상기 외측 커버가 전면부에 제1 허리밴드부 및 후면부에 제2 허리밴드부를 가지고, 제1 대역이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전면부의 제1 허리밴드부를 이루고, 상기 제1 허리밴드부가 제2 대역에 비해 큰 내연신성을 가지고, 상기 제1 허리밴드부가 상기 허리밴드부의 연신 정도에 알맞은 목적하는 제1 특성을 제공하는 개인 위생용품.
  35. 제34항에 있어서, 제2 대역이 상기 제1 허리밴드부로부터 가랑이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사이를 두고 상기 외측 커버의 소정의 부위를 이루는 개인 위생용품.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리밴드부에 추가의 허리부 신축성 부재가 없는 개인 위생용품.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가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후면부에서 적어도 횡방향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하고, 상기 제2 허리밴드부가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후면부에서 제3 대역을 이루고, 상기 허리밴드부의 제3 대역이 제2 대역에 비해 큰 내연신성을 가지는 개인 위생용품.
  38. 제19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이 외측 커버를 이루고, 상기 외측 커버가 상기 신체측 라이너에 고정되기 전에 미리 결정된 신장 정도로 상기 외측 커버를 미리 연신시키고, 상기 기부가 미리 신장된 정도까지 연신될 때는 제1 특성의 하중/신장길이 곡선 관계를 가지고, 미리 결정된 정도 이상으로 연신될 때는 제2 특성의 하중/신장길이 관계를 가지는 개인 위생용품.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대역의 엠보싱 패턴에 의해 제1 대역에서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내연신성이 조절되는 개인 위생용품.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대역이 상기 제2 대역 전체 면적의 약 2% 내지 약 50%, 또는 약 5% 내지 약 40%, 또는 약 10% 내지 약 30%를 차지하는 개인 위생용품.
  41. 제1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의 제1 대역 표면적의 약 5% 내지 80%를 상기 제1 패널에 엠보싱 처리한 개인 위생용품.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가 실질적으로 제1 대역 전체에 걸쳐 2차원적으로 퍼져 있는 이격된 점의 패턴으로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결합시키는 개인 위생용품.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이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초음파 결합 또는 접착제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품.
  44. 제19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을 약 5% 내지 약 350%, 또는 약 10 내지 약 200%, 또는 약 15% 내지 약 100%로 신장하여 상기 제1 패널에 고정시킨 개인 위생용품.
  45. 기부가 제1 패널 및 탄력적 연신가능한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제2 패널의 제1 대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1 패널의 대응하는 각 부분에 효과적으로 엠보싱 처리하여 제1 패널을 대향 관계로 제2 패널에 고정시켜, 고정된 제1 대역에 기부의 실질적으로 엠보싱되지 않은 제2 대역에 비해 감소된 연신성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품의 기부의 각각 다른 제1 및 제2 대역에 다른 제1 및 제2 연신 특성을 제공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제2 패널을 연신시키지 않은 채 제1 패널에 고정한 것인 방법.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제1 대역이 제2 대역에 비해 큰 내연신성을 가지는 것인 방법.
  48. 제4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대역과 다른 내연신성을 가지는 제3 대역에서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엠보싱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제3 대역이 제2 대역보다 큰 내연신성을 가지는 것인 방법.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제2 대역이 제1 대역과 제3 대역 사이에 배치된 것인 방법.
  51. 제47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대역이 2 줄 이상의 이격된 점을 포함하는 배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격된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제1 대역의 배열이 엠보싱된 다수개의 이격된 선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3. 제47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패널이 신장가능한 신체측 라이너를 이루는 것인 방법.
  54. 제47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패널이 탄력적 연신가능한 외측 커버를 이루는 것인 방법.
  55. 제47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패널이 실질적으로 비신장성인 신체측 라이너를 이루는 것인 방법.
  56. 제47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패널이 외측 커버를 이루는 것인 방법.
  57. 제47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패널을 미리 연신시키고, 미리 연신된 상태에서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8. 제47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패널을 약 5% 내지 약 350%로 미리 연신시킨 후, 제1 대역의 일부분에서 제2 패널을 제1 패널에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9. 개인 위생용품이
    (a) 제1 패널, 및
    (b) 한 방향 이상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한 제2 패널
    을 포함하며, 상기 탄력적 연신가능한 제2 패널을 미리 결정된 정도로 미리 연신시켜, 이 상태에서 함께 기부를 이루는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대향 관계로 고정시키고, 상기 기부가 미리 신장된 정도까지 연신될 때는 증가된 제1 내연신성을 나타내는 제1 특성의 하중/신장길이 관계를 가지고, 미리 결정된 정도 이상으로 연신될 때는 상당히 증가된 제2 내연신성을 나타내는 제2 특성의 하중/신장길이 관계를 가지는, 측면 횡방향 및 종방향, 전면부 및 후면부, 및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서로 연결된 가랑이부를 가진 개인 위생용품.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과 상기 제1 패널 사이의 고정부가 상기 제2 패널의 제1 대역의 연신성에 알맞은 목적하는 제1 특성을 제공하는 엠보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개인 위생용품은 제2 패널이 상기 제2 패널을 상기 제1 패널에 고정시키는 엠보싱부가 없거나 또는 제1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 제2 대역을 포함하여, 제1 대역의 상기 엠보싱부로 인해 제1 대역이 제2 대역과 다른 내연신성을 가지는 개인 위생용품.
  61.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이 신체측 라이너를 이루고 상기 제2 패널이 외측 커버를 이루고, 상기 외측 커버가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전면부에서 적어도 횡방향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하고, 상기 외측 커버가 전면부에 제1 허리밴드부 및 후면부에 제2 허리밴드부를 가지고, 제1 대역이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전면부에 제1 허리밴드부를 이루고, 제1 허리밴드부가 제2 대역에 비해 큰 내연신성을 가지고, 제1 허리밴드부가 허리밴드부의 연신성에 알맞은 목적하는 제1 연신 특성을 제공하는 개인 위생용품.
  62. 제61항에 있어서, 제2 대역이 제1 허리밴드부로부터 가랑이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사이를 두고 상기 외측 커버의 소정의 부위를 이루는 개인 위생용품.
  63. 제61항 또는 제62항에 있어서, 제1 허리밴드부에 추가의 허리부 신축성 부재가 없는 개인 위생용품.
  64. 제6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가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후면부에서 적어도 횡방향으로 탄력적 연신가능하고, 제2 허리밴드부가 상기 개인 위생용품의 후면부에 제3 대역을 포함하고, 제2 허리밴드부의 제3 대역이 제2 대역에 비해 큰 내연신성을 가지는 개인 위생용품.
KR1020007007287A 1997-12-31 1998-12-18 내연신성이 다른 대역들을 가진 개인 위생용품 KR100592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01,895 1997-12-31
US09/001,895 US6193701B1 (en) 1997-12-31 1997-12-31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zones with different resistance-to stretch
PCT/US1998/027009 WO1999033427A1 (en) 1997-12-31 1998-12-18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zones with different resistance-to-stre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762A true KR20010033762A (ko) 2001-04-25
KR100592460B1 KR100592460B1 (ko) 2006-06-22

Family

ID=2169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287A KR100592460B1 (ko) 1997-12-31 1998-12-18 내연신성이 다른 대역들을 가진 개인 위생용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193701B1 (ko)
EP (1) EP1043964B2 (ko)
JP (1) JP4326693B2 (ko)
KR (1) KR100592460B1 (ko)
CN (1) CN1285725A (ko)
AR (1) AR017962A1 (ko)
AU (1) AU749898B2 (ko)
BR (1) BR9814576A (ko)
CO (1) CO5090832A1 (ko)
DE (1) DE69826718T3 (ko)
RU (1) RU2218137C2 (ko)
WO (1) WO19990334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113A (ko) * 2002-08-16 2004-02-21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피부 부착용 늘어나는 부직포 밀착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2634C2 (sv) * 1996-12-23 2000-04-17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astsättningsmedel
US20010018979A1 (en) * 1997-12-10 2001-09-06 Lucent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unitary electrically shielded panel
US6702801B2 (en) * 1998-05-07 2004-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with an extensible backsheet
SE517838C2 (sv) * 1998-09-04 2002-07-2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laterala partier
JP3515918B2 (ja) * 1998-12-25 2004-04-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675676B2 (ja) * 1999-06-28 2005-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682514B1 (en) 1999-06-30 2004-0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fficient zoned elastic laminate
US6428522B1 (en) * 1999-08-31 2002-08-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conforming bladder having peristaltic elements
US6610038B1 (en) * 1999-08-31 2003-08-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conforming bladder insert for an absorbent article with a body-fitting mechanism
JP3933839B2 (ja) * 2000-03-07 2007-06-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552245B1 (en) * 2000-05-03 2003-04-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xtensible outer cover and an extensible bodyside liner
JP2002000653A (ja) * 2000-06-19 2002-01-0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US7217260B2 (en) 2001-01-31 2007-05-15 The Procter & Gamble Co. Absorbent article with tension-dividing side panels
EP1448134B1 (en) * 2001-11-05 2005-06-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the composite
JP4050232B2 (ja) * 2001-11-05 2008-02-2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可変伸縮性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US6682512B2 (en) 2001-12-18 2004-0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inuous biaxially stretchable absorbent with low tension
US8715257B2 (en) 2001-12-28 2014-05-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atio of absorbent area to outer peripheral area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20030125696A1 (en) * 2001-12-31 2003-07-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ll direction stretchable multilayer diaper
US20040044323A1 (en) * 2002-08-30 2004-03-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components having non-uniform elastic tension
US7220335B2 (en) * 2002-10-01 2007-05-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ee-piece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stretchable crotch member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7837665B2 (en) * 2002-10-01 2010-11-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ee-piece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folded crotch member
US20040181200A1 (en) * 2002-11-05 2004-09-16 Desai Fred Naval Variable stretch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the composite
CN1322847C (zh) * 2002-11-06 2007-06-27 花王株式会社 吸收性制品
US7404813B2 (en) * 2002-12-11 2008-07-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ndergarment having crotch member with unattached end portion
US20040127880A1 (en) * 2002-12-30 2004-07-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uspended absorbent pad structure
KR100495309B1 (ko) * 2003-02-21 2005-06-16 애드윈코리아 주식회사 멀티 레이어 물티슈 및 그 제조장치와 방법
US20040210205A1 (en) * 2003-04-15 2004-10-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pant-like undergarment
US20040222553A1 (en) * 2003-05-05 2004-1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 stretch composite
US7604624B2 (en) 2003-05-30 2009-10-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overlapping absorbent assembly secured to front and back panels
US7160281B2 (en) * 2003-10-21 2007-01-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structure secured to a stretchable component of the article
US20050136771A1 (en) * 2003-12-22 2005-06-23 Hendon Nathan P. Elastic laminate with directional bond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329794B2 (en) * 2003-12-31 2008-02-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with elastic inner layer having multiple fasteners
US7344523B2 (en) * 2003-12-31 2008-03-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al-layered disposable garment having tailored stretch characteristics
US8167861B2 (en) * 2003-12-31 2012-05-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 with stretchable absorbent assembly
US20050148975A1 (en) * 2003-12-31 200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 having an elastic inner layer with a narrow width in the crotch region
US7658732B2 (en) * 2003-12-31 2010-02-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al-layered disposable garment
US20050215972A1 (en) 2004-03-29 2005-09-29 Roe Donald 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zones comprising elastomeric components
US8568382B2 (en) 2004-03-29 2013-10-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co-elongation
US8182456B2 (en) * 2004-03-29 2012-05-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components having both plastic and elastic properties
US7658811B2 (en) * 2004-03-29 2010-02-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tterpress application of elastomeric compositions
US7820875B2 (en) 2004-03-29 2010-10-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being adaptable to wearer's anatomy
US8246594B2 (en) 2004-04-30 2012-08-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structure configured for improved donning and lateral stretch distribution
US7993319B2 (en) * 2004-04-30 2011-08-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structure configured for improved donning of the article
US8562581B2 (en) * 2004-05-07 2013-10-22 First Quality Products, Inc. Skin friendly diaper
US7905872B2 (en) * 2004-06-04 2011-03-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slow recovery stretch laminate
US7717893B2 (en) * 2004-06-04 2010-05-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slow recovery elastomer
DE102004032377A1 (de) * 2004-06-29 2006-01-26 Paul Hartmann Ag Wegwerfbarer absorbierender Hygieneartikel in Pantform
US8066685B2 (en) * 2004-06-30 2011-1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lateral and longitudinal stretch properties
US8377023B2 (en) 2004-06-30 2013-0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s with tailored stretch properties in the lateral direction
CA2578730C (en) 2004-09-29 2013-01-08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for production of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20060135923A1 (en) * 2004-12-20 2006-06-22 Boggs Lavada C Nonwoven fabrics for use in personal care products
US7854022B2 (en) * 2005-01-10 2010-12-21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Garments having seamless edge band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US8419701B2 (en) * 2005-01-10 2013-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stretch zones comprising slow recovery elastic materials
MX2007008590A (es) 2005-01-26 2007-08-14 Procter & Gamble Panal desechable tipo calzon que tiene una cintura elastica de recuperacion lenta con fuerza baja.
DE102005030182A1 (de) * 2005-06-29 2007-01-04 Paul Hartmann Ag Wegwerfbarer absorbierender Hygieneartikel in Pantform
US7785309B2 (en) * 2005-08-31 2010-08-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 with biaxially stretchable inner layer
DE102005048868A1 (de) * 2005-10-12 2007-04-19 Paul Hartmann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ielzahl von einen Windelhauptteil und daran angefügte vordere und hintere Windelseitenteile aufweisenden Inkontinenzwegwerfwindeln
US8491556B2 (en) * 2005-12-15 2013-07-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s with multipart liner having varied stretch properties
CN101340874B (zh) * 2005-12-21 2011-05-04 Sca卫生产品股份公司 用于诸如尿布、失禁防护制品等吸收性制品的侧面嵌料
US9072633B2 (en) * 2006-06-07 2015-07-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axially stretchable outer cover for an absorbent article
BRPI0717188B1 (pt) * 2006-12-08 2018-02-06 Uni-Charm Corporation Material não-tecido estirado, método de fabricação do material não-tecido estirado, método de fabricação da folha composta estirada e artigo absorvente
US20080147025A1 (en) * 2006-12-13 2008-06-19 Van Gompel Paul T Pleated disposable garment
US20080141839A1 (en) * 2006-12-13 2008-06-19 Van Gompel Paul T Method of manufacturing pleated disposable garment
EP2101703B1 (en) 2007-01-10 2015-09-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extensible sides
US8945079B2 (en) * 2007-09-07 2015-0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790325B2 (en) * 2007-09-07 2014-07-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597268B2 (en) 2007-09-07 2013-1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858523B2 (en) * 2007-09-07 2014-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9060900B2 (en) 2007-09-07 2015-06-23 The Procto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668679B2 (en) * 2007-09-07 2014-03-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9056031B2 (en) 2007-09-07 2015-06-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323257B2 (en) 2007-11-21 2012-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slow recovery stretch lamina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10184372A1 (en) * 2007-12-21 2011-07-28 Esping Oestlin Hanna Absorbent garment provided with side panels or belt members
US8222169B2 (en) * 2008-08-05 2012-07-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Zoned elastic laminate and method to manufacture same
US8361046B2 (en) * 2008-10-31 2013-0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s with improved fit in the front leg area
US20100168705A1 (en) * 2008-12-30 2010-07-01 Stabelfeldt Sara J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Employing Elastomeric Film Laminates With Deactivated Regions
US20100163161A1 (en) * 2008-12-30 2010-07-01 Eric-John Raoul Gilgenbach Process For Making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Employing Elastomeric Film Laminates With Deactivated Regions
US8940116B2 (en) * 2009-12-30 2015-0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to reduce absorbent bunching
US9017305B2 (en) 2010-11-12 2015-04-28 The Procter Gamble Company Elastomeric compositions that resist force loss and disintegration
US8945324B2 (en) 2011-04-04 2015-0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elastomeric absorbent garments to reduce absorbent bunching
DE102012025437A1 (de) 2012-12-21 2014-07-10 Paul Hartmann Ag Absorbierender Inkontinenzartikel mit Windelhülle und Absorptionseinlage
CN104207335A (zh) * 2013-05-29 2014-12-17 薛剑敏 一种穿脱便捷兼具保健功能的内裤
JP7152152B2 (ja) * 2017-12-29 2022-10-12 花王株式会社 着用物品
US11850133B2 (en) * 2018-12-20 2023-1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tterning of an elastic laminate
US20220071812A1 (en) * 2018-12-20 2022-03-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tterning of a stranded elastic laminate
JP7285073B2 (ja) * 2018-12-28 2023-06-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複合シート、吸収性物品、及び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71174A (fr) 1965-12-27 1967-03-03 L Soc B V Tissu spongieux
US4486192A (en) 1979-11-15 1984-12-04 Kimberly-Clark Corporation Conformable garments with discrete elasticized areas
US4720415A (en) 1985-07-30 1988-0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omeric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CA1288201C (en) 1985-09-06 1991-09-03 Leona G. Boland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fully integrated absorbent structure
US4756709A (en) * 1985-09-06 1988-07-12 Kimberly-Clark Corporatio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3-section stretchable outer cover
US4701171A (en) 1985-09-06 1987-10-20 Kimberly-Clark Corporatio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zoned stretchable outer cover
US4726807A (en) 1986-04-10 1988-02-23 Weyerhaeuser Company Diaper with elastic margins
CA1286449C (en) 1986-09-03 1991-07-23 Kimberly-Clark Corporation Fastening system for a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US4872871A (en) * 1986-12-31 1989-10-10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elastic outer cover and integrated absorbent insert structure
US4842596A (en) 1986-12-31 1989-06-27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breathable elastic fabric composite and personal article incorporating same
US4747846A (en) 1987-04-03 1988-05-31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US4857067A (en) 1987-12-04 1989-08-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shirred ears
US5376198A (en) 1987-12-22 1994-12-27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
AU2751588A (en) 1987-12-31 1989-07-06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having abdominal support band
SE464109B (sv) 1989-07-06 1991-03-11 Moelnlycke Ab Elastiskt material och absorberande engaangsartikel framstaelld daerav
US5658269A (en) 1990-10-29 1997-08-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xtensible absorbent articles
US5151092A (en) 1991-06-13 1992-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having a predisposed resilient flexural hinge
CA2057739A1 (en) 1991-09-11 1993-03-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diaper having differentially stretchable ears with childproof fastening
CA2072675A1 (en) 1991-12-18 1993-12-30 Paul Theodore Van Gompel Child's disposable training pant with stretch gradient side panel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HU223579B1 (hu) 1993-11-19 2004-09-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zorbens cikk elasztikus viselkedésű derékövvel
CA2175571A1 (en) 1994-01-18 1995-07-20 Migaku Suzuki Stretch-activated elastic composite
US5554145A (en) 1994-02-28 1996-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zone structural elastic-like film web extensible waist feature
SE508632C2 (sv) 1995-02-02 1998-10-19 Sca Hygiene Prod Ab Sätt att elastifiera ett underlagsämne
US5662634A (en) 1995-06-08 1997-09-02 Uni-Charm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 liquid absorbent pad
US5846232A (en) * 1995-12-20 1998-1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extensible zones
AU3208597A (en) 1996-05-21 1997-12-09 Jps Elastomerics Corporation Elasticized absorbent produ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113A (ko) * 2002-08-16 2004-02-21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피부 부착용 늘어나는 부직포 밀착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49898B2 (en) 2002-07-04
DE69826718T3 (de) 2013-12-12
CO5090832A1 (es) 2001-10-30
WO1999033427A1 (en) 1999-07-08
CN1285725A (zh) 2001-02-28
KR100592460B1 (ko) 2006-06-22
AR017962A1 (es) 2001-10-24
EP1043964B2 (en) 2013-07-10
EP1043964A1 (en) 2000-10-18
DE69826718D1 (de) 2004-11-04
RU2218137C2 (ru) 2003-12-10
EP1043964B1 (en) 2004-09-29
BR9814576A (pt) 2000-10-10
US6193701B1 (en) 2001-02-27
JP4326693B2 (ja) 2009-09-09
AU1929699A (en) 1999-07-19
JP2001526937A (ja) 2001-12-25
DE69826718T2 (de) 200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460B1 (ko) 내연신성이 다른 대역들을 가진 개인 위생용품
US6117121A (en) Absorbent article using extensible leg cuffs
JP3478826B2 (ja) 弾性臀部パネルを有する動的弾性特性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100336051B1 (ko) 활동정합성기저귀
US5531729A (en) Elastic net-like substrate having a layer of fibers pre-bonded thereto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KR100453476B1 (ko) 신장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KR100980916B1 (ko) 신체 일치형 흡수 가먼트 및 그의 사용 및 제조 방법
KR970007410B1 (ko) 탄성화된 허리패널을 갖는 기저귀
CZ274093A3 (en) Absorption article with fastening means for dynamic location of an elastic strip
CZ282344B6 (cs) Absorpční výrobek s pružným pásem a s pružně stlačitelným závěsem
PL170499B1 (pl) Artykul absorpcyjny z elementem podtrzymujacym w talii PL PL
KR100266193B1 (ko) 흡수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예비접착된 섬유층을 갖는 탄성 망상 기재
JPH11503034A (ja) 弾性状の特性を示す合成物
KR100266542B1 (ko) 라우드스피커
AU762237B2 (en)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zones with different resistance-to-stretch
MXPA00006372A (en)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zones with different resistance-to-strech
MXPA01003368A (en) Elastic laminate including nonwoven layer formed from highly oriented component fibers and disposable garment employing the same
MXPA00006473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stretchable outer cover and non-stretchable grasping panels
MXPA01004759A (en) Disposable pull-on garment having improved disposal device
MXPA00009430A (en) Disposable garment having improved fitness to body during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