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571A - 방사선에 의해 경화가능한 적층용 접착제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방사선에 의해 경화가능한 적층용 접착제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571A
KR20010033571A KR1020007007081A KR20007007081A KR20010033571A KR 20010033571 A KR20010033571 A KR 20010033571A KR 1020007007081 A KR1020007007081 A KR 1020007007081A KR 20007007081 A KR20007007081 A KR 20007007081A KR 20010033571 A KR20010033571 A KR 20010033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dhesive
molecular weight
weight
poly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휘베너아힘
헨케귄터
드로브닉미하엘
Original Assignee
한스 크리스토프 빌크, 미하엘 베르크만
헨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아우프 악티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크리스토프 빌크, 미하엘 베르크만, 헨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아우프 악티엔 filed Critical 한스 크리스토프 빌크, 미하엘 베르크만
Publication of KR2001003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57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필름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2가지 성분 A 및 B 이상을 함유하는 접착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접착제 중에 존재하는 성분 A는 분자량이 400보다 큰 1개 이상의 비닐 에테르 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성분 B는 파장이 100 내지 600 nm인 광에 의한 조사 후에 성분 A의 중합을 개시하는 광개시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은 높은 내열성 및 높은 가요성을 갖는 복합 필름 재료를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합 필름 재료의 제조에 적합한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선에 의해 경화가능한 적층용 접착제 및 그 용도{LAMINATING ADHESIVE HARDENABLE BY RADIATION AND USE OF SAME}
접착제의 분야에서, 특히 망형 재료의 적층에서, 적층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짧은 경화시간 및 보다 짧은 응답시간에 대한 요구가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업계에서 폭넓게 사용되는 통상적인 시스템은 첨가된 경화제 또는 수분과의 반응을 통해 비교적 서서히 가교되어 경화되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폭시 바인더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와 같은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한 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경화시간은 약 4 내지 약 21일이다. 그러나, 필름 적층체의 최대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이렇게 긴 경화시간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필름 적층체는 제조, 가공 및 사용 시에, 전형적으로는, 다른 결합된 재료에서는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필름 적층체에서와 동일한 정도로 발생하지 않는 다수의 응력에 노출된다. 필름 적층체의 제조 시에, 상이한 표면구조를 갖는 상이한- 때때로 완전히 상이한-재료가 서로 결합된다. 일반적으로는, 이것들은, 예를 들면, 종이, 플라스틱,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박, 더욱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박에 의한 증착에 의해 코팅된 플라스틱의 망형 재료이다.
제조, 가공 및 사용 도중에, 필름 적층체는 재료들 사이의 결합을 구축하는 접착제의 기계적 특성에 엄중한 요구조건을 부과하는 다수의 기계적 응력에 노출된다. 통상적으로는, 결합되는 망형 재료가 제조, 가공 및 사용 도중에 인장 및 굴곡 응력에 계속 노출되는 가요성이 높은 재료이기 때문에, 접착제 자체가 접착제 결합의 손상 또는 파손없이 발생되는 응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은 가요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또한, 접착제는 필름 적층체의 분리없이 적층체 표면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인장 응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높은 박리 강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접착제는 통상적인 용도를 위한 접착제의 성능 특성을 능가하는 결정화 거동 및 변색에 대해 다양한 기준을 만족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예를 들면, 투명 플라스틱 필름의 결합에 있어서, 필름 적층체는 접착체의 결정화를 통해 흐려짐없이 투명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접착제는, 예를 들면, UV광 하에서의 필름 적층체의 연장된 보관의 경우에도 착색된 이차 생성물을 형성하는 경향을 가져서는 안된다.
또한, 필름 적층체는 단지 단시간 후에 높은 내열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특성은, 예를 들면, 제조 및 충전 사이클을 단축시킨다는 관점에서, 여전히 고온인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필름 적층체가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또한, 내열성의 특징은, 예를 들면, 이미 적어도 부분적으로 필름으로 감싸인 재료가 가열되는 경우에도 중요하다.
필름 적층체에 대해 중요도가 높아지는 품질 기준은 "이동체"가 실질적으로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동체는 한편으로는 적층체 내에서 고정되지 않고, 즉 적층체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적층체로부터 적층체로 감싸인 재료 내로 확산이 가능한 필름 적층체의 저분자량 성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저분자량 성분들이 생명체, 특히 사람의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동체가 없는 필름 적층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접착제 중에서 조사에 의해 라디칼 중합가능한 성분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라디칼 중합성 접착제의 단점은 대기 산소가 저해제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불활성 조건 하에서 경화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 대기 중에서 중합되는 재료에 조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절차의 단점은 필요한 불활성 조건을 보장하기 위하여 장비에 상당히 지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DE-U 94 20 640은 OH-말단 폴리우레탄, 에폭시 화합물 및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방사선-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당 문헌에는 적층용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최초의 접착성과 최종 접착성이 모두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단계의 방사선-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EP-A 0 688 804에는 양이온 경화성 다성분 에폭시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의 경화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일반적으로는, 기본적인 성분으로서, 조사 하에서 루이스산(Lewis acid) 및/또는 브뢴스테드산(Bronsted acid)을 형성하는 화합물들의 혼합물,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양이온 중합성 단량체 그리고 가요화제, 억제제, 라디칼-중합성 단량체, 촉진제 및 변성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의 기타 성분을 함유하는 양이온 경화성 에폭시 조성물이 다양한 구현예에 기술되어 있다. 200 내지 20,000 g/몰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알코올 및 글리콜이 가요화제로서 언급될 수 있다.
DE-A 43 40 949에는 양이온 경화성 에폭시 조성물 및 그 용도가 기술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는 1종 이상의 촉진제, 1종 이상의 페로세늄 착체 염 및 1종 이상의 지환식 화합물을 전형적인 보조제 및 첨가제와 함께 함유하는, 광개시되는, 양이온 경화성 에폭시 조성물이 언급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선행기술을 대표하는 첨가제는 필름 적층체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가 충족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필요조건을 만족시키지는 않는다는 단점을 수반한다. 따라서, 급속-경화성 접착제를 에폭시 화합물 및 폴리우레탄 폴리올로부터 제조할 수 있지만, 그 내열성은, 예를 들면, 식품 제조 또는 의료기구 멸균을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양호하지는 않다.
본 발명은 필름 적층제의 제조를 위한 2가지 성분 A 및 B 이상을 함유하는 접착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방사선-경화성 적층용 접착제의 필름 적층체의 제조를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기된 문제점은 이러한 적층체의 제조, 가공 및 사용에 수반되는 격심한 응력을 견딜 수 있고, 경화 시간이 짧고 전단강도 및 박리강도가 높은 필름 적층체의 제조를 위한 접착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기된 다른 문제점은 높은 내열성 및 최소함량의 이동체(저분자량 폴리올)를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체를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필름 적층체의 제조를 위한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상기 문제점은 하기 기술되는 2가지 A 및 B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접착제에 의해 해결되었다.
본 발명은 필름 적층체의 제조를 위한 2가지 A 및 B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접착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a) 성분 A는 1개 이상의 비닐에테르기를 갖고 분자량이 400보다 큰 화합물이고,
b) 성분 B는 100 내지 600 nm의 파장을 갖는 광에 대한 노광 후에 성분 A의 중합을 개시하는 광개시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A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은 분자량이 약 400을 초과한다.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비닐 에테르 기를 함유하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이 동등하게 잘 사용될 수 있지만, 성분 A는 1개 이상의 비닐 에스테르 기를 함유하는 1종의 화합물만을 함유할 수 있다. 이 문맥에서의 "혼합물"이란 일반적으로 중합성 화합물의 합성에서의 통계적 분자량 분포를 기준으로 하여 형성되는(사용되는 특정한 합성 방법에 따라서) 단일 중합성 화합물의 상이한 분자들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혼합물"은 상이한 합성 혼합물로부터 2가지 이상의 중합성 화합물을 혼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합성 화합물은, 예를 들면, 분자량 분포가 상이할 수 있는데, 즉 수평균분자량(Mn) 및/또는 중량평균분자량(Mw)의 값이 상이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용어 "혼합물"은, 예를 들면, 상이한 단량체들을 사용하여 합성한 2가지 이상의 상이한 중합성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으로 이해된다.
성분 A로서 사용되는 중합성 화합물은 축중합, 다중부가 또는 중합에 의해 또는 중합체의 합성을 위해 언급된 방법들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수득되는 중합체 주사슬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A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은 말단적으로, 즉 중합체 사슬의 말단에서, 또는 측면적으로, 즉 측쇄기로서 중합체 사슬에 공유결합되는 1개 이상의 비닐 에테르 기를 함유한다. 중합체 사슬에 존재하는 1개 이상의 OH기에 의해 중합체 사슬에 의해 중합체 사슬이 비닐 에테르 기에 부착되거나 또는 비닐 에테르 기가 중합체 사슬에 부착되는 것이 본 발명에 이롭다고 밝혀지기는 했지만, 중합체는 비닐 에테르 기에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A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체 주사슬은,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상기 중합체 구조의 2가지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한 중합성 화합물은 비닐 에테르 기의 부착 전에 중합체 사슬 상의 1개 아상의 OH 기를 함유하는 것들이다. 그 예로서는 말단 OH기를 함유하는 폴리부타디엔 또는 폴리이소프렌을 들 수 있다. 상기 형태의 OH-함유 중합체의 제조방법은 고분자 화학에 관한 관련 문헌으로부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어서 여기에서 더 이상 논의하지 않는다.
OH-함유 중합체에 특히 간단하고 이로운 방식으로 비닐 에테르 기를 제공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세틸렌을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디올과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는 모노히드록시 비닐 에테르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출발 물질로서 사용된다. 모노히드록시비닐 에테르는, 예를 들면, 분자당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반응의 완결 시에 잔류하도록 모노히드록시비닐 에테르 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화학양론비를 선택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킬 수 있다. 이렇게 수득된 화합물을 OH기를 함유하는 중합성 화합물과 반응시켜, 공유결합된 비닐 에테르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되는 과정, 즉 OH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먼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형성하고나서 모노히드록시비닐 에테르와 반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방법으로 생성되는 중합체는 말단 또는 측면 우레탄 기를 함유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우레탄"은 상기 방식으로 우레탄 기에 의해 비닐 에테르 기에 부착되는 모든 중합성 화합물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1구현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A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A로서 특히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모노히드록시비닐 에테르와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분자량이 약 200 내지 약 10,000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성분 A의 제조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저분자량 알코올, 더욱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헥산디올, 부탄디올,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트리메틸롤 프로판을 카프로락톤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1,4-히드록시메틸 시클로헥산, 2-메틸프로판-1,3-디올, 1,2,4-부탄트리올,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부틸렌 글리콜 및 폴리부틸렌 글리콜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제조를 위한 다가 알코올로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알코올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이 성분 A의 제조에 적합하다.
축중합에 의해 기타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이가 및/또는 삼가 알코올을 당량 미만의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트리카르복실산 또는 그 반응성 유도체와 축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형성할 수 있다. 적합한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숙신산 및 탄소수 약 16 이하의 고급 동족체,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과 같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그리고 프탈산,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또는 언급된 디카르복실산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성질성 프탈산을 들 수 있다. 적합한 트리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시트르산 및 트리멜리트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OH기의 잔류 함량을 갖는, 언급된 디카르복실산 중 1가지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글리세롤이 특히 적합하다. 특히 적합한 알코올은 헥산 디올,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네오펜틸 글리콜 또는 이것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이다. 특히 적합한 산은 이소프탈산 및 아디프산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이다.
고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예로는, 다가, 바람직하게는 이가 알코올(임의적으로는 소량의 삼가 알코올과 함께)과 다염기, 바람직하게는 이염기 카르복실산의 반응생성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유리 폴리카르복실산 대신에, 해당되는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한 알코올과의 해당되는 폴리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가능한 경우에). 폴리카르복실산은 지방족, 지환식, 방향족 및/또는 헤테로고리형일 수 있다. 이것들은, 예를 들면, 알킬기, 알켄일기, 에테르기 또는 할로겐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트리멜리트산, 프탈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 테트라클로로프탈산 무수물, 엔도메틸렌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글루타르산 무수물,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이량체 지방산 또는 삼량체 지방산 또는 이것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소량의 일관능성 지방산이 반응혼합물 중에 임의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이 성분 A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염기성 폴리에테르는, 예를 들면, 저분자량 다가 알코올의 알킬렌 옥시드와의 반응생성물일 수 있다. 알킬렌 옥시드는 탄소수가 2 내지 약 4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반응생성물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이성질성 부탄 디올 또는 헥산 디올의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및/또는 부틸렌 옥시드와의 반응생성물을 들 수 있다. 다른 적합한 반응생성물은,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형성하기 위한, 글리세롤, 트리메틸롤 에탄 및/또는 트리메틸롤 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당알코올과 같은 다가 알코올의 상기 알킬렌 옥시드와의 반응생성물이다. 분자량이 약 100 내지 약 10,000,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5000인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특히 적합하다. 분자량이 약 300 내지 약 2500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 성분 A의 제조에 적합한 다른 폴리올은,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중합으로부터 형성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1개 이상의 반응성 수소 원자를 함유하는 출발 화합물을 공지된 방식으로 알킬렌 옥시드, 예를 들면,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부틸렌 옥시드, 스티렌 옥시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 또는 이것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에테르를 수득한다.
적합한 출발 화합물의 예로는 물, 에틸렌 글리콜, 1,2- 또는 1,3-프로필렌 글리콜, 1,4- 또는 1,3-부틸렌 글리콜, 헥산-1,6-디올, 옥탄-1,8-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4-히드록시메틸 시클로헥산, 2-메틸 프로판-1,3-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롤 프로판, 헥산-1,2,6-트리올, 부탄-1,2,4-트리올, 트리메틸롤 에탄, 펜타에리트리톨, 만니톨, 소르비톨, 메틸 글리코시드, 당류, 페놀, 이소노닐 페놀, 레소르시놀, 히드로퀴논, 1,2,2- 또는 1,1,2-트리스-(히드록시페닐)-에탄, 암모니아, 메틸 아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 또는 헥사메틸렌디아민 그리고 아닐과 및 포름알데히드를 축합하여 수득할 수 있는 폴리페닐 폴리메틸렌 폴리아민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체에 의해 변성된 폴리에테르가 폴리올 성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생성물은, 예를 들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것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폴리에테르의 존재 하에서 중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성분 A의 제조에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시클로부탄-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1,3- 및 1,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것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 시클로헥산(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2,4- 및 2,6-헥사히드로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1,3- 또는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1,3- 및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2'-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언급된 디이소시아네이트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분 A의 제조에 적합한 다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면,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올리고머화에 의해 수득가능한 삼관능성 또는 고급 이소시아네이트이다.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HDI 또는 IPDI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의 트리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이것들의 혼합된 트리이소시아누레이트를 들 수 있다.
적합한 모노히드록시비닐 에테르는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비닐 에테르 기를 함유하는 일가 알코올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일가 알코올은 화학식 I
R1-CH=CR2-O-Z-OH
[식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및/또는 C1-10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C1-4알킬기이다. 2개의 치환체 중 1개는, 일반적으로 수소가 아닌 경우에는 성분 A의 중합 속도가 원치 않게 감소하기 때문에, 수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1구현예에서, R1은 메틸기이고, R2는 수소이다. 특히 바람직한 1구현예에서, R1및 R2는 모두 수소이다. Z는 이가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이관능성 라디칼이다. 예를 들면, Z는 선형 디올,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1,4-부틸렌 글리콜의 군으로부터 유도된 이관능성 라디칼일 수 있다. 또한, Z는 1,2-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2,3-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분기된 디올의 군으로부터,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면,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 고급 동족체의 군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모노히드록시비닐 에테르는 4-히드록시부틸 비닐 에테르, 4-히드록시메틸 시클로헥실 메틸 비닐 에테르, 2-히드록시에틸 비닐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비닐 에테르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비닐 에테르 또는 이것들 중 2가지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성분 B로서 광개시제 또는 2가지 이상의 광개시제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광개시제는 방사선의 영향 하에서 비닐 에테르 기의 중합을 개시할 수 있다. 전자기파 방사선의 영향 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광의 영향 하에서 루이스 산 또는 브뢴스테드 산을 생성하는 광개시제가 이러한 목적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체 오늄 화합물 또는 페로센 착체 염이 광의 영향 하에서 루이스 산 및/또는 브뢴스테드 산을 생성하는 광개시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본적으로, 감광성 방향족 술포늄 또는 요오도늄 염은 중합 반응의 광개시에 적합하다. 트리스아릴 술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스아릴 술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로는, 예를 들면, 시판제품 CyracureUVI-6974 및 UVI-6990(UK, Danbury 소재 UCC제) 그리고 비스-(4,4'-디메틸벤질)-요오도늄 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France, Saint-Fons 소재, Rhone-Poulenc제 UV CATA 200)가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1구현예에서, 성분 B는 트리아릴 술포늄 착체 염, 디아릴 요오도늄 착체 염 또는 페로센 착체 염 또는 이것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광개시제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광개시제는 파장이 약 100 내지 약 600 nm인 광에 노광된 후에 성분 A의 중합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1구현예에서, 파장이 약 150 내지 약 500 nm, 예를 들면, 약 200 내지 약 480 nm인 광에 노광함으로써 중합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접착체는
c) 성분 C로서 분자량이 약 400 미만인 1개 이상의 비닐 에테르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을 임의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제거하기 어려윤 용매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접착제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분자량이 약 400 미만인 1개 이상의 비닐 에테르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접착제에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성분 C가 접착제의 낮은 점도에 대비하는 반면에, "반응성 희석제"의 개념에 따라서 경화 도중에 가교된 중합체 중에 일반적으로는 완전히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완전히 혼입된다.
단지 희석 효과 만을 얻는 경우에는, 성분 C로서 단지 1개의 비닐 에테르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2가지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충분하다. 그러나, 접착제의 가교가 성분 C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성분 C가 2개 이상의 비닐 에테르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가교제"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이롭다.
예를 들면, 다음의 화합물들이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접착제 중에서 성분 C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히드록시부틸 비닐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디비닐 에테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의 프로필렌 에테르(예를 들면, Rapi-CurePEPC, ISP Europe), 도데실 비닐 에테르,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모노비닐 에테르, 시클로헥실 비닐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2-에틸헥실 비닐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헥산 디올 디비닐 에테르, 옥타데실 비닐 에테르, 부탄 디올 디비닐 에테르, 글리세롤 트리비닐 에테르, 트리메틸롤 프로판 트리비닐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비닐 에테르 또는 고급 알코올의 고급 비닐 에테르 또는 이것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d) 성분 D로서 2개 이상의 OH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을 임의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성분 D는 성분 A의 중합에 - 성분 C의 거동과 동등하게 - 참여할 수 있고, 가교된 접착제 중에 혼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성분 D는 한편으로는 접착제의 점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반응성 희석제"의 기능을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교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목적에 적합한 OH-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헥산 디올, 부탄 디올,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리메틸롤 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당알코올 또는 이것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 그리고 언급된 각각의 화합물의 올리고머성 에테르 또는 언급된 화합물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의 올리고머성 에테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자량이 약 16,000 이하인 올리고에테르 폴리올을 형성하기 위한, 글리세롤, 트리메틸롤 에탄 및/또는 트리메틸롤 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당알코올과 같은 다가 알코올의 상기 알킬렌 옥시드와의 반응생성물이 적합하다.
또한, 비교적 고분자량인 화합물,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올,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올 및 코폴리올 또는 적합한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언급된 폴리올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이 성분 D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성분 D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6000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1구현예에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우레탄 폴리올이 성분 D로서 사용된다.
성분 D로서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약 400 내지 약 10,000 보다 큰 분자량(Mn)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예를 들면, 저분자량 알코올, 더욱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헥산디올, 부탄디올,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트리메틸롤 프로판의 반응에 의해,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이러한 산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에 의한 축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면, 이가 및/또는 삼가 알코올은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트리카르복실산 또는 그 반응성 유도체와 축합되어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다. 적합한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숙신산 및 이것의 탄소수가 16 이하의 고급 동족체,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과 같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성질성 프탈산을 들 수 있다. 적합한 트리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시트르산 및 트리멜리트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디프산, 글루탐산, 피멜산과 같은 지방족 폴리카르복실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방향족 산,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시클로알킬 산, 또는 예를 들면, 디글리콜산, 에틸에테르-2,2-디카르복실산 또는 티오디클리콜산 등의, S 또는 N과 같은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산도 적합하다.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적합한 기타 폴리올은 분자당 2개 내지 4개의 OH기를 함유하는 지방족 알코올이다. OH기는 바람직하게는 일차이지만, 이차일 수도 있다. 적합한 지방족 알코올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1,4-디올, 펜탄-1,5-디올, 헥산-1,6-디올, 헵탄-1,7-디올, 옥탄-1,8-디올 및 고급 동족체를 들 수 있고, 그 이성질체는 동시에 1개의 CH2에 의한 탄화수소 사슬의 연장에 의해 또는 탄소 사슬 내로의 분지의 도입에 의해 전문가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글리세롤, 트리메틸롤 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과 같은 고급 알코올 그리고 언급된 물질의 올리고머성 에테르(그대로이거나 또는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의 형태임)도 적합하다.
또한, 탄소수가 4 이하인 알킬렌 옥시드와 저분자량 다가 알코올의 반응생성물은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올 성분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반응생성물의 예로는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및/또는 부틸렌 옥시드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이성질성 부탄 디올 또는 헥산 디올의 반응생성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형성하기 위한, 글리세롤, 트리메틸롤 에탄 및/또는 트리메틸롤 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당알코올과 같은 다가 알코올의 상기 알킬렌 옥시드와의 반응생성물도 적합하다. 또한, 탄소수가 4 이하인 알킬렌 옥시드와 저분자량 다가 알코올의 반응생성물도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올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반응생성물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이성질성 부탄 디올 또는 헥산 디올의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및/또는 부틸렌 옥시드와의 반응생성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형성하기 위한, 글리세롤, 트리메틸롤 에탄 및/또는 트리메틸롤 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당알코올과 같은 다가 알코올의 상기 알킬렌 옥시드와의 반응생성물도 적합하다.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해 특히 적합한 폴리올은 분자량이 약 1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3000인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분자량이 약 300 내지 약 2500인 프로필렌 글리콜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도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성분 D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중합체의 1군은 폴리우레탄 폴리올류이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폴리우레탄 폴리올은 이가 및/또는 고급 알코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다중부가에 의해 수득되는 화합물인 것으로 이해된다. 분자량이 약 3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약 800 내지 약 5000이고,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에테르는 전형적으로는 폴리우레탄의 제조를 위한 폴리올로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적합한 폴리에스테르는 이관능성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사슬-연장될 수 있는 임의의 OH-말단 폴리에스테르이다. 이것의 예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기 위한 폴리올 성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타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예로는, 부탄-1,3-디올, 부탄-1,4-디올, 부탄-2,3-디올, 2,2-디에틸프로판-1,3-디올, 2-메틸-2-프로필프로판-1,3-디올, 이성질성 옥탄 디올, 헵텐 디올, 옥텐 디올, 그리고 예를 들면,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티오에틸렌 글리콜, 디에탄올아민 또는 N-메틸 디에탄올아민 또는 이것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 등의, N 또는 S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이관능성 화합물과 같은 에틸렌계 불포화 이관능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기 위해서, 디올을 해당되는 이관능성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일 수 있고, 약 4개 내지 약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1,8-옥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10-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지방산의 이량화에 이어 관능화하여 수득될 수 있는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 혼합물,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 2,4'- 또는 4,4'-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이것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 테트라메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시클로부탄-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3- 및 -1,4-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 2,6-헥사히드로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1,3- 또는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성분 A 중에 존재하는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기 위한 기타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면,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올리고머화에 의해 수득되는, 삼관능성 또는 고급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이러한 삼관능성 또는 고급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HDI 또는 IPDI 또는 그 혼합된 트리이소시아누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성분 D로서 사용되는 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은 400 미만이어서는 안된다.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합성을 위해 선택되는 특정한 방법에 따라서 통계적 분자량 분포를 갖기 때문에, 표현 "평균분자량"은 성분 A 중에 존재하는 중합체의 분자량의 수평균(Mn)에 관한 것이다. 이로 인해, 분자량이 상기 400의 값보다 적은 개별적인 중합체 분자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e) 성분 E로서 1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을 임의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E로서의 용도에 적합한 1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예로서 지환식 에폭시드를 들 수 있다. 지환식 에폭시드의 예로서는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옥살레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및/또는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피멜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산, 3,4-에폭시-1-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1-메틸시클로헥산 카르복실산, 6-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6-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산, 3,4-에폭시-2-메틸시클로메틸-3,4-에폭시-2-메틸시클로헥산 카르복실산, 3,4-에폭시-5-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5-메틸시클로헥산 카르복실산 등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에폭시드는 다가 페놀로부터 수득가능한 글리시딜 에테르, 예를 들면, 2,2'-비스-(2,3-에폭시프로폭시페놀)-프로판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이다.
일반적으로는, 성분 E는 단지 1개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약 5 중량% 이상을 함유한다. 따라서,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퍼센티지 함량은 약 5 내지 약 50 중량%이고,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에폭시드의 퍼센티지 함량은 약 5 내지 약 30 중량%이다.
성분 A, B, C, D 및 E 이외에,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성분 F로서 비닐 에테르 기가 아니고 에폭시 기가 아닌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1가지 이상의 화합물 또는 2가지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올레핀, 비닐 아렌,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티렌 그리고 에테르, 티오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아세탈과 같은 헤테로고리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예를 들면, 촉진제, 염료, 안료, 충전제, 강화제, 요변화제, 개시제, 안정화제, 저해제 및 커플링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촉진제는 중합반응을 촉진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방사선의 영향 하에서 발생하는 개시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또는 중합 자체를 지지함으로써, 즉 개별적인 단량체의 다른 단량체 상으로의 부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성분 A, B 및 임의적으로는 C, D, E 및/또는 F 그리고 다양한 양으로 존재하는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나타낸 모든 양은 전체 접착제의 양을 기준으로 한다.
성분 A는 일반적으로 접착제의 약 1 중량% 내지 약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 내지 약 99 중량%를 자치한다.
성분 B는 일반적으로 접착제의 약 0.1 내지 약 8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중량% 내지 약 4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성분 C는 임의적으로 접착제의 약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성분 D는 임의적으로 접착제의 약 4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성분 E는 임의적으로 접착제의 약 4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성분 F는 임의적으로 접착제의 약 4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임의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첨가제 중에 존재하는 첨가제는 약 20 중량% 이하의 총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1구현예에서는,
- 10 내지 96 중량%의 성분 A,
- 2 내지 4 중량%의 성분 B 및
- 2 내지 30 중량%의 성분 C
를 함유하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성분 A, B 및 D를 함유하는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a) 1개 이상의 비닐 에테르 기를 갖고 분자량이 400보다 큰 중합성 화합물인 성분 A,
b) 파장이 100 내지 600 nm인 광에 대한 노광 후에 성분 A의 중합을 개시하는 광개시제인 성분 B, 및
d) 2개 이상의 OH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인 성분 D.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접착제는
- 약 50 내지 80 중량%의 성분 A,
- 약 2 내지 4 중량%의 성분 B, 및
- 약 18 내지 46 중량%의 성분 D
를 함유한다.
임의적으로, 접착제는 성분 C, E 및 F 그리고 상기 정의된 첨가제로부터 선택된 1가지 이상의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는 접착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수득되는 혼합물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계류에 의해, 예를 들면, 통상적인 적층용 기계에 의해 결합되는 필름들에 적용될 수 있다. 액체 형태의 접착제를 결합되는 필름에 적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나서, 이렇게 접착제로 코팅된 필름을 공지된 기법에 의해 다른 필름과 결합하여, 중합반응, 즉 각각의 접착제 성분의 가교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노광되는 조사 영역으로, 이송한다. 일반적으로는, 접착제-코팅된 표면이 제 2 필름에 결합되기 전에 접착제-코팅된 필름에 조사할 수도 있다. 이 절차는 접착제의 중합, 즉 경화 공정이 채 완결되지 않은 경우에 접착제-코팅된 필름을 동시에 제 2 필름에 적용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접착제는 제 2 망이 접착되는 시점에 충분한 접착성을 발현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 절차는 중합을 개시하는데 필요한 방사선에 대해 비투과성인 2가지 필름이 서로 결합된 경우에 특히 타당하다.
기재된 결합 및 적층 공정은 2개 이상의 결합된 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가 생성될 수 있도록 수회 반복될 수 있다.
결합가능한 재료의 예로는 종이, 셀룰로스 수화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리드, 비닐 클로리드 및 비닐리덴 클로리드의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 올레핀의 공중합체, 폴리아미드와 같은 플라스틱류, 또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납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박을 들 수 있다.

Claims (12)

  1. 필름 적층체의 제조를 위한 다음과 같은 2가지 성분 A 및 B 이상을 함유하는 접착제의 용도:
    a) 분자량이 400 보다 큰 1개 이상의 비닐 에테르 기를.함유하는 화합물인 성분 A, 및
    b) 파장이 100 내지 600 nm인 광에 대한 노광 이후에 성분 A의 중합을 개시하는 광개시제인 성분 B.
  2. 제 1 항에 있어서, 트리아릴 술포늄 착체 염, 디아릴 요오도늄 착체 염 및 페로센 착체 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광개시제가 성분 B로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c) 1개 이상의 비닐 에테르 기를 갖고 분자량이 400 미만인 화합물
    을 성분 C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d) 2개 이상의 OH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을 성분 D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5. 제 4 항에 있어서, 성분 D가 삼가 이상의 알코올 또는 분자량이 400 미만인 2종 이상의 삼가 알코올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6. 제 4 항에 있어서, 성분 D가 이가 이상의 알코올 또는 분자량이 400 이상인 2종 이상의 이가 알코올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가 글리세롤, 트리에틸롤 프로판, 트리메틸롤 프로판 또는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이것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8.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아세탈 폴리올 또는 폴리우레탄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e) 1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을 성분 E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 10 내지 96 중량%의 성분 A,
    - 2 내지 4 중량%의 성분 B, 및
    - 2 내지 30 중량%의 성분 C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1. 다음과 같은 3가지 성분 A, B 및 D를 함유하는 접착제:
    a) 1개 이상의 비닐 에테르 기를 갖고 분자량이 400 보다 큰 화합물인 성분 A,
    b) 파장이 100 내지 600 nm인 광에 대한 노출 후에 성분 A의 중합을 개시하는 광개시제인 성분 B, 및
    c) 2개 이상의 OH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인 성분 D.
  12. 제 11 항에 있어서,
    - 50 내지 80 중량%의 성분 A,
    - 2 내지 4 중량%의 성분 B, 및
    - 18 내지 46 중량%의 성분 D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KR1020007007081A 1997-12-23 1998-12-14 방사선에 의해 경화가능한 적층용 접착제 및 그 용도 KR200100335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7623.0 1997-12-23
DE19757623 1997-12-23
PCT/EP1998/008194 WO1999033931A1 (de) 1997-12-23 1998-12-14 Strahlenhärtbarer kaschierklebstoff und dessen verwend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571A true KR20010033571A (ko) 2001-04-25

Family

ID=785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081A KR20010033571A (ko) 1997-12-23 1998-12-14 방사선에 의해 경화가능한 적층용 접착제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565696B1 (ko)
EP (1) EP1042422B1 (ko)
JP (1) JP2002500241A (ko)
KR (1) KR20010033571A (ko)
AT (1) ATE277985T1 (ko)
CA (1) CA2316197A1 (ko)
DE (2) DE19857203A1 (ko)
ES (1) ES2230745T3 (ko)
HU (1) HUP0101030A2 (ko)
PL (1) PL341337A1 (ko)
TR (1) TR200001852T2 (ko)
WO (1) WO1999033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2441B4 (de) * 2001-10-26 2007-01-04 Dynea Moers Gmbh Verwendung eines wässrigen Dispersionsklebstoffes als Kaschierklebstoff
GB2407369B (en) * 2003-10-07 2007-09-12 Uv Tek Products Ltd Photo reactive thermal curing unit and apparatus therefor
DE102005049681B4 (de) * 2005-10-14 2011-03-10 Henkel Ag & Co. Kgaa Hülsenförmige Etiketten
US20070208100A1 (en) * 2006-03-01 2007-09-06 Anbu Natesh Curable compositions for providing a cured composition with enhanced water resistance
KR101072371B1 (ko) * 2010-09-20 2011-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5808971B2 (ja) * 2011-07-22 2015-11-10 株式会社Adeka 水系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これを塗布してなる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747A (en) * 1976-07-14 1978-08-22 General Electric Company Curable compositions and method for curing such compositions
CA1246292A (en) * 1983-03-29 1988-12-06 Joseph V. Koleske Blends of cyclic vinyl ether containing compounds and linear vinyl ethers
US4525232A (en) 1984-04-16 1985-06-25 Loctite (Ireland) Ltd. Polymerizable acrylic compositions having vinyl ether additive
CA2036502A1 (en) * 1990-03-15 1991-09-16 Ellen O. Aeling Polyvinylether composition
AU1563892A (en) * 1991-09-06 1993-04-05 Bank Of Canada Adhesive for thin film security device
US5486545A (en) * 1992-12-09 1996-01-23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Process for making propenyl ethers and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5594042A (en) * 1993-05-18 1997-01-14 Dow Corning Corporation Radiation cu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vinyl ether functional polyorganosiloxanes
DE4340949A1 (de) 1993-12-01 1995-06-08 Thera Ges Fuer Patente Lichtinitiiert kationisch härtende Epoxidmasse und ihre Verwendung
DE4421623A1 (de) 1994-06-21 1996-01-04 Thera Ges Fuer Patente Mehrkomponentige, kationisch härtende Epoxidmassen und deren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gehärteter Massen
JPH10502961A (ja) * 1994-07-13 1998-03-17 アライドシグ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ビニルエーテル基剤コーティング系用安定剤
DE9420640U1 (de) 1994-12-23 1995-03-23 Lord Corp Strahlungsaushärtbare Zusammensetzungen mit einem Gehalt an hydroxy-terminierten Polyurethanen und einer Epoxy-Verbindung
JPH0940708A (ja) * 1995-07-28 1997-02-10 Nippon Kayaku Co Ltd 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MY121218A (en) * 1995-08-09 2006-01-28 Sanyo Chemical Ind Ltd Photo-curing res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41337A1 (en) 2001-04-09
EP1042422A1 (de) 2000-10-11
JP2002500241A (ja) 2002-01-08
DE19857203A1 (de) 1999-06-24
ES2230745T3 (es) 2005-05-01
US6565696B1 (en) 2003-05-20
TR200001852T2 (tr) 2001-01-22
CA2316197A1 (en) 1999-07-08
ATE277985T1 (de) 2004-10-15
EP1042422B1 (de) 2004-09-29
DE59812046D1 (de) 2004-11-04
WO1999033931A1 (de) 1999-07-08
HUP0101030A2 (hu) 200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2869B1 (en) Adhesive with multistage curing and the utilization thereof during the production of composite materials
JP7179001B2 (ja) 低粘度速硬化性積層用接着剤組成物
JP5107894B2 (ja) 多段階硬化を伴う表面コーティング
CA2283335C (en) Adhesive systems for a one- or multi step perfect binding process and process for the perfect binding of printed articles
US6548566B1 (en) Laminating adhesives hardenable by radiation
JP2008063407A (ja)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方法
US7186312B1 (en) Adhesive which hardens in several stages
KR20010033571A (ko) 방사선에 의해 경화가능한 적층용 접착제 및 그 용도
JP3019294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6459500B2 (ja)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接着剤、及び、積層体
JP2895441B2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CZ20002380A3 (cs) Lepidlo a jeho použití
MXPA00006280A (en) Laminating adhesive hardenable by radiation and use of same
JPH03239779A (ja) 粘着剤組成物
CZ20002379A3 (cs) Použití lepidla
JP2001098244A (ja)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MXPA00006203A (en) Laminating adhesives hardenable by ra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