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825A - 샤프트 로용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샤프트 로용 회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31825A KR20010031825A KR1020007004895A KR20007004895A KR20010031825A KR 20010031825 A KR20010031825 A KR 20010031825A KR 1020007004895 A KR1020007004895 A KR 1020007004895A KR 20007004895 A KR20007004895 A KR 20007004895A KR 20010031825 A KR20010031825 A KR 200100318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furnace
- conveying
- worm conveyor
- shaft
- sectional area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2—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in shaft furna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1—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8—Screw feeders; Screw dis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crew Conveyor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Tunnel Furnaces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 로(1), 특히 산화철 및/또는 해면철을 포함하는 덩어리 재료의 베드(2)를 가지며, 샤프트 로로부터 덩어리 재료를 배출하기 위해 샤프트 로의 쉘을 통과하며, 샤프트 로의 베이스 영역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샤프트 로의 쉘내에 장착되어 있는 워엄 컨베이어(3)를 가진 직접 환원 샤프트 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많은 샤프트 로, 특히 상술한 형태의 환원 샤프트 로는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본질적으로 원통형 중공체로서 설계된 이런 샤프트 로는 일반적으로 산화철 및/또는 해면철을 포함하는 덩어리 재료의 베드(bed of lumpy material)를 포함하며, 산화철을 포함하는 상기 덩어리 재료는 샤프트 로의 상부로부터 장입된다. 예를 들어 용해기구 기화기로부터 나온 환원 가스는 샤프트 로로 취입되고, 그러므로 샤프트 로의 하부 3번째의 바텀의 영역내의, 샤프트 로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다수의 입구 포트를 통해서 고체층(solid bed)으로 주입된다. 고온, 분진 잠재의 환원 가스는 고체층을 통해서 올라가고, 이 과정에서, 상기 층내의 산화철을 해면철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환원한다.
상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환원된 산화철은 샤프트 로의 베이스 영역과 가스 입구 포트의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배출 장치에 의해서 샤프트 로로부터 운반된다. 이들 배출 장치는 대개 방사방향으로 (샤프트 로에 대해서) 별 및 컨베이어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워엄 컨베이어로서 설계되어 있다.
배출 장치가 배열되어 있고 샤프트 베이스의 영역내에 배치된 부위는 한 편으로는 베드 재료의 레벨을 가능한 균일하게 가라앉도록 허용하고, 특히 반응 부위에서 재료의 연속적인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서 최대 활성의 배출 영역을 가져야 한다.
워엄 컨베이어의 별모양 장치에서, 최대 활성 배출 표면적에 대한 요구조건은 워엄 컨베이어 각각이 베드로부터 재료를 취해서 이것을 샤프트로 돌출하는 전체 길이에 거쳐서 균일하게 운반하는 경우에만 만족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워엄 컨베이어의 컨베이닝 단면적은 워엄 컨베이어의 각 섹션내에, 컨베이닝의 방향에서 볼 때 전방에 배열되어 있는 섹션으로부터의 재료의 제거와 상기 섹션을 둘러싸는 영역으로부터 베드 재료의 제거 모두가 보장되어지는 방법으로 설계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컨베이닝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패들 또는 나선형 엔벨로프의 반경에 의해서 성취된다. 추가로, 각 워엄 섹션의 컨베이닝 체적은 컨베이닝의 방향으로 워엄 나선의 피치를 증가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증가된다.
이러한 방법에도 불구하고, 워엄의 단부와 샤프트 로의 벽에 있는 재료는 워엄 컨베이어의 중앙 영역내의 속도의 두 내지 세 배 속도로 출발하는 것으로 되어져 있다.
따라서, 워엄 컨베이어의 중앙 영역 위에 배치되어 있는 재료는 높은 컨베이닝 성능을 가지는 영역 위의 재료보다 샤프트 로내의 보다 긴 잔류 시간을 가진다. 이것은 중앙 영역 위의 덩어리 재료내의 케이킹과 브리징(caking and bridging)을 증가시키며, 베드내의 터널의 형성은 높은 컨베이닝 성능을 가진 영역위에서 특히 자주 발생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는 샤프트 로는 종래 워엄 컨베이어가 사용될 때, 워엄 컨베이어의 혼자만에 의해 샤프트내에 놓여진 베드 재료의 균일한 배출을 보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결점을 가진다. 별모양으로 배열된 워엄 컨베이어를 사용해서 어떠한 경우도 닿을 수 없는 영역, 즉 두 인접한 워엄 컨베이어 사이의 웨지 형상 영역과, 샤프트 로의 중앙내의 워엄 컨베이어 단부까지의 방해없는 공간과 연관하여, 샤프트 로내의 베드 재료의 잔류 시간을 변경하고, 차례로 불균일한 환원 공정을 야기하고 제품 질을 변동시킨다.
본 발명은 샤프트 로, 특히 산화철 및/또는 해면철을 포함하는 덩어리 재료의 베드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 로로부터 덩어리 재료를 배출하기 위해 샤프트 로의 쉘을 통과하며, 샤프트 로의 베이스 영역(base area)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샤프트 로의 쉘내에 장착되어 있는 워엄 컨베이어(worm conveyor)를 가진 직접 환원 샤프트 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워엄 컨베이어를 가진 샤프트 로의 사시도.
도 2는 개별 섹션의 일정한 컨베이닝 단면을 가진 워엄 컨베이어의 대략도.
도 3은 개별 섹션의 증가하는 컨베이닝 단면을 가진 워엄 컨베이어의 대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워엄 컨베이어와 종래 워엄 컨베이어의 섹션 관련 컨베이닝 성능을 도시한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사용된 워엄 컨베이어의 요면(dint)에 의해서,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지고 종래 워엄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샤프트 로보다 베드 재료의 개선되고 보다 균일한 배출을 제공하는 샤프트 로, 특히 직접 환원 샤프트 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로 돌출하는 길이 방향으로의 각 워엄 컨베이어의 출발 영역을 두 개 이상의 인접한 섹션으로 나누므로써 달성되며, 이들 섹션의 인접한 단부의 컨베이어 단면적은 컨베이닝의 방향으로 갑작스럽게 증가한다.
모든 다른 영역과 대조적으로, 워엄의 단부를 형성하는 영역은 우선하는 섹션으로부터 어떠한 재료도 운반하지 못한다. 따라서, 전체 성능은 베드로부터 재료를 자유롭게 취할 수 있다. 샤프트로 돌출하는, 워엄 컨베이어의 출발 영역의 중간 부분에서의 이와 같은 높은 컨베이닝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마찬가지로 출발 영역은 섹션으로 나누어지며, 컨베이닝 단면적은 컨베이닝의 방향에서 볼 때, 한 섹션으로부터 다음 섹션까지의 전이부에서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방법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전 섹션의 성능과 비교해서 증가한 성능을 가진 이들 영역에서, 베드로부터 더 많은 재료를 다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워엄의 전체 길이에 거쳐서 보다 균일한 컨베이닝 성능은 달성되며, 샤프트로 돌출하는 워엄 컨베이어의 출발 영역을 이런 두 부분으로만 나누면, 출발 영역이 너무 길지 않는 경우에, 컨베이닝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컨베이닝 단면적을 가진 워엄 컨베이어와 비교해서 컨베이닝 능력면에서의 큰 개선을 달성할 수 있기에 충분한다.
스크류의 회선의 길이와 수에 따라서, 샤프트로 돌출하는 출발 영역은 두 이상의 섹션으로 나눈다. 섹션의 수를 선택할 때 필수적인 중요점은 컨베이닝 단면적의 특정 증가에 있다. 섹션의 수의 증가 또는 컨베이닝 단면적의 감소된 증가와 더불어, 스크류의 형상 그러므로 컨베이닝 특성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컨베이닝 단면적을 가진 스크류의 것에 보다 가깝게 근접한다.
관련된 섹션 단부의 영역내의 컨베이닝 단면적의 갑작스런 증가는 워엄 컨베이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서 45。 이상, 적합하게 60。이상, 가장 적합하게 약 90。의 평균 증가를 가지는 것이다. 이 영역내의 워엄 나선의 단부면과 베드 재료사이의 마찰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그러므로 가능한 낮은 마모와 구동 성능을 요구하기 위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주 전이부(running transition)에 전이부를 만드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
저 레벨에 필요한 구동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컨베이닝 단면적의 갑작스런 증가가 컨베이닝 단면적을 원주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하며, 적합하게 균일하게 분포되는 경우에, 출발 영역을 3개 이상의 섹션으로 나누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컨베이닝 단면적은 워엄 컨베이어의 개별 섹션내에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 실시예는 제조 기술에 의해서 매우 간단하게 성취된다.
상술한 실시예를 변경한 실시예에 따라서, 컨베이닝 단면적은 워엄 컨베이어의 개별 섹션내에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변경 실시예는 종래 워엄 컨베이어의 장점과 본 발명에 따른 워엄 컨베이어의 장점을 조합한 것이며, 즉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컨베이닝 단면적은 증가된 컨베이닝 성능의 영역과 조합되어 있다.
양호하게, 워엄 컨베이어의 스크류 표면은 워엄 컨베이어의 샤프트상에 장착되어 있는 패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 표면이 워엄의 전체 길이에 거쳐서 연속적으로 설계될 수 있을 지라도, 패들에 의해 형성된 스크류 표면은 보다 쉽게 제조된다. 수선이 필요한 경우에, 또한 패들을 매우 쉽게 교환할 수 있다.
두 인접한 섹션 단부의 컨베이닝 단면적의 크기의 변경 정도는 섹션의 반경의 변화에 따라서, 운반되어질 덩어리 재료의 평균 입자 크기의 2 내지 8배의 크기, 적합하게 2 내지 6배의 크기 정도이다. 워엄 컨베이어의 출발 영역이 3개의 섹션으로 나누어진 경우의 실험에서는, 평균 입자 크기의 약 3 내지 4배의 컨베이닝 단면적의 반경의 증가가 특히 양호하다.
생각컨데, 양호한 실시예는 예들 들어 패들이 사용되는 경우, 다른 섹션에 속하는 두 인접한 패들중 제 2패들가 제 1패들보다 더 높은, 예들 들어 평균 입자 크기의 3배만큼 더 높은 사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예들 들어, 평균 입자 크기가 20mm이면, 이들 두 패들의 높이는 60mm만큼 차이가 난다.
실험에서, 패들 높이의 증가에 대한 측정치가 3배의 평균 입자 크기인 경우에, 높은 컨베이닝 성능을 가진 영역을 얻는데 특히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로의 추가의 특징에 따라서, 각각 워엄 컨베이어의 나선의 피치가 컨베이닝 방향으로 종래 방법으로 증가하도록 설계되어 있거나, 또는 컨베이닝 방향으로 처음에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그 다음에 증가된다. 이 방법으로, 컨베이닝 방향으로 워엄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될 수 있는 체적은 증가되며, 그러므로 베드로부터 취해진 재료는 본 발명에 따라 증가한 범위로 샤프트 로로부터 실제로 운반된다.
아래에,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로는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덩어리 재료의 베드(2)와 샤프트 로로부터 덩어리 재료를 배출하기 위한 워엄 컨베이어(3)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로(1)를 도시한다. 샤프트 로의 쉘을 따라서 있는 소위 버슬 부위(bustle zone)에서는, 다수의 가스 입구 개구가 있으며, 이 입구 개구를 통해서 환원 가스는 베드(2)로 취입된다. 샤프트 로(1)의 베이스 위에 별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워엄 컨베이어(3)(본 경우에 6개)는 덩어리 재료를 배출한다. 샤프트로 돌출하는 각 워엄 컨베이어(3)의 출발 영역(5: take-off region)은 3 섹션으로 나누어지며, 개별 섹션의 컨베이닝 단면적은 컨베이닝 방향, 즉 샤프트 로(1)의 벽을 향한 방향으로 갑자기 증가한다.
도 2와 도 3의 도면은 워엄 컨베이어(3)의 두 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워엄 컨베이어(3)의 단면적을 도시하며, 여기서의 컨베이닝 부분, 즉 샤프트로 돌출하는 출발 영역(5)은 패들(6)에 의해 형성된 단차된 나선의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출발 영역(5)은 3개의 섹션(7, 8, 9)으로 나누어지며, 인접한 섹션 단부에 있는 패들 높이는 운반되어질 덩어리 재료의 평균 입자 크기의 3배 만큼 증가한다. 개별 섹션(7, 8, 9)내에서는, 패들 높이와 그러므로 컨베이닝 단면적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3에 도시한 워엄 컨베이어(3)는 패들(6)의 높이가 개별 섹션내의 컨베이닝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2의 것과 다르다. 패들 높이는 단지 한 섹션으로부터 다음 섹션으로의 전이부에, 덩어리 재료의 평균 입자 크기의 3배 정도로 갑작스러운 변화를 받는다.
도 4a 내지 도 4c는 종래의 워엄 컨베이어와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컨베이닝 단면적을 가진 워엄 컨베이어의 섹션 관련 컨베이닝 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종래의 워엄 컨베이어의 컨베이닝 성능(도 4a)은 워엄 컨베이어의 중간 영역(제 2 내지 제 4 챔버)내에서 보다 워엄의 단부(제 1챔버)에서 높고 샤프트 로의 벽(제 5챔버) 가까이에서 매우 높다. 워엄 컨베이어를 다른 컨베이닝 단면적의 두 섹션으로 나누면(도 4b) 컨베이닝 성능은 컨베이닝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제 3챔버)내에서 증가하게된다. 3개의 섹션으로 나누어야만 출발 영역의 대부분에 거쳐서 일정한 컨베이닝 성능을 가져온다.
Claims (10)
- 샤프트 로(1), 특히 산화철 및/또는 해면철을 포함하는 덩어리 재료의 베드(2)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 로로부터 덩어리 재료를 배출하기 위해 샤프트 로의 쉘을 통과하며, 샤프트 로의 베이스 영역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샤프트 로의 쉘내에 장착되어 있는 워엄 컨베이어(3)를 가진 직접 환원 샤프트 로에 있어서,상기 샤프트로 돌출하는 길이방향의 각 워엄 컨베이어(3)의 출발 영역(5)은 두 개 이상의 인접한 섹션을 가지며, 상기 섹션의 인접한 단부의 컨베이닝 단면적은 컨베이닝 방향으로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로.
- 제 1항에 있어서, 관련된 섹션 단부의 영역내의 컨베이닝 단면적의 갑작스런 증가는 워엄 컨베이어(3)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서 45。 이상, 적합하게 60。이상의 평균 상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닝 방향으로의 상기 컨베이닝 단면적의 갑작스런 증가는 약 90。의 상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로 돌출하는 길이방향의 각 워엄 컨베이어(3)의 출발 영역(5)은 세 개 이상의 인접한 섹션을 가지며, 상기 컨베이닝 단면적은 컨베이닝 단면적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으며, 적합하게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로.
- 제 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닝 단면적은 각각의 워엄 컨베이어(3)의 개별 섹션내에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로.
-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닝 단면적은 각각의 워엄 컨베이어(3)의 개별 섹션내의 컨베이닝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로.
-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워엄 컨베이어(3)의 스크류 표면은 워엄 컨베이어의 샤프트상에 장착되어 있는 패들(6)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로.
-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워엄 컨베이어(3)의 인접한 섹션 단부의 컨베이닝 단면적의 증가는 덩어리 재료의 평균 입자 크기의 2 내지 8배의 크기, 적합하게 2 내지 6배만큼의 컨베이닝 단면적의 반경의 증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로.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로 돌출하는 각 워엄 컨베이어(3)의 출발 영역(5)은 세 개의 인접한 섹션을 가지며, 인접한 섹션 단부의 컨베이닝 단면적의 반경의 증가는 상기 덩어리 재료의 평균 입자 크기의 3 내지 4배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로.
-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워엄 컨베이어(3) 각각의 나선의 피치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또는 컨베이닝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TA1892/97 | 1997-11-07 | ||
AT0189297A AT405455B (de) | 1997-11-07 | 1997-11-07 | Schachtofen |
PCT/EP1998/006794 WO1999024626A1 (de) | 1997-11-07 | 1998-10-26 | Austragvorrichtung für schachtof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31825A true KR20010031825A (ko) | 2001-04-16 |
KR100557232B1 KR100557232B1 (ko) | 2006-03-07 |
Family
ID=352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04895A KR100557232B1 (ko) | 1997-11-07 | 1998-10-26 | 샤프트 로용 회수 장치 |
Country Status (17)
Country | Link |
---|---|
US (1) | US6280181B1 (ko) |
EP (1) | EP1029088B1 (ko) |
JP (1) | JP2001522937A (ko) |
KR (1) | KR100557232B1 (ko) |
CN (1) | CN1090680C (ko) |
AT (1) | AT405455B (ko) |
AU (1) | AU735530B2 (ko) |
BR (1) | BR9812775A (ko) |
CA (1) | CA2308388A1 (ko) |
DE (1) | DE59801664D1 (ko) |
PL (1) | PL340872A1 (ko) |
RU (1) | RU2194770C2 (ko) |
SK (1) | SK6672000A3 (ko) |
TR (1) | TR200001243T2 (ko) |
TW (1) | TW406178B (ko) |
WO (1) | WO1999024626A1 (ko) |
ZA (1) | ZA981017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29481B1 (en) | 1997-11-14 | 2002-08-06 |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
AT505490B1 (de) | 2007-06-28 | 2009-12-15 |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eisenschwamm |
CN102620552B (zh) * | 2012-04-01 | 2013-03-20 | 云南祥云中天锑业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锑氧粉冶炼的立式挥发炉 |
CN102925614A (zh) * | 2012-11-22 | 2013-02-13 |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竖炉排料装置 |
CN103408232A (zh) * | 2013-08-21 | 2013-11-27 | 山东省聚祥窑炉有限公司 | 一种立式石灰窑窑门 |
CN111910037B (zh) * | 2020-08-07 | 2022-01-25 | 唐山中科乾海环保科技有限公司 | 竖炉直接还原装置及其排料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557773A (en) * | 1922-04-03 | 1925-10-20 | Efficiency Mfg Co | Fuel-feeding apparatus |
US3704011A (en) * | 1971-08-12 | 1972-11-28 | Mintech Corp | Discharge mechanism for shaft kiln |
AT372109B (de) * | 1982-01-11 | 1983-09-12 | Voest Alpine Ag | Vorrichtung zum austragen von heissem gut, insbesondere von eisenschwamm aus einem schachtofen |
DE4116215A1 (de) * | 1991-05-17 | 1992-11-19 | Hilti Ag | Trommelfoermige transporteinrichtung |
AT397378B (de) * | 1992-07-07 | 1994-03-25 | Voest Alpine Ind Anlagen | Fördereinrichtung zum dosierten fördern von schüttgut |
-
1997
- 1997-11-07 AT AT0189297A patent/AT405455B/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
- 1998-10-26 TR TR2000/01243T patent/TR200001243T2/xx unknown
- 1998-10-26 PL PL98340872A patent/PL340872A1/xx unknown
- 1998-10-26 JP JP2000519617A patent/JP2001522937A/ja not_active Withdrawn
- 1998-10-26 BR BR9812775-6A patent/BR9812775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10-26 SK SK667-2000A patent/SK6672000A3/sk unknown
- 1998-10-26 RU RU2000114833/02A patent/RU2194770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10-26 AU AU16643/99A patent/AU735530B2/en not_active Ceased
- 1998-10-26 DE DE59801664T patent/DE59801664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10-26 WO PCT/EP1998/006794 patent/WO1999024626A1/de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10-26 KR KR1020007004895A patent/KR1005572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10-26 CN CN98810814A patent/CN109068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10-26 CA CA002308388A patent/CA2308388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8-10-26 US US09/530,985 patent/US628018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10-26 EP EP98961102A patent/EP1029088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11-06 ZA ZA9810170A patent/ZA9810170B/xx unknown
- 1998-11-18 TW TW087119075A patent/TW40617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R200001243T2 (tr) | 2000-11-21 |
RU2194770C2 (ru) | 2002-12-20 |
CN1090680C (zh) | 2002-09-11 |
BR9812775A (pt) | 2000-10-10 |
PL340872A1 (en) | 2001-03-12 |
EP1029088B1 (de) | 2001-10-04 |
CA2308388A1 (en) | 1999-05-20 |
AU1664399A (en) | 1999-05-31 |
KR100557232B1 (ko) | 2006-03-07 |
TW406178B (en) | 2000-09-21 |
ZA9810170B (en) | 1999-05-07 |
AT405455B (de) | 1999-08-25 |
SK6672000A3 (en) | 2000-11-07 |
DE59801664D1 (de) | 2001-11-08 |
CN1278305A (zh) | 2000-12-27 |
WO1999024626A1 (de) | 1999-05-20 |
JP2001522937A (ja) | 2001-11-20 |
ATA189297A (de) | 1998-12-15 |
AU735530B2 (en) | 2001-07-12 |
EP1029088A1 (de) | 2000-08-23 |
US6280181B1 (en) | 2001-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848988A2 (en) | Enclosed kneading apparatus | |
CA1158233A (en) | Twin-screw machine with screws rotatable in the same direction | |
EP0560715B1 (de) | Schachtofen zum Brennen von stückigem, mineralischen Füllgut | |
KR100557232B1 (ko) | 샤프트 로용 회수 장치 | |
KR20020008411A (ko) | 서스펜션 용융제련로의 정광 버너에 미분재를 균일하게장입하는 장치 | |
US4014642A (en) | Shaft cooler | |
KR100557230B1 (ko) | 샤프트 로 | |
US3030091A (en) | Rotary kiln with heat exchanger | |
US2126029A (en) | Apparatus for drying slurry and other materials | |
MXPA00004359A (en) | Withdrawal device for a shaft furnace | |
AU715697B2 (en) | Arrangemente for discharging and mixing lumpy material | |
JPH0424392Y2 (ko) | ||
RU2000114833A (ru) | Шахтная печь | |
US3549334A (en) | Apparatus for forming a thin film | |
KR20010032033A (ko) | 럼프 배출장치 | |
CZ20001653A3 (cs) | Šachtová pec | |
JPH0330798B2 (ko) | ||
RU2021021C1 (ru) | Шаровая мельница | |
SU1059376A1 (ru) | Барабанна сушилка | |
JP3536682B2 (ja) | 焼結鉱の製造方法 | |
AU9736098A (en) | Device for producing sponge iron | |
SU1274760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гранулировани материалов | |
SU1423902A1 (ru) | Вращающа с печь дл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глиноземсодержащей шихты | |
SU486198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кус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шахтную печь | |
SU1444606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шихты на спекательные тележк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