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493A - 무선통신 단말장치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장치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493A
KR20010031493A KR1020007004530A KR20007004530A KR20010031493A KR 20010031493 A KR20010031493 A KR 20010031493A KR 1020007004530 A KR1020007004530 A KR 1020007004530A KR 20007004530 A KR20007004530 A KR 20007004530A KR 20010031493 A KR20010031493 A KR 20010031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vity
channel signal
transmission
power
recep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3201B1 (ko
Inventor
히라마츠가츠히코
미야가즈유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1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 1 수신전력 측정부(206)에서 좁은 지향성으로 송신된 개별채널 신호의 수신전력을 측정하고, 제 2 수신전력 측정부(207)에서, 넓은 지향성으로 송신된 공통채널 신호의 수신전력을 측정한다. 판정부(210)에서 개별채널 신호 및 공통채널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에 근거하여 지향성의 어긋남의 유무를 판정한다. 송신전력 제어부(211)에서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송신전력 제어를 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이 좁은 지향성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도, 수신전력이 저하한 원인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송신전력을 정밀도 좋게 제어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장치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최근, 급속히 보급되어 온 휴대전화나 자동차전화 등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양호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장치 및 무선통신 단말장치(이하, 단지 「단말장치」라고 함)에 있어서 송신전력을 섬세하고 치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하, 종래의 단말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안테나(11)에서 수신된 신호는 공용기(12)를 경유하여 수신 RF부(13)에 입력되어, 수신 RF부(13)에서 수신 신호의 전력이 증폭되고,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가 출력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는 복조부(14)에서 복조되어 자국의 개별채널의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수신전력 측정부(15)에서 복조부(14)로부터 출력된 자국의 개별채널의 수신전력이 측정되고, 송신전력 제어부(16)에서 수신전력에 근거하여 송신 증폭기의 이득이 산출된다.
송신신호는 변조부(17)에서 변조되고, 송신 RF부(18)에서 주파수를 변환되어, 송신 증폭기의 이득에 근거하여 전력이 증폭되고, 공용기(12)를 경유하여 안테나(11)로부터 송신된다.
여기서, 무선 송신된 신호는 전파로에서 감쇠하기 때문에, 통신장치는 감쇠량을 고려하여 송신전력을 제어해야 한다. 단말장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수신전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시각 t1에 있어서, 기지국장치의 송신 증폭기의 이득을 GB(t1), 다운 링크의 감쇠량을 LD(t1)으로 하면, 단말장치가 수신한 자국의 개별채널의 수신전력 RM(t1)은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다.
또한, 시각 t2에 있어서, 단말장치의 송신 증폭기의 이득을 GM(t2), 업 링크의 감쇠량을 LU(t2)로 하면, 기지국장치의 수신전력 RB(t2)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각 전력값은 이득을 취하기 때문에 dB 표현으로 통일하여, 가감산에 의해 산출한다.
RM(t1)=GB(t1)·LD(t1)
RB(t2)=GM(t2)·LU(t2)
여기서, TDD(Time Division Duplex) 통신방식에서는 업 링크와 다운 링크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슬롯과 송신슬롯의 시간 간격이 짧은 경우에는 전파로를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고, 시각 t1의 다운 링크의 감쇠량 LD(t1)과 시각 t2의 업 링크의 감쇠량 LU(t2)을 동일하다고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의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은 목표이득인 예상하는 기지국장치의 수신전력 RB(t2)에 다운 링크의 감쇠량 LD(t1)을 가산한 값으로 되어,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3으로 표현할 수 있다.
GM(t2)=RB(t2)+LD(t1)
여기서, 기지국장치의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1)이 일정하고, 예상하는 기지국장치의 수신전력 RB(t2)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경우, 이들의 가산값을 고정이득 G0이라 하면, 단말장치의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은 수학식 1 및 수학식 3 부터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4에 의해 산출된다.
GM(t2)=G0·RM(t1)
이와 같이, 종래의 단말장치는 측정한 수신전력 RM(t1)에 근거하여, 기지국장치의 수신전력 RB(t2)가 일정하게 되도록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를 제어하고 있다.
여기서, 기지국장치가 좁은 지향성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경우, 전파로에서의 수신전력의 감쇠 외에, 단말장치에 대한 지향성의 어긋남에 의해서도 수신전력은 저하한다.
이 경우, 상기의 종래의 단말장치는 지향성의 어긋남에 의해서 수신신호가 저하한 경우이더라도 전파로에서의 감쇠로 간주하고, 과도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해 버리기 때문에, 주변의 다른 단말장치에 대한 간섭량이 증가하여 주변의 다른 단말장치가 통신불능으로 되고, 게다가, 배터리 수명이 줄어든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나 자동차전화 등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 단말장치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의 송신전력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의 송신전력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의 송신전력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장치가 좁은 지향성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도, 수신전력이 저하한 원인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송신전력을 정밀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개별채널의 수신전력으로부터 송신이득을 산출하여,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과 공통채널의 평균 수신전력의 비로부터 지향성의 어긋남의 유무를 판정하여, 지향성의 어긋남이 있는 경우에 보정값을 산출하여 송신이득을 보정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이하, 단지「단말장치」라고 함)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기지국장치(100)는 안테나(101)로부터 넓은 송신지향성으로 공통채널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각 단말장치에 대하여 좁은 지향성으로 개별채널 신호를 송신한다. 또, 시스템에 따라, 공통채널로서 퍼치(perch)채널이나 통지채널 등이 사용된다.
단말장치(200)는 안테나(201)에서 넓은 송신지향성의 공통채널 신호 및 좁은 지향성의 개별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CDMA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CDMA 방식은 각 단말장치에 서로 직교하는 확산부호를 할당하여, 그 확산 부호로 송신 데이터를 확산하여 송신한다. 복수의 단말장치 사이에서 직교한 부호를 채용함에 의해 동일 영역, 동일시각에서 같은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공용기(202)는 송신 시와 수신 시에 있어 신호가 통과하는 경로를 전환하고, 안테나(20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수신 RF부(203)에 출력하여, 송신 RF부(213)로부터 출력된 송신신호를 안테나(201)에 출력한다.
수신 RF부(203)는 수신전력을 증폭하고,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를 출력한다. 개별채널 복조부(204)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개별채널용 확산부호로 역확산하고, 복조하여 자국의 개별채널 신호를 출력한다. 공통채널 복조부(205)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공통채널용 확산부호로 역확산한다.
제 1 수신전력 측정부(206)는 역확산된 개별채널의 수신전력 RMD(t1)을 측정한다. 제 2 수신전력 측정부(207)는 역확산된 공통채널의 수신전력 RMC(t1)을 측정한다. 제 1 평균전력 산출부(208)는 측정된 개별채널의 수신전력 RMD(t1)의 평균값 ARMD(t1)를 산출한다. 제 2 평균전력 산출부(209)는 측정된 공통채널 RMC(t1)의 수신전력의 평균값 ARMC(t1)를 산출한다.
판정부(210)는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 ARMD(t1)과 공통채널의 평균 수신전력 ARMC(t1)의 차가 임계값 C보다 큰 지의 여부에 의해,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단말장치에 대하여 어긋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임계값 C는 시스템으로서 설정할 수도 있고, 개별채널의 통신개시 시에 기지국장치로부터 통지할 수도 있다.
공통채널의 평균 수신전력 ARMC(U)와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 ARMD(t1)의 차가, 임계값 C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단말장치에 대하여 일치한다고 판정할 수 있고, 임계값 C보다도 큰 경우에는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단말장치에 대하여 어긋나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 지향성의 유무의 판정에 있어서 평균 수신전력을 이용하는 것은 페이딩에 의한 순간 변동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송신전력 제어부(211)는 판정부(210)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개별채널의 수신전력과 공통채널의 수신전력을 이용하여,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을 산출하여, 송신 RF부(213)에 있어서의 증폭기를 제어한다.
여기서, 기지국장치는 통상, 복수의 지향성으로 수신하고, 수신 후의 신호를 합성하기 때문에, 다운 링크에 있어서의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 경우라도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일치하여 지향성 이득이 큰 경우, 개별채널의 수신전력이 예상 도달전력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개별채널의 수신전력에 근거하여 송신전력 제어를 하면, 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수신전력이 작게 되어, 기지국장치에서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지향성이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송신전력 제어부(211)는 고정이득 G0과 자국의 개별채널 수신전력 RMD(t1)에 근거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5에 의해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을 제어한다. 또, 고정이득 G0은 기지국장치의 송신 증폭기의 이득 GB(t1)과 예상되는 기지국장치의 수신전력 RB(t2)의 가산값이다.
GM(t2)=G0·RMD(t1)
한편,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어긋나 있어 지향성 이득이 작은 경우, 개별채널의 수신전력이 예상도달 전력보다도 작아지기 때문에, 개별채널의 수신전력에 근거하여 송신전력 제어를 하면, 기지국장치에 도달한 전력은 지향성의 어긋남에 의해서 수신신호가 저하한 만큼 커져 버린다.
따라서, 지향성이 어긋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송신전력 제어부(211)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6과 같이, 지향성이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와 비교하여, 단말장치의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를 정수 G1만큼 작게 설정한다.
GM(t2)=G0·RMD(t1)·G1
변조부(212)는 송신신호에 대하여 PSK나 QAM 등의 일차 변조를 하여, 확산 부호에 의한 2차 변조를 한다. 송신 RF부(213)는 변조된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고,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에 근거하여 송신전력을 증폭한다.
이하, 실시예 1의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신호는 공용기(202)를 경유하여 수신 RF부(203)에 입력되고, 수신 RF부(203)에서 수신신호의 전력이 증폭되고,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변환되어 베이스 밴드 신호가 출력된다.
베이스 밴드 신호는 개별채널 복조부(204)에서 개별채널용 확산부호로 역확산되고, 복조되어 자국의 개별채널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베이스 밴드 신호는 공통채널 복조부(205)에서 공통채널용 확산부호로 역확산된다.
그리고, 개별채널의 수신전력 RMD(t1)과 공통채널의 수신전력 RMC(t1)으로부터 제 1 수신전력 측정부(206), 제 2 수신전력 측정부(207), 제 1 평균전력 산출부(208), 제 2 평균전력 산출부(209), 판정부(210) 및 송신전력 제어부(211)에서 후술하는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져,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가 산출된다.
송신신호는 변조부(212)에서 변조되고, 송신 RF부(213)에서 주파수가 변환되고,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에 근거하여 증폭되어, 공용기(202)를 경유하여 안테나(201)로부터 송신된다.
다음에,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단말장치의 송신전력 제어에 대하여, 도 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수신전력 측정부(206)에서 자국의 개별채널의 수신전력 RMD(t1)이 측정되고(ST 301), 마찬가지로, 제 2 수신전력 측정부(207)에서 역확산된 공통채널의 수신전력 RMC(t1)이 측정된다(ST302).
다음에, 제 1 평균전력 산출부(208)에서,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 ARMD(t1)이 산출되고(ST 303), 마찬가지로, 제 2 평균전력 산출부(209)에서, 공통채널의 평균 수신전력 ARMC(t1)이 산출된다(ST304).
다음에, 판정부(210)에서 공통채널의 평균 수신전력 ARMC(t1)으로부터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 ARMD(t1)을 감산한 값이 임계값 C보다 큰 지의 여부에 의해,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T 305).
그리고, 지향성이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송신전력 제어부(211)에서, 수학식 5에서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이 산출되고(ST 306), 지향성이 어긋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송신전력 제어부(211)에서, 수학식 6에 의해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이 산출된다(ST 307).
이와 같이, 공통채널의 평균 수신전력과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으로부터 지향성의 어긋남의 유무를 판정하여,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 경우, 정수로써 송신이득을 보정하는 것에 의해, 송신전력을 과도하게 높게 하는 것을 방지하고, 타국에 대한 간섭을 억제하여, 단말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 경우, 공통채널의 평균 수신전력과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에 근거하여 송신이득을 보정하는 형태이다.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단말장치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지향성이 어긋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송신전력 제어부(211)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7과 같이, 지향성이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와 비교하여, 단말장치의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를 공통채널의 평균 수신전력 ARMC(t1)과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 ARMD(t1)의 차를 임계값 C에서 감산한 값만큼 작게 설정한다.
GM(t2)=G0·RMD(t1)(C·(ARMC(t1)·ARMD(t1)))
이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단말장치의 송신전력 제어의 흐름에 대하여,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수신전력 측정부(206)에서 역확산된 자국의 개별채널의 수신전력이 측정되고(ST 401), 마찬가지로, 제 2 수신전력 측정부(207)에서 역확산된 공통채널의 수신전력이 측정된다(ST 402).
다음에, 제 1 평균전력 산출부(208)에서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이 산출되고(ST 403), 마찬가지로, 제 2 평균전력 산출부(209)에서 공통채널의 평균 수신전력이 산출된다(ST 404).
다음에, 판정부(210)에서 공통채널의 평균 수신전력으로부터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을 감산한 값이 임계값보다 큰 지의 여부에 의해,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T 405).
그리고, 지향성이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송신전력 제어부(211)에서 수학식 5에 의해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가 산출되고(ST 406), 지향성이 어긋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송신전력 제어부(211)에서, 수학식 8에 의해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가 산출된다(ST 407).
이와 같이,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 경우, 지향성의 어긋남에 의한 공통채널과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의 차에 근거하여 송신이득을 보정함에 의해, 정수를 이용하여 보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송신전력 제어의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 경우, 공통채널의 수신전력에 근거하여 송신이득을 산출하는 형태이다.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단말장치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지향성이 어긋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송신전력 제어부(211)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8과 같이, 고정이득 G0과 측정한 공통채널의 수신전력 RMC(t1)에 근거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식에 의해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을 제어한다.
GM(t2)=G0·RMC(t1)
이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단말장치의 송신전력 제어의 흐름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수신전력 측정부(206)에서 역확산된 자국의 개별채널의 수신전력이 측정되고(ST 501), 마찬가지로, 제 2 수신전력 측정부(207)에서 역확산된 공통채널의 수신전력이 측정된다(ST 502).
다음에, 제 1 평균전력 산출부(208)에서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이 산출되고(ST 503), 마찬가지로, 제 2 평균전력 산출부(209)에서 공통채널의 평균 수신전력이 산출된다(ST 504).
다음에, 판정부(210)에서 공통채널의 평균 수신전력으로부터 개별채널의 평균 수신전력을 감산한 값이 임계값보다 큰 지의 여부에 의해,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T 505).
그리고, 지향성이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송신전력 제어부(211)에서 수학식 5에 의해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가 산출되고(ST 506), 지향성이 어긋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송신전력 제어부(211)에서, 수학식 8에 의해 송신 증폭기의 이득 GM(t2)이 산출된다(ST 507).
이와 같이, 개별채널의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 경우, 공통채널의 수신전력에 근거하여 송신이득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단말장치는 지향성이 크게 어긋나 가변지향성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라도 송신전력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지향성의 어긋남에 관한 정보를 송신 프레임에 다중화하여 기지국장치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송신전력을 정밀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지국장치에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지의 여부를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CDMA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다원 접속방식을 이용하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장치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장치가 좁은 지향성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수신전력이 저하한 원인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송신전력을 정밀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1998년 8월 28일 출원한 특허 출원 평성10-243744호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 내용을 여기에 포함시켜 놓는다.

Claims (14)

  1. 넓은 지향성의 공통채널 신호의 수신전력을 측정하는 제 1 전력 측정수단과,
    좁은 지향성의 개별채널 신호의 수신전력을 측정하는 제 2 전력 측정수단과,
    상기 제 1 전력 측정수단 및 상기 제 2 전력 측정수단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지향성의 어긋남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공통채널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으로부터 개별채널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을 감산한 값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지향성이 어긋나 있다고 판정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수단은 지향성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 초기 설정이득으로부터 개별채널 신호의 수신전력을 감산한 값을 송신이득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전력 제어수단은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 경우, 초기 설정이득으로부터 개별채널 신호의 수신전력을 감산하고, 또한 보정값을 감산한 값을 송신이득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수단은 임계값에 개별채널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을 가산하고, 공통채널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을 감산한 값을 보정값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수단은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 경우, 초기 설정이득으로부터 공통채널 신호의 수신전력을 감산한 값을 송신이득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지향성의 어긋남에 관한 정보를 송신신호에 다중(多重)하는 다중수단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8. 제 1 항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와 무선통신을 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넓은 지향성으로 공통채널 신호를 송신하고, 좁은 지향성으로 개별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장치.
  9. 넓은 지향성의 공통채널 신호의 수신전력과 좁은 지향성의 개별채널 신호의 수신전력에 근거하여 지향성의 어긋남의 유무를 판정하여,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송신전력 제어를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공통채널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으로부터 개별채널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을 감산한 값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지향성이 어긋나 있다고 판정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지향성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 초기 설정이득으로부터 개별채널 신호의 수신전력을 감산한 값을 송신이득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 경우, 초기 설정이득으로부터 개별채널 신호의 수신전력을 감산하고, 또한 보정값을 감산한 값을 송신이득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임계값에 개별채널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을 가산하여, 공통채널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을 감산한 값을 보정값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지향성이 어긋나 있는 경우, 초기 설정이득으로부터 공통채널 신호의 수신전력을 감산한 값을 송신이득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KR1020007004530A 1998-08-28 1999-08-20 무선통신 단말장치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 KR100333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43744 1998-08-28
JP24374498A JP3499448B2 (ja) 1998-08-28 1998-08-28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PCT/JP1999/004467 WO2000013342A1 (fr) 1998-08-28 1999-08-20 Terminal de communication radio et procede de commande de puissance d'e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493A true KR20010031493A (ko) 2001-04-16
KR100333201B1 KR100333201B1 (ko) 2002-04-18

Family

ID=1710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530A KR100333201B1 (ko) 1998-08-28 1999-08-20 무선통신 단말장치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39234B1 (ko)
EP (1) EP1028547A4 (ko)
JP (1) JP3499448B2 (ko)
KR (1) KR100333201B1 (ko)
CN (1) CN1116748C (ko)
AU (1) AU5301999A (ko)
CA (1) CA2307204C (ko)
WO (1) WO2000013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10564A4 (en) * 2000-07-28 2006-11-15 Ciena Corp DEVICE AND METHOD FOR LOOP AND RATE DEVICED POWER RESETTING
US6802035B2 (en) * 2000-09-19 2004-10-05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optimizing a transmission mode of wirelessly transmitted information
JP3829051B2 (ja) * 2000-09-19 2006-10-04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ハンドオーバの制御方法、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移動体端末
US6760882B1 (en) * 2000-09-19 2004-07-06 Intel Corporation Mode selec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based on statistical parameters
US8605686B2 (en) * 2001-02-12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021256B2 (ja) * 2002-06-24 2007-12-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チャネル設定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制御装置
US20050099968A1 (en) * 2002-06-25 2005-05-12 Osamu Yamano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7430403B2 (en) * 2005-03-01 2008-09-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ysteresis control
JP5132055B2 (ja) * 2005-12-26 2013-01-30 富士通株式会社 物理チャネルの再設定を行う装置および方法
US8971948B1 (en) * 2010-11-19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pensating antenna gain imbalan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9098A (en) * 1990-09-24 1992-07-07 Novatel Communication Ltd. Radio telephone u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in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JPH0787011A (ja) 1993-09-14 1995-03-31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装置及びスイッチ
FI943889A (fi) * 1994-08-24 1996-02-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lähetystehon säätämiseksi solukkoradiojärjestelmässä ja vastaanotin
TW347616B (en) * 1995-03-31 1998-12-11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st power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isclosed.
JP3452447B2 (ja) 1996-08-06 2003-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Cdmaシステム及びその送信電力制御装置
JP3818702B2 (ja) 1996-08-07 2006-09-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dma無線伝送システム並びに該システムにおいて用いられる送信電力制御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用測定装置
JP3323438B2 (ja) * 1998-03-27 2002-09-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3712160B2 (ja) * 1998-04-17 2005-11-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装置、無線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240998B2 (ja) * 1998-07-27 2001-12-25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パワー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13342A1 (fr) 2000-03-09
KR100333201B1 (ko) 2002-04-18
EP1028547A4 (en) 2005-06-15
US6539234B1 (en) 2003-03-25
CN1116748C (zh) 2003-07-30
AU5301999A (en) 2000-03-21
JP2000078076A (ja) 2000-03-14
CN1275274A (zh) 2000-11-29
CA2307204C (en) 2004-03-23
CA2307204A1 (en) 2000-03-09
EP1028547A1 (en) 2000-08-16
JP3499448B2 (ja) 200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7834B1 (en) Diversity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transmit power control method
CA2120768C (en) Transmitter power control system
US6597723B1 (en) Weighted open loop power control in a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KR100432565B1 (ko)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 핸드오프 경계를역방향 링크 핸드오프 경계와 균형을 맞추기 위한 방법 및장치
CA2367353C (en) Weighted open loop power control in a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KR100364945B1 (ko) 호 단절과 가입자 용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cdma 송신 전력 제어 방법
KR100923342B1 (ko) 패스로스 지원형의 폐쇄 루프 전력 제어를 이용한 시분할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기지국
KR100360178B1 (ko) 무선통신장치및그의송신전력제어방법과무선통신시스템
KR100934832B1 (ko) 이동체 통신 시스템,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단말,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동기 확립 판정 방법
KR100333201B1 (ko) 무선통신 단말장치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
EP1779563B1 (en) Estimation of received signal strength
CA2290406C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directivity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KR101014465B1 (ko) 이동국 신호에 의해 제 2 기지국에서 발생하는 간섭의 추정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이동국과 제 1 기지국 사이의 통신 적응
US7145886B1 (en) Communication terminal, base st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