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719A -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719A
KR20010030719A KR1020007003228A KR20007003228A KR20010030719A KR 20010030719 A KR20010030719 A KR 20010030719A KR 1020007003228 A KR1020007003228 A KR 1020007003228A KR 20007003228 A KR20007003228 A KR 20007003228A KR 20010030719 A KR20010030719 A KR 20010030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vity
terminal
signal
base st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라마츠가츠히코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0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7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116)는, 목적지 통신국과 다른 통신국이 상대적으로 근접한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선택 회로(113)는, 목적지 통신국과 다른 통신국이 상대적으로 근접한 경우는, 목적지 통신국 및 다른 통신국의 통신 지향성 중에서 단일의 통신 지향성을 선택하며, 가중 계수 승산 회로(104)는, 목적지 통신국에 대한 통신 지향성을, 선택된 단일의 통신 지향성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BASE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종래의 기지국 장치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a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 보아 단말 장치 A2와 단말 장치 B3이 떨어진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도 1b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 보아 단말 장치 A2와 단말 장치 B3이 근접한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a는,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기지국 장치는, 저속 데이터나 음성 등의 송신 전력이 적더라도 양호한 신호를 넓은 지향성(4)으로 송신하고, 고속 데이터 등의 송신 전력이 큰 신호를 좁은 지향성(5)으로 송신한다. 여기서는, 기지국 장치(1)는, 단말 A2에 대해서 넓은 지향성(4)으로 저속 데이터를 송신 전력을 적게 하여 송신하고, 단말 B3에 대해서 넓은 지향성(5)으로 고속 데이터를 송신 전력을 크게 하여 송신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송신 전력이 큰 신호, 즉 다른 사용자에게 간섭을 크게 주는 신호를 작은 공간, 즉 좁은 지향성(5)으로 가두는 것에 의해, 다른 통신 장치로의 간섭을 억제하여 회로의 가입자 용량을 크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지국 장치에서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 보아 단말 장치 A2와 단말 장치 B3이 거의 동일 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 즉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 A2의 위치와 단말 장치 B3의 위치가 가까운 경우에, 기지국 장치(1)로부터 단말 장치 A2에 대한 송신 신호가, 기지국 장치(1)로부터 단말 장치 B3에 대한 송신 신호와 중첩해 버린다. 이 경우, 기지국 장치(1)로부터 단말 장치 B3에 대한 송신 신호는, 송신 전력이 크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1)로부터 단말 장치 A2에 대한 송신 신호의 통신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 장치로부터 보아, 음성 통신과 같은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한 간섭량이 작은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장치가, 고속 통신과 같은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한 간섭량이 큰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장치와 동일 방향에 있는 경우에도, 간섭량이 작은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장치에 대해 품질이 높은 통신을 실행하는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목적은, 목적지 통신국이 통신국에 상대적으로 근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목적지 통신국과 상기 다른 통신국이 상대적으로 근접한 경우는, 상기 목적지 통신국에 대한 통신 지향성 및 다른 통신국에 대한 통신 지향성 중에서 단일의 통신 지향성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단일의 통신 지향성으로 되도록, 상기 목적지 통신국에 대한 통신 지향성 및 상기 다른 통신국에 대한 통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기지국 장치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무선 송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1b는,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의 위치 관계와 통신 지향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기지국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3a 및 3b는,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의 위치 관계와 통신 지향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지향성 제어 회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기지국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7은, 상기 실시예 4에 관한 기지국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기지국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통신 신호 A(101)는, 변조 회로(102)에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회선이나 무선 회로에 의해 전송이 용이한 신호로 변환된다. 변조 회로(102)에서 변조된 신호(103)는, 가중 계수 승산 회로(104)에서, 임의의 가중 계수(통상은 복소수)와, 후술하는 선택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승산된다. 이 가중 계수와 선택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승산된 신호(105)는, 후술하는 가산기에 출력된다.
통신 신호 B(106)도, 마찬가지로, 변조 회로(107)에서 변조되고, 변조된 신호(108)는, 가중 계수 승산 회로(109)에서 가중 계수와 후술하는 지향성 정보 취득부로부터 입력되는 지향성 정보가 승산된다. 이 가중 계수와 지향성 정보가 승산된 신호(110)는, 후술하는 가산기에 출력된다.
지향성 정보 취득부(111a)는, 송신 신호 A에 대해 지향성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하여, 지향성 정보(112)를 선택 회로(113)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지향성 정보 취득부 B(114)는, 송신 신호 B에 대해 지향성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하여, 지향성 정보(115)를 선택 회로(113)에 출력한다. 선택 회로(113)는, 후술하는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116)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지향성 정보(112) 또는 지향성 정보(115)중 어느 하나를 가중 계수 승산 회로(104)에 출력한다.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116)는, 송신 신호 A(101)를 송신하는 상대의 방향이, 송신 신호 B를 송신하는 상대의 방향과 가까운 경우는, 선택 회로(113)가 지향성 정보(115)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송신 신호 A(101)를 송신하는 상대의 방향이, 송신 신호 B를 송신하는 상대의 방향과 떨어져 있는 경우는, 선택 회로(113)가 지향성 정보(112)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가산기(117)는, 가중 계수 승산 회로(104, 109)가 출력하는 신호를 가산하고, 송신 RF부(118)는, 가산기(117)의 출력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한과 증폭을 실행하여, 안테나(119∼121)로부터 송신한다. 실시예 1에서는, 안테나를 3개 이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안테나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기지국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송신 신호 A(101)를 변조기(102)에서 변조하여 가중 계수 승산 회로(104)에 입력한다. 선택 회로(113)가,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116)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 A(101)의 지향성, 즉 지향성 정보(112)와, 송신 신호 B(106)의 지향성, 즉 지향성 정보(115)를 선택한다. 가중 계수 승산 회로(104)는, 선택 회로(113)의 출력 신호를 승산한다. 즉, 안테나(119∼121) 가중 계수를 변조 신호(113)에 승산하고, 안테나(119∼121)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신호 A(101)의 지향성을 형성한다.
한편, 송신 신호 B(106)를 변조 회로(107)에서 변조하고, 가중 계수 승산 회로(109)에 입력한다. 가중 계수 승산 회로(109)에서, 지향성 정보(115)를 승산한다. 즉, 안테나(119∼121)를 위한 가중 계수를 각각 변조 신호(106)에 승산하고, 안테나(119∼121)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신호 B(106)의 지향성을 형성한다.
가중 계수 승산 회로(104, 109)가 출력하는 신호는, 가산기(117)를 경유하여 송신 RF부(118)에 의해 주파수 변환 및 증폭되어, 안테나(119∼121)로부터 송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기지국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a는,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보아 서비스 에어리어내의 단말 장치 A(202)와 단말 장치 B(203)가 떨어진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도 3b는,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보아 서비스 에어리어내의 단말 장치 A(202)와 단말 장치 B(203)가 근접한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 A(202)와 단말 장치 B(203)가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보아 떨어져 있는 경우는, 넓은 지향성(204)에 의해 저속 데이터나 음성 등의 송신 전력이 작아도 양호한 신호를 송신하고, 좁은 지향성(205)에 의해 고속 데이터 등의 송신 전력이 큰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 A(202)와, 단말 장치 B(203)가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보아 거의 동일 방향에 있는 경우는, 좁은 지향성(205)으로, 저속 데이터나 음성 등의 송신 전력이 작아도 양호한 신호와, 고속 데이터 등의 송신 전력이 큰 신호를 송신한다.
스프레드 스펙트럼 통신 방식에 있어서는, 각각의 단말 장치에 확산 부호를 할당하여, 그 확산 부호로 송신 데이터를 확산하여 송신한다. 이 스프레드 스펙트럼 통신 방식에 있어서는, 이 확산 부로로서 복수의 단말 장치간에 직교한 부호를 채용함으로써, 동일 에어리어 동일 시각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 A(202)와 단말 장치 B(203)가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보아 거의 동일 방향에 있는 경우는, 단말 장치 A(202)에 대한 송신 신호 A와 단말 장치 B에 대한 송신 신호 B를 동일 지향성(205)으로 송신한다. 이 경우, 스프레드 스펙트럼 통신 방식에서는, 송신 신호 A에 사용되는 확산 부호와 송신 신호 B에 사용되는 확산 부호가 직교하기 때문에, 단말 장치 B(203)에 대해 송신하는 신호가 단말 장치 A(202)에 대한 신호에 인가되는 간섭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좁은 지향성(205)으로 단말 장치 A(202) 및 단말 장치 B(203)에 송신을 실행해도, 결과로서, 단말 장치 A(202)의 통신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좁은 지향성(205)으로 송신을 실행하기 때문에, 다른 통신 장치로의 간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 장치에 의하면, 음성 통신과 같이 다른 송신 장치에 인가되는 간섭량이 작은 목적지 통신국이, 고속 통신과 같이 다른 통신 장치에 큰 간섭을 주는 다른 통신국에 근접한 경우에도, 간섭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음성 통신과 같이 다른 통신 장치에 인가되는 간섭량이 작은 통신국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기지국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116)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 2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안테나(301∼303)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RF 회로(304)에서 증폭과 주파수 변환을 실행한다. 이 수신 신호(305)에 대해 도래 방향 추정 회로(306)가, 수신 신호 정보 취득부(307a)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신호 A의 정보(308)를 이용하여 도래 방향을 추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 회로(309)애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신 신호(305)에 대해, 도래 방향 추정 회로(310)가, 수신 신호 정보 취득부(311)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신호 B의 정보(312)를 이용하여 도래 방향을 추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 회로(309)에 출력한다.
비교 회로(309)는, 수신 신호 A와 수신 신호 B의 도래 방향이 거의 동일한 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이 판단 결과는, 제어 신호로서 선택 회로(113)에 출력된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안테나 3개를 이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안테나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116)는, 우선, 도 3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 A(202)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도래 방향과, 단말 장치 B(203)로부터의 도래 방향을 추정한다. 그리고,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116)는, 양자의 도래 방향이 거의 동일한 경우는, 단말 장치 A(202)의 위치와 단말 장치 B(203)의 위치가 가까운 것으로 판정하여, 도 2에 있어서의 선택 회로(113)를 지향성 정보(113)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문에, 송신 신호 A(101)와 송신 신호 B(106)는, 동일 지향성으로 송신된다.
한편,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116)는, 단말 장치 A(202)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도래 방향과, 단말 장치 B(203)의 도래 방향과 거의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단말 장치 A(202)의 위치와 단말 장치 B(203)의 위치가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선택 회로(113)를 지향성 정보(112)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문에, 송신 신호 A(101)는, 지향성 정보(112)로 작성한 지향성으로 송신되고, 송신 신호 B는, 지향성 정보(115)로 작성한 지향성으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2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통신 단말로부터의 신호의 도래 방향으로부터 단말 장치의 원근을 판정하여 2개의 지향성을 전환하므로, 지향성 전환을 간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기지국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116)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 3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안테나(401∼403)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RF 회로(404)에서 증폭과 주파수 변환을 실행한다. 수신 신호(405)에 대해, 가중 계수 승산 회로(406)가, 지향성 정보 취득부(407)로부터 입력되는 단말 장치 A에 대해 송신하는 지향성 정보와 동일 지향성 정보(408)를 승산한다.
여기에서, 지향성 정보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와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는 동일한 값(계수)으로 하고, 송신 신호의 주파수의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상이한 경우는, 주파수차의 분을 보정한 값(계수)으로 한다.
가중 계수 승산 회로(406)는, 안테나(401∼403)를 위한 가중 계수를 각각의 수신 신호에 승산하여 출력하고, 이 출력 신호(409)는, 가산기(410)에서 가산된다.
이에 따라, 안테나(401∼403)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단말 장치 A(202)에 대해 송신하는 지향성과 동일 지향성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신호에 대해, 수신 전력 측정 회로(411)가 수신 전력을 측정하여, 비교 회로(418)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수신 신호(405)에 대해, 가중 계수 승산 회로(412)가, 지향성 정보 취득부(413)로부터 입력되는 단말 장치 B에 대해 송신하는 지향성 정보와 동일 지향성 정보(414)를 승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향성 정보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와 수신 신호이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는 동일한 값(계수)으로 하고, 송신 신호의 주파수와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상이한 경우는, 주파수차의 분을 보정한 값(계수)으로 한다.
가중 계수 승산 회로(412)는, 안테나(401∼403)를 위한 가중 계수를 각각의 수신 신호에 승산하여 출력하고, 이 출력 신호(415)는, 가산기(416)에서 가산된다.
이에 따라, 안테나(401∼403)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단말 장치 B(203)에 대해 송신하는 지향성과 동일 지향성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신호에 대해, 수신 전력 측정 회로(417)가 수신 전력을 측정하여, 비교 회로(418)에 출력한다.
비교 회로(418)는, 수신 전력 측정 회로(411, 417)의 차를 검출하여, 이 차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이 차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는, 도래 방향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하고, 한편, 이 차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는, 도래 방향이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즉, 도 3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201)는, 단말 장치 A(202)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단말 장치 A에 대해 송신하는 때의 지향성과 동일 지향성(204)으로 수신하고, 그 수신 전력(수신 전력 1 : 넓은 지향성으로의 수신 전력)을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 장치(201)는, 단말 장치 A(202)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단말 장치 B에 대해 송신하는 때의 지향성과 동일 지향성(205)으로 수신하고, 그 수신 전력(수신 전력 2 : 좁은 지향성으로의 수신 전력)을 측정한다.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보아, 단말 장치 A(202)와 단말 장치 B(203)의 방향이 상이한 경우, 수신 전력 1(넓은 지향성)로는, 단말 장치 A(202)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반영할 수 있으나, 수신 전력 2(좁은 지향성)로는, 단말 장치 A(202)로부터의 송신 전력을 반영할 수 없다.
역으로,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보아, 단말 장치 A(202)와 단말 장치 B(203)의 방향이 동일한 경우는, 수신 전력 1과 수신 전력 2는, 어느 것도 단말 장치 A(203)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좁은 지향성으로 전환해도 어느 것의 단말 장치의 송신 전력을 반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는, 수신 전력 1과 수신 전력 2의 차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보아 단말 장치 A(202)와 단말 장치 B(203)가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 전력 1과 수신 전력 2의 차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보아 단말 장치 A(202)와 단말 장치 B(203)가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2개의 지향성을 간이하게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안테나를 3개 이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안테나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예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기지국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기지국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우선, 수신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안테나(501∼503)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공용기(504∼506)를 거쳐 수신 RF 회로(507)에서 증폭과 주파수 변환을 실행한다. 복조 회로(508)는, 단말 장치 A(202)로부터 송신된 신호 전력 정보를 취츨하여, 후술하는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509)에 출력한다.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509)는, 이하와 같은 판단을 실행한다.
(1) 지향성(204)에서 단말 장치 A(202)에 대해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 이 지향성(204)과 동일 지향성으로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 1과, 단말 장치 B(203)에 대해 송신하는 때의 지향성과 동일 지향성(205)으로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 2가 모두 소정 값 이상인 경우는, 단말 장치 A(202)의 위치와 단말 장치 B(203)의 위치가 가까운 것으로 생각되므로, 단말 장치 A(202)에 대한 지향성을 지향성(205)으로 전환한다.
(2) 지향성(205)으로 단말 장치 A(202)에 대해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수신 전력 1과 수신 전력 2가 모두 소정 값 미만인 경우는, 단말 장치 A(202)의 위치와 단말 장치 B(203)의 위치가 먼 것으로 생각되므로, 단말 장치 A(202)에 대한 지향성을 지향성(204)으로 전환한다.
다음에, 수신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송신 신호 A(510)를 변조 회로(511)에서 변조하고, 그 변조된 송신 신호(512)를 가중 계수 승산 회로(513)에 입력한다. 한편, 선택 회로(514)는, 지향성 제어 판정 회로(509)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지향성 제어 정보 취득부 A(515)로부터 입력되는 지향성 정보(516), 또는 지향성 제어 정보 취득부 B(517)로부터 입력되는 지향성 정보(51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가중 계수 승산 회로(513)에 출력한다.
가중 계수 승산 회로(513)는, 변조된 송신 신호(512)에 선택 회로(514)로부터 입력된 지향성 정보를 승산한다. 즉, 가중 계수 승산 회로(513)는, 안테나(501∼503)를 위한 가중 계수를 각각 변조된 송신 신호(512)에 승산하고, 송신 신호 A(510)의 지향성을 형성한다.
또한, 송신 신호 B(519)를 변조 회로(520)에서 변조하고, 이 변조된 송신 신호(521)를 가중 계수 승산 회로(522)에 입력한다. 가중 계수 승산 회로(522)는, 지향성 정보 취득부 B(517)로부터 입력되는 지향성 정보(518)를 변조된 송신 신호(521)에 승산한다. 즉, 안테나(501∼503)를 위한 가중 계수를 각각 변조된 송신 신호(521)에 승산하고, 송신 신호 B(519)의 지향성을 형성한다.
가산기(523)는, 지향성을 형성한 송신 신호 A(510)와 송신 신호 B(519)를 가산하고, 이 가산된 신호는, 송신 RF부(524)에 있어서 주파수 변환과 증폭이 실행되고, 공용기(504∼506)를 거쳐 안테나(501∼503)로부터 송신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 4에 관한 기지국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 4에 관한 기지국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안테나(601)에서 수신한 신호를, 공용기(602)를 거쳐 수신 RF부(603)에 입력한다. 수신 RF부(603)는, 입력된 신호를 IF 신호 또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이 주파수 변환한 신호를, 역확산기(605)와 역확산기(606)에 출력한다. 역확산기(605)는, 입력된 신호(604)에 대해, 송신 신호 A의 확산 부호(607)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실행한다. 이 역확산 결과의 전력이, 단말 장치 A(202)가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수신한 단말 장치 A(202)에 대한 신호의 수신 전력(수신 전력 1)이다.
역확산기(606)는, 입력된 신호(604)에 대해, 송신 신호 B의 확산 부호(608)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실행한다. 이 역확산 결과의 전력이, 단말 장치 A(202)가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수신한 단말 장치 B(203)에 대한 신호의 수신 전력(수신 전력 2)이다. 또한, 이들 확산 부호(607, 608)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이미 알려져 있다.
다음에, 프레임 조립 회로(609)가, 송신 프레임에 각각의 수신 전력을 부가하고, 확산기(610)에서 확산하며, 선택 RF부(611)에서 주파수 변환과 증폭을 실행하여, 공용기(602)를 거쳐 안테나(601)로부터 송신한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가 수신 전력을 기지국 장치에 통지하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가 어느 정도의 전력으로 수신하는 지의 여부를 간이하고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어, 지향성 전환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 송신과 같은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한 간섭량이 작은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장치가, 기지국 장치로부터 보아, 고속 통신과 같은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한 간섭량이 큰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장치와 동일 방향에 있는 경우에도, 품질이 높은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러이어내의 단말 장치가 2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어리어내의 단말 장치가 3개 이상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1998년 7월 27일 출원의 특허 공개 평 10-211458 호에 근건하는 것이다. 그 내용을 모두 여기에 포함시켜 놓는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 등을 이용한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서비스 에어리어내의 단말 장치끼리가 근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서비스 에어리어내의 단말 장치끼리가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 비교적 좁은 범위로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지향성으로 되도록 통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통신 지향성에 따라서 스프레드 스펙트럼 통신 방식에 의해 송신을 실행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도래 방향이 거의 동일한 경우에, 단말 장치끼리가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기지국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전력간의 차가 소정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단말 장치끼리가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기지국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전력이 모두 소정 값을 초과한 경우에, 단말 장치끼리가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기지국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 전력량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전력간의 차가 소정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단말 장치끼리가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기지국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전력이 모두 소정 값을 초과한 경우에, 단말 장치끼리가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기지국 장치.
  9. 스프레드 스펙트럼 통신 방식에 의해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대해 역확산을 실행하는 제 1 역확산 수단과,
    상기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어리어내의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대해 역확산을 실행하는 제 2 역확산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역확산 수단으로부터의 역확산 결과에 근거하는 수신 전력량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10. 서비스 에어리어내의 단말 장치끼리가 근접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공정과,
    서비스 에어리어내의 단말 장치끼리가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 비교적 좁은 범위로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지향성으로 되도록 통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공정과,
    상기 통신 지향성에 따라서 스프레드스펙트럼 통신 방식에 의해 송신을 실행하는 송신 공정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007003228A 1998-07-27 1999-07-26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0100307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145898A JP2000049798A (ja) 1998-07-27 1998-07-27 無線通信装置
JP98-211458 1998-07-27
PCT/JP1999/003990 WO2000007394A1 (fr) 1998-07-27 1999-07-26 Dispositif de station de base et procede de radio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719A true KR20010030719A (ko) 2001-04-16

Family

ID=1660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228A KR20010030719A (ko) 1998-07-27 1999-07-26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026907A1 (ko)
JP (1) JP2000049798A (ko)
KR (1) KR20010030719A (ko)
CN (1) CN1274510A (ko)
AU (1) AU4801099A (ko)
BR (1) BR9906630A (ko)
CA (1) CA2304791A1 (ko)
WO (1) WO2000007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5437B2 (ja) * 2001-05-10 2004-10-13 日本電気株式会社 指向性制御装置
JP2003244054A (ja) * 2002-02-21 2003-08-29 Ntt Docomo Inc 送信制御装置及び送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4111B2 (ja) * 1996-08-28 2001-09-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指向性制御アンテナ装置
JP3369069B2 (ja) * 1996-12-25 2003-0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3266091B2 (ja) * 1998-03-04 2002-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906630A (pt) 2000-08-01
EP1026907A1 (en) 2000-08-09
WO2000007394A1 (fr) 2000-02-10
JP2000049798A (ja) 2000-02-18
CA2304791A1 (en) 2000-02-10
AU4801099A (en) 2000-02-21
CN1274510A (zh) 200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426B1 (ko) 무선 통신기
EP0668668B1 (en) Mobile CDMA/TDD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transmission antennas selection means
KR100495962B1 (ko) 경로가중치송신장치및방법
KR100828056B1 (ko) 스위칭 빔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빔 스위칭의 과도 현상의 임팩트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363367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
EP2175572B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00069470A (ko) 스마트 안테나 씨디엠에이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20026444A (ko) 이동국 장치, 기지국 장치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
WO1999052229A1 (fr) Appareil pour station de base radio, et procede de radiocommunications
EP1492252B1 (en) Multi-beam antenna transmitter/receiver and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and transmission beam selection method
KR100311236B1 (ko) 송신기및수신기
JPH08274687A (ja) Cdma無線伝送装置およびcdma無線伝送システム
US7075909B1 (en) Radio spectrum management apparatus for base stations
KR20010101135A (ko) 무선 기지국 장치,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송신 방법
EP1424791A1 (en) INTERFERENCE WAVE POWER MEASUREMENT APPARATUS,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6529496B1 (en) TSTD transmitter for limiting transmission power of antenn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or bas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68993A1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0435795B1 (ko) 무선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JP2001326586A (ja) Cdma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チャネル推定方法
JP3594527B2 (ja) 無線通信品質測定装置、無線通信品質測定方法及び受信装置
WO2007129258A2 (en) Receiver with afc function for operating in soft handover
WO2000031900A1 (fr) Station base et procede ce commande de puissance d'emission
KR20010085201A (ko) 시디엠에이방식의 이동무선단말장치
JP2000040988A (ja) 無線通信装置
KR20010030719A (ko)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