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518A - 소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소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518A
KR20010030518A KR1020000056920A KR20000056920A KR20010030518A KR 20010030518 A KR20010030518 A KR 20010030518A KR 1020000056920 A KR1020000056920 A KR 1020000056920A KR 20000056920 A KR20000056920 A KR 20000056920A KR 20010030518 A KR20010030518 A KR 20010030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lower wall
connector housing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443B1 (ko
Inventor
야마구찌도미사부로
데쯔야아사까와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2001003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8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with through openings for individual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presenting a contact carrying strip, e.g. edge-like str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감소된 무게와 크기를 갖는 차폐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부벽 및 하부벽을 갖지만 그 상하부벽을 상호 연결하는 어떠한 측벽도 갖지 않는 내부 절연성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은 커넥터 내에서 복수의 전도성 단자를 지지하기 위한 중앙 지지부를 보유한다. 단자들은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벽 및 하부벽과, 커넥터 하우징의 부품들 주위의 차폐 부재를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된 한 쌍의 측벽과 상호 작용하여 형성된 커넥터의 리셉터클 부분 내에서 지지된다. 금속 접지 차폐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분 위에 놓이고 금속 쉘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상에 보유되도록 제공된다. 금속 쉘과 차폐부는 상호 작용하여 커넥터 내의 단자에 전기적 차폐 작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형 커넥터{Reduced-Size Connec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 이용된 인발 가공된 차폐 장치를 갖는 소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 노이즈와 같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의 상자형 절연성 하우징의 외주면에 금속 차폐부가 배치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커넥터의 일 예는 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공개 (평)5-34679호, 일본 특허출원공개 (평)10-8386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공보에서 개시된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에 장착되고, 금속판으로 제작된 사실상 U자형의 한 쌍의 차폐 부재가 사실상 박스형의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4개 또는 3개의 외부면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본 출원의 도15 및 도16은 그러한 종래의 차폐 커넥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15는 리셉터클형 커넥터(R)를 도시한 반면에, 도16은 플러그형 커넥터(P)를 도시한 것이다. 리셉터클 커넥터(R)는 전형적으로 플러그 커넥터(P)보다 크기가 작은데, 도면은 축척에 따르지 않고 리셉터클 커넥터(R)를 나타낸 크기는 명확성을 위해 확대되었다.
도15의 리셉터클 커넥터(R)에 대하여, 커넥터의 차폐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면 상에 배치된 금속 쉘(320)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부로부터 바라본 바와 같이 사실상 U자형의 형상이고 커넥터 차폐부는 또한 금속 쉘(320)과 커넥터 절연성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된 단면이 U자형인 금속 차폐판(330)을 포함한다. 금속 쉘(320)은 3개의 표면, 즉 절연성 하우징의 전방면 및 양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한편, 차폐 금속판(330)은 3개의 면, 즉 절연성 하우징의 상부면 및 양 측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의 4개의 측면, 즉 전방면, 상부면 및 양 측면은 실제로 차폐부로 덮인다. 결합편(303)은 플러그 커넥터(P)에 대향하는 금속 차폐부로서 역할하는 단자부(310)의 결합 리세스부(311)와 결합되는 금속 차폐판(330) 상에 제공된다.
금속 쉘(320)은 전방면 차폐부(323)와 커넥터의 양 측면 상의 측면 차폐부(324)를 갖는다. 결합 슬리브부(307)는 플러그 커넥터(P)의 단자부(310)가 삽입되는 개구(321)를 갖고, 차폐부의 정면(323)에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슬리브부(307)는 사실상 직사각형의 슬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넥터의 정면 상에 외향 돌출된다. 이러한 금속 쉘(320)은 일반적으로, 전체 금속 차폐판이 블랭크로부터 스탬핑 가공된 후, 결합 슬리브부(307)의 특정 부분을 인발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볼록부(308)는 리세스(312)와 결합하는 편극부(polarizing portion)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핀 접속 단자(313)는 플러그 커넥터(P) 내에 배열된다.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커넥터들은 크기가 소형화 경향이 있으며, 또한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다. 그러나, 커넥터의 치수 안정성을 잃지 않고 이러한 커넥터들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폐부의 치수 안정성을 유지하고 그 전기적 특성을 보유하면서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15 및 도16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는 문제점이 있다. 이들 커넥터의 제조 원가는 결합 슬리브부(307)가 인발 가공에 의해 성형되기 때문에 고가이다. 또한 이들 커넥터의 외관은 이 인발 가공된 구조로 인해 길어짐으로써, 소형화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곤란하다. 결합 슬리브부(307)는 인발 가공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만족스러운 치수 안정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비틀림 힘과 같은 큰 힘이 플러그 커넥터(P)와의 결합시 결합 슬리브부(307)에 인가될 수 있다. 반복적인 제거 및 삽입에 의해 발생된 이들 힘들은 커넥터의 인발 가공된 부분을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커넥터에서, 차폐부의 전지적 성능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커넥터의 크기 및 커넥터의 전체 중량을 감소함으로써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한 커넥터로 사용된 종래의 커넥터 하우징은 사실상 6개의 면을 갖는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절연성 하우징의 고유 기능적 측면에서, 접점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 및 그 내측 접점의 주위의 범위에서 차폐 부재를 지지하도록 하우징을 갖는 것이 만족스럽다. 상술한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은 금속 차폐부를 지지하는 구조와 그 요구된 기계적 강도를 갖지만, 그 구조적 안정을 위해 불필요하게 큰 두께를 갖는다. 이는 소형화 및 무게 감소를 얻기 위한 목적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일으킨다.
리셉터클 커넥터(R)에 플러그 커넥터(P)의 반복적인 제거 및 삽입이 발생하는 이러한 커넥터의 유형에서, 결합부에서 마찰 마모 또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어서,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들의 차폐 부재들의 사이의 접촉 안정성이 시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마찰 마모가 2개의 커넥터들의 기계적 안정성을 감소시켜서 2개의 각 결합 차폐부들의 사이에서 변위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2개의 커넥터의 삽입/제거의 빈도 및 조건에 따라 2개의 커넥터의 사이의 결합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전체 커넥터 시스템의 접지 안정성(즉, 차폐부에 의해 전기적 노이즈가 회로 기판 상의 접지부로 안내되는 능력)이 떨어질 것이다.
특히, 접지 안정성 문제에 대해서는, 2개의 차폐부들의 사이의 변위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불안정하게 되고 전기적으로 전달된 노이즈 요소가 회로 기판 상의 접지부로 안내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개선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특히 커넥터의 리셉터클측의 크기 및 무게가 감소되고, 삽입 및 제거 사이클에서의 반복 사용에 적합한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대향 플러그 커넥터로의 신뢰성 있는 결합을 제공하고, 두 개의 커넥터들의 결합시에 안정성을 갖고, 대향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었을 때 커넥터의 접점을 전기적 노이즈로부터 차폐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로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한 USB 형태를 취하고, 상부벽 및 이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벽을 갖지만 어떠한 측벽도 갖지 않는 커넥터 본체를 갖고, 상기 상부벽 및 하부벽은 커넥터 하우징에 겹쳐지는 금속 쉘의 측부 편들과 상호 작용하여 대향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내부 공동을 형성하게 되는 구성을 취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절연 재료로 형성되고 복수의 전도성 단자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갖고 외팔보식으로 하우징 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벽 및 하부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 및 하부벽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어떠한 수직 측벽도 갖지 않는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본체의 외부면의 대부분을 둘러싸고 상부판 및 전방판과 상기 상부판, 정면판 및 커넥터 본체 주위에 형성된 두 개의 측판을 갖는 전도성 금속 쉘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쉘 측판은 커넥터의 리셉터클의 측벽을 형성하고 금속 쉘은 커넥터 하우징 상의 제위치에서 별도의 금속 차폐 부재를 보유하는, 소형 및 경량의 USB 형태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로 기판에 장착되기 위한 소형 케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소형 커넥터는 본체부로부터 외팔보식으로 된 상부벽 및 하부벽을 구비하는 절연 내부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감소된 크기를 갖고, 상기 상부벽 및 하부벽은 플러그 수용 리셉터클의 상부 및 하부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그 상부벽과 하부벽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상부벽 및 하부벽과 상호 작용하여 커넥터의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측부 편을 포함하고 그 상에 장착된 차폐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회로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커넥터의 전방 단부도.
도3은 도2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커넥터의 단면도.
도4는 도2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한 커넥터의 단면도.
도5는 도1의 커넥터의 측면도.
도6은 도1의 커넥터의 평면도.
도7은 도1의 커넥터의 저면도.
도8은 도6의 선 Ⅷ-Ⅷ를 따라 취한 커넥터의 단면도.
도9는 도6의 선 Ⅸ-Ⅸ를 따라 취한 커넥터의 단면도.
도10은 도1의 커넥터에 이용된 금속 쉘로 형성되는 금속 블랭크의 평면도.
도11은 도1의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상에 놓여진 도10의 금속 차폐부의 전방 단부도.
도12는 도11의 선 ⅩⅡ-ⅩⅡ를 따라 취한 금속 차폐부의 단면도.
도13은 도11의 금속 차폐부의 평면도.
도14는 도11의 금속 차폐부의 우측면도.
도15는 종래의 차폐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
도16은 종래의 차폐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자
10 : 하우징
20 : 쉘
21 : 개구
22 : 프레임부
24 : 측벽
26, 30, 33 : 차폐부
27. 32 : 결합편
34 : 스프링편
본 발명은 신규하고 독특한 구조에 의해 상기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의 수단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1 수단은, 절연성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접점과 커넥터 하우징의 표면 위에 위치되는 차폐 부재를 갖는 차폐 커넥터에 의해 특징지워지는데, 이 차폐 부재는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하우징의 개구를 둘러싸기 위한 프레임부를 갖춘 금속 쉘과 상기 금속 쉘과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금속 차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측벽 없이 형성되지만 상부벽과 하부벽 및 커넥터 하우징을 통해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중간 접촉 지지부를 보유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개방 측벽부들은 차폐 부재의 부분들에 의해 덮인다.
이러한 특징적인 수단에 의해서, 커넥터 하우징의 측벽들은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거된 측벽들과 관련되는 한 커넥터를 소형화 및 경량화 하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의 개방된 양 측벽들이 차폐 부재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전체 커넥터의 충분한 차폐 성능과 커넥터의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수단은,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면을 덮기 위한 상부면 차폐부와 커넥터 하우징의 양 개방측부를 덮기 위한 두 개의 측면 차폐부 및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부들을 갖는 금속 차폐부에 의해 특징지워지는데, 상기 스프링부는 커넥터의 내향으로 대면하고 대향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들에 대향하는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는다.
제2 수단에 의해서, 스프링부는 측면 차폐부들 상에 마련되고, 커넥터 하우징이 측벽을 갖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부는 플러그 커넥터의 대향 측면에 접촉하게 되며 이로써 플러그 커넥터를 어떠한 흔들림 또는 변위도 없이 안정된 상태로 효과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에 의해 수행된 전기 접속은 어떠한 전기 노이즈도 리셉터클 커넥터가 장착되게 되는 회로 기판 상에 위치한 접지부로 직접 전해지는 방식으로 안정하게 된다. 스프링부는 대향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에 접촉하게 되어서 스프링부와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 사이의 마찰에 기인한 저항은 함께 결합된 두 개의 커넥터들을 유지하기에 충분하게 된다. 두 개의 커넥터의 삽입 및 제거 중에 일어나는 안정성은 스프링편들에 의해 야기된 마찰저항에 기인하여 증진된다.
본 발명의 제3 수단은 결합편이 플러그 커넥터의 표면의 리세스부와 결합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부 상에 마련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결합편은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 판부 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커넥터의 절연성 하우징 내로 안내된다. 이러한 수단에 따라서, 결합편은 금속 차폐부의 상부면 차폐부 상에 구비되어, 리셉터클 커넥터 내에서 제 위치에 플러그 커넥터를 유지하도록 대향의 플러그 커넥터의 표면의 리세스부와 결합할 것이다. 케넥터 리셉터클 내의 대향 결합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좌측 및 우측 스프링편에 더하여, 이 결합편은 플러그 커넥터의 상부면을 따른 위치에 단순히 작용함으로써, 3개의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 상에 힘을 가하여,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 내에서 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결합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반복되는 삽입 및 제거시에 커넥터의 안정성도 향상된다.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 판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영역 내에 결합편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결과 이 개구는 본 발명으로써 달성되는 중량 감소에 더 기여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개선된 차폐 커넥터(R)는 도1 내지 도14 및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되고,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커넥터의 예로서 USB 스타일의 "DIP" 타입 전기 커넥터가 설명된다. 도시된 커넥터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 상에 장착되도록 계획된 것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커넥터(R)에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접촉부 또는 단자(1)를 지지하기 위한 내부 절연성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면 위에 놓아 그에 의해 단자(1)를 차폐하는 금속 쉘(20)이 구비된다. 금속 쉘(20)은 커넥터(R)와 쉘(20) 내의 개구(21)를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부 또는 패널부(22)를 포함한다. 이 개구(21)는 도16에 도시된 것과 갖은 대향 플러그 커넥터(P)의 일부를 수용한다. 프레임부(22)는 개구(21)를 완전히 둘러싸는 것으로 도시될 수 있다.
전방 프레임부(22)는 시임(seam)이 없고, 이는 개구(21)의 전체 연장부 또는 주연부를 둘러싼다. 만일 원한다면, 전방 프레임부(22)는 프레임보다 더 큰 프로파일을 갖는, 즉 프레임보다 더 큰 볼록부(22a)를 포함하여, 대향 플러그 커넥터(P)의 해당 리세스부와 정합하는 개구(21)에서 편극 특성을 형성한다. 대향 플러그 커넥터(P)는 도16에 도시된 것과 크기 및 상세한 내용에서 사실상 동일할 것이어서, 여기에서 이를 다시 설명할 필요는 없다.
커넥터의 절연성 하우징(10)은 복수의 개구를 갖는 상자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10)은 바람직하게는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수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도3, 도4, 도8 및 도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은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판 또는 상부 벽부(10a),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판 또는 하부 벽부(10b), 대향 플러그 커넥터(P)의 선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삽입 개구(21)를 갖는 전방 벽부 또는 전방면(10c),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전도성 단자(1)가 연장하고 있는 연장된 개구(11a)를 갖는 후방 본체부(10d)를 포함한다. 상부 벽부(10a) 및 하부 벽부(10b)는 후방 본체부(10d)로부터 외팔보를 형성한다. 이들 단자(1)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표면일 수 있는 땜납 미부(solder tail)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도시된 관통 구멍 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요하게는,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어떠한 측벽들 또는 측판부 없이 형성된다. 오히려, 하우징(10)은 상부벽부(10a)와 하부벽부(10b) 사이에 배치된 단자 지지 벽부(11)와 함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U자 형상이다. 단자 지지 벽부(11)는 또한 하우징 후방 본체부(10d)로부터 외팔보를 형성한다.
도3에서, 하우징(10)은 하우징(10)의 상부판부(10a)에 부가되는 금속 차폐부(30)의 결합부(32)를 수납하는 상부면의 개구(10e)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판부(10a)는 금속 쉘(20)의 두께와 대략 일치하는 내부에 형성된 얇은 오목부(10f)를 갖는 전방부(10c)(도3)를 포함한다. 이는 금속 쉘(20)이 금속 차폐부(30)에 대해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상부 판부(10a)의 두께가 감소되어, 금속 쉘(20)의 외부 표면이 금속 차폐부(3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기 때문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는 측벽이 형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부 판부(10a) 및 하부 판부(10b)는 하우징(10)의 후방 본체부(10d)로부터 외팔보식으로 외향 연장된다. 안전을 위해, 하우징 후방 본체부(10d)는 커넥터 하우징(10)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판부에 비해 두꺼운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커넥터 하우징(10)은 대체로 상자형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 부분에 커넥터 하우징(10)에 하나 이상의 전도성 단자를 지지하는 내부 또는 중심 단자 지지부(11)가 제공된다. 단자는 도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으며, 각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된 말단부 및 본체를 따라 형성되어 연장된 접촉부(3)를 포함한다. 하우징 단자 지지부(11)는 단자를 수납하는 개구를 가지며 단자(1)의 자유단(2)이 지지되는 렛지(ledge) 또는 단부(13)를 포함한다. 단자의 접촉부(3)는 단자 지지부(11)의 하부를 통해 돌출되며 커넥터 삽입 개구의 부분(12) 내로 연장된다. 접촉부(3)는 단자(1)의 자유단(2) 근처에 형성되어, 단자(1)와 대향 커넥터(P)의 대향 단자 사이의 양호한 접촉을 보장하는 스프링 효과가 개선된다.
단자(1)의 미부(4)는 후방 통로 또는 포트(11)에 의해 하우징(10)을 나오며, 직선으로 연장되어 커넥터 하우징(10)의 낮은 부분을 통해 돌출되도록 하향으로 굽혀질 수도 있다. 미부(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연장되어 커넥터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에 형성된 관통 구멍 내로 삽입될 수도 있으며, 또는 미부는 회로 기판 상의 접촉 패드에 납땜되도록 수평면으로 굽혀질 수도 있다.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R)는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배치된 4개의 단자(1)를 갖는 4핀 커넥터로서 도시되어 있다. 단자 미부(4)의 주름(bunching)을 방지하기 위해, 미부는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엇갈려 있다. 다른 단자 구조 및 형태도 고안되어 있다.
금속 쉘(20)은 적절한 금속 블랭크를 스탬핑 가공하여 굽힘으로서 형성된다. 금속 블랭크(20A)는 도10의 평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①에 표시된 전방면 차폐부(23), ②에 표시된 전방면의 양 측에 그로부터 이격된 두 개의 측면 차폐부 (24), ③으로 표시된 상부면 차폐부(25), ④에 표시된 하부면 차폐부(26), ⑤로 표시된 두 개의 결합편(27), ⑥으로 표시된 고정편(28)을 포함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이들 모든 부분들은 커넥터 하우징(10)의 외부면 위에 중첩하는 금속 쉘의 부분을 형성한다. ① 내지 ⑥에 의해 표시된 이 중첩부는 도10에서 점선을 따라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금속 쉘(20)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커넥터 하우징(10)의 여섯 면 중 각각의 다섯 면 위에 중첩하는 중첩 구조로서 고려될 수 있는 것을 갖는다. 따라서, 금속 쉘(20)은, 모두가 굽힘 또는 성형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의 여섯 면중 다섯 면을 중첩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가져, 금속 쉘(20)은 커넥터 하우징(10)에 용이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쉘(20)의 연결부(도1)는 도10의 점선을 따라 금속 쉘(20)의 굽힘 중 형성된다. 이들 연결부는, 커넥터 하우징(10)의 양 측면에 위치되고 대응 상보 성형 절단 개구(29) 내에 수납되어 금속 쉘(20)의 양 결합편(27) 및 측벽(24)이 서로 같은 높이가 되는 결합편(27)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연결부는 커넥터의 외부면 상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측벽(29)의 절단 개구(29)는 동일한 두께의 부재로서 결합편(27)을 수용하는 크기로 결정되는 것이 좋다. 금속 쉘(20)은 금속 쉘(20)로부터 돌출되고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슬롯 내에 수납되는 탭(24a)을 또한 포함하며, 탭은 통상 커넥터(R)가 사용되는 장치의 접지에 직접 연결되는 접촉부를 갖는다.
도1은 또한 커넥터 하우징(10)에 부가된 금속 쉘(20)과 함께 굽힘 후 커넥터(R)에 부가된 금속 쉘을 도시한다. 금속 블랭크로부터 스탬핑 가공되어 소정의 형상으로 굽혀진 금속 차폐부(30)는 커넥터(R)의 위치에 제공된다. 금속 차폐부(30)는 절연성 하우징(10)과 금속 쉘(20) 사이에 배치되며 금속 쉘(20)에 의해 하우징(10) 상의 위치에 한정된다. 도11은 금속 차폐부의 정면도이며, 차폐부의 단면도가 도13에 도시되며, 우측면도가 도14에 도시된다.
금속 차폐부(30)는 전방 단부로부터 볼 때 U자형으로 형성되고, 커넥터 하우징(10)의 상부면의 일부를 덮는 상부면 차폐부(31)를 포함한다. 금속 차폐부(30)는 또한 커넥터 하우징(10)의 개방측의 양쪽을 덮는 두 개의 측면 차폐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측면 차폐부(33)는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편(34)을 포함한다. 금속 차폐부는, 도3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 및 금속 차폐부(30)의 내부로 돌출된 결합편(32)을 또한 포함한다. 이들 결합편은 도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P)의 대향 리세스(311)를 억지끼워맞춤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각각의 스프링편(34)은 플러그 커넥터(P)가 리셉터클 커넥터(R) 내로 삽입될 때 리셉터클 커넥터 개구(21) 내의 위치에 대향 플러그 커넥터(P)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들 스프링편(34)은 플러그 커넥터 측벽(310)의 측면에 대향하여 놓인다. 이들 스프링편(34)은 본체부(34a)로부터 연장된 자유단 부분(34b)을 가지며 측면 차폐부(33)의 부분으로서 형성된 본체부(34a)(도12)를 갖는 판의 형상을 갖는다. 자유단 부분(345)은 측면 차폐부를 따라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면의 측면들 상에 연장된다. 슬롯(35)은 스프링편(34)이 측면 차폐부(33)로부터 자유로이 이동하여 한 쌍의 스프링 아암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양 측면 차폐부(33)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각각의 스프링편(34)은 차폐부(30)가 그로부터 스탬프 성형되는 금속 블랭크의 두께 순서로 내향으로 약간 돌출한다. 이러한 내향 돌출부는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스프링편(34)을 그 본체부(34a)의 영역 내에서 굴곡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각각의 스프링편(34)은 금속 차폐부의 내벽을 따라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P)가 그 안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리셉터클 개구(21) 내에 있게 된다. 이러한 2개의 스프링편(34)은 커넥터 개구(21)의 좌측 및 우측의 양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양 플러그 커넥터(P) 상에 압력을 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금속 차폐부(30)는 또한 결합편(32)의 자유 단부(32b)가 커넥터 하우징(10)부에서 연장하고 수용되도록 그 전방단(32a)에서 내향 절곡되고 그와 함께 형성되어 있는 결합편(32)을 또한 구비한다. 결합편(32)은 커넥터 하우징 상부벽 부재(10) 내에 형성된 개구 또는 창을 통해 커넥터(R)의 내부 리셉터클 내로 연장한다. 자유 단부(32)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P)의 외부 쉘(310) 상에 마련된 리세스 또는 개구부(311)와 결합하는 그 위에 형성된 굴곡된, 바람직하게는 볼록부(32c)를 구비한다. 이러한 결합편(32)은 플러그 커넥터의 상부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P) 상에 유지시키는 힘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10)의 측벽은 커넥터 하우징(10) 자체의 크기 및 중량 모두가 줄어들도록 생략(즉, 개방)되어 있다. 상부벽 부재 내의 창은 또한 중량 감소를 지원하게 된다. 이로 인해 커넥터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도15에 도시된 비교 가능한 종래의 커넥터의 크기의 1/3 크기로 제조될 수 있는 크기 및 중량의 현저한 감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전체적인 기계적 강도는 커넥터 하우징(10)의 개방 측면이 금속 차폐부(30)의 측면 뿐만 아니라 금속 차폐부(20)의 측면 차폐부(24,33)에 의해 가리워지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커넥터의 전기적 및 기계적 성능은 유지된다.
더 나아가, 금속 차폐부(30)의 측면부(33)는 그들의 스프링편(34)을 보유한다. 커넥터 하우징(10)의 측면은 상기 2 개의 스프링편(34)이 플러그 커넥터 쉘(310)의 측면부와 접촉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쉘(310)과 플러그 커넥터(P)는 어떠한 이동 없이 적절한 방식으로 리셉터클 커넥터(R) 내의 적소에 유지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P)와 리셉터클 커넥터(R) 간의 전기 접속은 금속 쉘(20)과 그 부착 레그(24)와 접촉하는 리셉터클 차폐부(30)에 의해 임의의 전달된 전기 노이즈를 회로 기판 내에 배치된 접지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스프링편(34) 자체는 플러그 커넥터 쉘(310)의 외부면과 접촉하고 플러그 커넥터(P)의 삽입 및 제거 중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프링편(34)은 커넥터 하우징(10)의 우측면 및 좌측면 상에 배치되고 그 우측 및 좌측의 양 측면 상에 플러그 쉘(310)을 클램핑 및 유지시킨다. 이러한 스프링편은 그로부터의 플러그 커넥터(P)의 삽입 및 제거 중에 2개의 커넥터의 접지 양상 및 커넥터(R)의 안정성 모두를 향상시킨다.
각각의 스프링편(34)은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면을 따라, 그리고 차폐부(33)의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자유 단부 부분(34a)을 구비한 판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는 커넥터(R)의 제작을 간소화할 뿐만 아니라 절곡과 같은 단지 간단한 기계 가공이 서로 근접 방향으로(즉, 커넥터 리셉터클(21)에 대해 내향으로) 스프링편(34) 상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제작비를 줄이게 되고 따라서 스프링편(34)이 플러그 커넥터 쉘(310)의 외부면에 신뢰성있게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스프링편(34)은 판의 형태로 되기 때문에, 그것을 플러그 커넥터 외부 쉘(310)의 외부면에 균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스프링편(34)의 자유 단부 부분(34b)은 플러그 커넥터(P)의 삽입 방향으로 커넥터 하우징(10)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하지만 플러그 커넥터(P)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스프링편(34)과 결합편(32)은 플러그 커넥터(P)의 삽입 플러그 상에 유지력을 가하여, 삽입 플러그의 3개의 낮은 측면 상에서 커넥터의 기계적 및 유지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스탬프 가공에 의한 금속 쉘(20)의 성형은 플러그 커넥터(P)의 플러그 단부를 수용하는 외부 프레임(22) 또는 리셉터클 개구(21)를 약화시키지 않아, 개구(21)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금속 쉘이 인발 성형되기보다는 스탬프 성형되기 때문에, 제작비가 줄어든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 측벽의 제거 및 결합편에 대한 개구의 이용은 커넥터의 전체 크기를 줄이는 데 협력하게 된다. 프레임부(22)는 개구(21)를 둘러싸는 연속적인 금속으로서 스탬프 가공되고, 인발 가공된 부분 또는 조인트부 없이도 성형되어, 우월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크기 및 중량이 줄어들고 삽입 및 제거 사이클 반복 사용에 대해 내구성이 있고 회로 기판 상에 접지부로 전기적 노이즈의 전달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차폐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되고 기재되었지만, 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리셉터클측의 크기 및 무게가 감소되고, 삽입 및 제거 사이클의 반복 사용에 적합한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대향 플러그 커넥터로의 신뢰성 있는 결합을 제공하고, 두 개의 커넥터들의 결합시에 안정성을 가지며, 대향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었을 때 커넥터를 전기 노이즈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소형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플러그 커넥터와 회로 기판 사이에서 접속을 제공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되고, 본체부와 이 본체부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하는 상부 벽부 및 하부 벽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 벽부 및 하부 벽부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단부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부 벽부 및 하부 벽부를 상호 연결하는 어떠한 측벽도 갖지 않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상부 벽부 및 하부 벽부 사이의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밖으로 연장된 회로 기판에 부착되기 위한 미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단자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고 상기 상부 벽부 및 하부 벽부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부를 갖는 금속 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 벽부 및 하부 벽부와 상기 쉘 측벽부는 상호 작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 삽입 단부를 수납하기 위한 상기 커넥터의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상기 상부 벽부 및 하부 벽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나의 전도성 단자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위에 지지된 복수의 전도성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들은 상기 지지 부재 위에 지지된 접촉부와 회로 기판으로의 부착을 위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 외부로 연장하는 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본체부가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는 통로를 가지고, 상기 단자들은 상기 미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통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리셉터클과 통하는 개구를 갖는 전방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면은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연속된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전방 면부, 이 전방 면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부 벽부, 상기 전방 면부에 일체로 연결된 하부 벽부, 및 상기 상부 벽부에 일체로 연결된 2개의 측벽부를 갖는 금속 블랭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측벽부는 상기 상부 벽부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쉘 상부 벽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부 벽부를 덮고, 상기 쉘 하부 벽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하부 벽부를 덮고, 상기 쉘의 2개의 측벽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 벽부 및 하부 벽부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리셉터클을 편극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편극 수단은 커넥터 리셉터클 내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단부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홈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 내에서 볼록한 외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하부 벽부의 일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
  11. 본체부와, 상부 벽부와, 하부 벽부와, 단자 지지부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단자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전도성 단자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부분들을 덮는 금속 쉘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벽부 및 하부 벽부와 단자 지지부가 상호간에 이격되고 상이한 수평면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벽부 및 하부 벽부는 상기 커넥터의 리셉터클의 내부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들은 상기 리셉터클에 배치된 접촉부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하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는 미부를 가지고,
    상기 금속 쉘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부 벽부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쉘의 측벽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부 벽부는 상호 작용하여 대향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단부를 수용하는 상기 커넥터의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쉘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부 벽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 단부를 형성하는 면부를 갖고, 상기 쉘의 면부는 상기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상기 리셉터클의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를 그 내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벽부와 상기 단자 지지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본체부로부터 외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외팔보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4. 제11항에 있어서, 하부 벽부를 갖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부 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편극 키를 포함하고, 상기 편극 키는 대향 커넥터 삽입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홈에 의해 결합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쉘은 상기 상하부 벽부를 덮고 상기 리셉터클로 개구를 형성하는 전방 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면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부 벽부의 전방 모서리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벽부는 제1 및 제2 상이한 수평면들 내에서 연장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금속 쉘 측벽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부 벽부의 수평면들과 수직한 제3 및 제4 상이한 평면들 내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쉘 측벽은 상기 전방 면부에 부착되고 상기 커넥터 리셉터클의 상기 측벽을 형성하도록 절첩선을 따라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8. 플러그 커넥터와 회로 기판 상의 회로들 사이의 접속을 위한 소형 및 경량의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전도성 단자를 지지하고, 후방 본체부와 이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하는 상부 벽부 및 하부 벽부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부분들을 덮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부 벽부 위로 연장하고, 상기 상하부 벽부의 전방 모서리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방 면부와, 상기 상부 벽부의 일부를 덮는 상부와, 상기 하부 벽부의 주위로 연장하는 하부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부 벽부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측벽부를 갖는 금속 쉘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벽부는 대향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부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의 내부 리셉터클의 상하 벽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상하부 벽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금속 쉘의 2개의 측벽부는 상기 커넥터의 내부 리셉터클의 좌우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쉘의 측벽부와 상하부 벽부는 상기 리셉터클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상하부 벽부를 상호 연결하는 어떠한 측벽도 갖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넥터.
KR10-2000-0056920A 1999-09-29 2000-09-28 소형 커넥터 KR100407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636399A JP4417491B2 (ja) 1999-09-29 1999-09-29 シールド型コネクタ
JP99-276363 1999-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518A true KR20010030518A (ko) 2001-04-16
KR100407443B1 KR100407443B1 (ko) 2003-11-28

Family

ID=1756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920A KR100407443B1 (ko) 1999-09-29 2000-09-28 소형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89396A3 (ko)
JP (1) JP4417491B2 (ko)
KR (1) KR100407443B1 (ko)
CN (1) CN1214496C (ko)
TW (1) TW48138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907B1 (ko) * 2002-02-05 2005-09-26 파워 쿼션트 인터내셔널 컴패니 리미티드 낮은 프로파일의 usb인터페이스 연결장치 및 메모리저장장치
KR100826200B1 (ko) * 2006-09-15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분침투 방지 구조를 갖는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77393C (zh) * 2002-05-24 2009-04-08 Fci公司 改进的插座
JP4321710B2 (ja) 2004-04-07 2009-08-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シールド型コネクタ
JP4605591B2 (ja) * 2004-12-14 2011-01-05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4851355B2 (ja) * 2007-02-06 2012-01-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CN102544925B (zh) * 2012-01-17 2014-02-05 东莞市扬明精密塑胶五金电子有限公司 单排焊线防串扰电连接器
US9728917B2 (en) 2013-05-07 2017-08-08 Alan L. Pocrass High profile USB connector
JP6422815B2 (ja) * 2015-04-21 2018-11-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8736213B (zh) * 2017-04-19 2021-04-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2554A (en) * 1988-06-03 1989-06-27 Amp Incorporated One-piece shield for a circular din
US5207597A (en) * 1991-06-21 1993-05-04 Amp Incorporated Shielded connector with dual cantilever panel grounding beam
US5192228A (en) * 1991-09-16 1993-03-09 Amp Inc. Shielded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barbed board lock
US5564949A (en) * 1995-01-05 1996-10-15 Thomas & Betts Corporation Shielded compact data connector
JP3070003B2 (ja) * 1996-09-06 2000-07-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シールド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5865646A (en) * 1997-03-07 1999-02-02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shield with integral latching and ground structure
US6162089A (en) * 1997-12-30 2000-12-19 The Whitaker Corporation Stacked LAN connector
JP2001085113A (ja) * 1999-09-16 2001-03-30 Molex Inc シールド型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907B1 (ko) * 2002-02-05 2005-09-26 파워 쿼션트 인터내셔널 컴패니 리미티드 낮은 프로파일의 usb인터페이스 연결장치 및 메모리저장장치
KR100826200B1 (ko) * 2006-09-15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분침투 방지 구조를 갖는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10527A (ja) 2001-04-20
EP1089396A3 (en) 2001-11-28
CN1214496C (zh) 2005-08-10
JP4417491B2 (ja) 2010-02-17
KR100407443B1 (ko) 2003-11-28
EP1089396A2 (en) 2001-04-04
TW481384U (en) 2002-03-21
CN1290054A (zh) 2001-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442B1 (ko) 개선된 보유 특징을 갖는 소형 차폐 커넥터
US5915976A (en) High speed connector
EP3605740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811579B1 (ko) 리셉터클 타입의 중계용 커넥터
JP3232480B2 (ja) シールド電気コネクタ
US4571012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0339901Y2 (ko)
US6478623B1 (en) Header connector with shell
US20020187666A1 (en)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onto which the contact is mounted
US6929512B2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with a shield device
KR100681167B1 (ko) 앵글 플러그 커넥터
JPH0511667Y2 (ko)
US5876247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KR100407443B1 (ko) 소형 커넥터
US6010367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odular components
CN214797804U (zh) 电连接器、对接连接器及其组合
KR200332285Y1 (ko) 전기접속구
CN211789667U (zh) 板对板插座
CN111834826B (zh) 电连接器
CN211579028U (zh) 板对板插座、插头及连接器组件
CN209981537U (zh) 电连接器
GB2329529A (en) Shielded connector
KR102543900B1 (ko) 커넥터 조립체
CN221885546U (zh) 电连接器
CN221102508U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