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414A - 개선된 보유 특징을 갖는 소형 차폐 커넥터 - Google Patents

개선된 보유 특징을 갖는 소형 차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414A
KR20010030414A KR1020000054392A KR20000054392A KR20010030414A KR 20010030414 A KR20010030414 A KR 20010030414A KR 1020000054392 A KR1020000054392 A KR 1020000054392A KR 20000054392 A KR20000054392 A KR 20000054392A KR 20010030414 A KR20010030414 A KR 20010030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receptacle
shield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442B1 (ko
Inventor
야마구찌도미사부로
아사까와데쯔야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2001003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6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 H01R13/6587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for mounting on PC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Abstract

감소된 무게와 크기를 갖는 차폐 리셉터클 커넥터가 어떠한 측벽과도 상호 연결되지 않은 상부벽 및 하부벽을 갖는 절연성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는 커넥터 내에서 지지된다. 커넥터의 리셉터클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벽 및 하부벽과, 커넥터 하우징의 부품들 주위의 차폐 부재를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된 한 쌍의 측벽과 협동하는 형태이다. 금속 보유 차폐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분 위에 놓이고 금속 셸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상에 부분적으로 보유되도록 제공된다. 차폐부는 차폐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3방향으로 대향 커넥터와 결합하여 대향 커넥터 내부로 연장하는 3개의 보유 부재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결합 상태로 대향 커넥터를 보유하도록 역할한다.

Description

개선된 보유 특징을 갖는 소형 차폐 커넥터{SHIELDED CONNECTOR OF REDUCED-SIZE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대향 커넥터 보유 특징을 갖는 소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 노이즈와 같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의 상자형 절연성 하우징의 외주면에 금속 차폐부가 배치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커넥터의 일 예는 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공개 (평)5-34679호, 일본 특허출원공개 (평)10-8386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공보에서 개시된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에 장착되고, 금속판으로 제작된 사실상 U자형의 한 쌍의 차폐 부재가 사실상 박스형의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4개 또는 3개의 외부면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본 출원의 도15 및 도16은 그러한 종래의 차폐 커넥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15는 리셉터클형 커넥터(R)를 도시한 반면에, 도16은 플러그형 커넥터(P)를 도시한 것이다. 리셉터클 커넥터(R)는 전형적으로 플러그 커넥터(P)보다 크기가 작은데, 도면은 축척에 따르지 않고 리셉터클 커넥터(R)를 나타낸 크기는 명확성을 위해 확대되었다.
도15의 리셉터클 커넥터(R)에 대하여, 커넥터의 차폐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면 상에 배치된 금속 셸(320)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부로부터 바라본 바와 같이 사실상 U자형의 형상이고 커넥터 차폐부는 또한 금속 셸(320)과 커넥터 절연성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된 단면이 U자형인 금속 차폐판(330)을 포함한다. 금속 셸(320)은 3개의 표면, 즉 절연성 하우징의 전방면 및 양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한편, 차폐 금속판(330)은 3개의 면, 즉 절연성 하우징의 상부면 및 양 측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의 4개의 측면, 즉 전방면, 상부면 및 양 측면은 실제로 차폐부로 덮인다. 결합편(303)은 플러그 커넥터(P)에 대향하는 금속 차폐부로서 역할하는 단자부(310)의 결합 리세스부(311)와 결합되는 금속 차폐판(320) 상에 제공된다.
금속 셸(320)은 전방면 차폐부(323)와 커넥터의 양 측면 상의 측면 차폐부(324)를 갖는다. 결합 슬리브부(307)는 플러그 커넥터(P)의 단자부(310)가 삽입되는 개구(321)를 갖고, 차폐부의 정면(323)에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슬리브부(307)는 사실상 직사각형의 슬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넥터의 정면 상에 외향 돌출된다. 이러한 금속 셸(320)은 일반적으로, 전체 금속 차폐판이 블랭크로부터 스탬핑 가공된 후, 결합 슬리브부(307)의 특정 부분을 인발 가공(drawing)함으로써 형성된다. 볼록부(308)는 리세스(312)와 결합하는 편극부(polarizing portion)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를 갖는 전도성 단자(313)는 플러그 커넥터(P) 내에 배열된다.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커넥터들은 크기가 소형화 경향이 있으며, 또한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다. 그러나, 커넥터의 치수 안정성을 잃지 않고 이러한 커넥터들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폐부의 치수 안정성을 유지하고 그 전기적 특성을 보유하면서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15 및 도16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는 문제점이 있다. 이들 커넥터의 제조 원가는 결합 슬리브부(307)가 인발 가공에 의해 성형되기 때문에 고가이다. 또한 이들 커넥터의 외관은 이 인발 가공된 구조로 인해 길어짐으로써, 소형화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곤란하다. 결합 슬리브부(307)는 인발 가공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만족스러운 치수 안정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비틀림 힘과 같은 큰 힘이 플러그 커넥터(P)와의 결합시 결합 슬리브부(307)에 인가될 수 있다. 반복적인 제거 및 삽입에 의해 발생된 이들 힘들은 커넥터의 인발 가공된 부분을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커넥터에서, 차폐부의 전지적 성능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커넥터의 크기 및 커넥터의 전체 중량을 감소함으로써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한 커넥터로 사용된 종래의 커넥터 하우징은 사실상 6개의 면을 갖는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절연성 하우징의 고유 기능적 측면에서, 접촉자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 및 그 내측 접촉자의 주위의 범위에서 차폐 부재를 지지하도록 하우징을 갖는 것이 만족스럽다. 상술한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은 금속 차폐부를 지지하는 구조와 그 요구된 기계적 강도를 갖지만, 그 구조적 안정을 위해 불필요하게 큰 두께를 갖는다. 이는 소형화 및 무게 감소를 얻기 위한 목적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일으킨다.
더구나, 리셉터클 커넥터(R)에 플러그 커넥터(P)의 반복적인 제거 및 삽입이 발생하는 커넥터의 유형에서, 인발 가공된 결합부에서 마찰 마모 또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어,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들의 차폐 부재들의 사이의 접촉 안정성이 시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마찰 마모가 2개의 각 결합 차폐부들의 사이에서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고 2개의 커넥터들의 기계적 안정성을 감소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2개의 커넥터의 삽입/제거의 빈번도 및 조건에 따라 2개의 커넥터의 사이의 결합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전체 커넥터 시스템의 접지 안정성(즉, 차폐부에 의해 전기적 노이즈가 회로 기판 상의 접지로 안내되는 능력)이 떨어질 것이다.
특히, 접지 안정성 문제에 대해서는, 2개의 차폐부들의 사이의 변위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불안정하게 되고 전기적으로 전달된 노이즈 요소가 회로 기판 상의 접지로 안내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도시된 인발 가공된 부재들 대신에 다이캐스팅에 의해 커넥터의 차폐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다이캐스팅 부품들은 시트 금속에 비해서 연성이 나쁘며, 상기 크기 및 형태의 커넥터에서는 높은 정도의 결합 정밀도가 요구된다. 감소된 크기에서는, 커넥터들의 삽입 및 제거 중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될 수 있어서 인발 가공 또는 다이캐스팅 차폐 결합 부재를 변형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개선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특히 커넥터의 리셉터클측의 크기 및 무게가 감소되고, 삽입 및 제거 사이클에서의 반복 사용에 적합한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대향 플러그 커넥터로의 신뢰성 있는 결합을 제공하고, 두 개의 커넥터들의 결합시에 안정성을 갖고, 대향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었을 때 커넥터를 전기 노이즈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차폐 커넥터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로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한 USB 형태를 취하고, 상부벽 및 이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벽을 갖지만 어떠한 측벽도 갖지 않는 커넥터 본체를 갖고, 상기 상부벽 및 하부벽은 커넥터 하우징에 겹쳐지는 금속 셸의 측부 편들과 협동하여 대향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내부 공동을 형성하게 되는 구성을 취하는, 소형 리셉터클 커넥터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다수의 전도성 단자를 자체 상에 지지하는 본체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외팔보식으로 하우징 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벽 및 하부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상부벽 및 하부벽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어떠한 수직 측벽도 갖지 않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커넥터 본체의 외부면의 대부분을 둘러싸는 전도성 금속 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셸은 상부판과 전방판 및 상기 상부판과 정면판 및 커넥터 본체 주위에 형성된 두 개의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셸 측판은 커넥터의 리셉터클의 측벽을 형성하고 금속 셸은 커넥터 하우징 상의 제위치에서 별도의 금속 차폐 부재를 보유하는 구성을 취하는, 소형 및 경량의 USB 형 커넥터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로 기판에 장착되기 위한 것으로, 상부벽 및 본체부로부터 외팔보식으로 된 하부벽을 구비하는 절연 내부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감소된 크기를 갖고, 상기 상부벽 및 하부벽은 플러그 수용 리셉터클의 상부 및 하부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벽과 하부벽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상부벽 및 바닥벽과 협동하여 커넥터의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측편들을 포함하는 차폐 요소가 커넥터 하우징 상에 장착되는 커넥터를 마련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회로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커넥터의 전방 단부도.
도3은 도2의 커넥터에서 선 3-3을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도4는 도2의 커넥터에서 선 4-4를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도5는 도1의 커넥터의 측면도.
도6은 도1의 커넥터의 평면도.
도7은 도1의 커넥터의 저면도.
도8은 도6의 커넥터에서 선 8-8을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도9는 도6의 커넥터에서 선 9-9를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도10은 도1의 커넥터에 이용된 금속 셸로 형성되는 금속 블랭크의 평면도.
도11은 도1의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상에 놓여진 도10의 금속 차폐부의 전방 단부도.
도12는 도11의 금속 차폐부에서 선 12-12를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도13은 도11의 금속 차폐부의 평면도.
도14는 도11의 금속 차폐부의 우측면도.
도15는 종래의 차폐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
도16은 종래의 차폐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자
10 : 하우징
20 : 셸
21 : 개구
22 : 프레임부
24, 29 : 측벽
26, 30, 33 : 차폐부
27. 32 : 결합편
34 : 스프링편
본 발명은 신규하고 독특한 구조에 의해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며,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의 수단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1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단자를 지지하는 절연성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의 표면 위에 위치되는 차폐 부재를 갖는 차폐 커넥터에 의해 특징지워지는데, 상기 차폐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단자가 배치되게 되는 하우징의 개구를 둘러싸기 위한 프레임부를 갖춘 금속 셸과 상기 금속 셸과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금속 차폐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측벽 없이 형성되지만, 상부벽과 하부벽 및 커넥터 하우징을 통해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중간 접촉 지지부를 보유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개방 측벽부들은 차폐 부재의 부분들에 의해 덮인다.
이러한 특정 수단에 의해서, 커넥터 하우징의 측벽들은 생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생략된 측벽들이 관련되는 한 커넥터를 소형화 및 경량화 하는 두 가지 목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의 개방된 양 측벽들이 차폐 부재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전체 커넥터의 충분한 차폐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커넥터의 필요로 하는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수단은,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면을 덮기 위한 상부면 차폐부와 커넥터 하우징의 양 개방측부를 덮기 위한 두 개의 측면 차폐부 및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부들을 갖는 금속 차폐부에 의해 특징지워지는데, 상기 스프링부는 커넥터의 내향으로 대면하고 대향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들에 대향하는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는다.
제2 수단에 의해서, 스프링부는 측면 차폐부들 상에 마련되고, 커넥터 하우징이 측벽을 갖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부는 플러그 커넥터의 대향 좌측면 및 우측면에 접촉하게 되며 이로써 플러그 커넥터를 어떠한 흔들림 또는 변위도 없이 안정된 상태로 효과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에 의해 수행된 전기 접속은 어떠한 전기 노이즈도 리셉터클 커넥터가 장착되게 되는 회로 기판 상에 위치한 접지부로 직접 전해지는 방식으로 안정하게 된다. 스프링부는 대향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에 접촉하게 되어서 스프링부와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 사이의 마찰에 기인한 저항은 함께 결합된 두 개의 커넥터들을 유지하기에 충분하게 된다. 두 개의 커넥터의 삽입 및 제거 중에 일어나는 안정성은 스프링편들에 의해 야기된 마찰저항에 기인하여 증진된다.
본 발명의 제3 수단은 대향 플러그 커넥터의 표면의 리세스부와 결합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부 상에 마련된 또 다른 결합편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러한 제3 결합편은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판부 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커넥터의 절연성 하우징 내로 안내된다. 이러한 수단에 따라서, 결합편이 금속 차폐부의 상부면 차폐부 상에 구비되어, 이는 리셉터클 커넥터 내에서 제 위치에 플러그 커넥터를 유지하도록 플러그 커넥터의 표면의 리세스부와 결합할 것이다. 좌측 및 우측 스프링편에 의한 대향 커넥터의 위치 설정에 더하여, 이 결합편은 리셉터클 커넥터 내에서 제 위치에 플러그 커넥터를 유지하도록 플러그 커넥터의 상부면을 따라서 추가의 위치 설정을 제공한다. 3개의 결합편은 3개의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 상에 힘을 가하여,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결합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삽입 및 제거시에 커넥터의 안정성도 향상된다.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판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영역 내에 결합편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와 함께 형성되어, 이 개구는 본 발명으로 달성되는 무게 감소에 더 기여한다.
본 발명의 제4 수단은 대향 커넥터가 본 발명의 커넥터의 개구 내에 삽입될 때 대향 커넥터의 삽입 단부의 차폐부 내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커넥터의 결합편이 수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제4 수단에 따라서, 2개 커넥터의 우발적인 결합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2개 편들 사이의 결합의 안정성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개선된 차폐 커넥터(R)는 도1 내지 도14 및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되고,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커넥터의 예로서 USB 스타일의 "DIP" 타입 전기 커넥터가 설명된다. 도시된 커넥터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 상에 장착되도록 계획된 것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커넥터(R)에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접촉자 또는 단자(1)를 지지하기 위한 내부 절연성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면 위에 놓아 그에 의해 단자(1)를 차폐하는 금속 셸(20)이 구비된다. 금속 셸(20)은 커넥터(R)와 셸(20) 내의 개구(21)를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 패널부(22)를 포함한다. 이 개구(21)는 도16에 도시된 것과 갖은 대향 플러그 커넥터(P)의 일부를 수용한다. 전방 프레임부(22)는 개구(21)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도시될 수 있다.
전방 프레임부(22)는 시임이 없는 단일편(single, seamless piece)으로 형성되고, 이는 커넥터(R) 개구(21)의 전체 연장부 또는 주연부를 둘러싼다. 만일 원한다면, 전방 프레임부(22)는 프레임보다 더 큰 프로파일을 갖는, 즉 프레임보다 더 큰 볼록부(22a)를 포함하여, 대향 플러그 커넥터(P)의 해당 리세스부와 정합하는 개구(21)에서 편극 특성을 형성한다. 대향 플러그 커넥터(P)는 도16에 도시된 것과 크기 및 상세한 내용에서 사실상 동일할 것이어서, 여기에서 이를 다시 설명할 필요는 없다.
커넥터의 절연성 하우징(10)은 다수의 개구를 갖는 상자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10)은 바람직하게는 높은 기계적 강성을 갖는 수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도3, 도4, 도8 및 도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은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판 또는 상부벽부(10a),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판 또는 하부벽부(10b), 대향 플러그 커넥터(P)의 선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삽입 개구(21)를 갖는 전방벽부 또는 전방면(10c),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전도성 단자(1)가 연장하고 있는 연장된 개구(11a)를 갖는 후방 본체부(10d)를 포함한다. 상부벽부(10a) 및 하부벽부(10b)는 후방 본체부(10d)로부터 외팔보를 형성한다. 이들 단자(1)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표면일 수 있는 땜납 미부(solder tail)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도시된 관통 구멍 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요하게는,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어떠한 측벽들 또는 측판부 없이 형성된다. 오히려, 상부벽부(10a)와 하부벽부(10b) 사이에 배치된 단자 지지벽부(11)를 갖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단면이 U자 형상이다. 단자 지지벽부(11)는 또한 하우징 후방 본체부(10d)로부터 외팔보를 형성한다.
도3에서, 하우징(10)은 하우징(10)의 상부판부(10a)에 부가되는 금속 차폐부(30)의 결합부(32)를 수납하는 상부면의 개구(10e)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판부(10a)는 금속 셸(20)의 두께와 대략 대응하는 내부에 형성된 얇은 오목부(10f)를 갖는 전방부(10c)(도3)를 포함한다. 이는 금속 셸(20)이 금속 차폐부(30)에 대해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상부판부(10a)의 두께가 감소되어, 금속 셸(20)의 외부면이 금속 차폐부(30)의 면과 같은 높이가 되기 때문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는 측벽이 형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부판부(10a) 및 하부판부(10b)는 하우징(10)의 후방 본체부(10d)로부터 외팔보식으로 외향 연장된다. 안전을 위해, 하우징 후방 본체부(10d)는 커넥터 하우징(10)의 기계적인 강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판부에 비해 두꺼운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커넥터 하우징(10)은 대체로 상자형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 부분에 커넥터 하우징(10)에 하나 이상의 전도성 단자를 지지하는 내부 또는 중심 단자 지지부(11)가 제공된다. 단자는 도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으며, 각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된 말단부 및 본체를 따라 형성된 연장되어 만곡된 접촉부(3)를 포함한다. 하우징 단자 지지부(11)는 단자를 수납하는 개구를 가지며 단자(1)의 자유단(2)이 지지되는 렛지(ledge) 또는 단부(13)를 포함한다. 단자의 접촉부(3)는 단자 지지부(11)의 하부를 통해 돌출되며 커넥터 삽입 개구의 부분(12) 내로 연장된다. 만곡된 접촉부(3)는 단자(1)의 자유단(2) 근처에 형성되어, 단자(1)와 대향 커넥터(P)의 대향 단자 사이의 양호한 접촉을 보장하는 스프링 효과가 개선된다.
단자(1)의 미부(4)는 후방 통로 또는 포트(11)에 의해 하우징(10)을 나오며, 직선으로 연장되어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장 낮은 부분을 통해 돌출되도록 하향으로 굽혀질 수도 있다. 미부(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연장되어 커넥터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에 형성된 관통 구멍 내로 삽입될 수도 있으며, 또는 미부는 회로 기판 상의 접촉 패드에 납땜되도록 수평면으로 굽혀질 수도 있다.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R)는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배치된 네 개의 단자(1)를 갖는 4핀 커넥터로서 도시되어 있다. 단자 미부(4)의 주름(bunching)을 방지하기 위해, 미부는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식이다. 다른 단자 구조 및 형태도 고안되어 있다.
금속 셸(20)은 적절한 금속 블랭크를 스탬핑 가공하여 굽힘으로서 형성된다. 금속 블랭크(20a)는 도10의 평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①에서 표시된 전방면 차폐부 패널 또는 부분(23), ②에서 표시된 전방면의 양 측에 그로부터 이격된 두 개의 측면 차폐부 패널 또는 부분(24), ③에 의해 표시된 상부면 차폐부 패널 또는 부분(25), ④에서 표시된 하부면 차폐부(26), ⑤에 의해 표시된 두 개의 결합편(27), ⑥에 의해 표시된 고정편(28)과 같이 서로 일체로 부착된 다수의 패널을 포함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이들 모든 패널 및 부분들은 커넥터 하우징(10)의 외부면 위에 중첩하는 금속 셸의 부분을 형성한다. ① 내지 ⑥에 의해 표시된 이들 중첩부는 도10에서 파선을 따라 그들을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금속 셸(20)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커넥터 하우징(10)의 여섯 면 중 각각의 다섯 면 위에 중첩하는 중첩 구조로서 고려될 수 있는 것을 갖는다. 따라서, 금속 셸(20)은, 모두가 굽힘 또는 성형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의 이들 각 다섯 면을 중첩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가져, 금속 셸(20)은 커넥터 하우징(10)에 용이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셸(20)의 연결부(도1)는 도10의 파선을 따라 금속 셸(20)의 굽힘 중 형성된다. 이들 연결부는, 커넥터 하우징(10)의 양 측면에 위치되고 대응 상보 성형 절단 개구(29) 내에 수납되어 금속 셸(20)의 양 결합편(27) 및 측벽(24)이 서로 같은 높이가 되는 결합편(27)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연결부는, 상술된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서와 같이, 커넥터의 외부면 상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측벽(29)의 절단 개구(29)는 동일한 두께의 부재로서 결합편(27)을 수용하도록 크기 결정되는 것이 좋다. 금속 셸(20)은 금속 셸(20)로부터 돌출되고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슬롯 내에 수납되는 탭(24A)을 또한 포함하며, 탭은 통상 커넥터(R)가 사용되는 장치의 접지에 직접 연결되는 접촉부를 갖는다.
도1은 또한 커넥터 하우징(10)에 부가된 금속 차폐부(30) 내에 굽힘 후 커넥터(R)에 부가된 금속 보유기 셸(20)을 도시한다. 금속 차폐부(30)는 양호하게는 단일 금속 블랭크로부터 스탬핑 가공되어 커넥터(R)의 위치에 소정의 형상으로 굽혀진다. 금속 차폐부(30)는 절연성 하우징(10)과 금속 셸(20) 사이에 배치되며 금속 셸(20)에 의해 하우징(10) 상의 위치에 한정된다. 도11은 금속 차폐부의 정면도이며, 차폐부의 단면도가 도13에 도시되며, 우측면도가 도14에 도시된다.
금속 차폐부(30)는 전방 단부로부터 볼 때 U자형으로 형성되고, 커넥터 하우징(10)의 상부면의 일부를 덮는 상부면 차폐부(31)를 포함한다. 금속 차폐부(30)는 또한 커넥터 하우징(10)의 개방측의 양쪽을 덮는 두 개의 측면 차폐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측면 차폐부(33)는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편(34)을 포함한다. 금속 차폐부는, 도3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 및 금속 차폐부(30)의 내부로 돌출된 결합편(32)을 또한 포함한다. 이들 결합편은 도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P)의 대향 리세스(311)를 억지끼워맞춤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각각의 스프링편(34)은 플러그 커넥터(P)가 리셉터클 커넥터(R) 내로 삽입될 때 리셉터클 커넥터 개구(21) 내의 위치에 대향 플러그 커넥터(P)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들 스프링편(34)은 플러그 커넥터 측벽(310)의 측면에 대향하여 놓인다. 이들 스프링편(34)은 본체부(34a)로부터 연장된 자유단 부분(34b)을 가지며 측면 차폐부(33)의 부분으로서 형성된 본체부(34a)(도12)를 갖는 판의 형상을 갖는다. 자유단 부분(34b)은 커넥터 하우징 본체부에 대향하여 측면 차폐부를 따라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면의 측면들 상에 연장된다(도4). 슬롯 또는 절개부(35)는 바람직하게 차폐부(30)를 커넥터 하우징 상의 적소에 보유하도록 커넥터 하우징 상에 형성된 외부 돌기와 결합하도록 양 측면 차폐부(33)에 형성되어, 스프링편(34)은 그 결합 측면 차폐부(33)로부터 자유로이 이동하여 스프링 결합 아암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점에서, 각각의 스프링편(34)은 차폐부(30)가 그로부터 스탬프 성형되는 금속 블랭크의 두께 순서로 커넥터 하우징 상부벽부와 하부벽부 및 외부 금속 셸(20)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 리셉터클 내의 내향으로 약간 돌출한다. 이러한 내향 돌출은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는 스프링편(34)을 그 본체부(34a)의 영역 내에서 절곡함으로써 얻어진다. 각각의 스프링편(34)은 금속 차폐부의 내벽을 따라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P)가 그 안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리셉터클 개구(21) 내에 있게 된다. 이러한 2개의 스프링편(34)은 커넥터 개구(21)의 좌측 및 우측의 양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양 플러그 커넥터(P) 상에 압력을 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금속 차폐부(30)는 또한 결합편(32)의 자유 단부(32b)가 커넥터 하우징(10)의 개구를 관통 연장하도록 그 전방단(32a)에서 내향 절곡되고 그와 함께 형성되어 있는 결합편(32)을 또한 구비한다. 결합편 자유 단부(32b)는 또한 (도3에서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부(1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한다. 결합편(32)은 커넥터 하우징 상부벽 부재(10a) 내에 형성된 개구 또는 창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 리셉터클(21) 내로 연장한다. 자유 단부(32)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도16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P)의 외부 셸(310) 상에 마련된 리세스 또는 개구부(311)와 결합하는 프로파일을 구비한 그 위에 형성된 볼록부(32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편(32)은 플러그 커넥터의 상부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P) 상에 유지시키는 힘을 가하게 된다. 아래에 기술된 대로, 볼록부(32c)의 프로파일과 유사한 프로파일을 갖는 리브부(10g)는 (도9의) 커넥터 하우징(10)의 기부벽 부재(10b)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10)의 측벽은 커넥터 하우징(10) 자체의 크기 및 중량 모두가 줄어들도록 생략(즉, 개방)되어 있다. 상부벽 부재 내의 창은 또한 커넥터(R)의 중량 감소를 지원하게 된다. 이로 인해 커넥터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도15에 도시된 비교 가능한 종래의 커넥터의 크기의 1/3 크기로 제조될 수 있는 크기 및 중량의 현저한 감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전체적인 기계적 강도는 커넥터 하우징(10)의 개방 측면이 금속 보유기 차폐부(30)의 측면(33) 뿐만 아니라 금속 차폐부(20)의 측면 차폐부(24)에 의해 가리워지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커넥터의 전기적 및 기계적 성능은 유지된다.
금속 차폐부(30)의 측면부(33)와 그 결합 스프링편(34)은 이러한 2 개의 스프링편(34)이 양 플러그 커넥터 삽입 단부의 플러그 커넥터 셸(310)의 측면부와 접촉하도록 커넥터(R) 내에 형성된 리셉터클 개구(21) 내로 연장하도록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벽 부재 및 하부벽 부재 사이의 개방 공간에 정렬된다. 따라서, 셸(310)과 플러그 커넥터(P)는 어떠한 이동 없이 그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적절한 방식으로 리셉터클 커넥터(R) 내의 적소에 유지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P)와 리셉터클 커넥터(R) 간의 전기 접속은 금속 셸(20)과 그 부착 레그(24)와 접촉하는 리셉터클 차폐부(30)에 의해 임의의 전달된 전기 노이즈를 회로 기판 내에 배치된 접지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스프링편(34) 자체는 플러그 커넥터 셸(310)의 외부면과 접촉하고 플러그 커넥터(P)의 삽입 및 제거 중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프링편(34)은 커넥터 하우징(10)의 우측면 및 좌측면 상에 배치되고 그 우측 및 좌측의 양 측면 상에 플러그 셸(310)을 클램핑 및 유지시키고, 도9에 도시된 대로 이러한 클램핑은 단자(1)의 접촉부(3)를 위한 지지부의 높이 또는 그 이상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편은 그로부터의 플러그 커넥터(P)의 삽입 및 제거 중에 2개의 커넥터의 접지 양상 및 커넥터(R)의 안정성 모두를 향상시킨다.
각각의 스프링편(34)은 차폐부(33)의 측면을 따라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자유 단부 부분(34a)을 구비한 판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는 커넥터(R)의 제작을 간소화할 뿐만 아니라 절곡과 같은 단지 간단한 기계 가공이 서로 근접 방향으로(즉, 커넥터 리셉터클(21)에 대해 내향으로) 스프링편(34) 상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제작비를 줄이게 되고 따라서 스프링편(34)이 플러그 커넥터 셸(310)의 외부면에 신뢰성있게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스프링편(34)은 판의 형태로 되기 때문에, 그것을 플러그 커넥터 외부 셸(310)의 외부면에 균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스프링편(34)의 자유 단부 부분(34b)은 플러그 커넥터(P)의 삽입 방향으로 커넥터 하우징(10)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하고,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P)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스프링편(34)과 결합편(32)은 플러그 커넥터(P)의 삽입 플러그 상에 유지력을 가하여, 삽입 플러그의 3개의 낮은 측면 상에서 커넥터의 기계적 및 유지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스탬핑 가공에 의한 금속 셸(20)의 성형은 플러그 커넥터(P)의 플러그 단부를 수용하는 외부 프레임(22) 또는 리셉터클 개구(21)를 약화시키지 않아, 개구(21)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금속 셸이 인발 성형되기보다는 스탬프 성형되기 때문에, 제작비가 줄어든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 측벽의 제거 및 결합편에 대한 개구의 이용은 커넥터의 전체 크기를 줄이는 데 협력하게 된다. 프레임부(22)는 개구(21)를 둘러싸는 연속적인 금속으로서 스탬프 가공되고, 인발 가공된 부분 또는 조인트부 없이도 성형되어, 우월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크기 및 중량이 줄어들고 삽입 및 제거 사이클에서의 반복 사이클에 대해 내성이 있고 회로 기판 상에 접지부로의 전기 노이즈의 전달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차폐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되고 기재되었지만, 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리셉터클측의 크기 및 무게가 감소되고, 삽입 및 제거 사이클에서의 반복 사용에 적합한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대향 플러그 커넥터로의 신뢰성 있는 결합을 제공하고, 두 개의 커넥터들의 결합시에 안정성을 가지며, 대향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었을 때 커넥터를 전기 노이즈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차폐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긴 삽입 단부를 갖는 대향 커넥터와 회로 기판 사이에서 접속을 제공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부 및 미부를 각각 갖는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를 지지하는 절연성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 위에 위치하는 금속 차폐부 형태의 보유기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 상에 일부가 위치하는 복수개의 상이한 패널부를 갖는 외부 금속 셸을 포함하며,
    상기 미부는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멀리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은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연장하는 별개의 상부벽부 및 하부벽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벽부 및 하부벽부는 상기 대향 커넥터의 삽입 단부를 수용하도록 된 공간을 이들 벽부들 사이에서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의 접촉부는 상기 상부벽부 및 하부벽부 사이에서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U자형 단면을 갖도록 상부벽부 및 하부벽부를 함께 상호 연결하는 어떠한 측벽도 갖지 않고,
    상기 보유기 차폐부에는 3개의 별개의 보유 부재들이 형성되고, 각각의 보유 부재는 상기 공간 내로 삽입된 상기 대향 커넥터의 대향 부분들과 결합하도록 상기 상부벽부와 하부벽부 사이의 공간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각각의 보유 부재는 3개의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상기 공간 내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금속 셸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벽부와 하부벽부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방 패널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벽부와 하부벽부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이들 사이의 상기 공간을 폐쇄하여 상기 커넥터의 4개의 측벽으로 된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2개의 측면 패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패널부는 상기 리셉터클과 연통하는 개구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유 부재들 중 2개의 보유 부재는 상기 측면 패널부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유 부재들 중 제3 보유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벽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유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본체부를 향해 상기 공간 내로 연장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벽부는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보유 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셸은 상기 전방 패널부와 일체로 형성된 하부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셸은 상기 전방 패널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부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패널부는 상기 보유기 차폐부의 일부분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벽부 위에 위치되며, 상기 셸의 측면 패널부는 상기 전방 패널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패널부 및 측면 패널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벽부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셸의 전방 패널부는 상기 개구 둘레 전체에서 연장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셸은 상기 전방 패널부와 일체로 형성된 하부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부 및 측면 패널부는 상호 협동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부는 하부 패널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 탭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패널부는 각각의 결합 탭을 수용하는 크기로 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탭은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서 절첩된 때 상기 측면 패널부의 슬롯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기 차폐부는 상부 부분과, 상기 하우징의 본체부의 대응하는 대향 부분들 위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측면 부분을 갖는 단일 금속 블랭크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3개의 보유 부재들 중 제1 보유 부재는 상기 보유기 차폐부의 상부 부분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3개의 보유 부재들 중 제2 및 제3 보유 부재는 상기 보유기 차폐부의 측면 부분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기 차폐부의 측면 부분은 제2 및 제3 보유 부재를 분리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기 차폐부의 측면 부분의 슬롯은 상기 하우징 상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3개의 보유 부재들 중 하나의 보유 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내로 삽입된 때 상기 대향 커넥터에 수직 보유력을 가하도록 상기 공간 내로 하향 연장되고, 보유 부재들 중 2개의 보유 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내로 삽입된 때 상기 대향 커넥터에 수평 보유력을 가하도록 상기 공간 내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금속 셸의 일부분은 상기 보유기 차폐부의 일부분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부벽부에는 상기 리셉터클과 연통하는 개구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보유 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공간으로 연장하고 자신의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향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의 각각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부와 반대로 연장하는 자유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커넥터의 리셉터클과 접속하기 위한 삽입 단부를 갖는 대향 플러그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회로 기판과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들을 지지하는 절연성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를 차폐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삽입 단부의 복수개의 외부면과 결합하기 위한 보유기 차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단자가 지지되는 내부 리셉터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접속될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 삽입 단부를 수용하는 크기이고,
    상기 보유기 차폐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적어도 3개의 개별 측면 위에 위치하도록 절곡된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기 차폐부는 보유기 차폐부와 함께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부 리셉터클 내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보유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보유 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내로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 삽입 단부의 2개의 상이한 표면들 상에 2개의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보유력을 가하도록 독립적인 수직 및 수평 평면상에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기 차폐부는 보유기 차폐부와 함께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부 리셉터클 내로 돌출하는 제3 보유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3개의 보유 부재 중 2개의 보유 부재는 측방향 보유력을 상기 플러그 커넥터 삽입 단부 상에 각각 가하도록 배향되고, 상기 3개의 보유 부재 중 나머지 하나의 보유 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내로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 삽입 단부의 상부 표면에 보유력을 가하도록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외부 셸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 셸 부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적어도 4개의 상이한 표면들 위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부 리셉터클과 연통하는 개구가 그 내부에 형성된 전방 패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셸 부재는 상기 보유기 차폐부의 일부 위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의 소정 위치에 상기 보유기 차폐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1. 커넥터 접속용의 긴 삽입 단부를 갖는 대향 커넥터와 회로 기판 사이에 접속을 제공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를 지지하는 절연성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 위에 위치하는 보유기 차폐부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위에 위치하도록 그 일부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이한 패널부를 갖는 외부 금속 셸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본체부를 갖고, 이 본체부는 이로부터 연장하는 개별적인 상부벽부 및 하부벽부를 갖고, 커넥터 하우징 상부벽부 및 하부벽부는 내부에 상기 대향 커넥터 삽입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부벽부 및 하부벽부 사이에 리셉터클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상부벽부 및 하부벽부를 연결하여 상기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임의의 측벽을 갖지 않으며,
    상기 보유기 차폐부는 금속 블랭크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차폐부와 함께 형성되는 3개의 개별 보유 부재를 갖고, 이 보유 부재들의 각각은 리셉터클 내에 삽입된 상기 대향 커넥터의 대향 부분을 결합하기 위해 리셉터클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상기 보유 부재의 각각은 3개의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리셉터클 내로 더 연장하며,
    상기 셸 부재는 커넥터 하우징 상부벽부 및 하부벽부와 상호 작용하여 커넥터 리셉터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부벽부 및 하부벽부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방 패널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부벽부 및 하부벽부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측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패널은 그 내부에 형성되고 리셉터클과 연통하는 개구를 갖고, 상기 보유 부재 중 2개의 보유 부재는 상기 외부 셸 측면 패널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유 부재 중 다른 하나의 보유 부재는 상기 외부 셸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부벽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0-0054392A 1999-09-16 2000-09-16 개선된 보유 특징을 갖는 소형 차폐 커넥터 KR100407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62411 1999-09-16
JP26241199A JP2001085113A (ja) 1999-09-16 1999-09-16 シールド型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414A true KR20010030414A (ko) 2001-04-16
KR100407442B1 KR100407442B1 (ko) 2003-11-28

Family

ID=1737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392A KR100407442B1 (ko) 1999-09-16 2000-09-16 개선된 보유 특징을 갖는 소형 차폐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26557B1 (ko)
EP (1) EP1085604B1 (ko)
JP (1) JP2001085113A (ko)
KR (1) KR100407442B1 (ko)
CN (1) CN1205699C (ko)
DE (1) DE60028146T2 (ko)
TW (1) TW46743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7491B2 (ja) * 1999-09-29 2010-02-1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シールド型コネクタ
TWM279084U (en) * 2005-04-15 2005-10-21 Top Yang Technology Entpr Co Electrical connector with a metal casing
US7121886B1 (en) * 2005-06-29 2006-10-17 Lankom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20080020640A1 (en) * 2006-07-24 2008-01-2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shell
KR101019236B1 (ko) 2009-07-15 2011-03-04 주식회사 신화콘텍 마이크로 유에스비이 커넥터
US8992263B2 (en) * 2012-08-01 2015-03-31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Serial bus receptacle with exterior socket clamping
US9391410B2 (en) * 2013-08-20 2016-07-1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ell
US9537263B2 (en) 2013-11-17 2017-01-03 Apple Inc. Connector receptacle having a shield
DE112014005221T5 (de) 2013-11-17 2016-08-18 Apple Inc. Steckverbinderbuchse mit einer Zunge
US9450339B2 (en) 2014-01-12 2016-09-20 Apple Inc. Ground contacts for reduced-length connector inserts
EP3134945B1 (en) 2014-04-23 2019-06-1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p and shielded terminals
US9276340B2 (en) 2014-05-26 2016-03-01 Apple Inc. Interposers for connecting receptacle tongues to printed circuit boards
US9515439B2 (en) 2014-05-26 2016-12-06 Apple Inc. Connector insert assembly
US10418763B2 (en) 2014-05-26 2019-09-17 Apple Inc. Connector insert assembly
US9490581B2 (en) 2014-05-26 2016-11-08 Apple Inc. Connector insert assembly
US9356370B2 (en) 2014-05-26 2016-05-31 Apple Inc. Interposer for connecting a receptacle tongue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9437989B2 (en) * 2014-11-16 2016-09-06 Yong Tai Electronic (Dongguan) Ltd. Plug for electrically mating with a receptacle
CN107293890A (zh) * 2016-04-11 2017-10-24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US10164378B2 (en) 2017-03-30 2018-1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ounding for high-speed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597A (en) * 1991-06-21 1993-05-04 Amp Incorporated Shielded connector with dual cantilever panel grounding beam
US5192228A (en) * 1991-09-16 1993-03-09 Amp Inc. Shielded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barbed board lock
US5564949A (en) * 1995-01-05 1996-10-15 Thomas & Betts Corporation Shielded compact data connector
US5797770A (en) * 1996-08-21 1998-08-25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077120A (en) * 1996-09-06 2000-06-20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connector of interfitting C-shaped shield members on a hou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070003B2 (ja) * 1996-09-06 2000-07-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シールド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89177A (ja) * 1996-12-26 1998-07-21 Dai Ichi Denshi Kogyo Kk 電気コネクタ
US5865646A (en) * 1997-03-07 1999-02-02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shield with integral latching and ground structure
TW421300U (en) * 1998-03-25 2001-02-01 Insert Entpr Co Ltd Lead frame of connector
TW406874U (en) * 1998-07-14 2000-09-21 Hon Hai Prec Ind Co Ltd Receptac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7442B1 (ko) 2003-11-28
DE60028146T2 (de) 2007-03-29
CN1205699C (zh) 2005-06-08
TW467436U (en) 2001-12-01
US6926557B1 (en) 2005-08-09
DE60028146D1 (de) 2006-06-29
EP1085604A2 (en) 2001-03-21
EP1085604A3 (en) 2002-03-20
CN1291803A (zh) 2001-04-18
EP1085604B1 (en) 2006-05-24
JP2001085113A (ja) 200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442B1 (ko) 개선된 보유 특징을 갖는 소형 차폐 커넥터
JP3232480B2 (ja) シールド電気コネクタ
KR100811579B1 (ko) 리셉터클 타입의 중계용 커넥터
JP3377965B2 (ja) 印刷配線板用コネクタ
US6478623B1 (en) Header connector with shell
US20020187666A1 (en)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onto which the contact is mounted
US2006004055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mber
JP2000223216A (ja) 小型コネクタ
KR100681167B1 (ko) 앵글 플러그 커넥터
US5876247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H0511667Y2 (ko)
US6168467B1 (en) Receptacle connector
KR100407443B1 (ko) 소형 커넥터
KR20020041761A (ko) 모듈형 잭
JP3607241B2 (ja) 電気コネクタ
JP3119612B2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及びその実装構造
US6056600A (en) Shielded connector
CN214797804U (zh) 电连接器、对接连接器及其组合
US5669787A (en) Shunt connector assembly
CN1870353B (zh) 电连接器
KR102543900B1 (ko) 커넥터 조립체
CN110401051B (zh) 电子卡座
JP2001093626A (ja) シールド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03532B1 (ko) 견고한 외부 차폐부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JP7467296B2 (ja) 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