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130A -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130A
KR20010030130A KR1020000049446A KR20000049446A KR20010030130A KR 20010030130 A KR20010030130 A KR 20010030130A KR 1020000049446 A KR1020000049446 A KR 1020000049446A KR 20000049446 A KR20000049446 A KR 20000049446A KR 20010030130 A KR20010030130 A KR 20010030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ferrule holder
ferrule
joining means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1656B1 (ko
Inventor
위베르장끌로드
바르뷔장필리쁘
브룩스앨런
Original Assignee
인터레모 홀딩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레모 홀딩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인터레모 홀딩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1003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6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fabricated by using moulding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Elastic joining of parts
    • Y10T29/49872Confining elastic part in socket

Abstract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관형 본체(2)의 후방 단부(4)를 케이블 어댑터(6)의 단부(5) 상에서 성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관형 본체(2)는 그 전방 단부(3)에 윈도우(10)가 형성된다. 코일 스프링(21) 및 날개부(19)를 구비한 페룰 홀더(13)가 관형 본체(2)의 전방 단부(3)를 통해 삽입되고 그 통로를 통해 강제적으로 통과하여 날개부(19)가 윈도우(10)의 단부벽(11) 및 전방 부분(3)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킨다. 날개부(19)가 윈도우(10)에 도달하면, 단부벽(11) 및 전방 부분(3)은 반경방향으로 재 수축하여 날개부(19)는 코일 스프링(21)의 편향을 받으며 단부벽(11)에 걸린다.

Description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BRE OPTIC MALE CONTACT}
본 발명은 광섬유 수형 컨텍트(male contact)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조 방법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는 관형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 단부에 체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본체의 후방 단부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케이블 어댑터,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를 통해 연장하여 광섬유 코어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세장형 부유(浮遊) 페룰, 상기 본체의 숄더(shoulder) 수단에 대해 상기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을 압압하도록 상기 케이블 어댑터의 제1 단부와 상기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 사이에서 편향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페룰은 상기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관형 페룰 홀더에 조립되고 상기 본체의 전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숄더 수단에 대하여 위치하는 접합 수단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광섬유 수형 컨텍트는 광섬유를 광섬유 상호간에 또는 고속 통신 및 데이터 전송용 광원이나 검출기에 광학적으로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컨텍트는 커넥터 내에서 섬유들을 개별적으로 접착하고 위치를 정하는 난점과, 하나의 섬유가 파열되면 전체 조립체의 교체가 필요시 되는 중요한 단점을 제거했기 때문에 단일 커넥터 또는 인서트(insert) 내에 다수의 섬유가 설치되어야 하는 곳에서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상기 단일 커넥터 또는 인서트의 크기와 그 안에 삽입되는 섬유의 수를 가능한 한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상기 컨텍트를 소형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광섬유 수형 컨텍트에서, 케이블 어댑터는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 어댑터의 제2 단부에서 권축(捲縮)되며 부유 페룰로부터 관형 본체와 케이블 어댑터를 통하여 연장하는 광섬유 코어를 보강하는 플라스틱 재킷에 의해 포위되는 케블라(KEVLAR)(등록상표) 등과 같은 변형 완화 소재로 된 피복을 지지하는데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관형 본체는 상기 페룰 홀더와 스프링을 상기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 내에 삽입한 후 나사 가공된 상기 케이블 어댑터의 제1 단부가 나사 체결되는 내부 나사선을 형성하도록 그 후방 단부가 기계 가공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나사선 가공 기술은 많은 비용이 들고, 특히 케이블 어댑터를 구비한 조립체에 내구성을 충분히 갖춘 나사선을 기계 가공할 수 있도록 관형 본체가 비교적 두꺼운 벽을 구비해야 하는 필요성과,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이 그 통로를 통해 관형 본체의 숄더 수단에 이르기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에 종방향 홈을 기계 가공해야 하는 필요성 때문에, 광섬유 수 컨텍트의 소형화 가능성이 엄격하게 제한된다.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에 페룰 홀더 및 스프링을 삽입한 후, 상응하는 케이블 어댑터의 스터드 가공된(studded) 제1 단부를 밀어 비틀어 넣어 조립할 수 있도록 그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베이어니트형(bayonet) 홈을 구비한 관형 본체를 성형함으로써 개량되었다. 이는 제조 비용은 감소되는 결과를 얻었으나,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에 베어니트형 홈을 형성하기 위해서 충분한 벽 두께를 가져야 하는 필요성과,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이 그 통로를 통해 관형 본체의 숄더 수단에 이르기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에 종방향 홈을 성형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한 소형화의 난관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소형화하면서 다용도이고 비용이 경제적인 광섬유 수형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상기 단점들을 없애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는 관형 본체, 상기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에 체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케이블 어댑터,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를 통해 연장하여 광섬유 코어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세장형 부유(浮遊) 페룰, 상기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관형 페룰 홀더에 조립되고 상기 본체의 전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숄더 수단에 대하여 위치하는 접합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페룰, 상기 본체의 숄더 수단에 대해 상기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을 압압하도록 상기 케이블 어댑터의 제1 단부와 상기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 사이에서 편향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광 섬유 수 컨텍트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상기 케이블 어댑터의 제1 단부 위에 상기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관형 본체의 전방 단부를 통해 상기 코일 스프링 및 페룰 홀더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이 그 통로를 통해 강제적으로 통과함으로써 관형 본체의 숄더 수단 및 전방 단부를 잠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과 케이블 어댑터의 제1 단부 사이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을 압압하는 단계와, 상기 관형 본체의 숄더 수단 및 전방 단부가 상기 접합 수단이 통과한 후 반경방향으로 재수축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접합 수단이 상기 숄더 수단에 걸리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페룰 홀더를 해제함으로써 그 접합 수단이 상기 코일 스프링의 편향을 받으면서 상기 숄더 수단에 대해 위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케이블 어댑터의 제1 단부 위에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를 성형함으로써, 케이블 어댑터의 제1 단부와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 사이에서 관형 본체의 최소 벽 두께를 갖는 견고한 조립체가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케이블 어댑터의 제1 단부는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에서 기계적으로 고정되며, 이로 인해 이 단계에서 가장 안전한 조립체가 보장된다. 케이블 어댑터를 조립하는데 소재를 약화시키고 공간을 낭비하는 나사선 또는 베이어니트형 홈은 사용하지 않으며,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에 걸쳐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을 안내하고 통과시키는 종방향 홈도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관형 본체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소재의 고유의 탄성을 이용하여 관형 본체의 전방 단부를 통해 상기 스프링 및 페룰 홀더를 삽입하고 상기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이 그 통로를 통해 강제적으로 통과하여 관형 본체의 숄더 수단 및 전방 단부를 잠시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써,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이 그 통로를 통해 통과되고 안내되게 하는 공간을 낭비하는 종방향 홈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형 본체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소재의 고유의 탄성을 더 이용하여 상기 관형 본체의 숄더 수단 및 전방 단부가 상기 접합 수단이 통과한 후 반경방향으로 재수축하게 함으로써, 이때 페룰 홀더를 해제하면 그 접합 수단이 스프링의 편향을 받으면서 관형 본체의 숄더 수단에 대해 위치하며, 이로 인해 조립체를 완성하는 것이 만족된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비용이 절감되며 용이하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소형화가 최대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는 케이블 어댑터의 제1 단부의 톱니 모양의 표면위에서 성형되어 관형 본체를 형성하는 소재의 두께가 최소인 최적의 조립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숄더 수단이 관형 본체에 성형되어 있는 윈도우의 단부벽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페룰 홀더의 반경 방향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접합 수단이 각각 상기 윈도우내에 수용된다.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윈도우가 관형 본체에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페룰 홀더 및 그 접합 수단을 관형 본체의 전방 단부를 통해 쉽게 삽입하는 것과 상기 전방 단부의 순간적인 확장을 보장하는 동시에 숄더 수단의 형성 및 기능이 쉽고 안전하다. 또한, 윈도우와 반경 방향 돌출부는 관형 본체 내에서 페룰 홀더의 회전 방지와 그 안에 광섬유를 적절한 각도로 배치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관형 본체의 탄성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상기 페룰 홀더의 반경 방향 돌출부가 그 통로를 통해 강제적으로 통과하는 동안 상기 관형 본체의 팽창이 용이하게 된다.
선호되는 태양에서, 관형 본체의 상기 전방 단부는 서로로부터 동일한 각 거리로 그 안에 성형되는 복수개의 종방향 슬롯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형 본체의 전방 단부는 그 안에 성형되는 4개의 종방향 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방향 슬롯은 상기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이 그 통로를 통해 강제적으로 통과할 때 그 확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관형 본체의 탄성을 더 증대시킨다. 또한 상기 슬롯은 광섬유 코어의 각을 이루는 물리적 접촉에서 편심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서트 또는 커넥터에서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각 위치를 보장하는 안내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슬롯 중 2개는 각각 상기 윈도우와 일렬로 배치되어 이 단계에서 관형 본체의 탄성을 더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례로서, 상기 숄더 수단이 관형 본체의 내부의 원통형 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접합 수단은 페룰 홀더의 원판형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페룰 홀더는 서로에게 나사 체결되며 제1 부분은 접합 수단을 포함하며 나머지 부분은 페룰을 포함하는 2개의 부분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술한 것 그리고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상세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그리고 참조 도면을 참조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관형 본체의 종방향 평면도이고,
도 2는 관형 본체의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은 페룰(ferrule) 홀더의 종방향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페룰 홀더 상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관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과, 페룰 홀더를 삽입한 위치에서 관형 본체를 종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관형 본체 내에 페룰, 페룰 홀더 및 스프링을 삽입한 관형 본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섬유 수형 컨텍트
2 : 관형 본체
3 : 관형 본체의 전방 단부
4 : 관형 본체의 후방 단부
5 : 케이블 어댑터의 제1 단부
6 : 케이블 어댑터
7 : 케이블 어댑터의 제2 단부
8 : 톱니 모양 표면
10 : 윈도우
11 : 단부벽
12 : 종방향 슬롯
13 : 페룰 홀더
14 : 전방 세그먼트
15 : 후방 세그먼트
17 : 종방향 하우징
18 : 페룰
19 : 날개부
20 : 스터드부
21 : 코일 스프링
광섬유 수형 컨텍트(1 ; 도 6)는 전방 단부(3)와 후방 단부(4)를 구비하며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관형 본체(2 ; 도 1 및 도 2)를 포함한다.
관형 본체(2)는 그 후방 단부(4)가 케이블 어댑터(6)의 제1 단부(5) 위에서 성형되며 케이블 어댑터(6)의 제2 단부(7)는 관형 본체(2)의 외부로 연장한 채로 사출 성형된다. 케이블 어댑터(6)의 제1 단부(5)는 관형 본체의 성형된 조립체를 위한 톱니 모양의 표면(8)을 구비한다. 또한, 제2 단부(7)도 변형 완화 소재(도시 생략)로 된 재킷형 피복을 지지하기 위해 톱니 모양(9)이 형성되어 있다.
관형 본체(2)의 전방 단부(3)와 후방 단부(4) 사이에서 2개의 윈도우(11)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성형되며 윈도우의 전방 단부벽은 숄더(11)를 형성한다.
관형 본체(2)의 전방 단부(3)는 그 안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2개씩 성형되는 4개의 종방향 슬롯(12)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 중 2개는 각각 윈도우(10)와 일렬로 정렬된다.
페룰 홀더(13 ; 도 3 및 도 4)는 16에서 서로 나사 체결되는 전방 세그먼트(14)와 후방 세그먼트(15)를 포함한다. 전방 세그먼트(14)는 광섬유 코어(도시 생략)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원통형 페룰이 압입되는 종방향 하우징(17)을 포함한다.
페룰 홀더(13)의 후방 세그먼트(15)는 그 외부 직경이 관형 본체(2)의 내부 직경보다 크고, 관형 본체 윈도우(10)에 수용되기 적합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반경방향 돌출부 또는 날개부(19)를 포함한다. 날개부(19)보다 외부 직경이 더 작은 스터드부(20)는 날개부(19) 바로 앞에 위치하고, 상기 스터드 된 부분은 코일 스프링(21 ; 도 5 및 도 6)을 지탱하는 데 적합하다.
광섬유 수형 컨텍트(1)의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도 5 및 도 6).
상기 스터드부(20) 상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21)과 함께 페룰 홀더(13)는 관형 본체(2)의 전방 단부(3)의 전방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난후, 코일 스프링(21)과 페룰 홀더는 화살표(22)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관형 본체(2)의 전방 단부(3)를 통해 강제 삽입된다. 페룰 홀더(13)의 후방 세그먼트(15)의 날개부(19)가 전방 단부(3)를 통해 강제적으로 통과할 때, 그 통로는 순간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며, 전방 단부(3)로부터 윈도우(10)의 단부벽(11)까지 단계적으로 확장한다. 동시에, 날개부(19)는 코일 스프링(21)을 밀며, 코일 스프링(21)의 자유 단부(23)는 케이블 어댑터(6)의 제1 단부(5)와 접촉하게 되고, 코일 스프링(21)은 제1 단부(5)와 날개부(19) 사이에서 압축된다. 날개부(19)가 전방 단부(3)를 통과한 후 윈도우(10) 내부 그리고 단부벽(11) 하부에 도달했을 때, 전방 단부(3) 및 단부벽(11)은 반경방향으로 재수축되며 상기 날개부는 윈도우(10)에 찰깍 끼워져 단부벽(1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날개부(19)가 코일 스프링(21)의 편향을 받으며 윈도우(10)의 단부벽(11)에 대하여 위치하도록 페룰 홀더(14)를 충분히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페룰 홀더는 관형 본체(2)의 전방 단부(3)를 통해 연장하며 부유하는 페룰(18)을 구비하는 관형 본체(2) 내에서 단단히 고정된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0)와 종방향 슬롯(12)의 수와 상대적인 위치를 달리하여도 좋다. 종방향 슬롯의 각 위치도 또한 달리 할 수도 있다.
관형 본체(2)의 윈도우(10)는 관형 본체에 성형된 내부의 원통형 벽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페룰 홀더의 날개부(19)는 페룰 홀더(13)의 후방 세그먼트(15) 상에 형성되는 원판형 부분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섬유 수형 컨텍트 제조 방법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관형 본체(2)의 후방 단부(4)를 케이블 어댑터(6)의 단부(5) 상에서 성형함으로써, 충분히 소형화가 가능하면서도 다용도이고 비용이 경제적이다.

Claims (10)

  1.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는 관형 본체(2), 상기 관형 본체(2)의 후방 단부(4)에 체결되는 제1 단부(5)와 상기 관형 본체(2)의 후방 단부(4)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제2 단부(7)를 구비하는 케이블 어댑터(6), 상기 본체(2)의 전방 단부(3)를 통해 연장하여 광섬유 코어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세장형 부유(浮遊) 페룰(13), 상기 본체(2)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관형 페룰 홀더(13)에 조립되고 상기 본체의 전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숄더 수단(11)에 대하여 위치하는 접합 수단(19)을 포함하는 상기 페룰(18), 상기 본체(2)의 숄더 수단(11)에 대해 상기 페룰 홀더의 접합 수단(19)을 압압하도록 상기 케이블 어댑터(6)의 제1 단부(5)와 상기 페룰 홀더(13)의 접합 수단(19) 사이에서 편향되는 코일 스프링(21)을 포함하는 광섬유 수형 컨텍트(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케이블 어댑터(6)의 제1 단부(5) 위에 관형 본체(2)의 후방 단부(4)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관형 본체(2)의 전방 단부(5)를 통해 상기 코일 스프링(21) 및 페룰 홀더(13)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페룰 홀더(13)의 접합 수단(19)이 그 통로를 통해 강제적으로 통과함으로써 관형 본체(2)의 숄더 수단(11) 및 전방 단부(3)를 잠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페룰 홀더(13)의 접합 수단(19)과 케이블 어댑터(6)의 제1 단부(5) 사이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21)을 압압하는 단계와,
    상기 관형 본체(2)의 숄더 수단(11) 및 전방 단부(3)가 상기 접합 수단(19)이 통과한 후 반경방향으로 재수축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접합 수단(19)이 상기 숄더 수단(11)에 걸리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페룰 홀더(13)를 해제함으로써 그 접합 수단(19)이 상기 코일 스프링(21)의 편향을 받으면서 상기 숄더 수단(11)에 대해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2)의 후방 단부(4)는 케이블 어댑터(6)의 제1 단부(5)의 톱니 모양의 표면(8) 상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수단은 관형 본체(2)에 성형되어 있는 윈도우(10)의 단부벽(11)에 의해 형성되어, 페룰 홀더(13)의 반경 방향 돌출부(19)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접합 수단이 상기 윈도우(10)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윈도우(10)이 관형 본체(2)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5.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본체(2)의 상기 전방 단부(3)는 서로로부터 동일한 각 거리로 그 안에 성형되는 복수개의 종방향 슬롯(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관형 본체(2)의 상기 전방 단부(3)는 그 안에 성형되는 4개의 종방향 슬롯(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2) 중 2개는 각각 상기 윈도우(10)과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수단이 관형 본체(2)의 내부의 원통형 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수단이 페룰 홀더(13)의 원판형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10.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 홀더(13)는 서로에게 나사 체결되며 제1 부분(15)은 접합 수단을 포함하며 나머지 부분(14)은 페룰을 포함하는 2개의 부분(14, 15)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KR1020000049446A 1999-08-25 2000-08-25 광섬유 수형 콘택트의 제조 방법 KR100731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116618.2 1999-08-25
EP99116618A EP1079251B1 (en) 1999-08-25 1999-08-25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bre optic male conta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130A true KR20010030130A (ko) 2001-04-16
KR100731656B1 KR100731656B1 (ko) 2007-06-25

Family

ID=823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446A KR100731656B1 (ko) 1999-08-25 2000-08-25 광섬유 수형 콘택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523241B1 (ko)
EP (1) EP1079251B1 (ko)
JP (1) JP4431258B2 (ko)
KR (1) KR100731656B1 (ko)
CN (1) CN1133085C (ko)
AT (1) ATE308766T1 (ko)
AU (1) AU775334B2 (ko)
CA (1) CA2316650C (ko)
DE (1) DE69928098T2 (ko)
DK (1) DK1079251T3 (ko)
ES (1) ES2252896T3 (ko)
HK (1) HK1034573A1 (ko)
IL (1) IL138094A (ko)
NO (1) NO320053B1 (ko)
RU (1) RU219977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55311T1 (de) * 2006-07-24 2010-01-15 Plumettaz Sa Einrichtung zum installieren eines kabels in einem rohr
ATE453871T1 (de) * 2007-06-04 2010-01-15 Interlemo Holding Sa Stecker für lichtleitfaser
US7785017B2 (en) * 2007-09-27 2010-08-31 Corning Cable Systems Llc Strain-relief assemblies and methods for a field-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
US8262403B2 (en) * 2009-09-10 2012-09-11 Vocollect, Inc. Break-away electrical connector
US8241053B2 (en) * 2009-09-10 2012-08-14 Vocollect, Inc. Electrical cable with strength member
TWI388097B (zh) * 2010-06-08 2013-03-01 Hon Hai Prec Ind Co Ltd 連接器
KR20160123728A (ko) 2015-04-17 2016-10-26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셔틀랙 자동창고시스템의 운영방법
DE102021111848A1 (de) 2021-05-06 2022-11-10 Odu Gmbh & Co. Kg Steckervorrichtung, Steckverbinder und Anschlusskabel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8109A (en) * 1977-05-18 1979-09-18 Kabel-Und Metallwerke Gutehoffnungshuette Ag Fiber optic connector apparatus with optical fibers having thermally deformable jacket material
US4336977A (en) * 1978-09-05 1982-06-29 Bunker Ramo Corporation Crimped connector assembly for fiber optic cables
US4279467A (en) * 1979-11-05 1981-07-21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
JPS5811906A (ja) * 1981-07-16 1983-01-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Frp被覆光フアイバ心線入りノンメタル光ケ−ブルの引止め部
US4614401A (en) * 1983-06-10 1986-09-30 Times Fiber Communications, Inc. Optical fiber connector
US4718745A (en) * 1983-06-10 1988-01-12 Times Fiber Communmications, Inc. Optical fiber connector
EP0130513A3 (en) * 1983-06-26 1986-12-30 Allied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
JPH0424708U (ko) * 1990-06-19 1992-02-27
US5121455A (en) * 1990-09-11 1992-06-09 Methode Electronics, Inc. Fiber optic connector
US5134677A (en) * 1991-02-15 1992-07-28 Augat Communications Group Fiber-optic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US5276752A (en) * 1992-07-29 1994-01-04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system
US5321784A (en) * 1993-02-18 1994-06-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ull-proof, modular fiber optic connector system
US5428703A (en) * 1994-02-18 1995-06-27 Augat Inc. One-piece SC fiber optic connector
EP1092997A1 (en) * 1994-06-22 2001-04-18 The Whitaker Corporation Optical fiber connector having enhanced assembly means
US5862282A (en) * 1995-07-12 1999-01-1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connector plug and optical connector
US5781681A (en) 1995-11-22 1998-07-14 The Whitaker Corporation Bend limiting strain relief boot
US5892871A (en) * 1995-12-13 1999-04-06 Dahan; Michael Fiber optic cable termination
US5761360A (en) * 1996-06-19 1998-06-02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with fiber gripping means
US5751874A (en) * 1996-09-13 1998-05-12 Nuvisions International, Inc. Coupling device for linking optical fiber connectors
US5751875A (en) * 1996-10-04 1998-05-12 The Whitaker Corporation Optical fiber ferrule
JP3225202B2 (ja) * 1997-01-24 2001-11-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5923804A (en) * 1997-03-31 1999-07-13 Siecor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 and an associated method of fabrication
US5923805A (en) * 1997-12-22 1999-07-13 Lucent Technologies Inc. Connector for plastic optical fiber
US6154597A (en) * 1998-01-05 2000-11-28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termination system including a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6019521A (en) * 1998-02-09 2000-02-01 The Whitaker Corporation Optical fiber connector
US6347888B1 (en) * 1998-11-23 2002-02-19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adapter, including hybrid connector system
FR2787890B1 (fr) * 1998-12-24 2002-01-04 Radiall Sa Element de connecteur optique a corps monobloc
US6287018B1 (en) * 1999-07-28 2001-09-11 Lucent Technologies Inc. Tunable optical fiber connector
US6293710B1 (en) * 1999-10-06 2001-09-25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connector having a one-piece housing
US6367984B1 (en) * 1999-11-10 2002-04-09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adapter
US6254283B1 (en) * 2000-02-22 2001-07-0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Terminus body retention
US6354746B1 (en) * 2000-05-22 2002-03-12 Fiberon Technologies, Inc. Plug and receptacle connection for optical fiber c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08766T1 (de) 2005-11-15
RU2199770C2 (ru) 2003-02-27
US6523241B1 (en) 2003-02-25
DE69928098D1 (de) 2005-12-08
NO320053B1 (no) 2005-10-17
JP2001074977A (ja) 2001-03-23
AU775334B2 (en) 2004-07-29
JP4431258B2 (ja) 2010-03-10
IL138094A0 (en) 2001-10-31
CN1133085C (zh) 2003-12-31
DK1079251T3 (da) 2006-03-06
KR100731656B1 (ko) 2007-06-25
HK1034573A1 (en) 2001-10-26
AU5365600A (en) 2001-03-01
CA2316650C (en) 2011-01-18
DE69928098T2 (de) 2006-07-20
ES2252896T3 (es) 2006-05-16
CA2316650A1 (en) 2001-02-25
EP1079251B1 (en) 2005-11-02
IL138094A (en) 2006-09-05
NO20004207D0 (no) 2000-08-23
CN1286408A (zh) 2001-03-07
EP1079251A1 (en) 2001-02-28
NO20004207L (no) 200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8977A (en) Optical fibre connector
US4183618A (en) Couplings and terminals for optical waveguides
EP2715425B1 (en) Cable anchoring system
US5923805A (en) Connector for plastic optical fiber
US5283848A (en) Circular multi-fiber fiber-optic connector
KR930011824B1 (ko) 광 케이블용 시이스 커넥터
MXPA06010746A (es) Conector de fibra optica que se puede instalar en campo.
EP0061243B1 (en) Optical waveguide connector
US11598924B2 (en) Retention assembly for securing POF fiber within a connector
KR900010431A (ko) 바이코닉 접속기
CN114072714A (zh) 可现场安装的光纤连接器
US20090252458A1 (en) Optical attenuator
CN102483495A (zh) 光纤连接器、电缆组合件及电缆组合件的制造方法
KR20010030130A (ko) 광섬유 수형 컨텍트의 제조 방법
US4097129A (en) Coupling device for protectively jacketed fibers
US4183615A (en) Couplings and terminals for optical waveguides
WO2022246333A1 (en) Assemblies for pulling, pushing, or blowing a plurality of preterminated fiber optic cables through a duct and assembling a fiber optic connector including the preterminated fiber optic cable after being pulled, pushed, or blown through the duct
JPH043847B2 (ko)
CN217385901U (zh) 一种现场组装型光纤连接器
KR100245623B1 (ko) 결속 및 분리가 용이한 광커넥터
CN112817095A (zh) 一种预组装lc型光纤连接器
GB1572502A (en) Optical waveguide couplings
KR20000047102A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GB2119948A (en) Coupling and terminals for optical waveguides
TW344038B (en) Universal optical fiber connectors and basic plug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