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7849A -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7849A
KR20010027849A KR1019990039804A KR19990039804A KR20010027849A KR 20010027849 A KR20010027849 A KR 20010027849A KR 1019990039804 A KR1019990039804 A KR 1019990039804A KR 19990039804 A KR19990039804 A KR 19990039804A KR 20010027849 A KR20010027849 A KR 20010027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bluetooth
central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bluetoot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5904B1 (ko
Inventor
안용철
강우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9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904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에 있어서, 댁내 무선단말기 중 하나의 블루투스 모듈을 중앙제어장치로 설정하여 무선 전화 및 리모콘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 및 패킷을 미리 설정하고 리모콘을 사용하는 가전 기기의 블루투스 모듈에 리모콘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에 따라 리모콘 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특히 무선전화기나 휴대폰과 같은 하나의 단말기기로 댁내에서 사용하는 기기들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METHOD FOR EMBODY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IN HOME BY USE OF THE BLUETOOTH}
본 발명은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댁내에서 사용하는 전화, 가전기기들을 하나의 단말(전화기 또는 휴대폰)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무선 통신 및 컴퓨터 산업은 저비용, 저전력의 무선 장치 또는 무선 링크 등이 실제로 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러한 무선 통신은 최근 개발 추세에 따라 점차 소형 및 휴대성을 강조하는 장치간의 통신 및 사무 기기간의 복잡한 연결 케이블의 제거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이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에릭슨(Ericsson)(사)에서 전문적인 코드, 이름하여 "블루투스(Bluetooth)"가 정의되었다. 블루투스의 목표는 소형의 단거리 무선에 따른 기동성과 비즈니스 사용자를 위한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블루투스는 휴대 가능한 컴퓨터와 통신 장치의 사용 모델을 최적화한 기술적 특성을 정의하였다. 블루투스는 저비용, 견고함, 능률, 높은 용량, 특히 음성과 데이터 네트워킹을 제공하기 위해 특별히 디자인되었다.
이러한 블루투스는 댁내에서 사용하는 각종 가전 기기들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블루투스를 댁내의 각종 가전 기기들간에 적용함에 있어서, 가전 기기들 각각에 구비되는 리모콘 등과 같은 제어장치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의 구현 방법을 제공하며, 특히 무선전화기나 휴대폰과 같은 하나의 단말기기로 댁내에서 사용하는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에 있어서, 댁내 무선단말기 중 하나의 블루투스 모듈을 중앙제어장치로 설정하여 무선 전화 및 리모콘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 및 패킷을 미리 설정하고 리모콘을 사용하는 가전 기기의 블루투스 모듈에 리모콘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에 따라 리모콘 동작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무선 통신망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무선 통신망에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 중 페이로드 부분 포맷도
도 3은 블루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댁내에서 무선전화를 구현한 구성도 및 프로토콜 참조 모델
도 4는 PSTN에서의 전화기 사용시 일반적인 메시지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사용시 블루투스 모듈이 추가되었을 때의 메시지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사용시 블루투스 모듈이 추가되었을 때에 상대방이 비지인 경우의 메시지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화기 또는 휴대폰과 같은 무선단말기의 중앙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8은 도 7의 중앙제어장치의 초기 설정 과정의 흐름도
도 9는 도 7의 중앙제어장치의 일반적인 동작 과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지국측의 블루투스 모듈의 블록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무선전화기지국측의 블루투스 모듈의 초기 설정 과정의 흐름도
도 12는 도 10의 무선전화기지국측의 블루투스 모듈의 일반적인 동작 과정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의 블루투스 모듈의 블록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TV 블루투스 모듈의 초기 설정 과정의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TR의 블루투스 모듈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중앙제어장치로 작동하는 무선전화기나 휴대폰과 같은 하나의 단말과, TV, VTR, 무선전화기지국 등으로 구성된다. 각 장치에는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 또는 연결되어 있고, 중앙제어장치로 작동하는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은 마스터로 동작하고 나머지는 슬레이브로 동작한다.
도 1은 댁내 무선 통신망의 구성예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단말기(무선전화기, 휴대폰)(10), 프린터(11), PC(12), 무선전화기지국(13), VTR(14), TV(15), 조명장치(16)에 각각 블루투스 모듈(BT)(10a, 11a, 12a, 13a, 14a, 15a, 16a)이 설치된 상태가 나타난다. 블루투스 모듈, 각각의 기기와 블루투스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간의 통신 등은 블루투스 규격을 따르며 이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 출원번호 제(9906161)호(명칭: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와 특허 출원번호 제(9906162)호(명칭: 블루투스 시스템의 기기 명칭 확인 방법)에 개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리모콘으로 이용되는 TV, VTR 등에 들어가는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 전화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블루투스 모듈의 프로토콜과 그 제어방식을 제안한다.
블루투스 규격(ver 0.8)에는 6개의 패킷 형태 영역(packet type field)이 예약되어 있다. 그 중에서 "0111"을 리모콘제어를 위한 패킷 형태로 사용한다(name: Remote Control). 또한 패킷 형태가 리모트 컨트롤일 때의 페이로드의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페이로드 부분은 1바이트(byte) 페이로드 헤더(payload header)와 0에서 17바이트까지 가변인 페이로드 바디(payload body), 2바이트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로 구성된다. 3비트의 메뉴 영역(MENU)은 예를 들어, "000"은 TV, "001"은 VTR, "010"은 오디오, "100"은 조명장치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5비트의 예약 영역은 조명장치들을 구별하는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페이로드 바디는 페이로드 헤더의 메뉴 영역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CRC 2바이트는 블루투스 규격(ver 0.8)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을 사용한다. 총 20바이트의 페이로드는 블루투스 규격에서처럼 2/3 FEC(Forward Error Correction)과 화이트닝(whitening)절차를 거쳐서 무선으로 송수신된다.
TV, VTR, 오디오 등은 리모콘의 원리가 유사하며, TV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페이로드 바디는 서브메뉴(submenu) 1바이트와, 그에 따르는 변수(parameter)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서브메뉴가 "0x00"인 경우에는 채널번호, "0x01"인 경우에는 음향, "0x02"인 경우에는 화면, "0x03"인 경우에는 음성다중을 의미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각각의 변수는 1바이트로 설정될 수 있다.
현재 블루투스 규격 버전 0.8에는 전화 제어 프로토콜(telephony control protocol)이 이름만 존재하고 그 내용은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블루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댁내에서 무선전화를 구현했을 때의 구성도와 프로토콜 참조 모델(protocol reference model)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교환기(30)에 일반적인 유선전화(31)와 블루투스 무선전화기지국(32)이 유선으로 통신하며, 블루투스 무선전화기지국(32)과 무선단말기(10)는 블루투스 모듈(32a, 10a)을 통해 무선으로 통신한다. 유선전화(31)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프로토콜(B)이 구비되며, 교환기(30)는 A로 나타낸 바와 같은 기저대역, ACL(Asynchronous Connection Legs),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LMP(Link Manager Protocol),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음성(voice), IP(Internet Protocol), RF/COMM, TCP(Telephony Control Protocol)이 구비된다. 무선전화기지국(32)측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TN 프로토콜, 블루투스 물리적 계층(bluetooth physical), 기저대역(baseband), L2CAP, LMP, 전화제어 프로토콜(telephony control protocol)이 구비된다. 무선단말기(10)측에는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물리적 계층, 기저 대역, LMP, L2CAP, 전화제어 프로토콜이 구비된다.
도 4는 PSTN에서의 전화기 사용시 일반적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4의 (a)는 정상적인 호 설정과 해제 절차를 나타낸다. 사용자 A가 교환기로 후크 오프하면, 교환기는 사용자 A로 다이얼톤을 보낸다. 사용자 A가 디지트(DTMF)를 교환기로 보내면, 교환기는 해당 디지트의 목적지 사용자 B로 링잉을 하고, 사용자 A로 링백톤을 보낸다. 사용자 B가 후크 오프를 하면 사용자들간의 접속이 이루어져 통화가 수행된다. 사용자 A 또는 사용자 B가 후크 온을 하면 이후 접속이 해제된다.
도 4의 (b)는 상대방이 비지인 경우를 나타낸다. 사용자 A가 교환기로 후크 오프하면, 교환기는 사용자 A로 다이얼톤을 보낸다. 사용자 A가 디지트를 교환기로 보내면, 교환기는 해당 디지트의 목적지 사용자 B가 비지임을 확인하고 사용자 A로 비지톤을 보낸다. 이후 사용자 A는 후크 온을 하게 된다.
도 5는 블루투스 모듈이 추가되었을 때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다. 도 5의 (a)는 아웃고잉 콜(outgoing call)일 경우의 정상적인 호 설정과 해제 절차를 나타낸다. 무선단말에서 블루투스 무선전화기지국으로 접속요청(일명 "ConnectionRequest" 패킷)을 하면 무선전화기지국은 교환기로 후크오프를 하게 된다. 교환기는 무선전화기지국으로 다이얼톤을 하게 되고 무선전화기지국은 무선단말로 다이얼톤 수신("DialtoneReceived" 패킷)을 알린다. 이후 무선단말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디지트신호("DigitSignal" 패킷)는 무선전화기지국으로 보내진다. 무선전화기지국은 교환기에 디지트(DTMF) 신호를 보내면 교환기는 링백톤을 무선전화기지국으로 보낸다. 이후 무선전화기지국은 무선단말로 접속허용을 알리고("ConnectionAcceptIndication" 패킷) 이후 무선단말과 무선전화기지국간 SCO 접속 프로시저(Connection Procedure)가 이루어져 통화가 수행된다. 이후 무선단말에서 접속해제 요청("DisconnectionRequest" 패킷)을 무선전화기지국으로 하게 되면 무선전화기지국은 교환기로 후크 온을 알리게 되고, 이후 무선단말과 무선전화기지국간 SCO 접속해제 프로시저가 이루어진다.
도 5의 (b)는 인컴잉 콜(incoming call)일 경우의 정상적인 호 설정과 해제 절차를 나타낸다. 교환기에서 블루투스 무선전화기지국으로 링잉(ringing)을 하게 되면, 무선전화기지국은 무선단말로 접속요청을 알리게 된다("ConnectionRequestIndication" 패킷). 무선단말이 얼러팅(alerting)을 하고, 무선단말에서 접속수용 요청("ConnectionAcceptRequest")을 무선전화기지국으로 하게 되고, 무선전화기지국은 교환기로 후크 오프를 알린다. 이후 무선전화기지국과 무선단말간에 SCO 접속 프로시저가 이루어져 통화가 수행된다. 이후 무선단말에서 접속해제 요청을 무선전화기지국으로 하게 되면, 무선전화기지국은 교환기로 후크 온을 알리게 되고, 이후 무선단말과 무선전화기지국간 SCO 접속해제 프로시저가 이루어진다.
도 6은 아웃고잉 콜일 때에 상대방이 비지인 경우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무선단말에서 블루투스 무선전화기지국으로 접속요청을 하면 무선전화기지국은 교환기로 후크오프를 하게 된다. 교환기는 무선전화기지국으로 다이얼톤을 하게 되고 무선전화기지국은 무선단말로 다이얼톤 수신을 알린다. 이후 무선단말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디지트신호는 무선전화기지국으로 보내진다. 무선전화기지국은 교환기에 디지트(DTMF) 신호를 보내면 교환기는 상대방이 비지임을 확인하고 비지톤을 무선전화기지국으로 보낸다. 이후 무선전화기지국은 무선단말로 비지톤 수신("BusytoneReceived" 패킷)을 알리고, 이후 무선단말에서 접속해제 요청을 무선전화기지국으로 하게 되면 무선전화기지국은 교환기로 후크 온을 알리게 된다.
도 7은 무선 전화기 또는 휴대폰과 같은 무선단말기의 중앙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앙제어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유저인터페이스부(74)와, RF송신부(71), RF수신부(72), 기저대역처리부(70), 중앙에서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main control)(73)로 이루어진다.
도 8은 상기 도 7의 중앙제어장치의 초기 설정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초기설정이 시작되면 먼저 82단계에서 조회(inquiry) 동작을 통하여 제어 가능한 모든 블루투스 장치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이후 84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으면 해당 블루투스 장치와 기저대역 접속 절차를 통하여, 중앙제어장치의 클럭 정보를 블루투스 장치가 저장하게 한다. 이러한 절차는 사용자가 중단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도 9는 중앙제어장치의 일반적인 동작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파워 온이 되면 먼저 91단계에서 저장되어 있는(사용자가 초기에 설정해 놓은) 모든 블루투스 장치와 기저대역 접속을 설정한다. 이후 92단계에서 모든 기저대역접속 설정이 끝나면, 모든 블루투스 장치에게 주기적으로 POLL 패킷을 전송한다. 이후 93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제어하고 싶은 메뉴버튼의 입력을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95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94단계로 진행한다. 95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누른 버튼에 해당하는 패킷을 만들어 해당 블루투스 장치에게 송신한다. 이때 나머지 블루투스 장치에게도 주기적으로 POLL 패킷을 전송하여야 한다. 이후 상기 9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진행한다.
94단계에서는 무선전화기지국으로부터 접속요청 알림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수신하였으면 9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9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진행하게 된다. 96단계에서는 전화 제어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나머지 블루투스 장치에게도 주기적으로 POLL 패킷을 전송하여야 한다. 이후 97단계에서 전화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9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진행하게 된다.
도 10은 무선전화기지국측의 블루투스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전화기지국의 블루투스 모듈은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유저인터페이스부(104)와, RF송신부(71), RF수신부(72), 기저대역처리부(101), 중앙에서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main control)(103) 및 PSTN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PSTN 인터페이스부(102)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상기 도 10의 무선전화기지국측의 블루투스 모듈의 초기 설정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초기설정이 시작되면 먼저 111단계에서 조회 스캔(inquiry scan) 동작을 통하여 중앙제어장치에서 자신의 블루투스 장치의 어드레스를 알려주게 된다. 이후 113단계에서 페이지 스캔(page scan) 절차를 통하여 중앙제어장치와 기저대역 접속 절차를 수행하고, 자신의 이름을 알려주고, 중앙제어장치의 클럭 정보를 비활성메모리에 저장한다.
도 12는 도 10의 무선전화기지국의 일반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파워 온 되면 먼저 121단계에서 페이지스캔 절차를 통하여 중앙제어장치와 기저대역 접속을 설정한다. 이후 122단계에서 기저대역 접속 설정이 끝나면, 중앙제어장치가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주는 POLL 패킷을 수신한다. 이후 123단계에서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수신하였으면 이후 125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24단계로 진행한다. 125단계에서는 아웃고잉 호출에 해당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126단계에서는 전화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122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진행하게 된다.
124단계에서는 교환기로부터 링잉 신호가 존재하는가를 확인하여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12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진행하며, 존재할 경우에 127단계로 진행한다. 127단계에서는 중앙제어장치로 접속요청알림 신호를 송신하고, 전화 제어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나머지 블루투스 장치에게도 주기적으로 POLL 패킷을 전송하여야 한다. 이후 128단계로 진행하여 전화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122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진행하게 된다.
도 13은 TV의 블루투스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TV의 블루투스 모듈은 RF송신부(131), RF수신부(132), 기저대역처리부(130), 중앙에서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main control)(133) 및 TV를 제어하는 TV제어부(134)로 이루어진다.
도 14는 상기 도 13의 TV 블루투스 모듈의 초기 설정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파워 온이 되면, 먼저 140단계에서 조회 스캔(inquiry scan) 동작을 통하여 중앙제어장치와 기저대역 접속을 설정한다. 이후 141단계에서 기저대역 접속 설정이 끝나면, 중앙제어장치가 주기적으로 전송해주는 POLL 패킷을 수신한다. 이후 142단계에서 리모콘 패킷을 수신하여 TV를 제어한다.
도 15는 VTR의 블루투스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VTR의 블루투스 모듈은 RF송신부(151), RF수신부(152), 기저대역처리부(150), 중앙에서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main control)(153) 및 VTR을 제어하는 VTR제어부(154)로 이루어진다. 이의 동작 및 구성은 상기 TV의 경우와 유사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에 있어서, 댁내 무선단말기 중 하나의 블루투스 모듈을 중앙제어장치로 설정하여 무선 전화 및 리모콘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 및 패킷을 미리 설정하고 리모콘을 사용하는 가전 기기의 블루투스 모듈에 리모콘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에 따라 리모콘 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특히 무선전화기나 휴대폰과 같은 하나의 단말기기로 댁내에서 사용하는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에 있어서,
    댁내 무선단말기 중 하나의 블루투스 모듈을 중앙제어장치로 설정하여 무선 전화 및 리모콘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 및 패킷을 미리 설정하고 무선 전화 및 리모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리모콘을 사용하는 가전 기기의 블루투스 모듈에 리모콘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에 따라 리모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제어를 위한 패킷은 블루투스 규격에서 예약된 패킷 형태 영역이 미리 설정된 리모콘 제어를 위한 형태로 설정되며, 기기의 종류를 지정하는 메뉴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로드 헤더와, 그에 따른 서브 메뉴를 지정하는 페이로드 바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의 리모콘 동작 수행 과정은 다른 가전 기기의 블루투스 모듈과 기저대역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접속된 블루투스 모듈로 주기적으로 POLL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제어하고 싶은 메뉴버튼의 입력을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버튼의 입력을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누른 버튼에 해당하는 리모콘 패킷을 만들어 해당 블루투스 모듈로 송신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의 무선 전화 동작 수행 과정은 블루투스 무선전화기지국으로부터 접속요청 알림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요청 알림 패킷을 하였을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전화 제어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기지국은 페이지스캔 절차를 통하여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기저대역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제어장치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POLL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한 경우 아웃고잉 호출에 해당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가짐을 한다. 이후 126단계에서는 전화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교환기로부터 링잉 신호가 존재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링잉 신호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중앙제어장치로 접속요청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전화 제어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을 사용하는 가전 기기가 리모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은 조회 스캔 동작을 통하여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기저대역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제어장치가 주기적으로 전송해주는 POLL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리모콘 패킷을 수신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KR1019990039804A 1999-09-16 1999-09-16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KR10060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804A KR100605904B1 (ko) 1999-09-16 1999-09-16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804A KR100605904B1 (ko) 1999-09-16 1999-09-16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849A true KR20010027849A (ko) 2001-04-06
KR100605904B1 KR100605904B1 (ko) 2006-08-01

Family

ID=1961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804A KR100605904B1 (ko) 1999-09-16 1999-09-16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9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975A (ko) * 2002-03-05 2003-09-13 에스엘투(주) 음성인식을 이용한 가정용 기기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방법
KR20030087337A (ko) * 2002-05-08 2003-11-14 에스엘투(주)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가정용 기기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469166B1 (ko) * 2000-12-15 2005-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운영 시스템
KR100575579B1 (ko) * 2003-12-18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루투스를 이용한 리모콘명령 생성 시스템, 리모콘명령처리 시스템 및 리모콘명령 처리 방법
KR100700521B1 (ko) * 2004-12-17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124A (ko) * 1993-10-28 1995-05-17 김종석 리모콘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및 제어방법
KR100227433B1 (ko) * 1997-10-10 1999-11-01 전주범 가전제품 중앙집중식 제어장치
KR100525729B1 (ko) * 1997-12-30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정자동화장치
KR19990058444A (ko) * 1997-12-30 1999-07-15 김영환 무선 핸드셋을 이용한 전기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166B1 (ko) * 2000-12-15 2005-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운영 시스템
KR20030071975A (ko) * 2002-03-05 2003-09-13 에스엘투(주) 음성인식을 이용한 가정용 기기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방법
KR20030087337A (ko) * 2002-05-08 2003-11-14 에스엘투(주)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가정용 기기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575579B1 (ko) * 2003-12-18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루투스를 이용한 리모콘명령 생성 시스템, 리모콘명령처리 시스템 및 리모콘명령 처리 방법
KR100700521B1 (ko) * 2004-12-17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904B1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2629B2 (ja) 統合型セルラ/pcs−pots通信システム
JP4245803B2 (ja) 直接に、あるいは、ipネットワークを経由して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サービス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100395332B1 (ko) 블루투스 무선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간의 링크 연결 방법
US8571545B2 (en) Short-range wireless relay method and system
US20030235186A1 (en) Internet cordless phone
US8504015B2 (en) Short-range wireless relay method and system
KR20010101795A (ko) 근거리 통신 제어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전화와 유선 전화사이의 진행중인 전화 호 전달
WO2012083820A1 (en) Short-range wireless mobile terminal method and system
US20030162544A1 (en) Call handling device
US8774706B2 (en) Short-range wireless mobile terminal method and system
TW200810379A (en) Bluetooth internet phone and wireless device thereof
CN107124706B (zh) 一种手机间转接电话的方法、装置及系统
KR10060590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JP3917927B2 (ja) インターネット無線電話機
US10863024B2 (en) System, user equipment, server,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KR200188707Y1 (ko)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 전화기의 전화번호 저장 시스템
JP3332113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装置、移動通信装置
JP3665154B2 (ja) 応答機能付きページャおよびページャシステム、それに関連する無線基地局およびページャ制御局
KR100502736B1 (ko)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KR20020022485A (ko) 무선 단말기 사용 가능한 유선 데이터 통신망 시스템
KR20070018162A (ko) 콜 이벤트메시지 전송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JP2001054163A (ja) 移動体通信端末におけるデータ通信方法
MXPA06005406A (en) Integrated cellular/pcs-pots communication system
JP2012114602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用いる動作制御方法
JPH118894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