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521B1 -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521B1
KR100700521B1 KR1020040108200A KR20040108200A KR100700521B1 KR 100700521 B1 KR100700521 B1 KR 100700521B1 KR 1020040108200 A KR1020040108200 A KR 1020040108200A KR 20040108200 A KR20040108200 A KR 20040108200A KR 100700521 B1 KR100700521 B1 KR 100700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device
auxiliary terminal
portable auxilia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106A (ko
Inventor
박정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5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그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정보기기들의 데이터를 휴대 보조단말기에서 수신받아 상기 정보기기들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기기에서 휴대 보조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정보기기와 지그비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결과, 상기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가 존재하면, 상기 지그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상기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휴대 보조단말기에서 정보기기로 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와 지그비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해당 정보기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 데이터의 종류가 선택되면,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존재하면, 상기 지그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를 상기 해당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를 착용한 사용자는 주변 정보기기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알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를 통해 상기 정보기기들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WIRELESS ASSISTANC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지그비(ZigBee) 네트워크 구성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지그비(ZigBee) 레이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보조단말기와 주변 정보기기들이 지그비(ZigBee)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보조단말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휴대 보조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를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지그비(ZigBee)무선모듈부 420: 제어부
430: 메모리 441: 표시부
442: 알람부 443: 진동부
본 발명은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그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정보기기들의 데이터를 휴대 보조단말기에서 수신받아 상기 정보기기들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가 다가오면서 개인이 접하는 정보기기의 개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인이 소유하고 관리하는 휴대용/비휴대용 정보기기의 수의 증가는 편의의 정도를 넘어 사용자에게 육체적, 정신적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결국, 계속 발전하고 있는 각종 시설의 센서기술과 정보화 기술은 더욱 사용자의 정보관리 및 제어 능력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서는 개인이 편리하게 몸에 휴대(착용)한 상태로 각종정보기기의 상태를 전달받고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무선장치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해결 방안으로 종래에 제시된 휴대폰용 착신 알림장치의 경우, 휴대폰에서 착신 후 무선주파수를 방출하는 부분과 손목등에 착용하여 주파수를 송신한 후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수신부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 방식은 무선주파수를 사용한다는 추상적인 개념에 그쳐 있으며, 단순히 휴대폰의 착신만을 전달한다는 제한적인 용도만을 제기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지그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정보기기들의 데이터를 휴대 보조단말기에서 수신받아 상기 정보기기들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기기에 구비된 지그비 무선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정보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지그비 무선모듈부와; 상기 지그비 무선모듈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및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해석하는 제어부와; 상기 프로그램 및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해석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상기 알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보기기에서 휴대 보조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정보기기와 지그비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결과, 상기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가 존재하면, 상기 지그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상기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 보조단말기에서 정보기기로 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와 지그비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해당 정보기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 데이터의 종류가 선택되면,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존재하면, 상기 지그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를 상기 해당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그비 무선모듈부를 구비한 주변 정보기기와 지그비 무선모듈부를 구비한 휴대 보조단말기가 지그비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정보기기의 상태를 편리하게 전달받고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보조단말기의 제공을 요지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최근 제시된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로서 지그비(ZigBee. LEE 802.15.4)라는 방식이 있다. 이는 저전력, 저속의 무선 통신기술로써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Data rates : 250 kbps and 20 kbps.
- Range : ~30 meters.
- Star, Peer-to-Peer, Mesh topology
- Support for low latency devices.
- CSMA-CA channel access.
- Dynamic device addressing.
- Fully handshaked protocol for transfer reliability.
- Low power consumption.
- 16 channels in the 2.4GHz ISM band, 10 channels in the 915Mhz.
- ISM band and one channel in the European 868MHz band.
- Simple protocol layers.
상기 지그비 프로토콜의 심플한 특징으로 인해, 지그비 모듈은 저가, 초소형, 저전력의 특징을 가지고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작은 메모리 용량과 간단한 제어부를 통해 구현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매우 좋으며 착용가능한 보조 단말장치의 구현도 가능해 진다. 상기 지그비의 코드 사이즈는 4 ~ 30kbyte의 코드와 300byte ~ 4 kbyte 램(RAM)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1은 상기 지그비(ZigBee) 네트워크의 구성방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상기 지그비(ZigBee)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지그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개인용 휴대 보조단말기를 구성한다면,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어디를 가든지 주변에 존재하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기기들로부터 손쉽게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개인용 휴대 보조단말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개인용 휴대 보조단말기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상기 사용자는 개인의 다양한 정보기기들의 정보상태를 착용가능한 휴대 보조단말기를 통해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사무실과 집(Home Automation System)등에서도 각종 정보 네트워크의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보조단말기와 주변 정보기기들이 지그비(ZigBee) 무선통신을 수행 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의 휴대 보조단말기(400)의 구성을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보조단말기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지그비 무선모듈부(410)는 지그비 프로토콜을 구현하며, 주변 정보기기에 구비된 지그비 무선모듈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지그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지그비 무선모듈부(410)는 상기 정보기기로 부터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수신받으며, 또한 상기 정보기기에게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어부(420)는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지그비 무선모듈부(41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메모리(430)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 및 네트워크정보를 이용하여 해석하며, 알림부(440)를 통해 상기 해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430)는 응용프로그램 및 네트워크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 및 네트워크정보는 상기 지그비 무선모듈부(41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해석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알림부(440)는 상기 제어부(420)의 제어하에,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장치로써, 표시부(441), 알람부(442) 및 진동부(4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는 표시부(441), 알람부(442) 및 진동부(443)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상기 도 4와 같이 구성된 휴대 보조단말기(400)와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지그비 무선모듈부를 구비하는 주변 정보기기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기기에서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휴대 보조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주변 정보기기는 휴대단말기, 노트북 및 홈 씨어터 시스템에 해당하는 가전제품 등으로,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에 의해 미리 등록된 정보기기들을 나타낸다.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는 등록하고자 하는 정보기기에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승인을 함으로써 상기 정보기기와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기기에서 휴대 보조단말기로 전송할 정보기기의 데이터 예를 들어, 착신정보, 위치정보, 메일수신 알림정보 및 홈 씨어터 시스템 정보등이 발생되면, 상기 정보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기기의 제어부는 5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정보기기를 미리 등록한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가 지그비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상기 지그비 네트워크 상에 상기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가 존재하면, 상기 정보기기의 제어부는 5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지그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해당 휴대단말기로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5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503단계에서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는 지그비의 무선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그비 네트워크 상에 상기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정보기기의 제어부는 5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전송할 정보기 기 데이터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5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정보기기 데이터의 중요도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정보기기 데이터가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정보기기의 제어부는 5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정보기기의 자체 알림부를 통해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 발생을 알리는 506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정보기기 데이터가 중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정보기기의 제어부는 5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지그비 네트워크의 특성을 이용하여 지그비 무선통신이 수행 가능한 다른 휴대 보조단말기로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5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다른 휴대 보조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다른 휴대 보조단말기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로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508단계를 진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보조단말기에서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를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에서 정보기기로 데이터 전송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420)는 6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등록된 정보기기의 종류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602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정보기기의 종류 중 해당 정보기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42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정보기기로 전송할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 종류에는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 상기 정보기기의 제어명령등이 있다. 상기 사용자는 603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 종류 중 해 당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420)는 이를 감지하고 지그비 네트워크 상에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상기 지그비 네트워크 상에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420)는 6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지그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해당 정보기기로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605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지그비 네트워크 상에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420)는 6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전송할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6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 데이터의 중요도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가 중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20)는 6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등록된 다른 정보기기로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를 예약 전송하는 60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608단계에서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다른 정보기기는 상기 해당 정보기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할때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를 상기 해당 정보기기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가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6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을 취소하는 609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지그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로 정보기기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420)는 6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430)의 응용프로그램 및 네트워크 정보를 통해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해석된 데이터를 상기 알림부(44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61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5 및 도 6과 같은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휴대 보조단말기와 주변 정보기기들 사이에 네트워크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휴대 보조단말기 및 정보기기는 스스로의 고유정보를 발송해야 하는데, 이는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가 방출하는 기준신호를 바탕으로 판단한다. 만약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가 네트워크상에 존재한다면, 기본적으로 응답만을 각 정보기기들 간의 배정받은 순서에 따라 전송하거나, 또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응답의 주기를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상에 새로운 정보기기가 들어오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기는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전송하여 등록승인함으로써 새로운 정보기기와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가 방출하는 기본신호에는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가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어, 이를 수신하는 정보기기들은 이를 해석하여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권한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이동에 의한 네트워크 분리를 인식하기 위해서 능동적으로 네트워크 분리신호를 송신하는 방법과, 수동적으로 네트워크 구성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일정기간 응답이 없는 경우 네트워크 분리로 인식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그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휴대 보조단말기가 주변 정보기기들과 무선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정보기기와 사용자의 휴대 보조단말기 간에 정보전달을 무선전송방식인 지그비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종합적으로 이루어낼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전송방식, 저전력, 저속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인 지그비 전송규격을 통해 초소형 휴대 보조단말기의 구현이 가능하며, 장시간의 전원 수명을 가질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 PDA 및 노트북등과 같은 정보기기와의 정보교류를 근거리에서 더욱 간편하게 해줄 수 있으며, 정보기기와의 데이터 전송의 편리함과 개별적인 사용자로의 정보표시를 통한 전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무실에서 사무전화의 착신 및 업무메일의 수신 상태를 사용자의 데스크가 아니라 하더라도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여러업무관련 장비의 상황도 보다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집에서 조명, 난방, 환기등의 거주자의 편의를 위한 조절장치들과 TV, 오디오시스템등의 여가시설 및 가전기기와 방범을 위한 보안기기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집안의 각종 장치, 기기들의 센서, 제어시스템 및 지그비모듈이 결합되어 저전력, 저속의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면, 집안의 구성원으로 등록된 식구들의 개인용 휴대 보조단말기로 상황을 보고하거나 구성원으로 부터 제어를 받 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정보기기에 구비된 지그비 무선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정보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지그비 무선모듈부와;
    상기 지그비 무선모듈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및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해석하는 제어부와;
    상기 프로그램 및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해석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보조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표시부, 알람부 및 진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보조단말기.
  3. 정보기기에서 휴대 보조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정보기기와 지그비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결과, 상기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가 존재하면, 상기 지그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상기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보조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휴대 보조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정보기기 데이터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가 중요하다고 판단되면, 다른 휴대 보조단말기에 구비된 지그비 무선모듈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상기 해당 휴대보조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가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정보기기의 알림부에서 상기 데이터의 발생을 알리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보조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기의 데이터는 착신정보, 위치정보, 메일수신 알림정보 및 홈 씨어터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보조단말기의 제어방법.
  6. 휴대 보조단말기에서 정보기기로 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와 지그비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해당 정보기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 데이터의 종류가 선택되면,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존재하면, 상기 지그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를 상기 해당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보조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정보기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 데이터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가 중요하다고 판단되면, 다른 정보기기에 구비된 지그비 무선모듈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를 상기 해당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가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을 취소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보조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보조단말기의 데이터는 상기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응답정보, 상기 정보기기의 제어 명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보조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40108200A 2004-12-17 2004-12-17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00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200A KR100700521B1 (ko) 2004-12-17 2004-12-17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200A KR100700521B1 (ko) 2004-12-17 2004-12-17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106A KR20060069106A (ko) 2006-06-21
KR100700521B1 true KR100700521B1 (ko) 2007-03-28

Family

ID=3716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200A KR100700521B1 (ko) 2004-12-17 2004-12-17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5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9428B2 (en) 2014-02-21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693B1 (ko) * 2005-06-24 2007-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지그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US8768383B2 (en) 2007-09-13 2014-07-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using the paging procedure
KR101455982B1 (ko) 2007-09-13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514079B1 (ko) 2008-01-07 2015-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시간 동기 타이머의 재구성 방법
KR100996920B1 (ko) * 2008-08-12 2010-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주변기기 제어방법
KR20210142505A (ko) 2020-05-18 2021-11-25 김종완 생면(生麵) 포장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849A (ko) * 1999-09-16 2001-04-06 윤종용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849A (ko) * 1999-09-16 2001-04-06 윤종용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9428B2 (en) 2014-02-21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106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22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mobile terminal
US201600577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US20070171091A1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KR102135965B1 (ko) 화면잠금을 제어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
CN110944315A (zh) 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蓝牙设备及存储介质
WO20150125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portable terminal
WO200714324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mode communications
KR100700521B1 (ko)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39526B1 (ko) 지그비와 rfid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와그 시스템
JP2002353976A (ja) 情報通信機器および情報通信方法
KR20090047144A (ko)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블루투스통신 방법
CN103026781A (zh) 多模式通信系统
KR20180001154A (ko)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CN106507357B (zh) 一种接入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100800454B1 (ko) 탈착식 스몰 월패드 및 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KR20100055741A (ko) 전자 기기들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287104B2 (ja) 無線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接続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接続制御方法
KR20180042477A (ko) 비콘 시스템 및 비콘 시스템의 관리방법
KR101509598B1 (ko) 사용자 활동 패턴 관리 시스템 및 사용자 활동 패턴 관리 방법
KR2008002266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CN218633937U (zh) 一种无线通信装置和电子设备
KR20120071491A (ko) 리모컨에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에 대한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4344139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internet-of-things devices,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KR20180045584A (ko)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KR20230039996A (ko) 복수의 사물 인터넷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