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584A -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584A
KR20180045584A KR1020160140106A KR20160140106A KR20180045584A KR 20180045584 A KR20180045584 A KR 20180045584A KR 1020160140106 A KR1020160140106 A KR 1020160140106A KR 20160140106 A KR20160140106 A KR 20160140106A KR 20180045584 A KR20180045584 A KR 20180045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control
wireless
information
ra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한
윤태환
이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이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이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이더스
Priority to KR1020160140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5584A/ko
Publication of KR20180045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 단말기(100)로 외부기기(20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200)에 내장되어 수신되는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200)를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기기(200)의 상태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제어모듈(300)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은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를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외부기기(200)와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310)가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DEVICE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EXTERNAL DEVICE }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곳에 설치된 다수의 외부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댁내에서 방, 거실, 부엌 등에 위치한 각각의 전등을 온/오프시키거나, 보일러, 전기밥솥, 세탁기 등 다수의 외부기기를 온/오프 시키기 위해서는 모두 사람이 직접 외부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해야만 하였다.
상기와 같은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또는 스위치에 손이 닿지 않는 어린이가 외부기기를 온 오프시키는 데에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에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리모콘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지역 네트워크 기술 및 이동통신망의 발전과 센서 디바이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홈 인프라가 구성되고 사물지능통신(M2M)의 개념이 구체화됨에 따라 댁내의 모든 외부기기(가전 기기)를 원격에서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보급에 따라 스마트폰은 단순한 통화기기에서 휴대 가능한 정보 기기로서 생활에 밀접한, 그리고 친숙한 사용자 디바이스로 활용되고 있음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외부기기들을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3739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무선 서비스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집, 병원, 사무실 등의 다양한 곳에 설치된 다수의 외부기기와 통신하며,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는 무선 단말기(100)로 외부기기(20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200)에 내장되어 수신되는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200)를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기기(200)의 상태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제어모듈(300)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은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를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외부기기(200)와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3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는 무선 서비스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집, 병원, 사무실 등의 다양한 곳에 설치된 다수의 외부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보다 편리하게 다양한 곳에 다수의 외부기기들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각 도면에 걸쳐 표시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댁내 또는 댁외에서 무선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댁내에 배치된 외부기기(200)의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외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 모듈을 갖는 기기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신을 통하여 외부기기(200)(예를 들어, 에어컨, 세탁기, 보일러, 조명 등)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을 통해 외부기기(200)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하여 서버(4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400)는 무선 게이트웨이(500)를 통해 복수의 무선 신호제어모듈(3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500)는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무선 신호제어모듈(300)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서버(400)는 외부기기(200)를 구별하기 위한 외부기기(200) 자체의 고유한 식별정보가 등록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를 통해 그 외부기기(200)를 특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400)에 접속하고, 서버(400)에 등록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외부기기(200)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하면 서버(400)는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에 무선신호로 변경된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은 서버(400)에서 보내는 제어정보를 토대로 입출력을 제어하고 상태정보를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다시 서버(4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400)는 무선 신호제어모듈(3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변경하여 각 외부기기(200)의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상태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제어정보를 무선 신호제어모듈(300)로 전송하거나, 무선 신호제어모듈(300)를 통해 수신받은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외부기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은 외부기기(200)의 내부에 내장되어 무선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정보에 따라 외부기기(200)를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기기(200)의 상태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은 외부기기(200)와 탈착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기기(2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외부기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은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를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외부기기(200)와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3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는 무선통신 송수신부(311), 무선통신 제어부(312) 및 외부연결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 송수신부(311)는 무선 단말기(1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 송수신부(311)는 게이트웨이(500)와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5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됨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와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 송수신부(311)는 하드웨어 통신 프로토콜로 Physical layer, Logical Link Control layer일 수 있으며, 내부/외부 안테나를 통해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 송수신부(311)는 게이트웨이(5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제어정보로 변경하고, 외부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를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 제어부(312)는 송수신되는 제어정보 및 상태정보를 처리하고, 제어정보에 따라 외부기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 제어부(312)는 소프트웨어 통신 프로토콜(312a)이 스택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통신 프로토콜(312a)은 Network layer, Transport layer, Session layer일 수 있으며, 외부연결부(313)에 포팅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313)는 외부기기(200)와 연결되어 제어정보 및 상태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연결부(313)는 제어정보 및 상태정보를 제어하는 것으로, 무선통신 송수신부(311)에서 수신된 제어정보를 외부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고, 외부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외부기기(200)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는 종래의 외부기기에 통신 소프트웨어를 포팅하여 사용하는 것과 달리, 소프트웨어 통신 프로토콜(312a)이 스택된 무선통신 제어부(312)와 하드웨어 통신 프로토콜인 무선통신 송수신부(311)가 포함된 통신부(310)가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통신장치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이 가능하고, 부품을 최소화하여 비용 절감 및 개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크기를 최소화하여 스마트홈, 헬스케어, 웨어러블 등의 초소형 시스템에도 장착하여 모든 전자제품이 인터넷이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은 제어정보 및 상태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어정보 및 상태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은 외부기기(200)에 따라 무선통신 제어부(312)에 서로 다른 제어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330)는 외부기기(200)의 종류에 따라 외부기기(200)를 구동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무선통신 제어부(312)에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통신 제어부(312)는 입력부(330)를 통해 외부기기(200)를 구동시키는 제어 프로그램가 입력됨으로써, 외부기기(200)의 온/오프 기능과 같은 단순한 제어 외에도 외부기기(200)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어떠한 외부기기(200)에도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는 무선 서비스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집, 병원, 사무실 등의 다양한 곳에 설치된 다수의 외부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보다 편리하게 다양한 곳에 다수의 외부기기(200)들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무선 단말기 200 : 외부기기
300 : 무선 신호제어모듈 310 : 통신부
311 : 무선통신 송수신부 312 : 무선통신 제어부
313 : 외부연결부 320 : 저장부
330 : 입력부

Claims (5)

  1. 무선 단말기(100)로 외부기기(20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200)에 내장되어 수신되는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200)를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기기(200)의 상태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제어모듈(300)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은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를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외부기기(200)와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310)가 일체로 형성되는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를 통해 송수신되는 상기 무선신호는 무선 게이트웨이(500)를 통해 서버(400)로 송수신되는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은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320)를 더 포함하는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송수신부(311);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200)를 제어하는 무선통신 제어부(312); 및
    상기 외부기기(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는 외부연결부(313)를 포함하는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제어모듈(300)은
    상기 외부기기(200)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제어부(312)에 서로 다른 제어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330)를 더 포함하는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KR1020160140106A 2016-10-26 2016-10-26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KR20180045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06A KR20180045584A (ko) 2016-10-26 2016-10-26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06A KR20180045584A (ko) 2016-10-26 2016-10-26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584A true KR20180045584A (ko) 2018-05-04

Family

ID=6219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106A KR20180045584A (ko) 2016-10-26 2016-10-26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55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4122B2 (en) Gateway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9892634B2 (en)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EP3173888B1 (en) Method for managing household devices
US10235874B2 (en)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method and gateway
US9629228B2 (en) Electric energy supply device with data bridge function and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930612B2 (en) Smart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1308087A (zh) 家用電器控制方法及系統
US10101771B2 (en)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KR20170091397A (ko)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CN104122999A (zh) 智能设备交互方法及系统
JP2003284169A (ja) 家電機器のリモコン装置
KR101797032B1 (ko)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
US11553214B2 (en)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20150123676A (ko)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
US10193704B2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home network system
US11910031B2 (en)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101677131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80045584A (ko) 독립적으로 외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TWM580840U (zh) Electrical control device with infrared receiving unit and radio frequency unit
KR20060069106A (ko)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77490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206757874U (zh) 全方位家居遥控系统
RU1447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приборами
KR101455699B1 (ko)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일반 가전기기에 대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제어방법 및 네트워크 구성 장치
TWI714030B (zh) 具有紅外線接收單元及射頻單元的電器控制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