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736B1 -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736B1
KR100502736B1 KR10-2003-0004995A KR20030004995A KR100502736B1 KR 100502736 B1 KR100502736 B1 KR 100502736B1 KR 20030004995 A KR20030004995 A KR 20030004995A KR 100502736 B1 KR100502736 B1 KR 100502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field
data
main body
process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8372A (ko
Inventor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7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6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포맷에 따른 가공 데이터 패킷을 무선으로 본체와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부와, 가공 데이터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한 키패드와, 전화기의 동작 상태 및 키패드의 가공 데이터 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각 기능부들의 기능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본체로부터 무선부를 수신된 가공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며, 입력된 가공 데이터를 무선부를 통해 본체로 무선 전송토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장치를 구비하며, 본체와 휴대장치간에 상대측으로 전송하여야 하는 가공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 전송 채널을 설정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가공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여 전송하고, 전송한 가공 데이터 패킷의 수신 응답을 확인하여 가공 데이터 패킷의 전송 상태를 확인하고, 상대측으로부터 가공 데이터 패킷의 수신시에 이를 확인하여 패킷의 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대측으로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BASE AND RADIO RECEIVING SET IN CORDLESS PHONE}
본 발명은 코드리스(Cordless)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리스 전화기 본체와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드리스 전화기는 실내에 전화국으로부터 들어와 있는 가입자선과 연결된 접속장치(본체)가 있고 수화기(휴대장치)와의 사이를 무선전파로 연결한 구조를 가진다. 코드리스 전화기는 실내에 있는 접속장치(본체)가 기지국 역할을 하고 있으며, 본체와 휴대장치간의 통화반경(도달거리)은 10~100m 정도이다. 이때 본체와 휴대장치간의 송수신 주파수는 900MHz 대역이다.
이러한 코드리스 전화기는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등에서(본체와의 통화반경 내에서) 손쉽게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으므로, 그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들어 유선망 즉,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하여 일반 음성 통신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 팩스 데이터 및 전자 메일(E-메일) 등 같은 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및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코드리스 전화기에서도 이러한 PSTN을 통한 전화 통화 기능과 더불어 메시지 서비스를 수용하는 기능부들이 추가되어, 사용자는 코드리스 전화기의 본체 상에 구비된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현재 코드리스 전화기에서 본체와 휴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시에는 채널 할당과 발신자 정보(CID: Caller ID)에 관련된 정보 전달에만 사용하고 있으므로, 메시지 서비스는 코드리스 전화기의 본체를 통해서만 가능하였고, 사용자는 코드리스 전화기의 휴대장치를 통해서는 상기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900MHz 코드리스 전화기에서 본체와 휴대장치 간의 가공 데이터[SMS(Shot Message Service), 전자 메일,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관리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의 품질과 부가 가치를 높이기 위한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코드리스 전화기에서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장치는, 가공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전화기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키패드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각 기능부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본체로부터 수신되는 가공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가공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포맷의 패킷으로 구성하여 무선부를 통해 상기 본체로 무선 전송토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패킷을 본체와 송수신하는 무선부를 포함하는 휴대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코드리스 전화기에서 본체와 휴대장치사이에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상대측으로 전송하여야 하는 가공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 전송 채널을 설정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패킷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한 패킷의 수신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패킷의 전송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대측으로부터 패킷의 수신 시, 상기 패킷의 수신을 확인하여 상기 패킷의 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대측으로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가공 데이터 패킷은 STX(Start of Text), 모델번호, 휴대번호, 비밀번호, PL(Packet Length), DATA 및 ETX(End of Text) 필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DATA 필드는 각각 2바이트씩 할당되는 채널, 명령, 종류 및 요청/응답 필드와, 다수 바이트의 가공 데이터 필드를 가지며, 상기 채널 필드는 채널 정보를 위해, 상기 명령 필드는 해당 패킷이 가공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위해, 상기 종류 필드는 해당 패킷의 가공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위해, 상기 요청/응답 필드는 해당 패킷이 요청 또는 응답 패킷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위해 사용되며, 상기 가공 데이터 필드는 해당 패킷이 전달하는 원 메시지를 위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 본체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 본체에서 무선부(160)는 본체와 휴대장치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 예로서, 상기 무선부(160)는 휴대장치로부터 수신된 RF 무선신호를 해당 채널 대역의 수신 주파수(예를 들어, 914MHz)만 필터링하여 증폭한 후, 제1 및 제2중간 주파수(IF)를 거친 신호를 출력하고, 휴대장치로의 신호 송신시 각 채널당 해당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신 주파수 대역(일 예로 959MHz 대)의 캐리어 신호로 변환시켜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핸드셋(152)은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스위치(150)를 통해 통화회로부(140)에 전달하며, 통화회로부(140)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스위치(150)는 제어부(CPU)(110)의 제어에 의해 무선부(160), 핸드셋(152), 본체 마이크 및 스피커, 통화회로부(140)와의 적절한 신호 전달을 위해 회로 스위칭을 담당한다. 통화회로부(140)는 음성 처리 회로로서, 스위치(150)와 라인 인터페이스(130) 사이에 연결되어 각종 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 라인 인터페이스(130)는 후크 스위치(Hook Switch), 링검출부, CID 검출부 등을 포함하며, 링신호 및 발신자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전화라인(TEL LINE)과의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라인 인터페이스(130)는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SMS)와 같은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110)로부터의 단문 메시지(SMS) 데이터를 전화라인을 통해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전화기 본체의 제반 구성부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국선 통화 및 휴대장치와의 통화를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가공 데이터를 무선부(160)를 휴대장치로 무선 전송토록 하며, 휴대장치로부터 상기 무선부(160)를 통해 수신되는 가공 데이터를 라인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유선망(PSTN)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120)는 롬(ROM) 및 램(RAM)으로 구성되어, 제어부(110)의 각종 동작 프로그램과 사용자 데이터 및 전화기 동작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표시부(LCD)(114)는 다수의 LED(발광다이오드) 및/또는 LCD(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전화기의 현재 상태 및 제반 상황들을 디스플레이한다. 키패드(112)는 다수의 숫자 키(문자 키) 및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각종 기능 설정, 문자 및 숫자 입력 동작이나 전화기의 다이얼 입력을 받아 이를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 휴대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 휴대장치에서 무선부(260)는 본체와 휴대장치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무선부(260)는 본체로부터 수신된 RF 무선신호를 해당 채널 대역의 수신 주파수만 필터링하여 증폭한 후, 중간 주파수(IF) 처리를 거친 신호를 출력하고, 본체로의 신호 송신시 각 채널당 해당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신 주파수 대역의 캐리어 신호로 변환시켜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휴대장치 제어부(210)는 휴대장치의 제반 구성부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본체와의 통화를 제어하며, 본체로부터 무선부(260)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음성처리부(240)로 전송하며, 본 발명에 따라 가공 데이터를 무선부(260)를 통해 본체로 무선 전송토록 하며, 본체로부터 상기 무선부(260)를 통해 수신되는 가공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부(214)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음성처리부(24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되어질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
메모리(220)는 롬(ROM) 및 램(RAM)으로 구성되어, 휴대장치 제어부(210)의 각종 동작 프로그램과 사용자 데이터 및 전화기 동작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표시부(LCD)(214)는 다수의 LED(발광다이오드) 및/또는 LCD(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며,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전화기의 현재 상태,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데이터 입력 상태 및 제반 상황들을 디스플레이한다. 키패드(212)는 다수의 숫자 키(문자 키) 및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각종 기능 설정, 문자 및 숫자 입력 동작이나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데이터 입력 및 전화기의 다이얼 입력을 받아 이를 제어부(210)에 제공한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와 본체간의 가공 데이터 송수신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900MHz RF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와 휴대장치 간 통화 채널은 1~40까지 40개의 채널을 사용하며, 등록 모드시 0번 채널을 사용하여 총 41개의 채널을 사용한다. 변조방식은 MSK(Minimum Shift Keying) 방식이며 MSB(Most Significant Bit)부터 전송한다. 데이터 비트의 형태는 11200Hz, 02400Hz로 공중 상으로 전송되며, 데이터는 모뎀에 의해 하이 비트(High bit)(1200hz)와 로우 비트(Low bit)(2400hz)로 구분하여 전송한다. 전송 데이터의 링크 계층의 패킷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데이터 패킷은, STX(Start of Text), 모델번호, 휴대번호, 비밀번호, PL(Packet Length), DATA 및 ETX(End of Text) 필드로 이루어진다. 4바이트(byte)의 STX 필드는 패킷의 시작을 알리는 필드로 해당 프레임을 검출하기 위한 값으로 휴대장치와 본체는 각각 다른 값[예를 들어, 휴대장치: 0xC4D6, 본체: 0x9336]을 가진다. 1니블(nibble)의 모델번호 필드는 예를 들어 0x1과 같은 모델번호를 위한 영역이고, 1니블의 휴대번호 필드는 0x1, 0x2 또는 0x3과 같은 휴대번호를 위한 영역이다. 3바이트의 비밀번호 필드는 일련번호를 위한 영역이고, 1바이트의 PL 필드는 패킷에서 응용계층에 사용되는 데이터 길이를 위한 영역이다. 데이터 필드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데이터, 명령 및 채널과 CID, SMS 등과 같은 여러 정보를 위한 영역이다. 1바이트의 ETX 필드는 패킷의 끝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0x00일 수 있다.
이러한 패킷 구조에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데이터 필드를 가공 데이터 전송을 위해 활용 및 확장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가공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개선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DATA 필드는 각각 2바이트씩 할당되는 채널, 명령, 종류 및 요청/응답 필드를 포함하며, 또한 가공 데이터 필드를 가진다. 이러한 가공 데이터 필드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SMS 전자 메일 등의 가공 데이터가 기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패킷은 하나의 구성으로 하나의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문 메시지패킷이 연결되어 장문의 메시지 즉, 전자 메일이나 팩스 등과 같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채널 필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채널 설정을 위해 제공되며 1~40까지 총 40개의 통화 채널을 쓰며 ID 등록시에는 0번 채널을 사용하게 된다. 명령 필드에는 명령문이 들어가는데, 가공 데이터임을 나타내기 위해 적절한 명령문 예를 들어 0xED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 패킷에서 상기 명령 필드의 내용이 0xED인 경우에는 이를 가공 데이터로 인식하여 그 내용을 상위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게 된다. 종류 필드는 가공 데이터의 종류 즉, SMS, 전자 메일, 전화번호 등의 분류를 나타내는 값이며, 요청/응답 필드는 본체 또는 휴대장치에서 데이터를 요청(문의)하는 경우와 요청(문의)에 대한 결과 정보 회신(확인)을 나타내는 값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패킷을 이용하여 코드리스 전화기의 본체와 휴대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시 적절한 흐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흐름 제어 방식은 패킷을 전송한 후에는 상대방으로부터 응답을 받을 때까지 재전송하며 각각의 상태에 따라 일정한 타임아웃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전송시 각 패킷을 연속적으로 계속 보내면서 수신 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일정시간이 지난 뒤에도 수신 응답이 없을 시에는 전송 실패(fail)로 처리한다. 이때 정상적인 수신이 되면 수신 응답(ACK) 메시지는 3번 보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코드리스 전화기 본체와 휴대장치간에 상기와 같은 가공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데이터 송신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은 본체 또는 휴대장치가 사용 중(통화 중, 통화 대기 중, 자동 응답 중)이 아닌 대기(idle) 상태에서 동작을 시작한다. 본체 또는 휴대장치에서 상호 업데이트 되어야할 가공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예를 들어 본체에 유선망을 통해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었거나 휴대장치에 사용자가 SMS를 입력하였을 경우에, 본체 또는 휴대장치는 이를 410단계에서 확인하여 이후 412단계로 진행한다. 412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미리 업데이트되어야할 가공 데이터의 자동 전송 기능을 설정하는지를 확인하여 전송 기능 설정시에는 이후 414단계로 진행한다. 즉, 이러한 업데이트되어야할 가공 데이터의 자동 전송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체 또는 휴대장치에서는 새로운 단문메시지의 수신 또는 입력이 있을 경우에도 상호간에 이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414단계에서는 전송 채널을 설정하고 이후 416단계에서 가공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이후 418단계에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전송한 가공 데이터 패킷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416단계로 진행하여 가공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며 응답이 있을 경우에는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은 본체 또는 휴대장치간에 상호 업데이트 되어야하는 가공 정보(예 : SMS, 전자 메일, 전화 번호 등)가 있는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킷에서 명령, 종류, 요청/응답 필드와 가공 데이터 필드를 구성하여 송신을 한다. 이때 송신 동작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하여 사용자가 기능을 설정/해제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송신한 내용을 제대로 받았을 경우, 상대방은 이에 대한 응답 패킷을 보내고, 응답 패킷을 받은 경우는 이어서 보내야 하는 가공 데이터가 있는 경우 다음 패킷을 보낸다. 도 4의 동작에서 상기 가공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따른 응답 없는 경우에 재전송은 3번만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데이터 수신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코드리스 전화기의 본체 또는 휴대장치에서 서비스 메시지를 수신하게되면, 먼저 510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메시지가 MSK 데이터 패킷인지를 확인하여 MSK 데이터 패킷일 경우에는 이후 512단계로 진행한다. 512단계에서는 상기 MSK 패킷이 가공 데이터 패킷인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512단계에서 MSK 패킷이 가공 데이터 패킷임을 확인하는 것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패킷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필드내의 명령 필드의 내용을 확인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명령 필드 내용이 해당 패킷이 가공 데이터임을 알리는 미리 설정된 값(예를 들어, 0xED)일 경우에는 해당 패킷이 가공 데이터 패킷인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상기 MSK 패킷이 가공 데이터 패킷일 경우에는 이후 514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가공 데이터 패킷의 수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후 516단계에서는 응답 패킷을 전송한다.
한편 상기 512단계에서 상기 패킷이 가공 데이터 패킷이 아닐 경우에는 이후 520단계로 진행하며, 520단계에서는 상기 패킷이 일반 데이터인지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 방식은 900MHz 코드리스 전화기에서 본체와 휴대장치 간의 가공 데이터[SMS(Shot Message Service), 전자 메일,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관리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의 품질과 부가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 본체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 휴대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송수신 데이터 포맷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데이터 송신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데이터 수신 동작의 흐름도

Claims (4)

  1.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가공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전화기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키패드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각 기능부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본체로부터 수신되는 가공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가공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포맷의 패킷으로 구성하여 무선부를 통해 상기 본체로 무선 전송토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패킷을 본체와 송수신하는 무선부를 포함하는 휴대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포맷의 패킷은, STX(Start of Text), 모델번호, 휴대번호, 비밀번호, PL(Packet Length), DATA 및 ETX(End of Text) 필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DATA 필드는 각각 2바이트씩 할당되는 채널, 명령, 종류 및 요청/응답 필드와, 다수 바이트의 가공 데이터 필드를 가지며, 상기 채널 필드는 채널 정보를 위해, 상기 명령 필드는 해당 패킷이 가공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위해, 상기 종류 필드는 해당 패킷의 가공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위해, 상기 요청/응답 필드는 해당 패킷이 요청 또는 응답 패킷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위해 사용되며, 상기 가공 데이터 필드는 해당 패킷이 전달하는 원 메시지를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수신 장치.
  3.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와 휴대장치간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대측으로 전송하여야 하는 가공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 전송 채널을 설정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패킷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한 패킷의 수신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패킷의 전송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대측으로부터 패킷의 수신시에 이를 확인하여 상기 패킷의 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대측으로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포맷의 패킷은, STX(Start of Text), 모델번호, 휴대번호, 비밀번호, PL(Packet Length), DATA 및 ETX(End of Text) 필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DATA 필드는 각각 2바이트씩 할당되는 채널, 명령, 종류 및 요청/응답 필드와, 다수 바이트의 가공 데이터 필드를 가지며, 상기 채널 필드는 채널 정보를 위해, 상기 명령 필드는 해당 패킷이 가공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위해, 상기 종류 필드는 해당 패킷의 가공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위해, 상기 요청/응답 필드는 해당 패킷이 요청 또는 응답 패킷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위해 사용되며, 상기 가공 데이터 필드는 해당 패킷이 전달하는 원 메시지를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KR10-2003-0004995A 2003-01-25 2003-01-25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KR100502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995A KR100502736B1 (ko) 2003-01-25 2003-01-25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995A KR100502736B1 (ko) 2003-01-25 2003-01-25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372A KR20040068372A (ko) 2004-07-31
KR100502736B1 true KR100502736B1 (ko) 2005-07-21

Family

ID=3735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995A KR100502736B1 (ko) 2003-01-25 2003-01-25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7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372A (ko) 200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8665A (en) Wireless terminal with auxilary desktop unit
CN101494474B (zh) 自动连接蓝牙车载免提设备的方法和终端设备
KR100395332B1 (ko) 블루투스 무선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간의 링크 연결 방법
JPH10336326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67011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irecting calls placed to a mobile phone to a second phone
JP4403349B2 (ja) 電話の加入者管理装置、電話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着信履歴情報の管理方法
KR100502736B1 (ko) 코드리스 전화기에서의 본체 및 휴대장치간의 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KR10060590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댁내 무선 통신망 구현 방법
US6477383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tate of each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JP3097137B2 (ja) 携帯通信端末
CN108184034B (zh) 拨号方法及通讯系统
KR100974133B1 (ko) 키폰 시스템 내의 유럽형 디지털 무선전화기를 이용한에스엠에스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KR20020068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응답 장치 및 방법
KR1006986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 수신 정보 제공 방법
KR20020090798A (ko) 문자메시지확인기능이 구비된 무선전화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259916B1 (ko) 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등록슬롯별자동링크설정방법
KR20000032787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방법
KR20040038008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시수신장치 및 방법
KR20010088996A (ko) 씨아이디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 기능 유무선 전화기 및 그방법
JPH0955694A (ja) 無線通信装置
KR20070018162A (ko) 콜 이벤트메시지 전송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KR19980046093A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내선통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