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607A -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607A
KR20010024607A KR1020007005218A KR20007005218A KR20010024607A KR 20010024607 A KR20010024607 A KR 20010024607A KR 1020007005218 A KR1020007005218 A KR 1020007005218A KR 20007005218 A KR20007005218 A KR 20007005218A KR 20010024607 A KR20010024607 A KR 20010024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dxx
node
base st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7406B1 (ko
Inventor
요한슨베른트
Original Assignee
클라스 노린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쿨트 헬스트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스 노린,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쿨트 헬스트룀 filed Critical 클라스 노린
Publication of KR20010024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controllers and backbone network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좁은 셀룰라 위치를 요구하는 환경에서 무선 기지국(RBS)에 접속된 이동 단말기로 그리고 그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방사하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기지국 사이트(12, 13, 14) 사이의 셀룰라 이동 시스템내의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송망은 전송을 관리하는 망 관리 시스템(11)을 갖는 분배된 크로스 접속 수단(DXX)을 포함하고 있다. 분배된 크로스 접속 수단(DXX)은 무선 방사 노드(RN)와 무선 방사 단말기(RT) 사이에 제공될 무선 투명 접속용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방사 노드를 가지고 있다. 몇몇 기지국 사이트(RBS)용 무선 방사 노드 수단(RN)은 상기 망관리 시스템(11)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 방사망(RNC)을 포함하고 있다. 무선 방사 노드(RN)내의 중앙 크로스 접속 노드(C-DXX)는, 포인트-투-멀티포인트 시스템을 갖는 분배된 그룹 스위치로서 작용하는 무선 방사 망 수단(RNC) 및 중앙 무선 방사 수단(CRS 16; CRS')과 함께 작용한다. 무선 방사 단말기(RT)는 무선 방사 노드(RN)에 무선으로 접속될 각 기지국 사이트(RBS) 용으로 주어져 있다.

Description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장치{A DATA CONNECTION DEVICE IN A TRANSPORT NETWORK}
셀룰라 이동 시스템에서, MSC/BSC와 기지국 간의 데이터는 기간 전송망을 통해 전송된다. 마이크로 셀룰라 어플리케이션(micro cellular application) 즉, 애매하고 지역 제한된 환경에서의 옥외 셀룰라 어플리케이션과, 피코 셀룰라 어플리케이션(pico cellular application) 즉, 옥내 셀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다수의 기지국은 용량 및 커버리지를 얻기위해 넓어지고 있다. 각 기지국은 MSC/BSC로부터 전송 링크를 요구하고, 따라서 많은 전송 링크가 설치되어야 한다. 통상, 이 전송링크는,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point to point system) 기술에 기반을 둔, 구리, 광케이블 또는 무선을 사용함으로써, 각 기지국에 대해 하나의 링크로서 실시된다.
링크의 수는 기지국의 수와 함께 증가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증가시킨다. 분배를 용이하게 하고, 구동하는 단가를 효율적으로 하기위해서, 디지털 크로스(digital cross) 접속 특징을 갖는 셀룰라 전송망은 서비스-중심 전송망(service-oriented transport network)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동적인 멀티플렉서 또는 "플랙스먹스(flexmux)"로서 종종 언급되는 상기 망은, 디지털 신호 전송용 인텔리전트 크로스-접속 노드(intelligent cross-connect node)(DXX)를 포함하고 있다. 크로스-접속 노드는, 몇몇 트렁크 인터페이스(trunk interface)를 갖춘 디지털 멀티플렉서로서, 그리고 몇몇 채널 인터페이스를 갖춘 크로스-접속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타입들 중 소정의 타입 간에 크로스-접속이 이루어 질 수 있다: 트렁크 대 트렁크, 크렁크 대 채널, 채널 대 채널. 채널 접속들은 반 영구적이다. 즉, 그 채널 접속들은 통합망 관리 시스템(NMS)의 도움으로 유동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초기의 이와 같은 종류의 망은, 각 기지국에서 크로스-접속 노드(DXX)로의 무선 접속을 갖는 크로스-접속 노드(DXX)에 제공되어 왔다. DXX 개념은, 1996년 Ericsson Review Nr 2에서, Tsviatko Ganev, Par Johanson och Joachim Walz에 의한 기사 " The Ericsson DXX cross-connect system in mobile networks"에 설명되어 있다.
최근에는, 서로 방해하지 않기 위해, 서로 짧은 거리에 위치된 기지국을 갖고, 전보다 작은 신호 범위를 갖도록, 셀룰라 시스템을 더욱더 압축시키도록 하는 요구조건이 있어왔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움직이는 커머셜 센터(commercial centre) 또는 기타 센터에 특히 적당하다. 케이블을 설치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비되고 경제적이지 못하다. 소정의 기간 후에 변경될 수 있도록, 임시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빠른 설치를 제공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무선 노드와 무선 단말기 사이의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 제어기를 갖춘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re) 사이의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2a, 도 2b는 도 1에 나온 망의 일부에 전송된 시그날링(signalling) 논리도와 물리적 관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나온 망에서의 접속을 위한 시그날링 계획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데이터 전송망에서 케이블을 설치하는 것은 설치 시간을 소비하게 하고, 경제적이지 못하고 변경이 용이하지 못하다. 이 문제들은, 케이블 대신에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 투명적 접속(point-to-multipoint transparent connection)을 이용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적으로 새로운 설치와 그리고 이미 존재하는 전송 망에 추가하기에 용이하고 적절한 전송 망에 데이터 접속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국(radio station)이 근처의 셀룰라 시스템, 이를 테면 커머셜 센터등의 혼잡한 장소에 상호 설치될 때 설치되기에 적절한 전송 망에 데이터 접속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문드문 분배된 기지국을 갖는 시스템이 용이하고 빠른 방법으로 보다 단축될 수 있는 전송망에 데이터 접속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장치와, 청구항 9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개선책은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좁은 셀룰라 위치를 요구하는 환경에서의 이동 셋수단(mobile set means)에 그리고 그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방사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와 기지국 사이트 간의 셀룰라 이동 시스템 내의 전송망에 있어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영역은, 좁은 셀룰라 위치를 요구하는 환경내의 이동 단말기 수단에 그리고 그 단말기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방사하는 기지국 제어기와 기지국 사이트 사이의 셀룰라 이동 시스템내 전송망에서 데이터 접속에 관한 것이며, 전송을 관리하는 망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분배된 크로스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분배된 크로스 접속 수단이, 몇몇 기지국 사이트용 무선 방사 노드 수단과, 무선 관리 시스템에 의해서 제어되는 무선 방사 망 수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노드는, 상기 무선 방사 노드 수단에 제공된 포인트-투-멀티포인트 시스템을 가지는 분배된 그룹 스위치로서 기능을 하는, 무선 방사 망 수단 및 중앙 무선 방사국 수단과 함께 작용하는 크로스 접속 노드 수단과; 각 기지국 사이트에 대한 무선 방사 단말기와; 무선 방사 노드수단과 무선 방사 단말기 사이에 제공되는 무선 투명 접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빠른 롤아웃(roll out)을 유지하기 위해, 무선을 경유한 동적인 무선 채널 할당 계획을 용이하게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할당 계획도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투명 접속은, 중앙 무선국에 의해서 제공될 기지국 사이트 당 적어도 하나의 DECT 무선 링크를 포함할 수 있는 동적 채널 할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함께 작용하는 무선 방사 노드 및 무선 방사 단말기 쌍 각각은 서로 가시거리에 제공될 수 있다. 투명접속은, 디지털 크로스 접속 노드와 기지국 사이트 사이에서 둘 사이의 무선 전송을 위해, 분배된 망에서 몇몇 디지털 크로스 접속 노드를 갖는 디지털 크로스 접속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기지국 사이트에 무선으로 전송될 들어오는 정보를 검출할 때, 망 관리 시스템은, 플래그를, 크로스-접속망에 투명 무선 방사 전송이 예정됨을 알리는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전송용 디지털 크로스 접속 노드는, 각 들어오는 패키지를, 기지국에 무선으로 전송될 정보를 갖는 패키지와, 타 디지털 크로스 접속 노드로 전송될 패키지로 분리할 수 있다. 무선 전송용 디지털 크로스 접속 노드는, 예정된 무선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는 당 기지국 사이트에 소정의 무선 방사 채널을 통해 투명하게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방사 노드에, 무선으로 기지국 사이트로 예정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은, 빠르고 경제적인 이동 전송을 위해 새롭게 설치를 할 수 있게 한다. 무선 기지국 사이트에 무선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후에 영구적으로 존재할 필요가 있을 때, 임시적인 설치가 직접 이루어질 수 있다. 존재하는 전송망은 용이한 방법으로 더욱 조밀하게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사용된 약어의 목록
AMPS 앰프스(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B-DXX 기간 디지털 크로스 접속(Back-bone Digital Cross Connect)
BRS 기간 무선국(Backbone Radio Station)
BSC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TN 기간 기술 TS 번호(Backbone Technical TS Number)
BTS 기간 기술국(Backbone Technical Station)
C-DXX 중앙 디지털 크로스 접속(Central Digital Cross Connect)
CRS 중앙 무선국(Central Radio Station)
DCA 동적 채널 할당(Dynamic Channel Allocation)
D-DXX 분배 디지털 크로스 접속(Distibuted Digital Cross Connect)
DECT 덱트(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phony)
DXX 디지털 크로스 접속(Digital Cross-Connect)
GSM 이동통신의 세계화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NMS 망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NMT 북유럽 이동 통신(Nordic Mobile Telephone)
OSS 운용 서브 시스템(Operations Sub-System)
PCM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N 개인 이동 통신망(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
PSTN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BS 기지국(Base Station)
RBS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RNC 무선 망 제어(Radio Network Control)
RN 무선 노드(Radio Node)
RT 무선 단말기(Radio Terminal)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와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을 대해서,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몇몇 종류의 이동 정보 분배 시스템용 분배 망을 통해 공용 전화 망으로부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최근의 셀룰라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몇몇 노드에서 이른바, DXX(디지털 크로스-접속) 시스템을 구비하는 분배 시스템은, 호출용 분배망과, 고객 이동 단말기로부터 그리고 그 이동 단말기에 음성 트래픽, 데이터 트래픽 등의 정보를 송, 수신하는 기지국에, 관련된 스위칭 장치들(switch devices) 간의 전송에 이용되어 왔다.
상기 종류의 망은, 본 발명에 따른 특징과 함께, 도 1에 계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최근 까지도, 대부분의 고객들은 공용 전화망(PSTN)(공중 교환 전화망)에 접속되어 있고, 이 망은, 도 1의 상부에 예시된 바와 같은, GSM(2), NMT(3), 페이징(4), 몇몇 종류의 데이터 전송(5) 등과 같은 상이한 종류의 셀룰라 이동 시스템에 호출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이동 시스템(PCN 및 AMPS)이 부가되는 무선국(13)에 대해서 도 1의 오른편에 예시되어 있다. 이들 이동 시스템에 접속된 고객들은, 물론, 이들 망을 통해 직접 접속 접속될 수 있다.
각 고객이 상이한 종류의 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고객 단말기에 도달할 가능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통상적인 개념이고, 도 1의 상부에 예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상이한 교환망과 PSTN은 서로 종래의 방법으로 인터페이스(미 도시됨)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대부분의 각 망(GSM, NMT 등)은, 대량의 구리 및 광 케이블이 세로로 그려져 있고, 도시 및 경치를 통해 십자형으로 그려져 있음을 의미하는 기지국에 직접 배선되어 있다.
그러나, DXX 노드를 갖는 분배 시스템은, 마이크로/피코, 즉 단축된, 셀룰라 환경에 자주 설치되어 왔다. DXX 개념은 공지되어 있어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겠고, 본 발명에 관련된 부분만을 설명할 것이다. DXX 개념은, 1996년에, Ericsson Review Nr 2에서, Tsviatko Ganev, Par Joachim Walz에 의해, 기사 "The Ericsson DXX cross-connect system in mobile networks"에 설명되어 있다.
DXX 망은, 운영자에게, 망이 커지고 새로운 서비스가 도입됨에 따라 확대될 수 있는 망 해결책을 제공한다. DXX 개념은, 다수의 소형 무선 기지국(RBS)(12, 13)에 대한 합병 노드로서 작용하는 액세스(DXX) 노드를 도입하기에 용이하게 만드는데, 상기 소형 기지국 각각은 망에서의 합병 노드와 함께 작용하는 DXX 노드(A)에 제공된다. 합병 노드는, 또한 상이한 매체/인터페이스 간의 변환용 자연 위치(natural location)가 될 것이다.
각 DXX 노드는, 몇몇 트렁크 인터페이스를 갖춘 디지털 멀티플렉서와, 몇몇 채널 인터페이스를 갖춘 디지털 크로스-접속 장치로서 설명될 수 있다. 크로스-접속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타입 간에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렁크 대 트렁크, 트렁크 대 채널, 및 채널 대 채널. 상기 채널 접속은 반 영구적이다. 즉, 상기 채널 접속은, 시스템 내의 모든 DXX 노드(6 내지 14)에 공통적인 통합 망 관리 시스템(NMS)(11)의 도움으로, 유연성 있게 재 구성될 수 있다.
C-DXX/RNC 노드(8)는, 무선 망 제어(RNC)와 결합되고, DXX 망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사이트(14)로 송신될 무선 신호로, 그리고 사이트(14)로부터 들어오는 비트 스트림 정보를 DXX 망을 통해 송신되기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는 무선 노드(RN)내의 분배된 그룹 스위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중앙 무선국 노드(CRS)(16)에 접속되어 있다. 중앙 디지털 크로스 접속 및 무선 망 제어 노드는 하기에서 C-DXX/RNC(8)라 한다.
기지국 사이트(14)에서의 액세스 기반 디지털 크로스 접속 B-DXX 노드(B)를 무선으로 지원하도록 적응시킬 필요가 있고, 그 노드는 기반 무선국(BRS)을 포함한다. B-DXX는 DXX(A)와 관련하여 수정된 형태이고, 하기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통합망 관리 시스템(NMS)(11)을, 사이트(A 및 B)로 그리고 그 사이트로부터 유, 무선 전송으로 정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시스템에 적응시켜, 그 시스템이 어떤 종류의 사이트에 정보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문제가 되지 않게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특정 망 관리 기능은 NMS(11)에 통합된다. 이에 대한 장점은, 어떠한 기타 관리 시스템도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송 특징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고객은 모든 사이트를 DXX 개념의 일부로서 볼것이다.
NMS는, 중앙집중화된 운용을 하기 위해 기지국 제어기(BSC)에 접속될 수 있는 운용 서브-시스템(OSS)에 접속될 수 있다.
DXX 망으로부터 들어오는 비트 스트림은, 하기에 설명될 바와 같이, CRS(16)내의 가상 출력 포트에 크로스 접속된 C-DXX/RNC 노드(8)에 존재한다.
도 2a 및 도 2b는, C-DXX/RNC(8)과 DXX(6)사이 그리고 C-DXX/RNC(8)와 B-DXXs 사이의 DXX망내로 전송된 시그날링의 논리도 및 물리적 관점을 나타내고 있다. 망을 통해 두 방향으로 시그날링이 제공될 지라도, PSTN(1)으로부터 시스템내의 무선 기지국(RBS)에 접속된 이동 세트들 중 하나로 호출이 들어오는 것에 대한 경로를 이하 설명할 것이다. C-DXX/RNC(8)을 통해 접속될 모든 세트로의 호출은 패킷(P1)에 맵핑되는데, 여기서 각 셀은 패킷내의 개별 타임 슬롯에 할당되어 있다.
NMS(11) 기능들 중 하나는, DXX 망내의 로팅(roting) 정보를 셋업하여, 특정 무선 기지국에 대한 예측된 목적지에 도달하는 것이다. DXX 망을 구비할 때, 본 발명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특정 관리 기능을 위한 기능들 중 하나는, C-DXX/RNC와 무선으로 접속된 B-DXX에 제공된 RBS(18)에, 처리될 호출에 대한 특정 무선-플래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XX/RNC는, 패킷(P1)으로부터 무선 플래그를 갖는 타임 슬롯을 선택하고,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CRS와 C-DXX/RNC 노드 간의 내부 제어용 제어 시그날링에 대해서, 그 기술분야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타임 슬롯(#16)상에 제어 슬롯(CCS)을 포함하는 제 2 패킷(P2)에, 그것들을 함께 두며, CRS(16)에 그것을 송신한다. C-DXX/RNC(8)와 CRS(16)은 동일 박스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맵핑, 즉 이를 테면 CRS(16)에 접속된 물리적인 2 Mbps 포트를 통해 서로 와이어링된다. 이에 대한 이유는, CRS(16)가 옥외에 배치되어야 하는 송,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실질적인 방법은, CRS 옥외용 회로를 포함하는 전체 박스를 갖는 것이다.
무선-플래그, 또는 타 C-DXX/RNC를 통해 보내어지게됨을 나타내는 타 무선-플래그를 갖지 않는 타임슬롯은, 이를 테면, 도 1에 나온 DXX(9) 등의 유선 접속을 갖는 시스템 내의 타 DXX로 보내어지는 패킷(P3)에 제공된다.
각 B-DXX에는 기간 무선국(BRS)(17A-17N)이 제공된다. 이 BRS는, 무선 송/수신에 적합하고, DXXs(A)에 제공된 액세스 유닛의 반대편에 있는 무선 단말기(RT)에 포함되어 있다. CRS(16)를 포함하는 C-DXX/RNC 노드(8)는, 각 BRS/B-DXX(17A-17N)에 대해 하나의 가상 출력 포트를 가지고 있다. 이들 가상 출력 포트 각각은 소정의 CRS에 접속되고, 그 CRS에서 선택된 이동 RBS까지 통상적인 PCM(펄스 코드 변조) 채널을 사용한다. 통상적인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는 다중 액세스내의 호출에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채널에 할당되고, 대부분의 통상적인 것은 시분할 다중 접속(TDMA)이다.
무선 인터페이스(A i/f)는, CRS(16)와 각 BRS/B-DXX 노드 사이에서 단지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고, 소정의 BRS/B-DXX(17A 내지 17N)를 CRS(16)를 통해 C-DXX/RNC(8)에 접속하기 위해 한정된 크로스 접속 기능을 가진 크로스 접속으로서 작용한다. 논리적 전송 채널은 각 BRS/B-DXX(17A 내지 17N)용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를 테면, 2Mbps의 속도를 가진 가상 전송 채널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달성된다.
접속은, 반 영구적, 즉 어떠한 동적 호출 처리도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접속은, 무선망 제어 RNC로부터의 요청으로 항상 셋업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들어오는 접속 요청은, DXX 망에 대해 DXX NMS(11)로부터의 접속 요청 발생으로서 정의된다. 들어오는 접속 요청에 대한 수신시에, 무선 망 제어 RNC는 그것의 데이터베이스를 체크하여, RBS가 그것의 셀룰라 영역내에 존재함을 증명한다. RBS가 셀룰라 영역내에 존재하면, RNC는 어떤 기간국에 접속이 지시될 것인지 그리고 어느 목적지 기간국이 시스템에 기억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기간국이 방송 종류이면, BRS/B-DXX(B)에 주어진 것이면, 기간국의 기간 기술 TS 번호(BTN)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가 트래픽 및 비콘(beacon) 채널로 보내어진다. DECT-전송 시스템에서, BRS/B-DXXs는 그것의 BTN으로서 식별된다. 주소(CRS)는 최선의 이용할 수 있는 전송 채널(물리적 채널 요청)을 선택한다. CRS는 진짜임이 증명되어야 하고, 이후 접속 요청은, 이를 테면, 64 kbps의 속도를 갖는 CRS로 전송된다. 각 BRS/B-DXX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채널이 설정된다.
상기 모든 원하는 채널이 설정된 후, CRS는 기지국 제어기(BSC)(도 1 참조)로부터의 소정의 입력 TS에 접속되고, 시스템은 모드를 작동 모드로 변경한다.
이를 테면, 하나의 CRS(16)는 6개의 무선 포트를 가진다. 각 무선 포트는 6개의 데이터 채널을 처리할 수 있다.
C-DXX/RNC(8)는, B-DXX(B)에 접속된 BRS로 향하는 각각의 들어오는 비트 스트림을 CRS(16)에 접속된 펄스 코드 변조된 링크상의 소정의 타임슬롯으로 라우팅한다. C-DXX/RNC(8)내의 크로스 접속 블록에 의해서 상기 라우팅은 수행된다. 상기 C-DXX/RNC는 제어채널을 통해 NMS(11)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채널은 또한 크로스 접속 블록에 의해서 관리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초기의 본 발명은, 셀룰라 환경을 보다 조밀하게 만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서, 소정 무선 기지국 사이트와 유선 전송을 갖는 존재하는 DXX 노드에는, 소정의 추가적인 무선 기지국 사이트에 대한 추가적인 무선 투명 전송(wireless transparent transmission)이 주어질 수 있다. 이는, 도 1의 중앙에 예시되어 있는데, 결합된 DXX/C-DXX/RNC 노드(9)는, 사이트(12)에서의 두 A-DXX 노드(A)를 지원하고, CRS(20)를 통해 B-DXX 노드(21)를 지원한다.
또한, 이를 테면, GSM에 대한, 그 자신의 원격 NMS를 갖는 망 시스템으로부터 고립된 링크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텔리전트 종류의 데이터 접속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기지국 제어기(BSC)는, 다수의 무선 액세스 노드(CRS')를 제어하는 무선망 제어 RNC에 접속되어 있다. 무선 전송은 바람직하게는 DECT 종류이다. 각 CRS'는, 이를 테면 DECT 무선 인터페이스의 사용에 의해, 다수의 기간 액세스 유닛(BRS/B-DXX')에 접속될 수 있다. 하나의 BRS/B-DXX'는 몇몇 CRS's과 함께 운용할 수 있고, 하나의 CRS'는 몇몇 BRS/B-DXX's와 함께 운용될 수 있음을 주목하자. 스펙트럼 유효 시스템을 이루기 위해, 각 타임 슬롯내에 단하나의 유효 데이터가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로질러 전송된다. 펄스 코드 변조된 링크는, BRS/B-DXX' 및 RNC에서 회복되며, BSC 측의 BSC와 RNC간의 인터페이스(E1/T11)에 동기화된다. BSC 관점으로부터, 상기 시스템은, 이후 RBS와 BRS/B-DXX'간의 인터페이스(E1/T12)에 동기화된 무선 기지국 사이트(RBS)로의 가상의 반 영구적인 펄스 코드 변조된 링크로서 작용한다.
필요한 크기를 나타내는 시스템에 대한 보기
하나의 DECT 무선 포트는 12개의 동시적인 32kbps 접속 또는 6*64 kbps 타임슬롯 까지 처리할 수 있다. 전체 Mbps 펄스 코드 변조된 링크를 처리하기 위해, 6개의 DECT 무선 포트는 하나의 BAU에 사용될 수 있다. 타임슬롯(0)은, 동기화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따라서 BAU에서 발생될 수 있다. 각 32 kbps DECT 타임슬롯은 120개 까지의 이용할 수 있는 채널 중 하나로 할당된다.

Claims (14)

  1. 좁은 셀룰라 위치를 요구하는 환경에서의 무선 기지국(RBS)에 접속되는, 이동 단말기 수단으로 그리고 그 단말기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방사하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기지국 사이트(12, 13, 14) 간의 셀룰라 이동 시스템내의, 전송을 관리하는 망관리 시스템(11)을 갖는 분배된 크로스 접속 수단(DXX)을 포함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된 크로스 접속수단(DXX)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가지는데, 상기 적어도 한 노드는,
    a) 몇몇 기지국 사이트(RBS)용 무선 방사 노드 수단(RN)과, 무선 관리 시스템(11)에 의해서 제어되는 무선 방사 망 수단(RNC)을 포함하고,
    b) 상기 무선 방사 노드 수단(RN)에 제공된 포인트-투-멀티포인트 시스템을 가지는 분배된 그룹 스위치로서 기능을 하는, 무선 방사 망 수단(RNC) 및 중앙 무선 방사국 수단(CRS 16; CRS')과 함께 작용하는 크로스 접속 노드 수단(C-DXX)과;
    c) 각 기지국 사이트(RBS)에 대한 무선 방사 단말기(RT)와;
    d) 무선 방사 노드수단(RN)과 무선 방사 단말기(RT) 사이에 제공되는 무선 투명 접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투명 접속(wireless transparent connection)은 동적 채널 할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투명 접속은, 중앙 무선국(CRS 16; CRS')에 의해 제공될, 기지국 사이트당 적어도 하나의 DECT 무선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어터 접속 장치.
  4.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함께 작동하는 무선 방사 노드(RN)와 무선 방사 단말기(RT) 쌍 각각은 서로 가시거리 내에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
  5.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된 크로스 접속수단(DXX)은 무선 방사 노드수단(RN)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속은, 디지털 크로스 접속 노드(C-DXX/RNC)와 기지국 사이트(BRS/B-DXX)사이에서 둘 사이의 무선 전송을 위해, 분배망에서 몇몇 디지털 크로스 접속 노드를 갖는 디지털 크로스 접속 시스템에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기지국 사이트(B-DXX)에 무선으로 보내어질 들어오는 정보를 검출할 때, 망관리 시스템(NMS 11)은, 플래그를, 크로스-접속망에 투명 무선 방사 전송이 이루어질 예정임을 알리는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각 들어오는 정보 패키지(P1)에 대한 무선 전송용 디지털 크로스 접속 노드(C-DXX/RNC)는, 상기 패키지를, 기지국 사이트에 무선으로 전송될 정보를 갖는 패키지(P2)와 타 디지털 크로스 접속 노드(DXX)로 전송될 패키지(P3)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선 전송용 디지털 크로스 접속 노드(C-DXX/RNC)는, 예정된 이동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는 당 기지국 사이트로 소정의 무선 방사 채널을 통해 투명하게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방사 노드(CRS 16; CRS')에, 무선으로, 기지국 사이트로 예정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
  10. 좁은 셀룰라 위치를 요구하는 환경에서의 무선 기지국(RBS)에 접속되는, 이동 단말기 수단으로 그리고 그 단말기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방사하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기지국 사이트(12, 13, 14) 간의 셀룰라 이동 시스템내의, 전송을 관리하는 망관리 시스템(11)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된 크로스 접속 수단(DXX)을 포함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 방법에 있어서,
    a) 몇몇 기지국 사이트(RBS)에, 무선 방사 노드 수단(RN) 포함하는 포인트-투-멀티포인트 시스템을 가지는 분배된 그룹 스위치로서 기능을 하는 중앙 무선 방사국 수단(CRS 16; CRS')을 제공하고;
    b) 분배된 크로스 접속 노드(C-DXX)에서 무선 방사망 조절수단(RNC)을 접속하며;
    c) 중앙 무선 방사국 수단과 무선 방사망 제어기 수단을 망 관리 시스템(11)에 의해서 제어하며;
    d) 각 지지국 사이트(RBS)에 무선 방사 단말기(RT)를 제공하며;
    e) 무선 방사 노드와 무선 방사 단말기 사이에 무선 투명 접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서로 함께 작동하는 무선 방사노드(RN)와 무선 방사 단말기(RT) 쌍 각각을 서로의 가시거리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분배된 크로스 접속 노드(C-DXX)를 분배된 크로스 접속 시스템내에 단 하나의 노드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분배된 망에서 몇몇 디지털 크로스 접속 노드를 갖는 분배된 크로스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크로스 접속 노드(C-DXX/RNC)와 기지국 사이트(BRS/B-DXX) 사이에서 그들 사이에 무선 전송을 위해 투명 접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들어오는 정보가 무선으로 기지국 사이트(B-DXX)에 보내어지는 것을 검출할 때, 플래크를, 망관리 시스템(11)에 전송될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접속방법.
KR1020007005218A 1997-11-14 1998-11-10 전송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 KR100647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4172-7 1997-11-14
SE9704172A SE523594C2 (sv) 1997-11-14 1997-11-14 Datakopplings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informationsöverföring i ett cellulärt mobilsystem
PCT/SE1998/002020 WO1999026436A2 (en) 1997-11-14 1998-11-10 A data connection device in a transport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607A true KR20010024607A (ko) 2001-03-26
KR100647406B1 KR100647406B1 (ko) 2006-11-17

Family

ID=2040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218A KR100647406B1 (ko) 1997-11-14 1998-11-10 전송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31246A1 (ko)
JP (1) JP2001523932A (ko)
KR (1) KR100647406B1 (ko)
CN (1) CN1132461C (ko)
AU (1) AU1265899A (ko)
SE (1) SE523594C2 (ko)
WO (1) WO19990264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6378A (en) 2001-06-04 2002-12-11 Ericsson Telefon Ab L M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network and a new network element
CN100381012C (zh) * 2003-04-09 2008-04-09 Ut斯达康(中国)有限公司 一种ue切换过程中数据传送管理的方法
JP4429132B2 (ja) * 2004-09-30 2010-03-10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388849B (zh) * 2008-10-29 2011-04-13 北京航空航天大学 选取协作节点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31551C (en) * 1990-12-05 1998-06-30 Leo Strawczynski Inter-cell call hand-over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with dynamic channel allocation
US6088590A (en) * 1993-11-01 2000-07-11 Omnipoin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controlled handoff and link maintenance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JPH08512449A (ja) * 1994-05-06 1996-12-24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一点多点間細胞内テレビジョン送信方式
WO1997048200A1 (en) * 1996-06-07 1997-12-18 Telecom Finland Oy Dynamic allocation for point to multipoint tele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1246A1 (en) 2000-08-30
SE9704172L (sv) 1999-05-15
AU1265899A (en) 1999-06-07
JP2001523932A (ja) 2001-11-27
CN1278991A (zh) 2001-01-03
WO1999026436A3 (en) 1999-07-22
CN1132461C (zh) 2003-12-24
SE523594C2 (sv) 2004-05-04
KR100647406B1 (ko) 2006-11-17
WO1999026436A2 (en) 1999-05-27
SE9704172D0 (sv) 199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088B1 (ko) 분산 전기통신 스위칭 시스템
EP0740876B1 (en) Network el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acket data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000558C (en)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US4562572A (en) Cellular mobile radio service telephone system
US5384826A (en) Distributed packetized switching cellular radio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with handoff
KR100954136B1 (ko) 분산 실시간 처리 무선 시스템
KR100407933B1 (ko) 교환기간핸드오프시스템
US720973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alls within a local micro network
JPH07508379A (ja) マイクロセルラー無線ネットワーク
CA229863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base station transceivers
JPH05102916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Meier-Hellstern et al. Network protocols for the cellular packet switch
EP0479477B1 (en) Distributed switching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H1023497A (ja) 集中基地局を利用したセルラ無線電話システム
JP3007690B2 (ja) 情報を一般の送信回線網で送信するための方法
KR100647406B1 (ko) 전송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접속 장치
US20030026229A1 (en) Virtual data trunks between switching points using an IP network
US744386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ckhaul architecture
KR2000005948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방법
US706188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ng data at radio base station nodes that provide efficient allocation of control timeslots
JP2859539B2 (ja) 携帯電話システム
KR0171275B1 (ko) 셀룰라 폰과 가정용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제2세대 사설무선전화기 시스템
JP4037487B2 (ja) セルラー無線システム
US71306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signals in a cellular radio network
KR20040053993A (ko) 다중 텍트 프로토콜 스택간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