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516A - 확장 슬로트를 갖는 유체 발진기 - Google Patents

확장 슬로트를 갖는 유체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516A
KR20010024516A KR1020007004067A KR20007004067A KR20010024516A KR 20010024516 A KR20010024516 A KR 20010024516A KR 1020007004067 A KR1020007004067 A KR 1020007004067A KR 20007004067 A KR20007004067 A KR 20007004067A KR 20010024516 A KR20010024516 A KR 20010024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inlet
cavity
oscillator
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존 카르버
이븐 조르팡
Original Assignee
막심므 쁘띠
슐럼버거 인더스트리스 에스. 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막심므 쁘띠, 슐럼버거 인더스트리스 에스. 아. filed Critical 막심므 쁘띠
Publication of KR20010024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51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CFLUID-CIRCUIT ELEMENTS PREDOMINANTLY USED FOR COMPUTING OR CONTROL PURPOSES
    • F15C1/00Circuit elements having no moving parts
    • F15C1/22Oscil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CFLUID-CIRCUIT ELEMENTS PREDOMINANTLY USED FOR COMPUTING OR CONTROL PURPOSES
    • F15C1/00Circuit elements having no moving parts
    • F15C1/02Details, e.g. special constructional devices for circuits with fluid elements, such as resistances, capacitive circuit elements; devices preventing reaction coupling in composite elements ; Switch boards; Programm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CFLUID-CIRCUIT ELEMENTS PREDOMINANTLY USED FOR COMPUTING OR CONTROL PURPOSES
    • F15C4/00Circuit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G01F1/3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using swirl flowmeters
    • G01F1/3227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using swirl flowmeters using fluidic oscil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06Flow affected by fluid contact, energy field or coanda effect [e.g., pure fluid device or system]
    • Y10T137/218Means to regulate or vary operation of device
    • Y10T137/2185To vary frequency of pulses or osci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06Flow affected by fluid contact, energy field or coanda effect [e.g., pure fluid device or system]
    • Y10T137/2224Structure of body of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발진기에 관한 것으로, 2차원적 유체 제트가 종방향의 대칭 평면(P)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발진하는 형태로 "발진" 챔버(24)로 유체가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22)와,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배치된 캐비티(cavity)가 제공되며 발진 유체 제트가 스쳐 지나가는 전면벽(40)을 향하여 캐비티(cavity)가 위치되며 발진하는 유체 제트가 스쳐 지나가는 전면벽을 갖고 상기 발진 챔버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장애물(26)을 포함하는 종방향의 대칭 평면(P)을 중심으로 대칭인 유체 발진기에 있어서, 2개의 측벽(34, 36)들이 유입구(22)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장애물을 향해 연장된 노즐을 발진 챔버속에 형성하고 장애물(26)의 전면벽과 유입구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종방향 칫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확장 슬로트를 갖는 유체 발진기{FLUID OSCILLATOR WITH EXTENDED SLOT}
유체 발진기는 널리 공지되어 있고, WO 93/22627호는 도 1의 평면도로 도시된 예를 개시하고 있다.
종방향 대칭 평면(P)를 중심으로 대칭인 유체 발진기(1)는 발진 챔버(3)와 그 속에 내장된 장애물(5)을 포함한다. 장애물(5)은 유입구(11)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11)는 발진 챔버(3)로의 유체 유입을 한정하고, 발진기의 종방향 대칭 평면(P)을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발진하는 2차원적 유체 제트를 형성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있다.
유체 발진기의 작동중에, 유체 제트가 전면의 캐비티(9)와 만나고 발진하면서 스쳐지나갈 때, 주와류(T1, T2)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트의 한쪽에, 제트의 발진과 관련하여 강약이 번갈아가며 반대로 형성된다.
도 1에서, 와류(T1)는 장애물의 전면의 캐비티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 보다 더 큰 공간을 점유하고 이 와류의 압력은, 유입구(11)에 연결되고 발진 챔버를 향한 벽(13)과 캐비티에 인접한 장애물(5)의 전면 벽(7) 사이에 다른 와류(T2)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트가 극단의 위치로 편향되게 할 정도이다.
유체 제트가 이 위치에 있을 때, 제트 흐름의 일부는 장애물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하게 되고, 제트 흐름의 다른 부분은 와류(T2)에 공급되어 그 와류가 점점 더 크게 되게 하며 그 압력 또한 증가되도록 하는데, 그 압력의 증가는 제트 흐름이 다른 반대쪽 극단의 위치로 변경되게 하기에 충분하게 될 때까지이다.
제트는 따라서 일측의 극단의 위치에서 다른 쪽의 극단의 위치로 발진하게 되고, 제트의 발진 주파수를 탐지함으로써 유체의 유량을 결정할 수 있게 되고, 그 주파수는 유속에 비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체 유속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유속에 대한 발진 주파수의 비율이 유동 조건의 함수로서 너무 변화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소위 "천이(transition)"라고 불리는 조건, 즉 유입구(11)에서의 유체 흐름에 대하여 계산된 레이놀드 상수가 300 정도가 될 때, 도 1의 와류 T1과 T3 밑에서 전면벽을 향하여 다른 국소화된 와류들과 함께 와류 T1이 발견되는 쪽의, 유체 제트가 시작되는 부근에서 고압력의 영역(와류 T3)이 나타나는 것을 본 발명자는 발견하였다.
이들 와류들은 와류 T1의 작용을 강화시키게 됨에 따라, 와류 T2가 와류 T1과 T3에 의해 나타나는 압력을 평형화시키기 위한 충분한 힘을 얻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며, 따라서 유체의 유동 속도 결정에 에러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종방향 대칭면(P)를 중심으로 대칭인 유체 발진기에 관한 것으로, 발진기는 대칭평면(P)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발진하는 2차원 유체 제트 형태로 발진 챔버속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와, 상기 발진 챔버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캐비티(cavity)가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위치하게 제공되는 전면벽을 지니며 발진 유체 제트(jet)가 스쳐 지나가는 장애물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유체 발진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체 발진기의 평면도.
도 3은 유체 제트의 끝지점에 대한 주와류(T1, T2)들이 보여지는 도 2의 유체 발진기의 평면도.
도 4는 노즐(38)을 갖는 경우와 갖지 않는 경우의 도 2의 유체 발진기에 대한 선형 그래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유체 발진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발진기는 2차원적 유체 제트가 종방향의 대칭 평면(P)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발진하는 형태로 "발진" 챔버로 유체가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배치된 캐비티(cavity)가 제공되며 발진 유체 제트가 스쳐 지나가는 전면벽을 향하여 캐비티가 위치되며 발진하는 유체 제트가 스쳐 지나가는 전면벽을 갖고 상기 발진 챔버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장애물을 포함하는 종방향의 대칭 평면(P)을 중심으로 대칭인 유체 발진기에 있어서, 2개의 측벽들이 유입구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장애물을 향해 연장된 노즐을 발진 챔버속에 형성하고 장애물의 전면벽과 유입구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종방향 칫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즐들은 유체 제트의 시작 부분에 근접한 고압력 영역에 위치하고 제트를 과도하게 편향시키는데 기여하는 와류들에 대하여 유체 제트를 보호하는 스크린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유체 제트는 종래 기술에서 보다 방해 와류들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본 발명의 유체 발진기는 종래의 유체 발진기의 것보다 더 높은 천이 조건하의 발진 주파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측벽들은 사실상 서로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측벽들의 종방향 크기(Le)는 0.75b와 b 사이의 범위에 있으며, 여기서 b는 유입구의 횡방향 크기 또는 폭을 지칭한다.
예를들어, 측벽들의 종방향 크기(Le)는 사실상 b와 같게 될 수 있다.
장애물의 전면 벽은 장애물의 캐비티의 양쪽에 있는 2개의 기본적으로 평면인 전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들의 각각의 평면은 종방향 대칭 평면(P)에 대하여 사실상 직각이다.
바람직하게는, 발진 챔버는 유입구의 양쪽에 위치한 2개의 벽부분들을 갖고, 장애물의 각각의 전면들을 향해 배치되고 사실상 평행한 2개의 표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따라, 캐비티는 상기 전면들 각각과 만나는 위치에서 종방향의 대칭인 평면(P)에 사실상 평행한 2개의 직선 부분들과, 그 직선부분들에 연결된 반원형의 부분을 유체 제트의 발진 평면에 갖는 표면으로 한정된다.
상기 유입구로부터 가장 먼 캐비티의 부분은 2.2b에서 2.5b 사이 범위에 있는 장애물의 전면 벽으로 부터의 거리 Lo에 위치하며, 여기서 b는 유입구의 폭 또는 횡방향의 크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유입구와 장애물 사이의 거리(L)은 2.8과 3.2b 사이 범위에 있으며, 여기서 b는 유입구의 폭 또는 천이 영역의 크기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유체 발진기는 유체 흐름의 속도 또는 압력의 변화를 탐지하는 적어도 2개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유체 유동의 속도 변화를 탐지하는 상기 센서들는 노즐 단부의 빈 공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잇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고하여 단지 실시예로서 제공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부호 20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된 유체 발진기는 그것을 통하여 지나는 기체의 유속과 유량을 판정하기 위해 기체의 흐름에 사용된다.
유체 발진기(20)는 종방향의 대칭 평면(P)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유체 인입용 유입구(22)가 제공되어 흐름이 발진 챔버(24)속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발진 챔버의 중간에는 장애물(26)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애물은 챔버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으며, 배출구(28)가 형성되어 발진 챔버로부터 기체의 흐름이 배출되도록 한다.
발진챔버는 종방향의 대칭 평면(P)를 중심으로 대칭인 2개의 벽(30, 32)들에 의해 한정되며, 유입구와 배출구들이 연통되어 있다.
유출구(22)는 슬로트 형태로 포함되고, 그 횡방향 크기 또는 폭 b는 일정하고, 그 최대 크기 또는 "높이"는 도 2의 평면도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 포함된다.
노즐(38)을 형성하는 2개의 평행한 측벽(34,36)들에 의해 유입구(22)와 배출구(28)들이 정렬된 방향에 일치하는 종방향으로 상기 슬로트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측벽들은 유입구의 양측에서 발진 챔버의 벽(30, 32)들의 각각으로부터 발진 챔버(24)속으로, 또한 챔버의 전체 높이로 연장되어 있다.
노즐은 화살표 F 로 표시된 바와같이 그것을 통해 이동되는 기체의 흐름을 2차원적인 유체 제트로 변환시키며 (그 유체 제트는 슬로트의 높이에 평행한 방향으로 거의 같다) 그 유체 제트는 종방향의 대칭 평면(P)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발진한다.
발진 챔버(24)의 벽(30,32)들은 장애물(26)의 벽들과 공조하여 2개의 채널(C1, C2)들을 형성하며, 그 채널들은 기체 흐름이 번갈아 가며 한 채널을 통해 유체 발진기의 배출구(28)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장애물(28)은 노즐(38)을 향한 캐비티(42)가 형성되어 기체 제트가 발진 운동중에 스쳐 지나가는 전면 벽(40)을 갖는다.
상기 장애물(26)의 전면 벽(40)은 기본적으로 평면으로 캐비티(42)의 양측에 대칭으로 된 2개의 "전면"(44, 46)을 갖는다.
이들 전면들이 배치된 평면은 슬로트(22)에서의 유동 방향에 그리고 종방향의 대칭 평면(P)에 사실상 직각이다.
발진 챔버(24)는 또한 전면(44, 46)들을 향하여 슬로트(22)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벽부분(30a, 32a)들을 갖는다.
상기 벽부분들은 전면벽(44, 46)들에 평행한 표면들을 갖는다.
따라서, 에트의 양측에 형성되는 와류들은 전면(44, 46)들과 거기에 각각 대응하는 벽부분(30a, 32a)들의 표면들 사이에 2개의 빈 공간들에서 위치하게 된다. 이들 와류들은 따라서 상기 표면들 사이에서 준자유로운 방법으로 전개될 것이다.
전면(44, 46)들의 횡방향 치수 또는 "폭"(Fo)은, 상기 표면들이 그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커야하는 것은 아니며, 0.8b와 1.4b 사이 범위에 있거나 또는 1.2b로 되어도 상당히 만족스럽다.
전면벽(44, 46)들과 벽부분(30a, 32a)들 사이의 거리(L)는 와류가 전개될 정도로 충분히 큰 빈 공간이 남도록 너무 작지 않아야 한다.
상기 거리(L)가 예를들어 2.8b 미만으로 너무 작으면, 와류의 압력이 너무 빨리 증가함으로써 제트가 너무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층상의 조건하에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거리(L)이 3b인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도 2의 평면에서, 기체 제트가 그 발진중에 캐비티속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윤곽을 갖는 표면이 캐비티(42)에 제공되고 캐비티속에서 재순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의 평면에서, 캐비티의 표면은 캐비티의 입구에서 각각 2개의 전면(44, 46)들과 만나게 되고 종방향의 대칭 평면(P)에 사실상 평행한 2개의 직선 부분(42a, 42b)들로 형성된다.
캐비티의 표면은 또한 직선부분들에 연결되어 단부 벽을 형성하는 반원 형태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제트로부터 들어오는 흐름은 캐비티의 표면을 만날 때 분할되고 남아있는 캐비티의 종방향의 대칭 평면(P)에 사실상 평행한 방향으로 표면 이동에 의해 가이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형상들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표면의 윤곽은 포물선 형태로 될 수도 있다.
더욱이, 벽부분(30a, 32a)들의 표면들이 전면(44, 46)들에 평행하고 캐비티를 떠나는 흐름이 상기 표면들에 사실상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실은, 모든 유속하에서 표면들에 수직으로 너무 떨어져 있는 벽부분(30a, 32a)들의 표면들과 만나게 되는 입사각을 유체 흐름에 부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표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너무 떨어져 있는 입사각은 전면들중 하나와 그에 대응한 벽부분(30a, 32a)들의 표면들 사이에서 위치하게 되는 와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캐비티가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의 유체 발진기의 캐비티 보다 더 깊어서 유동 조건(층류, 천이류, 난류)에 관계없이 주와류(T1)의 형상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예를들어 레이놀드 상수가 50 정도인 매우 저속에서 조차 난류 조건하에서 와류가 전개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캐비티에서 와류가 전개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에 도시된 발진기의 캐비티로는 불가능한, 레이놀드 상수 50 정도의 제트의 발진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슬로트(22)로부터 가장 먼 캐비티 부분은, 상기 캐비티의 입구의 평면에 있는 전면(44, 46)들로부터 거리 Lo에 위치되고 상기 거리 Lo가 2.2b와 2.5b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경우, 2.4b와 같다.
제트의 발진 주파수를 상당히 감소시키는, 저속 제트에서의 와류(T1)의 작용을 강화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캐비티(42)는 예를들어 Lo가 3b와 같이 너무 깊지 않아야 한다.
2개의 직선 부분(42a, 42b)들 사이에서 입구측의 캐비티(42)의 폭(Ro)은 3.4b와 3.8b 사이 범위, 예를들어 3.6b와 같다.
노즐(38) 수단에 의해 슬로트(22)를 길게 함으로써, 유체 제트가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편향될 때, 제트는 벽(34, 36)들에 의해 채널화된 부분의 벽부분(32a)의 표면과 전면(46) 사이에 위치한 와류의 방해 작용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트의 시작부분이 강화됨으로써 그 제트는 천이 조건하에서도 와류를 방해하는 작용에 견딜 수 있어 종래 기술(도 1)에서 보다 높은 발진 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유체 발진기의 구조로, 제트는 종래 기술에 있는 것보다 그 자유부분에서 보다 "날카롭게" 탐지되고, 전면(44)을 향한 제트가 벽부분(30a)의 대응하는 표면을 향하여 편향됨으로서 와류(T2)가 전개될 여지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종래 기술에서 보다 압력이 어떻게 빨리 와류(T2)에 공급되고 T1에 의해 발휘되는 압력이 보다 빨리 보상됨으로써 제트가 보다 빨리 변화되게 하는 지를 설명한다.
측벽(34, 36)들의 종방향 크기 Le는 거리 L 보다 분명히 작아야 하며, 그것은 상기 측벽들이 캐비티(42)에 너무 근접되지 않게 하여 캐비티가 와류들중 한 와류 T1에 의해 완전히 점유되고 다른 와류(T2)는 도 3에서 처럼 벽부분(30a)의 표면과 전면(44) 사이에 위치한 빈 공간에 위치하게 되도록 한다.
너무 긴 (예를들어, Le = 2b) 측벽들은 와류 T1의 전개를 방해하고 제트의 발진에도 영향을 준다. 와류 T2의 전개는 제트가 캐비티내에 있기 때문에 변형될 수 잇으므로 T1은 제한된 공간에서 성장되게 한다.
Le의 크기는 0.15b와 b 사이의 범위에, 예를들어 0,9b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벽들의 존재는 제트의 발진 주파수를 탐지하는데 있어서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귀환류로 부터 유체 제트의 시작 부분을 분리되게 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노즐(38)의 측벽(34, 36)들은, 측벽의 표면이 작은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는 벽부분(30a, 32a)들에 상기 측벽들이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두께 Le를 갖는다. 측벽들이 주와류 T1와 T2의 전개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능한한 작은 공간을 점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측벽(34, 36)들은 유체 제트를 가이드하고 방해받지 않도록 보호하기에 충분한 2개의 매우 얇은 직선형의 블레이드 형태로 될 수 있다.
상술한 유체 발진기의 구성은 와류 T1과 T2가 유동 조건들의 함수로서 거의 변화되지 않음으로서 양호한 측정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는 형태로 되게 할 수 있다.
도 2의 유체 발진기는 캐비티 속의 기체 제트가 스쳐 지나가는 단부 지점들에 배치된 압력 인출수단에 의해 발진기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잇도록 한다. 이들 압력 인출수단은 제트의 발진 주파수가 측정될 수 있게 하는 공지의 장치에 연결된다. 사전 조정으로 주파수를 유속에 관련되게 할 수 있다.
열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제트의 유속 변화를 탐지하는데 이용되어 제트의 발진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한 센서는 또한 (도 2의 배경을 구성하는) 유체 발진기의 바닥에서 또는, 유체 발진기의 커버를 형성하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상부벽에서 노즐(38)과 장애물(2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센서(48, 50)들의 위치는 도 2에서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의 평면에서 센서(48, 50)들이 노즐(38)의 단부 앞에 배치되고, 유체의 흐름속에 위치하도록 측벽(34, 36)들 사이의 간격과 같거나 작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낮은 유속에서, 경계층은 측벽(34, 36)들의 내측면을 따라 전개됨으로써, 도 1의 유입구(11)에서의 제트 흐름이 시작되는 곳에서 얻어지는 속도 구배 보다 더 급경사인 속도 구배를 노즐(38)로 부터 배출구에서의 제트에 부여하여 센서에 의해 탐지된 신호가 종래 기술에서 보다 더 강력하게 한다.
따라서, 노즐(38)의 전방에 배치된 센서(48, 50)들에 의해 낮은 유속의 유체 제트의 발진 주파수 탐지가 종래의 유체 발진기에서 보다 더 쉽게 이루어진다.
더욱이, 높은 유속에서, 상기와 같이 배치된 센서들은 그에 의해 달리 탐지될 수 있는 귀환류로 인한 방해로 부터 보호된다.
도 4는 3가지의 구별되는 형태를 갖는 유체 발진기에 대한 3개의 선형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그래프 A는 노즐(38)을 갖지 않는 도 2의 발진기의 것이고, 그래프 B와 C는 두가지 다른 길이, 즉 0.5b의 길이를 갖는 경우와 (그래프 B), 0.9b의 길이를 갖는 경우의 노즐(38)을 갖는 도 2의 발진기의 것이다.
이들 발진기들에 있어서, 슬로트(22)의 폭(b)은 19 mm 이고, 다른 칫수들은 상기 폭 b의 함수로서 앞에서 한정한 것과 같다.
따라서, 발진기 챔버속에 노즐의 존재는 천이 상태하에서 제트의 발진 주파수를 증가시킴과 함께 유체 발진기의 선형 그래프를 정확하게 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
노즐을 약간 더 길게 함으로써 이러한 효과는 비슷하게 증가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나친 노즐 길이의 증가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제트의 변경 주파수가 층류 조건하에서는 위험을 상당히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그러한 유체 발진기는 가스와 액체(물, 차량 연료등)에 동등하게 잘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유체 발진기는 2차원적 유체 제트가 종방향의 대칭 평면(P)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발진하는 형태로 "발진" 챔버(24)로 유체가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22)와,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배치된 캐비티(cavity)가 제공되며 발진 유체 제트가 스쳐 지나가는 전면벽(40)을 향하여 캐비티(cavity)가 위치되며 발진하는 유체 제트가 스쳐 지나가는 전면벽을 갖고 상기 발진 챔버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장애물(26)을 포함하는 종방향의 대칭 평면(P)을 중심으로 대칭인 유체 발진기에 있어서, 2개의 측벽(34, 36)들이 유입구(22)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장애물을 향해 연장된 노즐을 발진 챔버속에 형성하고 장애물(26)의 전면벽과 유입구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종방향 칫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발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34, 36)들은 사실상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발진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34, 36)들의 종방향 크기 Le는 0.75b와 b 사이의 범위에 있으며, 여기서 b는 유입구(22)의 폭 또는 횡방향 크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발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종방향 크기 Le는 사실상 b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발진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26)의 전면벽(40)은 장애물의 캐비티(42) 양측의 2개의 사실상 평면인 전면(44, 46)들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전면들의 평면은 종방향의 대칭 평면(P)에 사실상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발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챔버(24)는 장애물의 전면벽(44, 46)들 각각을 향하여 배치되고 사실상 서로 평행인 2개의 표면들을 포함하며 유입구(22)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벽부분(30a, 32a)들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발진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42)는, 각각의 전면벽(44, 46)들과 만나는 위치에서 종방향의 대칭 평면(P)에 사실상 평행한 2개의 직선부분(42a, 42b)들과, 상기 직선부분들에 연결된 반원 형상의 부분(42c)을 유체 제트의 발진 평면에 보유하는 표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발진기.
  8. 제 1항 내지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22)로 부터 가장 먼 캐비티(42)의 부분은, b가 유입구의 폭 또는 횡방향 크기로 정의된, 2.2b와 2.5b 사이에 있는 장애물(25)의 전면벽(40)으로 부터의 거리 Lo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발진기.
  9. 제 1항 내지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26)의 전면벽(40)과 유입구(22) 사이의 거리 L은 b가 유입구의 폭 또는 횡방향 크기로 정의된, 2.8b와 3.2b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발진기.
  10. 제 1항 내지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흐름의 속도 또는 압력 변화를 탐지하는 적어도 2개의 센서(48, 5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발진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의 속도를 탐지하는 센서(48, 50)는 노즐(38)의 단부 부근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발진기.
KR1020007004067A 1997-10-17 1998-10-12 확장 슬로트를 갖는 유체 발진기 KR200100245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13145 1997-10-17
FR9713145A FR2769957B1 (fr) 1997-10-17 1997-10-17 Oscillateur fluidique a fente prolongee
PCT/FR1998/002182 WO1999020905A1 (fr) 1997-10-17 1998-10-12 Oscillateur fluidique a fente prolong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516A true KR20010024516A (ko) 2001-03-26

Family

ID=951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067A KR20010024516A (ko) 1997-10-17 1998-10-12 확장 슬로트를 갖는 유체 발진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321790B1 (ko)
EP (1) EP1025366B1 (ko)
JP (1) JP2001521105A (ko)
KR (1) KR20010024516A (ko)
CN (1) CN1282407A (ko)
AU (1) AU745657B2 (ko)
BR (1) BR9812907A (ko)
CA (1) CA2306923C (ko)
DE (1) DE69821965T2 (ko)
FR (1) FR2769957B1 (ko)
HU (1) HUP0004903A3 (ko)
PL (1) PL339807A1 (ko)
RU (1) RU2208718C2 (ko)
WO (1) WO1999020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25959C2 (ru) * 2006-05-18 2008-06-10 Михаил Петрович Дудко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генератор акустических колебаний ультразвукового диапазона 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акустических колебаний ультразвукового диапазона
JP5037046B2 (ja) * 2006-07-03 2012-09-26 学校法人同志社 流体噴出装置
US8201462B2 (en) 2008-06-10 2012-06-19 Avinash Shrikrishna Vaidya Recirculation type oscillator flow meter
US8272404B2 (en) * 2009-10-29 2012-09-25 Baker Hughes Incorporated Fluidic impulse generator
CN102128649B (zh) * 2011-03-03 2012-11-21 中国计量学院 无反馈通道的射流流量计
US9706946B2 (en) * 2012-05-22 2017-07-18 Sparo Inc. Spirometer system and methods of data analysis
US9222812B2 (en) 2012-10-30 2015-12-29 Itron, Inc. Hybrid sensor system for gas flow measurements
US9170135B2 (en) 2012-10-30 2015-10-27 Itron, Inc. Module for gas flow measurements with a dual sensing assembly
BR112017014810A2 (pt) * 2015-02-25 2018-01-09 Ch & I Tech Inc bico de múltiplas aberturas de estação de recarga
FR3055700A1 (fr) * 2016-09-02 2018-03-09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Debitmetre a oscillation fluidique a orifices de mesure symetriques pour dispositif d'observance d'un traitement d'oxygenotherapie
CN113019789B (zh) * 2021-03-19 2022-02-15 大连理工大学 一种脱壁式反馈射流振荡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91215A (fr) * 1964-02-27 1965-03-05 Teknika Générateur d'ondes élastiques
SE407461B (sv) * 1977-08-19 1979-03-26 Wennberg Lennart A Flodesmetare av fluidistoroscillatortyp
US4244230A (en) * 1978-10-12 1981-01-13 Peter Bauer Fluidic oscillator flowmeter
FR2690739B1 (fr) 1992-04-29 1994-06-24 Schlumberger Ind Sa Debitmetre a oscillateur fluidique.
US5396808A (en) * 1992-04-29 1995-03-14 Schlumberger Industries, S.A. Fluidic oscillator
FR2746147B1 (fr) * 1996-03-15 1998-05-22 Oscillateur fluidique comportant un obstacle a profil ameli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004903A2 (hu) 2001-05-28
CA2306923A1 (en) 1999-04-29
DE69821965D1 (de) 2004-04-01
FR2769957A1 (fr) 1999-04-23
JP2001521105A (ja) 2001-11-06
US6321790B1 (en) 2001-11-27
BR9812907A (pt) 2000-08-08
CN1282407A (zh) 2001-01-31
CA2306923C (en) 2005-12-13
AU745657B2 (en) 2002-03-28
PL339807A1 (en) 2001-01-02
FR2769957B1 (fr) 2001-11-30
AU9448898A (en) 1999-05-10
RU2208718C2 (ru) 2003-07-20
HUP0004903A3 (en) 2001-07-30
WO1999020905A1 (fr) 1999-04-29
EP1025366A1 (en) 2000-08-09
EP1025366B1 (fr) 2004-02-25
DE69821965T2 (de)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3704A (en) Fluidic oscillator and a flow meter including such an oscillator
US5827976A (en) Fluidic flow meter with fiber optic sensor
US5396808A (en) Fluidic oscillator
KR20010024516A (ko) 확장 슬로트를 갖는 유체 발진기
JPS607207B2 (ja) ピト−管式流量計
KR102497876B1 (ko) 측정 채널을 관류하는 유체 매체의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
US5983943A (en) Fluidic oscillator comprising an obstacle with an improved profile
JP3276373B2 (ja) 流体振動子及びこのような振動子を備えた流量計
CA1325734C (en) Trapped-vortex pair flowmeter
CZ290593A3 (en) Flow meter with fluid oscillator
EP0503462B1 (en) Fluidic vibrating type flowmeter
RU2150616C1 (ru) Струйный генератор
KR100260961B1 (ko) 유체발진기를 지니는 유량계
EP0672907B1 (en) Semiconductor type gas rate sensor
CZ20001377A3 (cs) Fluidikový oscilátor
JP2508985Y2 (ja) フルイディック流量計
SU1746223A1 (ru) Вихревой расходомер
JP3172252B2 (ja) 流体振動式流量計
RU2134867C1 (ru) Струйный расходомер
JP3205045B2 (ja) 流体振動式流量計
KR960015070B1 (ko) 유체 유량계
UA26138C2 (uk) Геhератор коливаhь текучого середовища і витратомір, що містить такий геhератор
JP2000241206A (ja) 流体振動型流量計
GB2248300A (en) Fluidic flowmeter
JPH04262210A (ja) マイクロフローセンサ付フルイディック流量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