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240A - 열가소성 블랭크를 취입하여 제조하는 용기의 제조방법과장치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블랭크를 취입하여 제조하는 용기의 제조방법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240A
KR20010022240A KR1020007000813A KR20007000813A KR20010022240A KR 20010022240 A KR20010022240 A KR 20010022240A KR 1020007000813 A KR1020007000813 A KR 1020007000813A KR 20007000813 A KR20007000813 A KR 20007000813A KR 20010022240 A KR20010022240 A KR 20010022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mold
container
gas
blow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3446B1 (ko
Inventor
번넬크리스토페
마틴미첼
Original Assignee
프란시스 올리비어
시델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란시스 올리비어, 시델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프란시스 올리비어
Publication of KR2001002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9/783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blowing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18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several blow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72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in several 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9/783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blowing pressure
    • B29C2049/7832Blowing with two or more pressure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84Means for recycling or reusing auxiliaries or materials, e.g. blowing fluids o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84Means for recycling or reusing auxiliaries or materials, e.g. blowing fluids or energy
    • B29C49/42845Recycling or reusing of fluid, e.g. pressure
    • B29C49/42855Blowing fluids, e.g. reducing fluid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4/00Plastic and nonmetallic article shaping or treating: processes
    • Y10S264/911Recycling consumer used articles or products
    • Y10S264/917Recycling consumer used articles or products by blow molding material recycled from consumer used article or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프리폼과 같은 블랭크를 취입성형하여 용기(200, 300)를 제조하는 장치(1, 2, 3)에서, 용기의 가스제거로부터 유도된 고압유체가 재사용되고, 예를 들어 냉각 또는 물질의 응고를 위하여 내부로 분사하기 위하여 이미 가스제거된 용기내로 주입(14)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블랭크를 취입하여 제조하는 용기의 제조방법과 장치 {METHOD AND INSTALLATION FOR MAKING CONTAINERS BY BLOWING THERMOPLASTIC BLANKS}
열가소성 재료를 사용하여 취입함으로서 용기를 제조하는데는 다양한 방법과 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압출가공-취입성형이라 불리는 장치에 있어서, 녹인 유리재질의 블랭크는 재료의 압출가공 단계를 거쳐 획득된다. 그러기 위하여 압출가공 장치는 일련의 혹은 연속적인 튜브형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결합된다. 이 튜브는 중력에 의해 혹은 최종 모울드 내부로의 유도장치에 의해 압출가공되고 도입된다.
그 다음, 튜브의 확정된 길이는 최종 모울드 내에 채워진 다음 일반적으로 공기압력 하에서 가스는 튜브가 채워진 부분에 불어넣어져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 과정은 튜브를 부풀어 오르게 하고, 모울드의 캐비티(cavity) 형태에 꼭 맞게 하여, 원하는 용기모양에 이르도록 한다.
사출-취입성형으로 불리는 장치에 있어서, 프리폼이라 불리는 블랭크는 장치에 연결되어 있거나 분리된 장치에 재료를 사출성형 하여 제조한다. 프리폼은 양쪽 끝부분 중 한쪽은 열려있고 다른 한쪽은 닫힌 튜브의 형태를 띤다. 프리폼은 취입되기에 충분한 온도에 도달했을 때 최종 모울드의 캐비티에 넣는다. 그와 같이 프리폼이 취입장치에서 분리된 장치 안으로 사출성형될 때, 이 마지막 공정은 프리폼을 부드럽게 하고 용기의 취입성형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재 가열하는 오븐에 따르는 설비이다.
취입성형의 연속단계를 실행하는 장치가 또한 존재한다. 중간용기는 블랭크로부터 첫 번째 모울드 안에서 형성되고, 그 다음 두 번째 모울드에서 재 취입성형된다. 중간용기는 그러므로 최종 용기에 대한 블랭크인 셈이다.
공지된 장치들 중에서 압출가공-취입성형 장치 혹은 사출성형-취입성형 장치에 있어서, 장치에서 사출장치를 움직이게 되는 모울드를 적어도 두개는 포함하게 된다. 이는 모울드에 블랭크가 적재되는 영역, 그 중에서도 용기의 취입성형이 행해지고 있는 영역과 이미 완성된 용기가 배출되는 영역의 중간지대에서 계속적인 사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런 장치는 모울드가 적재 과정에 있는 동안, 다른 것은 취입성형 과정에 있을 수 있고, 그리고/혹은 다른 것은 방출과정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대단한 생산속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또 이 장치는 단 하나의 적재장치와 단 하나의 방출장치만을 필요로 할뿐이다. 한편 이 장치들은 제조공정의 반복성과 생산품 분산요구를 가능케 한다.
모울드의 수가 많을수록 생산속도가 향상됨은 물론 당연하다.
이렇게, 예를 들어 본 청구인이 제기한 생산기계의 범위에서는 모울드가 계속적인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회전대와 같은 형태를 가진 사출-취입성형 기계와 압출가공-취입성형 기계가 존재한다. 이 회전대가 있음으로서 신속한 사출이 가능한 한편, 회전기계의 이 기술은 구성된 각 기계의 다양한 기관간의 최상의 작동 동기성(同期性)을 보장해 준다.
본 발명은 미리 압출가공 혹은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된 블랭크를 최종 모울드에서 취입하거나, 취입의 사전 단계에서 획득된 중간 용기로 형성된 병, 도가니 모양의 병, 혹은 모든 다른 타입의 열가소성 재질의 용기제조시 완벽을 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두개의 모울드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실행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가능한 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두개 이상의 모울드로 구성된 장치의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
본 발명에서는 모울드가 한개 혹은 여러개의 캐비티를 포함하고 있는 전체 장치의 일부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캐비티(들)는 제조될 용기의 외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청구인의 이름으로 프랑스 특허 제 2 709 264 번은 적어도 두개의 캐비티(혹은 용기의 압흔)를 가지고 있는 각각의 모울드를 가진 사출-취입성형 기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블랭크에 있어서 프리폼, 녹은 유리 덩어리, 중간용기, 다시 말해 좀더 일반적으로 용기(그 자체가 중간용기 또는 최종용기)로 취입성형 하여 변형된 모습에 대한 가능한 모든 요소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공지된 방식에서는 용기의 제조, 특히 블랭크의 적재와 완성된 용기의 방출에서 일반적으로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한 가스를 사용하는 최소한의 취입성형과 방출 이전에 가스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개선된 몇몇의 실시에 있어서는 중간 혹은 최종 용기가 취입성형 모울드 출구로 나오기 전에, 부분적 혹은 전체적 가스제거 작업 후 압축가스가 추가적적으로 사출성형된다. 가스의 사출성형은 일반적으로 취입성형 압력보다 낮은 압력에서 실행된다. 이 추가 사출성형은 특히 열고정에 의한 취입성형 과정, 다시 말해 고열의 모울드 안에서 용기가 취입성형되는 공정에서 실행된다. 의외의 방식으로, 이 추가 사출성형은 기계적인 저항을 가지는 용기 혹은 용기 사용시 확대되는 또 다른 특성의 용기를 제조하게 함을 확인했다.
일반적으로, 추가 사출성형은 재취입성 보다는 오히려 완전히 주사하기 (scanning)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용기 안에서 가스의 순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완전히 주사하는 동안 용기는 이 순환이 허용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열려 있게 된다.
공지된 장치들에 있어서 불편한 점은 취입성형 가스의 소모량이 엄청나다는 것이다. 그 문제는 추가 주입이 가해질 때 더욱 증가된다. 본 청구인이 제시한 사출-취입성형 장치 생산물의 예를 들면, 취입성형 공기는 40 바아(bar)의 압력이 적용되어 있다. 이것은 1 리터 용기의 취입성형에 40 리터의 공기가, 2 리터 용기에는 80 리터 등등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10에서 20 바아 사이에서 실행된 추가 사출성형은 그러므로 1 리터 용기에 10에서 20 리터 사이의 공기가, 2 리터 용기에는 20에서 40 리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본 청구인의 기계가 시간당 대략 1,200에서 50,000개의 생산속도를 가지는 지를 알아야 한다. 이것은 15 바아에서의 추가 사출성형으로 1 리터 용기제조시 시간당 66,000에서 2,750,000 리터 사이의 압축공기의 이론적인 소모량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가스의 소모를 줄이는 방식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취입성형을 통한 용기의 제조공정은 제 1 압축(P1)가스의 도움으로, 특히 공기, 적어도 두개 이상의 모울드로 구성된 장치에서 모울드 내부로 블랭크가 계속적으로 주입되고, 용기가 계속적으로 취입성형되며, 각 용기의 형태는 취입성형 단계 이후 제 2 압축(P2)가스 실행단계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인 가스제거 작업단계가 이루어지며, 이는 용기 안으로 삽입되고, 제 2 압축(P2)가스를 특징지우며, 장치 안에서 후에 취입성형된 적어도 한 용기의 가스제거 작업의 생산물의 일부로 구성된다.
이렇게 압축가스의 소모는 적지 않게 축소되었다. 한편, 가스의 추가 사출성형이 이송에 의해 실행되었다고 하면 추가적인 압축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을 미리 모색할 필요는 없다 : 오직 상이한 모울드들 사이에 채용된 회로의 연결을 미리 설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는 사실상 장치가 단순화 되거나 이를 통해 장치의 비용이 현저히 감소한 것이다.
반대로, 장치의 성능이 그 정도로 축소되지는 않는다는 것은 기본적인 것이다. 결국, 상위의 예에서 지적된 것처럼, 본 청구인의 기계에서 추가 사출성형은 40 바아에서 실행된 본래 취입성형과 10에서 20 바아 사이에 있는 압축가스에 의해 실행된다. 추가 사출성형이 최소한의 압력으로 재취입성형을 이룬다고 가정하면, 40 바아에서 취입성형된 용기에 이미 가스가 제거된 또 다른 같은 볼륨에서 가스를 제거하고, 각 용기에 20 바아의 상주압력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마리오트의 법칙 적용).
만일,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경우에서처럼 추가 사출성형이 용기의 완전 주사공정으로 구성된다면, 다시 말해 이 공정 동안 가스가 밖으로 유출되도록 하면서 용기 안에서 가스가 순환된다고 하면, 완전 주사공정의 압력은 완전 주사공정 동안 40 바아에서 0 바아까지 감소할 수 있다. 단, 이것은 다음 용기가 이전 주사단계의 실행을 위해 가스가 완전히 제거된 경우에서이다.
또 다른 특성에 의해 용기에 실행된 추가 사출성형이 장치에 즉각적으로 뒤따르는 모울드 안에서 취입성형된 용기로부터 만들어진다.
이렇게 압착공기의 연결은 실행하기가 가장 용이하다.
실시에 있어서, 장치가 적어도 세개의 모울드로 구성되어 있을 때, 추가 사출성형은 또 다른 모울드에 용기, 여러개의 가스제거 공정의 생산물의 일부에서부터 폭포처럼 주입되는 결과를 유발하며 실행된다.
이는 완전 주사공정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소용돌이를 일으키는 운동을 만든다.
또 다른 특성에 따르면,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모울드는 취입성형 캐비티가 적어도 두개로 구성되고, 한 모울드의 캐비티에서 생산된 용기의 가스제거 작업 후의 생산물은 이전 모울드의 해당 캐비티로 옮겨진다.
이는 압착공기 연결 총체에 도관들의 《교차》를 피하게 함으로서 실행을 용이하게 한다.
발명의 또 다른 특성과 이점은 첨부도면과 비교하여 다음에 계속되는 설명들로 드러날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사출-취입성형이라 불려지며, 도정 위에 두 모울드(2)(3)를 구동하는 구조(1)을 포함하며, 이 도정을 따라 모울드들이 각각 여기서는 프리폼들인 블랭크(400)들의 적재 영역(4)과 취입성형(또는 사출성형-취입성형) 영역(5)과 가스제거 영역(6)과 제 2 압력에 의한 가스 사출성형 영역(7)과 완성 용기들의 방출영역(8) 내를 통과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모울드의 구동구조(1)는 공지된 방식으로 회전축 (100)의 주위를 도는 다이 지지체 회전대에 해당한다. 여기서 모울드는 회전 축에 대하여 반대편에 직경방향으로 위치한다. 일반적인 방식에 있어서 이 모울드들은 특히 이 축 주위에서 일률적으로 다시 출발한다. 회전대의 회전운동 방향은 화살표 (9)로 표시되었다.
유체 감응적 커뮤니케이션(10)(11)에 대해서는 두개의 모울드 중 하나가 가스제거 공정영역(6)에 존재하는 방식으로 모울드(2)(3) 사이에 배치된다. 가스제거 공정영역에서 가스는 배출된 일반적인 공기, 즉 또 다른 모울드(3)에서 미리 제조된 용기 안으로 발송된 상기 모울드에서의 용기 취입성형이 행해지는 압력의 유일한 결과로서의 일반 공기를 말한다. 한편, 엄밀한 의미의 취입성형 단계, 모울드가 취입성형 영역(5)에서 이루어질 때, 취입성형 가스가 가스제거 영역(6)과 제 2 압력에 의한 가스 사출성형 영역(7) 사이에 있는 이미 취입성형된 용기 쪽으로 빠져 나가지 않을 때에 커뮤니케이션(10)(11)이 이루어진다. 이 결과, 장치는 적합한 순간에 가스 전송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유체 감응적 커뮤니케이션 회로 안에 배열된 전기적 혹은 공기 압력적 혹은 기계적 혹은 다른 명령에 의해 게이트(gate) (12)(13)를 구성한다.
이렇게 도 1의 예에서, 제 1 커뮤니케이션(10)은 모울드(3)가 담고 있는 용기(300) 쪽으로 모울드(2)에 취입성형된 용기(200) 안에 담고 있는 가스제거용 가스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1 게이트(12)는 이 커뮤니케이션 회로에 연결되어 있고, 모울드(2)가 가스제거 공정영역(6) 안에 있을 때에만 열릴 수 있는 방식으로서 외형상 드러나지는 않는 방법에 의해 조정된다. 제 2 커뮤니케이션(11)은 모울드(3) 용기 (300)의 가스제거 공정산물을 모울드(2)의 용기(200) 쪽으로 전송하는데 사용된다(게이트 13은 이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게이트(13)는 모울드(3)가 가스제거 공정영역(6)에 있을 때에 열려지는 회로에 의해 조정된다. 그 위에 특히, 도 1에서 모울드(2)는 가스제거 공정영역(6)에서 실행될 때에 표현된다. 게이트(12)는 그러므로 이 모울드에서 제조된 용기(200)에 담겨있는 가스가 지나가도록 열리는 것이며, 그 가스를 제 2 압력에 의한 가스 사출성형 공정영역(7)에 있는 모울드(3)에 갇혀 있는 용기(300) 쪽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 전송은 도면에 화살표(14)로 나타나 있다.
게이트(12)(13)의 개폐는 장치부위와 관련하여 모울드(2)(3) 각각의 위치 픽업을 통해 명령할 수 있다. 이는 한 모울드가 가스제거 공정영역(6)에 있을 때, 다른 모울드 쪽으로의 커뮤니케이션이 허용될 때에만 가능하다. 픽업장치 유형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전기, 전자기, 기계 혹은 여타 등등).
특별히 장점이 될 수 있고 선호되는 실행방식에 있어서, 게이트(12)(13)에 대한 명령은 가스제거 명령으로 알려져 있는 기관들의 중개를 통해 실행된다. 이 기관들은 다른 곳에 있고, 발명에서 이행되지 않은 장치까지를 포함한다.
한편, 제 2 압력에 의한 사출성형이 용기 내부의 완전 사출성형을 보장할 때, 이는 용기 내부와 일반 공기 사이의 가스순환을 허용하도록 예정되어 있다.
사출-취입성형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외부를 향한 내부의 순환은 이미 알려진 방식대로, 완전 주사공정 동안의 취입성형 통풍관을 거슬러 오르는 방식으로, 취입성형 공정 동안 새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 통풍관 위에 용기의 입구(병목)를 뽑아내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변형된 형태로서, 통풍관이 거슬러 오르지 않는 경우를 예견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통풍관은 완전 주사공정 동안 외부로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커뮤니케이션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압출가공-취입성형에 의한 제조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용기에 담겨있는 가스 제거용 공기를 다른 모울드의 다른 용기(경우에 따라서는 유출을 허용하면서 완전 주사하기 위해), 전송을 허용하기 위해 존재하는 유체 감응성 회로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이 발명이 어떻게 두개 이상의 모울드으로 구성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가를 보여준다.
회전대(15)는 화살표(16), 프리폼(22)에서 용기(21)를 제조하기 위한 4개의 취입성형용 모울드(17)(18)(19)(20)를 구동한다. 재가열 이후 프리폼들은 모울드 내에, 적재함(23) 안에 계속적으로 적재되며 용기들은 방출영역(24)에서 나온다.
도관(26)(27)(28)(29)은 모울드들 사이에 배열된다. 도관(26)은 모울드 (17)(18)에, 도관(27)은 모울드(18)(19)에, 도관(28)은 모울드(19)(20)에 그리고 도관(29)은 최종적으로 모울드(20)(17)에 연결된다. 이는 용기가 가스제거 공정에 있을 때, 그 내용물들이 전송되고, 적어도 일부라도 이미 가스제거 공정이 끝난 이전 용기로 전송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이전 용기의 완전 주사를 허용하면서 전송되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 용기(30)는 모울드(17)에서 취입성형되고 있고, 용기(31)는 모울드(18)에서의 공정이 끝난다. 함유된 가스는 모울드(19)에서 취입성형된 용기(32) 쪽으로 전송되고 있다. 사전에 용기(32)의 내용물은 용기(33) 내에 이송되고 모울드(20)에서 형성되어 방출영역(24)에 이른다.
이렇게 도 2에서 전송은 용기(31)와 용기(32) 사이에서 실행된다. 이것은 도관(27) 근처의 화살표(34)로 상징화 되어 있다.
한 용기에서 다른 용기로의 가스전송은 적합한 순간에 개폐가 이루어지는 게이트(35)(36)(37)에 의해 허용되거나 금지된다.
이런 식으로 실시형태에서, 도관(27) 위의 게이트(35)는 열려지고, 도관(26)(27)(28) 위의 게이트(36)(37)(38)는 닫힌다.
개폐는 기계적으로(캠, 로울러 등등) 혹은 전기적으로 조정된다.
이로운 실시에 있어서, 게이트 조정은 여기 소개되지 않은 이 타입의 장치에 있는 가스제거 명령 기관들의 도움으로 실행된다. 게이트(35)는 모울드(18)의 가스제거 명령 기관과 동시적으로 명령을 받는다. 게이트(36)(37)(38)는 각각 모울드(17)(19)(20)의 가스제거 명령 기관에 의한 명령을 받는다.
실시에 있어서, 공정은 인발국면과 블랭크 취입성형 혹은 인발수단의 도움으로 취입성형 공정에 있는 용기, 인발롯드 같은, 제 2 압력 하의 가스주입은 이 수단들을 통과하여 실행된다. 이 수단들은 가스 순환구와 관들을 갖추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인발수단은 원칙적으로 가스의 흐름을 받는 용기 저면부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그 반대로 모든 변형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압축가스 특히 공기를 사용하여 취입성형 방식으로 제조하는 용기(200, 300, 800)의 제조공정, 적어도 두개의 모울드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에서 최종 모울드 (2, 3, 17, …, 20) 내부에 열가소성 재료로 된 블랭크(22)(400)가 있고, 이 블랭크는 계속적으로 주입되고 용기는 계속적으로 취입성형 되며, 각 용기의 취입성형은 취입성형 단계(5) 이후에 제 1 압력하의 가스를 사용하며, 제 1 압력(P1) 보다 낮은 제 2 압력(P2) 하의 가스에 뒤따르는 적어도 부분적인 가스제거 작업단계(5)를 거쳐 용기에 주입되며, 해당 용기에 주입된 제 2 압력(P2) 하의 가스는 최소한 장치에서 이전에 취입성형된 용기의 가스제거작업 생산물의 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모울드 안에 형성된 용기에 주입된 제 2 압력(P2) 하의 가스는 장치의 바로 다음 모울드에서 형성된 용기의 가스제거 작업단계의 생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종료단계에 최소한 3개의 모울드를 가지고 있는 장치는 상기한 적어도 두개의 모울드의 장치 안에서 해당 모울드에 취입성형 된 최소한 두개의 용기에서 제조된 한 용기의 가스제거 작업의 생산물을 폭포처럼 밀어내는 주입을 유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용기 내부의 완전주사를 이루는 제 2 압력 하에서의 가스주입단계, 다시 말해 가스가 용기 안으로 자유롭게 흐르도록 내버려두는 것에서, 외부로의 공기유출은 완전 주사단계 동안 용기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현실화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용기 내부의 폭포처럼 밀어내며 완전 주사하는 기능을 하면서 제 2 압력하의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다시 말해 용기 안에 가스가 자유롭게 순환하도록 하는 단계에서, 외부로의 공기유출은 가스제거 작업의 시작단계와 가장 멀리 떨어져서 폭포처럼 밀어내며 용기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실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취입성형구로 구성된 각 모울드는 이렇게 최소한 두개의 용기를 취입성형할 수 있게 하며, 한 모울드의 캐비티에서 제조된 용기의 가스제거 작업의 생산물은 이전 모울드의 해당 캐비티에서 제조된 적어도 한 용기로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개의 연속적인 모울드에 상응하는 캐비티들의 특징은 한 쪽에서 다른 한쪽으로의 가스제거 작업의 생산물의 이송이 필요하지 않을 때는 독립적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4-5 항에 있어서, 블랭크의 인발국면 혹은 인발롯드 같은 인발수단의 조력을 받은 취입용기, 그리고 제 2 압력(P2)하의 가스주입은 가스 순환구와 관을 갖춘 수단을 통하여 실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인발수단이 원칙적으로 용기의 저면부가 가스의 흐름을 받아 들이도록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장치가 최소한 두개의 취입성형 모울드와 두개의 모울드 사이에 유체 감응성 커뮤니케이션 (10)(11), 여기서 유체 감응성 커뮤니케이션은 한 모울드에서 취입성형된 용기가 가스제거 공정을 통과할 때, 함유된 가스의 적어도 일부는 다른 모울드에서 이미 제조된 용기 쪽으로 향하게 되고, 그리고 또 용기가 취입성형 과정에 있을 때 취입성형 가스는 이전에 취입성형된 용기 쪽으로 유출되지는 않도록 실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용기의 취입성형을 위해서 최소한 두개의 모울드(2)(3) (17)(18)(19)(20)가 얹혀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대(1, 15)로 구성된다. 이 회전대는 용기제조시 계속적인 회전운동(9)(16)을 실행하면서 블랭크가 모울드에 주입되는 영역(4)(23)을 포함하고, 제 1 압력(P1)에 의한 용기 취입성형 영역(5)과, 용기의 적어도 부분적인 가스제거 영역(6), 다른 모울드에서 제조된 용기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영역(7), 용기(21)의 방출영역(8)(2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 항과 제 11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랭크가 녹은 유리 덩어리가 압출가공된 것이며, 이 장치는 이미 말한 녹은 유리 덩어리의 압출가공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0 항과 제 11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랭크가 사출성형으로 제조한 프리폼이라는 점이며, 장치는 모울드 안에 프리폼 주입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0 항과 제 11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랭크가 먼저 사출성형된 프리폼의 취입성형에 의해 제조된 중간 용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0 항과 제 11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랭크가 먼저 압출가공된 녹은 유리 덩어리의 취입성형에 의해 제작된 중간 용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7000813A 1997-07-25 1998-07-16 열가소성 블랭크를 취입하여 제조하는 용기의 제조방법과장치 KR100373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9686 1997-07-25
FR9709686A FR2766406B1 (fr) 1997-07-25 1997-07-25 Procede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e recipients par soufflage d'ebauches en materiau thermoplas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240A true KR20010022240A (ko) 2001-03-15
KR100373446B1 KR100373446B1 (ko) 2003-02-25

Family

ID=950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813A KR100373446B1 (ko) 1997-07-25 1998-07-16 열가소성 블랭크를 취입하여 제조하는 용기의 제조방법과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423253B1 (ko)
EP (1) EP0998382B1 (ko)
JP (1) JP3477169B2 (ko)
KR (1) KR100373446B1 (ko)
CN (1) CN1156366C (ko)
AT (1) ATE226508T1 (ko)
AU (1) AU744961B2 (ko)
BR (1) BR9811545A (ko)
CA (1) CA2297300C (ko)
DE (1) DE69808918T2 (ko)
ES (1) ES2185199T3 (ko)
FR (1) FR2766406B1 (ko)
PT (1) PT998382E (ko)
WO (1) WO19990049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9261B2 (en) * 2001-03-23 2004-03-23 Graham Packaging Company, L.P. Multi-parison/dual cavity wheel blowmolds
FR2827541B1 (fr) 2001-07-20 2005-07-01 Technoplan Engineering S A Dispositif de soufflage d'emballages
JP2007504022A (ja) 2003-09-05 2007-03-01 エスアイジー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容器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装置
US7052644B2 (en) * 2003-11-17 2006-05-30 Graham Packaging Pet Technologies, Inc. Continuous production of molded plastic containers
BE1016119A3 (nl) * 2004-07-14 2006-03-07 Delta Engineering Bv Met Beper Werkwijze voor het blazen van voorwerpen.
US8573964B2 (en) * 2006-04-13 2013-11-05 Amcor Limited Liquid or hydraulic blow molding
US7857613B2 (en) * 2006-12-08 2010-12-28 Nestle Waters North America Inc. Mold cooling by recovery of energy from spent compressed air in blow-molding process
FR2921293B1 (fr) * 2007-09-24 2012-11-02 Sidel Participations Procede de fabrication de recipients comprenant une operation de depressurisation intermediaire
DE202008005257U1 (de) * 2008-04-17 2008-11-20 Krones Ag Vorrichtung zum Blasformen
DE102009023406A1 (de) * 2009-05-29 2010-12-02 Krones Ag Blasmaschine mit CIP-Reinigungssystem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Flaschen, insbesondere PET-Flaschen
US8287270B2 (en) * 2009-09-30 2012-10-16 Printpack Illinoi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hermoforming with billets
DE102010007542A1 (de) 2010-02-08 2011-08-11 KHS Corpoplast GmbH, 22145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lasformung von Behältern
EP2987604B1 (de) * 2014-08-20 2016-11-16 Kron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akuumrecycling in einer Behälterbehandlungsanlage
FR3035348B1 (fr) * 2015-04-23 2017-04-14 Sidel Participations Procede de refroidissement de moules chauffes d'une machine de moulage de recipients
JP7329524B2 (ja) * 2018-01-29 2023-08-18 アラン マーク クローリー 一体不可分の二重壁容器構造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の改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572B2 (ja) * 1980-05-09 1983-11-11 大同酸素株式会社 ブロ−ガス回収を伴う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
US4488863A (en) * 1981-02-23 1984-12-18 The Continental Group, Inc. Recycling of blow air
DE3111925A1 (de) * 1981-03-26 1982-10-0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paren von druckluft, insbesondere bei thermoformmaschinen
FR2526364B1 (fr) * 1982-05-10 1987-01-23 Katashi Aoki Machine de moulage par etirage et soufflage, apres injection
US4853171A (en) * 1986-10-27 1989-08-01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Method of making partially crystalline biazially oriented heat set containers
DE4340291A1 (de) * 1993-11-26 1995-06-01 Krupp Corpoplast Masch Mehrfachnutzung von Blasluft
DE19680085D2 (de) * 1995-02-17 1997-04-17 Procontrol Ag Verfahren zum Streckblasen und Blasformpresse
TW289008B (en) * 1995-07-18 1996-10-21 A K Tech Lab Inc Air operation method and device for an extention blow form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97300C (fr) 2004-01-27
BR9811545A (pt) 2000-08-22
CN1156366C (zh) 2004-07-07
CN1265060A (zh) 2000-08-30
DE69808918T2 (de) 2003-06-12
FR2766406B1 (fr) 1999-09-17
WO1999004951A1 (fr) 1999-02-04
ES2185199T3 (es) 2003-04-16
DE69808918D1 (de) 2002-11-28
AU744961B2 (en) 2002-03-07
AU8811198A (en) 1999-02-16
EP0998382B1 (fr) 2002-10-23
EP0998382A1 (fr) 2000-05-10
FR2766406A1 (fr) 1999-01-29
KR100373446B1 (ko) 2003-02-25
US6423253B1 (en) 2002-07-23
PT998382E (pt) 2003-02-28
JP3477169B2 (ja) 2003-12-10
ATE226508T1 (de) 2002-11-15
JP2001510745A (ja) 2001-08-07
CA2297300A1 (fr) 199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446B1 (ko) 열가소성 블랭크를 취입하여 제조하는 용기의 제조방법과장치
KR102398863B1 (ko)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금형 유닛 및 성형기
JPH0813498B2 (ja) 耐熱性容器の成形方法
EP0673748B1 (en) Method, appatatus and mold for injection molding a preform
US6375890B1 (en) Modified plastic bottle injection blow-molding apparatus and process
EP0162458B1 (en) Temperature control blow molding equipment in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machine
JP3294019B2 (ja) 大型容器の延伸吹込成形方法
US2787023A (en) Manufacture of bottles and the like from plastic materials
US5238389A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hollow plastic article
EP1372937B1 (en) Multi parison dual cavity blowmolds
CA1079014A (en) Method of injection-blow molding biaxially-oriented hollow plastic containers
US4101618A (en) Injection blow molding method for hollow article having openings at both ends
US586606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iners for dispensing solutions
JPS62216722A (ja) 分子配向可能なプラスチツク材料からなる中空の容器を成形する方法及び装置
EP0486419B1 (en) A process for blow moulding of thermoplastic resins
US5112561A (en) Blow-molding methods for fabricating hollow articles from an open-ended tubular body of thermoplastic material
JPS62225309A (ja) 筒状予備形成材の射出型成形の方法と装置
EP0633123B1 (en) Method for blow molding tubular container
JPH05237923A (ja) 二軸延伸吹込成形方法
CN114633456B (zh) 一种塑料瓶成型设备和塑料瓶吹塑方法
MXPA99012019A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making containers by blowing thermoplastic blanks
JPH06218801A (ja) ブロー成形方法
JP2685292B2 (ja) プラスチック製中空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0318570B2 (ko)
JPH08252860A (ja) 改良されたビン等の吹込み成形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